KR101707998B1 -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998B1
KR101707998B1 KR1020160096886A KR20160096886A KR101707998B1 KR 101707998 B1 KR101707998 B1 KR 101707998B1 KR 1020160096886 A KR1020160096886 A KR 1020160096886A KR 20160096886 A KR20160096886 A KR 20160096886A KR 101707998 B1 KR101707998 B1 KR 101707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household
mailbox
informatio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식
옥광래
Original Assignee
(주)브이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컴 filed Critical (주)브이컴
Priority to KR1020160096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04L67/16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6Combinations with letter-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04W4/0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한 부여받은 자만이 개방 가능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은,
잠금장치의 제어에 따라 도어가 개폐되는 하나 이상의 세대별 우편함과, 상기 세대별 우편함 내로 우편물 투입과 투입된 우편물의 반출을 감지하기 위한 우편물 감지센서와, 상기 각 세대별 우편함의 도어를 잠금해제 혹은 잠금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 각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각각과 정보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각 세대별 세대원 정보 및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세대원 정보 단말기 혹은 우편 집배원 정보 단말기에 설치된 우편함 관리 앱으로부터 전송된 세대원 정보 혹은 우편 집배원의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가를 검색하여 상기 세대별 우편함의 도어를 하나 이상 개폐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CLOSED SMART MAILBOX SYSTEM USING AN IoT}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한 부여받은 자만이 개방 가능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및 빌라와 같은 다세대 건물에는 공동 현관과 같이 세대원과 우편 집배원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다세대 우편함이 설치된다. 다세대 우편함은 복수의 개별 우편함이 연속되어 배치된 형태이다. 따라서 우편 집배원이 개별 세대 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우편물을 다세대 우편함에 나누어 투입함으로써 우편배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세대원들도 공동 현관 출입시 우편물을 용이 하게 수취할 수 있다.
디지털 시대에 맞추어 많은 통지서 및 고지서 등이 전자 우편물로 전환되어 이메일로 발송된다.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통지서 및 고지서 등이 종이 우편물로 발송되며, 특히 선거 및 정부 정책을 알리기 위한 우편물은 전자 우편물 및 종이 우편물로 동시에 발송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종이 우편물을 수령하기 위한 우편함은 한동안 계속 사용될 것이며 그 중요성 또한 여전히 높을 것이다.
한편, 우편물을 이용한 개인 정보의 유출 및 범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 는 추세이다. 우편함에 놓인 우편물을 절도하여 그 속에 기재된 개인정보를 빼내 거나 중요한 문서를 갈취하여 범죄에 악용하는 것이다. 또한, 우편함에 우편물이 오랜 시간 방치되면 이를 통해 특정 세대의 세대원이 장기간 외출중인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어 범죄에 악용되는 사례가 있다.
따라서 우편함을 통해 안전하게 개인 우편물을 수취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 러 우편물 또는 우편함의 우편물 유무를 통한 범죄 악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안이 강화된 다세대 우편함이 필요하다. 즉, 정당한 권한을 부여받은 우편 집배원과 세대원만이 자기 우편함만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불필요한 광고 전단 및 오물 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스마트한 형태의 우편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보급이 일반화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IoT 기술을 접목하여 우편 집배원와 세대원 모두가 이용상의 편리함을 누릴 수 있는 우편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등기 우편물의 경우 우편물 수령자 부재시에 우편 집배원이 반복하여 해당 세대를 반복해야 하는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함은 물론, 우편물 수령자의 주소 변경시에도 정상적으로 우편물 배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15011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권한 부여받은 자만이 우편함을 개폐시켜 우편물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광고 전단지 투입을 방지할 수 있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편물 수령자의 주소 변경시에도 주소 변경 전의 주소로 배달되는 우편물이 주소 변경된 주소지로 정상 배달되도록 조치할 수 있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등기 우편물을 수령해야 하는 수취인이 부재한 경우에도 우편 집배원의 재방문 없이 등기 우편물을 안전하게 정상 수취인에게 배송함은 물론, 배송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정보를 기록 보전할 수 있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가 우편함에 우편물이 투입된 경우 그 사실을 등록된 자가 세대원에게 통보하여 줄 수 있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체국 방문 없이 우편함을 통해 우편물을 발송할 수 있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은,
자기 세대 우편함을 개폐할 수 있는 세대원의 정보를 세대원 정보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DB 등록하는 세대원 정보 등록부와;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 세대원이 거주하는 주택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제어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을 담당하고 있는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세대원 정보 전송부와;
상기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에 우편물 투입시 발생되는 우편물 투입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우편물 투입 감지정보에 포함된 세대식별정보의 세대원 정보 단말기로 우편물 도착사실을 전파하는 우편물 도착 알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상기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로부터 주소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변경 이전 및 이후의 세대 주소정보를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상기 제어장치, 우편물 배송 분류국 정보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주소변경 갱신 처리부;를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은,
상기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로부터 우편물 발송 요청이 있는 경우 세대원에 의해 선택되는 발송 우편물의 종류 및 지역에 따라 과금을 중계 처리하는 과금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과금 처리 완료된 우편물이 보관되어 있는 세대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을 관리하는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로 발송 우편물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발송 우편물 위치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은,
배송 우편물중 수취인 전자서명이 필요한 우편물이 수취 완료된 경우 세대원 정보 단말기로 전자서명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된 전자서명을 DB 등록하는 전자서명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세대원 정보 등록부는 전송받은 세대원의 정보를 관공서 서버 혹은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세대원 인증 완료시에만 세대원 등록할 수 있다.
상술한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IoT 기반의 폐쇄형 세대별 우편함은,
잠금장치의 제어에 따라 도어가 잠금해제 상태 혹은 잠금 상태가 되는 하나 이상의 세대별 우편함과;
상기 세대별 우편함 내로 우편물 투입과 투입된 우편물의 반출을 감지하기 위한 우편물 감지센서와,
상기 각 세대별 우편함의 도어를 잠금해제 혹은 잠금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 각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각각과 정보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각 세대별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 및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세대원 정보 단말기 혹은 우편 집배원 정보 단말기에 설치된 우편함 관리 앱으로부터 전송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 혹은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가를 검색하여 상기 세대별 우편함의 도어를 하나 이상 잠금해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과 정보 송수신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모듈 중 하나인 제1통신부와;
상기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및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2통신부;를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세대별 우편함 각각에 배치된 우편물 감지센서로부터 우편물 감지신호 입력시에 상기 우편물 감지신호 발생한 우편함을 사용하는 세대식별정보가 포함된 우편물 투입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게이트웨이로 구현 가능하며,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및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은 이용 권한 부여받은 자만이 각 세대의 우편함 도어를 열어볼 수 있기 때문에, 불법 광고 혹은 전단지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고 투입된 우편물의 분실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을 이용하는 세대원은 자신의 정보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해 간단히 주소 변경함으로써, 설령 이사 등으로 거주지를 옮긴 경우에도 이전 주소지로 배송될 우려가 있는 자신의 우편물을 정상적으로 수령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을 구성하는 각 세대의 우편함에 우편물이 도착하면 이를 해당 세대의 등록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에 통지해 줌으로써, 세대원은 신속히 우편물을 수령해 갈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우편물 발송을 원하는 세대원은 편리하게 자신의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우편물 발송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고 거주지에서 편리하게 우편물을 발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기 우편물과 같이 우편물 수령자의 전자서명을 우편물 수령인의 정보 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어, 우편물 수령자 부재로 인해 우편 집배원이 반복하여 세대를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어 우편물 배송 업무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우편 집배원들의 업무 피로도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업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 및 그 관리 시스템(300)의 주변 연결 관계 예시도.
도 2는 도 1중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도 1중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의 전기적 구성 블럭 예시도.
도 4 내지 도 15는 도 1중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의 기구적 구성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과 그 관리 시스템(300)의 동작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 전송 흐름 예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 및 그 관리 시스템(300)의 주변 연결 관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과 접속 가능하다.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은 폐쇄형 우편함으로서, 단독 세대 혹은 공동 주택의 세대 수만큼 구비되는 우편함이다. 하기 설명에서는 공동 주택에 설치된 우편함을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공동 주택의 입구에 설치되는 우편함과 세대별 우편함을 구분하기 위해 각 세대에 할당된 개별적인 우편함을 세대별 우편함이라 일컫고, 공동 주택의 입구에 설치되는 각 세대별 우편함의 집합을 스마트 우편함이라 일컫기로 한다. 세대별 우편함과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의 참조번호는 공통되게 100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물론 단독 주택(1세대 거주만을 가정)에 설치되는 우편함은 스마트 우편함이라 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은 잠금 장치 제어에 의해 도어 개폐가 가능한 우편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며 권한 부여받은 자만이 우편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계된 스마트 우편함이다.
권한 부여받은 자란 우편물 배송업무를 담당하는 우편 집배원과 각 세대의 세대원일 수 있다. 상기 권한 부여받은 자는 필요에 따라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은 우편 집배원 및 공동 주택의 각 세대에 거주하는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해 도어 잠금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은 각 세대별 우편함에 우편물이 투입 혹은 투입된 우편물이 반출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하여 등록 세대원에게 우편물이 배달된 것을 전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의 전기적, 기구적 특징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공동 주택에 분포되어 있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을 관리하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은 서비스 이용자에 해당하는 공동 주택의 각 세대원의 정보를 전송받아 내부 DB에 등록하고,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보다 상세하게는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와 해당 공동 주택을 담당하고 있는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으로 전송해 준다. 이와 함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은 세대에 우편물이 배송된 경우 해당 세대원에게 그 사실을 통보해 줌은 물론, 등기 우편물과 같이 정당한 등기 우편물 수취인의 서명이 필요한 경우 해당 수취인에게 전자서명을 요청하여 전송받고 이를 등록 관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의 구성 및 동작 역시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세대원 정보 단말기들(400,410) 및 우편 집배원 정보 단말기(500)에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우편함 관리 앱(App:Application)이 설치된다. 이러한 앱을 통해 각 세대원들은 자신의 정보(적어도 주소, 성명, 단말기 식별정보 등)를 상기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에 등록할 수 있으며, 주소 변경을 할 수 있고, 전자서명, 우편물 발송시의 결제도 간편히 할 수 있으며, 우편물의 배송사실을 통보 받을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이 정보 단말기를 소유함으로써, 자가(自家)에 할당된 세대별 우편함의 잠금장치 제어를 자동 혹은 단말기 조작(이를 하기 설명에서는 반자동이라 칭하기로 한다)에 의해 수행하여 우편함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에서 미설명된 관공서 서버(혹은 통신사 서버:200)는 세대원 등록을 요청하는 사람이 진정으로 해당 세대에 거주하는지를 인증하기 위해 필요한 서버이다. 이에 상기 관공서 혹은 통신사의 명칭은 중요치 않으며, 세대원 등록을 요청한 사람을 그 세대의 세대원으로 인증할 수 있는 서버이면 모두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 및 그 관리 시스템(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중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중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의 전기적 구성 블럭을 예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은,
자기 세대 우편함을 개폐할 수 있는 세대원의 정보(주소, 성명,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세대원 정보 단말기(400,410)로부터 전송받아 DB(370)에 등록하는 세대원 정보 등록부(310)와,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특히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 세대원이 거주하는 주택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을 담당하고 있는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500) 정보(정보 단말기 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세대원 정보 전송부(32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은 기본적으로 각 세대원이 자신의 정보 단말기를 통해 자기 세대에 할당된 우편함을 열어볼 수 있으며, 우편 집배원 역시 자신의 정보 단말기를 통해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모두를 열어볼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16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은 상기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에 우편물 투입시 발생되는 우편물 투입 감지정보(적어도 세대식별정보를 포함함)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우편물 투입 감지정보에 포함된 세대식별정보의 세대원 정보 단말기로 우편물 도착사실을 전파하는 우편물 도착 알림부(330)를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허위 세대원의 등록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세대원 정보 등록부(310)는 전송받은 세대원의 정보를 관공서 서버(200) 혹은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세대원 인증 완료시에만 DB(370)에 세대원 정보를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은 세대원 등록된 세대 우편함에 우편물을 투입하는 경우 해당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400, 410)로 우편물의 배송상태를 통보해 줄 수 있다.
변형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은,
상기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400,410)로부터, 보다 상세하게는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400,410)에 설치된 우편함 관리 앱으로부터 주소변경 요청(변경 주소정보 포함함)이 수신되면 변경 이전 및 이후의 세대 주소정보를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500), 상기 제어장치, 우편물 배송 분류국(250) 혹은 우편물 배송 분류국의 정보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주소변경 갱신 처리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소변경 갱신 처리부(340)에 의해 서비스 등록된 세대원은 주소 변경시 이를 상기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에 자진 신고함으로써, 이전 주소로 배송될 혹은 배송중인 우편물을 새로이 변경된 신규 주소지의 우편함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상술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은, 세대별 우편함에 투입된 배송 우편물중 수취인 전자서명이 필요한 우편물이 수취 완료된 경우 세대원 정보 단말기(400,410)에 설치된 우편함 관리 앱으로 전자서명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된 전자서명을 DB(370)에 등록하는 전자서명 요청부(3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세대별 우편함에 우편물이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는 각 세대별 우편함에 설치되는 우편물 감지센서를 통해 알 수 있고, 우편물 수취 완료 여부 역시 우편물 감지센서를 통해 투입된 우편물이 감지된 이후 우편물이 감지되고 있지 않다는 신호를 통해 추정할 수 있다. DB(370)에 등록된 전자서명은 등기 우편물 수취 여부에 대한 증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전자서명 요청부(350)는 우편물 수취완료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세대의 우편물 수령 발송 대장(DB에 마련)에 기록하여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책임소재에 대비한다.
더 나아가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상술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은,
상기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400, 410)로부터 우편물 발송 요청이 있는 경우 세대원용 우편함 관리 앱에서 세대원에 의해 선택되는 발송 우편물의 종류 및 지역에 따라 과금을 중계 처리하는 과금 처리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대원용 우편함 관리 앱을 통해 세대원은 우편물 발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편물 발송이 요청되면 세대원용 우편함 관리 앱은 발송 우편물의 종류(일반우편, 등기우편, 해외 우편, 택배 등) 및 지역, 그리고 우편물 발송을 위해 입력해야 하는 필요 사항들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을 세대원용 우편함 관리 앱을 통해 세대원에게 제시한다.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들은 과금 처리부(360)에 전달되며, 과금 처리부(360)는 입력 정보에 기초한 우편물 발송요금을 제시함은 물론, 현재 공지되어 있는 여러 결제수단을 함께 제시한다. 세대원에 의해 결제수단, 예를 들면, 선적립금 포인트, 신용카드, 계좌이체, 휴대폰 결제 등을 선택하면 선택 결제방법에 따라 과금을 중계 처리하고 그 결과를 DB(370)에 저장하는 한편 결제한 세대원에게 결제완료 사실을 통보해 준다.
이러한 과금 처리부(360)에 의해 각 세대원은 우체국 방문 없이 자택에서 세대원용 우편 관리함에 우편물 발송 및 과금 결제를 완료한 후, 해당 우편물을 자신의 세대별 우편함 혹은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에 별도 마련된 발송용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에 투입하면, 담당 우편 집배원만이 이를 수령해 갈 수 있기 때문에, 우편물을 보다 편리하게 발송할 수 있다.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우편물 도착 알림부(330)는 과금 처리부(360)에 의해 과금 결제 완료된 우편물이 정상 발송된 경우에는 우편물 발송 요청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400,410)로 우편물 발송 사실을 전파해 줄 수도 있다.
과금 결제 완료된 우편물이 정상 발송되는 사실은 우편 집배원이 해당 우편함에서 우편물 수령시 별도의 우편물 스캔 장비 등에 의해 확인하는 경우, 우편함에서 우편 집배원이 단순히 우편물을 수거하는 경우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은 과금 처리 완료된 우편물이 보관되어 있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을 관리하는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500)로 발송 우편물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발송 우편물 위치정보 제공부(380)를 더 포함하여 신속히 우편물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변형 가능한 실시예로서 과금은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에서 중계처리 혹은 부과할 수도 있지만,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에서 처리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의 전기적 구성 블럭을 예시한 도 3을 참조하여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우선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400,410)와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5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은 잠금장치의 제어에 따라 도어가 잠금해제 상태 혹은 잠금 상태가 되는 하나 이상의 세대별 우편함과,
상기 세대별 우편함 내로 우편물 투입과 투입된 우편물의 반출을 감지하기 위한 우편물 감지센서(S1,S2,..Sn)와,
상기 각 세대별 우편함의 도어를 잠금해제 혹은 잠금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 각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400,410),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500) 각각과 정보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70)와,
상기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된 각 세대별 세대원 정보(예를 들면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 및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저장부(180)와,
상기 세대원 정보 단말기(400,410) 혹은 우편 집배원 정보 단말기(500)에 설치된 우편함 관리 앱으로부터 전송된 세대원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 혹은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가 상기 저장부(180)에 등록된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와 일치하는가를 검색하여 상기 세대별 우편함의 도어를 하나 이상 잠금해제 제어하는 컨트롤러(175)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70)는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과 정보 송수신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모듈 중 하나인 제1통신부와,
상기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400,410) 및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5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2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통신부는 게이트웨이(G/W)로 구현 가능하며, 제2통신부는 블루투스(BT) 모듈로 구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장치는 게이트웨이이며 상기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400) 및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5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B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필요에 따라 공동 주택 1동에 위치하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에 하나만이 존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 이상 설치 운영될 수도 있고, 게이트웨이(G/W) 하나에 각 세대별 우편함의 잠금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컨트롤러(175)를 구비하는 방식으로 설치 운영될 수도 있다.
한편, 컨트롤러(175)는 세대별 우편함 각각에 배치된 우편물 감지센서(S1,,, Sn)로부터 우편물 감지신호 입력시에 상기 우편물 감지신호 발생한 우편함을 사용하는 세대식별정보가 포함된 우편물 투입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 제어한다.
이하 상술한 전기적 구성을 가지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 및 각 세대별 우편함의 기구적 구성을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설명될 각 세대별 우편함의 기구적 구성은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예시일 뿐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4 내지 도 15는 도 1중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의 기구적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세대별 우편함(100)이 상하 좌우로 결합되면서 하나의 다세대 우편함을 구성한다.
각 세대별 우편함(1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편함 본체(110)와 우편함 후방판(120), 우편함 전방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편함 본체(1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이 개방된 사각 통 형태로서, 서로 마주보는 상, 하측 측벽(111, 112)과 서로 마주보는 좌, 우측 측벽(113, 114)으로 이루어진다. 서로 마주보는 상하 측벽(111, 112) 중 어느 하나의 측벽 외측에 제1돌기형 레일(11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상하 측벽 중 다른 하나의 측벽 외측에 상기 제1돌기형 레일(115)에 대응되는 형태인 제1홈형 레일(116)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측 측벽(111)에 2개의 제1돌기형 레일(115)이 형성되며, 하측 측벽(112)에 2개의 제1홈형 레일(116)이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우편함 본체(110)는 제1돌기형 레일(115)과 제1홈형 레 일(116)간의 결합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좌우측 측벽(113, 114) 중 어느 하나의 측벽 외측에 제2 돌기형 레일(117)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좌우측 측벽(113, 114) 중 다른 하나의 측벽 외측에 상기 제2돌기형 레일(117)에 대응되는 형태인 제2홈형 레일(118)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 측벽(113)에 1개의 제2홈형 레일(118)이 형성되며, 우측 측벽(114)에 1개의 제2돌기형 레일(117)이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우편함 본체(110)는 제2돌기형 레일(117)과 제2홈형 레 일(118)간의 결합을 이용하여 좌우 방향으로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편함 본체(110)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서로 조립되어 다세대용 스마트 우편함 형태를 갖추게 된다. 각 세대별 우편함의 본체(110)가 모두 조립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마감재(151, 152, 153, 154)를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외장 마감재(151, 152, 153, 154)에는 제1,2돌기형 레일 혹은 제1,2홈형 레일에 대응하는 형태의 홈형이나 돌기형 레일이 형성되어 우편함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우편함 본체(110)의 좌,우측 측벽(113, 114)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는 우편함 전방판(130) 및 우편함 후방판(120)이 조립되기 위한 삽입 체결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우편함 본체(110)의 개방된 후방을 막도록 우편함 후 방판(120)이 마련된다.
우편함 후방판(120)의 전면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편함 본체(110)의 삽입 체결홈(119)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삽입 돌기편(121)이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우편함 후방판(120)의 삽입 돌기편(121)을 우편함 본체(110)의 삽입 체결홈(119)의 상부 공간으로 삽입한 후, 우편함 후방판(120)을 아래로 이동시키면 우편함 후방판(120)의 삽입 돌기편(121)이 우편함 본체(110)의 삽입 체결홈(119)의 하부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삽입 돌기편(121)과 삽입 체결홈(119)의 결합 구조는 다양한 방식이 응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우편함 후방판(120)과 우편함 본체(11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착탈이 불가능한 일체형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한편, 우편함 본체(110)의 개방된 전방을 막도록 우편함 전방판(130)이 마련된다. 우편함 전방판(13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함 전방판 본체(131)와, 투입부 개폐문(132), 인출부 개폐문(133), 제1잠금부(134), 제2잠금부(135), 세대별 우편함 컨트롤러(136), 전원공급라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대별 우편함 컨트롤러(136)는 도 3에서 설명한 제어장치에 포함된 하나의 컨트롤러(175)가 각 세대별 우편함의 잠금장치 모두를 제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삭제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도면에서 상기 투입부 개폐문(132)과 인출부 개폐문(133)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하나의 도어만을 구비해 우편물 투입과 반출(인출)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우편함 전방판 본체(131)의 전면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편함 본체(110)의 삽입 체결홈(119)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삽입 돌기편(131a)이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 성되어 있다. 우편함 전방판 본체(131)의 삽입 돌기편(131a)과 삽입 체결홈(119)의 결합 구조는 우편함 후방판(120)의 삽입 돌기편(121)과 삽입 체결홈(119)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다. 우편함 전방판 본체(131)의 상부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편물 투입부(13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편물 투입부(131b)의 하부에는 개방된 공간인 우편물 인출부(131c)가 형성되어 있다.
우편물 투입부(131b)를 개폐하기 위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부 개폐문(132)이 마련되며, 투입부 개폐문(132)은 그 상단부가 우편함 전방판 본체(131)에 힌지 체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처진 상태와, 이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회동되는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도 15 참조).
참고적으로, 투입부 개폐문(132)은 우편 집배원이 우편물을 투입할 때 사용되는 문이다. 투입부 개폐문(132)의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제1잠금공(132b)이 형성된 제1잠금판(132a)이 형성되어 있다.제1잠금공(132b)에 후술하는 제1잠금부(134)의 잠금로드(134a)가 삽입되면 투입부 개폐문(132)은 잠금 상태가 되며, 제1잠금공(132b)으로부터 제1잠금부(134)의 잠금로드(134a)가 이탈되면 투입부 개폐문(132)은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우편물 인출부(131c)를 개폐하기 위하여 인출부 개폐문(133)이 마련되며, 인출부 개폐문(133)은 그 하단부가 우편함 전방판 본체(131)에 힌지 체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와, 이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회동되는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도 15 참조).
인출부 개폐문(133)은 세대원이 우편물을 인출할 때 사용되는 문으로서, 인 출부 개폐문(133)에는 전방으로 당겨서 열기 위한 손잡이(133c)가 마련되어 있다. 인출부 개폐문(133)의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제2잠금공(133b) 이 형성된 제2잠금판(133a)이 형성되어 있다.
제2잠금공(133b)에 후술하는 제2잠금부(135)의 잠금로드(135a)가 삽입되면 인출부 개폐문(133)은 잠금 상태가 되며, 제2잠금공(133b)으로부터 제2잠금부(135) 의 잠금로드(135a)가 이탈되면 인출부 개폐문(133)은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우편함 전방판 본체(130)의 후면에 제1잠금부(134), 제2잠금부(135)가 마련된다. 제1잠금부(134)는 투입부 개폐문(132)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잠금 로드(134a)가 마련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잠금로드(134a)가 후퇴하여 투입부 개폐 문(132)을 잠금 해제 상태로 하며,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잠금로드(134a)가 전진하여 투입부 개폐문(132)을 잠금 상태로 변환시키는 일종의 솔레노이드 구동체이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구동체를 제어장치가 제어하여 각 세대별 우편함에 구비된 하나의 도어 혹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부 개폐문(133)과 투입부 개폐문(132)의 열림을 제어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제2잠금부(135)는 인출부 개폐문(133)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잠금 로드(135a)가 마련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잠금로드(135a)가 후퇴하여 인출부 개폐문(133)을 잠금 해제 상태로 하며,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잠금로드(135a)가 전진하여 인출부 개폐문(133)을 잠금 상태로 변환시키는 일종의 솔레노이드 구동체이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141, 142, 143, 144는 각 세대별 우편함에 컨트롤러가 구비될 경우 전원공급용 전원연결단자를 표시한 것이다.
상술한 기구적 구성을 가지는 각 세대별 우편함 본체(110)에 우편함 후방판(120)을 결합하고, 우편함 후방판(120)이 결합된 우편함 본체(110)를 이웃하는 우편함 본체(110)와 서로 결합하면, 이어서 서로 결합된 우편함 본체(110)에 외장 마감재(151, 152, 153, 154)를 결합하고, 각각의 세대별 우편함 본체(110)에 미리 준비된 우편함 전방판(130)을 결합시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인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 및 그 관리 시스템(300), 그리고 각 세대원 정보 단말기(400,410) 및 우편 집배원 정보 단말기(500)가 상호 연동하여 우편물의 배송 및 수취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세대별 우편함(100)이 하나의 도어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우편물 투입구가 구비된 우편물 발송함이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우편물 발송함은 우편 집배원만이 개폐 제어할 수 있는 우편함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과 그 관리 시스템(300)의 동작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 전송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을 이용하고자 하는 세대원과 우편 집배원은 자신의 정보 단말기에 우편함 관리 앱을 다운받아 설치한다. 우편함 관리 앱은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 운영자 혹은 우정사업본부 운영서버로부터 다운받을 수 있다.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이 설치된 공동주택(다세대)에 거주하는 세대원 각각이 자신의 정보 단말기(400,410)에 우편함 관리 앱을 설치한 이후에는 상기 앱을 실행시켜 세대원 정보를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S10단계)한다. 상기 세대원 정보에는 세대원이 거주하는 주소, 성명,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여러 세대원의 정보를 한 사람이 함께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의 세대원 정보 등록부(310)는 세대원 정보 단말기(400,410)로부터 전송된 세대원 정보를 DB(370)에 등록(S12단계)한다. 물론 상기 DB(370)에는 각 지역 담당 우편 집배원의 정보(정보 단말기 식별정보, 성명 등)가 미리 등록되어 이용된다. 세대원 정보 등록부(310)는 부정 세대원의 등록을 막기 위해 관공서 서버(200) 혹은 통신사 서버를 통해 인증된 세대원의 정보를 선별적으로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대원 정보가 등록되면,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의 세대원 정보 전송부(320)는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예를 들면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 세대원이 거주하는 주택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을 담당하고 있는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500) 식별정보와 함께 전송(S14단계)한다.
이에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의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컨트롤러(175)는 상기 방식으로 전송되는 각 세대의 세대원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와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S16단계)한다.
이와 같이 각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에 각 세대를 구성하는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와 해당 우편함(100)을 담당하는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가 저장되면, 이후 컨트롤러(175)는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정보 단말기들,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 단말기에 설치된 우편함 관리 앱과 통신 수행하여 등록된, 즉 권한 부여 받은 자들에게만 우편함의 도어를 열 수 있도록 도어 잠금장치를 제어해 준다.
예를 들어 우편 집배원이 우편함 관리 앱이 설치된 자신의 정보 단말기(500)를 소지하고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에 설치된 통신부(170), 즉 블루투스 통신 반경내에 들어오면, 컨트롤러(175)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획득된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500) 식별정보가 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는가를 조회하여 등록된 우편 집배원인지 판단(S18단계)한다.
판단결과 등록된 우편 집배원이 확인되면, 컨트롤러(175)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의 잠금장치(185,190)를 제어하여 모든 도어를 잠금해제 상태에 놓이도록 제어(S20단계)한다.
이와 같이 평소 잠금장치(185,190)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면 불법 광고 혹은 전단지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고, 투입된 우편물의 분실을 막을 수 있으며, 잠금상태인 각 세대별 우편함(100)의 도어를 담당 우편 집배원 방문시에만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하면 우편 집배원은 각 세대로 발송된 우편물을 각 세대별 우편함(100)에 정상 투입할 수 있다.
세대별 우편함(100)에 우편물이 투입되면 우편물 감지센서(S1)에 의해 우편물 감지신호가 발생됨에 따라, 컨트롤러(175)는 세대별로 설치된 우편물 감지센서(Sn)로부터 우편물 감지신호가 수신(S22단계)되면, 해당 세대정보가 포함된 우편물 투입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S24단계)한다.
이에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의 우편물 도착 알림부(330)는 상기 우편물 투입 감지정보에 포함된 세대식별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400)(보다 상세하게는 우편함 관리 앱)로 우편물 도착사실을 전파(S26단계)한다. 이에 해당 세대원은 자기 세대 우편함(100)에 우편물이 도착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우편물 도착을 통보받은 세대원은 자신의 정보 단말기(400)를 소지하여 세대 우편함(100)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 접근하면, 세대원 정보 단말기(400)와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에 존재하는 제어장치내 통신부(170)와의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로써 컨트롤러(175)는 접근한 세대원이 등록된 세대원인지를 S28단계에서 체크하고, 등록된 세대원이면 식별된 해당 세대원이 속한 세대별 우편함(100)의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도어를 오픈(S30단계)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세대원이 자기 세대 우편함(100)에서 우편물을 반입한 후 도어를 재차 닫으면 도어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컨트롤러(175)는 다시 도어를 잠금 제어하고, 우편물 감지센서(Sn)를 통해 우편물 반출이 이루어진 것이 확인되면 배송된 우편물이 정상적으로 수취인에게 전달된 것으로 간주하여 우편물 수취완료정보를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S32단계)한다.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의 전자서명 요청부(350)는 우편물 수취완료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세대의 우편물 수령 발송 대장(DB에 마련)에 기록 저장(S34단계)하여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책임소재에 대비한다.
만약 세대원이 수령한 우편물중에 등기 우편물과 같이 서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전자서명 요청부(350)가 우편물 도착사실을 전파해 준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400)로 전자서명을 요하는 우편물 정보를 제공하면서 전자서명을 함께 요청한다. 이러한 전자서명 요청은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400)에 설치된 우편함 관리 앱을 통해 세대원에게 표시되며, 표시된 전자서명 창에 서명 완료되면 이를 피드백 받아 DB(370)에 마련된 해당 세대의 우편물 수령 발송 대장에 저장(S36단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폐쇄형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은 공동주택에 마련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으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와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권한 부여받은 등록 세대원과 우편 집배원만이 자기 세대 혹은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의 도어를 열 수 있도록 지원하며,
더 나아가 IoT 기반의 폐쇄형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은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 및 우편함 관리 앱을 통해 우편물의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와 전자서명을 전송받아 종합 기록한다.
도 16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IoT 기반의 폐쇄형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에는 주소변경 갱신 처리부(340)가 구비되기 때문에, 세대원 정보를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에 제공한 세대원은 자신의 주소가 변경되는 경우 자신의 정보 단말기(400)에 설치된 우편함 관리 앱을 통해 등록 주소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주소 변경 요청이 접수되면 주소변경 갱신 처리부(340)는 변경 이전 및 이후의 세대 주소정보를 주소 변경 이전의 주소를 담당하던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500) 혹은 주소 변경 이전 주소지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을 구성하는 제어장치, 우편물 배송 분류국(250) 서버 혹은 배송 분류국의 정보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여 우편물 배송 분류시 변경 주소로 재분류하거나 배송시 우편 집배원에 의해 분류되어 변경 주소지로 재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주소 변경한 세대원은 앱을 통해 간단히 주소 변경함으로써, 이전 주소지로 배송될 우려가 있는 자신의 우편물을 정상적으로 수령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이 설치된 세대의 세대원은 우체국 방문 없이 우편물을 발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대원은 자신의 정보 단말기(400)에 설치된 우편함 관리 앱을 통해 발송 우편물의 종류 및 지역을 선택한다. 이러한 발송 우편물의 종류 및 지역 선택정보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의 과금 처리부(360)에 전달됨으로써, 과금 처리부(360)는 우편물의 종류 및 지역 선택정보에 맞게 과금하고, 그 과금액에 대해 외부 결제기관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중계할 수 있다. 이러한 과금 결제방식은 이미 공지된 여러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방법으로 우편 발송 요금에 대해 과금 결제한 세대원이 해당 우편물을 자기 세대 우편함(100) 혹은 별도 마련된 우편함에 투입해 놓으면,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의 발송 우편물 위치정보 제공부(380)는 과금 처리 완료된 우편물이 보관되어 있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을 관리하는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500)로 발송 우편물의 위치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에 해당 우편 집배원이 제공받은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으로 접근하면, 도 16의 S18 및 S20단계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해당 우편함(100)의 도어가 잠금해제 상태가 되어 발송 우편물을 수령해 갈 수 있다.
이에 우편물 발송을 원하는 세대원은 편리하게 거주지에서 우편물을 발송할 수 있는 실익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편물만을 가정하였으나, 우편함 사이즈를 조절하면 택배 물품의 발송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버 타입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으로 명기하였으나, 도 3에 도시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300)을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서버로 명기하고, 이와 정보 송수신 가능한 도 3에 도시된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100)을 묶어 하나의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으로 명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자기 세대 우편함을 개폐할 수 있는 세대원의 정보를 세대원 정보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DB에 등록하는 세대원 정보 등록부와, 등록된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 세대원이 거주하는 주택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제어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을 담당하고 있는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세대원 정보 전송부와,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을 구성하는 세대별 우편함에 투입된 배송 우편물 중 수취인 전자서명이 필요한 등기 우편물이 수취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으로부터 수신된 경우 해당 세대의 세대원 정보 단말기에 설치된 우편함 관리 앱으로 전자서명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된 전자서명을 DB에 등록하는 전자서명 요청부를 포함하는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서버와;
    잠금장치의 제어에 따라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세대별 우편함과, 상기 세대별 우편함 내로 우편물 투입과 투입된 우편물의 반출을 감지하기 위한 우편물 감지센서와, 상기 각 세대별 우편함의 도어를 잠금해제 혹은 잠금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서버로부터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와 세대원의 세대원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통신부와,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와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저장부와, 세대원 정보 단말기 및 우편 집배원 정보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2통신부와,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세대원 혹은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등록된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와 일치하는가를 검색하여 상기 세대별 우편함의 도어를 하나 이상 잠금해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잠금장치의 제어에 따라 도어가 잠금해제 상태 혹은 잠금 상태가 되는 하나 이상의 세대별 우편함과;
    상기 세대별 우편함 내로 우편물 투입과 투입된 우편물의 반출을 감지하기 위한 우편물 감지센서와;
    상기 각 세대별 우편함의 도어를 잠금해제 혹은 잠금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서버로부터 세대별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와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통신부와;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및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2통신부와;
    상기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각 세대별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 및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저장부와;
    세대원의 정보 단말기 혹은 우편 집배원의 정보 단말기에 설치된 우편함 관리 앱으로부터 전송된 세대원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 혹은 우편 집배원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후 상기 저장부에 등록된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와 일치하는가를 검색하여 상기 세대별 우편함의 도어를 하나 이상 잠금해제 제어함은 물론, 각 세대별 우편함에 우편물 투입 및 반출여부를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096886A 2016-07-29 2016-07-29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 KR101707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886A KR101707998B1 (ko) 2016-07-29 2016-07-29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886A KR101707998B1 (ko) 2016-07-29 2016-07-29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822A Division KR101707999B1 (ko) 2017-01-03 2017-01-03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998B1 true KR101707998B1 (ko) 2017-02-17

Family

ID=5826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886A KR101707998B1 (ko) 2016-07-29 2016-07-29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9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735B1 (ko) * 2018-05-31 2018-10-05 고기홍 공동 주택용 우편함 구조
WO2021107268A1 (ko) * 2019-11-25 2021-06-03 강한희 개인용 스마트 택배 보관함 어셈블리 및 이것의 운용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011Y1 (ko) 2000-08-16 2001-02-15 김재경 이중 개폐문이 장착된 공동 우편함
JP2008120473A (ja) * 2006-11-08 2008-05-29 Ntt Facilities Inc メールボックス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020926A (ko) * 2013-08-19 2015-02-27 (주)성원라커시스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7701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택배 기사를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
KR20150111885A (ko) * 2015-06-30 2015-10-06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비컨이나 lbs를 이용한 전자사물함, 전자사서함 및 무인택배함 이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011Y1 (ko) 2000-08-16 2001-02-15 김재경 이중 개폐문이 장착된 공동 우편함
JP2008120473A (ja) * 2006-11-08 2008-05-29 Ntt Facilities Inc メールボックス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020926A (ko) * 2013-08-19 2015-02-27 (주)성원라커시스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7701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택배 기사를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
KR20150111885A (ko) * 2015-06-30 2015-10-06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비컨이나 lbs를 이용한 전자사물함, 전자사서함 및 무인택배함 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735B1 (ko) * 2018-05-31 2018-10-05 고기홍 공동 주택용 우편함 구조
WO2021107268A1 (ko) * 2019-11-25 2021-06-03 강한희 개인용 스마트 택배 보관함 어셈블리 및 이것의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99976B (zh) 一种快件存取认证系统和快件投递、邮寄方法
CN102622788B (zh) 一种快件存取系统和快件投递、邮寄方法
CN102663838B (zh) 一种电子储物柜箱格远程访问系统及远程预约、远程取消预约方法
US6895241B2 (en) Door-lock-opening method for home delivery locker
CN104978644A (zh) 一种使用智能快递柜取件的方法
US200201780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parcels
KR20110016960A (ko) 소포를 안전하게 수취 및/또는 배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1118611A (ja) 荷物預入れシステム
JP2019016190A (ja) 物品収受システム、収受ボックス及び物品収受方法
US20190307278A1 (en) Method for Delivering Mail, a Mail Delivery System and a Software Product
KR101496296B1 (ko) 무인 택배 시스템을 이용한 무인 배송 방법
JP6938319B2 (ja) 認証管理システム
WO2020007211A1 (zh) 物流对象管理设备以及物流对象投递、寄送控制方法及装置
CN106203899A (zh) 一种宝盒邮寄系统及其邮寄方法
KR20120039150A (ko) 무인택배 시스템
KR101707998B1 (ko)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및 그 관리 시스템
CN109243088A (zh) 一种带智能锁的快递收发终端及管理终端的系统及方法
KR101707999B1 (ko)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
KR101707782B1 (ko)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제어방법
KR101707781B1 (ko)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시스템
JP4752144B2 (ja) 受渡しボックスの解錠方法及び受渡しボックス
KR101874239B1 (ko) 공공 우편함이 구비된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시스템
JP2018190210A (ja) 宅配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30087542A (ko) 배송처 로커의 예약 지정 시스템
KR20030087541A (ko) 로커 수납물의 배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