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619A -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619A
KR20210087619A KR1020200000566A KR20200000566A KR20210087619A KR 20210087619 A KR20210087619 A KR 20210087619A KR 1020200000566 A KR1020200000566 A KR 1020200000566A KR 20200000566 A KR20200000566 A KR 20200000566A KR 20210087619 A KR20210087619 A KR 20210087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s
makeup
user
designated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8593B1 (ko
Inventor
배민준
Original Assignee
배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민준 filed Critical 배민준
Priority to KR1020200000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5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게 스타일에 따른 화장법을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들을 화면 상에 표시하고, 그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들 중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화장 스타일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대해 지정된 필요 화장품들과 화장품 사용순서를 화면 상에 표시하되, 상기 필요 화장품들의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도 함께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과의 통신망을 통한 정보 교환에 근거하여, 상기 지정된 화장품 사용순서 상에서 현재 순서에 사용되어야 할 화장품을 지정하고, 그 지정된 화장품에 해당하는 사용자 보유 확인된 화장품에 대해서는 순서가 지정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지정된 화장품을 표시된 다른 화장품들과 구분될 수 있게 표시한다.

Description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Intelligent cosmetic guide method and apparatus for said method}
본 발명은, 개인이 자유로이 원하는 화장 스타일(style)을 선택하여 그 스타일에 맞는 화장을 손쉽게 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메이크업)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보여지는 얼굴은 타인에게 스스로를 알려 자신에 대한 인상을 심어주는 중요한 커뮤니케이션으로서, 대부분의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부각시키되, 트렌트에 맞게 자신의 개성을 살려 화장을 하려고 노력학 있으며, 남성들도 이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연예인 등과 같은 특수 직업군의 경우에는, 대신하여 전문적으로 화장을 해주는 메이크업 아티스트의 도움으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하며 때와 장소에 맞는 화장법으로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일반인의 경우에는 보편적으로 매우 특별한 날이 아니면 타인의 전문적인 도움이나 별도의 화장법에 대한 정보 없이 스스로 자신의 생각이나 취향에 따라 화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화장이 동일한 화장품들을 사용하였을 때 보여줄 수 있는 가장 좋은 화장된 모습을 보장하지 못한다. 이는, 사용하는 화장품들의 선택 및 각각의 사용시간, 순서 등에 대한 최적의 사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적으로 특별한 날을 맞아, 일상적인 화장 스타일을 벗어나 특별한 스타일을 추구하고자 할 때, 또는, 처음으로 화장을 하는 초보자인 경우에, 원하는 화장 스타일을 위한 최적의 화장법을 알 지 못하기 때문에, 화장된 모습이 자신이 그려보는 이미지와 다른 결과가 될 수도 있다. 인터넷이나, 잡지 등을 통해 특별한 화장 스타일을 위한 화장법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화장을 하는 경우에는, 화장품들의 사용 순서나 개별 화장품의 적절한 시간 또는 화장 정도 등을 확인하면서 화장을 해야 하는데, 이는 번거롭기도 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화장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화장법을 한번 확인한 후, 기억에 의존해서 그 방법에 따른 화장을 하는 경우에는, 그 화장법이 의도한 화장 스타일과는 거리가 있는 화장 결과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개인이 자신의 얼굴을 원하는 화장 스타일로 손쉽게 표현할 수 있게 하는 화장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이 원하는 화장 스타일에 맞는 화장품들의 사용방법을 각 화장품을 통해 알리는 화장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이 구비하고 있는 화장품 종류에 적합한 화장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화장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화장 스타일에 맞는 화장품 종류에서 필요한 화장품을 손쉽게 확인하고 또한 구매할 수 있게 하는 화장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 중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화장품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화장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신기능을 구비한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화장법을 제공하는 일 방법은,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들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1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들 중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화장 스타일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대해 지정된 필요 화장품들과 화장품 사용순서를 화면 상에 표시하되, 상기 필요 화장품들의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도 함께 표시하는 2단계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과의 통신망을 통한 정보 교환에 근거하여, 상기 지정된 화장품 사용순서 상에서 현재 순서에 사용되어야 할 화장품을 지정하고, 그 지정된 화장품에 해당하는 사용자 보유 확인된 화장품에 대해서는 순서가 지정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3단계는, 상기 표시된 화장품들 중에서, 상기 지정된 현재 순서에 사용되어야 할 화장품에 대해서는 표시된 다른 화장품들과 구분될 수 있게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3단계가, 상기 필요 화장품들 중 하나인 임의의 화장품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시간이 그 임의의 화장품에 대해 지정된 권장 시간보다 적으면, 그 임의의 화장품에 대해서는, 표시된 다른 화장품들과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3단계가, 상기 현재 순서에 사용되어야 할 화장품이 적용되어야 하는 부위에 대해, 화장 결과로서 의도된 색조 또는 색상을 알 수 있게 하는 샘플 이미지를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3단계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 중에서 복수개가 상기 현재 순서에 사용되어야 할 화장품인 경우, 그 복수개의 화장품들 중에서 사용일시가 최신이거나 또는 사용횟수가 더 많은 화장품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화장품과 사용 순서에 관련한 정보 교환을 진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이, 상기 필요 화장품들 중 사용자의 보유가 확인되지 않는 미확인 화장품에 대해서, 그 미확인 화장품을 대체할 수 있는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온라인 구매를 요청할 수 있는 입력상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온라인 구매를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1단계가, 화장 스타일들에 대해 분류된 복수개의 카테고리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기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을 화면 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분류된 복수개의 카테고리에는, 연령별로 분류한 카테고리와, 화장으로써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별로 분류된 카테고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지정된 필요 화장품들을 모두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화장 스타일들만이 속하는 카테고리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1단계가, 사용자로부터 기준값이 지정되면, 화장 스타일의 지정된 필요 화장품들의 수에 대비한,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화장품들 중에서 지정된 필요 화장품들에 해당하는 수의 비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는 화장 스타일들을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1단계가, 상기 장치의 현재 지역의 날씨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날씨에 적합한 것으로 지정된 화장 스타일들을 추천 스타일로서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화장품들 중에서, 지정된 일정 기간 이상 사용되지 않은 화장품들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화장 스타일에 따른 화장법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장치는, 국부(local) 통신망을 통해 개별 화장품들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과,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들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하고, 그 표시된 화장 스타일 중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하나의 화장 스타일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대해 지정된 필요 화장품들과 화장품 사용순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게 하되, 상기 필요 화장품들의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도 함께 표시되게 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과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한 정보 교환에 근거하여, 상기 지정된 화장품 사용순서 상에서 현재 순서에 사용되어야 할 화장품을 지정하고, 그 지정된 화장품에 해당하는 사용자 보유 확인된 화장품에 대해서는 순서가 지정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또한 그 지정된 화장품이 표시된 다른 화장품들과 구분될 수 있게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타 장치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장치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외부에 제공되는,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은, 무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임의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를 전제할 때,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들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기능과, 상기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들 중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화장 스타일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대해 지정된 필요 화장품들과 화장품 사용순서를 화면 상에 표시하되, 상기 필요 화장품들의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도 함께 표시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과의 통신망을 통한 정보 교환에 근거하여, 상기 지정된 화장품 사용순서 상에서 현재 순서에 사용되어야 할 화장품을 지정하되, 그 지정된 화장품에 해당하는 사용자 보유 확인된 화장품에 대해서는 순서가 지정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또한 그 지정된 화장품을 표시된 다른 화장품들과 구분될 수 있게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은, 화장법이 미숙한 사람이거나 화장을 처음 시도하는 사람들의 경우에, 제시하는 순서와 화장 정도에 따르기만 하면 원하는 화장 스타일을 어렵지 않게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인하여, 화장법이 익숙한 사람들인 경우에도, 일상적으로 해오는 화장 스타일 대신, 트렌드에 맞는 새로운 화장 스타일, 개성에 맞는 독특한 스타일 또는 날씨나 장소 등에 적절한 스타일을 손쉽게 표현함으로써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이 원하는 화장 스타일에 맞는 화장품들의 사용법을 안내하는 방법이 구현된 화장안내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을 예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전체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이 수행되는 절차에 의한 신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능형 화장 가이드를 위해, 도 1의 장치가 개별 화장품들에 대한 보유여부와 가용여부를 관리하기 위해 구축하는 화장품 보유목록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개인이 원하는 화장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화장 스타일들을 화면 상에 제공하는 예들을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이 선택한 화장 스타일를 위한 권장 화장법을 보여주는 화장 가이드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이 선택한 화장 스타일에 필요한 화장품의 사용자 보유가 확인되지 않을 때 이를 안내하는 화장 가이드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화장 스타일을 위한, 현재 순서의 화장품의 해당 부분에 대한 화장의 정도를 보여주는 안내 화면의 일 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유 미확인된 화장품의 순서에서, 해당 화장품에 대해 사용자가 적절히 대응하도록 안내하는 화면의 일 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필요하지만 보유 미확인된 화장품에 대해서 개인이 온라인 구매를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부기된 동일 번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물론, 설명의 편의와 이해에의 도움을 위해,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번호로 부기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이 원하는 화장 스타일에 맞는 화장품들에 대한 사용법을 안내하는 방법이 구현된 화장안내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화장안내 장치(10)는, 그래픽, 문자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04)와, 다양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표시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인가하는 표시 구동부(103)과, 상기 디스플레이(104) 상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또는 키패드와 같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102)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인 WiFi 모뎀(101)과, 상기 WiFi 모뎀(101)을 통해 주변의 화장품과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면서 개인이 원하는 화장 스타일에 맞는 화장법이 실현되게 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화장안내 장치(10)의 구성에서 예시된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당연히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기 화장안내 장치(10)의 구성요소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부분,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이하, '앱'이라 약칭한다. )은, 특정의 서버에 구비된 대용량 저장수단에 수록되어 있다가, 그 특정의 서버에 또한 구비된 통신수단에 의해 통신망를 통해 상호 연결된 통신 단말기가 행하는 통상의 온라인(on-line) 구매과정 등에 따라 그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후에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들을 실행할 수 있는 통상의 하드웨어 자원과 운영시스템(O/S) 등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설치된 소프트웨어 부분이 실행되면, 그 통신 단말기는, 기 구비된 하드웨어 자원과 함께 도 1에 예시된 상기 화장안내 장치(10)를 그 구성요소로서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안내 장치(10)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원하는 화장 스타일에 맞는 화장법에 따른 화장품들에 대한 사용을 안내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이러한 화장안내 장치가 반드시 도 1과 같이 구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1의 각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기능을 통합적으로 또는 분리하여 실행하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셀룰러(Cellular) 망과 Wi-Fi 망을 액세스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 WiFi 망을 액세스할 수 있는 패드형 컴퓨터, 또는 노트형 컴퓨터일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안내 방법이 구현된 장치는, 도 1에 예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오디오 입출력 수단, GPS 모듈 등 )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화장안내 장치(1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전체 시스템 기반 하에, 개인이 원하는 화장 스타일에 맞는 화장법에 따른 화장품들에 대한 사용을 유도하게 된다.
도 2에 예시된 시스템은, 전술한 바의 상기 화장안내 장치(10)와, 사적인 공간, 예를 들어 댁내에 설치되어 인터넷(Internet)과 연결되는, 국부(local)의 영역에 무선 통신망을 제공하는 WiFi 망(30)과, 다수의 화장품들(20i, i=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상기 화장품들(20i, i=1,2,..)은, 상기 WiFi 망(30)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그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화장안내 장치(10)의 상기 제어부(1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이, 바람직하게는 해당 화장품의 용기내에 매립되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화장품을 본 명세서에서는 'IOT 화장품'( '화장품'의 용어로 통칭할 수도 있다. )이라 칭한다. 그리고, 각 IOT 화장품(20i, i=1,2,..)에는, 뚜껑 또는 커버 등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LED와 같은 표시등 등이 필요한 위치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통신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시스템 기반 하에서 상기 화장안내 장치(10)가 수행하는 화장 스타일에 맞는 화장안내 방법에 따라 IOT 화장품들 과의 사이에 이루어지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에 예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장안내 장치(1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화장안내 장치(10)를 기동시키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WiFi 모뎀(101)을 통해 주변의 IOT 화장품들을 조회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S10). 상기 화장안내 장치(10)가 스마트 폰 등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특정의 앱을 기동시킬 때 그 앱이 주변의 IOT 화장품들을 조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구성으로서 설명하는, 상기 제어부(100)는, 스마트 폰 등에 실행되는 특정의 앱과 그 앱의 실행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의 결합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와 동일 공간내(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방, 댁내의 화장대 등 )에 있어서 상기 WiFi 망(30)을 통해 상기의 조회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 모든 IOT 화장품들은, 자신에게 기 설정되어 있는 화장품 고유코드를 그 조회 메시지의 응답으로서 전송한다(S11). 이 때의 화장품 고유코드는 해당 화장품의 제조회사 코드, 화장품의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 그리고 색상 또는 색조를 나타내는 코드가 결합되어 또는 제조회사 코드없이 화장품의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와 색조( 또는 색상 )의 코드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화장품에는 제조사가 해당 제품을 개별적으로 식별케 하는 일련번호가 부가될 수 있지만, 상기 고유코드에는 제품을 개별적으로 식별케 하는 일련번호는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100)는, 위와 같이, 주변의 각 IOT 화장품이 조회에 대한 응답으로서 전송하는 화장품 고유코드를 각기 수신하여, 이를 자신의 메모리에 생성하여 관리하고 있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IOT 화장품 보유목록'(40)에 가용 화장품으로 등록함으로써, 어떤 화장품이 현재 이용 가능한 지를 파악한다. 만약, 현재 수신한 고유코드가 상기 IOT 화장품 보유목록(40)( 이하, '보유목록'으로 약칭한다. )에 없는 것일 때는, 그 고유코드를 새로운 항목(42)으로 등재함과 함께, 그리고 이미 있는 항목(41)일 때에는, 해당 화장품 고유코드와 연계하여 사용가능 플래그 값과 그 고유코드를 수송한 IP 패킷의 송신자의 IP주소를 기록해 둔다.
이와 같이, 주변에 있는 IOT 화장품들을 조회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변에서 현재 이용가능한 IOT 화장품과 그 화장품(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화장품의 용기 )에 현재 할당되어 있는 IP주소를 등록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상기 화장안내 장치(10)에 화장 스타일의 표시 요청을 할 때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화장 스타일의 제공을 요구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표시 구동부(103)을 구동하여,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화장 스타일들(50)을, 각 스타일에 대해 연계 지정된 사진, 이미지, 클립 아트 또는 캐릭터 등의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느낌의 화장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P12). 물론, 이러한 표시에 있어서, 화면 상에 표시된 화장 스타일 외의 해당 방향으로의 화면 이동 시에 다른 스타일이 더 있음을 알려주는 표식들(51a,51b)도 함께 화면 상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화장 스타일들을 표시함에 있어서, 이들을 카테고리(category) 별로 분류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제별( 귀여움, 섹시, 단정함, 청순 등 ), 연령별( 10대, 20대, 30대, 40대 등 ), 또는 직군별( 청소년, 대학생, 사무직 등 )로 분류하고, 해당 카테고리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때 그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화장 스타일들을 사진, 이미지, 클립 아트, 캐릭터 또는 에모지(Emoji)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들 표시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된 카테고리 외에 분류된 다른 카테고리가 더 있음을 나타내는 표식들(52)과, 해당 카테고리에서 속하는 미표시된 다른 항목이 더 있음을 나타내는 표식들(53)도 필요 시에 함께 표시된다.
물론, 앞서의 예와 같이 분류된 카테고리는, 서로 계층화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을 선택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차적으로, 연령의 분류를 제시하고, 다음으로 직군별 분류를, 최종적으로 주제별 분류를 제시함으로써 그에 따라 선택된 조건에 맞는 스타일 항목들을, 사용자의 화장 스타일 선택을 위해 화면 상에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표시할 모든 화장 스타일의 각각에 대해서는, 필요한 화장품들에 대한 고유코드들( 이하, '코드 목록'이라 칭한다. )와 그들의 사용순서, 각 화장품이 적용되어야 할 부위에 대한 샘플 이미지, 각 화장품을 사용하는 권장시간 등에 대한 정보( 이하, 이 정보를 '화장 가이드 정보'라 칭한다. )를 연계하여 수록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화장 스타일들을 표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확인하여 가용상태로 등록하고 있는 화장품들에 의해 할 수 있는 화장 스타일들만을 별도의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제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00)는, 주변을 조회하여 현재 이용할 수 있는 화장품들이 확인될 때, 그 확인된 고유코드들의 그룹의 부분집합(subset)이 되는 코드 목록을 갖는 화장 가이드 정보를 찾는다. 그리고, 이렇게 찾아진 화장 가이드 정보에 연계된 화장 스타일들만을 그룹핑하여 하나의 범주로서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에에서는, 다양한 화장 스타일들을 표시함에 있어서, 해당 스타일이 필요로 하는 화장품들에 대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IOT 화장품들의 수가 일정 비율 이상되는 스타일들만을 선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사용자가 화장 스타일의 제공을 요구할 때, 먼저, 최소 보유비율을 요구하는 입력창을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해당 값을 입력받는다.
최소 보유비율을 지정하는 기준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화장 스타일들에 각기 연계된 화장 가이드 정보의 코드 목록의 고유코드들의 수에 대한, 가용 화장품들 중에서 그 코드 목록에 속하는 고유코드를 갖는 가용 화장품들의 수의 비율을 구한다. 그리고, 이렇게 구한 비율이 상기 입력된 최소 보유비율 이상이 되는 화장 스타일들만을 선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4) 상에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해당 지역과 날씨에 맞는 화장 스타일들을 추천하여 하나의 카테고리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장안내 장치(10)가 장치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위경도 좌표정보 )를 획득할 수 있는 GPS 모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화장 스타일의 제공을 요구할 때, 상기 GPS 모듈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위치정보를, 상기 WiFi 모뎀(101)을 통해 기 지정된 외부의 특정 서버로 전송하면서 추천 스타일을 요청한다.
상기 특정 서버는 이러한 요청이 수신되면, 기 요청에 수반된 위치정보를 통해 해당 지역을 확인하고, 그 지역의 현재 날씨( 예를 들어, '맑음', '흐림', '비', '눈'등 )를 날씨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파악한 후, 그 파악된 날씨에 적합한 화장 스타일들을 기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정한다. 그리고, 이렇게 선정된 화장 스타일들과 그 화장 스타일들에 연계된 화장 가이드 정보를 추전 스타일 정보로서 상기 화장안내 장치(1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이와 같이 상기 특정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추전 스타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특정 카테고리로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화장 스타일들을 하나의 카테고리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하는 화장 스타일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장 스타일에 대해서는 선택된 사실을 마크(mark)해 둔다. 그리고, 이후에 사용자가 화장 스타일을 다시 요청하게 될 때, 그와 같이 사용이 마크되어 있는 화장 스타일들만을 별도의 카테고리로 만들어서 사용자 선호 카테고리로서 화면 상에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102)를 통해 상기 제어부(100)에 다양한 화장 스타일의 제시를 요청한 시점에, 전술한 바와 같이, 조회 메시지를 송신하여 주변의 이용가능한 화장품들을 확인한 후, 확인된 화장품 고유코드를 등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00)가 정기적으로,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매월 1일에 상기 WiFi 모뎀(101)을 통해상기 화장안내 장치(10)이 위치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통신망에 접속한 후, 기 지정된 외부의 서버에 새로운 화장 스타일과 그와 연계된 화장 가이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최신의 화장 스타일과 화장 가이드 정보를 자신이 구비하고 있는 메모리 등에 수록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의 다양한 화장 스타일 제공 방식들 중 하나의 방식 또는 결합된 방식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제시된 화장 스타일들 중에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2)을 통해 하나의 화장 스타일을 선택하면(S13), 상기 제어부(100)는, 그 화장 스타일과 연계되어 수록되어 있는 화장 가이드 정보를 읽어서, 그 정보에 근거해,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스타일의 화장을 위한 권장 화장법, 즉 필요한 화장품들에 대한 사용 순서와 개별 화장품의 권장 사용시간, 그리고 전체 화장 소요시간 등을 보여주는 화장 가이드 화면(60)을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표시한다.
이때, 선택된 화장 가이드 정보의 코드 목록에서, 현재 확인된 가용 화장품의 코드들에 대응되지 않는 고유코드가 있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제공하는 화장 가이드 화면에서 해당 화장품에 대해서는 '보유 미확인'을 알리는 특별한 표식(62)을 표시한다.
보유 미확인인 화장품은, 사용자가 실제로 미보유하고 있거나, 보유하고 있지만 IOT 화장품이 아니거나, 또는 IOT 화장품이지만 일시적으로( 통신거리 또는 배터리의 문제 등으로 인해 ) 통신 장애 상태에 있는 IOT 화장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현재 보유 미확인인 화장품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대체정보를 요구할 수 있게 하는 입력버튼(63)을 화면 상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입력버튼(63)을 통해 사용자가 대체정보를 요구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화면을 전환하여 해당 화장품을 대체할 수 있는 다른 화장품들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제조사, 화장품명, 모델명, 색조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제공한다. 이러한 대체정보는, 각각의 화장품 고유코드와 연계되어 각 화장 가이드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현재 선택된 화장 가이드 정보에서 보유 미학인된 화장품이 있을 때, 상기 제어부(100)가 기 지정된 외부의 서버에 해당 화장품의 고유코드를 전송하면서 그 화장품에 대한 대체정보를 요청함으로써 그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렇게 표시된 화장품들의 사용 순서에 따라, 현 시점에 사용해야 하는 화장품에 대해서는, 상기 제어부(100)는, 표시된 다른 화장품들과 구분되게 하는 지시자(61)( 예를 들어, 깜빡이는(blinking) 박스, 또는 특별한 색상의 그래픽 등 )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선택된 화장 스타일을 위해서 현재 어떤 화장품을 사용해야 하는 지를 알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00)는, 화장 가이드 화면상 현재 사용해야 하는 화장품에 대해서, 그 IOT 화장품에 대해 앞서 확인하여 기록해 둔 IP주소를 목적지로 하는 현순서 통지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WiFi 모뎀(101)을 통해 송신한다(S14). 이 현순서 통지 메시지는, 상기 WiFi 망(30)을 통해 그 메시지의 목적지 IP주소가 할당되어 있는 해당 IOT 화장품에 의해 수신된다.
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 IOT 화장품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현재 사용되어야 할 순서 임을 나타내는 표시등, 예를 들어 특정 색의 LED를 점등시키거나, 또는 표시등이 현재 사용되어야 하는 순서 임을 나타내도록 표시상태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점멸 상태로 만든다.
이 상태에서 해당 화장품의 뚜껑이나 커버가 열리면, 그 화장품에 구비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화장품 사용시작 알림 메시지를 상기 WiFi 망(30)을 통해 상기 화장안내 장치(10)로 송신하고(S15), 그 때부터 시간을 측정한다(P16).
상기 화장품 사용시작 알림 메시지는 상기 WiFi 모뎀(101)에 의해 수신되어 상기 제어부(100)에 전달된다. 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재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서 의도하는 해당 화장품이 적용되는 부위에 대한 화장의 정도를 보여주는 사진 등의 샘플 이미지(70)를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바람직하게는 전체 화면으로 표시한다. 이는, 사용자가 해당 화장품을 사용하는 화장에 참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현재 화장이 시작된 IOT 화장품에서, 해당 뚜껑이나 커버가 다시 닫히게 되면, 그 화장품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뚜껑 등의 개방 시부터 그 때까지 측정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품 사용완료 메시지를 상기 WiFi 망(30)을 통해 상기 화장안내 장치(10)로 송신한다(S17).
상기 제어부(100)는, 화장품 사용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04)의 표시화면을,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해당 스타일을 위한 화장정도를 보여주는 샘플 이미지에서,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화장 가이드 화면으로 전환하면서, 다음 순서의 화장품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타 화장품들과 구분되게 하는 지시자(65)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수신한 화장품 사용완료 메시지에 실린 시간정보를, 화장 가이드 정보에서 해당 화장품에 대해 지정된 권장 사용시간과 비교하고, 만약, 시간정보가 그 권장 사용시간과 일정 허용폭( 예를 들어, 권장 사용시간의 10%, 25% 등 ) 이상 차이가 나면서 더 작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화장 가이드 화면에서 해당 화장품을 사용한 화장이 충분치 않을 수도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하는 경고정보(66)를 표시한다.
이때, 실제 그 화장품을 사용한 화장 시간이 권장 화장시간에서 얼마나 부족한 지를 나타내는 시간정보(67)도 함게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00)가, 해당 화장품을 해당 부위에 더 보충하여 사용할 것인 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창을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의에 대해 사용자가 보충 사용하는 것으로 응답하면, 해당 화장품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절차(S14,S15,P16,S17)가 재진행되게 한 후 다음 순서의 화장품으로 넘어간다. 이 재절차에서는 권장 사용시간이 앞서 계산한 부족시간( = 최초 권장 사용시간 - 화장품 사용시간 )으로 설정되어 진행된다. 즉, 재절차에서 해당 IOT 화장품으로부터 사용시간이 수신되었을 때 그 사용시간을 재설정한 부족시간과 비교하여, 해당 화장품의 추가 사용을 통한 화장 보완이 권장한 만큼되었는 지를 확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각 화장품에 대한 사용회수를 추적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00)는, 전술한 바의 보유목록(40)을 사용횟수 필드로 포함하는 구조로 생성하고, 새로운 IOT 화장품에 대한 항목을 등재할 때는 그 사용횟수 필드에 대해서는 초기값 0으로 설정해 둔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조회된 임의의 IOT 화장품으로부터 화장품 사용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화장품에 해당하는 등재항목, 즉 그 화장품의 고유코드가 등록되어 있는 보유목록(40) 상의 해당 항목의 사용회수 필드 값을 1 증가시킴으로써 사용횟수가 지속적으로 갱신 기록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유목록(40)을 최신 사용일시 필드를 추가로 갖는 구조로 생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신 사용일시 필드에 해당 화장품이 사용완료된 일시를 갱신하여 기록함으로써, 해당 필드에는 항상 해당 IOT 화장품이 사용된 최후의 일시가 기록되어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화장품에 대한 사용횟수 및/또는 최신 사용일시를 관리하는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연계된 화장 가이드 정보의 임의의 한 순서에 적용할 수 있는 가용 화장품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보유목록(40)을 참조하여 그 복수개의 가용 화장품들 중에서 사용횟수가 더 많은 화장품 또는 사용일시가 더 최신인 화장품을 해당 순서에 사용할 화장품으로 지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화장 가이드 정보가 특정 순서에 대하여 복수개의 서로 다른 화장품 코드들( 예를 들어, 동일 종류이면서 색조가 유사한 화장품들의 각 코드, 또는 색조가 동일하고 제조사가 다른 화장품들의 각 코드 )을 지정하고 있고, 이들 코드의 화장품들이 전술한 바의 조회에서 모두 현재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특정 순서에 적용할 수 있는 화장품이 복수개가 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0)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화장품들 중에서 그 특정 순서에 사용할 하나의 화장품을 지정하였을 때,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이때, 해당 순서에서 선택된 화장품과 선택되지 않는 다른 화장품들을 사용자가 구분하여 알 수 있게 표시하고,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다른 화장품을 해당 순서에 사용하도록 지정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선택 버튼을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을 위해 각 화장품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는 화장 가이드 정보와 연계되어 외부의 서버 등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다음 순서의 화장품(65)에 대해서도 앞선 화장품에 대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WiFi 망(30)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으면서(S18,S19,P20,S21) 필요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참조하게 한다.
만약, 다음 순서의 화장품이 보유 미확인인 화장품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해당 화장품에 순서를 통지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당 화장품에 대한 사용자의 대응 동작( 예를 들어, 해당 화장품을 찾거나, 다른 대체 화장품을 사용하는 등의 동작 )을 대기함을 알리는 안내 문구(81)를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표시한다. 이와 함께, 사용자가 대응 동작을 종료하여 화장 가이드를 다음 순서의 화장품으로 진행 요청할 수 있게 하는 입력버튼(82)도 함께 제공한다.
사용자가 해당 버튼(82)을 터치하고 그에 따른 신호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화장 가이드 정보 상의 다음 순서의 화장품으로 진행하여 해당 화장품에 대해서 전술한 바의 동작을 수행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현재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대한 화장 가이드 정보 상의 마지막 IOT 화장품으로부터 화장품 사용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S99), 상기 제어부(100)는,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 안내를 종료한다(P100).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화장 안내를 종료할 때, 현재 이용가능한 것으로 조회된 IOT 화장품들 중에서 일정 기간 이상 사용되지 않은 화장품들에 대해서 사용자에게 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00)는, 최신 사용일시의 필드를 추가로 갖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보유목록(40)에서, 최신 사용일시의 필드 값이 현재 일시와 일정 기간( 예를 들어, 3개월 또는 6개월 등 ) 이상 이전인 항목을 찾고, 그러한 항목이 있으면 그 항목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 표시와 함께, 상기 WiFi 모뎀(101)을 통해 해당 IOT 화장품들의 각각에는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화장품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구비된 LED와 같은 표시등을 점등시키게 된다. 이때의 표시등은 화장 가이드 정보 상의 순서에 의해 점등될 때와는 구분되는( 점멸, 색상 등에 의해 ) 특별한 방식으로 점등된다. 해당 IOT 화장품이 부저와 같은 오디오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특정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 화장품의 수와, 특별한 상태로 점등된 각 화장품을 확인함으로써 어떤 화장품이 장시간 사용되지 않고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화장 안내를 종료할 때, 해당 화장 스타일에 대해 실제 화장된 얼굴과 권장된 스타일과의 매칭정도를 검증할 것인 지를 상기 디스플레이(104)를 통해 사용자에게 문의하고, 그 문의에 대해 승낙하면, 사용자의 화장된 얼굴의 촬영을 요구한다. 본 실시예를 위해서는, 상기 화장안내 장치(10)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부를 이용해 얼굴을 촬영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그 촬영된 이미지와, 앞서 사용자가 화장하기로 선택한 화장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WiFi 모뎀(101)을 통해 기 지정된 외부의 특정 서버로 송신하면서 매칭 정도를 문의한다.
그러면, 상기 특정 서버는, 상기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대한 정보로부터 그 스타일로 화장된 표준 이미지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양 이미지에서 얼굴에 해당하는 부분을 추출하고 그 얼굴 이미지에 대해서 동일 밝기와 동일 크기로 보정한 후, 각 부분( 눈, 눈썹, 입술, 얼굴 등 )별로 색상 또는 색조를 비교한다. 그 비교에 의해 양 이미지의 유사성을 파악한 후 그 유사성, 즉 매칭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화장안내 장치(10)에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매칭 정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화장 스타일과 얼마나 근접하게 화장되었는지를 수치를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연계된 화장 가이드 정보의 코드 목록에서 보유 미확인된 고유 코드에 해당하는 화장품에 대해서, 사용자가 적절히 대응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참조할 수 있는 대체 정보를 제공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보유 미확인된 화장품에 대해서 사용자가 바로 온라인 구매 절차를 진행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00)가 화장 가이드 정보에 따른 절차를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하여 완료(P100)한 후, 보유 미확인된 화장품들에 대해서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하여 표시하면서, 온라인 구매절차의 진행을 사용자가 요청할 수 있는 입력상태를 제공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104)의 화면 상에 각각의 화장품에 대해 구매버튼(92)을 제시한다. 이때, 해당 화장품의 색조를 나타내는 정보(91)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 가이드 정보가 코드 목록의 각 화장품에 대해서 온라인 구매를 진행할 수 있는 사이트(site)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지정된 특정 서버에 해당 화장품의 고유 코드를 전송하여, 그 화장품의 온라인 구매가 진행될 수 있는 사이트 URL (Uniform Resource Locator)을 수신하거나, 또는 그 특정 서버가 수신된 고유 코드를 확인하고 해당 요청(Request)을 온라인 구매가 진행될 수 있는 사이트로 리다이렉트(Redirect) 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104)에 제시된 구매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그 구매버튼에 대응되는 화장품에 연계된 URL을 화장 가이드 정보에서 찾아서 그 URL을 대상지로 하여 구매 요청의 메시지를 상기 WiFi 모뎀(101)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이 요청 메시지는 상기 WiFi 망(30)과 인네넷을 경유하여 해당 사이트로 전달되고, 그 사이트가 적절한 응답 페이지를 제공하는 절차를 통해, 통상의 과정에 따라 해당 화장품에 대한 온라인 구매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이 구매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 및 결제 정보 등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구매절차를 진행하는 해당 사이트에 제공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에 대해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그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작용 등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호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을 위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 화장안내 장치 20k: IOT 화장품
30: WiFi 망 40: IOT 화장품 보유목록
50: 표시된 화장 스타일 60: 화장 가이드 화면
100: 제어부 101: WiFi 모뎀
102: 입력 인터페이스 103: 표시 구동부
104: 디스플레이

Claims (14)

  1. 통신기능을 구비한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화장법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들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1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들 중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화장 스타일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대해 지정된 필요 화장품들과 화장품 사용순서를 화면 상에 표시하되, 상기 필요 화장품들의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도 함께 표시하는 2단계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과의 통신망을 통한 정보 교환에 근거하여, 상기 지정된 화장품 사용순서 상에서 현재 순서에 사용되어야 할 화장품을 지정하고, 그 지정된 화장품에 해당하는 사용자 보유 확인된 화장품에 대해서는 순서가 지정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3단계는, 상기 표시된 화장품들 중에서, 상기 지정된 현재 순서에 사용되어야 할 화장품에 대해서는 표시된 다른 화장품들과 구분될 수 있게 표시하는 것인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필요 화장품들 중 하나인 임의의 화장품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시간이 그 임의의 화장품에 대해 지정된 권장 시간보다 적으면, 그 임의의 화장품에 대해서는, 표시된 다른 화장품들과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현재 순서에 사용되어야 할 화장품이 적용되어야 하는 부위에 대해, 화장 결과로서 의도된 색조 또는 색상을 알 수 있게 하는 샘플 이미지를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 중에서 복수개가 상기 현재 순서에 사용되어야 할 화장품인 경우, 그 복수개의 화장품들 중에서 사용일시가 최신이거나 또는 사용횟수가 더 많은 화장품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화장품과 사용 순서에 관련한 정보 교환을 진행하는 것인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필요 화장품들 중 사용자의 보유가 확인되지 않는 미확인 화장품에 대해서, 그 미확인 화장품을 대체할 수 있는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필요 화장품들 중에서 사용자의 보유가 확인되지 않는 미확인 화장품에 대해서, 온라인 구매를 요청할 수 있는 입력상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온라인 구매를 위한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화장 스타일들에 대해 분류된 복수개의 카테고리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기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인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된 복수개의 카테고리에는 연령별로 분류한 카테고리와, 화장으로써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별로 분류된 카테고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된 복수개의 카테고리에는, 지정된 필요 화장품들을 모두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화장 스타일들만이 속하는 카테고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사용자로부터 기준값이 지정되면, 화장 스타일의 지정된 필요 화장품들의 수에 대비한,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화장품들 중에서 지정된 필요 화장품들에 해당하는 수의 비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는 화장 스타일들을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인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장치의 현재 지역의 날씨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날씨에 적합한 것으로 지정된 화장 스타일들을 추천 스타일로서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인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화장품들 중에서, 지정된 일정 기간 이상 사용되지 않은 화장품들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13. 화장 스타일에 따른 화장법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국부(local) 통신망을 통해 개별 화장품들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과,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들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하고, 그 표시된 화장 스타일 중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하나의 화장 스타일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대해 지정된 필요 화장품들과 화장품 사용순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게 하되, 상기 필요 화장품들의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도 함께 표시되게 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과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한 정보 교환에 근거하여, 상기 지정된 화장품 사용순서 상에서 현재 순서에 사용되어야 할 화장품을 지정하고, 그 지정된 화장품에 해당하는 사용자 보유 확인된 화장품에 대해서는 순서가 지정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또한 그 지정된 화장품이 표시된 다른 화장품들과 구분될 수 있게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장치.
  14. 타 장치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외부에 제공되는,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로그램은, 무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임의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들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기능과,
    상기 복수개의 화장 스타일들 중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화장 스타일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대해 지정된 필요 화장품들과 화장품 사용순서를 화면 상에 표시하되, 상기 필요 화장품들의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도 함께 표시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과의 통신망을 통한 정보 교환에 근거하여, 상기 지정된 화장품 사용순서 상에서 현재 순서에 사용되어야 할 화장품을 지정하되, 그 지정된 화장품에 해당하는 사용자 보유 확인된 화장품에 대해서는 순서가 지정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또한 그 지정된 화장품을 표시된 다른 화장품들과 구분될 수 있게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장치.
KR1020200000566A 2020-01-03 2020-01-03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KR102448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66A KR102448593B1 (ko) 2020-01-03 2020-01-03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66A KR102448593B1 (ko) 2020-01-03 2020-01-03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19A true KR20210087619A (ko) 2021-07-13
KR102448593B1 KR102448593B1 (ko) 2022-09-28

Family

ID=7685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566A KR102448593B1 (ko) 2020-01-03 2020-01-03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5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049A (ja) * 2001-02-06 2002-08-13 Tadashi Goino 携帯端末装置、アドバイスシステム、肌診断評価方法、肌診断評価用プログラム、化粧アドバイス提供方法及び化粧アドバイス提供用プログラム
KR20140077322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JP2014191813A (ja) * 2013-03-28 2014-10-06 Ntt Docomo Inc 化粧行為支援装置、化粧行為支援システム及び化粧行為支援方法
KR20180133121A (ko) * 2017-06-05 2018-12-13 손성삼 패션 아이템 추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패션 아이템 추천 방법
KR20190100515A (ko) * 2018-02-07 2019-08-29 주식회사 콜라주 IoT 뷰티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화장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049A (ja) * 2001-02-06 2002-08-13 Tadashi Goino 携帯端末装置、アドバイスシステム、肌診断評価方法、肌診断評価用プログラム、化粧アドバイス提供方法及び化粧アドバイス提供用プログラム
KR20140077322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장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JP2014191813A (ja) * 2013-03-28 2014-10-06 Ntt Docomo Inc 化粧行為支援装置、化粧行為支援システム及び化粧行為支援方法
KR20180133121A (ko) * 2017-06-05 2018-12-13 손성삼 패션 아이템 추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패션 아이템 추천 방법
KR20190100515A (ko) * 2018-02-07 2019-08-29 주식회사 콜라주 IoT 뷰티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화장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593B1 (ko)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198B1 (ko) 문맥적 정보에 기초하여 문맥적으로 관련된 방식으로 이동 통신 장치에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838694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EP3388785A1 (en) Route recommend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00002756A (ko) 매트릭스 블로깅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A2506417A1 (en) Host-based intelligent results related to a character stream
US8228169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facility apparatus, user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acility apparatus and user apparatus
EP2634744A1 (en) Search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search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RU2691223C2 (ru) Платформа персональных логических возможностей
JP2017528858A (ja) チケット情報ディスプレイ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10130953A1 (en) Navigation equipment and navigation system
JP2019204431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KR20210090404A (ko)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추천된 판촉물에 대한 역경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309412A (zh) 提供服饰搭配信息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9134469A1 (zh) 实体店查询方法和电子设备
JP2012008707A (ja) 連係管理装置、サービス連係支援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連係支援方法
KR102448593B1 (ko) 지능형 화장 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KR101749701B1 (ko) 완주 코스 관리 방법
US11816804B2 (en) Method and system of recommending accommodation for tourists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nd augmented reality
KR20210015008A (ko) 성인용품 판매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CN101847239A (zh) 一种智能试衣系统、方法及人机交互装置
JPWO2017221759A1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16210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콘텐츠 생성 및 상품 정보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0478399B1 (ko) 폰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KR20200032977A (ko) 질의응답 형식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KR102516348B1 (ko) 역사 문화 탐방 체험 서비스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