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863B1 -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863B1
KR101705863B1 KR1020150085335A KR20150085335A KR101705863B1 KR 101705863 B1 KR101705863 B1 KR 101705863B1 KR 1020150085335 A KR1020150085335 A KR 1020150085335A KR 20150085335 A KR20150085335 A KR 20150085335A KR 101705863 B1 KR101705863 B1 KR 101705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aper
branch pipe
label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365A (ko
Inventor
한민희
Original Assignee
한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희 filed Critical 한민희
Priority to KR1020150085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86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3Removing scrap from containers, e.g. removin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지관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본체프레임(2) 상에 에어 실린더(4)와 모터(6)로부터 축 연결하여 전후진 및 회전하는 구동축(8)에 다수의 칼날(11a)이 장착된 헤드구(11)를 결합하여 지관(P) 내에 헤드구(11)를 삽입시키는 라벨지 제거부(10)와, 라벨지 제거부(10)의 전방에는 헤드구(11)에 장착된 칼날(11a)을 지관(P) 내의 중앙에 위치토록 정지되게 스토퍼(23)가 장착된 헤드구 조절부(20)와, 라벨지 제거부(10)와 헤드구 조절부(20) 사이에는 상판(9)에 고정된 상부 압지구(31)와 하측에 에어 실린더(33)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하부 압지구(32)를 형성하여 지관(P)을 헤드구(11)와 수평으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물림 및 해지하는 지관 고정부(30)와, 지관 고정부(30)의 하측에는 하부 압지구(32)를 중앙에 두고 제1 안착홈(41a)과 제2 안착홈(41b)이 형성된 좌우 이송대(41)를 양측으로 이격시켜 마주하도록 구비하되 좌우 이송대(41)는 에어 실린더(42)와 연결되어 LM가이드(44)를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슬라이드대(43)와 결합시켜 지관(P)을 상,하부 압지구(31)(32) 사이로 이송 및 배출하는 지관 이송부(40)와, 지관 이송부(40)의 일측에는 지관(P)들을 나열 공급하는 지관 공급슈트(50)가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줌으로서 종이 지관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자동화에 간단히 제거하여 줌으로서 지관을 재활용함에 따른 인력과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LABEL STICKER REMOVING DEVICE OF PAPER TUBE ATTACHED}
본 발명은 라벨지의 제거장치로서, 상세하게는 원사 권취용 지관을 재활용 사용함에 있어 지관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간단히 제거하여 줌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 제직기에는 실을 공급하는 다수의 원사 권취용 지관이 사용되며 이러한 지관을 사용 후에 재활용하기 위하여 외면에 남아 있는 잔사를 제거한 후 지관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 역시 제거하여 주도록 하고 있다.
원사 권취용 지관은 대부분 종이재질로서 일정길이의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져 그 외면에는 실을 권취하도록 하고 종이 지관의 내면에는 실의 품질 및 권사 길이 등을 알 수 있도록 표기된 라벨지를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이 지관은 원단 제직기의 스핀들에 수백 개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한 번의 공정에 사용된 지관를 다음 번 공정에 재활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백 개의 지관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전의 라벨지는 제거하고 새로운 라벨지를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종이 지관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칼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하나씩 제거하는 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있어 여간 힘들뿐만 아니라, 인력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이 지관의 경우, 실의 권취력에 의하여 한번 사용된 후에는 대부분 외형이 수축에 따른 찌그러들어 스핀들에 끼워 재사용하기가 어려움이 있어 이를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별도의 지관 재생장치를 이용함에 그 일 예로서 국내공개실용신안 제1988-19438호 “지관의 재생장치”및 국내등록특허 제10-416725호 “지관의 자동 재생장치”가 출원된바 있으나, 이 또한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를 수작업에 의한 제거작업과 지관의 외형을 복원하는 재생작업이 각각 별도로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 종이 지관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자동화에 간단히 제거하여 줌으로서 지관을 재활용함에 따른 인력과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라벨지를 제거토록 함과 아울러 지관이 실의 권취력에 의해 수축으로 인한 변형된 외형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가지도록 한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2) 상에 에어 실린더(4)와 모터(6)로부터 축 연결하여 전후진 및 회전하는 구동축(8)에 다수의 칼날(11a)이 장착된 헤드구(11)를 결합하여 지관(P) 내에 헤드구(11)를 삽입시키는 라벨지 제거부(10)와, 라벨지 제거부(10)의 전방에는 헤드구(11)에 장착된 칼날(11a)을 지관(P) 내의 중앙에 위치토록 정지되게 스토퍼(23)가 장착된 헤드구 조절부(20)와, 라벨지 제거부(10)와 헤드구 조절부(20) 사이에는 상판(9)에 고정된 상부 압지구(31)와 하측에 에어 실린더(33)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하부 압지구(32)를 형성하여 지관(P)을 헤드구(11)와 수평으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물림 및 해지하는 지관 고정부(30)와, 지관 고정부(30)의 하측에는 하부 압지구(32)를 중앙에 두고 제1 안착홈(41a)과 제2 안착홈(41b)이 형성된 좌우 이송대(41)를 양측으로 이격시켜 마주하도록 구비하되 좌우 이송대(41)는 에어 실린더(42)와 연결되어 LM가이드(44)를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슬라이드대(43)와 결합시켜 지관(P)을 상,하부 압지구(31)(32) 사이로 이송 및 배출하는 지관 이송부(40)와, 지관 이송부(40)의 일측에는 지관(P)들을 나열 공급하는 지관 공급슈트(50)가 위치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이 지관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제거함에, 라벨지 제거부, 헤드구 조절부, 지관 고정부, 지관 이송부 및 지관 공급슈트로서 구성하여 이를 서로 연동하에 자동화로서 간편히 라벨지를 제거하고 이송 및 배출되게 함으로서 지관을 재활용함에 따른 인력과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장점이 있다.
또한 라벨지를 제거함에 라벨지 제거부의 헤드구가 확장되어 칼날이 지관의 내면을 매끈하게 가공하면서 수축으로 변형된 지관의 외형을 복원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벨지 제거장치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
도 4는 도 3의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라벨지 제거부의 단면구성도,
도 6은 도 5의 정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칼날에 의해 라벨지 제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라벨지 제거부와 지관 이송부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라벨지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14는 지관의 내면에 라벨지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원사 권취용에 사용되는 통상의 종이 지관(P)을 재활용토록 함에 있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종이 지관(P)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자동화에 의해 간단히 제거토록 함과 아울러 실의 권취력에 의해 수축 변형된 지관의 외형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라벨지 제거장치(A)를 제공하여 지관의 재활용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벨지 제거장치(A)를 구성함에, 본체프레임(2)의 상부에는 지관(P)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제거하는 라벨지 제거부(10) 와 헤드구 조절부(20)를 서로 마주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라벨지 제거부(10)와 헤드구 조절부(20) 사이에는 승강 작동에 의해 지관(P)이 물림 및 해지시키는 지관 고정부(30)와 지관 고정부(30)에 지관(P)을 이송하여 배출하는 지관 이송부(40)를 구성하고, 상기 지관 이송부(40)의 일측에는 지관(P)들을 나열 공급하는 지관 공급슈트(50)를 구성하여 줌으로서 서로 연동 제어하에 자동화로서 지관(P)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라벨지 제거장치(A)는 도 1에서와 같이 본체프레임(2) 상부에 에어 실린더(4)와 모터(6)로부터 축 연결되어 전후진과 동시에 회전하는 구동축(8)에 라벨지 제거부(10)를 구성함에, 구동축(8)에는 지관(P) 내에 삽입되는 헤드구(11)를 장착하여 지관(P)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수축으로 인해 변형된 외형을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라벨지 제거부(10)를 구성하는 헤드구(11)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원통형 종이 지관(P) 내에 삽입되게 외형이 원기둥 형태이며 전면 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되 헤드구(11)를 3등분으로 분할되게 구성하여 각 분할된 외면에는 칼날(11a)을 돌출되게 고정 설치하고, 분할된 헤드구(11)의 중앙에는 구동축(8)에 축 지지하는 확장쐐기(12)를 삽입하되 그 후미에 완충스프링(12a)에 의해 탄력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확장쐐기(12)가 후진 이동시에 헤드구(11)를 외측으로 확장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분할된 헤드구(11)의 전방 외면에는 전체적으로 감싸져 잡아주도록 지지스프링(11b)이 설치되고 각 헤드구(11)의 후미에는 결합된 이동브라켓(13)의 내측에 내설된 복귀스프링(13a)에 탄력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분할된 헤드구(11)가 확장 이후 원상태로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줌으로서 헤드구(11)가 확장 및 수축시에 따른 지지스프링(11b)과 복귀스프링(13a)이 동시에 탄력적으로 잡아주도록 한다.
한편 헤드구(11)를 전후진 및 회전시키는 구동축(8)을 두고 구동축(8)으로부터 헤드구(11)를 다시 전진시켜 지관(P) 내에 삽입하는 이동브라켓(13)를 구성함에, 이동브라켓(13)의 전방에는 헤드구(11)에 갖는 칼날(11a)을 안내하는 전방 지지판(14)을 두고 후방에는 구동축(8)에 고정된 후방 지지판(15)을 형성하여 상기 전,후방 지지판(14)(15) 간을 다수의 지지봉(16)으로 서로 연결되게 결합하여 지지봉(16)에 이동브라켓(13)을 슬라이딩되게 끼워 전,후방 지지판(14)(15) 사이에서 이동브라켓(13)이 전방 지지판(14)으로 전후진 이동되게 구성한다.
이때 이동브라켓(13)과 후방 지지판(15) 사이의 구동축(8) 상에는 완충스프링(13b)을 장착하여 이동브라켓(13)이 완충스프링(13b)의 탄력 지지하에 헤드구(11)를 전방 지지판(14)으로부터 돌출되게 전진시켜 칼날(11a)을 지관(P)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전방 지지판(14)의 중앙에는 전진하여 분할된 헤드구(11)가 확장시 충분한 직경을 갖는 통공(14a)을 형성하되 통공(14a)에는 각 칼날(11a)들이 위치하여 안내하는 칼날 안내홈(14b)을 형성되게 구성한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헤드구(11)에 갖는 칼날(11a)이 전방 지지판(14)에 갖는 칼날 안내홈(14b) 내에서 확장되어 지관(P)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말아서 제거하도록 하고, 헤드구(11)가 전방 지지판(14)으로부터 후진시에 칼날(11a)에 말려 붙은 라벨지는 칼날 안내홈(14b)에 걸림되어 떨어지도록 한다.
이때 라벨지 제거부(10)의 상측에는 헤드구(11)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기(17)를 장착되게 구성하여 전방 지지판(14)에 형성된 칼날 안내홈(14b)에 의해 칼날(11a)에 붙은 라벨지가 떨어질 때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한다.
상기한 구동축(8)에 축 연결되어 전후진 및 회전하여 분할된 헤드구(11)에 장착된 칼날(11a)들을 지관(P) 내로 삽입하여 라벨지를 제거하는 라벨지 제거부(10)를 두고, 라벨지 제거부(10)의 전방에는 분할된 헤드구(11)의 확장범위를 조절하도록 헤드구 조절부(20)를 마주하도록 설치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의 헤드구 조절부(20)는 도 1,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2)과 상판(9)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지지대(21)의 상부에 헤드구(11)와 수평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헤드구 삽입관(22)를 구성하고, 헤드구 삽입관(22) 내의 중앙에는 단부에 홈(23a)이 형성된 스토퍼(23)를 위치하도록 형성하되 스토퍼(23)의 후미에 나사조절봉(24)을 베어링을 통해 서로 축 결합하여 스토퍼(23)가 나사조절봉(24)에 축 지지되어 회전되게 하면서 나사조절봉(24)을 통해 스토퍼(23)를 헤드구 삽입관(22) 내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라벨지 제거부(10)의 헤드구(11) 전방에 헤드구 조절부(20)의 스토퍼(23)를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하여 헤드구(11)가 전진하에 헤드구 삽입관(22) 내로 진입시 스토퍼(23)의 홈(23a) 내에 확장쐐기(12)를 축 고정하는 볼트가 삽입되게 함과 동시에 스토퍼(23)의 단부가 확장쐐기(12)를 후방으로 밀어 이동시켜 줌으로서 분할된 헤드구(11)는 확장쐐기(12)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되어 헤드구(11)에 장착된 칼날(11a)이 지관(P)의 내면에 가압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라벨지를 제거하도록 함과 동시에 지관(P)의 변형된 외형을 헤드구(11)와 칼날(11a)이 확장 가압하여 회전시에 내면을 매끈하게 가공하면서 원상태로 복원되게 한다.
그리고 스토퍼(23)의 후미에 결합된 나사조절봉(24)을 통해 스토퍼(23)를 헤드구 삽입관(22) 내에서의 위치를 조절하여 줌으로서 스토퍼(23)가 확장쐐기(12)를 후방으로 밀어주는 정도에 따른 분할된 헤드구(11)의 벌어지는 확장범위를 조절하여 다양한 지관(P)의 내경 크기에 맞추어 칼날(11a)의 확장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라벨지 제거부(10)와 헤드구 조절부(20)를 두고 그 사이에는 지관(P)의 물림 및 해지하는 지관 고정부(30)와 지관 고정부(30)에 지관(P)을 이송시켜 배출하는 지관 이송부(40)를 설치하여 서로 연동하에 작동되게 구성한다.
즉 지관 고정부(30)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지 제거부(10)의 헤드구(11) 전방에 설치 구성하여 지관 이송부(40)를 통해 이송되는 지관(P)을 상승시켜 헤드구(11)와 수평으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잡아주는 장치로서, 상판(9) 하부에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상부 압지구(31)를 고정 설치하고 상부 압지구(31)의 하측에는 마주하여 한 쌍을 이루는 반원형의 하부 압지구(32)를 설치하되 하부 압지구(32)는 하측에 에어 실린더(33)와 결합하여 승강 작동되게 구성한다.
이에 에어 실린더(33)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하부 압지구(32)는 지관 이송부(40)를 구성하는 좌우 이송대(41)의 중앙에 위치되게 형성하여 좌우 이송대(41)에 의해 이송되는 지관(P)을 받아 상승시켜 상부 압지구(31)와의 물림에 의해 고정시켜 헤드구(11)가 지관(P) 내에 삽입이 이루어지게 하고, 반면에 하부 압지구(32)를 하강시키면 상부 압지구(31)와 지관(P)의 물림이 해지되면서 하부 압지구(32)가 지관(P)을 좌우 이송대(41) 상에 다시 안착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 압지구(32)의 전방 상부에는 하향 경사진 돌출편(32a)이 형성되게 구성하여 하부 압지구(32)가 상승시에 좌우 이송대(41) 상에 라벨지가 제거된 지관(P)을 돌출편(32a)이 들어올려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이때 상기 돌출편(32a)과 전방으로 나란하도록 헤드구 조절부(20)의 수직지지대(21)에 안내편(25)을 결합 형성하여 지관(P)을 외부로 배출시에 안내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지관 고정부(30)를 구성하는 상부 압지구(31)와 승강하는 하부 압지구(32)를 통해 지관(P)의 물림 및 해지토록 함에 있어,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상,하부 압지구(31)(32)의 내측에는 지관(P)을 물어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패드(34)를 부착 형성하여 지관(P)의 외면을 압지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한 지관 고정부(30)와 함께 하부에는 연동하에 지관(P)을 이송 및 배출하는 지관 이송부(40)를 구성함에, 도 2, 도 3 및 도 8에서와 같이 지관 이송부(40)는 하부 압지구(32)의 하부에 에어 실린더(42)와 연결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대(43)와 슬라이드대(43)의 상면 일측에 지관(P)을 안착시켜 이송 및 배출하는 좌우 이송대(41)와 슬라이드대(43)가 전후로 이동시 안내 지지하는 LM가이드(4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슬라이드대(43)는 본체프레임(2)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내측을 개방되게 형성하며 그 상면에 판체로 이루어지며 양측으로 마주하는 좌우 이송대(41)를 상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그 사이의 중앙에 하부 압지구(32)가 위치하여 줌으로서 좌우 이송대(41)가 슬라이드대(43)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게 함과 아울러 하부 압지구(32)가 좌우 이동대(41) 사이에서 승강 작동시 서로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드대(43) 상면에 형성되는 좌우 이송대(41)는 하부 압지구(32)를 중앙에 두고 지관(P)의 폭 보다 좁게 양측으로 이격시켜 형성하며 상부에는 지관(P)을 안착시켜 이송하기 위한 제1 안착홈(41a)과 제2 안착홈(41b)을 각각 형성함에, 제1 안착홈(41a)은 지관 공급슈트(50)로부터 공급되는 지관(P)을 받아 하부 압지구(32)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고 제2 안착홈(41b)은 하부 압지구(32)에 의해 승강 후 라벨지가 제거된 지관(P)이 하강시 이를 받아 안착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좌우 이송대(41)에 형성된 제1 안착홈(41a)과 제2 안착홈(41b)이 전후로 이동하에 하부 압지구(32)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교차하는 시점에 맞추어 위치토록 하여 제1 안착홈(41a)에 안착된 지관(P)을 전진시켜 하부 압지구(32)가 상승하여 지관(P)을 좌우 이송대(41)로부터 들어올려 상부 압지구(31)로 이동되게 하고, 반면에 하부 압지구(32)가 하강하는 시점에 맞추어 좌우 이송대(41)를 후진시키면 제2 안착홈(41b)이 하부 압지구(32)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관을 받아 차후 제2 안착홈(41b)에 라벨지가 제거된 지관(P)은 하부 압지구(32)에 형성된 돌출편(32a)에 의해 좌우 이송대(41)로부터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관 이송부(40)는 지관 고정부(30)와 연동하에 공급되는 지관(P)을 이송시켜 이를 라벨지 제거부(10)로 이송시켜 지관(P)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제거되도록 하면서 라벨지가 제거된 지관(P)을 다시 지관 이송부(40)의 좌우 이송대(41)가 받아 하부 압지구(32)에 의해 배출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한 지관 이송부(40)의 좌우 이송대(41)가 지관(P)을 안착시켜 지관 고정부(30)의 하부 압지구(32)로 이송토록 함에, 지관 이송부(40)의 일측에는 라벨지가 부착된 지관(P)을 나열 공급하는 지관 공급슈트(50)를 지관 이송부(40)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하되 지관 공급슈트(50)의 측면에 지관 내로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기(51)를 장착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지관 공급슈트(50)를 통해 나열 공급되는 지관(P)들은 지관 이송부(40)의 좌우 이송대(41)에 하나씩 공급되기 전에 열풍기(51)에 의해 미리 지관(P) 내를 가열시켜 줌으로서 차후 라벨지를 제거할 때 잘 떨어지도록 하면서 수축으로 변형된 외형을 복원하기가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라벨지 제거부(10)의 헤드구(11) 전방에는 개방된 지지판(18)을 구비하여 헤드구(11)가 전진 이동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면서 라벨지가 제거된 지관(P)이 좌우 이송대(41)로부터 배출시에 수직지지대(21)에 갖는 안내편(25)과 함께 외부로 안내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라벨지 제거장치(A)를 이용하여 지관(P)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제거하는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작업자는 지관 공급슈트(50)에 라벨지가 부착된 지관(P)들을 나열 공급하면 지관 공급슈트(40)의 측면에 장착된 열풍기(51)가 먼저 지관(P) 내를 가열시켜 지관 이송부(40)의 좌우 이송대(41)에 형성된 제1 안착홈(41a)에 가열된 지관(P)이 낙하하여 안착이 이루어진다.
이후 좌우 이송대(41)는 도 10에서와 같이 슬라이드대(43)에 연결된 에어 실린더(42)와 하부에 결합된 LM가이드(44)의 안내로 전진 이동하여 제1 안착홈(41a)에 안착된 지관(P)을 지관 고정부(30)의 하부 압지구(32) 상측에 교차하도록 위치하면 하부 압지구(32)는 에어 실린더(33)의 작동으로 상승하여 지관(P)을 제1 안착홈(41a)으로부터 이탈되게 들어올려 상부 압지구(31)와 함께 상하로 지관(P)의 외면을 물어 압지 고정되게 한다.
이때 상기 하부 압지구(32)가 상승하여 지관(P)을 상부 압지구(31)와 물어주면, 도 11에서와 같이 지관 이송부(40)의 슬라이드대(43)는 에어 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후진하여 좌우 이송대(41)의 제1 안착홈(41a)이 지관 공급슈트(50)로부터 지관(P)을 공급받도록 위치하고 제2 안착홈(41b)은 상승한 하부 압지구(3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부 압지구(31)와 하부 압지구(32)에 의해 고정된 지관(P)은 라벨지 제거부(10)와는 수평으로 나란히 위치하여 줌으로서 에어 실린더(4)와 모터(6)에 축 연결되어 전후진 및 회전하는 구동축(8)과 결합하는 분할된 헤드구(11)가 지관(P) 내로 삽입이 이루어진다.
이때 분할된 헤드구(11)를 지관(P) 내로 삽입시에 헤드구(11)의 후미에 결합된 이동브라켓(13)이 완충스프링(13b)에 의해 탄력 지지하에 전방 지지판(14)과 후방 지지판(15)을 연결하는 지지봉(16)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 구성되어 이동브라켓(13)이 전진하여 헤드구(11)가 전방 지지판(14)으로부터 돌출시켜 줌으로서 도 9에서와 같이 지관(P) 내에 칼날(11a)이 장착된 헤드구(11) 부분이 삽입이 이루어지고 지관(P)의 외측에는 전방 지지판(14)이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동브라켓(13)에 의해 헤드구(11)가 지관(P) 내에 삽입되면 헤드구(P)와 마주하는 헤드구 조절부(20)의 스토퍼(23)에 의해 헤드구(11)의 중앙에 갖는 확장쐐기(12)가 완충스프링(12a)의 탄력 지지하에 후진하면서 분할된 헤드구(11)를 확장시켜 줌으로서 칼날(11a)이 지관(P) 내에서 확장되어 라벨지를 칼날(11a)이 회전하면서 제거하도록 함과 동시에 확장된 헤드구(11)가 지관(P)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수축으로 변형된 지관의 외형을 복원하는 역할을 동시에 행하게 된다.
이때 지관(P) 내에서 확장되어 회전하는 칼날(11a)은 도 7에서와 같이 전방 지지판(14)에 형성된 칼날 안내홈(14b) 내에서 확장되어 만곡진 칼날(11a) 부분이 지관(P)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라벨지를 둥글게 말아주면서 제거하도록 하고, 이후 헤드구(11)가 지관(P) 내에서 후진하여 빠져나오면 전방 지지판(14)의 칼날 안내홈(14b)에 의해 칼날(11a)에 붙은 라벨지가 걸림되어 간단히 떨어지게 하여 항시 칼날(11a)에는 제거된 라벨지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전방 지지판(14)의 칼날 안내홈(14b)에 의해 칼날(11a)에 붙은 라벨지를 제거함에 있어 전방 지지판(14)의 상측에 설치된 에어분사기(17)를 통해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줌으로서 전방 지지판(14)에도 항시 제거된 라벨지가 남아있지 않도록 외부로 배출하도록 해준다.
이후 지관(P)으로부터 라벨지를 제거한 헤드구(11)는 후진하여 원위치 상태로 이동토록 함에, 이때 헤드구(11)를 확장시키는 확장쐐기(12)와 스토퍼(23) 간의 접촉이 해지되면서 헤드구(11)의 외면을 감싸는 지지스프링(11b)과 이동브라켓(13)에 설치된 복귀스프링(13a)에 의해 헤드구(11)의 확장이 해지되고, 구동축(8)의 후진에 따른 이동브라켓(13)과 결합된 헤드구(11)를 전방 지지판(14)의 후방으로 다시 이동되게 함과 동시에 구동축(8)과 함께 전,후방 지지판(14)(15)도 후진하여 라벨지 제거부(10) 전체가 에어 실린더(4)의 작동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여 지관(P)에 삽입 전 초기상태로 대기하면서 모터(6)의 구동에 의해 회전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라벨지 제거부(10)를 통해 지관(P)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의 제거작업이 완료되면, 도 12에서와 같이 라벨지가 제거된 지관(P)은 지관 고정부(30)의 하부 압지구(32)가 에어 실린더(33)의 작동에 의해 하강하고 이때 하강하는 하부 압지구(32)는 좌우 이송대(41)의 제2 안착홈(41b)과 교차하에 지관(P)을 제2 안착홈(41b)에 안착토록 하면서 지관(P)이 없는 상태로 하강한다.
이에 하부 압지구(32)의 하강이 완료되면 지관 이송부(40)의 슬라이드대(43)가 에어 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좌우 이송대(41)가 전진함에 좌우 이송대(41)의 제1 안착홈(41a)에 라벨지가 부착된 지관(P)은 하부 압지구(32)의 상측에 위치하고 라벨지가 제거된 지관(P)은 제2 안착홈(41b)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 압지구(32)의 돌출편(32a) 상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한 상태에서 도 13에서와 같이 좌우 이송대(41)의 제1 안착홈(41a)에 안착된 지관(P)은 다시 하부 압지구(32)가 상승하여 상부 압지구(31)로 이송되게 함과 동시에 하부 압지구(32)의 전방에 하향 경사진 돌출편(32a) 역시 상승하면서 제2 안착홈(41b)에 안착된 라벨지가 제거된 지관(P)을 들어주면서 좌우 이송대(41)가 후진함에 따라 좌우 이송대(41)와는 완전히 분리되어 수직지지대(21)에 갖는 안내편(25)과 지관 이송부(40)의 상측에 갖는 지지판(18)의 안내를 받아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한 지관의 라벨지 제거작업이 완료된다.
이에 다시 도 11에서와 같이 라벨지가 부착된 지관(P)은 다시 상부 압지구(31)와 하부 압지구(32)에 의해 고정되면서 지관(P) 내로 라벨지 제거부(10)의 분할된 헤드구(11)에 장착된 ?날(11a)이 삽입 확장되어 라벨지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작업이 연속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라벨지 제거장치(A)는 지관(P)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제거함에, 라벨지 제거부(10), 헤드구 조절부(20), 지관 고정부(30), 지관 이송부(40), 지관 공급슈트(50)로서 구성하여 이를 서로 연동하에 자동화로서 라벨지를 제거하고 이송 및 배출되게 함으로서 지관을 재활용함에 따른 인력과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종이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뿐만 아니라 원단제직기에 사용되는 각종 원통형의 보빈에 부착된 라벨지를 제거하는 자동화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A)-- 라벨지 제거장치 (P)-- 지관
(2)-- 본체프레임 (4)-- 에어 실린더
(6)-- 모터 (8)-- 구동축
(9)-- 상판 (10)-- 라벨지 제거부
(11)-- 헤드구 (11a)-- 칼날
(11b)-- 지지스프링 (12)-- 확장쐐기
(12a)-- 완충스프링 (13)-- 이동브라켓
(13a)-- 복귀스프링 (13b)-- 완충스프링
(14)-- 전방 지지판 (14a)-- 통공
(14b)-- 칼날 안내홈 (15)-- 후방 지지판
(16)-- 지지봉 (17)-- 에어분사기
(18)-- 지지판 (20)-- 헤드구 조절부
(21)-- 수직지지대 (22)-- 헤드구 삽입관
(23)-- 스토퍼 (23a)-- 홈
(24)-- 나사조절봉 (25)-- 안내편
(30)-- 지관 고정부 (31)-- 상부 압지구
(32)-- 하부 압자구 (32a)-- 돌출편
(33)-- 에어 실린더 (34)-- 패드
(40)-- 지관 이송부 (41)-- 좌우 이송대
(41a)-- 제1 안착홈 (41b)-- 제2 안착홈
(42)-- 에어 실린더 (43)-- 슬라이드대
(44)-- LM가이드 (50)-- 지관 공급슈트
(51)-- 열풍기

Claims (9)

  1. 본체프레임(2) 상에 에어 실린더(4)와 모터(6)로부터 축 연결하여 전후진 및 회전하는 구동축(8)에 다수의 칼날(11a)이 장착된 헤드구(11)를 결합하여 지관(P) 내에 헤드구(11)를 삽입시키는 라벨지 제거부(10)와,
    라벨지 제거부(10)의 전방에는 헤드구(11)에 장착된 칼날(11a)을 지관(P) 내의 중앙에 위치토록 정지되게 스토퍼(23)가 장착된 헤드구 조절부(20)와,
    라벨지 제거부(10)와 헤드구 조절부(20) 사이에는 상판(9)에 고정된 상부 압지구(31)와 하측에 에어 실린더(33)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하부 압지구(32)를 형성하여 지관(P)을 헤드구(11)와 수평으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물림 및 해지하는 지관 고정부(30)와,
    지관 고정부(30)의 하측에는 하부 압지구(32)를 중앙에 두고 제1 안착홈(41a)과 제2 안착홈(41b)이 형성된 좌우 이송대(41)를 양측으로 이격시켜 마주하도록 구비하되 좌우 이송대(41)는 에어 실린더(42)와 연결되어 LM가이드(44)를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슬라이드대(43)와 결합시켜 지관(P)을 상,하부 압지구(31)(32) 사이로 이송 및 배출하는 지관 이송부(40)와,
    지관 이송부(40)의 일측에는 지관(P)들을 나열 공급하는 지관 공급슈트(50)가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라벨지 제거부(10)의 구동축(8) 상에 전방 지지판(14)과 후방 지지판(15)을 지지봉(16)으로 연결하되 전,후방 지지판(14)(15) 사이의 지지봉(16)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작동하는 이동브라켓(13)을 구성하여 이동브라켓(13)이 완충스프링(13b)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헤드구(11)를 전방 지지판(14)으로부터 전진시켜 돌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축(8)과 결합하는 헤드구(11)를 3등분으로 분할되게 형성하여 각 외면에 칼날(11a)을 고정 설치하고, 분할된 헤드구(11)의 중앙에 확장쐐기(12)를 끼워 완충스프링(12a)에 의해 탄력 지지토록 구성하여 헤드구(11)와 마주하는 스토퍼(23)에 의해 확장쐐기(12)가 후진하여 분할된 헤드구(11)가 확장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분할된 헤드구(11)의 외면에 전체를 감싸져 탄력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1b)을 장착하고, 분할된 헤드구(11)의 각 후미에는 이동브라켓(13)으로부터 탄력 지지하도록 복귀스프링(13a)을 장착하여 확장쐐기(12)로부터 헤드구(11)가 확장 해지시에 원상태로 복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전방 지지판(14)의 중앙에는 헤드구(11)가 전후진하는 통공(14a)에 칼날 안내홈(14b)을 형성하여 헤드구(11)에 돌출된 칼날(11a)이 칼날 안내홈(14b) 내에서 전후진 하면서 칼날(11a)에 붙은 라벨지가 제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지관 고정부(30)를 구성하는 상부 압지구(31)와 하부 압지구(32)를 상하로 마주하여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하고, 상,하부 압지구(31)(32)의 내측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패드(34)를 부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스토퍼(23)의 후미에 나사조절봉(24)을 베어링을 축으로 결합 구성하여 스토퍼(23)가 나사조절봉(24)부터 회전되게 하고, 나사조절봉(24)을 통해 스토퍼(23)의 위치를 조절하여 확장쐐기(12)의 후진 정도에 따라 헤드구(11)의 확장범위를 조절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헤드구(11)의 상측에 에어분사기(17)를 장착하여 칼날(11a)에 의해 제거되어 붙은 라벨지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켜 칼날(11a)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지관(P)을 나열 공급하는 지관 공급슈트(50)의 측면에 열풍기(51)를 장착하여 지관(P)의 내면에 부착된 라벨지를 가열하여 지관 이송부(40)의 좌우 이송대(41)에 공급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KR1020150085335A 2015-06-16 2015-06-16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KR101705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335A KR101705863B1 (ko) 2015-06-16 2015-06-16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335A KR101705863B1 (ko) 2015-06-16 2015-06-16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365A KR20160148365A (ko) 2016-12-26
KR101705863B1 true KR101705863B1 (ko) 2017-02-10

Family

ID=5773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335A KR101705863B1 (ko) 2015-06-16 2015-06-16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8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2314A (zh) * 2018-10-18 2019-02-15 李晓明 一种基于动力摩擦的红酒瓶表面标签纸去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1749B (zh) * 2018-07-12 2021-02-26 北京中联勘工程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测压管水力清淤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392B1 (ko) * 1992-05-20 1995-02-18 강승수 지관자동재생시스템
KR950003603Y1 (ko) * 1992-06-11 1995-05-09 김형려 떡 가공장치
KR100273129B1 (ko) * 1998-08-11 2000-12-01 정규성 비디오테이프의 라벨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0187595Y1 (ko) * 2000-02-03 2000-07-15 박성균 차양의 탈착이 가능한 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2314A (zh) * 2018-10-18 2019-02-15 李晓明 一种基于动力摩擦的红酒瓶表面标签纸去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365A (ko)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863B1 (ko) 지관에 부착된 라벨지 제거장치
CN110202428B (zh) 纸管变形修复机
CN106965242A (zh) 模切机的万能清废机构
KR101645947B1 (ko) 파이프 내경 용접비드 제거장치
CN211815001U (zh) 一种用于织带加工的织带定型设备
JP6516288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システム及び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
JP2799959B2 (ja) プレス加工装置
KR101297570B1 (ko) 자동차용 금속튜브 제조장치
JP7108388B2 (ja) 被縫製物搬送装置
KR102204518B1 (ko) 코팬더 머신
KR20170138376A (ko) 합성수지재 대형 용기의 성형장치
KR101203336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프레스 성형시스템
CN213096363U (zh) 一种口罩机的送料辊调节装置
JP6189176B2 (ja) 成形品表面加飾方法及び成形品表面加飾装置
JP4756140B2 (ja) 発泡ウレタンロールの製造装置
CN111705537B (zh) 全自动纤维卫生纸生产线及生产方法
CN211220993U (zh) 一种电路板冲孔后孔内废料清理装置
KR102101359B1 (ko) 롤투롤 방식 이동판재의 디자인 문양 연속 펀칭장치
KR101528623B1 (ko) 코팬더 머신
US3036336A (en) Feed lifting mechanism
US2580883A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pressing thermoplastic sheet material
KR100438864B1 (ko) 모자다림기의 모울드 자동 이송장치
CN112079177A (zh) 头巾穿球设备及其工作方法
KR101257557B1 (ko) 시트 가공 장치
US1941986A (en) Conveyer truck lo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