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628B1 -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 Google Patents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628B1
KR101707628B1 KR1020140184284A KR20140184284A KR101707628B1 KR 101707628 B1 KR101707628 B1 KR 101707628B1 KR 1020140184284 A KR1020140184284 A KR 1020140184284A KR 20140184284 A KR20140184284 A KR 20140184284A KR 101707628 B1 KR101707628 B1 KR 101707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ship
actuator
solar cell
artic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4966A (ko
Inventor
이성종
김헌우
강석순
최준웅
윤철원
Original Assignee
수상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상에스티(주) filed Critical 수상에스티(주)
Priority to KR102014018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6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4Passenger vessels, e.g. cruise vess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은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 패턴으로 동작하는 다관절 날개를 구비하여 심미성의 증대와 흥미의 유발이 기대될 수 있어 관광선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다관절 날개에 솔라셀이 부착되어 태양광 발전으로 선박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태양광의 방향과 풍향에 맞추어 다관절 날개의 위치 최적제어가 수행되면서 태양광 발전 효율이 증대되고 바람에 의한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은 수상에 배치되는 선체와; 선체의 일측 표면에 배치 고정되고, 복수개의 날개편이 움직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날개편 표면에 솔라셀이 부착되는 다관절 날개와; 다관절 날개와 연결되어 다관절 날개를 이루는 날개편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 및;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A ship with multi-joint wing fixed solar cell}
본 발명은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 패턴으로 동작하는 다관절 날개를 구비하여 심미성의 증대와 흥미의 유발이 기대될 수 있어 관광선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다관절 날개에 솔라셀이 부착되어 태양광 발전으로 선박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태양광의 방향과 풍향에 맞추어 다관절 날개의 위치 최적제어가 수행되면서 태양광 발전 효율이 증대되고 바람에 의한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는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가 고갈되어감에 따라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태양에너지를 활용하는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인데,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전지의 경우 다양한 조건에서 뛰어난 적응성을 가짐에 따라, 태양전지를 활용하는 기술분야가 넓어지고 있다.
그리고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보트나 요트를 이용한 해양 레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보트나 요트와 같은 선박은 수상에서 운용되는 것이므로, 조명장치, 통신장치, 전동장치 등의 구동을 위한 전력공급을 축전장치로부터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축전장치를 충전시키는 작업에 번거로움이 따랐으며, 축전장치의 충전이 비용이 소요되고, 수상에서 축전장치의 전원이 모두 소모될 경우 더이상 전력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조명장치, 통신장치, 전동장치 등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74412호 "접이식 태양전지 시트 장착형 선박"을 안출하였는데, 상기 "접이식 태양전지 시트 장착형 선박"은 접히고 펼쳐지는 시트 구조를 가짐에 따라 태양전지의 적용성과 확장성이 증대되도록 하고, 보트나 요트와 같은 선박에 적용되어 전력공급 비용발생을 줄이도록 하는 한편, 선박 축전장치 충전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시 실시간으로 태양광발전을 수행하며 선박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선박 운용의 편의가 도모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접이식 태양전지 시트 장착형 선박"은 태양전지 시트가 단순 장착되는 것이어서 심미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한편 관광산업의 활성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관광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관광선은 단순히 외관의 미려함을 지향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흥미의 유발에 한계가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74412호 "접이식 태양전지 시트 장착형 선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서로 핀결합되는 복수개의 날개편으로 이루어진 다관절 날개가 유압실린더와 구동모터 등의 액추에이터 구동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 패턴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심미성이 증대되고, 흥미가 유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종 관광선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관절 날개에 솔라셀이 부착되어 태양광 발전으로 선박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특히 태양광 감지센서와 풍향 감지장치를 통해 계측되는 태양광의 현재 방향과 현재 풍향에 맞추어 다관절 날개의 위치가 최적제어됨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이 증대되고 바람에 의한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는 새로운 형태의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수상에 배치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일측 표면에 배치 고정되고, 복수개의 날개편이 움직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날개편 표면에 솔라셀이 부착되는 다관절 날개와; 상기 다관절 날개와 연결되어 상기 다관절 날개를 이루는 날개편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 및; 상기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의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에서 상기 다관절 날개는 평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날개편이 서로 핀결합되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고, 상기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는 상기 다관절 날개를 이루는 복수개의 날개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이동로드를 갖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에서 상기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는 서로 연결되는 내외측 날개편 중 외측 날개편에 핀결합되는 메인 이동로드를 갖는 메인 구동실린더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에서 상기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는 서로 연결되는 내외측 날개편 중 내측 날개편에 핀결합되는 서브 이동로드를 갖는 서브 구동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에서 서로 연결되는 내외측 날개편 중 내측 날개편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 슬릿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구동실린더는 상기 내측 날개편의 개방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외측 날개편에 핀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서브 구동실린더는 상기 메인 구동실린더의 양측으로 한쌍이 배치되어 내측 날개편의 개방 슬릿 양측 부위에 각각 핀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은 상기 선체 표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다관절 날개가 핀결합되며, 상기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가 고정되는 지지베이스와; 상기 지지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베이스의 회전을 유도하게 되는 지지베이스용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은 상기 선체의 일측 표면에 복수개의 다관절 날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정패턴으로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다관절 날개가 설정된 움직임 패턴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은 상기 다관절 날개에 고정되고, 설정패턴으로 발광하게 되는 발광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은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태양광의 현재 방향을 검출하게 되는 태양광 감지센서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현재 풍향을 검출하게 되는 풍향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태양광 감지센서와 풍향 감지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태양광의 현재 방향과 현재 풍향에 따라 상기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태양광 발전효율이 최대화되는 동시에 바람에 의한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다관절 날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에 의하면, 서로 핀결합되는 복수개의 날개편으로 이루어진 다관절 날개가 유압실린더와 구동모터 등의 액추에이터 구동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 패턴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심미성이 증대되고, 흥미가 유발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은 각종 관광선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은 다관절 날개에 솔라셀이 부착되어 태양광 발전으로 선박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선박의 전원공급체계가 좀더 합리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은 태양광 감지센서와 풍향 감지장치를 통해 계측되는 태양광의 현재 방향과 현재 풍향에 맞추어 다관절 날개의 위치가 최적제어되므로, 태양광 발전 효율이 증대되고 바람에 의한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베이스와 지지베이스용 액추에이터의 연결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에 구비되는 발광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의 제어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선박, 선체, 솔라셀, 액추에이터, 구동실린더, 유압실린더, 발광체, 태양광 감지센서, 풍향 감지장치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100)은 선체(10), 다관절 날개(20),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30), 지지베이스(40), 지지베이스용 액추에이터(50), 컨트롤러(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선체(10)는 수상에 배치되는 선박의 몸체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선체(10)는 도 1에서와 같이 길이방향 전단부에 승객이나 승무원이 위치되는 탑승인원용 구조물(11)이 형성되도록 하고, 길이방향 후단부 표면에 다관절 날개(20)가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선체(1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100)은 관광선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관절 날개(20)는 선체(10)의 일측 표면에 배치 고정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날개편(21)이 움직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 날개편(21)의 표면에는 솔라셀(60)이 부착된다. 솔라셀(60)은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여 선박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별도의 축전지에 연결되어 전원을 충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날개(20)는 평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날개편(21)이 서로 핀결합되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단 구조의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서로 연결되는 내외측 날개편 중 내측 날개편(21)의 중앙부에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개방 슬릿(211)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100)은 선체(10)의 일측 표면에 복수개의 다관절 날개(20)가 서로 이격되어 설정패턴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복수개의 다관절 날개(20)는 다수행과 다수열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100)은 선체(10)의 후단부 표면에 좌우 2쌍의 다관절 날개(20)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복수개의 다관절 날개(20)가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100)은 날아가는 새의 날개 움직임을 모사하는 등의 다양한 움직임 모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30)는 다관절 날개(20)와 연결되어 다관절 날개(20)를 이루는 날개편(21)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30)는 다관절 날개(20)를 이루는 복수개의 날개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이동로드를 갖는 구동실린더(30a)(30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3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메인 구동실린더(30a)와 서브 구동실린더(30b)로 이루어진다.
메인 구동실린더(30a)는 서로 연결되는 내외측 날개편(21) 중 외측 날개편(21)에 핀결합되는 메인 이동로드를 갖는 것이고, 서브 구동실린더(30b)는 서로 연결되는 내외측 날개편 중 내측 날개편(21)에 핀결합되는 서브 이동로드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메인 구동실린더(30a)와 서브 구동실린더(30b)는 도 2에서와 같이 지지베이스(40)의 상부면에 각각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30)는 지지베이스(40) 중앙부에 메인 구동실린더(30a)가 고정되도록 하고, 메인 구동실린더(30a)의 좌우 양측으로 한쌍의 서브 구동실린더(30b)가 배치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구동실린더(30a)는 도 2에서와 같이 지지베이스(40)에 일단부가 핀결합된 상태에서 내측 날개편(21)의 개방 슬릿(211)을 통과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외측 날개편(21)의 내면에 핀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지지베이스(40)의 상부면 중앙부와 외측 날개편(21)의 내면에는 메인 구동실린더 연결브래킷(41)(21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구동실린더(30b)는 내측 날개편(21) 외면의 개방 슬릿(211) 양측 부위에 핀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지지베이스(40)의 상부면 좌우 양측 부위와 내측 날개편(21)의 외면에는 서브 구동실린더 연결브래킷(42)(213)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메인 구동실린더(30a)와 서브 구동실린더(30b)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메인 구동실린더(30a)와 서브 구동실린더(30b)가 모두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30)와 달리 메인 구동실린더(30a) 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서브 구동실린더(30b)를 대신하여 양단부가 지지베이스(40)와 내측 날개편(21)에 각각 핀결합되는 연결링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지지베이스(40)는 선체(10) 표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지베이스(40)의 일단부에 다관절 날개(20)가 핀결합되고, 지지베이스(40)의 상부면에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30)가 고정된다. 지지베이스(40) 회전시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30)는 지지베이스(40)와 서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지지베이스용 액추에이터(50)는 지지베이스(40)와 연결되어 지지베이스(40)의 회전을 유도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베이스용 액추에이터(50)는 도 4에서와 같이 지지베이스(40) 저면에 형성된 회전축(43)에 연결되는 구동모터(50a)로 이루어진다.
컨트롤러(90)는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30)와 지지베이스용 액추에이터(5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90)는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30)와 지지베이스용 액추에이터(50)의 구동을 제어하여 다관절 날개(20)가 설정된 움직임 패턴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90)는 복수개의 다관절 날개(20)를 통해 날아가는 새의 날개 움직임을 모사하는 등의 다양한 움직임 모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100)은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다관절 날개(20)에 고정되는 발광체(70)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발광체(70)는 설정패턴으로 발광하면서 선박(100)의 심미성을 증대시키고, 흥미의 유발을 도모하게 된다. 특히 복수개의 다관절 날개(20)가 모사하는 다양한 움직임과 더불어 발광체(70)가 발광함으로써 선박(100)의 심미성이 더욱 증대되고, 흥미가 더욱 유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발광체(70)는 다관절 날개(20)의 측면 라인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LED 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100)은 도 7에서와 같이 선체(10)에 설치되는 태양광 감지센서(80a)와 풍향 감지장치(80b)를 포함할 수 있는데, 태양광 감지센서(80a)는 태양광의 현재 방향을 검출하게 되는 센서이고, 풍향 감지장치(80b)는 현재 풍향을 검출하게 되는 장치이다. 풍향 감지장치(80b)로는 아날로그 풍향계나 디지털 풍향 감지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컨트롤러(90)는 태양광 감지센서(80a)와 풍향 감지장치(80b)로부터 전달되는 태양광의 현재 방향과 현재 풍향에 따라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30)와 지지베이스용 액추에이터(50)의 구동을 제어하여 태양광 발전효율이 최대화되는 동시에 바람에 의한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도록 다관절 날개(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100)은 서로 핀결합되는 복수개의 날개편(21)으로 이루어진 다관절 날개(20)가 유압실린더나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30)와 지지베이스용 액추에이터(50)의 구동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 패턴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심미성이 증대되고, 흥미가 유발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100)은 각종 관광선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100)은 다관절 날개(20)에 솔라셀(60)이 부착되어 태양광 발전으로 선박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선박의 전원공급체계가 좀더 합리화되는 한편, 태양광 감지센서(80a)와 풍향 감지장치(80b)를 구비하여 태양광의 현재 방향과 현재 풍향을 계측하면서 태양광의 현재 방향과 현재 풍향에 맞추어 다관절 날개의 위치가 최적제어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이 증대되고 바람에 의한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선체 11 : 탑습인원용 구조물
20 : 다관절 날개 21 : 날개편
211 : 개방 슬릿
212, 41 : 메인 구동실린더용 연결브래킷
213, 42 : 서브 구동실린더 연결브래킷
30 :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 30a : 메인 구동실린더
30b : 서브 구동실린더 40 : 지지베이스
43 : 회전축 50 : 지지베이스용 액추에이터
50a : 구동모터 60 : 솔라셀
70 : 발광체 80a : 태양광 감지센서
80b : 풍향 감지장치 90 : 컨트롤러
100 :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Claims (9)

  1. 수상에 배치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일측 표면에 배치 고정되고, 복수개의 날개편이 움직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날개편 표면에 솔라셀이 부착되며, 날개편은 평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핀결합되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인 다관절 날개와;
    상기 다관절 날개를 이루는 복수개의 날개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이동로드를 갖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다관절 날개와 연결되어 상기 다관절 날개를 이루는 날개편의 움직임을 유도하되, 서로 연결되는 내외측 날개편 중 외측 날개편에 핀결합되는 메인 이동로드를 갖는 메인 구동실린더와 내측 날개편에 핀결합되는 서브 이동로드를 갖는 서브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 및;
    상기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 날개편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 슬릿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구동실린더는 상기 내측 날개편의 개방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외측 날개편에 핀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서브 구동실린더는 상기 메인 구동실린더의 양측으로 한쌍이 배치되어 내측 날개편의 개방 슬릿 양측 부위에 각각 핀결합되는 것인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표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다관절 날개가 핀결합되며, 상기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가 고정되는 지지베이스와;
    상기 지지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베이스의 회전을 유도하게 되는 지지베이스용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일측 표면에 복수개의 다관절 날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정패턴으로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다관절 날개가 설정된 움직임 패턴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날개에 고정되고, 설정패턴으로 발광하게 되는 발광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태양광의 현재 방향을 검출하게 되는 태양광 감지센서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현재 풍향을 검출하게 되는 풍향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태양광 감지센서와 풍향 감지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태양광의 현재 방향과 현재 풍향에 따라 상기 다관절 날개용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태양광 발전효율이 최대화되는 동시에 바람에 의한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다관절 날개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KR1020140184284A 2014-12-19 2014-12-19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KR101707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284A KR101707628B1 (ko) 2014-12-19 2014-12-19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284A KR101707628B1 (ko) 2014-12-19 2014-12-19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966A KR20160074966A (ko) 2016-06-29
KR101707628B1 true KR101707628B1 (ko) 2017-02-17

Family

ID=5636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284A KR101707628B1 (ko) 2014-12-19 2014-12-19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2658A (zh) * 2017-01-05 2017-05-24 上海佳豪船海工程研究设计有限公司 一种汽车滚装船的供电系统及供电方法
CN109292050A (zh) * 2018-11-30 2019-02-01 河北工业大学 一种多自由度太阳能跟踪智能除污船
KR102262960B1 (ko) * 2019-08-30 2021-06-10 강미나 노후선체를 활용한 전력공급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830B1 (ko) * 2010-11-02 2011-05-06 이한규 태양발전 조명장치를 구비한 버스 승강장
WO2012057178A1 (ja) * 2010-10-26 2012-05-03 エコマリンパワー株式会社 船舶用パワーモジュール及び同船舶用パワーモジュールを具備する風力推進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805A (ko) * 2010-04-12 2011-10-19 초이 넬슨 낙선 태양광 추적장치
KR101391337B1 (ko) * 2012-07-20 2014-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측 쇄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462248B1 (ko) 2012-12-05 2014-12-02 이성종 접이식 태양전지 시트 장착형 선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178A1 (ja) * 2010-10-26 2012-05-03 エコマリンパワー株式会社 船舶用パワーモジュール及び同船舶用パワーモジュールを具備する風力推進船
KR101032830B1 (ko) * 2010-11-02 2011-05-06 이한규 태양발전 조명장치를 구비한 버스 승강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966A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628B1 (ko)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JP6346185B2 (ja) 拡開剛性翼
CN106494579B (zh) 一种无人驾驶太阳能渔业辅助三体船
KR101740365B1 (ko) 자연 동력을 이용한 가변형 트리마란 보트
ES2554877B1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propulsión vélica para barcos y remolcadores
CN209972716U (zh) 一种用于双体船的太阳能帆板结构
CN109436255A (zh) 一种水下长距离隧洞检测机器人
KR20180004449A (ko) 바람에 의한 외력 운항 및 쏠라셀 발전에 의한 자가 운행이 가능한 하드 세일링 요트
AU20162646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ergy conversion from a flow of fluid
CN205316217U (zh) 一种太阳能组件可旋转的驱鸟航标灯
KR101687399B1 (ko) 선박용 하이브리드 충전 장치
KR200478489Y1 (ko) 태양력과 풍력을 이용한 레저용 선박
KR101426143B1 (ko)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솔라 세일 추진 시스템
JP4841505B2 (ja) 集魚灯装置
CN109795660A (zh) 一种波浪驱动装置
EP3480452B1 (en) Floating installation for utilizing wave energy and autonomous catamaran with such an installation
KR101636333B1 (ko) 선박 후미용 돛 장치
KR20120111270A (ko) 풍력을 이용한 선박
KR101398784B1 (ko) 태양력과 풍력을 이용하는 레저용 선박
ES2939308T3 (es) Sistema fotovoltaico integrado instalable en embarcaciones de recreo
KR20140100269A (ko) 풍력발전기 및 풍력발전기의 운용방법
US11757401B2 (en) Solar boat with adjustable angle of solar panel
CN107953981B (zh) 一种串联式混合动力变翼型仿生机械鱼式潜航器
KR101714508B1 (ko) 풍력발전기 조립체 고박장치
KR101863825B1 (ko) 추력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