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178B1 -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178B1
KR101705178B1 KR1020150152917A KR20150152917A KR101705178B1 KR 101705178 B1 KR101705178 B1 KR 101705178B1 KR 1020150152917 A KR1020150152917 A KR 1020150152917A KR 20150152917 A KR20150152917 A KR 20150152917A KR 101705178 B1 KR101705178 B1 KR 10170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knob
flap
fill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2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3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 B60H1/3442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the frame being sphe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07Nozzles; Air-diffusers providing an air stream in a fixed direction, e.g. using a grid or porous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divergence, convergence or oscillation of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64Detail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풍을 차량 실내로 토출 또는 차단시키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깊이로 홈이 파인 모양을 갖되 상기 홈의 바닥면에서 필러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러의 외주면에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냉온풍이 공급되는 위치에서 차체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로 냉온풍이 토출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필러에서 상승하강하도록 장착되는 노브; 및 토출구의 하부에서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필러에 결합되고 상단은 노브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가 상승했을 때는 펼쳐져 토출구를 차폐하고 상기 노브가 하강했을 때는 굽혀져 토출구를 개방시키는 플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노브의 상승높이를 조절하여 매우 용이하게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Structure of air-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공조장치를 통해 냉각되거나 가열된 냉온풍을 차량 실내로 토출 또는 차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되는 풍량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완전 개방이 이뤄진 상태에서도 내부가 보이지 않으므로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공조장치가 탑재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컨덴서에 의해 냉각된 냉풍 또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차량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차량 실내에 마련된 에어벤트(air vent)를 통해 냉온풍의 토출이 이뤄진다.
상기 에어벤트의 사전적 의미는 '공기가 토출되는 구멍'을 의미하나 일반적으로 차량 실내에서 냉온풍의 유동방향을 조절하거나 차단시키는 부분 또는 공기 토출구가 마련되고 유동방향을 조절하거나 차단시키는 장치 자체를 지칭하는 의미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 냉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고 유동방향을 조절하거나 차단시키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량의 에어벤트는 운전석 전면의 대시보드 및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콘솔박스 등과 같이 한정된 부분에만 마련되나, 버스와 같이 차량 실내 공간이 넓고 다수의 승객이 착석하는 차량에는 각 좌석마다 윗쪽 루프패널 저면에 에어벤트들이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에어벤트는 (노브를 눌렀을 때)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원 형상의 댐퍼들(1a, 1b)을 회전시켜 열림과 닫힘만 조절될 뿐이고 풍량을 제어할 수 없었다. 그리고, 램프(미도시) 및 램프스위치(2) 스피커 등과 조립체 형태로 생산됨에 따라 열림 상태에 있을 때 내부로 램프의 빛이 새어나와 미관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탑승자가 용이하게 풍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도 토출구 내부가 노출되지 않아 빛샘 현상 및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온풍을 차량 실내로 토출 또는 차단시키는 에어벤트의 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깊이로 홈이 파인 모양을 갖되 상기 홈의 바닥면에서 필러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러의 외주면에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냉온풍이 공급되는 위치에서 차체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로 냉온풍이 토출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필러에서 상승하강하도록 장착되는 노브; 및 토출구의 하부에서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필러에 결합되고 상단은 노브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가 상승했을 때는 펼쳐져 토출구를 차폐하고 상기 노브가 하강했을 때는 굽혀져 토출구를 개방시키는 플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러는 다각기둥 모양(바람직하게는 육각형기둥)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측면들 마다 토출구가 형성되고, 각 토출구 마다 대응하는 플랩이 장착된다.
상기 플랩은 상단이 노브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어퍼플랩;과 토출구의 하부에서 하단이 필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로워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플랩 하단과 로워플랩 상단의 연결지점이 굽혀지도록 결합되되, 노브가 아래로 하강했을 때 휘어지지 않도록 상기 어퍼플랩과 로워플랩은 비가요성(nonflexible) 재질로 제조된다.
상기 어퍼플랩의 상단에는 양측 각각으로 돌출되도록 핀이 관통결합되고, 상기 핀은 토출구의 양측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필러에 형성된 활주홈에 끼워져 상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핀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다.
그리고, 굽혀졌을 때 어퍼플랩과 로워플랩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90°를 초과하고 180° 미만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노브에는 방사형 방향으로 확장된 다수 개의 블레이드들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노브의 상승높이를 조절하여 매우 용이하게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구조에서 냉온풍은 필러의 측방향에서 배출된 후, 홈을 따라 배출되는 구조로써 풍향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에어벤트의 뒷면이 보이지 않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빛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에어벤트가 닫혔을 때(i)와 개방됐을 때(ii)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도 2 의 차량용 에어벤트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플랩이 180°로 펼쳐진 상태와 120°로 굽혀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5 는 토출구 양측으로 필러에 활주홈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필러에 노브와 플랩이 결합된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 은 노브의 하강에 따라 플랩이 굽혀져 토출구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 은 노브의 하강 높이에 따라 토출구의 개방량(e, f)이 가변된 모습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공조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냉온풍을 차량 실내로 토출 또는 차단시키는 에어벤트(100)에 관한 것으로써,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우징(10)에 노브(20)와 플랩(30)이 결합되는 구성을 갖되 상기 노브(20)가 상승하면 냉온풍의 유입이 차단되고, 노브(20)가 하강할수록 냉온풍의 토출풍량이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램프 스피커 등과 함께 장착되는) 종래의 조립체에 결합되고 냉온풍이 공급되는 덕트(미도시)에 연결가능하되 소정의 깊이로 홈이 파인 모양을 갖고, 상기 홈의 바닥면에서 필러(11)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러(11)의 외주면에는 토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는 하우징의 바닥면에 타공된 홀과 개통되어 상기 하우징이 (냉온풍이 공급되는) 덕트에 장착되면 냉온풍을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필러(11)는 원통형 모양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각 면마다 플랩(3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다각기둥 모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러(11)가 육각형기둥 모양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사각기둥 팔각기둥 모양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필러(11)의 외주면에는 노브(20)가 상승하강 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노브(20)는 필러(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에 육각형모양의 홀이 타공되되 둘레를 따라 방사형 방향으로 확장된 다수 개의 블레이드들(21)이 형성된 모양을 갖는다. 상기 블레이드들(21)은 냉온풍의 토출에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디자인적 측면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디자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브(20)는 플랩(30)과 결합되어 필러(11)에 장착되되, 상기 플랩(30)은 토출구(12)의 하부에서 하단이 (상하운동은 제한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필러(11)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플랩(30)은 상단이 노브(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어퍼플랩(31)과 토출구(12)의 하부에서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필러(11)에 결합된 로워플랩(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플랩(31) 하단과 로워플랩(32) 상단의 연결지점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굽혀지도록 결합된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필러(11)는 각각의 측면들 마다 토출구(12)가 형성되고, 각 토출구(12) 마다 대응하는 플랩(30)이 장착되도록 구성되나, 사양에 따라서 각 측면 중 일부만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플랩(30)은 노브(20)가 상승했을 때는 펼쳐져 토출구(12)를 차폐하고 상기 노브(20)가 하강했을 때는 굽혀져 토출구(12)를 개방시킨다. 상기 플랩(30)은 반복되는 굽힘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브(20)가 아래로 하강했을 때 (연결부위에서 굽혀지기만 할 뿐이고) 휘어지지 않는 비가요성(nonflexible)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랩(30)이 펼쳐졌을 때 상기 어퍼플랩(31)과 로워플랩(32) 사이의 각도는 180°를 이루며, 굽혀졌을 때 어퍼플랩(31)과 로워플랩(32)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90°이하로 과도하게 굽혀졌을 때 파손 또는 변형을 방지도록) 90°를 초과하고 180° 미만으로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적으로, 상기 플랩(30)은 노브(20)가 하강했을 때 휘어져 냉온풍이 토출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필름재 등으로도 제조될 수도 있을 것이나, 이 경우에는 (냉온풍의 압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여 닫힌 경우에도 냉온풍이 새어나올 수 있으므로 적합한 내구성을 갖는 재질 및 적절한 두께를 갖도록 제조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어퍼플랩(31) 및 로워플랩(32)은 체결지점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핀들(미도시)을 통하여 결합이 이뤄진다. 즉, 어퍼플랩(31)은 도 4 의 a 지점에서 핀을 통하여 노브(20)와 회동가능하겨 연결되며, b 지점에서는 핀을 통하여 어퍼플랩(31)과 로워플랩(32)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c 지점에서는 핀을 통하여 로워플랩(32)이 필러(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도 4 와 6 참조).
특히, a 지점에서 노브(20)와 어퍼플랩(31)을 결합시키는 핀은 어퍼플랩(31)을 양측 각각으로 돌출되도록 관통결합되되,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2)의 양측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필러(11)에 형성된 활주홈(13)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a 지점에 결합되는 핀은 활주홈(13)을 따라 (노브와 연동하여) 상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어퍼플랩(31)은 a 지점에 결합되는 핀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어벤트(100)는 노브(20)가 하강하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2)를 막고 있던 플랩(30)이 굽혀지면서 냉온풍이 빠져나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냉온풍의 토출이 이뤄진다.
이때, 냉온풍의 토출량은 노브(20)의 높이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0)를 상대적으로 적게 하강시킬 때 발생하는 공간의 크기(e)와 노브를 상대적으로 많이 하강시킬 때 발생하는 공간의 크기(f)는 다르게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선호하는 바람세기에 맞게 노브(20)의 높이 조절을 통해 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노브의(20) 높이 조절을 통해 용이하게 풍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냉온풍이 방사형 방향으로 토출되는 구조이므로 풍향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뒷면이 밀폐될 수 있으므로, 플랩(30)을 최대 개방하여도 덕트 내부가 보이는 문제 및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필러(11)의 상단부(14, 도 3 참조)는 여유공간으로써 컬러유리 등을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디자인적 특징이 강조되도록 설계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필러
12 : 토출구
20 : 노브
21 : 블레이드
30 : 플랩
31 : 어퍼플랩
32 : 로워플랩

Claims (6)

  1. 냉온풍을 차량 실내로 토출 또는 차단시키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깊이로 홈이 파인 모양을 갖되 상기 홈의 바닥면에서 필러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러의 외주면에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냉온풍이 공급되는 위치에서 차체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로 냉온풍이 토출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필러에서 상승하강하도록 장착되는 노브; 및
    토출구의 하부에서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필러에 결합되고 상단은 노브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가 상승했을 때는 펼쳐져 토출구를 차폐하고 상기 노브가 하강했을 때는 굽혀져 토출구를 개방시키는 플랩;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다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측면들 마다 토출구가 형성되고, 각 토출구 마다 대응하는 플랩들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단이 노브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어퍼플랩;과 토출구의 하부에서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필러에 결합된 로워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플랩 하단과 로워플랩 상단의 연결지점이 굽혀지도록 결합된 것을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플랩의 상단에는 양측 각각으로 돌출되도록 핀이 관통결합되고, 상기 핀은 토출구의 양측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필러에 형성된 활주홈에 끼워져 상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핀을 축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굽혀졌을 때 어퍼플랩과 로워플랩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90°를 초과하고 180°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에는 방사형 방향으로 확장된 다수 개의 블레이드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
KR1020150152917A 2015-11-02 2015-11-02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 KR101705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917A KR101705178B1 (ko) 2015-11-02 2015-11-02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917A KR101705178B1 (ko) 2015-11-02 2015-11-02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178B1 true KR101705178B1 (ko) 2017-02-09

Family

ID=5815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917A KR101705178B1 (ko) 2015-11-02 2015-11-02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45A1 (ko) * 2019-11-15 2021-05-2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루프 에어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011B1 (ko) * 1995-12-22 1998-04-07 김태구 자동차용 에어 벤트
JP2002168511A (ja) * 2000-11-30 2002-06-14 Nippon Plast Co Ltd 吹出口装置
JP4044821B2 (ja) * 2002-10-07 2008-02-06 株式会社アルデエンジニアリング 給排気用のグリル
JP2011168141A (ja) * 2010-02-17 2011-09-0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のエア吹出構造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011B1 (ko) * 1995-12-22 1998-04-07 김태구 자동차용 에어 벤트
JP2002168511A (ja) * 2000-11-30 2002-06-14 Nippon Plast Co Ltd 吹出口装置
JP4044821B2 (ja) * 2002-10-07 2008-02-06 株式会社アルデエンジニアリング 給排気用のグリル
JP2011168141A (ja) * 2010-02-17 2011-09-0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のエア吹出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45A1 (ko) * 2019-11-15 2021-05-2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루프 에어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83222A1 (en) Air vent
EP1752713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O2017041694A1 (zh) 空气调节装置顶盖组件及空气调节装置
KR20080037279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JP2017013783A (ja) 車両用風向調整装置
KR101705178B1 (ko)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조
US9969244B2 (en) Vehicle instrument panel with deployable air register
US11884125B2 (en) Air ventilator for automobile
KR101624573B1 (ko) 윙노브 일체형 댐퍼개폐장치
CN203432042U (zh) 一种汽车空调出风口
KR20110037755A (ko) 차량용 에어 벤트
US20150174987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US20200124316A1 (en) Air diffuser
CN206703896U (zh) 乘用车及其排气格栅
KR102131447B1 (ko) 차량의 에어벤트
KR101982019B1 (ko) 상이한 작동 각을 구현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
CN209336683U (zh) 一种除霜风道、空调系统及汽车
KR20150070561A (ko)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KR20160057201A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20130043495A (ko) 에어벤트 장치
KR200404464Y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KR102205970B1 (ko)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
KR101859758B1 (ko) 에어벤트 장치
KR100354120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20130009543A (ko) 차량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