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382A -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표시 방법,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표시 방법,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382A
KR20200076382A KR1020180165430A KR20180165430A KR20200076382A KR 20200076382 A KR20200076382 A KR 20200076382A KR 1020180165430 A KR1020180165430 A KR 1020180165430A KR 20180165430 A KR20180165430 A KR 20180165430A KR 20200076382 A KR20200076382 A KR 20200076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user
components
target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787B1 (ko
Inventor
강가영
Original Assignee
강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가영 filed Critical 강가영
Priority to KR102018016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7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이 제안되고, 상기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식별된 대상 화장품의 성분을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의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 중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1 그룹의 성분 및 상기 사용자에게 부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2 그룹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성분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표시 방법,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METHOD, APPARATUS OR APPLICATION FOR DISPLAYING USER ADAPTIVE COSMETIC INGREDIENTS}
본 발명은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표시를 위한 방법,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화장품 산업은 필수 소비재가 되었다. 하지만 화장품은 화학성분을 피부에 가하는 것이어서 최근 안정성에 관한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으며 유명 브랜드들은 성분이 좋은 "착한 화장품"이라는 이름을 내걸고 여기저기서 출시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 국내의 가습기 살균제에서 CMIT/MIT(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과 메칠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 성분이 검출되어 논란이 일게 되었고 물티슈와 치약 등에서도 동일한 성분이 함유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일상에서 접하는 화장품을 포함한 화학물질에 대한 공포증인 케미포비아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맞추어 화장품의 성분을 확인하고 그 성분들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는 소비자들도 늘고 있다. 화장품 성분에 대한 책들이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고 대한화장품협회는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해 화장품 성분 사전과 화장품 성분명을 검색하고 등록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화장품에 관련된 안정성 정보 등의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화장품 성분을 알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필요성은 다양한 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화장품 성분의 안정성 정보는, 각 개인에게 맞추어져 있다기 보다는, "대부분의 사람"이라는 큰 범주에 있어 유효한 정보일 뿐, 각 개인의 피부에 적합한 화장품 성분이나 제품에 대한 정보를 직접 경험하지 않고서는 알 수 있는 방안이 없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한 성분과 적합하지 않은 성분을 지표로 만들어 관리하고, 이를 시판중이거나 시판될 화장품의 성분과 매칭하여 사용자에 적합한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표시해줄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를 통해 식별된 대상 화장품의 성분을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 중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1 그룹의 성분 및 상기 사용자에게 부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2 그룹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성분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제 1 그룹의 성분 또는 상기 제 2 그룹의 성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대상 화장품의 실시간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화장품을 대체할 수 있는 추천 화장품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특정의 화장품을 사용하는 기간 동안 일정 주기로 측정된 피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파라미터에 기반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중 미리 결정된 수의 파라미터가 이전 주기에 비해 미리 결정된 비율 이상 증가하면, 상기 특정의 화장품은 A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가 이전 주기에 비해 미리 결정된 비율의 범위 내에서 변경되면, 상기 특정의 화장품은 B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중 미리 결정된 수의 파라미터가 이전 주기에 비해 감소하면, 상기 특정의 화장품은 C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적어도 두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 및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 및 상기 B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은 제 1 그룹에 속하게 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적어도 두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 및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 및 상기 B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 중 상기 C 등급으로 분류된 화장품에 속하지 않은 성분은 제 1 그룹에 속하게 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의 총 개수 대비 상기 제 1 그룹의 성분에 속하는 성분 수의 비율 또는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의 총 개수 대비 상기 제 2 그룹의 성분에 속하는 성분 수의 비율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대상 화장품에 대한 추천 또는 추천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카메라를 통해 식별된 대상 화장품의 성분을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하고, 그리고 상기 분석의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 중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1 그룹의 성분 및 상기 사용자에게 부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2 그룹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성분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영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식별된 대상 화장품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의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 중 미리 결정된 독성 화장품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의 데이터화가 가능하고 이를 통한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화장품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화장품 선택의 오류로 버려지는 화장품들을 줄이고 생산된 화장품을 모두 소비할 수 있게 도와주는 지속 가능한 산업과 소비자에게는 경제적 혜택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를 도출 또는 생성하는 방안에 대한 설명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를 도출 또는 생성하는 방안에 대한 설명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을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이다.
아울러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써 예시된 것일 뿐,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라 함은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AR(Augmented Reality; 증강 현실) 안경(혹은 글래스(glass)) 또는 AR 기능이 탑재된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등 카메라 또는 그와 등가의 장치 또는 기기를 통해 사물을 인식하고 그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display)에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또는 기기 를 대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의 장치는 또다른 명칭의 장치 또는 기기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화장품을 상기 장치에 인식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장치가 상기 화장품을 식별하도록 하여, 상기 화장품에 포함된 성분 중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하거나 적합하지 않은 성분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장품을 구매할 시점에 상기 화장품에 대한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에 기반한 성분 정보를 확인하여 좀더 효과적인 화장품 선택을 도모할 수 있다.장치(10)는 카메라를 통해 대상 화장품(20)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그에 따라 적어도 상기 대상 화장품(20)의 제품명, 전 성분 또는 주요 성분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식별된 대상 화장품(111)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영상은 상기 카메라로 입력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실시간 영상일 수도 있고, 외부의 저장장소(웹 또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그를 통해 획득 또는 저장해놓은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식별된 대상 화장품의 성분 중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한 성분(112)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하지 않은 성분(113)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성분(112, 113)은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식별된 대상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장치에 저장되거나 상기 장치의 외부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서 불러오고, 상기 대상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화장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대상 화장품의 용도, 사용법, 가격 비교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는 사용자에게 상기 대상 화장품의 구매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대상 화장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증강 현실의 방식으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실시간 영상 또는 기 저장된 영상과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대상 화장품에 대한 정보는 반투명한 영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장치는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그를 통해 획득 또는 저장해놓은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화장품을 대체할 수 있는 추천 화장품 목록(114)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추천 화장품(114-1, 114-2, 114-3)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추천 화장품 목록(114)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대적으로 작게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라면, 상기 터치 입력된 상기 추천 화장품(114-1, 114-2, 114-3)을 새로운 창(window)에서 상세한 정보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112, 113, 114) 등 중 적어도 하나는 증가현실의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한 성분(112)과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하지 않은 성분(113)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될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또는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은 상기 장치(10)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해당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또는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112-1)은 총 3가지, 콜라겐, 하이포식(hypoxic) 워터(water), 아데노신으로 판단되었고, 이 3가지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11)의 사용자 적합 성분 표시부(112)에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적합 성분 표시부(112)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상기 대상 화장품을 촬영한 영상 위에 겹쳐서 표시되고, 반투명한 유색의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색은 녹색 또는 청색 계열의 색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또는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하지 않은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113-1)은 총 5가지, 파라빈, 계면활성제, 에탄올, 프탈레이트, 미네랄 오일로 판단되었고, 이 5가지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11)의 사용자 부적합 성분 표시부(113)에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부적합 성분 표시부(113)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상기 대상 화장품을 촬영한 영상 위에 겹쳐서 표시되고, 반투명한 유색의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색은 적색 또는 황색 계열의 색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사용자 적합 성분 표시(112-1) 및/또는 사용자 부적합 성분 표시(113-1)를 상기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줌으로써,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사용자에게 대상 화장품에 대한 효과적이고 잘못된 선택을 줄일 수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를 도출 또는 생성하는 방안에 대한 설명이다. 이러한 방안을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이라 지칭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데이터를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는 상기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경험(즉, 피부 측정 결과)에 따라 축적된 정보로부터 후처리된 데이터일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특정 화장품을 사용하는 일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자신의 피부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장치 또는 상기 장치가 접근가능한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해놓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는 이렇게 주기적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식 또는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된 정보이다.
예컨대, 14일의 기간동안 2회 측정한 결과가 도 3에 도시된다.
상기 사용자의 피부 측정 대상, 즉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탄력, 톤(tone), 온도, 주름, 모공, 수분, 유분에 해당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높을 수록 좋은 상태 또는 결과를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2018년 11월 1일에 측정한 사용자 피부의 상태와 2018년 11월 14일에 측정한 사용자 피부의 상태가 다각형(7각형)에 표시되었다. 이러한 사용자 피부 상태의 측정 및 측정 결과는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질수록 정확한 피부 상태 측정과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의 첫 번째 표는 도 3에 도시된 2회의 피부 측정 상태와 측정 간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고, 나머지 두 개의 표는 좀더 다른 상황을 가정한 2회의 피부 측정 상태와 측정 간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측정 파라미터 1회차 측정 2회차 측정 차이값(비율)
탄력 4 5 +1 (+25%)
7 8 +1 (+14%)
온도 5 6 +1 (+20%)
주름 7 8 +1 (+14%)
모공 4 4 0 (0%)
수분 4 7 +3 (+75%)
유분 3 5 +2 (+67%)
측정 파라미터 1회차 측정 2회차 측정 차이값(비율)
탄력 6 7 +1 (+17%)
7 8 +1 (+14%)
온도 5 5 0 (0%)
주름 7 7 0 (0%)
모공 4 4 0 (0%)
수분 9 10 +1 (+11%)
유분 6 7 +1 (+17%)
측정 파라미터 1회차 측정 2회차 측정 차이값(비율)
탄력 6 7 +1 (+17%)
4 3 -1 (-25%)
온도 7 8 +1 (+14%)
주름 7 8 +1 (+14%)
모공 6 5 -1 (-17%)
수분 6 5 -1 (-17%)
유분 7 6 -1 (-1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를 도출 또는 생성하는 방안에 대한 설명이다. 도 4는 위의 표 1 내지 3을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개별 화장품의 등급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특정 화장품은 A, B 또는 C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A 등급 화장품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 상태의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중 미리 결정된 수의 파라미터가 이전 주기에 비해 미리 결정된 비율 이상 증가하는 화장품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수를 4로 가정하고미리 결정된 비율을 20%로 가정하고, 표 1을 참조하면, 탄력, 온도, 수분, 유분의 상태 값이 모두 20% 이상 증가했으므로, 해당 화장품은 A 등급 화장품에 해당한다.
아울러, B 등급 화장품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 상태의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가 이전 주기에 비해 미리 결정된 비율의 범위 내에서 변경된 화장품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비율을 20%로 가정하고, 표 2를 참조하면, 탄력, 톤, 수분, 유분의 상태 값이 모두 20% 이내에서만 변경했고 나머지 파라미터는 변화가 없었으므로, 해당 화장품은 B 등급 화장품에 해당한다.
C 등급 화장품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 상태의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중 미리 결정된 수의 파라미터가 이전 주기에 비해 감소하는 화장품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수를 4로 가정하고, 표 3을 참조하면, 톤, 모공, 수분, 유분의 상태 값이 모두 감소했으므로, 해당 화장품은 C 등급 화장품에 해당한다.
상기 A 등급, B 등급, C 등급으로의 분류 기준은 일례일 뿐, 다른 기준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의 기준에 따라 분류함에 따라 한 화장품 측정 결과에 대해 복수의 등급으로 판정되면 모순되므로, 기준은 서로 배타적으로 설정되고 중복된 결과가 나오지 않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예에서, A 및 C 등급을 분류하는 기준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수를 동일한 수 "4" 이상의 수로 결정하면, 전체 파라미터의 수는 7이므로 서로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며, 이에 더하여 B 등급 화장품은 A 또는 C 등급이 아닌 화장품으로 결정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화장품을 세 가지 등급으로 나뉜 것도 하나의 예일 뿐,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등급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3개의 등급으로 분류한 화장품의 전 성분 또는 주요 성분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다이어그램을 통해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서, A 등급 화장품의 성분들(41, 44, 45, 47), B 등급 화장품의 성분들(42, 44, 46, 47) 및 C 등급 화장품의 성분들(43, 45, 46, 47)이 도시된다.
구체적인 성분명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든 등급의 화장품들은 서로 공통된 성분이 있을 수 있고(44, 45, 46, 47), 그렇지 않은 해당 화장품에만 고유한 성분들이 각각 있을 수 있다(41, 42, 43).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은 3개의 서로 다른 등급의 화장품 사용 후 측정 결과에 대한 것이고, 사용자가 더 많은 종류의 화장품을 사용하고 측정할 수록 도 4에 도시된 벤다이어그램에 추가로, 더많은 집합(개별 화장품의 성분들로 구성된)이 추가될 수 있고, 당연히 A, B, C 등급의 화장품에 대한 집합이 하나 이상씩 추가될 수도 있다.
아울러, 특정 화장품에 대한 측정이 2회를 초과하는 경우, 즉 3회 이상일 경우에, 첫 번째 그리고 두 번째 측정에 따른 상기 파라미터들의 변화 추세와 두번째 측정 및 세번째 측정, 또는 그 뒤에 수행될 두 번의 측정들 간의 변화 추세가 상이한 경우의 처리에 대해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2회차 측정의 결과가 1회차 측정의 결과보다 위에서 언급한 기준을 초과할 정도로 상승하여 해당 화장품이 A 등급으로 분류된 경우(즉, 표 1의 예), 해당 화장품의 3회차 측정의 결과가 2회차 측정의 결과와 유사하거나 그보다 감소된 경우, 해당 화장품을 B 등급/C 등급으로 강등시킬지 아니면 A 등급을 유지할지에 대한 기준 또는 규칙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화장품에 대한 이전의 2회에 걸친 측정의 결과가 그 다음의 2회에 걸친 측정의 결과(즉, 1, 2회차 측정과 2, 3회차 측정을 말함)가 상기 특정 화장품의 등급을 서로 다르게 결정하게 된다면, 상기 특정 화장품의 등급은 유지될 수 있고, 그 다음 2회의 측정(즉, 3, 4회차 측정)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화장품의 등급이 다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화장품에 대한 이전의 2회에 걸친 측정의 결과가 그 다음의 2회에 걸친 측정의 결과(즉, 1, 2회차 측정과 2, 3회차 측정을 말함)가 상기 특정 화장품의 등급을 서로 다르게 결정하게 되더라도, 한번 결정된 등급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등급이 분류된 화장품의 성분들의 추가 분류
위와 같이 등급으로 분류된 화장품들에 대한 정보, 즉 성분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성분들을 토대로, 상기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1 그룹의 성분 또는 사용자에게 부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2 그룹의 성분을 분류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적어도 두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미도시), 및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 및 상기 B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44, 47)은 제 1 그룹에 속하도록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적어도 두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미도시), 및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 및 상기 B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 중 상기 C 등급으로 분류된 화장품에 속하지 않은 성분(44)은 제 1 그룹에 속하도록 규칙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C 등급으로 분류된 적어도 두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미도시), 및 상기 B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 및 상기 C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46, 47)은 제 2 그룹에 속하도록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C 등급으로 분류된 적어도 두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미도시), 및 상기 B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 및 상기 C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 중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화장품에 속하지 않은 성분(46)은 제 2 그룹에 속하도록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 1 그룹의 성분과 제 2 그룹의 성분으로 구성된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를 도출 또는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장치는 이렇게 도출 또는 획득된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대상 화장품의 성분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들 중 상기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의 제 1 그룹에 속한 성분들에 대해서는, 사용자 적합 성분 표시부(112)에 표시하고, 제 2 그룹에 속한 성분들에 대해서는, 사용자 부적합 성분 표시부(113)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들 중 상기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의 제 1 그룹에 속한 성분들 및 제 2 그룹에 속한 성분들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속한 성분들을 상기 사용자 적합 성분 표시부(112) 또는 상기 사용자 부적합 성분 표시부(113)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들 중 제 1 그룹에 속한 성분들만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거나,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들 중 제 2 그룹에 속한 성분들만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들 중 제 1 그룹에 속한 성분들 및 제 2 그룹에 속한 성분들 모두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 사용 기간 내에 피부 상태를 측정한 결과물을 이용하므로, 사용자의 직접 경험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또는 부적합한 화장품 성분을 분류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대중"을 위한 화장품 성분 독성 표시자와는 다른 차원의 사용자 적응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를 도출하는 절차에서나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를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대상 화장품의 성분과 비교 또는 분석하는 절차에서,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화장품 성분은 제 1 그룹에서 배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대상 화장품에 대한 제 1 그룹의 성분 및 제 2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성분(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서, 상기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화장품 성분도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 1 그룹의 성분 및 상기 제 2 그룹의 성분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하지 않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대상 화장품의 성분 중 상기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화장품 성분만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화장품 성분은 청구범위를 포함한 명세서에서, “독성 화장품 성분”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이에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미네랄 오일,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소디움라우릴황산염, 소디움라우레스황산염, 소르빈산, 아보벤젠, 옥시벤존, 이미다졸리디닐유레아, 디아졸리디닐유레아, 디엠디엠하단토인,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이소프로필알코올, 인공향료, 티몰,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 트리클로산,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합성착색료, 호르몬류(에스트로겐, 난포호르몬, 에스트라지올, 에티닐에스트라지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을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치를 통한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대상 화장품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10). 상기 장치는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과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S520). 상기 비교는 상기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을 분석하거나 이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 또는 상기 장치의 외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또는 상기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 중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1 그룹의 성분 및 상기 사용자에게 부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2 그룹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성분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대상 화장품의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530).
한편, 상기 도 5와 관련된 실시예에서, 총 3개의 단계를 설명하였으나, S510 단계 또는 S520 단계는 제외한 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그룹의 성분 또는 상기 제 2 그룹의 성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그룹의 성분 또는 상기 제 2 그룹의 성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대상 화장품의 실시간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화장품을 대체할 수 있는 추천 화장품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특정의 화장품을 사용하는 기간 동안 일정 주기로 측정된 피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파라미터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중 미리 결정된 수의 파라미터가 이전 주기에 비해 미리 결정된 비율 이상 증가하면, 상기 특정의 화장품은 A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중 미리 결정된 수의 파라미터가 이전 주기에 비해 미리 결정된 비율의 범위 내에서 변경되면, 상기 특정의 화장품은 B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중 미리 결정된 수의 파라미터가 이전 주기에 비해 감소하면, 상기 특정의 화장품은 C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적어도 두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 및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 및 상기 B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은 제 1 그룹에 속하게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적어도 두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 및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 및 상기 B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 중 상기 C 등급으로 분류된 화장품에 속하지 않은 성분은 제 1 그룹에 속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의 총 개수 대비 상기 제 1 그룹의 성분에 속하는 성분 수의 비율 또는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의 총 개수 대비 상기 제 2 그룹의 성분에 속하는 성분 수의 비율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상기 대상 화장품에 대한 추천 또는 비추천을 나타내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의 수가 10개인 경우를 가정할 때, 상기 제 1 그룹의 성분에 해당하는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의 수가 미리 결정된 수(즉, 미리 결정된 비율)을 초과하면, 상기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대상 화장품을 추천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의 수가 10개인 경우를 가정할 때, 상기 제 2 그룹의 성분에 해당하는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의 수가 미리 결정된 수(즉, 미리 결정된 비율)를 초과하면, 상기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대상 화장품을 추천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증강 현실의 방식으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실시간 영상 또는 기 저장된 영상과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시지는 반투명한 영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장치(60)는 메모리(61), 프로세서(62) 및 카메라(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추가로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메모리는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또는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대상 화장품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과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은 전 성분일 수도 있고, 주요 성분 10가지에 제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 중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1 그룹의 성분 및 상기 사용자에게 부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2 그룹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성분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대상 화장품의 영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결합을 실시하거나 또는 그 중 일부를 실시할 수도 있으며, 이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aspect)로서, 앞서 설명한 제안 또는 발명의 동작이 "컴퓨터"(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에 의해 구현, 실시 또는 실행될 수 있는 코드 또는 상기 코드를 저장 또는 포함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product) 등으로도 제공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상기 코드 또는 상기 코드를 저장 또는 포함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확장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Claims (12)

  1.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를 통해 식별된 대상 화장품의 성분을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의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 중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1 그룹의 성분 및 상기 사용자에게 부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2 그룹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성분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의 성분 또는 상기 제 2 그룹의 성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대상 화장품의 실시간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화장품을 대체할 수 있는 추천 화장품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특정의 화장품을 사용하는 기간 동안 일정 주기로 측정된 피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파라미터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중 미리 결정된 수의 파라미터가 이전 주기에 비해 미리 결정된 비율 이상 증가하면, 상기 특정의 화장품은 A 등급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가 이전 주기에 비해 미리 결정된 비율의 범위 내에서 변경되면, 상기 특정의 화장품은 B 등급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중 미리 결정된 수의 파라미터가 이전 주기에 비해 감소하면, 상기 특정의 화장품은 C 등급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적어도 두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 및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 및 상기 B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은 제 1 그룹에 속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적어도 두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 및 상기 A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 및 상기 B 등급으로 분류된 한 종류의 화장품에 속한 공통 성분 중 상기 C 등급으로 분류된 화장품에 속하지 않은 성분은 제 1 그룹에 속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의 총 개수 대비 상기 제 1 그룹의 성분에 속하는 성분 수의 비율 또는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의 총 개수 대비 상기 제 2 그룹의 성분에 속하는 성분 수의 비율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대상 화장품에 대한 추천 또는 추천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카메라를 통해 식별된 대상 화장품의 성분을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하고, 그리고 상기 분석의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 중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1 그룹의 성분 및 상기 사용자에게 부적합하다고 결정된 제 2 그룹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성분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영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를 통해 식별된 대상 화장품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의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화장품의 성분 중 미리 결정된 독성 화장품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대상 화장품의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165430A 2018-12-19 2018-12-19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표시 방법,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KR102249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430A KR102249787B1 (ko) 2018-12-19 2018-12-19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표시 방법,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430A KR102249787B1 (ko) 2018-12-19 2018-12-19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표시 방법,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382A true KR20200076382A (ko) 2020-06-29
KR102249787B1 KR102249787B1 (ko) 2021-05-10

Family

ID=7140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430A KR102249787B1 (ko) 2018-12-19 2018-12-19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표시 방법,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7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128B1 (ko) * 2016-01-12 2016-11-21 주식회사 버드뷰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상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KR20160144665A (ko) * 2015-06-09 2016-12-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객체 인식 및 데이터베이스 매칭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741409B1 (ko) * 2016-06-09 2017-05-3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품 유해 성분 알림 및 화장품 추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32179A (ko) * 2016-11-10 2018-12-11 주식회사 웨이웨어러블 개인화된 화장품 추천방법 및 추천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665A (ko) * 2015-06-09 2016-12-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객체 인식 및 데이터베이스 매칭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677128B1 (ko) * 2016-01-12 2016-11-21 주식회사 버드뷰 화장품 성분정보를 이용한 상품 탐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KR101741409B1 (ko) * 2016-06-09 2017-05-3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품 유해 성분 알림 및 화장품 추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32179A (ko) * 2016-11-10 2018-12-11 주식회사 웨이웨어러블 개인화된 화장품 추천방법 및 추천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787B1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shop et al. Subjective poverty equivalence scales for Euro Zone countries
Mansor et al. Cosmetic usage in Malaysia: understanding of the major determinants affecting the users
Lee et al. Acquaintanceship and self/observer agreement in personality judgment
KR101852511B1 (ko) 사용자 피부 타입에 따른 화장품 추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WO2021045293A1 (ko) 성분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109745B1 (ko) 다차원 벡터공간을 이용한 유사특징사용자 군집생성서버 및 방법
CN104867037A (zh) 一种画像特征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9859000A (zh) 产品信息的推送和显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20190136483A (ko) 뷰티 콘텐츠 제공방법
Chan et al. An enhanced fuzzy AHP method with extent analysis for determining importance of customer requirements
KR102249787B1 (ko) 사용자 적응형 화장품 성분 표시 방법,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Gomez-Berrada et al. Retrospective exposure data for baby and children care products: an analysis of 48 clinical studies
KR102144247B1 (ko) 실측 데이터 기반의 이미지 컨설팅 시스템
Schnur et al. A comparison of measured and perceived visual complexity for dynamic web maps
CN108810050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美容信息推送系统
Jeyaraj et al. Customer needs and customer satisfaction analysis in a textile dyeing process: A case study
Schöffel et al. A user study on multivariate edge visualizations for graph-based visual analysis tasks
CN109840336A (zh) 服装设计样本推荐方法和装置
WO2021220406A1 (ja) 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
CN109118260A (zh) 一种基于顾客信息采集的美容推荐系统
Zhang Improving commuting zones using the Louvain community detection algorithm
CN115699113A (zh) 用于皮肤测试、定制配方和化妆品生产的智能系统
KR20210004564A (ko) 개인화된 화장품 캡슐 조합 추천 방법
KR20170082156A (ko) 온라인을 이용한 고객 맞춤형 화장품 주문 서비스방법
KR20210059214A (ko) 인공 지능에 기반한 피부 진단을 통한 고객 맞춤형 피부 외용제의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