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234B1 -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234B1
KR101704234B1 KR1020150101001A KR20150101001A KR101704234B1 KR 101704234 B1 KR101704234 B1 KR 101704234B1 KR 1020150101001 A KR1020150101001 A KR 1020150101001A KR 20150101001 A KR20150101001 A KR 20150101001A KR 101704234 B1 KR101704234 B1 KR 101704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ube main
power
cover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9358A (ko
Inventor
요우 도리자와
겐지 고지마
기요시 에베
히토시 스즈키
야스시 다카이
마이 오이카와
미츠루 와타나베
가즈키 나카타
시게노리 오이누마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63629A external-priority patent/JP63660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63631A external-priority patent/JP6366063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30Arrangement of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장관에 부설되는 전력선의 증가를 피하고, 통 선단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광원 및 광원용 전원회로를 배치한 편리성이 높은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를 제공한다.
연장관(25) 및 전기청소기(1)는 후크 커버부(109) 내에 수용되는 전력선(47)에 접속되는 소켓(89)과, 후크 커버부(109)의 외면부(116)에 설치되는 광원(48)과, 내부관 본체(5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원회로(49)를 구비하고, 전류나 전압이 다른 각각의 전기회로를 별개의 공간에 분산시킴으로써, 연장관(25)에 부설되는 전력선(47)의 총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EXTENSION TUBE AND 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는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흡입구체측의 단부에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광원용 전원회로와, 청소기 본체내의 전원회로로부터 집진호스 및 연장관을 거쳐 광원에 도달하는 전력선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전력선은 흡입구체측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흡입구체용 전력선과는 별개로 부설(敷設)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69023호
그런데 광원용 전원회로를 광원에 근접시켜 배치하거나 일체화함으로써 집진호스 및 연장관에 부설되는 전력선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광원용 전원회로를 광원에 근접시켜 배치하거나, 일체화함으로써 연장관의 통 선단의 대형화를 초래하면, 좁은 장소의 청소가 곤란해져 전기청소기의 편리성을 저하시킨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연장관에 부설되는 전력선의 증가를 피하고, 통 선단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광원 및 광원용 전원회로를 배치한 편리성이 높은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은, 풍로를 형성하며 이음부를 갖는 관 본체와, 상기 관 본체의 이음부에서의 상기 관 본체 외주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후크 커버와, 상기 후크 커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관 본체에 끼워지는 인접 구조체의 이음부에 걸어 맞추어져 상기 인접 구조체의 이음부가 상기 관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와, 상기 관 본체 외주면에 설치된 상기 후크 커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관 본체에 끼워지는 상기 인접 구조체의 전기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과, 상기 후크 커버의 외면부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관 본체의 이음부에서의 상기 관 본체 외주면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력선에 흐르는 입력전력을 조정하여 상기 광원에 출력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수용되어 부압을 발생시키는 전동송풍기와, 상기 전동송풍기에 연결 접속되는 상기 연장관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연장관에 부설되는 전력선의 증가를 피하고, 통 선단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광원 및 광원용 전원회로를 배치한 편리성이 높은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의 후크 커버부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에 대해서 내부관 본체의 이음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청소기이다. 전기청소기(1)는 피청소면상을 주행 가능한 청소기 본체(2)와, 청소기 본체(2)에 착탈 자유로운 관부(3)를 구비하고 있다. 청소기 본체(2)와 관부(3)는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청소기 본체(2)는 본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5)의 좌우 양측방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바퀴(6)와, 본체 케이스(5)의 전반부에 배치되는 착탈 자유로운 먼지 분리 집진부(7)와, 본체 케이스(5)의 후반부에 수납되는 전동송풍기(8)와, 주로 전동송풍기(8)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9)와, 전동송풍기(8)로 전력을 인도하는 전원코드(11)를 구비하고 있다.
청소기 본체(2)는 전원코드(11)를 거쳐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동송풍기(8)를 구동시키고, 전동송풍기(8)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을 관부(3)에 작용시키고 있다. 전기청소기(1)는 관부(3)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분리 후의 먼지를 포집하여 축적하고 또한 분리후의 공기를 배기한다.
본체 케이스(5)의 정면 부분에는 본체 접속구(12)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접속구(12)는 청소기 본체(2)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의 입구이고, 관부(3)와 먼지 분리 집진부(7)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바퀴(6)는 대직경의 주행바퀴이고, 청소기 본체(2)를 지지하고 있다.
먼지 분리 집진부(7)는 청소기 본체(2)로 흘러 들어가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하는 한편, 먼지가 제거된 청정한 공기를 전동송풍기(8)로 보낸다. 먼지 분리 집진부(7)는 원심분리방식이어도 좋고, 여과분리방식이어도 좋다.
전동송풍기(8)는 먼지 분리 집진부(7)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부압(흡입 부압)을 발생시킨다.
본체 제어부(9)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생략),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각종 연산 프로그램,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장치에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모드가 기억되어 있다.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모드는 전동송풍기(8)의 운전출력의 대소에 관련되는 것으로, 관부(3)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고 있다. 각각의 운전모드에는 서로 다른 입력값(전동송풍기(8)의 입력값)이 설정되어 있다. 본체 제어부(9)는 관부(3)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그 조작내용에 대응하는 임의의 운전모드를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모드로부터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운전모드에 따라서 전동송풍기(8)를 제어한다.
전원코드(11)는 배선용 삽입 접속기(도시 생략, 소위 콘센트)로부터 청소기 본체(2)로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코드(11)의 자유단부에는 배선용 삽입 접속기로 착탈 자유로운 전원 플러그(14)가 설치되어 있다.
관부(3)는 청소기 본체(2)로부터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고, 청소기 본체(2)로 안내한다. 관부(3)는 청소기 본체(2)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이음매로서의 접속관(19), 접속관(19)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집진호스(21), 집진호스(21)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손잡이 조작관(22),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23), 손잡이부(23)에 설치되는 조작부(24), 손잡이 조작관(22)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연장관(25), 및 연장관(25)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흡입구체(26)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관(19)은 본체 접속구(12)로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이음매이고, 본체 접속구(12)를 통하여 먼지 분리 집진부(7)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집진 호스(21)는 길이가 긴 가요성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호스이다. 집진호스(21)의 한쪽의 단부(여기에서는 공기가 유통하는 방향에서의 하류측이 되는 후방의 단부)는 접속관(19)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집진호스(21)는 접속관(19)을 통하여 먼지 분리 집진부(7)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손잡이 조작관(22)은 집진호스(21)와 연장관(25)을 중계하고 있다. 손잡이 조작관(22)의 한쪽의 단부(여기에서는 공기가 유통하는 방향에서의 하류측이 되는 후방의 단부)는 집진호스(21)의 다른쪽 단부(여기에서는 공기가 유통하는 방향에서의 상류측이 되는 전방의 단부)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손잡이 조작관(22)은 집진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하여 먼지 분리 집진부(7)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손잡이부(23)는 전기청소기(1)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손잡이부(23)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적절한 형상으로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조작부(24)는 각각의 운전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24)는 전동송풍기(8)의 운전 정지 조작에 대응하는 정지스위치(24a)와, 전동송풍기(8)의 운전개시조작에 대응하는 기동 스위치(24b)와, 흡입구체(26)로의 전원공급에 대응하는 브러시 스위치(24c)를 구비하고 있다. 정지 스위치(24a) 및 기동 스위치(24b)는 본체 제어부(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기청소기(1)의 사용자는 조작부(24)를 조작하여 전동송풍기(8)의 운전모드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기동스위치(24b)는 전동송풍기(8)의 운전중에, 운전모드의 선택 스위치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이 경우, 본체 제어부(9)는 기동 스위치(24b)로부터 조작신호를 수취할 때마다 운전모드를 강→중→약→강→중→약……의 순으로 전환한다. 또한, 조작부(24)는 기동 스위치(24b)를 대신하여 강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중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및 약운전 스위치(도시 생략)를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복수의 통 형상체를 서로 겹친 텔레스코픽 구조의 연장관(25)은 신축 가능한 가늘고 긴 대략 원통형상의 관이다. 연장관(25)의 한쪽의 단부(여기에서는 공기가 유통하는 방향에서의 하류측이 되는 후방의 단부)에는 손잡이 조작관(22)의 다른쪽 단부(여기에서는 공기가 유통하는 방향에서의 상류측이 되는 전방의 단부)에 착탈 자유로운 이음매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연장관(25)은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하여 먼지 분리 집진부(7)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연장관(25)의 다른쪽 단부(여기에서는 공기가 유통하는 방향에서의 상류측이 되는 전방의 단부)에는 조명장치(27)가 설치되어 있다. 조명장치(27)는 흡입구체(26)의 전방, 즉 전기청소기(1)의 사용자가 흡입구체(26)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킬 때의 전진방향의 피청소면을 비추어 피청소면상의 먼지의 시인성을 높인다.
흡입구체(26)는 나무마루나 카펫 등의 피청소면상을 주행 자유롭거나 또는 활주 자유롭고, 주행상태 또는 활주상태에서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저면에 흡입구(28)를 갖는다. 또한, 흡입구체(26)는 흡입구(28)에 배치되어 있는 회전 자유로운 회전청소체(29)와, 회전청소체(29)를 구동시키는 전동기(31)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체(26)의 한쪽 단부(여기에서는 공기가 유통하는 방향에서의 하류측이 되는, 후방의 단부)에는 연장관(25)의 다른쪽 단부(여기에서는 공기가 유통하는 방향에서의 상류측이 되는 전방의 단부)에 착탈 자유로운 이음매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체(26)는 연장관(25), 손잡이 조작관(22), 집진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하여 먼지 분리 집진부(7)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흡입구체(26), 연장관(25), 손잡이 조작관(22), 집진호스(21), 접속관(19), 및 먼지 분리 집진부(7)는 전동송풍기(8)로부터 흡입구(28)에 이르는 흡입풍로이다. 전동기(31)는 브러시 스위치(24c)로부터 조작신호를 수취할 때마다 운전 개시와 정지를 번갈아 반복한다.
전기청소기(1)는 기동 스위치(24b)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수신하면 전동송풍기(8)를 시동시킨다. 예를 들어, 전기청소기(1)는 전동송풍기(8)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동 스위치(24b)에 대한 조작을 수신하면, 우선 전동송풍기(8)를 강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다시 기동스위치(24b)에 대한 조작을 수신하면 전동송풍기(8)를 중운전 모드로 운전하며, 3번째로 기동스위치(24b)에 대한 조작을 수신하면 전동송풍기(8)를 약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이하 동일하게 반복한다. 강운전 모드, 중운전 모드 및 약운전 모드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모드이고, 강운전 모드, 중운전 모드, 약운전 모드의 순으로 전동송풍기(8)에 대한 입력값이 작다. 시동한 전동송풍기(8)는 먼지 분리 집진부(7)로부터 공기를 배기하여 그 내부를 부압으로 한다.
먼지분리 집진부(7) 내의 부압은 본체 접속구(12), 접속관(19), 집진호스(21), 손잡이 조작관(22), 연장관(25), 및 흡입구체(26)를 차례로 통하여 흡입구(28)에 작용한다. 전기청소기(1)는 흡입구(28)에 작용한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상의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먼지분리 집진부(7)는 전기청소기(1)에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축적하는 한편, 먼지가 포함된 공기로부터 분리된 공기를 전동송풍기(8)로 보낸다. 전동송풍기(8)는 먼지분리 집진부(7)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청소기 본체(2) 밖으로 배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전원 플러그(14)를 통하여 상용교류전원(E)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본체 제어회로(35)와, 본체 제어회로(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흡입구체 제어회로(36)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제어회로(35)는 상용교류전원(E)으로 직렬로 접속되는 전동송풍기(8)와, 상용교류전원(E)과 전동송풍기(8)를 접속하는 전로(電路)를 개폐시키는 제1 스위칭 소자(37)와, 상용교류전원(E)과 흡입구체 제어회로(36)를 접속하는 전로를 개폐시키는 제2 스위칭 소자(38)와, 상용교류전원(E)에 접속되어 본체 제어부(9)의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본체 전원부(39)와, 제1 스위칭 소자(37) 및 제2 스위칭 소자(38)의 스위칭 제어를 실시하는 본체 제어부(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위칭 소자(37)는 본체 제어부(9)에 접속되는 게이트를 갖고, 본체 제어부(9)에 의한 게이트 전류의 변화에 따라서 전동송풍기(8)의 입력을 변화시킨다. 제2 스위칭 소자(38)는 본체 제어부(9)에 접속되는 게이트를 갖고, 본체 제어부(9)에 의한 게이트 전류의 변화에 따라서 흡입구체 제어회로(36)의 입력을 변화시킨다. 제1 스위칭 소자(37) 및 제2 스위칭 소자(38)는 쌍방향 사이리스터나 역저지(逆阻止) 3단자 사이리스터 등의 소자이다.
본체 전원부(39)는 본체 제어부(9)의 제어 전원이다.
조작부(24)는 정지 스위치(24a) 및 기동 스위치(24b)의 조작에 대응하여 본체 전원부(39)의 출력전압의 분압값을 변화시키는 전압 가변 회로(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24)가 변화시키는 본체 전원부(39)의 출력 전압의 분압값은 본체 제어부(9)가 수취하는 조작신호이다.
본체 제어부(9)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고, 도시하지 않은 중앙처리부, 메모리, I/O부 및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는 중앙처리부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이나,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정수(定數) 등의 데이터를 미리 기억한다. 이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각 운전모드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나타내는 정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는 중앙처리부의 연산 데이터를 일시 기억해 두는 데이터 기억영역 및 작업영역이다.
본체 제어부(9)는 조작부(24)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신호와, 제로크로스 검출기(도시 생략)가 검출하는 상용교류전원(E)의 제로크로스 타이밍을 주기적으로 판독하고,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서 제1 스위칭 소자(37) 및 제2 스위칭 소자(38)의 스위칭 제어(위상 제어)를 실시하고 전동송풍기(8) 및 흡입구체 제어회로(36)의 입력을 제어한다.
본체 제어부(9)는, 예를 들어 강운전 모드, 중운전 모드 및 약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3개의 운전모드에 따라서 전동송풍기(8)의 입력을 제어한다. 본체 제어부(9)는 기동스위치(24b)로부터 조작신호를 수취할 때마다, 운전모드를 차례로 전환하여 제1 스위칭 소자(37)의 스위칭 제어를 실시한다.
본체 제어부(9)는 제2 스위칭 소자(38)의 스위칭 제어를 실시하고 상용교류전원(E)과 흡입구체 제어회로(36) 사이의 전로를 접속하거나 차단한다.
본체 제어부(9)는 상용교류전원(E)과 전동송풍기(8)를 접속하는 전로 및 상용교류전원(E)과 전동기(31)를 접속하는 전로의 전류값을 계측하여 전동송풍기(8) 및 전동기(31)의 각각의 부하를 감시한다.
흡입구체 제어회로(36)는 본체 제어회로(35)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원 검출부(42), 본체 제어회로(35)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흡입구체 전원부(43), 흡입구체 전원부(43)에 접속하여 전동기(31)의 입력을 변화시키는 스위칭 회로(45), 및 스위칭 회로(45)의 스위칭 제어를 실시하는 흡입구체 제어부(46)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검출부(42)는 본체 제어회로(35)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파형을 검출하여 흡입구체 제어부(46)로 출력한다.
스위칭 회로(45)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도시 생략)를 갖는 브리지 회로이다. 스위칭 회로(45)는 흡입구체 제어부(46)의 제어에 따라서 전동기(31)의 입력이나 회전방향을 변화시킨다.
흡입구체 제어부(46)도 본체 제어부(9)와 동일하게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고, 도시하지 않은 중앙처리부, 메모리, I/O부 및 타이머를 구비한다. 메모리는 중앙처리부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이나,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정수 등의 데이터를 미리 기억한다. 또한, 메모리는 중앙처리부의 연산 데이터 등을 일시 기억해 두는 데이터 기억영역 및 작업영역이다.
흡입구체 제어부(46)는 제2 스위칭 소자(38)의 스위칭 제어에 의해 본체 제어회로(35)측으로부터 흡입구체 제어회로(36)로 전력의 공급이 개시되면, 흡입구체 전원부(43)로부터 전력을 얻어 동작 가능해진다. 또한, 흡입구체 제어부(46)는 전원 검출부(42)로부터 전압파형의 정보를 판독하고, 이 전압파형에 동기시켜 스위칭 회로(45)의 스위칭 제어를 실시하여 전동기(31)의 입력이나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본체 제어회로(35)와 흡입구체 제어회로(36)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력선(47)에는 조명장치(27)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조명장치(27)는 광원(48)과, 전력선(4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력선(47)에 흐르는 입력전력을 조정하여 광원(48)에 출력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4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흡입구체 제어회로(36)는 전력선(47)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기기, 예를 들어 이온발생장치와 같은 기기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다음에, 연장관(2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25)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25)의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25)은 관직경에 대해서 길이가 긴 외부관 본체(51)와, 외부관 본체(51)의 관내로부터 인출 또는 관내로 수납 자유로운 내부관 본체(52)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관 본체(51), 및 내부관 본체(52)는 폴리프로필렌제의 성형품이다.
외부관 본체(51)의 한쪽 단부에는 손잡이 조작관(22)에 접속되는 이음부(53)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관 본체(51)의 다른쪽 단부에는 내부관 본체(52)가 삽입되어 있다. 외부관 본체(51)의 상면에는 터널부(55)가 설치되어 있다. 터널부(55)는 외부관 본체(51)보다 짧고, 외부관 본체(51)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외부관 본체(51)는 그 외주면의 한쪽에 설치되고, 외부관 본체(51)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서로가 대략 평행으로 나열되는 복수쌍, 예를 들어 4쌍의 브래킷부(56, 57)를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부(56, 57)의 각각은 외부관 본체(51)의 둘레방향으로 보아 대면, 대향하고 있다. 또한, 브래킷부(56, 57)는 비대면, 비대향인 위치, 즉 외부관 본체(51)의 길이방향으로 보아 서로 다르게 나열되어 있어도 좋다.
내부관 본체(52)의 외부직경은 외부관 본체(51)의 내부직경보다 약간 작다.
내부관 본체(52)의 한쪽 단부는 외부관 본체(51)의 관내에 삽입되어 있다. 내부관 본체(52)의 다른쪽 단부는 내부관 본체(52)가 외부관 본체(51)에 가장 깊게 삽입된 상태이어도 외부관 본체(51)의 외부에 남는다. 내부관 본체(52)는 내부관 본체(52)가 외부관 본체(51)에 가장 깊게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관 본체(51)의 외부에 남는 부분에, 흡입구체(26)에 접속되는 이음부(58)를 구비하고 있다.
이음부(58)는 인접 구조체인 흡입구체(26)를 연장관(25)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후크(59)와, 이음부(58)를 둘러싸고 보호하는 보호커버(61)를 구비하고 있다. 후크(59)는 코일 스프링(62)에 의해 흡입구체(26)를 고정하는 방향으로 억압되어 있다.
보호커버(61)는 이음부(58)를 둘러싸는 환형상 커버로, 이음부(58)의 개구방향을 향하여 확장 개방되어 있다. 보호커버(61)는 내부관 본체(52)의 이음부(58)의 하면측에서 내부관 본체(52)에 지지되는 고정구(63)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2)측에 설치되는 피고정구(도시 생략)에 고정구(63)가 걸리면, 연장관(25)은 상하방향으로 지향하는 자세로 관부(3)를 지지하고, 전기청소기(1)를 콤팩트한 수납형태로 한다.
이음부(58)에는 조명장치(27)가 설치되어 있다. 조명장치(27)는 보호커버(61)에 서로 이어지는 조명커버(65)와, 조명커버(65)내에 설치되는 광원(48)과, 광원(48)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49)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회로(49)는 상자형상의 전원회로 보호용기(67) 내에 수용되어 있다.
광원(48) 및 조명커버(65)는 내부관 본체(52)의 이음부(58)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호커버(61)의 상면은 이음부(58)의 후방측으로부터 이음부(58)의 중간 정도에 걸쳐 완만하게 경사지면서 내부관 본체(52)의 직경 바깥 방향으로 확대되고, 후크(59)의 누름면(68) 근방에서 서서히 경사를 강화하여 조명 커버(65)에 서로 이어지는 구릉부(69)를 갖고 있다. 구릉부(69)는 후크(59)의 누름면(68)을 눌러 넣는 손가락이 인접 구조물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구릉부(69)는 내부관 본체(52)의 전방을 비추는 조명장치(27)에 서로 이어져 있다.
또한, 내부관 본체(52)의 전방이라는 것은 흡입구체(26)나 연장관(25)의 통 선단에서 청소를 실시할 때, 흡입구체(26)나 연장관(25)의 통 선단이 전진하는 앞을 말한다.
다음에, 외부관 본체(51)와 내부관 본체(52)의 연결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장관(25)은 도 3, 도 4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외부관 본체(51)의 관내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링(71)과, 외부관 본체(51)의 다른쪽 단부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링(72)과, 제1 가이드링(71)과 제2 가이드링(72) 사이에 끼이는 시일링(73)과, 내부관 본체(52)에 설치되는 스토퍼(7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가이드링(71) 및 제2 가이드링(72)은 외부관 본체(51) 내의 내부관 본체(52)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2 가이드링(72)은 터널부(55)의 개구단에 적합한 칼라부(76)를 구비하고 있다. 칼라부(76)는 터널부(55)의 중공부분에 연결되는 개구(77)를 구비하고 있다.
시일링(73)은 외부관 본체(51)의 내주면과 내부관 본체(52)의 외주면 사이로부터 연장관(25)의 관 외부의 공기가 관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스토퍼(75)는 내부관 본체(52)의 한쪽 단부에 설치되는 스토퍼 유지부(78)에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75)는 외부관 본체(51)에 대한 내부관 본체(52)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방지부재이고, 또한 외부관 본체(51)로부터 내부관 본체(5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부재이기도 하다.
다음에, 외부관 본체(51)측의 전력선 수용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장관(25)은 외부관 본체(51)측의 전력선 수용구조로서, 외부관 본체(51)의 외주면의 한쪽에 설치되고 외부관 본체(5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연체제의 제1 터널커버(7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터널커버(79)는 외부관 본체(51)의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쪽 단부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터널커버(79)는 외부관 본체(51)의 길이축 방향으로 긴 터널 부재(81)와, 터널 부재(81)의 이음부(53)측의 단부를 외부관 본체(51)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단부 커버(82)를 구비하고 있다.
단부 커버(82) 및 제1 터널커버(79)의 한쪽 단부(이음부(53)에 가까운 측의 단부)는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외부관 본체(51)의 보스(83)에 함께 체결되어 있다. 제1 터널커버(79)의 다른쪽 단부(외부관 본체(51)와 내부관 본체(52)의 서로 이어지는 부분에 가까운 측의 단부)는 터널부재(81)의 피고정 구멍(85)을 관통하는 외부관 본체(51)에 설치한 한쌍의 고정편(86)에 의해 외부관 본체(51)에 끼워져 있다.
다음에, 내부관 본체(52)측의 전력선 수용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장관(25)은 내부관 본체(52)측의 전력선 수용구조로서 내부관 본체(52)에 설치되는 터널 내부관(87)을 구비하고 있다. 터널 내부관(87)은 내부관 본체(52)의 이음부(58)의 근방으로부터 외부관 본체(51)를 향하여 연장되고, 터널부(55)에 도달하고 있다. 터널 내부관(87)은 내부관 본체(52)와 함께 이동하여 제1 터널 커버(79)내로부터 인출되고, 또는 제1 터널커버(79)내로 수납된다.
외부관 본체(51)측의 전력선 수용구조와 내부관 본체(52)측의 전력선 수용구조는 협동하여 연장관(25)의 전장(全長)에 걸쳐 전력선(47)(도 4 내지 도 6 참조)을 절연한다.
다음에, 외부관 본체(51) 및 내부관 본체(52)의 전력선 수용구조에 수납되는 전력선(47)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장관(25)의 전장에 걸쳐 배치되는 전력선(47)은 외부관 본체(51) 및 내부관 본체(52)의 외측에 배치되고, 청소기 본체(2)측,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흡입구체(26)로 급전한다.
전력선(47)은 그 전장에 걸쳐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연장관(25)의 신축에 추종할 수 있다. 전력선(47)은 시스(sheath)(88) 내에 수납되어 있다. 시스(88)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의 성형품이고 절연체이다. 시스(88)는 제1 터널 커버(79)의 전장 또는 터널 내부관(87)의 전장보다 짧고 연장관(25)의 신축동작을 저해하지 않는다. 연장관(25)을 신장시키면, 전력선(47)은 시스(88)보다 길어지고, 시스(88)로부터 불거져 나온다. 그래서, 연장관(25)의 전력선 수용구조는 시스(88)로부터 불거져 나오는 전력선(47)을 덮어 감추고 있다. 전력선(47)의 각각의 단부에는 손잡이 조작관(22) 또는 흡입구체(26)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실시하는 소켓(89) 및 플러그(91)(도 6 및 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장관(25)은 신축하는 전장을 단계적으로 위치 결정하여 가고정하는 전장 조정 기구(92)를 구비하고 있다. 전장 조정 기구(92)는 외부관 본체(51)에 설치되는 전장조정스위치(93)와, 내부관 본체(52)의 터널 내부관(87)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장위치결정 오목부(95)를 구비한다.
전장위치결정 오목부(95)는 터널 내부관(87)의 길이방향, 더 나아가서는 내부관 본체(52), 연장관(25)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나열되고, 각각의 위치에서 연장관(25)의 길이를 가고정하고, 전장의 조정과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외부관 본체(51) 및 내부관 본체(52)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통과하는 풍로를 갖고 있다.
그리고, 외부관 본체(51)는 내부관 본체(52)를 삽입하는 측의 단부(즉, 외부관 본체(51)의 다른쪽 단부)의 단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깊이, 안길이)에 걸쳐 다른 부분보다 내부직경이 확대된 대직경부(9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가이드링(71), 제2 가이드링(72) 및 시일링(73)은 대직경부(96)의 내주면과 내부관 본체(52)의 외주면 사이에 끼워져 대직경부(96)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외부관 본체(51)의 관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97)이 설치되어 있다. 내부관 본체(52)에 고정되는 스토퍼(75)는 가이드홈(97)에 끼워져 외부관 본체(51)와 내부관 본체(52)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외부관 본체(51)는 대직경부(96)와 가이드홈(97)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 부분(98)을 구비한다. 칸막이 부분(98)은 스토퍼(75)의 이동범위를 규제하여 외부관 본체(51)로부터 내부관 본체(5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전장 조정 기구(92)의 전장 조정 스위치(93)는 터널부(55)를 향하여 개방되는 상자 형상의 누름부(99)와, 누름부(99)에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서로 이격하는 한쌍의 아암(101)과, 터널 내부관(87)의 전장위치결정 오목부(95)에 삽입 분리 가능한 핀(102)과, 핀(102)을 전장위치결정 오목부(95)에 끼우는 방향으로 누름부(99)를 누르는 코일 스프링(103)을 구비하고 있다.
누름부(99)는 동일선상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축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105)는 터널부(55)측의 베어링체와, 제1 터널 커버(79)측의 베어링체를 포함하는 베어링부(도시 생략)에 배치되어 누름부(99)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누름부(99)는 축부(105) 주위에 시소 형상으로 요동하여 핀(102)을 전장위치결정 오목부(95) 중 어느 것에 끼워 넣어져 외부관 본체(51)와 내부관 본체(52)의 전장을 단계적으로 가고정하거나, 핀(102)을 전장위치결정 오목부(95)로부터 빼내어 가고정을 해제하거나 한다.
아암(101)은 누름부(99)의 요동에 따라서 핀(102)을 전장위치결정 오목부(95)에 끼워 넣거나, 전장위치결정 오목부(95)로부터 빼낸다.
연장관(25)의 사용자는 코일 스프링(103)에 저항하여 누름부(99)를 누름으로써 누름부(99)를 요동시키고, 아암(101)을 통하여 전장위치결정 오목부(95)로부터 핀(102)을 뽑아 코일 스프링(103)에 저항하여 외부관 본체(51)와 내부관 본체(52)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연장관(25)의 신축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연장관(25)은 사용자가 누름부(99)의 누름을 멈추면, 코일 스프링(103)의 스프링력에 의해 누름부(99)를 요동시키고, 아암(101)을 통하여 핀(102)을 전장위치결정 오목부(95)로 끼워 넣어, 외부관 본체(51)와 내부관 본체(52)를 가고정한다.
이어서, 외부관 본체(51)의 전력선 수납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터널 커버(79)는 외부관 본체(51)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쪽 단부로 연장되는 제1 절연실(106)을 구획하고 있다. 제1 절연실(106)은 외부관 본체(51)의 관 내부, 즉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통과하는 관내 통로로부터는 이격되어 있다.
이어서, 내부관 본체(52)의 전력선 수납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터널 내부관(87)은, 내부관 본체(52)의 이음부(58)에 고정되는 단부를 기부(基部)로 하여 외부관 본체(51)측을 향하여 캔틸레버보 형상으로 연장되고, 외부관 본체(51)의 제1 절연실(106)에 끼워져 있다. 터널 내부관(87)은 제1 가이드링(72)의 개구(77)를 통하여 외부관 본체(51)의 터널부(55)를 통과하여 제1 절연실(106)에 도달하고 있다.
터널 내부관(87)은 내부관 본체(52)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2 터널 커버(107)와, 내부관 본체(52)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내부관 본체(52)를 향하는 커버 내측 덮개(108)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터널 커버(107) 및 커버 내부 덮개(108)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이나 ABS 수지의 성형품이고 절연체이기도 하다.
도 5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2 터널 커버(107)는 내부관 본체(52)와 협동하여 후크(59)를 지지하는 후크 커버부(109)를 구비하고 있다. 후크 커버부(109)는 내부관 본체(52)의 이음부(58)이고, 내부관 본체(52)의 상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후크 커버부(109)는 중공인 상자형상의 커버이다.
후크(59)는 후크 커버부(109) 내에 설치되어 있다. 후크(59)는 내부관 본체(52)와 후크 커버부(109) 사이에 끼워 넣어져 요동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후크(59)는 내부관 본체(52)에 끼워 넣어지는 인접 구조체로서의 흡입구체(26)의 이음부에 걸어 맞추어 이음부가 내부관 본체(5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후크(59)는 내부관 본체(52)의 단면(내부관 본체(52)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면에서의 단면)에서의 둘레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으로서의 후크축(111) 둘레에 요동하여 흡입구체(26)의 이음부에 걸어 맞추고, 또한 흡입구체(26)의 이음부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할 때 흡입구체(26)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밀어 넣는 누름면(68)을 갖고 있다.
내부관 본체(52)의 길이방향으로 이음부(5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5 중의 2점 쇄선 A)을 기준 각도인 0도로 하고, 내부관 본체(52)의 직경방향으로 내부관 본체(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5 중의 2점 쇄선 B)를 90도로 하는 경우, 누름면(68)의 법선(n)은 0도 내지 45도의 범위(R)를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누름면(68)의 법선(n)은 45도를 향하고 있다. 즉, 누름면(68)의 법선(n)이 범위(R)내를 향하고 있는 경우에서, 후크(59)가 후크축(111) 둘레를 요동하면, 누름면(68)은 내부관 본체(52)의 중심선에 접근하기 보다도 인접구조체로서의 흡입구체(26)로 접근하는 거리쪽이 크다. 또는, 내부관 본체(52)의 중심선으로 접근하는 거리와 흡입구체(26)로 접근하는 거리가 동등해진다. 이때, 사용자는 누름면(68)을 흡입구체(26)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누르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누름면(68)은 후크축(111)으로부터 내부관 본체(52)의 직경방향을 향하여 똑바로 연장되는 벽부(112)에 서로 이어지고 있다. 즉, 내부관 본체(52)의 길이방향으로 보아 누름면(68)이 후크축(111)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후크(59)가 밀어 넣어지는 과정에서도 내부관 본체(52)의 중심선에 접근하기 보다도 인접 구조체로서의 흡입구체(26)로 접근하는 거리쪽이 크고, 누름면(68)을 밀어 넣는 사용자는 보다 명확하게 누름면(68)을 흡입구체(26)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누르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커버 내부 덮개(108)는 제2 터널 커버(107)와 협동하여 전력선(47)을 배치하는 제2 절연실(113)을 구획하고 있다. 제2 절연실(113)은 내부관 본체(52)의 관 내부, 즉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관내통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2 절연실(113)은 외부관 본체(51)측의 제1 절연실(106)에 연결되어 있다.
전력선(47)에 접속되는 소켓(89)은 터널 내부관(87)의 다른쪽 단부(이음부(58)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서 터널 내부관(87), 특히 후크 커버부(109) 내에 수용되어 있다(도 5, 도 6 참조). 소켓(89)은 인접 구조체인 흡입구체(26)가 이음부(58)에 접속되어 있는 것에 수반하여, 제2 절연실(113) 내에 삽입되는 흡입구체(26)측의 플러그(도시 생략)를 통하여 흡입구체(26)측의 전기회로(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이다.
후크 커버부(109)는 흡입구체(26)측의 플러그를 소켓(89)에 도달시키기 위한 플러그 삽입구멍(115)을 갖고 있다.
이어서, 제1 터널 커버(79)의 한쪽 단부(외부관 본체(51)의 이음부(53)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력선(47)에 접속되는 플러그(91)는 제1 터널 커버(79)의 한쪽의 단부(이음부(53)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서 외부관 본체(5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 절연실(106)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플러그(91)는 인접 구조체인 손잡이 조작관(22)이 이음부(53)에 접속되면, 손잡이 조작관(22)측의 소켓(도시 생략)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어서, 내부관 본체(52)의 이음부(58)에 설치되는 조명장치(27)에 대해서 도 3, 도 5,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명장치(27)는 내부 커버로서의 후크 커버부(109)의 외면부(116)에 설치되는 광원(48)과, 내부관 본체(5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원회로(49)와, 내부관 본체(52)의 이음부(58)에 설치되어 후크 커버부(109) 및 전원 회로(49)를 덮어 감추는 외부 커버로서의 보호 커버(61)를 구비하고 있다.
광원(48)은 후크 커버부(109)에 지지되는 발광회로기판(117)과, 발광회로기판(117)에 설치되고 내부관 본체(52)의 전방을 비추는 발광소자(118)와, 발광회로기판(117) 및 발광소자(118)를 덮는 광원보호커버(119)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회로기판(117)은, 후크 커버부(109)에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기립벽(122)에 설치되는 노치부(123)에 유지되고, 후크 커버부(109)에 꽂힌 상태로 내부관 본체(52)의 직경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발광회로기판(117)은 보호커버(61)에 의해 눌려 있고, 노치부(123)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발광회로기판(117)에는 발광소자(118)의 주위를 둘러싸는 소자 커버(125)가 설치되어 있다. 소자 커버(125)는 발광소자(118)의 주위에서 발광소자(118)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방향으로 나팔형으로 확대되어 있다.
발광소자(118)는 LED(Light Emitting Diode)이고 전구에 비하면 조사되는 광의 지향성이 강하고, 연장관(25)의 전방을 강하게 비출 수 있다.
광원보호커버(119)는 보호커버(61)에 조명커버(65)를 통하여 서로 이어져 매끄럽게 연결되고, 이들 커버(119, 61, 65)는 발광회로기판(117) 및 발광소자(118)의 좌우, 후방 및 상방을 둘러싸고 있다.
전원회로(49)는 내부관 본체(52)의 이음부(58)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원회로(49)는 고정구(63)와 내부관 본체(52) 사이에 끼어 배치되어 있다.
전원회로(49)는 내부관 본체(52)에 유지되어 있다. 내부관 본체(52)에는 전원회로(49)를 유지하는 전원회로 유지틀(126)이 설치되어 있다. 전원회로 유지틀(126)은 내부관 본체(52)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하방을 향하여 상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원회로 유지틀(126)은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고, 보호 커버(61)에 의해 막혀 있다. 전원회로(49)의 전원회로기판(127)은 전원회로 유지틀(126) 내에서 내부관 본체(52)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유지되어 있다.
또한, 전원회로(49)는 전원회로 보호용기(67)를 통하여 전원회로 유지틀(126)에 유지되어 있다. 전원회로 보호용기(67)는 이음부(58)의 개구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전원회로(49)는 우선 전원회로 보호용기(67) 내에 끼워져 유지되고, 이어서 전원회로 보호용기(67)와 함께 전원회로 유지틀(126)에 끼워져 내부관 본체(52)에 유지된다.
조명장치(27), 후크 커버부(109), 및 후크(59)는 내부관 본체(52)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한편, 전원회로(49) 및 보호커버(61)의 고정구(63)는 내부관 본체(52)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관(25)은 내부관 본체(52)의 개구단에 부착되는 브러시(128)를 지지하는 기대(129)를 구비하고 있다. 브러시(128)는 이음부(58)의 개구의 주위를 환형상으로 둘러싸서 연장관(25)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브러시(128)의 선단은 사용자가 연장관(25)을 약간 후방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피청소면에 접촉하기 쉽도록 연장관(25)의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으로 경사지는 면을 따라서 늘어서 있다. 기대(129)도 이음부(58)의 개구의 주위를 환형상으로 둘러싸고 있다. 기대(129)는 이음부(58)의 좌우 각각의 측면에 지지되는 지지 아암부(131)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의 후크 커버부(109)의 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25)의 후크 커버부(109)는 좌우 한쌍의 소켓(89)을 유지하고 있다. 소켓(89)에는 전력선(47)이 접속되어 있다. 전력선(47)에는 전력선(47)으로부터 전원회로(49)로 전력을 인도하는 조명용 전력선(133)(도 7 참조)이 접속되어 있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에 대해서 내부관 본체(52)의 이음부(58)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25)의 조명용 전력선(133)은 후크 커버부(109)의 후단부에서 후크 커버부(109)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내부관 본체(52)의 좌우 양측의 외면을 따라서 내부관 본체(52)의 하면측에 배치되는 전원회로 유지틀(126) 내의 전원회로(49)에 도달하는 입력측 전력선(134), 및 전원회로(49)로부터 내부관 본체(52)의 좌우 양측의 외면 및 후크 커버부(109)의 외면을 따라서 후크 커버부(109)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광원(48)에 도달하는 출력측 전력선(135)을 구비하고 있다. 조명용 전력선(133), 즉 입력측 전력선(134) 및 출력측 전력선(135)은 보호 커버(61)에 의해 덮여 감추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25) 및 전기청소기(1)는 내부관 본체(52)의 외주면 상면측에 배치되는 후크 커버부(109)내에 수용되는 전력선(47)에 접속되는 소켓(89)과, 후크 커버부(109)의 외면부(116)에 설치되는 광원(48)과, 내부관 본체(52)의 외주면 하면측에 배치되는 전원회로(49)를 구비하고, 전류나 전압이 다른 각각의 전기회로를 별도의 공간에 분산시킴으로써, 연장관(25)에 부설되는 전력선(47)의 총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25) 및 전기청소기(1)는 내부관 본체(52)의 외주면 상면측에 배치되는 후크 커버부(109) 내에 수용되는 전력선(47)에 접속되는 소켓(89)과, 후크 커버부(109)의 외면부(116)에 설치되는 광원(48)과, 내부관 본체(52)의 외주면 하면측에 배치되는 전원회로(49)를 구비하며, 전류나 전압이 다른 각각의 전기회로를 별개의 공간에 분산시킴으로써, 연장관(25)의 통 선단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48)은 발광소자(118)를 연장관(25)의 통 선단을 향하게 하기 위해, 발광회로기판(117)을 후크 커버부(109)에 꽂고 있지만, 가령 발광회로기판(117)에 전원회로(49)를 일체화하면 발광회로기판(117)의 대면적화, 대형화는 피하지 못하고, 연장관(25)의 통 선단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25)은 광원(48) 및 전원회로(49)를 연장관(25)에 분산하고, 즉 연장관(25)의 상면측과 하면측에 분산하여 배치함으로써, 광원(48) 및 전원회로(49)의 유지 자세를 최적화하여 연장관(25)의 통 선단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25) 및 전기청소기(1)는 내부관 본체(52)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후크 커버부(109)와, 내부관 본체(52)의 하면측에 배치되는 전원회로(49)를 구비함으로써, 연장관(25)의 좌우 방향의 치수가 가늘게 유지되고, 연장관(25)의 상하 방향의 치수 확대가 억제된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어 가구 사이의 좁은 공간에 끼워 넣기 쉽고,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류나 전압이 다른 각각의 전기회로를 별도의 공간에 분산시킴으로써 광원(48)과 후크(59)의 누름면(68)을 내부관 본체(52)의 이음부(58)에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48)은 발광소자(118)를 연장관(25)의 통 선단을 향하게 하기 위해, 발광회로기판(117)을 후크 커버부(109)에 꽂고 있지만, 가령 발광회로기판(117)에 전원회로(49)를 일체화하면 발광회로기판(117)의 대면적화, 대형화는 피하지 못하고, 후크(59)의 누름면(68)을 이음부(58)의 상면측에 근접시켜 배치하는 공간적인 여유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장관(25)은 광원(48)이 내부관 본체(52)의 이음부(58)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장관(25)의 진행방향을 조명하기 쉽고, 또한 후크(59)의 누름면(68)이 내부관 본체(52)의 이음부(58)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흡입구체(26)의 분리 조작도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연장관(25) 및 전기청소기(1)에 따르면, 연장관(25)에 부설되는 전력선(47)의 증가를 피하고, 통 선단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조명장치(27) 및 전원회로(49)를 배치하므로 편리성이 높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캐니스터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업라이트형, 스틱형, 또는 핸디형 등의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전기청소기 2: 청소기 본체
3: 관부 5: 본체 케이스
7: 먼지 분리 집진부 8: 전동송풍기
9: 본체 제어부 21: 집진 호스
22: 손잡이 조작관 23: 손잡이부
24: 조작부 25: 연장관
26: 흡입구체 27: 조명장치
28: 흡입구 35: 본체 제어회로
36: 흡입구체 제어회로 39: 본체 전원부
43: 흡입구체 전원부 47: 전력선
48: 광원 49: 전원회로
51: 외부관 본체 52: 내부관 본체
53, 58: 이음부 55: 터널부
56: 브래킷부 59: 후크
61: 보호 커버 62: 코일 스프링
63: 고정구 65: 조명커버
67: 전원회로 보호용기 68: 누름면
69: 구릉부 79: 제1 터널 커버
81: 터널 부재 85: 피고정 구멍
86: 고정편 87: 터널 내부관
89: 소켓 91: 플러그
92: 전장 조정 기구 93: 전장 조정 스위치
106: 제1 절연실 107: 제2 터널 커버
108: 커버 내부 덮개 109: 후크 커버부
111: 후크축 112: 벽부
113: 제2 절연실 115: 플러그 삽입구멍
116: 외면부 117: 발광회로기판
118: 발광소자 119: 광원보호커버
122: 기립벽 123: 노치부
125: 소자 커버 126: 전원회로 유지틀
127: 전원회로기판 128: 브러시
133: 조명용 전력선 134: 입력측 전력선
135: 출력측 전력선

Claims (5)

  1. 풍로를 형성하며 이음부를 갖는 관 본체;
    상기 관 본체의 이음부에서의 상기 관 본체 외주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후크 커버;
    상기 후크 커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관 본체에 끼워지는 인접 구조체의 이음부에 걸어 맞추어져 상기 인접 구조체의 이음부가 상기 관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
    상기 관 본체 외주면에 설치된 상기 후크 커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관 본체에 끼워지는 상기 인접 구조체의 전기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
    상기 후크 커버의 외면부에 설치되는 광원; 및
    상기 관 본체의 이음부에서의 상기 관 본체 외주면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력선에 흐르는 입력전력을 조정하여 상기 광원에 출력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를 구비하는 연장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은 상기 후크 커버내에 수용되고, 상기 전기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관 본체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 커버 및 상기 전원회로를 덮어 감추는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연장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커버는 상기 관 본체 외주면의 상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회로는 상기 관 본체 외주면의 하면측에 배치되는 연장관.
  4.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수용되어 부압을 발생시키는 전동송풍기; 및
    상기 전동송풍기에 연결 접속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연장관;을 구비하는 전기청소기.
  5.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수용되어 부압을 발생시키는 전동송풍기; 및
    상기 전동송풍기에 연결 접속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연장관;을 구비하는 전기청소기.
KR1020150101001A 2014-08-11 2015-07-16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 KR101704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63629A JP6366062B2 (ja) 2014-08-11 2014-08-11 延長管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4163631A JP6366063B2 (ja) 2014-08-11 2014-08-11 延長管および電気掃除機
JPJP-P-2014-163631 2014-08-11
JPJP-P-2014-163629 2014-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358A KR20160019358A (ko) 2016-02-19
KR101704234B1 true KR101704234B1 (ko) 2017-02-07

Family

ID=5544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001A KR101704234B1 (ko) 2014-08-11 2015-07-16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4234B1 (ko)
CN (1) CN1061755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6338A (ja) * 2018-02-13 2019-08-2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8937308A (zh) * 2018-07-10 2018-12-07 深圳市晓控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清洁功能的智能沙发
CN109984663A (zh) * 2019-04-18 2019-07-09 江苏环力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吸尘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2734A (ja) * 2012-08-28 2014-03-13 Toshiba Corp 延長管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4069023A (ja) * 2012-10-02 2014-04-21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9925B2 (ja) * 2007-02-28 2009-08-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1278816A (zh) * 2007-04-06 2008-10-0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真空吸尘器风动刷头照明和滚刷保护装置
CN203447232U (zh) * 2013-09-17 2014-02-26 无锡莱吉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照明的吸尘器吸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2734A (ja) * 2012-08-28 2014-03-13 Toshiba Corp 延長管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4069023A (ja) * 2012-10-02 2014-04-21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358A (ko) 2016-02-19
CN106175596A (zh) 2016-12-07
CN106175596B (zh)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5527A (ko) 진공청소기
KR101704234B1 (ko)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
KR102061513B1 (ko)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AU2017314588B2 (en) Vacuum
KR102391129B1 (ko) 진공청소기 및 밸브
JPH02224725A (ja) 掃除機のブラシ吸塵ノズル
US20060213024A1 (en) Vacuum cleaner
US20210113045A1 (en) Cleaner
JP6366062B2 (ja) 延長管および電気掃除機
JP6204126B2 (ja) 電気掃除機
JP6366063B2 (ja) 延長管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3070853A (ja) 掃除機
JP2016036658A (ja) 延長管および電気掃除機
KR100941426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JP2016036656A (ja) 延長管および電気掃除機
KR10093319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JP2013198703A (ja) 電気掃除機
KR102153352B1 (ko) 진공 청소기
KR20180079165A (ko) 청소기
JP4709690B2 (ja) 電気掃除機
KR102548258B1 (ko) 청소기
JP2016152870A (ja) 電気掃除機
JP2023095521A (ja) 電気掃除機スタンド
JP6325954B2 (ja) 電気掃除機
KR20100076133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