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418B1 -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418B1
KR101703418B1 KR1020150051633A KR20150051633A KR101703418B1 KR 101703418 B1 KR101703418 B1 KR 101703418B1 KR 1020150051633 A KR1020150051633 A KR 1020150051633A KR 20150051633 A KR20150051633 A KR 20150051633A KR 101703418 B1 KR101703418 B1 KR 101703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roduct
user terminal
cosmetics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867A (ko
Inventor
허정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이알
Priority to KR102015005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41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장품 탐색자의 기회비용을 줄이고 간편하고 합리적이며 빠른 선택을 도우며 화장품 제조회사와의 윈윈이 가능하고 정확한 타겟에게 샘플링하여 판매사의 광고비 절감에 기여하는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구동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서 설치하고 피부타입, 피부고민 및 사용제품 평가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운영 서버가 상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피부타입 코드, 민감도 코드 및 여드름상태 코드가 부여되는 스킨 아이디를 생성하는 단계; 및 운영 서버가 상기 스킨 아이디와 사용제품 평가에 부합되는 화장품을 사용자 단말기에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Method for Beauty Curation Commerce}
본 발명은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탐색자의 기회비용을 줄이고 간편하고 합리적이며 빠른 선택을 도우며 화장품 제조회사와의 윈윈이 가능하고 정확한 타겟에게 샘플링하여 판매사의 광고비 절감에 기여하는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뷰티 프로그램들은 화장품을 추천할 때 개개인의 나이와 피부타입, 특성, 취향 등이 세세하게 고려되지 않고, 본인이 자신에게 적합한 화장품을 찾기 위해 일일이 관련 블로그나 해당 상품의 상품평을 찾아다니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내 나이와 피부타입, 특성, 취향과 일치하는 블로그 사용후기를 찾기는 거의 불가능하고, 제품 검색시 나의 상황과 다른 지극히 주관적인 상품평들과 불편한 상품 검색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본인이 피부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자신 스스로도 자신의 피부에 대해 잘 모르고 화장품을 선택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한편, 종래 기술로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적용했던 메이크업 결과를 직접 얼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 추천 방법이 개발된 바 있다(한국특허공개 제10-2014-0077322).
상기 화장품 추천 방법은 선택된 화장품의 스펙트럼 정보 및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선택된 화장품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 내 화장품 중 선택된 화장품과 유사한 스펙트럼 정보를 갖는 화장품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화장품 추천 방법은 메이크업 결과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확인하고 제품을 추천받는데 그칠 뿐 사용자 개개인의 피부타입이나 특성 내지 취향이 반영된 화장품 사용 후기 내지 추천 리스트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4-0077322(2014.06.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개개인의 나이와 피부타입, 특성, 취향 등이 고려된 스킨 아이디(SKIN ID) 부여를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화장품 사용 후기 내지 추천 리스트를 제공받으므로 본인이 직접 일일이 관련 블로그나 해당 상품의 상품평을 찾아다니지 않고도 간편하고 합리적이며 빠른 화장품 선택을 할 수 있는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구동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서 설치하고 피부타입, 피부고민 및 사용제품 평가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운영 서버가 상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피부타입 코드, 민감도 코드 및 여드름상태 코드가 부여되는 스킨 아이디를 생성하는 단계; 및 운영 서버가 상기 스킨 아이디와 사용제품 평가에 부합되는 화장품을 사용자 단말기에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킨 아이디는 유분수준 선호도 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운영 서버는 제품의 기능, 제조판매사가 명시한 권장 피부타입, 제형, 원료의 특징, 제조 방식, 포함된 성분 개수 및 각 성분의 특성, 해당 사용자와 스킨 유사도 수치가 높은 사용자 그룹의 평가, 사용자의 제품 평가에서 얻은 피부특성 및 취향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따른 점수로 계산된 제품별 적합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 간 스킨 아이디의 유사도 수치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타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제품 평가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킨 아이디의 유사도 수치는 사용자의 스킨 아이디, 사용제품 이력 및 제품평가 이력에 따라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가 입력한 사용제품 평가정보에 기반하여 제품특성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품특성을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의 부정적 평가와 관련된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은 다음과 같은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사용자의 피부특성, 피부고민 및 화장품에 대한 취향을 파악하여 스킨 아이디(SKIN ID)라는 코드조합을 부여하고 사용한 화장품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부정적으로 반응했거나 반응하지 않은 화장품 성분을 가려낸다.
둘째, 가격, 브랜드, 기능 등 선호하는 구체적인 화장품 특징을 파악하여 각 화장품을 해당 사용자의 피부에 맞을 가능성과 트러블 발생 확률에 따라 적합도를 계산하고 적합도가 높은 화장품을 추천하여 화장품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셋째, 사용자 간 유사도 수치를 통해 자신의 피부특성 및 화장품 취향이 가장 유사한 사람의 상품평을 선별하여 볼 수 있어서 사용자의 기회비용을 줄이고 가장 합리적이고 편리한 구매를 돕는다.
넷째, 화장품 추천에만 그치지 않고 스킨 아이디(SKIN ID)에 따른 스킨케어 컨설팅을 제공하면서 추천된 제품을 샘플로 체험하게 하고 공동구매를 진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의 정보 입력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의 운영 서버에 의해 스킨 아이디가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의 제품특성 추출과 화장품 추천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의 운영 서버에 의해 추천 화장품 등이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이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의 정보 입력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피부타입을 입력하는 단계, 운영 서버가 스킨 아이디(SKIN ID)를 생성하는 단계 및 화장품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가 피부타입을 입력하는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가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구동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서 설치하고 피부타입, 피부고민 및 사용제품 평가정보를 입력한다.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태블릿)PC나 기타 이동통신단말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으로 제공되는 구동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서 설치한 다음 본인의 피부타입 등을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앱 등으로 제공되는 구동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서 설치하고, 피부타입에 대한 평가질문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며, 성별, 나이대, 피부타입, 피부고민 등을 입력해서 회원가입을 한다.
그리고, 사용제품 평가정보, 즉 최근에 사용한 제품에 대한 평가(좋음, 보통, 나쁨)를 하고, 제품 평가의 각 항목에 대한 이유(유분, 뾰루지 등)를 선택, 입력한다.
운영 서버가 스킨 아이디(SKIN ID)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운영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각종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피부타입 코드, 민감도 코드 및 여드름상태 코드가 부여되는 스킨 아이디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스킨 아이디(SKIN ID)는 유분수준 선호도 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아이디(SKIN ID)는 "OC2(D)-S2-A3-OL"와 같이 표시될 수 있는데, OC2(D)는 지복합성(수분부족), S2는 민감도 레벨, A3는 여드름 상태, OL은 유분수준 선호도에 따른 분류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스킨 아이디(SKIN ID)는 아래와 같이 얼굴 부위별 기름기와 건조한 정도로 구분되는 피부타입 코드, 화장품에 대해 피부가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민감도 코드, 여드름의 유형 및 정도를 나타내는 여드름 상태 코드로 구분된 피부 특성부(위 예에서 OC2(D)-S2-A3)와 화장품에서 느끼는 유분수준의 선호도 코드, 즉 화장품 취향부(위 예에서 OL)와 기타 피부고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킨 아이디(SKIN ID) = 피부특성부(피부타입 + 민감도 + 여드름 상태) + 화장품 취향부(화장품 유분수준 선호도) + 피부고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의 운영 서버에 의해 스킨 아이디가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이다.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화장품을 추천하기에 앞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각종 정보를 분석해서 도출된 사용자의 스킨 아이디(SKIN ID)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의 제품특성 추출과 화장품 추천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장품을 추천하는 단계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 서버가 상기 부여된 스킨 아이디(SKIN ID)에 부합되는 화장품을 제품 정보 DB에서 검색하여 리스트(list)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에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 항목으로는 성별, 제품유형, 피부타입, 피부고민, 전성분, 가격대, 브랜드 카테고리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영 서버는 제품의 기능, 제조판매사가 명시한 권장 피부타입, 제형, 원료의 특징, 제조 방식, 포함된 성분 개수 및 각 성분의 특성, 해당 사용자와의 스킨 아이디 유사도 수치에 따른 (수치가 높은) 사용자 그룹의 평가 및 사용자의 제품 평가에서 얻은 피부특성과 취향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따른 점수(로 계산된 제품별 적합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품별 적합도 점수가 높을수록 그 사람의 피부와 화장품 취향에 잘 맞고 피부 트러블(trouble)이 발생할 확률이 낮음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 간 스킨 아이디의 유사도 수치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타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제품 평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간 스킨 아이디의 유사도(수치)는 아래와 같이 스킨 아이디(SKIN ID) 일치수준 및 제품을 사용하거나 평가한 이력이 얼마나 일치하는지(제품 일치여부, 평가 일치여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사용자 간 유사도(수치) = 스킨 아이디(SKIN ID) 및 제품사용 및 평가이력 일치 수준
즉, 상기 스킨 아이디의 유사도 수치는 사용자 각각의 스킨 아이디(SKIN ID)와 사용제품 이력 및 제품평가 이력에 따라 부여된다.
여기서, 상기 운영 서버가 화장품을 추천할 때에는 사용자와 동일한 피부타입, 비슷한 구매능력을 보이는 사용자들(스킨 아이디의 유사도 수치가 높은 사용자들)의 "좋음" 평가가 많은 제품 순서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운영 서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가 입력한 사용제품 평가정보에 기반하여 제품특성을 추출하는 단계(제품특성 추출 1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화장품 제조사 홈페이지 등으로부터 제품의 특징을 수동으로 태깅(tagging)하여 제품 정보 DB를 수집하고, 가격, 브랜드 카테고리, 제품 유형, 전성분, 기능성 인증 유무, 효능, 용도 등과 같은 각종 제품 특성을 추출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특성을 추출하는 단계는 그 다음 단계로서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제품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관련된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제품특성 추출 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공공 DB로부터 각 제품의 성분 정보를 수집하고, 전성분 정보에서 사용자의 부정적 평가(유분, 뾰루지 등)와 관련된 매칭(matching)성분을 추출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의 운영 서버에 의해 추천 화장품 등이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번 회원가입을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그 다음부터는 별도의 검색이 필요없이 나의 취향과 피부타입에 맞는 화장품들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한 번의 가입만으로 계절과 사용자의 나이가 변해도 내 피부에 맞는 새로운 신제품을 다양하게 소개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구매결정의 최종기준이 되는 상품평(제품 사용후기)을 찾기 위해 애쓸 필요가 없고, 나의 취향과 나이대 그리고 피부특성이 유사한 사용자가 작성한 상품평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나와 피부타입이 같고 피부고민, 나이, 제품 취향이 비슷한 사람이 작성한 상품평을 찾아 포털 사이트(portal site)의 바다를 헤매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때, 운영 서버는 이미 알고 있는 제품이라면 상세페이지로 이동하지 않고 나와 스킨 아이디(SKIN ID)가 유사한 사용자들이 작성한 상품평을 볼 수 있는 편리함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영 서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제품에 대해 사용자 스스로 검증을 돕는 유사 사용자 통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에 "회원님이 선호하시는 로드샵 브랜드, 3만원~5만원대, 미백기능, 젤타입, 오일프리 제품입니다."와 같은 추천이유를 표시할 수 있고, 사고싶어요(LIKE) 버튼을 클릭하여 위시리스트(wishlist)에 담은 나와 같은 피부타입 사용자수를 표시할 수 있으며, 나와 유사한 사용자들의 제품평가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서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스스로 검증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상품정보와 스킨 아이디(SKIN ID)가 유사한 사용자들의 제품 선호 통계와 상품평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는 상품의 전성분을 보여주고 유익, 유해한 성분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상품평에 글을 남긴 유사 사용자들이 나와 얼마나 비슷한지 스킨 아이디(SKIN ID)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운영서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와 유사한 스킨 아이디(SKIN ID)를 갖는 사용자들에게 요즘 가장 인기있는 제품, 즉 "좋음"이란 평가를 가장 많이 받은 제품순위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서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기검증을 통해 "사고싶어요=위시리스트" 버튼을 클릭하도록 하여 이를 통한 수요기반 공동구매를 진행할 수 있는데, 사용자 단말기에 수요기반 공동구매 진행에 대한 알람정보를 전달하고 메인 페이지에서 자세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는 나에게 딱 맞는 화장품을 공동구매를 통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6)

  1. 사용자 단말기가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구동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서 설치하고 피부타입, 피부고민 및 사용제품 평가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운영 서버가 상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피부타입 코드, 민감도 코드, 여드름상태 코드 및 유분수준 선호도 코드가 부여되는 스킨 아이디를 생성하는 단계; 및
    운영 서버가 상기 스킨 아이디와 사용제품 평가에 부합되는 화장품을 사용자 단말기에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제품의 기능, 제조판매사가 명시한 권장 피부타입, 제형, 원료의 특징, 제조 방식, 포함된 성분 개수 및 각 성분의 특성, 해당 사용자와의 스킨 아이디 유사도 수치에 따른 사용자 그룹의 평가 및 사용자의 제품 평가에서 얻은 피부특성과 취향정보에 따른 점수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 간 스킨 아이디의 유사도 수치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타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제품 평가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스킨 아이디의 유사도 수치는 사용자의 스킨 아이디, 사용제품 이력 및 제품평가 이력에 따라 부여되며,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가 입력한 사용제품 평가정보에 기반하여 제품특성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품특성을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제품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관련된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51633A 2015-04-13 2015-04-13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KR101703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33A KR101703418B1 (ko) 2015-04-13 2015-04-13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33A KR101703418B1 (ko) 2015-04-13 2015-04-13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067A Division KR20170015448A (ko) 2017-01-31 2017-01-31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867A KR20160121867A (ko) 2016-10-21
KR101703418B1 true KR101703418B1 (ko) 2017-02-07

Family

ID=57257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633A KR101703418B1 (ko) 2015-04-13 2015-04-13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285A (ko)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제주햇살담음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 분석 및 추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846B1 (ko) * 2016-11-10 2020-02-24 주식회사 웨이웨어러블 개인화된 화장품 추천방법 및 추천프로그램
CN107122989B (zh) * 2017-03-21 2021-06-18 浙江工业大学 一种面向化妆品的多角度混合推荐方法
KR20190044764A (ko) * 2017-10-23 2019-05-02 (주)코스메틱벤처스 피부유형별 화장품 추천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19824B1 (ko) * 2018-06-28 2020-06-05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유전자 맞춤형 풋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KR102123101B1 (ko) * 2019-11-19 2020-06-15 강형진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556981B1 (ko) * 2019-12-19 2023-07-19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인 맞춤형 화장품 제공 시스템
KR102203355B1 (ko) * 2020-01-21 2021-01-18 김종호 상품 체험에 따른 체험정보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359188B1 (ko) * 2020-01-23 2022-02-07 주식회사 뷰티풀마인드 세안 제품과 세안법을 추천하는 방법
KR102157050B1 (ko) * 2020-02-05 2020-09-17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온라인 기반의 맞춤형 화장품 주문제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87986B1 (ko) * 2020-02-11 2023-01-12 김레지나 맞춤형 화장품을 추천하는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80241A (ko) * 2020-12-07 2022-06-14 고현지 체질 및 피부타입에 따른 고객 맞춤형 친환경 화장품 체험키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31457B1 (ko) * 2021-04-02 2023-05-10 김학철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형 화장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6421A (ko) * 2008-10-27 2010-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품 선호도를 평가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
KR101444726B1 (ko) * 2012-08-01 2014-09-26 김건식 고객 맞춤형 피부 진단 및 관리 방법, 이를 구현하는 서버, 그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140036858A (ko) * 2012-09-18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평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서버 장치 및 그 방법들
KR20140056861A (ko) * 2012-11-01 2014-05-1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장품 제조 카운슬링 시스템
KR20140077322A (ko)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285A (ko)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제주햇살담음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 분석 및 추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867A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418B1 (ko)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KR20170015448A (ko)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JP6482172B2 (ja) レコメンド装置、レコメン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0554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753481B1 (ko) 오픈 마켓별 가격변동 자동 모니터링 및 변경 시스템
US20130097110A1 (en) System for recommending advice based on user psychology index
US201602927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isplay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150110846A (ko) 상품 추천 방법 및 시스템
Nkwo et al. E-Commerce Personalization in Africa: A Comparative Analysis of Jumia and Konga.
KR101707660B1 (ko) 연관 검색어를 이용한 관심사 카테고리 기반 이커머스 시스템
KR102483635B1 (ko)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133633A (ko)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90055963A (ko) 키워드검색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348276B1 (ko) 빅 데이터 기반의 얼굴피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ing et al. Development of novel fashion design knowledge base by integrating conflict rule processing mechanism and its application in personalized fashion recommendations
US95424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6202218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数据处理系统
CN108920546A (zh) 一种基于用户需求的稳态标签开发方法及系统
KR20150017055A (ko) 온라인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
JP6637244B2 (ja) コンテンツ推奨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推奨方法
KR20220137275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형 화장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3609375A (zh) 内容推荐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WO20070437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customer's purchase pattern to affiliated stores
KR20160096832A (ko) 유사 의류 자동 검색 및 추천 알고리즘
WO2024080341A1 (ja) 化粧品類情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