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137B1 - 가공물 자동획득 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물 자동획득 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137B1
KR101707137B1 KR1020160073034A KR20160073034A KR101707137B1 KR 101707137 B1 KR101707137 B1 KR 101707137B1 KR 1020160073034 A KR1020160073034 A KR 1020160073034A KR 20160073034 A KR20160073034 A KR 20160073034A KR 101707137 B1 KR101707137 B1 KR 101707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piece
upper mold
predetermined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석
선용진
박상훈
박상욱
Original Assignee
박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석 filed Critical 박진석
Priority to KR1020160073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4Control arrangements for mechanically-driven presses

Abstract

본 발명은, 타발 장치에 있어서, 투입되는 가공소재를 일정 주기로 타발하여, 소정형상의 가공품으로 타발하기 위한 프레스부; 상기 프레스부 상에 타발된 상기 가공품을 수거하기 위한 제1획득부; 및 상기 프레스부 및 상기 제1획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특정 동작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스부는 회전운동의 직선왕복운동으로의 전환에 기반하여, 상기 가공소재를 상기 가공품으로 타발하는 가공물 자동획득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타발을 위한 프레스 공정의 간편하고 효율적인 자동화 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가공물 자동획득 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Punch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acquisition means}
본 발명은, 가공물 자동획득 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스 가공 작업을 무인 자동화 시켜 인명 피해를 방지하고, 동시에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공물 자동획득 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는 2개 이상의 쌍을 이룬 공구를 사용하여 그들 공구 사이에 가공재를 놓고 공구에 관계 운동을 하게 하여 공구에 의해 가공재에 강한 힘을 가함으로써 성형 및 기타 가공을 하는 기계이며, 또 공구 사이에 발생하는 힘의 반력을 기계 자체로 지탱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기계이다.
프레스 가공에 있어서, 프레스에서 가공된 가공물을 수거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항시 프레스에 인접하여 프레스 가공된 가공품을 직접 수거해야만 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부주의 할 경우, 프레스로 인한 신체 부상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의를 기울인다 하더라도, 프레스의 상태 이상으로 불가항력적인 사고가 발생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프레스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프레스 타발 가공이 수행되는 사업장에서는 인명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레스는 일정한 주기로 지속 반복적인 동작을 수행하는데 비하여, 프레스로부터 가공품을 수거하는 작업자의 경우 주의력과 체력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품 획득을 통한 가공품 포장과 후가공 등을 위한 작업 작업 효율성이 작업자들 각각에 의하여 유동적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프레스 가공이 수행되는 사업장 라인에서 안전하고 작업 효율성이 높은 프레스 운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4337호
본 발명은, 프레스 가공 작업을 무인 자동화 시켜 인명 피해를 방지하고, 동시에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공물 자동획득 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타발 장치에 있어서, 투입되는 가공소재를 일정 주기로 타발하여, 소정형상의 가공품으로 타발하기 위한 프레스부; 상기 프레스부 상에 타발된 상기 가공품을 수거하기 위한 제1획득부; 및 상기 프레스부 및 상기 제1획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특정 동작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스부는 회전운동의 직선왕복운동으로의 전환에 기반하여, 상기 가공소재를 상기 가공품으로 타발하는 가공물 자동획득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자동획득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레스 가공을 무인 자동화 시켜, 프레스 가공 시 작업자 부주의 또는 프레스 고장 등으로 인하여 인명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둘째, 프레스 가공 시, 가공품 획득과, 후처리 공정 진행 상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타발을 위한 프레스 공정의 간편하고 효율적인 자동화 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발 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타발 시스템의 구성들을 프레스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타발 시스템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 내 도 10은 도 1에 따른 타발 시스템의 타발 동작과 프레스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타발 시스템의 제어부가 기준점의 위치에 따라 프레스부와 제1획득부를 제어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도 1에 따른 프레스부로부터 제1회수부로 가공품을 회수하는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따른 프레스부로부터 가공품이 타발된 가공소재를 회수하는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따른 타발 시스템의 구성들 중 타발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따른 타발 시스템의 구성들 중 타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공물 자동획득수단이 구비된 타발 시스템>
상기 타발 시스템(100)은, 투입부(140), 프레스부(110), 제1획득부(120), 회전 감지부(130), 제어부(135), 제2획득부(150), 제1회수부(160), 제2회수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입력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스부(110)는 구동파트(111), 하부금형(1151), 상부금형(1152)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 참조)
상기 투입부(140)는 가공품(P)을 획득하기 위한 가공전의 원단에 해당되는 가공소재(M)를 후공정으로 투입한다. 이러한 상기 투입부(140)는 상기 가공소재(M)가 권취된 권취롤(R)로부터 상기 가공소재(M)를 공급 받는다. (도 1 내지 도 2 참조)
상기 가공소재(M)는 링형으로 일정하게 권취되며, 풀려지면서 상기 투입부(140)로부터 후공정으로 투입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투입부(140)는 링형 두루마리로 권취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투입부(140)로부터 후공정에 이르기까지 상기 가공소재(M)의 투입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가공소재(M)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미도시)과, 상기 가공소재(M)를 후공정을 향하여 이송 진행시키기 위한 진행 수단(미도시) 등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부(110)는 투입되는 가공소재(M)를 일정 주기로 타발하여, 소정형상의 가공품(P)으로 타발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부(110)는 회전운동의 직선왕복운동으로의 전환에 기반하여, 상기 가공소재(M)를 상기 가공품(P)으로 타발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스부(110)의 상기 구동파트(111)는 소정의 기준축 상에서 일측이 결속되어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구동파트(111)의 타측은 직선왕복 운동을 한다. 상기 기준축은 일정한 틀이나 몸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축의 일부가 편심 형성된다. 상기 축의 편심 형성부분으로는 상기 구동파트(111)의 일측이 결속된다. (도 1 내지 도 3 참조)
상기 하부금형(1151)은 투입되는 상기 가공소재(M)가 거치되며, 상기 상부금형(1152)은 상기 하부금형(1151)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구동파트(111)에 연동되어 상기 하부금형(1151) 상에 거치된 상기 가공소재(M)를 가압하여 타발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1152)은 상기 구동파트(111)의 타측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속된다. (도 3 내지 도 8 참조)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1152)의 상기 타발유닛(1131)은 상기 하부금형(1151) 상에 거치된 상기 가공소재(M)를 타발하기 위한 칼날에 해당한다. 상기 가공품(P)은 상기 타발유닛(1131)에 의하여 상기 가공소재(M)로부터 특정형상으로 타발된다. (도 9 참조)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상부금형(1152)이 상기 가공소재(M)로부터 상기 가공품(P)을 타발하면, 상기 상부금형(1152)이 타발된 상기 가공품(P)을 획득한 채, 상기 하부금형(1151)으로부터 승강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제1획득부(120)가 상기 상부금형(1152)의 하부에 위치되면, 상기 상부금형(1152)으로부터 상기 가공품(P)이 분리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10 참조)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가공소재(M)의 투입 내지 회수를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상기 타발 시스템(100)에서 상기 제어부(135)가 상기 프레스부(110)와 상기 제1획득부(12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함을 설명하기 위해, 우선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회전축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파트(111)의 일측 상에 가상 또는 실제의 기준적을 임의로 설정한 것을 가정한다. 상기 기준점은 가상의 원주영역(S)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며, 바람직하게는 수직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원주영역 역시 수직원주영역이 된다. (도 1 및 도 10 참조)
상기 회전 감지부(130)는 설정된 상기 기준점이 기 설정된 설정각도(C1, C2, C3, C4)에 이르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구동파트(111) 일측의 회전상태를 파악한다. 즉,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회전 감지부(130)를 통해, 상기 제어부(135)가 상기 기준점이 상기 설정각도(C1, C2, C3, C4)에 이른 것을 파악하고, 상기 프레스부(110) 및 상기 제1획득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동작으로 제어한다. (도 4 내지 도 11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기준점이 상기 원주영역(S) 상에서 소정의 제1각도(C1)에 이르는 경우, 상기 제1획득부(120)를 상기 하부금형(1151)과 상기 상부금형(1152) 사이, 즉 상기 상부금형(1152)의 하부로 진입시키기 위한 제1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 11 참조)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기준점이 상기 원주영역(S) 상에서 소정의 제2각도(C2)에 이르는 경우, 상기 상부금형(1152)이 타발된 상기 가공품(P)을 획득한 채 상기 하부금형(1151)으로부터 상승되도록 하기 위한 제2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 11 참조)
상기 가공품(P)은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금형(1152)이 상기 하부금형(1151)으로부터 상승된 이후, 상기 상부금형(1152)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도 10 참조)
여기서, 상기 제1제어신호는 상기 상부금형(1152)이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하부금형(1151)으로부터 승강 된 이후에, 상기 제1획득부(120)를 상기 하부금형(1151)과 상기 상부금형(1152) 사이로 진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기 제1획득부(120)의 진퇴 동작에 따른 딜레이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135)에서 상기 제1제어신호를 미리 생성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 참조)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기준점이 상기 원주영역(S) 상에서 소정의 제3각도(C3)에 이르는 경우, 상기 상부금형(1152)을 한차례 더 상승시켜 상기 가공품(P)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기 상부금형(115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제3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 8 및 도 11 참조)
아울러,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제1획득부(120)가 상기 상부금형(1152)에 대하여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대응하여 상승되도록 제4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획득부(120)가 상기 상부금형(1152)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가공품(P)을 획득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11 참조)
상기 제4제어신호는 상기 제1획득부(120)가 상기 가공품(P)을 획득한 뒤, 상기 프레스부(110)로부터 후퇴하여 후 공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제2획득부(150)는 후퇴되는 상기 제1획득부(120)로부터 상기 가공품(P)들을 2차 회수하여, 상기 제1회수부(160)로 이송시킨다. (도 12 내지 도 16 참조)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2획득부(150)는 상기 제1획득부(120)가 타발된 상기 가공품(P)을 획득하여 상기 프레스부(110)로부터 일정 위치까지 후진하여 대기되면, 상기 제2획득부(150)가 상기 제1획득부(120) 상의 상기 가공품(P)을 획득하여 후공정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5 참조)
상기 제1회수부(160)는 회수된 상기 가공품(P)들을 일정 묶음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회수부(160)의 상기 안착부(161)에는 소정의 포장원단(V)이 전방을 따라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61)는 상면이 어느 점도의 점착성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가공품(P)이 상기 제2획득부(150)에 의하여 상기 제1안착부(161)의 상기 원단 상에 이송된 뒤에도, 유동으로 인한 흐트러짐이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권취부(163)는 상기 제2획득부(150)에 의하여 상기 가공품(P)이 안착된 상기 원단을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시킨다. (도 16 참조)
상기 제2회수부(170)는 상기 프레스부(110)로부터 상기 가공품(P)이 타발된 상기 가공소재(M)를 회수한다. 상기 제2회수부(170)는 상기 가공품(P)이 타발된 상기 가공소재(M)를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하여 회수한다. (도 17 참조)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는 상기 회전 감지부(130)를 통해 파악된 상기 회전상태를 출력한다. 즉, 상기 기준점이 가상의 원주영역(S) 내에서 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와 대응되도록 출력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가공소재(M) 프레스 시, 용이한 동작 여부 파악과 각종 고장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3 참조)
상기 입력부(190)는 상기 프레스부(110)와 상기 제1획득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부(190)(190)는 물리적인 버튼 조작수단과 정전용량방식 등의 터치스크린 방식 조작수단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3 참조)
< 타발 금형 모듈>
타발 금형 모듈(115)은 하부금형(1151), 상부금형(1152), 제어부(135), 제1획득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금형(1151)은 타발유닛(1151a)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금형(1152)은 가압유닛(1152a)을 포함한다. (도 18 참조)
상기 하부금형(1151)은 투입되는 가공소재(M)가 거치되며, 상방과 하방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가공소재(M)를 소정형상으로 타발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금형(1151)의 상기 타발유닛(1151a)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금형(1151)으로부터 상기 가공소재(M)의 저면을 향하여 상방으로 상승하여, 상기 가공소재(M)를 타발한다. (도 4, 도 5 및 도 9 참조)
상기 상부금형(1152)은 상기 하부금형(1151)이 유동되도록 상기 하부금형(1151)을 가압하여, 상기 가공소재(M)가 타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1152)에는 상기 타발유닛(1151a)에 의하여 상기 가공소재(M)로부터 타발된 가공품(P)이 수용되는 수용홈(1152H)이 형성된다. (도 4, 도 5 및 도 9 참조)
상기 가압유닛(1152a)은 상기 상부금형(1152)이 상기 하부금형(1151)을 가압 시, 상기 수용홈(1152H) 내부로부터 상기 가공소재(M) 상면으로 하강하여, 상기 가공소재(M)를 가압한다. 상기 가공소재(M)는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상기 가공소재(M)가 박판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타발유닛(1151a)만의 단독 동작으로 가공 시, 박판인 상기 가공소재(M)가 울게 되어 그 형상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유닛(1152a)으로 상기 타발유닛(1151a)과 대응하여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가공소재(M)를 가압해줌으로써 박판인 가공소재(M)에 의도하지 않은 형상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 참조)
상기 타발유닛(1151a)과 상기 가압유닛(1152a)에 의하여 상기 가공소재(M)가 타발되면, 상기 가압유닛(1152a)은, 타발된 상기 가공품(P)이 상기 수용홈(1152H) 상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35)의 제어 하에, 상기 수용홈(1152H)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유동되는 제1동작을 수행한다. (도 9 참조)
여기서, 상기 가압유닛(1152a)은 상기 수용홈(1152H)이 상기 가공품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152H)의 본래 내부 깊이보다 깊이 후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획득부(120)는 상기 하부금형(1151)과 상기 상부금형(1152)에 의하여 타발된 상기 가공품(P)을 획득한다. 상기 제1획득부(120)는 상기 제어부(135)의 제어 하에 상기 수용홈(1152H)으로부터 상기 가공품(P)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금형(1151)의 하부로 진입된다. (도 10 참조)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제1동작 이후에, 상기 제1획득부(120)를 상기 상부금형(1152)의 하부에 진입시키고, 상기 가압유닛(1152a)을 상방 유동시켜 상기 수용홈(1152H)으로부터 상기 가공품(P)이 탈거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8 참조)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제1획득부(120)를 상방 유동시켜 상기 제1획득부(120)가 상기 수용홈(1152H)으로부터 탈거되는 상기 가공품(P)을 획득하도록 하되, 상기 가압유닛(1152a)과 상기 제1획득부(120)가 상호간에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상방 유동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8 참조)
여기서,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수용홈(1152H)으로부터 상기 가공품(P)이 탈거되도록 상기 가압유닛(1152a)을 상기 수용홈(1152H)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유동시키는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공물 자동획득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
타발 장치(10)는 프레스부(110), 제1획득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스부(110)는 구동파트(111), 하부금형(1151), 상부금형(1152), 제어부(135)를 포함한다. (도 19 참조)
여기서, 상기 프레스부(110)는 투입되는 가공소재(M)를 일정 주기로 타발하여, 소정형상의 가공품(P)으로 타발하며, 상기 제1획득부(120)는 상기 프레스부(110) 상에 타발된 상기 가공품(P)을 회수한다. (도 4 내지 도 8 참조)
상기 프레스부(110)에서 상기 구동파트(111)는 편심부가 형성 되어 회전하는 소정의 기준축 상에 일측이 결속되어 일정 반경으로 회전운동을 하고, 타측으로는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도 3 참조)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프레스부(110) 및 상기 제1획득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특정 동작으로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135)의 제어 하에, 상기 프레스부(110)는 회전운동의 직선왕복운동으로의 전환에 기반하여, 상기 가공소재(M)를 상기 가공품(P)으로 타발한다. (도 3 내지 도 8 참조)
상기 하부금형(1151)은 투입되는 상기 가공소재(M)가 거치되며, 상기 상부금형(1152)은 상기 구동파트(111)에 연동되어, 상기 하부금형(1151) 상에 거치된 상기 가공소재(M)를 가압하여 타발한다. (도 4 내지 도 8 참조)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회전축에 대응하는 가상 또는 실제의 기준점(예: 상기 구동파트 상)을 임의로 설정했을 때, 상기 회전 감지부(130)는 설정된 상기 기준점이 기 설정된 설정각도(C1, C2, C3, C4)에 이르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구동파트(111) 일측의 회전상태를 파악한다. (도 3, 도 11 참조)
여기서, 상기 기준점은 가상의 원주영역(S)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기준점이 상기 설정각도(C1, C2, C3, C4)에 순차적으로 이르면, 상기 프레스부(110) 및 상기 제1획득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동작으로 제어한다. (도 4 내지 도 11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기준점이 상기 원주영역 상에서 소정의 제1각도(C1)에 이르는 경우, 상기 제1획득부(120)를 상기 하부금형(1151)과 상기 상부금형(1152) 사이로 진입시키기 위한 제1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 6, 도 7 및 도 11 참조)
이러한,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기준점이 상기 원주영역(S) 상에서 소정의 제2각도(C2)에 이르는 경우, 상기 상부금형(1152)이 타발된 상기 가공품(P)을 획득한 채 상기 하부금형(1151)으로부터 상승되도록 하기 위한 제2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 6 및 도 11 참조)
따라서, 상기 제1획득부(120)는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금형(1152)이 상기 하부금형(1151)으로부터 상승된 이후, 상기 제1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상부금형(1152)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가공품(P)을 획득하도록, 상기 하부금형(1151)과 상기 상부금형(1152) 사이로 진입한다. (도 6 내지 도 7 참조)
아울러,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기준점이 상기 원주영역(S) 상에서 소정의 제3각도(C3)에 이르는 경우, 상기 상부금형(1152)을 한차례 더 상승시켜 상기 가공품(P)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제3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획득부(120)는 상기 상부금형(1152)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가공품(P)을 획득한다. (도 8 및 도 11 참조)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기준점이 상기 원주영역(S) 상에서 소정의 제3각도(C3)에 이르는 경우, 상기 상부금형(1152)을 한차례 더 상승시켜 상기 가공품(P)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기 상부금형(115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제3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 8 및 도 11 참조)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제1획득부(120)가 상기 상부금형(1152)에 대하여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대응하여 상승되도록 제4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획득부(120)가 상기 상부금형(1152)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가공품(P)을 획득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11)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프레스부
111 : 구동파트
1151 : 하부금형
1152 : 상부금형
120 : 제1획득부
130 : 회전 감지부
135 : 제어부
140 : 투입부
150 : 제2획득부
160 : 제1회수부
161 : 안착부
162 : 제2가이드부
163 : 제1권취부
170 : 제2회수부
171 : 제3가이드부
172 : 제2권취부
180 : 디스플레이부
190 : 입력부
M : 가공소재
P : 가공품
V : 포장원단

Claims (7)

  1. 타발 장치에 있어서,
    투입되는 가공소재를 일정 주기로 타발하여, 소정형상의 가공품으로 타발하기 위한 프레스부; 상기 프레스부 상에 타발된 상기 가공품을 수거하기 위한 제1획득부; 및 상기 프레스부 및 상기 제1획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특정 동작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스부는 회전운동의 직선왕복운동으로의 전환에 기반하여, 상기 가공소재를 상기 가공품으로 타발하되, 상기 프레스부는 편심부가 형성 되어 회전하는 소정의 회전축 상에 일측이 결속되어 일정 반경으로 회전운동을 하고, 타측으로는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구동파트와, 투입되는 상기 가공소재가 거치하기 위한 하부금형과, 상기 구동파트에 연동되어, 상기 하부금형 상에 거치된 상기 가공소재를 가압하여 타발하기 위한 상부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회전축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파트 일측에 가상 또는 실제의 기준점을 임의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기준점이 기 설정된 설정각도에 이르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구동파트 일측의 회전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회전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점이 상기 설정각도에 이르면, 상기 프레스부 및 상기 제1획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동작으로 제어하며, 상기 기준점은 가상의 원주영역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점이 상기 원주영역 상에서 소정의 제1각도에 이르는 경우, 상기 제1획득부를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사이로 진입시키기 위한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기준점이 상기 원주영역 상에서 소정의 제2각도에 이르는 경우, 상기 상부금형이 타발된 상기 가공품을 획득한 채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상승되도록 하기 위한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획득부는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금형이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상승된 이후, 상기 제1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상부금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가공품을 획득하도록,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사이로 진입하는 가공물 자동획득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점이 상기 원주영역 상에서 소정의 제3각도에 이르는 경우, 상기 상부금형을 한차례 더 상승시켜 상기 가공품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제3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획득부는 상기 상부금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가공품을 획득하는 가공물 자동획득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60073034A 2016-06-13 2016-06-13 가공물 자동획득 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 KR101707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34A KR101707137B1 (ko) 2016-06-13 2016-06-13 가공물 자동획득 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34A KR101707137B1 (ko) 2016-06-13 2016-06-13 가공물 자동획득 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137B1 true KR101707137B1 (ko) 2017-02-16

Family

ID=5826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034A KR101707137B1 (ko) 2016-06-13 2016-06-13 가공물 자동획득 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1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376A (ja) * 1993-08-26 1995-03-07 Toshiba Corp 回転電機用鉄心抜板の打抜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40064337A (ko) 2012-11-20 2014-05-28 전종선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
KR20160022112A (ko) * 2014-08-19 2016-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프레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프레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376A (ja) * 1993-08-26 1995-03-07 Toshiba Corp 回転電機用鉄心抜板の打抜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40064337A (ko) 2012-11-20 2014-05-28 전종선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
KR20160022112A (ko) * 2014-08-19 2016-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프레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프레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35362U (zh) 一种多工位冲压模具生产线
CN108188251A (zh) 一种圆环板五金件自动冲压加工装置
KR100805282B1 (ko) 금형 이동식 프레스의 절단품 자동 분류 수집 장치 및 그제어방법
CN108065484B (zh) 一种全自动冲孔铆扣机
CN102514926A (zh) 供料机
CN104056992B (zh) 一种便于脱模的冲压机
CN107186114A (zh) 一种电饭锅底托全自动生产线
CN105772713A (zh) 一种精整机上料装置
KR101707137B1 (ko) 가공물 자동획득 수단이 구비된 타발 장치
KR101807473B1 (ko) 가공물 자동획득 수단이 구비된 타발 시스템
CN104959443B (zh) 自动切边机的自动送料和自动抓料装置
KR101726748B1 (ko) 타발 금형 모듈
CN207534349U (zh) 金属板打孔切割一体化装置
JP6328957B2 (ja) プレス機器の金型管理方法及び金型管理装置
CN206382462U (zh) 一种转盘包扣机
CN108891904A (zh) 一种自动翻箱设备及方法
CN107019273A (zh) 一种全自动塑料手套撕边装置及其工作方法
CN211276137U (zh) 一种冲床连续模具
CN106734721A (zh) 一种转盘包扣机
CN108098853A (zh) Tpv产品自动冲切机及其冲切方法
CN210161428U (zh) 一种墙体打孔的手握式打孔机
CN109773003B (zh) 一种冲压模具
CN206275220U (zh) 一种全自动冲孔铆扣机
CN107984230A (zh) 一种平板材料加工设备
CN205324530U (zh) 自动化冲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