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129B1 - 진공청소기 및 밸브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및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129B1
KR102391129B1 KR1020207015552A KR20207015552A KR102391129B1 KR 102391129 B1 KR102391129 B1 KR 102391129B1 KR 1020207015552 A KR1020207015552 A KR 1020207015552A KR 20207015552 A KR20207015552 A KR 20207015552A KR 102391129 B1 KR102391129 B1 KR 10239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portion
hand unit
valve
vacuum clean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699A (ko
Inventor
에릭 달베크
헨릭 홀름
Original Assignee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filed Critical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Publication of KR2020009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30Arrangement of 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원에서 진공청소기(2)가 개시된다. 진공청소기는, 노즐 단부 부분(6) 및 손잡이 단부 부분(8)을 갖는 신장형 부재(4), 및 핸드 유닛(14)을 포함한다. 진공청소기는 노즐 단부 부분(6)에 배치된 밸브(20)를 포함하며, 밸브(2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밸브 부재(40)를 포함한다. 제1 위치에서, 밸브 부재(40)는 공기 흐름이 손잡이 단부 부분(8)을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바닥 노즐(10)로부터 핸드 유닛(14)으로 공기 흐름을 지향시킨다. 제2 위치에서, 밸브 부재(40)는 바닥 노즐(10)로부터 손잡이 단부 부분(8) 및 핸드 유닛(14)으로 공기 흐름을 지향시킨다. 따라서, 핸드 유닛이 노즐 단부 및 손잡이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경우 모두에서, 바닥 노즐을 통해 진공 청소가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및 밸브
본 개시물은 진공청소기, 및 핸드 유닛(hand unit)을 진공청소기의 신장형(elongated) 부재와 유체로(fluidly) 연결하도록 구성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유형의 진공청소기가 공지되어 있다. 한 가지 유형의 진공청소기는 스틱형(stick type)으로 지칭된다. 스틱형 진공청소기는 기본적으로, 일 단부에 손잡이가 있고 다른 단부에 바닥 노즐(floor nozzle)이 있는 슬림형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의 내부에는, 진공청소기를 통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모터 팬 장치, 및 먼지 및 쓰레기를 공기 흐름과 분리시키기 위한 메인 분리 장치가 배치된다. 스틱형 진공청소기는 세워서 사용하도록 설계되며, 사용자는 손잡이를 파지하고 청소될 표면에 걸쳐서 노즐을 이동시킨다.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장점은 소형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수납된다는 점이다. 이는 더 작은 면적을 신속하게 진공 청소하기 위해 대형 진공청소기에 대한 보완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원룸 또는 투룸 아파트와 같은 더 작은 주거 공간에서 메인 진공청소기로 사용될 수 있다.
스틱형의 일부 진공청소기는 핸드 유닛을 포함하며, 핸드 유닛은 그 자체가 예를 들어, 바닥 표면 이외의 다른 표면을 진공 청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투인원(two-in-one) 진공청소기로 지칭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핸드 유닛은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연결된다.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사용 동안, 핸드 유닛은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장착된다. 핸드 유닛은 바닥 노즐을 통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며, 이러한 공기 흐름은 핸드 유닛에 배치된 메인 분리 장치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테이블 또는 다른 가구를 진공 청소하기 위하여, 핸드 유닛은 진공청소기의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독립형 휴대용 진공청소기로서 사용된다.
WO 2008/088278은 착탈식 휴대용 장치 및 지지 본체를 포함하는 투인원 유형의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WO 2016184075는 스틱형의 쓰리인원(three-in-one)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진공청소기는 휴대용 진공청소기, 바닥 노즐, 및 손잡이 로드(handle rod)를 포함한다. 손잡이 로드는 중공 막대 형상의 물체이다. 휴대용 진공청소기, 손잡이 로드, 및 바닥 노즐은 서로 분리될 수 있고 특정 배열로 조립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3가지 작동 모드로서, 휴대용 진공청소기, 손잡이 로드 및 바닥 노즐을 포함하는 3개의 모든 요소를 결합하여 스틱 진공청소기를 형성하는 제1 모드; 휴대용 진공청소기를 손잡이 로드 및 바닥 노즐과 분리시켜서 별도의 휴대용 진공청소기를 형성하는 제2 모드; 및 바닥 노즐 없이 휴대용 진공청소기 및 손잡이 로드를 결합하여, 휴대용 진공청소기의 도달 거리를 연장하는 흡입 파이프를 형성하는 손잡이 로드를 갖는 휴대용 진공청소기를 형성하는 제3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가구 아래를 진공 청소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본체는 바닥 노즐이 예를 들어, 소파 또는 찬장 아래에 도달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스틱형의 다목적 진공청소기가 필요하다.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완화하는 진공청소기를 달성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특히,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사용자가 낮은 가구의 아래와 같은, 좁은 수평 공간을 진공 청소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관심사 중 하나 이상을 더 잘 해결하기 위해, 독립 청구항 제1항에 한정된 특징을 갖는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본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진공청소기가 제공되고, 진공청소기는, 노즐 단부 부분 및 손잡이 단부 부분을 갖는 신장형 부재; 노즐 단부 부분에 배치된 바닥 노즐; 손잡이 단부 부분에 배치된 손잡이; 및 노즐 단부 부분 및 손잡이 단부 부분에 착탈식으로 연결 가능한 핸드 유닛을 포함한다. 핸드 유닛은, 진공청소기의 적어도 제1 부분을 통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모터 팬 장치, 및 먼지 및 쓰레기를 공기 흐름과 분리시키기 위한 메인 분리 장치를 포함한다. 진공청소기의 제1 부분은 바닥 노즐을 포함한다. 진공청소기는 노즐 단부 부분에 배치된 밸브를 포함하며, 밸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밸브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위치에서, 밸브 부재는 공기 흐름이 손잡이 단부 부분을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바닥 노즐로부터 핸드 유닛으로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며, 제2 위치에서, 밸브 부재는 바닥 노즐로부터 손잡이 단부 부분 및 핸드 유닛으로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진공청소기가 노즐 단부 부분에 배치된 밸브를 포함하며, 밸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밸브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위치에서, 바닥 노즐로부터의 공기 흐름이 손잡이 단부 부분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되며, 제2 위치에서, 바닥 노즐로부터의 공기 흐름이 손잡이 단부 부분으로 지향되기 때문에, 핸드 유닛이 노즐 단부 부분에 연결된 경우 및 손잡이 단부 부분에 연결된 경우 모두에서, 진공 청소 동안 바닥 노즐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사용자는 핸드 유닛이 손잡이 단부 부분에 연결된 경우, 좁은 수평 공간을 진공 청소하기 위해 진공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좁은 수평 공간을 진공 청소할 때, 바닥 노즐이 사용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사용자가 손잡이 단부 부분에 배치된 손잡이를 파지하고, 예를 들어 바닥 표면과 같은, 청소될 표면에 걸쳐서 바닥 노즐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스틱형 진공청소기일 수 있다. 따라서, 신장형 부재는 진공청소기의 슬림형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진공 청소할 때, 핸드 유닛은 노즐 단부 부분에 연결되거나, 손잡이 단부 부분에 연결된다. 핸드 유닛이 노즐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지 또는 손잡이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지와 관계없이, 공기 흐름은 진공청소기의 제1 부분을 통하여 유동하며, 즉 바닥 노즐을 포함하는 제1 부분을 통하여 유동한다.
핸드 유닛이 노즐 단부 부분에 연결된 경우, 진공청소기의 중량은 노즐 단부 부분을 향해 분배된다. 핸드 유닛이 손잡이 단부 부분에 연결된 경우, 진공청소기의 중량은 손잡이 단부 부분을 향해 분배된다. 즉, 핸드 유닛이 손잡이 단부 부분에 연결된 경우보다 핸드 유닛이 노즐 단부 부분에 연결된 경우에, 진공청소기의 무게 중심이 바닥 노즐에 더 가깝다. 따라서, 더 넓은 개방된 표면을 진공 청소하는 경우, 진공청소기의 용이한 조작을 제공하기 위해, 핸드 유닛이 노즐 단부 부분에 적절하게 연결된다. 가구 아래와 같은, 좁은 수평 공간을 진공 청소하는 경우에만, 핸드 유닛이 손잡이 단부 부분에 연결되어, 바닥 노즐이 좁은 수평 공간 내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좁은 수평 공간의 진공 청소는 진공 청소 세션의 제한된 부분만을 형성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진공 청소 세션의 제한된 시간 동안, 핸드 유닛이 손잡이 단부 부분에 연결된 경우 손잡이 단부 부분에서 추가된 중량을 지지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진공청소기가 수납된 경우, 바닥 노즐 상에 세워질 수 있는 안정된 유닛을 제공하도록, 핸드 유닛이 노즐 단부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 팬 장치는 핸드 유닛이 노즐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지 또는 손잡이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지와 관계없이,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핸드 유닛의 메인 분리 장치는, 핸드 유닛이 노즐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지 또는 손잡이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지와 관계없이, 먼지 및 쓰레기를 공기 흐름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진공청소기는, 핸드 유닛을 노즐 단부 부분 또는 바닥 노즐에 도킹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인터페이스, 및 핸드 유닛을 손잡이 단부 부분에 도킹시키도록 구성된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드 유닛은 편리하게 노즐 단부 부분에 도킹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손잡이 단부 부분에 도킹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는 핸드 유닛의 공기 흐름 경로와 유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도관 부분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노즐로부터의 공기 흐름은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핸드 유닛으로 지향될 수 있으며, 메인 분리 장치는 공기 흐름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제1 인터페이스는 밸브 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밸브 부재는 핸드 유닛이 제1 인터페이스에 도킹된 경우 제1 위치에 위치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드 유닛이 노즐 단부 부분에 연결된 경우, 바닥 노즐로부터 핸드 유닛으로 공기 흐름이 지향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는 연결 장치를 통해 밸브 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장치는 밸브 부재를 작동시켜서 이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킨다.
실시형태에 따라, 밸브 부재는 제2 위치를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드 유닛이 노즐 단부 부분에서 분리되어 손잡이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 경우, 공기 흐름은 손잡이 단부 부분을 향해 자동으로 지향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밸브 부재는 제1 단부 부분 및 제2 단부 부분을 갖는 튜브형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튜브형 요소는 제1 단부 부분에서 신장형 부재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기 흐름은 튜브형 요소를 통하여 지향될 수 있다. 또한, 튜브형 요소가 제1 단부 부분에서 피벗됨으로써, 밸브 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신장형 부재는 밸브의 일부를 형성하는 밸브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부분은 밸브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밸브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단부 부분은, 핸드 유닛이 제1 인터페이스에 도킹될 때 튜브형 요소를 통하여 핸드 유닛으로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기 위해 신장형 부재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밸브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단부 부분은, 핸드 유닛이 제2 인터페이스에 도킹될 때 튜브형 요소를 통하여 손잡이 단부 부분 및 핸드 유닛으로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기 위해 신장형 부재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드 유닛이 노즐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지 또는 손잡이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지에 따라, 진공청소기 내에서 공기 흐름이 지향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튜브형 요소의 제2 단부 부분은 제1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드 유닛은 튜브형 요소의 제2 단부 부분과 유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핸드 유닛이 제1 인터페이스에 도킹된 경우 공기 흐름이 핸드 유닛으로 지향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밸브는 튜브형 요소의 제1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 가요성 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요성 호스는 밸브로부터 신장형 부재의 내부의 바닥 노즐을 향해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요성 호스는 튜브형 요소와 신장형 부재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가요성 호스는 튜브형 요소의 제1 단부 부분이 피벗식으로 부착되는 이의 부분에서, 신장형 부재 내로 누출되는 공기를 밀봉시킬 수 있다. 바닥 노즐로부터의 공기 흐름은 가요성 호스를 통하여 유동한다.
실시형태에 따라, 신장형 부재는 노즐 단부 부분으로부터 손잡이 단부 부분으로 연장되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튜브는 공기 흐름이 노즐 단부 부분으로부터 손잡이 단부 부분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공청소기의 슬림형 본체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드 유닛이 손잡이 단부 부분에 연결된 경우, 바닥 노즐이 좁은 수평 공간 내에 도달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튜브는 종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적일 수 있으며, 종방향은 노즐 단부 부분과 손잡이 단부 부분 사이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튜브는 진공청소기의 보관을 위해,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사용자의 길이로, 특히 좁은 수평 공간 내로 도달하도록 조정 가능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가변 길이는 예를 들어, 튜브가 접이식임으로써, 또는 튜브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튜브 요소에 의해 연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튜브 요소의 제거에 의해 길이가 축소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바닥 노즐은 피벗식 연결부를 통해 신장형 부재에 연결될 수 있으며, 피벗식 연결부는 바닥 노즐에 대한 신장형 부재의 적어도 70도의 피벗팅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닥 노즐이 청소되는 표면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예를 들어, 바닥 노즐이 좁은 수평 공간으로 이동될 때, 신장형 부재는 청소되는 표면을 향해 하향하게 피벗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핸드 유닛은 모터 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는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청소기는 제어 장치를 통해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회전식 브러시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 및/또는 바닥 노즐에 배치된 광원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손잡이 단부 부분에 배치된 제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스위치는 핸드 유닛이 제1 인터페이스에 도킹된 경우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공청소기는 핸드 유닛이 제1 인터페이스에 도킹된 경우 제어 스위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사용자는 핸드 유닛 쪽으로 손을 아래로 뻗을 필요 없이,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단부 부분으로부터 진공청소기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핸드 유닛은 진공청소기로부터 분리된 경우 별도의 휴대용 진공청소기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목적 진공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틱형의 다목적 진공청소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낮은 가구 아래와 같은 좁은 수평 공간을 진공 청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적응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관심사 중 하나 이상을 더 잘 해결하기 위해, 독립 청구항 제21항에 한정된 바와 같은, 휴대용 유닛을 진공청소기의 신장형 부재와 유체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밸브가 제공된다.
본 개시물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라, 핸드 유닛을 진공청소기의 신장형 부재와 유체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밸브가 제공되고, 밸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밸브 부재, 및 밸브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밸브 하우징을 포함한다. 밸브 부재는 제1 단부 부분 및 제2 단부 부분을 갖는 튜브형 요소를 포함하며, 튜브형 요소는 제1 단부 부분에서 밸브 하우징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제1 위치에서, 밸브 부재는 공기 흐름이 밸브 종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밸브 종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제1 단부 부분으로부터 제2 단부 부분으로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위치에서, 밸브 부재는 밸브 종방향을 따라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밸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밸브 부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밸브 부재는 제1 단부 부분에서 밸브 하우징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튜브형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1 위치에서 밸브 부재는 공기 흐름이 밸브 종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밸브 종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제1 단부 부분으로부터 제2 단부 부분으로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리고 제2 위치에서 밸브 부재는 밸브 종방향을 따라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밸브는 진공청소기의 신장형 부재에 배치된 경우, 진공청소기 내에서 공기 흐름을 지향시킴으로써, 밸브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그리고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모두에서, 진공 청소 동안 진공청소기의 바닥 노즐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사용자는, 밸브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핸드 유닛이 제2 단부 부분과 유체로 연결됨으로써 개방된 바닥 표면을 진공 청소하기 위해 진공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고, 밸브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핸드 유닛이 제2 단부 부분과 유체로 연결됨으로써 좁은 수평 공간을 진공 청소하기 위해 진공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밸브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단부 부분은 밸브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고, 밸브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단부 부분은 밸브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2 단부 부분이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핸드 유닛이 제2 단부 부분과 유체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밸브는 튜브형 요소의 제1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 가요성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요성 튜브는 공기 흐름이 튜브형 부재의 제1 단부 부분으로 지향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가요성 튜브는 튜브형 요소의 제1 단부 부분에서 밸브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밸브 부재는 제2 위치를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되도록 보장될 수 있다. 이는 핸드 유닛이 제2 단부 부분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고, 밸브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단부 부분과 유체로 연결되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할 때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명백해질 것이다.
이의 특정한 특징 및 장점을 포함하는 다양한 양태 및/또는 실시형태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며, 첨부된 도면으로서:
도 1a 및 도 1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5는 핸드 유닛을 진공청소기의 신장형 부재와 유체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밸브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진공청소기를 통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진공청소기의 전기 회로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9는 진공청소기를 위한 스탠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양태 및/또는 실시형태가 이제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전반적으로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요소를 지칭한다. 잘 알려진 기능 또는 구성은 간결성 및/또는 명확성을 위해 반드시 상세하게 설명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청소기(2)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대안적인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청소기(2)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2a에서, 진공청소기(2)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1b 및 도 2b에서, 진공청소기(2)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도 1a 내지 도 2b와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서,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두 실시형태 모두를 언급한다. 도 1a의 진공청소기(2)는 진공청소기(2)를 위한 전용 스탠드(30)에 세워져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진공청소기(2)는 노즐 단부 부분(6) 및 손잡이 단부 부분(8)을 갖는 신장형 부재(4)를 포함한다. 진공청소기(2)는 노즐 단부 부분(6)에 배치된 바닥 노즐(10), 및 손잡이 단부 부분(8)에 배치된 손잡이(1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진공청소기(2)는, 노즐 단부 부분(6) 및 손잡이 단부 부분(8)에 착탈식으로 연결 가능한 핸드 유닛(14)을 포함한다. 즉, 핸드 유닛(14)은 예를 들어, 진공청소기(2)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진공 청소 작업의 종류에 따라, 노즐 단부 부분(6) 또는 손잡이 단부 부분(8)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2a에서, 핸드 유닛(14)은 노즐 단부 부분(6)에 연결된다. 도 1b 및 도 2b에서, 핸드 유닛(14)은 노즐 단부 부분(6) 및 손잡이 단부 부분(8)에 모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된다.
도 1a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청소기(2)에서 핸드 유닛(14)이 노즐 단부 부분(6)에 연결된 경우, 핸드 유닛(14)은 신장형 부재(4)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청소기(2)에서 핸드 유닛(14)이 노즐 단부 부분(6)에 연결된 경우, 핸드 유닛(14)은 바닥 노즐(10)에 연결된다. 두 실시형태에서, 핸드 유닛(14)은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6)에 연결된다. 달리 말하면, "노즐 단부 부분에 연결된"이라는 용어는 신장형 부재(6)와 핸드 유닛의 연결 대안, 및 바닥 노즐(10)과 핸드 유닛의 연결 대안을 모두 커버한다.
알려진 방식으로, 핸드 유닛(14)은 모터 팬 장치(32) 및 메인 분리 장치(34)를 포함한다. 모터 팬 장치(32)는 진공청소기(2)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메인 분리 장치(34)는 먼지 및 쓰레기를 공기 흐름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메인 분리 장치(34)는 비워지거나 교체되기 위해 핸드 유닛(14)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2)는 노즐 단부 부분(6)에 배치된 밸브(20)를 포함한다. 밸브(2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밸브 부재를 포함한다(도 3a 내지 도 4b를 추가로 참조한다). 밸브 부재가 제1 위치에 배치된 경우, 밸브 부재는 도 1b 및 도 2b의 좌측에 핸드 유닛(14)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유닛(14)이 노즐 단부 부분(6)에 연결될 때 바닥 노즐(10)로부터 핸드 유닛(14)으로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동시에, 밸브 부재가 제1 위치에 배치된 경우, 밸브 부재는 핸드 유닛(14)이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6)에 연결될 때 공기 흐름이 손잡이 단부 부분(8)을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밸브 부재는 도 1b 및 도 2b의 우측에 핸드 유닛(14)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유닛(14)이 손잡이 단부 부분(8)에 연결된 경우, 바닥 노즐(10)로부터 손잡이 단부 부분(8)으로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밸브 부재는 핸드 유닛(14)이 신장형 부재(4)의 손잡이 단부 부분(8)에 연결된 경우, 밸브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밸브(20)를 통하여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a 및 도 1b의 실시형태에서, 밸브(20)는 신장형 부재(4)에 배치된다. 도 2a 및 도 2b의 실시형태에서, 밸브(20)는 바닥 노즐(10)에 배치된다. 두 실시형태에서, 핸드 유닛(14)은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6)에 연결 가능하다.
밸브 부재가 제1 위치에 배치된 경우, 핸드 유닛(14) 내에서의 흐름 경로는 밸브(20)를 통해 바닥 노즐(10)과 유체로 연결되며, 핸드 유닛(14)은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6)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밸브 부재가 제2 위치에 배치된 경우, 핸드 유닛(14) 내에서의 흐름 경로는 밸브(20)를 통해 바닥 노즐(10)과 유체로 연결되며, 핸드 유닛(14)은 신장형 부재(4)의 손잡이 단부 부분(8)에 연결된다.
모터 팬 장치(32)는, 핸드 유닛(14)이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6)에 연결된 경우, 그리고 핸드 유닛(14)이 신장형 부재(4)의 손잡이 단부 부분(8)에 연결된 경우, 진공청소기(2)의 적어도 제1 부분을 통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메인 분리 장치(34)는 핸드 유닛(14)이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에 연결된 경우, 그리고 핸드 유닛(14)이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8)에 연결된 경우, 먼지 및 쓰레기를 공기 흐름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진공청소기(2)의 제1 부분은 바닥 노즐(10)을 포함한다.
핸드 유닛(14)은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6), 또는 신장형 부재(4)의 손잡이 단부 부분(8)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다목적 진공청소기(2)가 제공된다. 또한, 핸드 유닛(14)은 신장형 부재(4)로부터 분리된 경우 별도의 휴대용 진공청소기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바닥 노즐(10)은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6)과 유체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 노즐(10) 내부의 흐름 경로는 신장형 부재(4)의 흐름 경로와 유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핸드 유닛(14)에서 모터 팬 장치(32)에 의해 생성된 공기 흐름은, 적어도 밸브 부재가 제2 위치에 있고 핸드 유닛(14)이 손잡이 단부 부분(8)에 연결된 경우, 바닥 노즐(10)로부터 노즐 단부 부분(6)으로 유동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유닛(14)이 노즐 단부 부분(6)에 연결된 경우, 바닥 노즐(10) 내부의 흐름 경로는 신장형 부재(4)의 제1 단부 부분(6)의 흐름 경로와 유체로 연결된다. 핸드 유닛(14)에서 모터 팬 장치(32)에 의해 생성된 공기 흐름은, 밸브 부재가 제1 위치에 있고 핸드 유닛(14)이 노즐 단부 부분(6)에 배치된 경우, 바닥 노즐(10)로부터 노즐 단부 부분(6)으로 유동한다.
신장형 부재(4)는 노즐 단부 부분(6)으로부터 손잡이 단부 부분(8)으로 연장되는 튜브(26)를 포함한다. 튜브(26)는 공기 흐름이 노즐 단부 부분(6)으로부터 손잡이 단부 부분(8)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즉, 튜브(26)는 핸드 유닛(14)에서 모터 팬 장치(32)에 의해 생성된 공기 흐름을 위한 신장형 부재(4)의 흐름 경로를 형성한다. 튜브(26)는 신장형 부재(4)의 주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튜브(26)는 신장형 부재(4)를 형성할 수 있다. 바닥 노즐(10)은 튜브(26)에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12)는 튜브(26)에 연결될 수 있다.
신장형 부재(4)는 진공청소기(2)의 슬림형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튜브(26)는 진공청소기(2)의 슬림형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 유닛(14)이 손잡이 단부 부분(8)에 연결된 경우, 바닥 노즐이 좁은 수평 공간 내로 도달할 수 있다.
튜브(26)는 종방향(L)을 따라 길이가 가변적일 수 있다. 종방향(L)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단부 부분(6)과 손잡이 단부 부분(8) 사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튜브(26)는 진공청소기(2)의 진공 청소 및 보관 동안 상이한 상황에서 조정 가능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가변 길이는 도 2a의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접이식 튜브(26)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 단부 부분(8)을 포함하는 튜브(26)의 부분은 종방향(L)을 따라 노즐 단부 부분(6)을 포함하는 튜브(26)의 부분으로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튜브(26)가 적어도 하나의 튜브 요소(27)에 의해 연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튜브 요소(27)의 제거에 의해 길이가 축소됨으로써, 튜브(26)는 종방향(L)을 따라 길이가 가변적일 수 있다. 따라서, 튜브(26)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튜브 요소(27, 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5는 핸드 유닛(14)을 진공청소기(2)의 신장형 부재(4)와 유체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밸브(20)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진공청소기(2)에 사용되도록 구성된 밸브(20)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밸브(20)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밸브(20)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점선은 이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2 실시형태의 진공청소기(2)에 사용되도록 구성된 밸브(20)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진공청소기(2)에 사용되도록 구성된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밸브(20)를 통하는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밸브(20)는 밸브 부재(40) 및 밸브 하우징(42)을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42)은 밸브 종방향(VL)을 따라 연장된다. 밸브 부재(40)는 제1 단부 부분(46) 및 제2 단부 부분(48)을 갖는 튜브형 요소(44)를 포함한다. 튜브형 요소(44)는 제1 단부 부분(46)에서 밸브 하우징(42)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튜브형 요소(44)는 도 3c에 도시된 제1 단부 부분(46)에서 피벗 축(47)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다.
밸브 부재(40)는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제1 위치와 도 3b에 도시된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다. 밸브(20)를 통하는 공기 흐름(50)은 도 3a 내지 도 3c에서 화살표(50)로 표시된다. 제1 위치에서, 밸브 부재(40)는, 공기 흐름(50)이 밸브 종방향(VL)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밸브 종방향(VL)에 대해 비스듬히, 튜브형 요소(44)의 제1 단부 부분(46)으로부터 튜브형 요소(44)의 제2 단부 부분(48)으로 공기 흐름(50)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위치에서, 밸브 부재(40)는 밸브 종방향(VL)을 따라, 튜브형 요소(44)의 제1 단부 부분(46)으로부터 튜브형 요소(44)의 제2 단부 부분(48)으로 공기 흐름(50)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위치에서, 밸브 부재(40)는 공기 흐름(50)이 밸브 종방향(VL)에 대해 비스듬히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밸브 부재(4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단부 부분(48)은 밸브 하우징(42)의 외부로 연장된다. 밸브 부재(40)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단부 부분(48)은 밸브 하우징(42)의 내부로 연장된다.
밸브 하우징(42)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청소기(2)의 신장형 부재(4)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거나, 진공청소기(2)의 신장형 부재(4)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 하우징(42)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청소기(2)의 튜브(26)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거나, 진공청소기(2)의 튜브(26)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형 요소(44)의 제1 단부 부분(46)은 튜브형 요소(44)의 제2 단부 부분(48)보다 진공청소기(2)의 바닥 노즐(10)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20)는 진공청소기의 2개의 상이한 부분으로 공기 흐름(50)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청소기(2)에서, 바닥 노즐(10)로부터의 공기 흐름은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6)에 연결된 경우 핸드 유닛(14)으로 지향될 수 있거나, 또는 신장형 부재(4)의 핸드 단부(8)에 연결된 경우 핸드 유닛(14)으로 지향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밸브 부재(40)는 도 3b에 도시된 제2 위치를 향해 편향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부재(40)는 제2 단부 부분(48)이 밸브 하우징(42)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제2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된다.
튜브형 요소(44)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66)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트랙(66)은 만곡된다. 적어도 하나의 트랙(66)을 따라 연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트랙(66)으로 돌출부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트랙(66)을 따라 돌출부를 연장시킴으로써, 튜브형 요소(44)가 피벗 축(47)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다(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아래를 참조).
도 5의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20)는 도 3a 내지 도 3c의 실시형태와 많이 유사하다. 주요 차이점은, 도 5의 실시형태의 밸브(20)는 튜브형 요소(40)의 제1 단부 부분(46)에 연결되는 가요성 호스(52)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가요성 호스(52)는 제1 단부 부분(46)으로부터 관련 진공청소기의 바닥 노즐을 향해 연장된다. 가요성 호스(52)는 바닥 노즐로부터 밸브(20)로의 공기 흐름(50)을 위한 흐름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가요성 호스(52)는 밸브(20)의 튜브형 요소(40)의 제1 단부 부분(46)에서 공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의 실시형태에서, 밸브(20)는 바닥 노즐(10)에 배치되며, 바닥 노즐(10)에 배치된 밸브 부재(40)를 포함한다. 밸브 부재(40)는 바닥 노즐(10)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밸브 부재(40)는 피벗 축(49)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다. 밸브 부재(40)는 도 4a에 도시된 제1 위치와 도 4b에 도시된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다.
제1 위치에서, 밸브 부재(40)는 밸브(20)의 제1 개구부(54)를 폐쇄하며, 제1 개구부(54)는 신장형 부재(4),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6)과 유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밸브 부재(4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신장형 부재(4)로의 공기 흐름이 방지된다. 밸브 부재(4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밸브(20)의 제2 개구부(56)가 개방된다. 따라서, 도 4a에서 화살표(50)로 표시된, 바닥 노즐(10) 및 밸브(20)를 통하는 공기 흐름(50)은 핸드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이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22)로 지향된다. 제1 인터페이스(22)는 바닥 노즐(10) 상에 배치되거나, 바닥 노즐(10)에 연결된다. 즉, 핸드 유닛이 제1 인터페이스(22)에 연결된 경우, 핸드 유닛은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6)에 연결된다. 제1 인터페이스(22)는 핸드 유닛(14)을 바닥 노즐(10)에 도킹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위치에서, 밸브 부재(40)는 제2 개구부(56)를 폐쇄하여 제1 인터페이스(22)로의 공기 흐름을 방지한다. 밸브 부재(40)의 제2 위치에서, 제1 개구부(54)가 개방되고, 바닥 노즐(10) 및 밸브(20)를 통하는 공기 흐름(50)이 신장형 부재(4)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공기 흐름(50)은 도 4b에서 화살표(50)로 표시된다. 핸드 유닛이 신장형 부재(4)의 손잡이 단부 부분(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경우, 제1 개구부(54)를 통하는 공기 흐름(50)은 핸드 유닛에 의해 생성된다.
다시, 밸브 부재(40)는 도 4b에 도시된 제2 위치를 향해 편향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부재(40)는 제2 개구부(56)를 폐쇄하여 공기 흐름(50)을 신장형 부재(4)로 지향시키기 위해 제2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된다. 밸브 부재(40)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제2 위치로 편향될 수 있다. 핸드 유닛이 제1 인터페이스(22)에 도킹된 경우, 밸브 부재(40)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기구에 의해, 자동으로 제1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의 실시형태에서, 바닥 노즐(10)은 회전식 브러시(90)를 포함한다(도 8을 참조하여 아래를 추가로 참조).
도 6a 내지 도 6c는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청소기(2)를 도시한다. 진공청소기(2)는 도 1a 및 도 1b와 관련하여 설명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청소기이다. 도 6a에서, 핸드 유닛(14)은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6)에 도킹된다. 도 6b에서, 핸드 유닛(14)은 신장형 부재(4)의 손잡이 단부 부분(8)에 도킹된다. 도 6c에서, 진공청소기(2)의 노즐 단부 부분(6)의 일부분 및 바닥 노즐(10)이 도시된다.
진공청소기(2)는 핸드 유닛(14)을 신장형 부재(4)의 노즐 단부 부분(6)에 도킹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인터페이스(22), 및 핸드 유닛(14)을 신장형 부재(4)의 손잡이 단부 부분(8)에 도킹시키도록 구성된 제2 인터페이스(24)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1 인터페이스(22)는 핸드 유닛(14)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돌출부(62)를 수용하여 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리세스(60)를 포함한다. 리세스(60)는 연결 부재(64)에 제공된다. 핸드 유닛(14)이 제1 인터페이스(22)에 연결된 경우, 도 1a 및 도 1b, 및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20)의 밸브 부재는 제1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핸드 유닛(14)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은 바닥 노즐(10)로부터 밸브(20)를 통해 핸드 유닛(14)으로 지향되고, 손잡이 단부 부분(8)으로의 공기 흐름, 또는 손잡이 단부 부분(8)으로부터의 공기 흐름이 방지된다.
제1 인터페이스(22)는 밸브 부재(40)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밸브 부재(40)는 핸드 유닛(14)이 제1 인터페이스(22)에 도킹된 경우 제1 위치에 위치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연결 부재(64)는 종방향(L)을 따라서 신장형 부재(4)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핸드 유닛(14)이 제1 인터페이스(22)에 연결되는 경우, 연결 부재(64)는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후방 위치로부터 도 6a에 도시된 바닥 노즐(10)을 향하는 전방 위치로 이동된다. 연결 부재(64)는 튜브형 요소(44)의 트랙(66)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밸브 부재(40)에 기계적으로 연결됨으로써(도 3a 및 도 3c 참조), 연결 부재(64)가 후방으로부터 전방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밸브 부재(40)가 제1 단부 부분(46)을 중심으로 피벗된다. 따라서, 튜브형 요소(44)의 제2 단부 부분(48)은 핸드 유닛(14)의 마우스피스(68)와 유체로 연결될 수 있다(도 7a를 또한 참조). 튜브형 요소(44)의 제2 단부 부분(48)은 제1 인터페이스(2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손잡이 단부 부분(8)의 후단부는 제2 인터페이스(24)를 포함한다. 제2 인터페이스(24)는 손잡이 단부 부분(8)의 후단부에서 개구부(70)에 의해 형성된다. 핸드 유닛(14)의 마우스피스(68)는 개구부(70) 내로 끼워 맞춰진다. 따라서, 핸드 유닛(14)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은 바닥 노즐(10)로부터 전체 신장형 부재(4)를 통하여 핸드 유닛(14)으로 지향된다. 밸브(20)의 밸브 부재(40)는 제2 위치에 있다. 따라서, 공기 흐름은 밸브(20)를 통해 노즐 단부 부분(6)으로부터 손잡이 단부 부분(8)으로 지향된다. 밸브(20)에서 신장형 부재(4)로의 공기 흐름은 방지된다.
밸브 부재(40)는 핸드 유닛(14)이 제2 인터페이스(24)에 도킹된 경우 제2 위치에 위치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닥 노즐(10)로부터의 공기 흐름은 손잡이 단부 부분(8) 및 핸드 유닛(14)을 향해 지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부재(40)는 제2 위치를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64)는 이의 후방 위치를 향해 스프링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핸드 유닛(14)이 제1 인터페이스(22)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밸브 부재(40)와 연결 부재(64)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은 연결 부재(64)가 이의 후방 위치를 향해 당겨지거나 푸시됨에 따라, 밸브 부재를 제2 위치로 피벗시킨다.
밸브 부재(4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단부 부분(48)은 신장형 부재(4)의 외부로 연장된다. 즉, 튜브형 요소(44)는 종방향(L)에 대해 비스듬히 지향된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유닛(14)이 제1 인터페이스(22)에 도킹된 경우, 공기 흐름은 튜브형 요소(44)를 통하여 핸드 유닛(14)으로 지향된다. 밸브 부재(40)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단부 부분(48)은 신장형 부재(4)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튜브형 요소(44)는 종방향(L)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유닛(14)이 제2 인터페이스(24)에 도킹된 경우, 공기 흐름은 튜브형 요소(44)를 통하여 손잡이 단부 부분(8) 및 핸드 유닛(14)으로 지향된다.
바닥 노즐(10)은 피벗식 연결부(28)를 통해 신장형 부재(4)에 연결된다. 따라서, 바닥 노즐(10)은 신장형 부재(4)에 대해 피벗될 수 있다. 피벗식 연결부(28)는 바닥 노즐(10)에 대한 신장형 부재(4)의 적어도 70도 피벗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진공 청소되는 바닥 표면(72)과 신장형 부재(4)의 종방향(L) 사이의 각도(α)는 적어도 70도에 걸쳐서 가변될 수 있는 반면에, 바닥 노즐(10)은 바닥 표면(72)과 접촉되게 진공 청소 위치에 접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유닛(14)이 제1 인터페이스(22)에 도킹된 경우, 진공청소기(2)의 무게 중심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유닛(14)이 제2 인터페이스(24)에 도킹된 경우보다 바닥 노즐(10)에 더 가깝다. 따라서, 개방된 표면을 진공 청소하는 경우, 핸드 유닛(14)은 제1 인터페이스(22)에 적절하게 도킹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2)의 사용자는 손잡이(12)로 진공청소기(2)를 파지하고, 청소될 표면을 따라 바닥 노즐(10)을 이동시킨다. 무게 중심이 바닥 노즐(10)을 향해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진공청소기(2)의 중량의 더 적은 부분을 지지한다. 가구 아래와 같은 좁은 수평 공간을 진공 청소하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22)에 도킹된 핸드 유닛(14)은 바닥 노즐(10)이 전체 좁은 수평 공간 내에 도달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 유닛(14)은 제2 인터페이스(24)에 도킹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노즐(10)은 전체 좁은 수평 공간에 도달할 수 있다. 신장형 부재(4)는 핸드 유닛(14)의 마우스피스(68)와 바닥 노즐(10) 사이에서 확장부를 형성한다. 핸드 유닛(14)의 손잡이(74) 또는 손잡이(12)를 계속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바닥 노즐(10)을 좁은 수평 공간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 피벗식 연결부(28)는 바닥 노즐(10)이 좁은 수평 공간 내에서 진공 청소되는 표면과 접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좁은 수평 공간을 진공 청소하는 동안, 핸드 유닛(14)이 제2 인터페이스(24)에 도킹된 경우, 사용자는 진공청소기(2)의 중량의 더 많은 부분을 지지해야 한다.
도 6a 및 도 6b에서, 신장형 부재(4) 및 바닥 노즐(10)에서 전기 커넥터(86, 86')가 도시된다(도 8을 참조하여 아래를 추가로 참조). 제어 스위치(98)는 도 6a에 도시된다(도 8을 참조하여 아래를 추가로 참조).
도 7a 및 도 7b는 도 1a, 도 1b, 도 6a 내지 도 6c의 제1 실시형태의 진공청소기(2)를 통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핸드 유닛(14)이 제1 인터페이스(22) 및 제2 인터페이스(24)에 각각 도킹된 경우, 진공청소기(2)를 통하는 공기 흐름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진공청소기(2)를 통하는 공기 흐름은 도 7a 및 도 7b에서 화살표로 표시된다.
핸드 유닛(14)의 모터 팬 장치(32)는 진공청소기(2)의 적어도 제1 부분을 통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한다. 핸드 유닛(14)의 메인 분리 장치(34)에서, 먼지 및 쓰레기는 공기 흐름과 분리된다. 알려진 방식으로, 메인 분리 장치(34)는 먼지 및 쓰레기를 공기 흐름과 분리시키기 위한 사이클론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메인 분리 장치(34)는 먼지 및 쓰레기를 공기 흐름과 분리시키기 위한 통기성 일회용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 유닛(14)의 공기 흐름 경로는 모터 팬 장치(32)를 통해, 마우스피스(68)로부터 메인 분리 장치(34)로, 그리고 공기 배출구(도시되지 않음)로 연장된다.
핸드 유닛(14)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22)에 도킹된 경우, 공기 흐름은 바닥 노즐(10)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2)의 제1 부분을 통하여 신장형 부재(4)로 유동하고, 밸브(20)를 통하여, 그리고 핸드 유닛(14)의 공기 흐름 경로를 통하여 유동한다. 밸브(20)와 제2 인터페이스(24) 사이에서 신장형 부재(4)를 통하는 공기 흐름은 밸브(20)에 의해 방지된다. 밸브(20)의 밸브 부재는 제1 위치에 배치된다.
핸드 유닛(14)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터페이스(24)에 도킹된 경우, 공기 흐름은 바닥 노즐(10)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2)의 제1 부분을 통하여, 전체 신장형 부재(4)를 통하여, 그리고 핸드 유닛(14)의 공기 흐름 경로를 통하여 유동한다. 밸브(20)의 밸브 부재는 제2 위치에 배치된다.
도 8은 본원에서 설명된 양태 및/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청소기(2)의 전기 회로(8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진공청소기(2)의 모터 팬 장치(32)는 전기 모터(82)를 포함한다. 진공청소기(2)는 핸드 유닛(14)에 배치된 재충전식 배터리(84)를 포함한다. 재충전식 배터리(84)는 모터 팬 장치(32)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충전식 배터리(84)는 모터 팬 장치(32)의 전기 모터(82)에 연결된다. 핸드 유닛(14)은 도 8에서 점선으로 표시된다.
진공청소기(2)는, 신장형 부재 또는 바닥 노즐에 배치되어 충전 전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전기 커넥터(86, 86')를 포함한다. 진공청소기(2)는, 핸드 유닛(14)에 배치된 재충전식 배터리(84)와 적어도 2개의 전기 커넥터(86, 86') 사이로 연장되는 전기 전도체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충전 전류가 재충전식 배터리(84)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a에서, 적어도 2개의 전기 커넥터 중 하나(86)는 신장형 부재(4)에 도시된다. 도 6c에서, 적어도 2개의 전기 커넥터 중 2개(86, 86')는 바닥 노즐(10)에 도시된다. 도 9는 진공청소기(2)를 위한 스탠드(30)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스탠드(30)의 내부에는 배터리 충전기가 배치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2)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30)에 세워져 있는 경우, 도 9에 그 중 하나가 도시된 접점 판(88)을 통해, 진공청소기(2)의 적어도 2개의 전기 커넥터(86, 86')에 충전 전류가 전도될 수 있다.
도 8로 돌아가서, 바닥 노즐은 회전식 브러시(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식 브러시(90)는 진공 청소되는 표면으로부터 먼지 및 쓰레기를 브러싱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바닥 노즐로 유입되면서 먼지 및 쓰레기의 혼입을 보조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 회전식 브러시(90)가 도시된다. 적절하게는, 바닥 노즐은 회전식 브러시(9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9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식 브러시(9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92)는 재충전식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전식 브러시(9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9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유닛(14)에 배치된 재충전식 배터리(84)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회전식 브러시(9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92)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재충전식 배터리가 바닥 노즐에 제공될 수 있다.
바닥 노즐은 예를 들어, LED와 같은 광원(9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청소되는 표면이 조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좁은 수평 공간에서, 광원(94)은 진공청소기의 사용자가 먼지 및 쓰레기를 볼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적어도 모터 팬 장치(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9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96)는 모터 팬 장치(32)의 전기 모터(82)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전기 모터(82)를 스위치 온 및 오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전기 모터(82)의 속도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96)를 통해, 진공청소기의 다른 구성 요소도 제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몇 가지 실시예만을 언급하면, 회전식 브러시(9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92), 광원(94), 및 심지어 재충전식 배터리(84)의 충전도 제어될 수 있다.
핸드 유닛(14)은 모터 팬 장치(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9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96)는 회전식 브러시(90)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92), 및/또는 바닥 노즐에 배치된 광원(94)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의 가장 간단한 형태로, 제어 장치(96)는 하나 이상의 전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장치(96)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프로세서 회로 또는 마이크로컴퓨터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계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96)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계산 장치는 메모리 장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메모리 장치는 예를 들어, 계산 장치가 계산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필요한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저장된 데이터를 계산 장치에 제공한다. 또한, 계산 장치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82, 92)의 제어와 관련된 계산, 재충전식 배터리(84)의 충전 등과 같은, 계산의 부분 결과 또는 최종 결과를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핸드 유닛(14)은 모터 팬 장치(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96)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2)는 신장형 부재의 손잡이 단부 부분에 배치된 제어 스위치(9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스위치(98)는 핸드 유닛(14)이 제1 인터페이스에 도킹된 경우 제어 장치(9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2)의 사용자는 진공청소기(2)의 손잡이 단부 부분으로부터 진공청소기(2)를 제어할 수 있고, 진공청소기(2)가 제1 인터페이스에 도킹된 경우, 진공청소기(2)를 제어하기 위해 핸드 유닛 쪽으로 손을 아래로 뻗을 필요가 없다. 제어 스위치(98)를 통해, 적어도 모터 팬 장치(32)가 제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회전식 브러시(9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92), 및/또는 광원(94)은 제어 스위치(98)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98)는 또한 도 6a에 도시된다.
전술한 내용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변경될 수 있고,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이한 특징이 조합되어 본원에서 설명된 것과 다른 실시형태를 생성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24)

  1. 진공청소기(2)로서,
    노즐 단부 부분(6) 및 손잡이 단부 부분(8)을 갖는 신장형 부재(4);
    상기 노즐 단부 부분(6)에 배치된 바닥 노즐(10);
    상기 손잡이 단부 부분(8)에 배치된 손잡이(12); 및
    상기 노즐 단부 부분(6) 및 상기 손잡이 단부 부분(8)에 착탈식으로 연결 가능한 핸드 유닛(14)을 포함하며,
    상기 핸드 유닛(14)은, 상기 진공청소기(2)의 적어도 제1 부분을 통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모터 팬 장치(32), 및 먼지 및 쓰레기를 상기 공기 흐름과 분리시키기 위한 메인 분리 장치(34)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청소기(2)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바닥 노즐(10)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청소기(2)는 상기 노즐 단부 부분(6)에 배치된 밸브(2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2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밸브 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40)는 상기 공기 흐름이 상기 손잡이 단부 부분(8)을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바닥 노즐(10)로부터 상기 핸드 유닛(14)으로 상기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40)는 상기 바닥 노즐(10)로부터 상기 손잡이 단부 부분(8) 및 상기 핸드 유닛(14)으로 상기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 부재(40)는 제1 단부 부분(46) 및 제2 단부 부분(48)을 갖는 튜브형 요소(44)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형 요소(44)는 상기 제1 단부 부분(46)에서 상기 신장형 부재(4)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유닛(14)을 상기 노즐 단부 부분(6) 또는 상기 바닥 노즐(10)에 도킹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인터페이스(22), 및 상기 핸드 유닛(14)을 상기 손잡이 단부 부분(8)에 도킹시키도록 구성된 제2 인터페이스(24)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2).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22)는 상기 밸브 부재(4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밸브 부재(40)는 상기 핸드 유닛(14)이 상기 제1 인터페이스(22)에 도킹된 경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 가능한, 진공청소기(2).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40)는 상기 핸드 유닛(14)이 상기 제2 인터페이스(24)에 도킹된 경우 상기 제2 위치에 위치 가능한, 진공청소기(2).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40)는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편향되는, 진공청소기(2).
  6. 삭제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4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부 부분(48)은, 상기 핸드 유닛(14)이 상기 제1 인터페이스(22)에 도킹될 때 상기 튜브형 요소(44)를 통하여 상기 핸드 유닛(14)으로 상기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신장형 부재(4)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밸브 부재(4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부 부분(48)은, 상기 핸드 유닛(14)이 상기 제2 인터페이스(24)에 도킹될 때 상기 튜브형 요소(44)를 통하여 상기 손잡이 단부 부분(8) 및 상기 핸드 유닛(14)으로 상기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신장형 부재(4)의 내부로 연장되는, 진공청소기(2).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요소(44)의 상기 제2 단부 부분(48)은 상기 제1 인터페이스(22)의 일부를 형성하는, 진공청소기(2).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20)는 상기 튜브형 요소(44)의 상기 제1 단부 부분(46)에 연결되는 가요성 호스(52)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호스(52)는 상기 밸브(20)로부터 상기 신장형 부재(4)의 내부의 상기 바닥 노즐(10)을 향해 연장되는, 진공청소기(2).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형 부재(4)는 상기 노즐 단부 부분(6)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단부 부분(8)으로 연장되는 튜브(26)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26)는 상기 공기 흐름이 상기 노즐 단부 부분(6)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단부 부분(8)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2).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6)는 종방향(L)을 따라 길이가 가변적이며,
    상기 종방향(l)은 상기 노즐 단부 부분(6)과 상기 손잡이 단부 부분(8) 사이로 연장되는, 진공청소기(2).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노즐(10)은 피벗식 연결부(28)를 통해 상기 신장형 부재(4)에 연결되며,
    상기 피벗식 연결부(28)는 상기 바닥 노즐(10)에 대한 상기 신장형 부재(4)의 적어도 70도 피벗팅을 가능하게 하는, 진공청소기(2).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노즐(10)은 회전식 브러시(90)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2).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노즐(10)은 상기 회전식 브러시(9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92)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2).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브러시(9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상기 전기 모터(92)는 재충전식 배터리(8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공청소기(2).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유닛(14)은 상기 모터 팬 장치(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96)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96)는 상기 회전식 브러시(90)를 구동하기 위한 상기 전기 모터(92), 및/또는 상기 바닥 노즐(10)에 배치된 광원(94)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진공청소기(2).
  1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유닛(14)은 상기 모터 팬 장치(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96)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청소기(2)는 상기 손잡이 단부 부분(8)에 배치된 제어 스위치(98)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스위치(98)는 상기 핸드 유닛(14)이 상기 제1 인터페이스(22)에 도킹된 경우 상기 제어 장치(9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공청소기(2).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유닛(14)에 배치된 재충전식 배터리(84)를 포함하며,
    상기 재충전식 배터리(84)는 상기 모터 팬 장치(32)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2).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형 부재(4) 또는 상기 바닥 노즐(10)에 배치되어 충전 전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전기 커넥터(86, 86'),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기 커넥터(86, 86')와 상기 핸드 유닛(14)에 배치된 상기 재충전식 배터리(84) 사이로 연장되는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2).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유닛(14)은 상기 진공청소기(2)로부터 분리된 경우 별도의 휴대용 진공청소기로서 사용 가능한, 진공청소기(2).
  21. 핸드 유닛(14)을 진공청소기(2)의 신장형 부재(4)와 유체연통시키도록 구성된 밸브(20)로서,
    상기 밸브(2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밸브 부재(40); 및
    밸브 종방향(VL)을 따라 연장되는 밸브 하우징(42)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부재(40)는 제1 단부 부분(46) 및 제2 단부 부분(48)을 갖는 튜브형 요소(44)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형 요소(44)는 상기 제1 단부 부분(46)에서 상기 밸브 하우징(42)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40)는 공기 흐름이 상기 밸브 종방향(VL)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밸브 종방향(VL)에 대해 비스듬히 상기 제1 단부 부분(46)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 부분(48)으로 상기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40)는 상기 밸브 종방향(VL)을 따라 상기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핸드 유닛(14)을 진공청소기(2)의 신장형 부재(4)와 유체연통시키도록 구성된 밸브(20).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4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부 부분(48)은 상기 밸브 하우징(42)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밸브 부재(4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부 부분(48)은 상기 밸브 하우징(42)의 내부로 연장되는, 밸브(20).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20)는 상기 튜브형 요소(44)의 상기 제1 단부 부분(46)에 연결되는 가요성 호스(52)를 포함하는, 밸브(20).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40)는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편향되는, 밸브(20).
KR1020207015552A 2017-12-14 2017-12-14 진공청소기 및 밸브 KR102391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7/082780 WO2019114965A1 (en) 2017-12-14 2017-12-14 Vacuum cleaner and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699A KR20200097699A (ko) 2020-08-19
KR102391129B1 true KR102391129B1 (ko) 2022-04-28

Family

ID=6095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552A KR102391129B1 (ko) 2017-12-14 2017-12-14 진공청소기 및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40681B2 (ko)
EP (1) EP3723571B1 (ko)
JP (1) JP7082739B2 (ko)
KR (1) KR102391129B1 (ko)
CN (1) CN111432701B (ko)
WO (1) WO20191149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5013S1 (en) 2017-07-24 2021-03-30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KR102311690B1 (ko) * 2019-10-22 202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CN113749551B (zh) * 2020-06-03 2023-10-03 尚科宁家(中国)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洁设备
US11832779B2 (en) * 2020-11-20 2023-12-05 Origyn LLC Vacuum cleaner
CN114360358A (zh) * 2022-01-11 2022-04-15 卢小飞 用于幼儿科学探索实验的智能调速吸尘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2135A (zh) * 2015-05-19 2018-08-14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杆体挂靠式手持吸尘器的三合一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4642U (ko) 1979-09-10 1981-04-22
JP2876757B2 (ja) 1990-09-14 1999-03-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GB2377880A (en) * 2001-07-25 2003-01-29 Black & Decker Inc Multi-operational battery powered vacuum cleaner
GB0412137D0 (en) * 2004-05-29 2004-06-30 Hoover Ltd Vacuum cleaner
SE531125C2 (sv) 2007-01-19 2008-12-23 Electrolux Ab Förbättringar med avseende på luftströmningsförluster i en dammsugare
US20100306955A1 (en) 2006-06-15 2010-12-09 Linda Menrik Filter Cleaning System for a Vacuum Cleaner
US9888817B2 (en) * 2014-12-17 2018-02-1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1803892B (zh) 2010-03-19 2012-05-23 宁波富佳实业有限公司 主机可升降的立式吸尘器
JP2012050564A (ja) 2010-08-31 2012-03-15 Sanyo Electric Co Ltd ハンディタイプ電気掃除機
KR102070774B1 (ko) * 2013-03-15 2020-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청소기 모드를 갖는 복합 청소기
US9516979B2 (en) 2013-11-21 2016-12-13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onfigurable in a storage position
JP6297833B2 (ja) 2013-12-24 2018-03-2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CN105832246B (zh) 2015-01-13 2019-01-15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真空吸尘器
DE102016105475B4 (de) * 2016-03-23 2021-04-08 Miele & Cie. Kg Staubsauger
WO2017186280A1 (en) * 2016-04-27 2017-11-02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system
US10405711B2 (en) * 2016-08-29 2019-09-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6618377A (zh) 2016-09-14 2017-05-10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清洁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2135A (zh) * 2015-05-19 2018-08-14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杆体挂靠式手持吸尘器的三合一吸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699A (ko) 2020-08-19
EP3723571B1 (en) 2023-09-27
EP3723571A1 (en) 2020-10-21
JP7082739B2 (ja) 2022-06-09
CN111432701A (zh) 2020-07-17
US11540681B2 (en) 2023-01-03
CN111432701B (zh) 2022-11-18
JP2021505221A (ja) 2021-02-18
WO2019114965A1 (en) 2019-06-20
US20200367707A1 (en)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129B1 (ko) 진공청소기 및 밸브
JP7229279B2 (ja) 手持ち式表面クリーニング装置
US10251519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6923739B (zh) 表面清洁系统
US9795261B2 (en) Vacuum cleaner
CN109381117B (zh) 电吸尘器
JP6710186B2 (ja) 電気掃除機の充電台
CN115443089B (zh) 工作站和包括该工作站的除尘系统
JP2021183269A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隙間吸口
JP6731358B2 (ja) 電気掃除機の充電台
KR20220122472A (ko) 청소기
JP2007175196A (ja) 電気掃除機
WO2022262593A1 (zh) 清洁设备
KR20160019358A (ko) 연장관 및 전기청소기
JP6287952B2 (ja) 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US10178930B2 (en) Maneuverable cordless stick vacuum
JP2003219995A (ja) 電気掃除機
KR101281927B1 (ko)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US20220322896A1 (en) Surface cleaner
KR102712806B1 (ko) 핸드헬드 표면 청소 장치
JP2022076019A (ja) 電気掃除機
JP2017086259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240148946A (ko) 핸드헬드 표면 청소 장치
JPH07236597A (ja) 電気掃除機
JP2011200422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