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290B1 -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290B1
KR101705290B1 KR1020090135154A KR20090135154A KR101705290B1 KR 101705290 B1 KR101705290 B1 KR 101705290B1 KR 1020090135154 A KR1020090135154 A KR 1020090135154A KR 20090135154 A KR20090135154 A KR 20090135154A KR 101705290 B1 KR101705290 B1 KR 101705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inseng
skin
ginseng fruit
external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8365A (ko
Inventor
정한순
임갑영
김소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13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2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의 지상부 중에서 독특한 성분과 조성을 갖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지방세포의 피하 지방 분해 효과 및 셀룰라이트의 제거 효과가 우수한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 열매, 지방세포, 지방 분해, 셀룰라이트 제거, 슬리밍, 피부 외용제 조성물

Description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slimming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s}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의 지상부 중에서 독특한 성분과 조성을 갖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지방세포의 피하 지방 분해 효과 및 셀룰라이트의 제거 효과가 우수한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가피과 인삼 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2,000여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생약이며, 경험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지금까지 알려진 인삼의 효능 및 효과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항발암 작용, 항암활성, 면역기능 조절작용, 항당뇨 작용, 간기능 항진효능, 심혈관 장해개선, 항동맥경화 작용, 혈압조절 작용, 갱년기 장애 개선,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 항스트레스 및 항피로 작용, 항산화 활성 및 노화억제 효능 등이 있다(최신고려인삼 '성분 및 효능편', 한 국인삼연초연구원, 56-112, 1996).
인삼의 대표적 생리활성 성분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인삼의 지상 및 지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인삼근(뿌리), 인삼엽 및 인삼 열매 등 부위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함량뿐만 아니라 조성도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Attele AS et al, Biochem Pharmacol, 58; 1685-1693, 1999).
최근 천연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동시에 한방 소재를 활용하는 많은 화장품들이 출시되면서 인삼도 화장품의 중요한 피부효능을 가진 식물소재로 연구되고 있으나, 대부분 인삼근을 이용한 추출물 또는 인삼근의 진세노사이드 성분과 인삼다당체를 활용한 것일 뿐 인삼 열매의 성분에 의한 슬리밍 효능에 대한 것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인삼 열매는 예로부터 인삼보다도 귀하게 여겨지는 것으로서 종자 획득을 목적으로 선별되어 수확되어 왔다. 인삼 열매는 인삼의 재배기간 중 4년생에 한해서 1회만 채종하게 되며, 3년생에서 채종하면 종자가 너무 작기 때문에 좋은 묘삼을 생산하기가 어렵고 5년생 이상에서 채종하면 종자는 충실하고 좋으나 인삼뿌리의 비대발육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여 홍삼을 제조할 때 홍삼품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 채종횟수를 재배기간 중에 2회 이상으로 채종하면 수량 및 홍삼품질이 크게 저하된다(최신고려인삼 '재배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130-131, 1996).
인체 내에는 약 200억 개나 되는 지방세포가 존재하고 있으며 포유류의 생체 내에서 에너지를 축적하거나 방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세포 내에서는 에 너지의 축적과 방출에 대한 복잡한 조절 원리가 존재하는데 에너지의 수요보다 공급이 월등히 많을 경우에는 지방세포 내에 중성지방으로 저장되었다가, 에너지가 고갈되었을 때 다시 유리 지방산과 포도당으로 분해되어 사용된다. 비만은 이 과정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과도한 에너지의 축적이 일어났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거나 그 수가 증가하는 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아름다운 몸매에 대한 여성들의 관심은 풍족한 생활에 의한 비만의 증가뿐 아니라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 경제적 독립, 그리고 질적인 삶의 욕구 등에 따라 급속도로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과도한 피하 지방의 제거 및 피부 탄력의 증진에 효과적인 슬리밍(slimming) 및 안티 셀룰라이트(anti-celullite)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 계속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방세포 내에서 지방 분해를 촉진하고 배출을 도우면서 안전한 지방 분해 활성 성분을 개발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인삼 열매 추출물이 일반적인 인삼 및 홍삼과는 다른 성분과 조성으로 인하여 피부에 도포시 지방세포 내 중성 지방의 분해를 촉진하는 효능이 뛰어나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피하 지방의 두께를 감소시키며 셀룰라이트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안전한 천연 소재를 사용하여 지방세포 분해를 촉진하고 셀룰라이트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효성분으로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삼의 지상부 중에서 인삼근과 차별적 성분과 조성을 갖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세포 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성 지방을 글리세롤과 유리 지방산으로 분해하여 배출하는 과정을 촉진시키고 피하 지방층을 감소시켜 줄 뿐만 아니라, 울퉁불퉁한 피부의 원인이 되는 셀룰라이트를 감소시킴으로써 탄력 있고 매끈한 피부를 만들어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한 인삼 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한 후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중성 지방을 분해시키고 셀룰라이트를 감소시켜 날씬한 몸매를 가꾸는데 효능이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고, 따라서 피부용 제형으로 투여시 피하 지방을 분해하는 슬리밍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본 발명의 인삼 열매 추출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50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0.0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의 분해와 여성 피부의 탄력, 아름다움 및 유연함을 줄 목적이라면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 체적으로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의 필수성분인 인삼 열매 추출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피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1) 인삼 열매 전처리: 생(生)인삼 열매를 수확하여 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한 후 인삼 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하여 인삼 열매 건조원료를 제조하였다.
2)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인삼 열매 건조물 1kg에 물 3L를 가하여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40~45℃에서 감압농축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 300g을 얻었다.
[제조예 2] 인삼근 추출물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인삼 열매 대신에 인삼근(뿌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성분비교
<인삼 열매와 인삼근의 진세노사이드(인삼사포닌) 성분분석>
상기 제조예 1~2에서 각각 인삼 열매와 인삼근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이들 추출물에 에테르(ether)를 처리하여 지용성 성분을 제거한 후 부탄올(BuOH)로 조사포닌을 추출, 농축하여 HPLC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 제조예 2
조사포닌함량
(건조중량)
33.42% 16.70%
PD/PT 비율 0.73 3.23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조사포닌 함량에 있어서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인삼근 추출물의 약 2배 함량을 가지고 있었으며, 진세노사이드를 PD(Protopanaxadiol)계-"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및 Rd" 및 PT(Protopanaxatriol)계-"진세노사이드 Re, Rg1 및 Rg2"의 비율로 구분하였을 때 각각 0.73과 3.23으로 그 조성에 있어서 인삼 열매와 인삼근은 뚜렷한 차이 및 특징을 나타내었다.
<인삼 열매 추출물의 미네랄 성분분석>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인삼 열매 추출물이 인삼과는 다른 '과실'로서의 특징을 가짐을 구분하기 위하여 비타민을 비롯한 미네랄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성분 함량
칼륨(mg/100g) 5865.57 마그네슘(mg/100g) 354.38
칼슘(mg/100g) 819.26 아연(mg/100g) 178.49
철(mg/100g) 59.31 비타민 A(㎍/100g, RE) 213.11
인(mg/100g) 187.17 비타민 B1(mg/100g) 12.29
비타민 B2(mg/100g) 8.45 비타민 B6(mg/100g) 10.50
비타민C(mg/100g) 4.91 비타민 E(mg/100g, a-TE) 23.61
비타민 K(㎍/100g) 232.12 나이아신(mg/100g, NE) 5.76
판토텐산(mg/100g) 5.87 엽산(㎍/100g) 349.97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삼 열매의 성분적 특성은 인삼근 보다 많은 인삼사포닌을 함유함과 동시에 사포닌 조성의 성질이 정반대이고, 또한 인삼근과 달리 열매로서 비타민과 미네랄 16종의 함량이 풍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피부효능에 대한 하기 실험들을 진행하였다.
[시험예 2] 인삼 열매 추출물의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분해 촉진 효과
생쥐의 섬유아세포주(fibroblast cell line)인 3T3-L1 세포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BRL, Life Technologes 社) 배지가 담긴 6 well 배양 플레이트(culture plate)에 1x105cells/well로 부착시켰다. 2일이 지난 후 다시 새로운 DMEM(10% FBS 함유) 배지로 교환하고 2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한 세포를 다시 1㎍/㎖ 인슐린(insulin), 0.5mM IBMX 및 0.25μ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함유한 DMEM(10% FBS 함유)로 분화 유도를 하고 2일이 경과한 후 다시 인슐린이 포함된 DMEM으로 교환하여 5일 동안 배양하였다. 5일 후 다시 정상 배지(DMEM, 10% FBS 함유)로 교환하고 상기 세포가 형태적으로 지방세포로 변화할 때까지 관찰하면서 배양하였다.
인삼 열매 추출물의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분해 촉진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분화가 완료된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3T3-L1 지방세포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2회 세척하고 지방산이 없는 0.5% 우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을 포함한 무색의 DMEM을 첨가한 후 취하여 각각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시험물질이나 비교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만을 사용한 것이고, 그 결과 값을 100%로 하였을 때 기타 값을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비교군으로 카페인 0.1%를 처리하였다. 지방 분해 정도는 지방세포로부터 배양액 중으로 유리된 포도당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판단하였다. 포도당의 정량은 미국 시그마 社(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한 GPO-trinder kit를 이용한 발색반응법으로 하였으며,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대조군 카페인
0.1%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예 1) 0.01%
인삼근 추출물
(제조예 2) 0.01%
유리된 글리세롤의 양 100% 167% 232% 120%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삼 열매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지방세포로부터 배양액 중으로 유리되는 포도당의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열매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인삼근 추출물의 처리군보다 뛰어난 지방 분해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카페인을 처리했을 때보다 더욱 우수한 지방분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인삼 열매 추출물의 슬리밍 효과
인삼 열매 추출물의 슬리밍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슬리밍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중량%) 비교예 1(중량%)
정제수 To 100 To 100
인삼 열매 추출물(제조예 1) 1.0 -
인삼근 추출물(제조예 2) - 1.0
식물성 경화유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폴리글리세롤-10 펜타스테아릭 & 베헤닐 알코올 &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 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0 4.00
메도우폼 열매기름 3.00 3.00
세틸 옥타노에이트 4.00 4.00
사이클로메티콘 6.00 6.00
메틸파라벤 0.20 0.20
프로필 파라벤 0.10 0.10
디소디움 EDTA 0.02 0.02
트리메탄올아민 0.13 0.13
글리세린 8.00 8.00
카보머 0.13 0.13
국소 비만이나 셀룰라이트가 있는 여성 중 BMI(Body Mass Index, 체중(kg)/신장(m)2)가 21~27인 25~46세의 성인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아침과 저녁 하루 2회 한쪽 허벅지에 집에서 사용자의 마사지와 함께 상기 제형의 로션을 사용하고 8주 동안 사용전, 사용후를 기기평가, 연구자(피부과 의사)에 의한 평가 및 설문평가에 의해 효과 여부를 판단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피하 지방층의 두께(단위: mm) 측정은 Ultrasound-EuB 415 US scanner를 이용하였으며 얻어진 수치는 양측검정으로 Student t test 또는 Wilcoxon test를 이용하여 사용전과 사용후를 비교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분석하였다(유의수준 α=0.05).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연구자에 의한 육안 평가는 탄력과 셀룰라이트 정도에 의해 평가하였다. 얻어진 수치는 양측검정으로 Wilcoxon test를 이용하여 사용전과 사용후를 비교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분석하였다(유의수준 α=0.05). 평가 지표 중 탄력은 최하 1점에서 최고 9점까지 9 단계로 평가하였으며, 셀룰라이트 정도는 육안 평가에 의해 0점에서 4점까지 5 단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피하지방두께의 감소율(%) 2.8 0.2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을 첨가한 실시예 1을 사용한 경우 허벅지 둘레가 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때, 시험기간 동안 피검자의 몸무게는 변화가 없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셀룰라이트 감소율(%) 20 3
탄력 증가율(%) 15 2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연구자에 의한 효능 평가에서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을 사용한 부위에서 셀룰라이트 감소(20%) 및 피부 탄력 증가(15%)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의 탄력의 감소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피하지방과 셀룰라이트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우수한 슬리밍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4)

  1.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셀룰라이트 제거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열매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5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셀룰라이트 부위의 피하 지방을 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셀룰라이트 제거 및 개선용 화장품.
KR1020090135154A 2009-12-31 2009-12-31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05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154A KR101705290B1 (ko) 2009-12-31 2009-12-31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154A KR101705290B1 (ko) 2009-12-31 2009-12-31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365A KR20110078365A (ko) 2011-07-07
KR101705290B1 true KR101705290B1 (ko) 2017-02-10

Family

ID=44917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154A KR101705290B1 (ko) 2009-12-31 2009-12-31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418B1 (ko) * 2010-07-02 2017-01-31 (주)아모레퍼시픽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367B1 (ko) * 2007-04-20 2014-09-05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105470A (ko) * 2007-05-31 2008-12-04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365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36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3262175B (zh) 皮肤护理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101208012B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0067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420150A (zh) 一种含有辣木籽提取物的抗衰老护肤品组合物
KR101940658B1 (ko) 마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3025B1 (ko) 인삼 열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37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80077762A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생약화장료조성물
KR101427573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5290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57790B1 (ko) 황숙종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49246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보조식품 조성물
KR101656710B1 (ko) 활성물질이 증진된 인삼 꽃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78888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90128230A (ko) 포제를 활용한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1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7574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4028513B (zh) 一种改善银屑病的沙棘叶组合物及其应用
KR101804998B1 (ko) 인삼 열매의 자연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