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428B1 -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428B1
KR101706428B1 KR1020140166506A KR20140166506A KR101706428B1 KR 101706428 B1 KR101706428 B1 KR 101706428B1 KR 1020140166506 A KR1020140166506 A KR 1020140166506A KR 20140166506 A KR20140166506 A KR 20140166506A KR 101706428 B1 KR101706428 B1 KR 101706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arrel
shaft
carriage
s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033A (ko
Inventor
전상배
백용기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4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5/00Elevating or traversing control systems for guns
    • F41G5/06Elevating or traversing control systems for guns using electric means for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41A27/22Traversing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41A27/24Elevating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28Electrically-operated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00Power plants
    • Y10S60/911Fluid motor system incorporating electrica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tarder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포열과 주퇴복좌기와 브라켓을 포함하는 포신과, 상기 포신을 지지하는 포가와, 상기 포신의 선회조절을 위한 선회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화포의 선회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열은, 포신과 상기 포신의 후미에 설치되는 포미로 구성되고, 상기 주퇴복좌기에는 브라켓의 측면으로 결합된 아크기어와 함께 상기 포가의 고각지지부 상단에 지지되며, 상기 포가는, 플레이트 상에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구동장치는, 상기 선회지지부의 내측에 일체로 설치된 제1링기어와, 외부 동력이 전달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를 관통하여 맞물리는 선기어축과, 상기 선기어축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선기어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외주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링기어와, 상기 제2링기어와 축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외치가 상기 제1링기어의 내치와 결합되는 선회구동피니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의 선회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높은 기어비로서 정밀한 선회구동이 가능하여 사격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ION/REVOLUTION OF CANNON}
본 발명은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화포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포는, 포열과 주퇴복좌기를 포함하는 포신(C)과, 포신(C)의 고각조절을 위한 고각조절장치와, 포신(C)의 선회조절을 위한 선회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각조절장치는 고각수동핸들(204)를 구동시키면 핸들축과 연결된 윔기어(200)가 이와 맞물려 있는 웜휠(201)을 돌리게 된다. 이때 웜휠(201)과 연결된 구동피니언(202)이 작동하게 되고 이와 맞물려 있는 아크기어(203)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포가(212)에 조립되어 있는 포신(C)의 고각이 조절된다.
한편, 선회구동장치는 선회수동핸들(214)을 구동시키면 하부포가(211, 지면에 구속됨)와 연결된 스크류 볼트(210)가 상부포가(212, 지면에 비구속됨)와 연결되어 있는 스크류 너트(213)를 밀거나 당겨서 포신(C)의 선회구동을 가능케 한다.
그런데, 종래의 고각조절장치 및 선회구동장치에 의하면, 높은 기어비를 구현할 수 없어서 정밀한 고각구동 및 선회가 불가능하여 사격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높은 기어비로서 화포의 정밀한 고각구동 및 선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열(51)과 주퇴복좌기(52)와 브라켓(53)을 포함하는 포신(50)과, 상기 포신(50)을 지지하는 포가(70)와, 상기 포신(50)의 선회조절을 위한 선회구동장치(100)를 포함하는 화포의 선회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열(51)은, 포신(51-1)과 상기 포신(51-1)의 후미에 설치되는 포미(51-2)로 구성되고, 상기 주퇴복좌기(52)에는 브라켓(53)의 측면으로 결합된 아크기어(53-1)와 함께 상기 포가(70)의 고각지지부(71) 상단(71-1)에 지지되며,
상기 포가(70)는, 플레이트(P) 상에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지지부(72)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구동장치(100)는, 상기 선회지지부(72)의 내측에 일체로 설치된 제1링기어(102)와, 외부 동력이 전달되는 제1기어(112)와, 상기 제1기어(112)를 관통하여 맞물리는 선기어축(113)과, 상기 선기어축(113)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선기어축(11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캐리어(109)와, 상기 캐리어(109)의 외주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링기어(108)와, 상기 제2링기어(108)와 축(103-1)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외치가 상기 제1링기어(102)의 내치와 결합되는 선회구동피니언(10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동력은,
모터구동피니언(107)과 축 연결되는 선회구동모터(10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구동피니언(107)은,
제2기어(110) 및 상기 제2기어(110)와 그 일단이 연결된 구동축(111)의 타단을 통해 상기 제1기어(112)로 전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포열(51)과 주퇴복좌기(52)와 브라켓(53)을 포함하는 포신(50)과, 상기 포신(50)을 지지하는 포가(70)와, 상기 포신(50)의 고각조절을 위한 고각조절장치(150)를 포함하는 화포의 고각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열(51)은, 포신(51-1)과 상기 포신(51-1)의 후미에 설치되는 포미(51-2)로 구성되고, 상기 주퇴복좌기(52)에는 브라켓(53)의 측면으로 결합된 아크기어(53-1)와 함께 상기 포가(70)의 고각지지부(71) 상단(71-1)에 지지되며,
상기 포가(70)는, 상기 브라켓(53)을 지지하는 상기 고각지지부(71)가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고각조절장치(150)는, 상기 아크기어(53-1)가 상단에 맞물림되게 되어 상기 아크기어(53-1)를 회전시키는 고각구동피니언(151)과, 외부 동력이 전달되는 제1기어(155)와, 외치가 상기 제1기어(155)의 외치와 맞물리는 제2기어(158)와, 상기 제2기어(158)를 관통하여 맞물리는 선기어축(157)과, 상기 선기어축(157)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선기어축(157)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캐리어(159)와, 상기 캐리어(159)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고각구동피니언(151)과 축(151-1) 결합되는 링기어(1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동력은,
모터구동피니언(154)과 축 연결되는 고각구동모터(15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구동피니언(154)은,
제1기어(155)를 통해 제2기어(158)로 전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에 의하면, 높은 기어비로서 정밀한 선회구동 및 고각조절이 가능하여 사격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포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포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선회구동장치 및 고각조절장치를 자세히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선회구동장치의 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단면도 및
도 6은 도 3의 고각조절장치의 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형 화포는 포열(51)과 주퇴복좌기(52)와 브라켓(53)을 포함하는 포신(50)과, 상기 포신(50)을 지지하는 포가(70)와, 상기 포신(50)의 선회조절을 위한 선회구동장치(100)와, 상기 포신(50)의 고각조절을 위한 고각조절장치(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포열(51)은, 포신(51-1)과 상기 포신(51-1)의 후미에 설치되는 포미(51-2)로 구성되며, 상기 주퇴복좌기(52)에는 브라켓(53)의 측면으로 결합된 아크기어(53-1)와 함께 상기 포가(70)의 고각지지부(71) 상단(71-1)에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포가(70)는, 상기 브라켓(53)을 지지하는 상기 고각지지부(71)가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며, 차량에 조립되는 플레이트(P) 상에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지지부(7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선회구동장치(100)는, 상기 선회지지부(72)의 내측에 일체로 설치된 제1링기어(102)와, 외부 동력이 전달되는 제1기어(112)와, 상기 제1기어(112)를 관통하여 맞물리는 선기어축(113)과, 상기 선기어축(113)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선기어축(11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캐리어(109)와, 상기 캐리어(109)의 외주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링기어(108)와, 상기 제2링기어(108)와 축(103-1)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외치가 상기 제1링기어(102)의 내치와 결합되는 선회구동피니언(10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구성들(제1기어(112), 제2링기어(108), 캐리어(109))은 하우징(101) 내부에 회전지지된다.
상기 외부 동력은, 전동방식의 선회구동모터(104)와 수동방식의 선회수동핸들(105)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선회구동모터(104)는, 모터구동피니언(107)과 축 연결되고, 상기 모터구동피니언(107)은 제2기어(110) 및 상기 제2기어(110)와 그 일단이 연결된 구동축(111)의 타단을 통해 상기 제1기어(112)로 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110)는 하우징(106) 내부에 회전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선회수동핸들(105)은, 상기 제2기어(110)와 맞물린 제1베벨기어(114)와, 일측으로 상기 제1베벨기어(114)와 맞물리며 타측으로 핸들축과 연동되는 제2베벨기어(115)로 구성되어 수동으로 상기 제2기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각조절장치(150)는, 상기 아크기어(53-1)가 상단에 맞물림되게 되어 상기 아크기어(53-1)를 회전시키는 고각구동피니언(151)과, 외부 동력이 전달되는 제1기어(155)와, 외치가 상기 제1기어(155)의 외치와 맞물리는 제2기어(158)와, 상기 제2기어(158)를 관통하여 맞물리는 선기어축(157)과, 상기 선기어축(157)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선기어축(157)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캐리어(159)와, 상기 캐리어(159)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고각구동피니언(151)과 축(151-1) 결합되는 링기어(16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구성들(제2기어(158), 캐리어(159), 링기어(160))은 하우징(161) 내부에 회전지지된다.
이때, 외부 동력은 전동방식의 고각구동모터(152)와 수동방식의 고각수동핸들(153)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고각구동모터(152)는, 모터구동피니언(154)과 축 연결되고, 상기 모터구동피니언(154)은 제1기어(155)를 통해 제2기어(158)로 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110)는 하우징(162) 내부에 회전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각수동핸들(153)은, 핸들축과 연결되는 수동구동피니언(156)이 제1기어(155)와 연결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선회제어]...도 4 및 도 5 참조
1. 자동 선회 과정
선회구동모터(104)의 작동으로 모터구동피니언(107)이 회전하면, 모터구동피니언(107)와 맞물린 제2기어(110)가 회전하여 구동축(111)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구동축(111)은 제1기어(112)를 회전시키고, 제1기어(112)는 선기어축(113)을 구동하여 캐리어(109)를 회전시킨다.
이때 캐리어(109)는 제2링기어(108)를 회전시키고 제2링기어(108)와 연결된 선회구동피니언(103)이 제1링기어(102)를 구동케 함으로써 높은 기어비를 얻을수 있게 되어 높은 속도의 선회구동모터(104)를 감속시켜서 높은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2. 수동 선회 과정
운용자가 선회수동핸들(105)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 핸들축에 연결된 제2베벨기어(115)를 통해 제1베벨기어(114)가 회전하게 되고, 제1베벨기어(114)를 통해 구동축(111)과 맞물린 제1기어(112)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기어(112)는 선기어축(113)을 구동하여 캐리어(109)를 회전시키며, 캐리어(109)는 제2링기어(108)를 회전시키고 제2링기어(108)와 연결된 선회구동피니언(103)이 제1링기어(102)를 구동케 함으로써 선회지지부(72)가 회전하게 된다.
[고각제어]...도 6 참조
1. 자동 선회 과정
고각구동모터(152)의 작동으로 모터구동피니언(154)이 회전하면, 모터구동피니언(154)와 맞물린 제1기어(155)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기어(155)와 맞물린 제2기어(158)가 회전하게 되고, 제2기어(158)는 선기어축(157)을 구동하여 캐리어(159)를 회전시킨다.
이때 캐리어(159)는 링기어(160)를 회전시키고 링기어(160)와 연결된 고각구동피니언(151)이 아크기어(53-1)를 구동시키게 된다.
2. 수동 선회 과정
고각수동핸들(153)의 핸들축과 연결된 수동구동피니언(156)이 제1기어(155)와 연결되어 제2기어(158)를 회전시키면, 제2기어(158)에 결합된 선기어축(157)이 캐리어(159)를 구동시키고, 캐리어(159)의 구동력은 고각구동피니언(151)으로 전달되어 아크기어(53-1)를 구동시킴으로써 포신(50)의 고각이 조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에 의하면, 높은 기어비로서 정밀한 선회구동 및 고각조절이 가능하여 사격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포열(51)과 주퇴복좌기(52)와 브라켓(53)을 포함하는 포신(50)과, 상기 포신(50)을 지지하는 포가(70)와, 상기 포신(50)의 선회조절을 위한 선회구동장치(100)를 포함하는 화포의 선회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열(51)은, 포신(51-1)과 상기 포신(51-1)의 후미에 설치되는 포미(51-2)로 구성되고, 상기 주퇴복좌기(52)에는 브라켓(53)의 측면으로 결합된 아크기어(53-1)와 함께 상기 포가(70)의 고각지지부(71) 상단(71-1)에 지지되며,
    상기 포가(70)는, 플레이트(P) 상에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지지부(72)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구동장치(100)는, 상기 선회지지부(72)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1링기어(102)와, 외부 동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112)와, 상기 제1기어(112)를 관통하여 맞물리는 선기어축(113)과, 상기 선기어축(113)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선기어축(11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캐리어(109)와, 상기 캐리어(109)의 외주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링기어(108)와, 상기 제2링기어(108)와 축(103-1)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외치가 상기 제1링기어(102)의 내치와 결합되는 선회구동피니언(10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의 선회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동력은,
    모터구동피니언(107)과 축 연결되는 선회구동모터(1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의 선회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피니언(107)은,
    제2기어(110) 및 상기 제2기어(110)와 그 일단이 연결된 구동축(111)의 타단을 통해 상기 제1기어(112)로 전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의 선회제어장치.
  4. 포열(51)과 주퇴복좌기(52)와 브라켓(53)을 포함하는 포신(50)과, 상기 포신(50)을 지지하는 포가(70)와, 상기 포신(50)의 고각조절을 위한 고각조절장치(150)를 포함하는 화포의 고각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열(51)은, 포신(51-1)과 상기 포신(51-1)의 후미에 설치되는 포미(51-2)로 구성되고, 상기 주퇴복좌기(52)에는 브라켓(53)의 측면으로 결합된 아크기어(53-1)와 함께 상기 포가(70)의 고각지지부(71) 상단(71-1)에 지지되며,
    상기 포가(70)는, 상기 브라켓(53)을 지지하는 상기 고각지지부(71)가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고각조절장치(150)는, 상기 아크기어(53-1)가 상단에 맞물림되게 되어 상기 아크기어(53-1)를 회전시키는 고각구동피니언(151)과, 외부 동력이 전달되는 제1기어(155)와, 외치가 상기 제1기어(155)의 외치와 맞물리는 제2기어(158)와, 상기 제2기어(158)를 관통하여 맞물리는 선기어축(157)과, 상기 선기어축(157)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선기어축(157)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캐리어(159)와, 상기 캐리어(159)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고각구동피니언(151)과 축(151-1) 결합되는 링기어(1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의 고각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동력은,
    모터구동피니언(154)과 축 연결되는 고각구동모터(1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의 고각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피니언(154)은,
    제1기어(155)를 통해 제2기어(158)로 전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의 고각제어장치.
KR1020140166506A 2014-11-26 2014-11-26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 KR101706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506A KR101706428B1 (ko) 2014-11-26 2014-11-26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506A KR101706428B1 (ko) 2014-11-26 2014-11-26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033A KR20160063033A (ko) 2016-06-03
KR101706428B1 true KR101706428B1 (ko) 2017-02-14

Family

ID=5619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506A KR101706428B1 (ko) 2014-11-26 2014-11-26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0928A (zh) * 2019-01-17 2019-05-21 广州国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磁轨道技术用的电磁炮
KR102191850B1 (ko) * 2019-08-27 2020-12-17 엘아이지넥스원(주) 3축 각도 조절이 가능한 유도 무기 발사 장치
KR102517524B1 (ko) * 2021-08-20 2023-04-03 현대위아 주식회사 원격사격통제체계용 선회 및 고각 자동 잠금장치
CN114216361A (zh) * 2021-12-14 2022-03-22 西安昆仑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高射速火炮武器的准度校准装置
CN116175207A (zh) * 2023-03-16 2023-05-30 东莞市诚鲲五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角度加工滑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596Y1 (ko) * 1996-03-20 1998-12-15 배문한 포탑 구동장치
KR101081214B1 (ko) * 2009-02-24 2011-11-07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다목적 원격사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033A (ko) 2016-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428B1 (ko) 화포의 고각 및 선회제어장치
CA2823758C (en) Chain saw
WO2007055808A3 (en) Mechanism comprised of ultrasonic lead screw motor
MX2008003168A (es) Banco graduado.
FR3076120B1 (fr) Motoreducteur a encombrement reduit
WO2009019909A1 (ja) 舵角可変式ステアリング装置
CA2515261A1 (en) All position automatic welding head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4074930A (zh) 一种同轴单输入同侧双输出摆线减速器
CN106926997A (zh) 一种水下机器人用质心调节装置
CA2681279A1 (en) Outboard marine motor that allows a large steering angle
WO2013092989A3 (de) Werkzeuggerät mit einer vorrichtung zum schalten zwischen einer ersten und zweiten übersetzungsstufe durch drehrichtungsumkehr
US9919387B2 (en) Machining apparatus
US20170182647A1 (en) Power tool
EP1661791A3 (en) Variable steering angle mechanism for vehicle steering control apparatus
JP2018002050A5 (ko)
US7448295B2 (en) Tilting circular table device
CN107971843A (zh) 利用磨轮对具有内轮廓的工件进行研磨的研磨臂
WO2009069529A1 (ja) 変速装置
PL2150727T3 (pl) Zespół przekładni bezstopniowej
FR2993192A1 (fr) Dispositif de percussion pour machine-outil portative et machine-outil equipee d'un tel dispositif de percussion
US10253848B2 (en) Thrust balanced planetary gear assemblies
JP2018202511A5 (ko)
CN202156535U (zh) 船舶推进器的减速装置
CN102489742B (zh) 管道带压开孔机
JP5142305B1 (ja) テコの揺動により固定された傘歯車軸との間に発生する軸間距離変動を機械的に自動調整する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