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322A -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322A
KR20140077322A KR1020120145965A KR20120145965A KR20140077322A KR 20140077322 A KR20140077322 A KR 20140077322A KR 1020120145965 A KR1020120145965 A KR 1020120145965A KR 20120145965 A KR20120145965 A KR 20120145965A KR 20140077322 A KR20140077322 A KR 20140077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s
color
information
cosmetic
make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주연
장인수
이송우
김진서
이지형
김재우
권순영
최윤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5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7322A/ko
Publication of KR20140077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추천 방법은, 선택된 화장품의 스펙트럼 정보 및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선택된 화장품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 내 화장품 중 선택된 화장품과 유사한 스펙트럼 정보를 갖는 화장품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METHOD FOR RECOMMENDING COSMETIC PRODUCTS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의 스펙트럼 측정값 및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대체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은 파운데이션, 파우더, 아이브로우, 아이섀도우, 립스틱, 볼터치,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를 사용해 얼굴의 결점을 감추고 장점을 살리면서 각 개인의 원하는 스타일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에 많이 이용되어 오고 있다.
정보 처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정보 필터링(IF) 기술의 일종으로, 특정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정보를 추천하는 추천 시스템이 영화, 음악, 책, 뉴스, 이미지, 웹 페이지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메이크업 추천 시스템 또한 그 중 하나의 적용 분야이다.
화장 추천 시스템은 주로 아바타 이미지를 이용해 화장품에 대응하는 색을 덧칠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가상의 이미지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아바타는 사용자를 대신하는 또 하나의 자신으로, 사진이나 3차원 모델 등을 활용한 아바타가 화장 추천 시스템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들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장품들을 이용해서 자유롭게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선택한 화장품을 사용자가 실제로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적용했던 메이크업 결과를 직접 얼굴에 적용하는 데 제한이 따른다.
또한 일반 사용자가 전문가의 메이크업 방식을 따라 자신의 얼굴에 동일하게 적용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일반 사용자가 전문가가 사용한 화장품을 모두 가지고 있기는 현실적으로 힘들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추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품 추천 방법을 활용하는 화장품 추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추천 방법은, 선택된 화장품의 스펙트럼 정보 및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선택된 화장품 카테고리과 동일한 카테고리 내 화장품 중 선택된 화장품과 유사한 스펙트럼 정보를 갖는 화장품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장품 추천 장치는, 사용자가 화장품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화장품의 스펙트럼 정보 및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고, 선택된 화장품 카테고리과 동일한 카테고리 내 화장품 중 선택된 화장품과 유사한 스펙트럼 정보를 갖는 화장품을 선별하여 선별된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 장치는 또한, 다양한 회사가 생산한 다양한 종류의 메이크업 관련 화장품 정보를 저장하는 화장품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 장치는 또한, 선택된 화장품에 따른 메이크업이 적용된 사용자 얼굴을 3D로 표현하는 3D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화장품과 가장 유사한 색을 가지는 다른 화장품들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화장품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사용자가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상에서 시도했던 메이크업 방식을 직접 자신의 얼굴에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문가의 메이크업 스타일을 모방하고자 할 때, 전문가가 선택한 화장품과 유사한 색의 화장품을 보여줌으로써, 전문가가 선택한 화장품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대체 화장품을 이용하여 전문가의 메이크업 방식을 적용해 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추천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추천 방법에서 유사 화장품 선택 과정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추천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추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그되는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이 인지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연이어 도시되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때때로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화장품의 스펙트럼 측정을 통하여 화장품의 정확한 색을 표현하고 측정된 스펙트럼 데이터를 DB화하여 관리하며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통하여 사용자 또는 전문가가 선택한 화장품과 유사한 색의 대체 화장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선택된 화장품의 스펙트럼 측정값을 이용하여, 선택된 화장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에서 가장 유사한 색을 가지는 화장품을 안내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화장품 구매 고려시, 유사한 다른 화장품들 중 가격, 선호 브랜드 등과 같은 다른 조건도 함께 고려함으로써 선택의 폭을 다양화할 수 있으며, 전문가의 메이크업 스타일을 모방하고자 할 때, 전문가가 선택한 화장품의 대체 화장품을 이용하여 자신의 얼굴에 직접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가상으로 여러 가지 종류의 화장품을 얼굴에 적용했을 때의 모습을 시뮬레이션 하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사용자가 프로그램 상에서 선택한 화장품을 실제로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상에서 시뮬레이션 하였던 동일한 화장품과 메이크업 방법을 실제로 자신의 얼굴에 직접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화장품과 가장 유사한 색의 대체 화장품을 함께 보여줌으로써 일반 사용자 또는 메이크업 전문가가 시뮬레이션에 사용했던 화장품과 유사한 제품을 이용해 실제 사용자 본인의 얼굴에 시뮬레이션에서의 메이크업 방식과 동일한 메이크업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추천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에서는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선택한 화장품과 유사한 색의 화장품을 추천해 주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추천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다.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일반 사용자가 화장품을 선택하거나, 메이크업 전문가가 사용한 화장품이 선택된다(S100).
화장품이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장품 스펙트럼 정보를 이용해 선택된 화장과 유사한 화장품을 검색한다(S200).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여러 가지 화장품에 대하여 측정된 스펙트럼 DB 데이터를 Lab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검색 결과, 사용자 또는 전문가가 선택한 화장품의 색상과 가장 유사한 색상을 가지는 대체 가능 화장품에 대한 검색 결과를 출력한다(S210).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장품들 중 선택된 화장품의 색상과 색 오차가 가장 적은 화장품이 가장 유사한 컬러를 가지는 대체 가능 화장품으로 선택되어 출력된다. 출력되는 대체 가능 화장품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선택된 화장품의 색상과의 색 오차가 일정 범위 내인 화장품이 모두 출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출력된 대체 화장품 목록 중 자신이 원하는 화장품을 이용하여 메이크업을 적용한다(S300).
한편, 가장 유사한 색의 화장품을 찾기 위해서는 화장품의 정확한 색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3차원의 색 좌표인 RGB 정보만을 이용하여 색을 분석하는 경우, 컬러 분석의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스펙트럼 기반의 컬러 정보를 이용하여 화장품의 정확한 색을 분석한다.
스펙트럼 기반 컬러 정보는 가시 영역 파장대인 400nm 부터 700nm 까지의 영역에서 각 파장별로 반사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스펙트럼 측색기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측정이 가능하다.
스펙트럼 측색기(spectrophotometer)는 분광 광도계라고도 하며, 시료의 파장별 세기를 측정하여 색도 좌표를 산출하는 색채 측정 장비이다. 스펙트럼 측색기는, 색채 측정을 위해 최소 380~780nm 영역의 빛을 측정하도록 설계되며, 광원, 시료 측정의 관측 조건을 결정하는 광학 장치, 빛을 분광시키는 분광 광치, 빛을 분석하기 쉬운 신호로 변환시키는 광 검출기와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된다. 스펙트럼 측색기는, XYZ, L*a*b*, Hunter L*a*b*, Munsell 등 다양한 표색계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펙트럼 측정된 화장품이 Lab 컬러 좌표로 표시된 색 정보를 활용한다.
LAB 컬러 좌표는 CIE(국제조명위원회)에서 규정한 색상 값으로 우리 눈이 가지할 수 있는 색차와 색 공간에서 수치로 표현한 색차를 거의 일치시킬 수 있는 색 공간이다. CIE LAB은 균일한 색 공간 좌표로서 눈과 매우 근사한 차이를 보여주어 세계적으로 표준화되어 있는 색 공간이다.
CIE LAB에서의 색 좌표는 L*, a*, b* 로 표시하게 되며 L* 은 명도, a* 은 Red 및 green의 정도, b* 는 Yellow 및 Blue의 정도를 나타내는 입체 좌표이다. LAB 공간은 완전한 구의 형태는 아니며, Green 계통은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짧고 Red 계통은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Green보다 멀다. L* 은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수치이고 L*=100은 흰색이고 L*=0은 검정색이다.
CIE LAB 색공간에서 색의 차이란 구에 가까운 색 공간에서 두 색의 위치 사이의 입체적인 거리이며, 두 지점 간의 입체적인 거리가 서로 멀면 색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화장품은, 파운데이션, 파우더, 아이섀도우, 립스틱,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볼터치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화장품을 카테고리 별로 나누어 클러스터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유사한 화장품을 검색할 때 선택된 화장품과 동일한 카테고리 내에 존재하는 화장품들에 대해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추천 방법은 또한,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에 대하여 스펙트럼 측정을 통해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균일한 색공간 좌표인 Lab 컬러 좌표로 변환하여 화장품의 색에 따라 클러스터링함으로써 비슷한 색을 가지는 화장품이 가까운 좌표에 위치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추천 방법에서 유사 화장품 선택 과정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동작 순서도이다.
즉, 도 2는 도 1의 유사 화장품 검색 및 결과 출력(S200 및 S21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추천 방법에 따르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을 위해 선택 입력된 화장품에 대해, 화장품의 컬러 스펙트럼 측정 정보와 해당 화장품이 어떤 카테고리에 속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S201). 화장품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화장품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화장품 리스트를 검색한다(S202).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는 파운데이션, 파우더, 아이섀도우, 립스틱,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볼터치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화장품에 대하여 스펙트럼 측정 정보 및 화장품의 브랜드, 품명, 카테고리, 호수(컬러)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스펙트럼 정보는 스펙트럼 측정기로 화장품을 측정하여 400nm부터 700nm까지 10nm 간격의 값을 가지며, 하나의 화장품마다 스펙트럼 데이터 31개가 화장품 DB에 저장된다.
선택된 화장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화장품 리스트가 확보되면, 선택된 리스트들의 LAB 값을 선택된 화장품의 스펙트럼 정보와 비교한다(S203). 다시 말해, 스펙트럼 정보를 가지고 있는 스펙트럼 DB 상의 다른 화장품들의 Lab 좌표들과, 선택된 화장품의 스펙트럼 정보를 Lab 좌표로 변환한 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선택된 화장품의 Lab 좌표와 가장 가까이 위치한, 즉 컬러 오차 ΔEab 가 최소인 유사 화장품이 선택된다(S204). 이때, 유사 화장품은 컬러 오차 ΔEab 계산 값이 일정 범위 내인 복수의 화장품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추천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추천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에 따른 사용자 얼굴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310),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속한 화장품 품목 및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의 컬러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320), 및 유사 화장품의 컬러 및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화장품 추천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파운데이션, 파우더, 아이섀도우, 립스틱,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볼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 중 원하는 화장품 또는 전문가가 사용한 화장품을 선택하면,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320 화면의 하단에 해당 화장품의 스펙트럼 정보를 이용한 화장품의 RGB 색상이 보여진다.
스펙트럼 DB 클러스터링을 통해 선택된 화장품과 동일한 카테고리 내에서 가장 유사한 색의 화장품이 검색되면, 선택 화장품의 대체 가능 화장품의 정보가 320 화면의 바로 아래 330 화면을 통해 제공된다. 해당 화장품의 스펙트럼 값을 RGB로 변환하여 화장품의 색상도 함께 보여준다.
한편, 메이크업이 적용된 사용자 얼굴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310)은 메이크업이 적용된 사용자 얼굴을 3D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상태, 피부색, 선택되는 화장품의 색상, 조명 등의 상호 작용을 고려하여 사실적인 메이크업 적용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검색 결과를 보고 유사 화장품으로 제시된 몇 가지 화장품 중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여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상에서 얼굴 모델에 적용해 볼 수 있으며, 검색 결과로 나온 유사 화장품 중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화장품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적용했던 메이크업 방식을 자신의 얼굴에 실제로 적용해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이크업 전문가가 선택한 제품과 유사한 색상을 가지는 제품 중 저렴한 가격대의 대체 화장품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유명인의 뷰티 메이크업 방식을 모방하고자 하는 경우는 물론, 뮤지컬, 오페라 등의 공연 분장 전문가의 방식을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온라인 등으로 교육받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추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추천 장치(400)는, 입력부(410), 제어부(420), 화장품 데이터베이스(430) 및 3D 디스플레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10)는 사용자가 화장품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부(420)는, 입력부(410)를 통해 선택된 화장품의 스펙트럼 정보 및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고, 선택된 화장품 카테고리과 동일한 카테고리 내 화장품 중 선택된 화장품과 유사한 스펙트럼 정보를 갖는 화장품을 선별하여 선별된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화장품 데이터베이스(430)는 다양한 회사가 생산한 다양한 종류의 메이크업 관련 화장품을 파운데이션, 파우더, 아이섀도우, 립스틱,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볼터치 등과 같은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화장품 데이터베이스(430)는 또한, 각 화장품에 대해 제조 회사, 색상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데이터베이스(430)가 저장하는 색상 정보는 Lab 좌표에 따른 색상 정보, RGB 색상 정보를 포함한다.
3D 디스플레이부(440)는 선택된 화장품에 따른 메이크업이 적용된 사용자 얼굴을 3D로 표현할 수 있다. 3D 디스플레이부(440)는 또한, 제어부(420)에 의해 제공되는 피부 상태, 피부색, 선택되는 화장품의 색상, 조명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사실적인 메이크업 적용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00: 화장품 추천 장치
410: 입력부
420: 제어부
430: 화장품 데이터베이스
440: 3D 디스플레이부

Claims (1)

  1. 선택된 화장품의 스펙트럼 정보 및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선택된 화장품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 내 화장품 중 선택된 화장품과 유사한 스펙트럼 정보를 갖는 화장품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추천 방법.
KR1020120145965A 2012-12-14 2012-12-14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140077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65A KR20140077322A (ko) 2012-12-14 2012-12-14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65A KR20140077322A (ko) 2012-12-14 2012-12-14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322A true KR20140077322A (ko) 2014-06-24

Family

ID=5112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965A KR20140077322A (ko) 2012-12-14 2012-12-14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732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867A (ko)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에이치이알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KR101677128B1 (ko) * 2016-01-12 2016-11-21 주식회사 버드뷰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상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KR20170015448A (ko) 2017-01-31 2017-02-08 주식회사 에이치이알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WO2018147625A1 (ko) * 2017-02-08 2018-08-16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제품 검색 장치 및 방법
CN110110118A (zh) * 2017-12-27 2019-08-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妆容推荐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0135930A (zh) * 2018-02-02 2019-08-16 英属开曼群岛商玩美股份有限公司 虚拟应用化妆效果并推广产品的方法、系统及存储媒体
KR20210086136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아트랩 화장품 제조 및 분석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210087619A (ko) * 2020-01-03 2021-07-13 배민준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867A (ko)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에이치이알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KR101677128B1 (ko) * 2016-01-12 2016-11-21 주식회사 버드뷰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상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KR20170015448A (ko) 2017-01-31 2017-02-08 주식회사 에이치이알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WO2018147625A1 (ko) * 2017-02-08 2018-08-16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제품 검색 장치 및 방법
CN110110118A (zh) * 2017-12-27 2019-08-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妆容推荐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0135930A (zh) * 2018-02-02 2019-08-16 英属开曼群岛商玩美股份有限公司 虚拟应用化妆效果并推广产品的方法、系统及存储媒体
CN110135930B (zh) * 2018-02-02 2022-02-11 英属开曼群岛商玩美股份有限公司 虚拟应用化妆效果并推广产品的方法、系统及存储媒体
KR20210086136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아트랩 화장품 제조 및 분석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210087619A (ko) * 2020-01-03 2021-07-13 배민준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7322A (ko)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1799174B1 (ko) 피부 진단 및 화상 처리 시스템, 장치 및 물품
CA2908729C (en) Skin diagnostic and image processing methods
US20060197775A1 (en) Virtual monitor system having lab-quality color accuracy
Hsiao et al. Applying aesthetics measurement to product design
EP1281054A2 (en) Method for analyzing hair and predicting achievable hair dyeing ending colors
CN107533580A (zh) 作为活体植物的部分在显示器上显示的生物信息的多个参数
KR20150098130A (ko) 사용자 피부 정보 기반 화장품 추천 장치 및 방법
JPH08202754A (ja) リップカラーアド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4167761A (ja) 環境評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136483A (ko) 뷰티 콘텐츠 제공방법
Xu et al. The development of a colour discrimination index
Kuehni Color spaces and color order systems: a primer
KR20140057934A (ko)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US20080144143A1 (en) Method for color characterization and related systems
CN107430743B (zh) 个人定制型化妆品的提案方法
JP2022538094A (ja) メイクアップパレットまたは染毛配色の少なくとも一方を推奨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方法、および装置
KR102459646B1 (ko) 화면표시장치 상에서 파운데이션 색상을 보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운데이션 추천 방법
KR100562755B1 (ko) 피부 색도 측정 영상 장치
WO2023245404A1 (en) Method for classifying a color of a makeup productand tool for assistance in the development of colors of makeup products
US7755762B2 (en) Method of improving a color filter
KR20190061852A (ko) 색채심리 기반 퍼스널 컬러 코칭 시스템 및 방법
JP2020536244A (ja) ヘアカラーのクロスメーカー提案を決定するためのプロセス
JP7173989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avchenko Balancing fidelity and performance in iridal light transport simulations aimed at interactiv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