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128B1 -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상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상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128B1
KR101677128B1 KR1020160003587A KR20160003587A KR101677128B1 KR 101677128 B1 KR101677128 B1 KR 101677128B1 KR 1020160003587 A KR1020160003587 A KR 1020160003587A KR 20160003587 A KR20160003587 A KR 20160003587A KR 101677128 B1 KR101677128 B1 KR 101677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information
component
cosmetics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
김용진
김동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버드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버드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버드뷰
Priority to KR1020160003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G06F17/3099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화장품 탐색 방법에 관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다음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된 상품 콘텐트 중에서 제1화장품을 선택하면, 상기 제1화장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1화장품의 성분과 유사한 성분을 갖는 1개 이상의 제2화장품에 관한 정보를 같은 화면에 성분 유사도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상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COSMETICS INFORMATION MOBILE APPLICATION USING COSMETIC PRODUCTS COMPON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화장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화장품 산업은 필수 소비재가 되었다. 전통적으로 색조 화장 목적으로 화장품이 사용되기는 했으나, 근래에는 자외선 차단, 주름 개선, 미백 등의 기능성 화장품을 포함해서 다양한 분류의 화장품이 판매되고 있다. 기초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색조 화장용 제품, 인체 세정용 제품, 면도용 제품, 눈화장용 제품이 비중이 가장 크고, 손발톱용 제품, 영유아용 제품, 방향용 제품, 두발 염색용 제품, 목욕용 제품, 체취 방지용 제품에 이르기까지 산업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그런데 화장품은 화학성분(천연생물에 추출한 성분을 포함한다)을 피부에 가하는 것이어서 최근 안정성에 관한 니즈가 점점 커지고 있다. 그래서 화장품의 성분 명칭을 확인하고 그 성분들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는 소비자들도 늘고 있다. 화장품성분학에 관한 사전이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한화장품협회는 인터넷 웹사이트(www.kcia.or.kr)를 통해서 화장품 성분 사전, 화장품 성분명 검색 및 등록, 화장품 관련 안정성 정보 등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화장품 성분을 알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는 다양한 곳에서 충족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13759호는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QR코드 기반으로 화장품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선행 특허문헌은 스마트폰으로 화장품 포장에 부착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해당 화장품의 성분정보를 추출한 다음에,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위험 성분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비교해서 그 비교결과를 스마트폰 화면을 통해 소비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이로써 특정 화장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비자는 안정성만을 따지지 않는다는 데 상기 종래기술의 한계와 문제점이 있었다. 안정성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리고 매우 다양한 브랜드의 화장품이 판매되고 있다. 요컨대 종래기술처럼 안정성을 확인했다고 해서 그런 사실만으로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X라는 성분이 포함된 A 화장품 제품이 안정성이 확인되었다고 가정하자. 같은 성분이 포함된 B 화장품 제품, C 화장품 제품, D 화장품 제품이 있다고도 가정하자. 그런 경우에 상기 특허문헌은 각 제품의 안정성만을 확인해 줄 뿐이다. 결국 소비자는 위 네 가지 제품 중에서 어떤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지에 대해서, 상기 특허문헌은 침묵한다.
화장품 제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의 관점은 단순하고 명료하다. 세상에는 너무나 많은 화장품이 존재한다. 수많은 제품 중에서 어떤 제품이 내게 적합한가 만일 특정 제품이 마음에 들기는 하지만 선호 브랜드가 아니거나 혹은 너무 비싸다고 생각한다면, 어떤 대체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좋을까? 종래에는 이런 니즈에 대한 기술적인 솔루션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궁리하고 연구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화장품 제품을 탐색할 수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반드시 <직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소비자는 수고롭게 공부하면서 제품을 구매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종래기술처럼 컴퓨터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해서 성분정보를 키워드로 입력한 다음에 일일이 대체 제품을 확인해야만 알 수 있다면, 이는 사실상 공부하면서 제품을 구매하라는 것이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화장품의 대체 제품으로서 1개 이상의 제2화장품을 성분 정보에 기초해서 대체 제품 후보 목록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기술적 효용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화장품 탐색 방법으로서: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된 상품 콘텐트 중에서 제1화장품을 선택하면, 상기 제1화장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1화장품의 성분과 유사한 성분을 갖는 1개 이상의 제2화장품에 관한 정보를 같은 화면에 성분 유사도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화장품 탐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분 유사도는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해서 제2화장품마다 결정되는 것이며, 성분 유사도가 높은 제2화장품이 선별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112016003170406-pat00001
(S는 성분 유사도이며, ∑A는 제1화장품의 성분 점수 총합, ∑B는 제2화장품의 성분 점수 총합, ∑AB는 제1화장품 성분 중 제2화장품에 포함된 성분 점수 총합, ∑BA는 제2화장품 성분 중 제1화장품에 포함된 성분 점수 총합)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화장품 탐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할 때 상기 상세 정보는 다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 상품 구성 정보;
(b) 피부타입별 성분 정보;
(c) 기능성 성분 정보;
(d) 성분 안전도 정보;
(e) 업로드된 사용자들의 리뷰 정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화장품 탐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품 구성 정보는 상기 제1화장품의 구성성분과 피부 주의성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에 선택 이벤트에 따라 상세 정보를 계층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화장품 탐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부타입별 성분 정보는 지성피부, 건성피부 및 민감성 피부를 포함하여 분류되어 표시되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에 선택 이벤트에 따라 상세 정보를 계층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화장품 탐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성분 정보는 자외선 차단, 미백 개선, 주름 개선을 포함하여 분류되어 표시되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에 선택 이벤트에 따라 상세 정보를 계층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화장품 탐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제2화장품을 선택하면, 상기 제2화장품을 기준으로 상기 제2화장품의 성분과 유사한 성분을 갖는 1개 이상의 제 3 화장품에 관한 정보를 같은 화면에 성분 유사도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화장품 탐색 방법으로서: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성분 검색을 하는 경우, 성분 안전도 정보, 주의성분 정보, 피부타입별 성분 정보 및 기능성 성분 정보를 포함하는 분류 리스트를 제공하며 성분 검색 이벤트에 따라 검색 결과를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성분 안전도 정보, 주의성분 정보, 피부타입별 성분 정보, 기능성 성분 정보마다의 결과값을 상기 분류 리스트에 맞게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화장품 탐색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표시된 제1화장품을 선택하면, 상기 제1화장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1화장품의 성분과 유사한 성분을 갖는 1개 이상의 제2화장품에 관한 정보를 같은 화면에 성분 유사도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관심이 있는 특정 제품과 가장 유사한 성분을 갖는 대체 상품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빠르게 대체 상품의 상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거둔다.
이러한 효과가 가능한 까닭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서 모든 화장품의 구성성분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으며, 또한 화장품 사이의 성분 유사도가 모든 화장품마다 산정되도록 시스템이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화장품 소비자들은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화장품의 각종 성분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성분 관점으로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만끽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제1화장품에 관한 정보와 제2화장품에 관한 정보를 성분 유사도에 기초해서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탐색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구성을 더욱 자세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개념적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모바일 환경에서의 화장품 탐색 방법에 관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그 방법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탐색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해서 접속하는 웹 서비스가 아니라, 전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제공되는 앱 서비스를 이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서 수행되는 것이다.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다수의 상품 콘텐트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서 표시될 것이다. 그 중 특정 화장품 아이템을 선택하면 해당 화장품에 대한 상세 정보 애플리케이션 화면(10)이 표시된다. 이 상세 정보 애플리케이션 화면(10)은 해당 화장품 아이템(이와 같이 선택된 화장품 아이템을 "제1화장품"으로 칭하기로 한다)(15)이 화면 위쪽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다양한 콘텐츠가 표시될 것이다. 그것들이 어떤 콘텐츠인지에 관해서는 특히 도 4 및 도 5에서 후술한다. 사용자는 입력수단(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펜 등 터치 입력이 가능한 일체의 입력수단)을 통해서 화면을 밑으로 내릴 수 있다. 그러면 애플리케이션 화면(10) 아래쪽에, 상기 제1화장품의 성분과 유사한 성분을 가진 화장품 아이템(20, 21, 22)을 표시해줄 수 있다(이들 유사성분을 가진 화장품 아이템들을 "제2화장품"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화면 좌측에서부터 성분 유사도가 가장 큰 화장품을 위치시키고 순서대로 표시한다면 제2화장품(20), 제2화장품(21), 제2화장품(22) 순서대로 성분 유사도가 높을 것이다. 성분 유사도를 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서는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없었던 탁월한 효과를 사용자는 경험할 수 있다. 화장품은 사람 피부에 사용되는 것이고, 사람마다 피부특성이 다르다는 육체적인 관점과, 사람마다 선호하는 브랜드가 다르다는 취향적인 관점과, 브랜드마다 가격이 다르다는 시장 관점이 복합적으로 사용자에게 작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복수의 상품 중에서 선택을 고심하게 된다. 그래서 이 분야의 사용자들은 습관적으로 여러 상품을 조사해서 비교하려고 한다. 이때 가장 과학적인 비교는 성분을 이용하는 것이지만, 모바일 환경에서 성분을 이용한 비교는 극히 어렵다. 성분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이 쉽지 않고(일단 성분 정보를 제공하는 출처를 알기도 어렵다), 접속했다손 치더라도 작은 화면에서 복수의 상품의 성분을 직관적으로 비교하기란 매우 힘들다. 특히 성분비교가 2개의 상품 간에서 이뤄지는 게 아니라 다수의 상품들을 두루 비교하는 작업이라면 모바일 환경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화장품과 거의 동등한 효과를 기대하면서 자기에게 더 적합한 대체상품(말하자면 제2화장품들)을 탐색할 수 없었다. 그러나 도 1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제1화장품(15)와 동시에 제2화장품(20, 21, 22)가 표시되기 때문에, 가장 과학적으로 대체상품 탐색이 가능해진다.
어떤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다른 상품도 함께 제공하는 구성 자체는 특별할 것이 없다. 여러 가지 방법이 흔히 사용된다. 예컨대 가장 흔하게는 인기 상품들을 함께 보여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쿠키 기술을 이용해서 열람했던 다른 상품을 함께 보여줄 수도 있다. 일종의 광고기법으로 광고 콘텐트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상품을 보여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본 발명처럼 과학적인 대체상품 탐색은 불가능하다. 함께 보여지는 상품들의 화장품 성분 사이에 공통점이 없기 때문이다.
이제 본 발명의 내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0a, 10a…)들이 서버(1)에 접속해서 네트워크 통신을 하여 본 발명의 방법이 구현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0a, 10a…)은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a)는 앱 스토어 플랫폼을 통해서 서버(1)가 제공하는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a)의 메모리에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며, 이것이 실행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a)의 프로세서가 제어 주체로서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 모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그 밖에 모바일 디바이스(10a)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가 필요 시에 동작한다. 예컨대 프로세서의 제어명령에 의해서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 모듈, 입출력 기기, 카메라 모듈 등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 모듈로는, 통신모듈, 가입자 계정 모듈, 검색 모듈, 업데이트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이 있다.
상기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a)는 상기 서버(1)에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한다. 서버(1)는 모바일 디바이스(10a)와 데이터 통신을 하며, 서버가 보유하고 관리하는 콘텐츠를 제공한다.
서버(1)는 복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장치를 포함하며 그리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들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무선통신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며 프로세스 실행을 보장한다.
서버(1)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갖는다. 데이터베이스(2)는 화장품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는 애플리케이션을 디바이스에 설치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는 화장품 구성 성분 정보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6)은 화장품 피부 타입별 성분 정보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7)은 화장품 기능성 성분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8)는 화장품 주의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이들 데이터베이스들(5, 6, 7, 8)은 개념상 서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처럼 표시되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면서 인덱스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서버(1)는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가질 수도 있는데, 영상/텍스트/사운드 등의 다양한 포맷으로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해서, 예컨대 사용자들의 로그를 기록한 로그 데이터베이스, 만약 과금기능이 더해진다면 과금 데이터베이스, 광고 데이터베이스 등이 있겠다.
서버(1)는 성분 유사도 계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화장품마다 모든 구성성분이 상기 데이터베이스(5)에 기록되어 있다.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르면 이 구성성분 정보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은 수식을 이용하여 화장품마다 성분 유사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에 기록해 둘 수 있다.
(식 1)
Figure 112016003170406-pat00002
여기서 A를 제1화장품을 나타낸다고 하자. B는 A를 제외한 다른 모든 화장품 중의 어느 한 제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제2화장품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제1화장품 이외의 화장품을 뜻하므로, 말하자면 B는 제2화장품 그룹에 속하는 어떤 화장품이다.
S는 성분 유사도이며, ∑A는 제1화장품의 성분 점수 총합, ∑B는 제2화장품의 성분 점수 총합, ∑AB는 제1화장품 성분 중 제2화장품에 포함된 성분 점수 총합, ∑BA는 제2화장품 성분 중 제1화장품에 포함된 성분 점수 총합이다.
제1화장품(A)의 구성 성분과 성분점수
제품 A
성분명 순서 점수
a 1 (7)2
b 2 (6)2
c 3 (5)2
d 4 (4)2
e 5 (3)2
f 6 (2)2
g 7 (1)2
h 8 (1)2
i 9 (1)2
j 10 (1)2
k 11 (1)2
l 12 (1)2
m 13 (1)2
n 14 (1)2
o 15 (1)2
p 16 (1)2
q 17 (1)2
총합 150
성분순서는 전체 성분 중에서 포함된 양이 더 많은 순서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더 많은 성분량이 함유된 성분에 대해서 가중치를 부여한다. 표 1의 실시예에서는 성분량이 가장 많은 6개의 성분에 대해서 순서대로 7, 6, 5, 4, 3, 2의 가중치를 부여했으며(제1가중치), 점수의 편차를 크게 하기 위해서 각 점수마다 제곱값으로 환산했다(제2가중치). 이러한 두 가지 가중치를 표 2의 제2화장품에 대한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제2화장품(B: 제1화장품이 아닌 모든 화장품 중의 어느 한 화장품)의 구성 성분과 성분점수
제품 B
성분명 순서 점수
d 1 (7)2
e 2 (6)2
f 3 (5)2
g 4 (4)2
h 5 (3)2
i 6 (2)2
s 7 (1)2
t 8 (1)2
u 9 (1)2
v 10 (1)2
w 11 (1)2
x 12 (1)2
y 13 (1)2
Z 14 (1)2
AA 15 (1)2
BB 16 (1)2
CC 17 (1)2
총합 150
표 1의 제1화장품의 성분과 표 2의 제2화장품의 성분 중 공통된 성분은 d, e, f, g, h, i이다. 그리고 식 1에 의해서 두 화장품 사이의 성분 유사도 점수를 환산하면 0.57점이 나온다. 그런 다음에 위와 같은 제1화장품을 기준으로 해서 나머지 다른 화장품들의 성분 유사도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특정 화장품에 대해서 성분이 유사한 다른 화장품의 성분 유사도 점수 순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그 특정 화장품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할 때, 성분 유사도 점수가 높은 상품을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화장품을 본 발명의 서버 시스템에 등록할 때, 상기 성분 유사도 계산부(50)가 해당 화장품을 기준으로 모든 화장품들의 성분 유사도 점수를 미리 등록해 놓을 수 있다. 그래서 그 화장품이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될 때 유사도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다른 화장품을 표시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임의의 화장품을 선택할 때, 그 화장품을 제1화장품으로 특정하여, 상기 성분 유사도 계산부(50)가 실시간으로 성분 유사도를 계산하여 다른 화장품을 제2화장품으로 하여 성분 유사도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사용자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전체 프로세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있어 사용자들의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먼저,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00).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서버가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서 표시될 것이다. 메인 화면, 또는 메인 화면에서 이행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서 임의의 상품 콘텐츠가 표시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된 상품 콘텐트 중에서 특정 화장품을 선택한다(S110). 그러면 그 화장품은 본 발명의 제1화장품으로 특정되게 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선택된 제1화장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한다(S120). 그리고 동시에 상기 성분 유사도 계산부가 계산한 성분 유사도 점수에 따라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화장품을 추출하고, 바람직하게는 성분 유사도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제2화장품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S121). 이때의 제2화장품 목록은 해당 화장품의 이미지로 표시되는 것이 좋다. 물론 텍스트만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텍스트 및 이미지로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동시에 표시"라 함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상기 제1화장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제2화장품에 대한 정보도 표시함을 의미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는 입력수단을 통해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위아래로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는 기본적으로 제1화장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되, 사용자가 동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디바이스에 가시화되는 화면을 이동시킴으로써 제2화장품에 대한 정보가 화면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 1을 참조하라).
다음으로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터치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 이벤트에 따른 분류별 상세정보를 계층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S130). 제1화장품의 상세 정보는 구성 성분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더 상세한 정보를 열람하기를 원할 수 있다. 상기 S130 단계는 그런 경우의 선택 이벤트에 따른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한편, S121 단계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제2화장품에 대해서 선택 이벤트를 발생시킨다면, 상기 제2화장품을 기준으로 상기 제2화장품의 성분과 유사한 성분을 갖는 1개 이상의 제 3 화장품에 관한 정보를 같은 화면에 성분 유사도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로 이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의 제2화장품은 새로운 제1화장품의 개념으로 이행하며, 제 3 화장품은 새로운 제2화장품의 개념이 된다.
이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당업자에게 명료하게 이해되었을 것이다. 공중의 이해에 더욱 기여하고 당업자들의 반복 재현을 돕기 위해서 도 4 및 도 5의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도 4는 상기 도 3의 S120 및 S121 단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 구성의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도 5는 도4의 일부 화면 구성을 더욱 상세히 예시한다.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상부에는 제1화장품의 이미지 표시부(110)가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 표시부(110)에는 사용자 선택한 제1화장품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부(111)와 해당 상품의 회사명 및/또는 브랜드를 표시하는 명칭부(112)와 사용자의 평가점수를 수집하여 나타내는 평가지수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표시부(110)에는 즐겨찾기(115), 가격표시(116), 정보수정부(117) 및 SNS 공유아이콘(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량, 출시일, 유의사항, 광고문구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미지 표시부(110) 아래로 제 1 구성성분 표시부(130), 제 2 구성성분 표시부(140), 제 3 구성성분 표시부(150)를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리뷰(1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성성분 표시부(130)는 도 5(a)에 나타난 것처럼, 제1화장품의 성분구성을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로 나타낼 수 있다. 성분구성은 매우 많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모든 성분을 표시하기보다는 성분들의 공통 분류를 그래프(131)로 나타낸다. 여기서 말하는 공통 분류라 함은 각 성분들을 높은 위험도, 중간 위험도, 낮은 위험도 및 등급 미정 중 어느 한 등급에 속하도록 미리 분류되어 있는 것을 뜻한다. 예컨대 높은 위험도는 적색으로, 중간 위험도는 주황색으로, 낮은 위험도는 초록색으로, 등급 미정은 청록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주의성분 표시부(132)와 제 2 주의성분 표시부(134)를 통해서 구성 성분 중 주의 성분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제 1 주의성분 표시부(132)에는 화장품에 자주 사용하는 20개의 주의성분 중 몇 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시나리오에서는 서버에 미리 등록해놓은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이라는 도서 기재 20개의 주의성분을 사용하였다. 제 2 주의성분 표시부(134)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국내 및/또는 국외 기관을 포함한다)가 제공하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주의성분을 서버에 등록해 놓고 사용하였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들 주의성분들 외에 성분안정도 정보를 별도로 분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들 주의성분들이 화장품의 각 구성성분에 관련한 성분 안전도 정보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성성분 표시부(130)의 상세보기 아이콘(135)를 사용자가 클릭하면, 모든 성분들에 대한 명칭과 특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구성성분 표시부(140)은 구성성분을 피부타입으로 분류하여 3가지 분류로 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지성피부 파트(141), 건성피부 파트(142), 민감성 피부 파트(143)를 포함하며, 제1화장품의 성분들 중에서 각 피부타입별 특성을 갖는 성분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중성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밖에 여드름, 홍조, 탄력 등의 피부고민별 성분 정보를 분류에 추가할 수도 있다.
제 2 구성성분 표시부(140)의 상세보기 아이콘(145)을 클릭하면 피부타입별로 관련된 성분들을 명칭과 특성 정보를 더욱 상세하게 제공할 수 있다.
제 3 구성성분 표시부(150)은 구성성분을 기능성 성분별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자외선 차단 기능 파트(151), 미백 개선 기능 파트(152), 주름 개선 기능 파트(153)를 포함하며, 제1화장품 성분들 중에서 각 기능별 특성을 갖는 성분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밖에 다른 기능성 요소가 추가되어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아토피 개선, 영유아 제품 등의 기능성 분류가 그러하다.
제 3 구성성분 표시부(150)의 상세보기 아이콘(155)을 클릭하면 어떤 성분들이 어떤 기능을 갖는 것인지, 각 성분의 명칭과 특성 정보를 더욱 상세히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리뷰(160)는 사용자들의 리뷰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는 그래프로 표시되는 랭킹 데이터(161)과 리뷰 텍스트(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보기 아이콘(165)를 클릭하면 더 많은 리뷰를 나타낸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자. 먼저 사용자의 주된 관심사인 제1화장품에 대한 상세정보로서 이미지 표시부(110)와 제 1 구성성분 표시부(130), 제 2 구성성분 표시부(140), 제 3 구성성분 표시부(150) 및 사용자 리뷰(160)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순차적으로 표시한 다음에 가장 아래쪽에 제2화장품 표시부(1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제2화장품 표시부(120)에는 성분 유사도가 가장 높은 화장품을 도시된 예처럼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3개의 제2화장품 칼럼(121, 122, 123)이 표시되었다. 각 화장품 칼럼마다 제2화장품 이미지(121a, 122a, 122a)와 명칭부(121b, 122b, 123b)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내려가면서 제1화장품에 관한 상세정보를 열람하다가 자연스럽게 성분이 유사한 제2화장품으로 무엇이 있는지도 알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실시예처럼 위아래 방향으로 제1화장품과 제2화장품을 동시에 보여줄 수도 있지만, 제2화장품 목록을 화면의 아래쪽이 아니라 위쪽, 좌측, 우측 중 어느 한 쪽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의 이동에 무관하게 화면의 한쪽 측면에 항상적으로 표시되도록 그 위치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보고 있는 화장품과 성분이 가장 유사한 상품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대체 상품을 가장 효과적으로 그리고 가장 신속하게 알 수 있으며, 또한 그런 대체 상품에 대한 정보를 바로 취득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를 거둔다.
한편,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서버에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화장품의 성분들이 각 화장품마다 미리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우수한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서 성분 검색을 행할 수 있다. 그때 본 발명의 서버는 검색 결과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공함에 있어, 성분 안전도 등급, 주의 성분 등급, 피부타입별 등급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분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검색 결과로서, 성분 안전도 등급, 주의 성분 등급, 피부타입별 등급 및 기능성 성분에 관련한 정보를 상기 분류 리스트에 맞춰서 애플리케이션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지원에 의해서, 본 발명의 사용자들은 화장품과 그 화장품의 여러 성분에 대해서 완벽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더욱 효과적으로 자기 피부에 적합하며 동시에 자기 취향에 맞는 화장품을 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런 효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직관적이며 직접적으로 발휘된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실행하고 손가락을 화면을 클릭함으로써 신속하게 원하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화장품 탐색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11)

  1.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화장품 탐색 방법으로서: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된 상품 콘텐트 중에서 제1화장품을 선택하면, 서버는 상기 제1화장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Figure 112016077621644-pat00003
    (식 1)
    (S는 성분 유사도이며, ∑A는 제1화장품의 성분 점수 총합, ∑B는 제2화장품의 성분 점수 총합, ∑AB는 제1화장품 성분 중 제2화장품에 포함된 성분 점수 총합, ∑BA는 제2화장품 성분 중 제1화장품에 포함된 성분 점수 총합)
    제1화장품을 기준으로 모든 화장품들의 성분 유사도(S)를 위의 식 1에 의해서 성분 유사도 계산부가 계산하여 미리 등록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화장품의 성분과 유사한 성분을 갖는 1개 이상의 제2화장품에 관한 정보를 같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상기 성분 유사도(S)는 식 1에 의해서 제2화장품마다 결정되는 것이며, 서버가 제2화장품 중에서 가장 높은 성분 유사도(S)의 점수를 갖는 화장품을 선별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 1의 성분점수는 점수의 편차를 크게 하기 위해서 상위 순서의 성분량에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성분 정보를 이용한 화장품 탐색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할 때 상기 상세 정보는 다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품 성분 정보를 이용한 화장품 탐색 방법:
    (a) 상품 구성 정보;
    (b) 피부타입별 성분 정보;
    (c) 기능성 성분 정보;
    (d) 성분 안전도 정보;
    (e) 업로드된 사용자들의 리뷰 정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구성 정보는 상기 제1화장품의 구성성분과 피부 주의성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에 선택 이벤트에 따라 상세 정보를 계층적으로 표시해주는 것인, 화장품 성분 정보를 이용한 화장품 탐색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타입별 성분 정보는 지성피부, 건성피부 및 민감성 피부를 포함하여 분류되어 표시되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에 선택 이벤트에 따라 상세 정보를 계층적으로 표시해주는 것인, 화장품 성분 정보를 이용한 화장품 탐색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성분 정보는 자외선 차단, 미백 개선, 주름 개선을 포함하여 표시되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에 선택 이벤트에 따라 상세 정보를 계층적으로 표시해주는 것인, 화장품 성분 정보를 이용한 화장품 탐색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제2화장품을 선택하면, 상기 제2화장품을 기준으로 상기 제2화장품의 성분과 유사한 성분을 갖는 1개 이상의 제 3 화장품에 관한 정보를 같은 화면에 성분 유사도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화장품 탐색 방법.
  8.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화장품 탐색 방법으로서:
    화장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성분 검색을 하는 경우, 서버는 성분 안전도 정보, 주의성분 정보, 피부타입별 성분 정보 및 기능성 성분 정보를 포함하는 분류 리스트를 제공하며 성분 검색 이벤트에 따라 검색 결과를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성분 안전도 정보, 주의성분 정보, 피부타입별 성분 정보, 기능성 성분 정보마다의 결과 값을 상기 분류 리스트에 맞게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된 상품 콘텐트 중에서 제1화장품을 선택하면, 서버는 상기 제1화장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Figure 112016077621644-pat00004
    (식 1)
    (S는 성분 유사도이며, ∑A는 제1화장품의 성분 점수 총합, ∑B는 제2화장품의 성분 점수 총합, ∑AB는 제1화장품 성분 중 제2화장품에 포함된 성분 점수 총합, ∑BA는 제2화장품 성분 중 제1화장품에 포함된 성분 점수 총합)
    제1화장품을 기준으로 모든 화장품들의 성분 유사도(S)를 위의 식 1에 의해서 성분 유사도 계산부가 계산하여 미리 등록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화장품의 성분과 유사한 성분을 갖는 1개 이상의 제2화장품에 관한 정보를 같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상기 성분 유사도(S)는 식 1에 의해서 제2화장품마다 결정되는 것이며, 서버가 제2화장품 중에서 가장 높은 성분 유사도(S)의 점수를 갖는 화장품을 선별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 1의 성분점수는 점수의 편차를 크게 하기 위해서 상위 순서의 성분량에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성분 정보를 이용한 화장품 탐색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할 때 상기 상세 정보는 다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품 성분 정보를 이용한 화장품 탐색 방법:
    (a) 상품 구성 정보;
    (b) 피부타입별 성분 정보;
    (c) 기능성 성분 정보;
    (d) 성분 안전도 정보;
    (e) 업로드된 사용자들의 리뷰 정보.
KR1020160003587A 2016-01-12 2016-01-12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상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KR101677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87A KR101677128B1 (ko) 2016-01-12 2016-01-12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상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87A KR101677128B1 (ko) 2016-01-12 2016-01-12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상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128B1 true KR101677128B1 (ko) 2016-11-21

Family

ID=5753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587A KR101677128B1 (ko) 2016-01-12 2016-01-12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상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12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734A (ko) 2017-12-29 2019-07-09 허윤길 빅데이터 기반 아기용품 성분 분석 및 제품 추천 방법
KR20200076382A (ko) * 2018-12-19 2020-06-29 강가영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표시 방법,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KR102175504B1 (ko) * 2019-08-19 2020-11-06 주식회사 모이벡 성분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199440B1 (ko) * 2020-10-30 2021-01-06 주식회사 모이벡 사용자의 피부 특성에 매칭되는 화장품을 추천하는 제품 추천 장치
KR102199441B1 (ko) * 2020-10-30 2021-01-06 주식회사 모이벡 사용자 정보에 따라 선정된 평가 항목을 기반으로 화장품을 평가하는 제품 추천 장치
KR20210022873A (ko) 2019-08-21 2021-03-04 (주)아모레퍼시픽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화장품 리뷰 정보를 분석하여 개선된 리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9387A (ko) 2019-10-25 2021-05-06 서현선 안면 인식 화장품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086136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아트랩 화장품 제조 및 분석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7229612B1 (ja) 2022-10-12 2023-02-28 株式会社Kireii 化粧品類情報システム
KR20230028884A (ko)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케이알시스 전성분 분석에 기초한 생리대 정보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685A (ko) * 2012-12-05 2014-06-13 주식회사 바이오코즈글로벌코리아 맞춤형 개별 화장품 생산 시스템
KR20140077322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140098551A (ko) * 2013-01-31 2014-08-0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스마트 화장대 및 스마트 화장대를 이용한 스마트 화장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685A (ko) * 2012-12-05 2014-06-13 주식회사 바이오코즈글로벌코리아 맞춤형 개별 화장품 생산 시스템
KR20140077322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140098551A (ko) * 2013-01-31 2014-08-0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스마트 화장대 및 스마트 화장대를 이용한 스마트 화장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734A (ko) 2017-12-29 2019-07-09 허윤길 빅데이터 기반 아기용품 성분 분석 및 제품 추천 방법
KR20200076382A (ko) * 2018-12-19 2020-06-29 강가영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표시 방법,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KR102249787B1 (ko) * 2018-12-19 2021-05-10 강가영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표시 방법,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KR102175504B1 (ko) * 2019-08-19 2020-11-06 주식회사 모이벡 성분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 추천 장치 및 방법
WO2021045293A1 (ko) * 2019-08-19 2021-03-11 주식회사 모이벡 성분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10022873A (ko) 2019-08-21 2021-03-04 (주)아모레퍼시픽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화장품 리뷰 정보를 분석하여 개선된 리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9387A (ko) 2019-10-25 2021-05-06 서현선 안면 인식 화장품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086136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아트랩 화장품 제조 및 분석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479575B1 (ko) * 2019-12-31 2022-12-21 주식회사 아트랩 화장품 제조 및 분석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199441B1 (ko) * 2020-10-30 2021-01-06 주식회사 모이벡 사용자 정보에 따라 선정된 평가 항목을 기반으로 화장품을 평가하는 제품 추천 장치
KR102199440B1 (ko) * 2020-10-30 2021-01-06 주식회사 모이벡 사용자의 피부 특성에 매칭되는 화장품을 추천하는 제품 추천 장치
KR20230028884A (ko)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케이알시스 전성분 분석에 기초한 생리대 정보 제공 시스템
JP7229612B1 (ja) 2022-10-12 2023-02-28 株式会社Kireii 化粧品類情報システム
WO2024080341A1 (ja) * 2022-10-12 2024-04-18 株式会社Kireii 化粧品類情報システム
JP2024057544A (ja) * 2022-10-12 2024-04-24 株式会社Kireii 化粧品類情報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128B1 (ko)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상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Xi et al. Shopping in virtual reality: A literature review and future agenda
Reinartz et al.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the retailing value chain
Patel et al. Does the interface quality of mobile shopping apps affect purchase intention? An empirical study
Dzyabura et al. Visual elicitation of brand perception
Khalid et al. Customer emotional needs in product design
Lee An investigation of factors determining industrial tourism attractiveness
Lee et al. Affective and cognitive online shopping experience: Effects of image interactivity technology and experimenting with appearance
Hosany et al. Measuring tourists’ emotional experiences toward hedonic holiday destinations
Couclelis Rethinking time geography in the information age
Jacoby et al. Brand choice behavior as a function of information load
Kim et al. Mapping online consumer search
Xu et al. Mental representation and perceived similarity: How abstract mindset aids choice from large assortments
Aspers Contextual knowledge
KR20150000418A (ko) 쇼핑객 헬퍼
US201303256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ntent Browsing Experience
Chen What Drives Cyber Shop Brand Equity? An Empirical Evaluation of Online Shopping System Benefit with Brand Experience.
Semerádová et al. Website quality and shopping behavi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idence
Hong et al. Development of a new knowledge-based fabric recommendation system by integrating the collaborative design process and multi-criteria decision support
CN110599291A (zh) 商家买家多种市场高效精准融合智能电商运营系统和方法
KR101230034B1 (ko) 취향 아이디 코드의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그리고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Khare et al. The online flow and its influence on awe experience: an AI-enabled e-tail service exploration
Shim et al. Virtual sales associates for mature consumers: Technical and social support in e-retail service interactions
Jaswal Augmented Reality's effect on online cosmetics consumer purchasing patterns: A study on virtual artists at Sephora
CA31387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ircling and creating target pop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