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986B1 -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 Google Patents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986B1
KR101705986B1 KR1020150110867A KR20150110867A KR101705986B1 KR 101705986 B1 KR101705986 B1 KR 101705986B1 KR 1020150110867 A KR1020150110867 A KR 1020150110867A KR 20150110867 A KR20150110867 A KR 20150110867A KR 101705986 B1 KR101705986 B1 KR 101705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vision
guide body
gap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테크
Priority to KR1020150110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5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onveying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51/5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글라스와 오엘이디 셀 합착 시 접착층이 퍼지지 않아 합착되지 않은 오엘이디 셀의 모따기된 모서리영역과 윈도우 글라스 사이 틈에 접착제를 충진시켜 접착시키는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접착대상물의 일측 및 타측 모서리영역의 상부 및 어느 하나의 모서리영역의 측면을 촬영해 모서리영역 내부에 형성된 틈의 3차원 위치 및 형상정보를 검출하는 비전 헤드부를 가지는 틈 검출수단; 틈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기초하여 틈을 따라 접착제를 충진하는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을 가지는 접착제 충진수단; 및 상류장비에서 반입되는 접착대상물을 로딩하고 접착대상물을 틈 검출수단 및 접착제 충진수단 측으로 이송하는, 테이블 상에 하나, 또는 테이블 상에 Y축 방향으로 두 개 이상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로딩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ADHESIVE DEVICE FOR CORNER CUT OF OLED}
본 발명은 오엘이디 셀(OLED CELL) 코너컷 접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윈도우 글라스와 오엘이디 셀 합착 시 접착층이 퍼지지 않아 합착되지 않은 오엘이디 셀의 모따기된 모서리영역과 윈도우 글라스 사이 틈에 접착제를 충진시켜 접착시키는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시장의 팽창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로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소자로는 액정 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소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대표적이다.
그 중에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빠른 응답속도, 기존의 액정표시소자보다 낮은 소비 전력 및 경량성인 데다 별도의 백라이트(back light) 장치가 필요 없어서 초박형으로 만들 수 있는 점, 고휘도 등의 매우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전술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1; 도 1 참조)는 오엘이디 셀(2; OLED Cell)의 내충격성을 확보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엘이디 셀의 발광면에 원도우 글라스(3)를 합착시켜 형성된다.
그리고 오엘이디 셀(2)을 원도우 글라스(3)에 합착 시 합착압력에 의한 스트레스는 오엘이디 셀(2)의 중앙영역이나 4변에 인가되는 합착압력에 의한 스트레스에 비해 모서리영역에서의 합착압력에 의한 스트레스가 더 크기 때문에 합착 시 오엘이디 셀(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오엘이디 셀의 모서리영역(4)은 모따기(chamfer) 된 상태로 합착된다.
그런데, 원도우 글라스(3)와 오엘이디 셀(2) 합착 시 합착압력을 인가되면 원도우 글라스(3)와 오엘이디 셀(2) 사이의 접착층(5)은 퍼짐이 발생하면서 원도우 글라스(3)에 오엘이디 셀(2)을 합착시키는데, 이때 오엘이디 셀(2)의 모따기된 모서리영역(4) 끝단 측으로는 접착층(5)이 퍼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오엘이디 셀(2)의 모따기된 모서리영역(4)과 원도우 글라스(3) 사이에는 틈(6; gap)이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틈(6)에 의해 오엘이디 셀(2)이 후속되는 공정에서 파손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4-0144316 호(공개일자: 2014. 12. 18, 명칭: 기판 합착용 스테이지, 이를 포함하는 기판 합착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윈도우 글라스와 오엘이디 셀 합착 시 접착층이 퍼지지 않아 합착되지 않은 오엘이디 셀의 모따기된 모서리영역과 윈도우 글라스 사이 틈에 접착제를 충진시켜 접착시키는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는, 접착대상물의 일측 및 타측 모서리영역의 상부 및 어느 하나의 모서리영역의 측면을 촬영해 모서리영역 내부에 형성된 틈의 3차원 위치 및 형상정보를 검출하는 비전 헤드부를 가지는 틈 검출수단; 틈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기초하여 틈을 따라 접착제를 충진하는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을 가지는 접착제 충진수단; 및 상류장비에서 반입되는 접착대상물을 로딩하고 접착대상물을 틈 검출수단 및 접착제 충진수단 측으로 이송하는, 테이블 상에 하나, 또는 테이블 상에 Y축 방향으로 두 개 이상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로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딩수단은, 접착대상물을 수평하게 흡착 지지하는 흡착테이블; 및 흡착테이블을 틈 확인수단 및 상기 접착제 충진수단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제 1 이송유닛은, X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 가이드 본체; 및 제 1 가이드 본체의 작동에 의해 제 1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흡착테이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흡착테이블 슬라이더의 상부에는 흡착테이블이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틈 검출수단은, 비전 헤드부를 각각의 로딩수단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제 2 이송유닛은, Y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2 가이드 본체; 및 제 2 가이드 본체의 작동에 의해 제 2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비전헤드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전 헤드부는, 접착대상물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모서리영역의 상면을 촬영해 틈의 위치 및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 접착대상물에 형성된 모서리영역의 측면을 촬영해 틈 위치 및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제 3 비전 카메라; 및 제 1, 제 2, 및 제 3 비전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하여 이를 가공해 틈의 3차원 위치 및 형상 정보를 좌표화하여 접착제 충진수단 측으로 신호로 출력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되,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는 비전헤드 슬라이더에 장착된 간격조절모터에 의해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비전헤드 슬라이더에 배치되고, 제 3 비전 카메라는 비전헤드 슬라이더에 장착된 제 3 이송유닛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비전헤드 슬라이더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격조절모터에는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가 상호 가까워지거나 상호 멀어지게 하는 간격조절 스크루축이 장착되며, 간격조절 스크루축에는 제 1 비전 카메라를 안내하는 제 1 수나사부와 제 2 비전 카메라를 안내하는 제 2 수나사부가 형성되되, 제 1 및 제 2 수나사부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는 제 1 및 제 2 스테이지 조립체에 의해 제 1 및 제 2 수나사에 체결되되, 제 1 및 제 2 스테이지 조립체의 일단에는 제 1 및 제 2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이동너트가 장착되며 제 1 및 제 2 스테이지 조립체의 타단에는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이송유닛은, 제 2 비전 카메라에 간섭되지 않게 제 2 스테이지 조립체의 타단 측에 Z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되는 제 3 가이드 본체; 제 3 가이드 본체의 작동에 의해 제 3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제 3 비전 카메라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제 3 비전 카메라와 제 3 비전 카메라 슬라이더는 제 3 스테이지 조립체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되, 제 3 스테이지 조립체의 일단은 제 3 비전 카메라 슬라이더에 장착되고 제 3 스테이지 조립체의 타단에 제 3 비전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제 충진수단은,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을 각각의 로딩수단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4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제 4 이송유닛은, Y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4 가이드 본체; 및 제 4 가이드 본체의 작동에 의해 제 4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에는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 4 가이드 본체의 내부에는 제 4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자가 장착되며,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에는 고정자에 대하여 상대 이송하는 가동자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은, 각각 접착제가 토출되는 노즐을 가지는 시린지; 시린지를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 5 이송유닛; 및 시린지와 제 5 이송유닛을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 6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제 1 접착제 토출유닛의 제 6 이송유닛은 제 1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의 상부 장착되고, 제 2 접착제 토출유닛의 제 6 이송유닛은 제 2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의 상부에 장착되되, 각각의 제 6 이송유닛은 X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6 가이드 본체와, 제 6 가이드 본체의 작동에 의해 제 6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제 6 이송유닛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 5 이송유닛은 제 6 이송유닛 슬라이더에 장착되고 Z축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5 가이드 본체와, 제 5 가이드 본체의 작동에 의해 제 5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시린지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시린지는 각각의 시린지 슬라이더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되고, 각각의 시린지 슬라이더의 하부 측에는 일측에 노즐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브라켓이 장착되며, 각각의 장착브라켓에는 만곡된 곡률로 제공되는 각도조절공이 형성되되, 각도가 조절된 각각의 노즐들은 각각의 장착브라켓에서부터 각각의 각도조절공을 관통해 각각의 노즐에 체결되는 고정볼트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시린지와 노즐은 플렉시블 한 튜브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엘이디 셀(2)의 모따기된 모서리영역(4)과 윈도우 글라스(3) 사이 틈(6)에 접착제를 자동으로 충진시켜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후속되는 공정에서 종래와 같이 틈(6)에 의해 오엘이디 셀(2)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딩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틈 검출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비전 헤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평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접착제 충진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을 바라 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7b 도 6에 도시된 "A"에서 제 1 접착제 토출유닛을 바라 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10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1, 도 1참조; 이하 "접착대상물"이라 한다)를 구성하는 오엘이디 셀(2)의 모따기된 2개의 모서리영역(4)을 촬영해 모서리영역(4) 내에 형성된 틈(6)의 3차원 위치 및 형상정보를 검출하는 틈 검출수단(120)과, 틈(6)의 3차원 위치 및 형상정보를 기초로 하여 틈(6)을 따라 접착제를 충진하는 접착제 충진수단(160), 및 상류장비(도시되지 않음)에서 반입되는 접착대상물(1)을 로딩(loading)하고 접착대상물(1)을 순차적으로 틈 검출수단(120) 및 접착제 충진수단(160) 측으로 이송하는 로딩수단(110)을 포함한다.
먼저, 로딩수단(110)은 상류장비에서 반입된 접착대상물(1)을 수평하게 흡착 지지하는 흡착테이블(112)을 포함한다(도 3 참조). 누구나 알 수 있듯이 흡착테이블(112)에는 접착대상물(1)을 흡착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진공흡착공(도시되지 않음)과 진공흡착배관라인(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된다.
한편, 로딩수단(110)은 흡착테이블(112)을 순차적으로 틈 확인수단(120) 및 접착제 충진수단(160)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유닛(114)을 더 포함한다.
제 1 이송유닛(114)은 X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 가이드 본체(116)와, 제 1 가이드 본체(116)의 작동에 의해 제 1 가이드 본체(1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흡착테이블 슬라이더(118)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가이드 본체(116)는 테이블(도시되지 않음)에 고정 장착되며, 흡착테이블 슬라이더(118)에는 흡착테이블(112)이 장착된다.
그리고 로딩수단(110)은 테이블 상에 하나만이 배치될 수 있으나, 연속적인 접착 작업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두 개 이상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로딩수단(110)의 상부 측에는 X축 방향을 따라 틈 검출수단(120) 및 접착제 충진수단(160)이 이격되게 배치된다.
틈 검출수단(120)은 접착대상물(1)의 모서리영역(4)의 상부 및 측면을 촬영해 모서리영역(4) 내부에 형성된 틈(6)의 3차원 위치 및 형상정보를 검출하는 비전 헤드부(128), 및 비전 헤드부(128)를 각각의 로딩수단(110)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 이송유닛(122)을 포함한다(도 4 참조).
제 2 이송유닛(12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2 가이드 본체(124)와, 제 2 가이드 본체(124)의 작동에 의해 제 2 가이드 본체(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비전헤드 슬라이더(126)를 포함한다. 이때, 제 2 가이드 본체(124)는 로딩수단(110)들의 상부 측에 이격 배치되면서 각각의 로딩수단(110)들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제 2 이송유닛(122)의 제 2 가이드 본체(124)는 로딩수단(110)에 간섭되지 않게 테이블에서 연장되는 서브프레임(F1) 상에 고정 장착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 2 이송유닛(122)의 비전헤드 슬라이더(126)에는 비전 헤드부(128)가 장착된다.
비전 헤드부(128)는 접착대상물(1)의 2개의 모서리영역(4), 즉 일측 및 타측 모서리영역(4)의 상면을 촬영해 틈(6) 위치 및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130, 132)와, 접착대상물(1)의 모서리영역(4)의 측면을 촬영해 틈(6) 위치 및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제 3 비전 카메라(134)를 포함한다.
또한, 비전 헤드부(128)는 제 1, 제 2, 및 제 3 비전 카메라(130, 132, 134)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하여 틈(6)의 3차원 위치 및 형상 정보를 좌표화 하여 이를 후술하는 접착제 충진수단(160) 측으로 신호로 출력하는 검출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제 2, 및 제 3 비전 카메라(130, 132, 134)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하여 검출부가 틈(6)의 3차원 위치 및 형상정보를 좌표화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130, 132)는 다양한 접착대상물(1)의 폭 사이즈, 즉 모서리영역(4)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비전헤드 슬라이더(126)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3 비전 카메라(134)는 높이 조절 가능하게 비전헤드 슬라이더(126)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비전헤드 슬라이더(126)에는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130, 132)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모터(136) 및 제 3 비전 카메라(134)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 3 이송유닛(146)이 배치된다. 이때 간격조절모터(136)에는 제 1 비전 카메라(130)와 제 2 비전 카메라(132)가 상호 가까워지거나 상호 멀어지게 하는 간격조절 스크루축(138)이 장착되며, 간격조절 스크루축(138)에는 제 1 비전 카메라(130)를 안내하는 제 1 수나사부(140a)와 제 2 비전 카메라(132)를 안내하는 제 2 수나사부(140b)가 형성되되, 제 1 및 제 2 수나사부(140a, 140b)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제 1 수나사부(140a)의 나사산이 좌측으로 연장되는 좌승수 수나사로 형성될 경우 제 2 수나사부(140b)는 나사산이 우측으로 연장되는 우승수 수나사로 형성되며, 반대로 제 1 수나사부(140a)의 나사산이 우승수 수나사로 형성될 경우 제 2 수나사부(140b)는 좌승수 수나사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130, 132)는 각각 제 1 및 제 2 스테이지 조립체(142a, 142b)를 매개로 제 1 및 제 2 수나사부(140a, 140b)에 연결되는데, 이때 제 1 및 제 2 스테이지 조립체(142a, 142b)의 일단에는 제 1 및 제 2 수나사부(140a, 140b)에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이동너트(144a, 144b)가 장착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스테이지 조립체(142a, 142b)의 타단에는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130, 132)가 로딩수단(110)에 의해 이송된 접착대상물(1)의 일측 및 타측 모서리영역(4)을 촬영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한편, 제 3 이송유닛(146)은 제 2 비전 카메라(132)에 간섭되지 않게 제 2 스테이지 조립체(142b)의 타단 측에 장착된다.
제 3 이송유닛(14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3 가이드 본체(148)와, 제 3 가이드 본체(148)의 작동에 의해 제 3 가이드 본체(14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제 3 비전 카메라 슬라이더(150)를 포함하는데, 이때 제 3 비전 카메라(134)와 제 3 비전 카메라 슬라이더(150)는 제 3 스테이지 조립체(152)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즉 제 3 스테이지 조립체(152)의 일단은 제 3 비전 카메라 슬라이더(150)에 장착되고 제 3 스테이지 조립체(152)의 타단에 제 3 비전 카메라(134)가 장착된다.
그리고 제 3 비전 카메라 슬라이더(150)에 수직하게 연결된 제 3 비전 카메라(134)는 제 3 비전 카메라(134)의 하부 측에 배치된 프리즘(154)을 통해 모서리영역(4)의 측면을 촬영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제 2 및 제 3 스테이지 조립체(142a, 142b, 152)는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비전 카메라(130, 132, 134)를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 틸트(tilt) 및 스큐(skew) 조정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제 1, 제 2 및 제 3 스테이지 조립체(142a, 142b, 152)는 당업계에서는 누구나 알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 상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1, 제 2 및 제 3 이송유닛(114, 122, 146)은 통상의 로드레스 실린더(rodless cylinder), 또는 통상의 리니어 가이드 장치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유닛(114, 122, 146)의 작동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틈 검출수단(120)의 비전 헤드부(128)는 어느 하나의 로딩수단(110)을 통해 이송된 접착대상물(1)의 모서리영역(4)의 틈(6) 위치 및 형상 정보를 검출한 후, 제 2 이송유닛(122)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된 또 다른 로딩수단(110) 측으로 이송되어 또 다른 로딩수단(110)을 통해 이송되는 또 다른 접착대상물(1)의 모서리영역(4)의 틈(6) 위치 및 형상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틈 검출수단(120)의 비전 헤드부(128)에 의해 틈(6)의 위치 및 형상 정보가 검출된 접착대상물(1)은 로딩수단(110)의 작동에 의해 틈 검출수단(120)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접착제 충진수단(160) 측으로 이송된다.
접착제 충진수단(160)은 틈 검출수단(120)에서 검출된 틈(6)의 3차원 위치 및 형상정보에 따라 접착대상물(1)의 일측 및 타측 모서리영역(4) 내부에 형성된 틈(6)에 삽입되어 접착제(UV본드)를 충진하는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168a, 168b)과, 접착제 충진 시 틈(6)의 위치 및 형상정보에 맞추어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168a, 168b)을 이동시키는제 4 이송유닛(162)을 포함한다.
제 4 이송유닛(16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이송유닛(122)의 배면 측에 이격 배치된다. 제 4 이송유닛(162)은 Y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4 가이드 본체(164)와, 제 4 가이드 본체(164)의 작동에 의해 제 4 가이드 본체(16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166a, 166b)를 포함한다.
이때, 제 4 가이드 본체(164)의 내부에는 제 4 가이드 본체(16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자가 장착되며,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166a, 166b)에는 고정자에 대하여 상대 이송하는 가동자가 장착된다. 즉 제 4 이송유닛(162)은 하나의 고정자에 두 개의 가동자가 이송가능하게 배치된 통상의 리니어 모터(liner motor)이다. 그리고 제 4 가이드 본체(164)는 제 2 이송유닛(122)의 제 2 가이드 본체(124)와 마찬가지로 로딩수단(110)들의 상부 측에 이격 배치되면서 각각의 로딩수단(110)들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되게 배치되는데, 이를 위해 제 4 이송유닛(162)의 제 4 가이드 본체(164)는 로딩수단(110)에 간섭되지 않게 테이블에서 연장되는 서브프레임(F2) 상에 고정 장착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 4 이송유닛(162)의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166a, 166b)에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168a, 168b)이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제 4 이송유닛(162)은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168a, 168b)을 각각의 로딩수단(110) 측으로 이송시킨다.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168a, 168b)은 각각 접착제가 토출되는 노즐(184a, 184b)을 가지는 시린지(182a, 182b)와, 시린지(182a, 182b)를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 5 이송유닛(176a, 176b), 및 시린지(182a, 182b)와 제 5 이송유닛(176a, 176b)을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 6 이송유닛(170a, 170b)을 포함한다.
제 1 접착제 토출유닛(168a)의 제 6 이송유닛(170a)은 제 1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166a)의 상부 장착되고 제 2 접착제 토출유닛(168b)의 제 6 이송유닛(170b)은 제 2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166b)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렇게 장착되는 제 6 이송유닛(170a, 170b)은 X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6 가이드 본체(172a, 172b)와, 제 6 가이드 본체(172a, 172b)의 작동에 의해 제 6 가이드 본체(172a, 17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제 6 이송유닛 슬라이더(174a, 174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5 이송유닛(176a, 176b)은 제 6 이송유닛 슬라이더(174a, 174b)에 장착되고 Z축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5 가이드 본체(178a, 178b)와, 제 5 가이드 본체(178a, 178b)의 작동에 의해 제 5 가이드 본체(178a, 178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시린지 슬라이더(180a, 180b)를 포함한다.
한편, 시린지(182a, 182b)는 시린지 슬라이더(180a, 180b)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시린지 슬라이더(180a, 180b)의 하부 측에는 일측에 노즐(184a, 184b)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브라켓(186a, 186b)이 장착된다. 이때 장착브라켓(186a, 186b)에는 만곡된 곡률로 제공되는 각도조절공(188a, 188b)이 형성되는데, 각도가 조절된 노즐(184a, 184b)은 장착브라켓(186a, 186b)에서부터 각도조절공(188a, 188b)을 관통해 노즐(184a, 184b)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90a, 190b)에 고정된다.
여기서 시린지(182a, 182b)와 노즐(184a, 184b)은 플렉시블은 튜브(192a, 192b)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노즐(184a, 184b)의 첨단부는 틈(6)에 대하여 30~60도의 경사각을 유지하면서 틈(6) 내부로 진입하며, 노즐(184a, 184b)은 300㎛의 높이를 가지는 틈(6)에 진입 및 접착제 충진이 용이하도록 내경 및 외경은 200㎛ 및 300㎛의 직경을 가진다.
그리고 제 5 및 제 6 이송유닛(176a, 176b, 170a, 170b)은 통상의 로드레스 실린더(rodless cylinder), 또는 통상의 리니어 가이드 장치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제 5 및 제 6 이송유닛(176a, 176b, 170a, 170b)의 작동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168a, 168b) 노즐(184a, 184b)들의 첨단부는 비전헤드부(128)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제 4, 제 5, 및 제 6 이송유닛(162, 176a, 176b, 170a, 170b)에 의해 인접한 틈(6)의 내부로 삽입된 후, 다시 비전 헤드부(128)의 신호에 따라 제 4, 제 5, 및 제 6 이송유닛(162, 176a, 176b, 170a, 170b)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면서 틈(6) 내부에 접착제를 충진시킨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접착대상물(1)이 상류장비에서 로딩수단(110)의 흡착테이블(112)로 이송되면, 로딩수단(110)은 흡착테이블(112)에 접착대상물(1)을 흡착 지지시킨 후, 제 1 이송유닛(114)을 작동시켜 흡착테이블(112)을 틈 검출수단(120)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류장비에서 연속해 안내되는 접착대상물(1)들은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로딩수단(110)들의 흡착테이블(112)에 순차적으로 올려져 흡착 지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딩수단(110)에 의해 접착대상물(1)이 틈 검출수단(120) 측으로 이송되면, 틈 검출수단(120)의 비전 헤드부(128)는 제 1, 제 2 및 제 3 비전 카메라(130, 132, 134), 그리고 검출부(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켜 접착대상물(1)의 일측 및 타측 모서리영역(4)의 틈(6) 위치 및 형상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가공해 틈(6)의 3차원 위치 및 형상 정보를 검출하여 접착제 충진수단(160) 측으로 신호로 출력시킨다.
이렇게 틈(6)의 3차원 위치 및 형상 정보 검출이 완료되면, 로딩수단(110)은 제 1 이송유닛(114)을 작동시켜 접착대상물(1)을 접착제 충진수단(160) 측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접착대상물(1)이 접착제 충진수단(160) 측으로 이송되면, 틈 검출수단(120)은 이웃한 로딩수단(110)을 통해 이송된 또 다른 접착대상물(1)의 틈(6)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제 2 이송유닛(122)을 작동시켜 비전 헤드부(128)를 이웃한 로딩수단(110) 측으로 이송시킨다.
한편, 접착대상물(1)이 접착제 충진수단(160) 측으로 안내되면, 접착제 충진수단(160)은 틈 검출수단(120)에서 출력된 신호, 즉 좌표정보에 따라 제 4 이송유닛(162), 그리고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168a, 168b)의 제 5 및 제 6 이송유닛(176a, 176b, 170a, 170b)을 작동시켜 시린지(182a, 182b)와 연결된 노즐(184a, 184b)의 첨단부를 인접한 틈(6)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노즐(184a, 184b)을 통해 접착제를 토출시키면서 틈 검출수단(120)의 좌표정보에 따라 노즐(184a, 184b)을 이동시켜 틈(6)에 접착제 충진을 완료한다.
이때, 노즐(184a, 184b)은 제 4, 제 5, 제 6 이송유닛(162, 176a, 176b, 170a, 170b)을 작동에 의해 이동되며, 노즐(184a, 184b)을 통한 접착제 토출 시 틈(6)에서 접착제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틈(6)을 평면에서 봤을 때 틈(6)의 양단에 대략 0.3㎜ 이내의 오버플로우 공간부가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접착대상물(1)의 틈(6)에 대한 접착제 충진이 완료되면, 접착제 충진수단(160)은 이웃한 로딩수단(110)을 통해 이송된 또 다른 접착대상물(1)의 틈(6)에 접착제를 충진시키기 위해 제 4 이송유닛(162)을 작동시켜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168a, 168b)을 이웃한 로딩수단(110)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100)는 오엘이디 셀(2)의 모따기된 모서리영역(4)과 윈도우 글라스(3) 사이 틈(6)에 접착제를 충진를 자동으로 충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후속되는 공정에서 종래와 같이 틈(6)에 의해 오엘이디 셀(2)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110 : 로딩수단
112 : 흡착테이블 120 : 틈 검출수단
128 : 비전 헤드부 130 : 제 1 비전 카메라
132 : 제 2 비전 카메라 134 : 제 3 비전 카메라
160 : 접착제 충진수단 168a : 제 1 접착제 토출유닛
168b : 제 2 접착제 토출유닛 182a, 182b : 시린지
184a, 184b : 노즐

Claims (11)

  1. 접착대상물의 일측 및 타측 모서리영역의 상부 및 어느 하나의 상기 모서리영역의 측면을 촬영해 상기 모서리영역 내부에 형성된 틈의 3차원 위치 및 형상정보를 검출하는 비전 헤드부를 가지는 틈 검출수단;과, 상기 틈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틈을 따라 접착제를 충진하는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을 가지는 접착제 충진수단; 및 상류장비에서 반입되는 상기 접착대상물을 로딩하고 상기 접착대상물을 상기 틈 검출수단 및 상기 접착제 충진수단 측으로 이송하는, 테이블 상에 하나, 또는 테이블 상에 Y축 방향으로 두 개 이상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로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틈 검출수단은,
    상기 비전 헤드부를 각각의 상기 로딩수단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이송유닛은, Y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2 가이드 본체; 및 상기 제 2 가이드 본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2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비전헤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 헤드부는,
    상기 접착대상물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상기 모서리영역의 상면을 촬영해 상기 틈의 위치 및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와, 상기 접착대상물에 형성된 상기 모서리영역의 측면을 촬영해 상기 틈 위치 및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제 3 비전 카메라; 및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비전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하여 이를 가공해 상기 틈의 3차원 위치 및 형상 정보를 좌표화하여 상기 접착제 충진수단 측으로 신호로 출력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는 상기 비전헤드 슬라이더에 장착된 간격조절모터에 의해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상기 비전헤드 슬라이더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비전 카메라는 상기 비전헤드 슬라이더에 장착된 제 3 이송유닛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상기 비전헤드 슬라이더에 배치되는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딩수단은,
    상기 접착대상물을 수평하게 흡착 지지하는 흡착테이블; 및
    상기 흡착테이블을 틈 확인수단 및 상기 접착제 충진수단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유닛은,
    X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 가이드 본체; 및
    상기 제 1 가이드 본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1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흡착테이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테이블 슬라이더의 상부에는 상기 흡착테이블이 장착되는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모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가 상호 가까워지거나 상호 멀어지게 하는 간격조절 스크루축이 장착되며,
    상기 간격조절 스크루축에는 상기 제 1 비전 카메라를 안내하는 제 1 수나사부와 상기 제 2 비전 카메라를 안내하는 제 2 수나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수나사부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는 제 1 및 제 2 스테이지 조립체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수나사에 체결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스테이지 조립체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이동너트가 장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테이지 조립체의 타단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비전 카메라가 장착되는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3 이송유닛은,
    상기 제 2 비전 카메라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제 2 스테이지 조립체의 타단 측에 Z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되는 제 3 가이드 본체;
    상기 제 3 가이드 본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3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제 3 비전 카메라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비전 카메라와 상기 제 3 비전 카메라 슬라이더는 제 3 스테이지 조립체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 3 스테이지 조립체의 일단은 상기 제 3 비전 카메라 슬라이더에 장착되고 상기 제 3 스테이지 조립체의 타단에 상기 제 3 비전 카메라가 장착되는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충진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을 각각의 상기 로딩수단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4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이송유닛은,
    Y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4 가이드 본체; 및
    상기 제 4 가이드 본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4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이 각각 장착되는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4 가이드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 4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자가 장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에는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상대 이송하는 가동자가 장착되는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제 토출유닛은,
    각각 접착제가 토출되는 노즐을 가지는 시린지;
    상기 시린지를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 5 이송유닛; 및
    상기 시린지와 상기 제 5 이송유닛을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 6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착제 토출유닛의 상기 제 6 이송유닛은 상기 제 1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접착제 토출유닛의 상기 제 6 이송유닛은 상기 제 2 접착제 토출 슬라이더의 상부에 장착되되,
    각각의 상기 제 6 이송유닛은 X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6 가이드 본체와, 상기 제 6 가이드 본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6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제 6 이송유닛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 5 이송유닛은 상기 제 6 이송유닛 슬라이더(174a, 174b)에 장착되고 Z축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5 가이드 본체와, 상기 제 5 가이드 본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5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시린지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시린지는 각각의 상기 시린지 슬라이더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시린지 슬라이더의 하부 측에는 일측에 노즐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브라켓이 장착되며,
    각각의 상기 장착브라켓에는 만곡된 곡률로 제공되는 각도조절공이 형성되되, 각도가 조절된 각각의 상기 노즐들은 각각의 상기 장착브라켓에서부터 각각의 상기 각도조절공을 관통해 각각의 상기 노즐에 체결되는 고정볼트에 고정되는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시린지와 상기 노즐은 플렉시블 한 튜브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KR1020150110867A 2015-08-06 2015-08-06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KR10170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867A KR101705986B1 (ko) 2015-08-06 2015-08-06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867A KR101705986B1 (ko) 2015-08-06 2015-08-06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986B1 true KR101705986B1 (ko) 2017-02-23

Family

ID=5831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867A KR101705986B1 (ko) 2015-08-06 2015-08-06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3549A (zh) * 2017-12-11 2018-03-23 苏州广林达电子科技有限公司 Oled软屏cell治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0531A (ko) * 2012-07-13 2014-01-27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 도포장치
KR20150021223A (ko) * 2013-08-20 2015-03-02 (주) 피토 반도체 리볼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0531A (ko) * 2012-07-13 2014-01-27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 도포장치
KR20150021223A (ko) * 2013-08-20 2015-03-02 (주) 피토 반도체 리볼링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3549A (zh) * 2017-12-11 2018-03-23 苏州广林达电子科技有限公司 Oled软屏cell治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5518B2 (en)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for side surface sealing of display panel
EP3029750B1 (en) Rolla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system
TWI613009B (zh) 顯示裝置用構件的製造裝置及顯示裝置用構件的製造方法
JP2012212817A (ja) 部品実装装置、情報処理装置、位置検出方法及び基板製造方法
KR101265277B1 (ko) 패널 부착장치
KR101705986B1 (ko) 오엘이디 셀 코너컷 접착장치
KR20160009561A (ko)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시스템
KR20160025525A (ko) 박리 기점 작성 장치 및 방법
US20140052289A1 (en) Mounting apparatus, method of disposing mem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bstrate
KR101668285B1 (ko) 투명전광판 제조용 엘이디 칩 마운팅 장치
KR101392837B1 (ko) 형상 추적 기능을 가지는 접착제 도포장치
KR20140104113A (ko)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CN105813446B (zh) 电子部件供给装置以及电子部件安装装置
KR101398104B1 (ko) 패널 부착장치
KR101493443B1 (ko) 패널 부착장치
TWI532109B (zh) Grain Adhesive and Adhesive Coating Method
KR20170052168A (ko)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KR101445745B1 (ko) 노즐 검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노즐 유지보수 방법
TW201538334A (zh) 製造方法及製造裝置
CN108393212A (zh) 分配装置
KR200469221Y1 (ko) 리니어 슈트
TWI581866B (zh) 黏合劑塗布裝置及方法、顯示裝置用構件製造裝置及方法
CN103424927A (zh) 防止导光板上光泄漏的方法和装置
US10677784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module
KR20060113237A (ko) 보호막 도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