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963A - 키워드검색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키워드검색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963A
KR20190055963A KR1020170152867A KR20170152867A KR20190055963A KR 20190055963 A KR20190055963 A KR 20190055963A KR 1020170152867 A KR1020170152867 A KR 1020170152867A KR 20170152867 A KR20170152867 A KR 20170152867A KR 20190055963 A KR20190055963 A KR 20190055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hopping mall
search
online shopping
search keywo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인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인컴파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인컴파니
Priority to KR102017015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5963A/ko
Publication of KR2019005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96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06F17/2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들이 특정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여 쇼핑몰 사이트에서 상품을 선택시 이들 정보들을 취합한 후 추전 상품 목록을 생성하게 되는 사용자 검색 키워드 학습 방식의 온라인 쇼핑몰 상품 노출 시스템을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사용자가 검색엔진의 검색 결과를 통해 온라인쇼핑몰에 접속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에 최적화된 상품이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상품에 대한 구매력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키워드검색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Goods exposure system in online shopping mall with keyword analyzing}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물의 상품 노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가 검색엔진의 결과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에 방문시, 유저가 입력한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에 최적화된 상품이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유저의 상품에 대한 구매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Internet)의 급속한 보급 및 전자기술의 발달로 인해 온라인을 통한 상품 구매, 즉 자상거래가 활성화되었으며, 전자상거래에서의 공정성, 예를 들면 인증기술 등으로 인한 거래 안정성으로 인해 온라인상에서의 상품 거래 인식이 과거에 비해 매우 긍정적으로 바뀌어 그 규모는 해마다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고 있다.
즉, 무선망(무선 인터넷) 또는 유선망(인터넷)을 통해 임의의 쇼핑몰에 접속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검색창에 상품과 관련된 유사 검색어 또는 검색 정보를 알고 있을 경우 비교적 정확한 상품정보를입력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쇼핑몰의 데이터베이스(Data-Base : 이하 DB라 함)에 저장된 상품 관련정보, 예를 들어 상품 종류, 브랜드 명 등이 검색어와 일치하는 정도, 즉 정확도를 각 상품에 대해서 도출한 후, 이를점수로 환산하여 그 크기 순으로 소팅(sorting)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때, 정확도를 점수화하는 과정에서 판매량이 많은 인기 상품이나 또는 쇼핑몰에서 정한 특정 태그(tag), 예를들어 특정 상품에 대한 등급 표시로서 "프리미엄(premium)" 등과 같은 태그가 붙은 상품에 많은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위와 같은 상품들이 보다 높은 정확도 점수를 획득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상품 소팅시 상품의 상위 부분에 배치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관련 상품을 검색시 검색 화면의 최상단 또는 가장 첫 페이지에 제공되도록 하였다.
이는 인기 있는 상품이거나 쇼핑몰이 정한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먼저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보다 정확한 인기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구매를 보다 많이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에따라, 종래의 온라인 쇼핑몰들은 검색엔진에 자신의 쇼핑몰 사이트가 노출되기 위한 웹사이트 정보(예 웹사이트 내용, 등록한 수만개의 키워드 등)를 기준으로 웹사이트 URL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검색엔진에서 웹사이트 URL의 키워드로 검색시 자신의 사이트가 검색 결과로 노출되도록 하는 키워드 마케팅 기법을 주로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즉, 종래 온라인 쇼핑몰은 키워드 마케팅에 사용되는 키워드가 수 만개로서 수동으로 각 키워드 별로 노출될 상품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특정 웹사이트 URL의 키워드를 특정 상품 카테고리로 연결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던 것이다.
일예로, 예를 들어 "청바지" 라는 키워드는 "하의" 상품 카테고리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검색엔진에서 "청바지"라는 키워드를 입력하여 쇼핑몰 사이트로 링크되는 경우 사용자는 링크된 쇼핑몰 사이트에서 "하의" 상품 카테고리를 바로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키워드는 특정 카테고리로 연결시키기 어려운 것이 현실인데, "봄 옷 추전", "통통한 여자",또는 경쟁 온라인 쇼핑몰 이름 등이 수 만개의 키워드 중 대부분을 이루게 되므로,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는 검색엔진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에 링크되었음에도 자신이 검색한 내용과는 무관하게 쇼핑몰 사이트 내에서 불특정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메인 페이지를 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찾기 위해 쇼핑몰 사이트 내부에서 다시 상품을 탐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 과정에서 대다수의 사용자는 탐색을 포기하고 쇼핑몰 사이트를 벗어나는 경우가 많았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이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이지만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부합되지 않는 상품들이 우선적으로 노출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은 쉽게 노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입력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들이 특정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여 쇼핑몰 사이트에서 상품을 선택시 이들 정보들을 취합한후 추전 상품 목록을 생성하게 되는 사용자 검색 키워드 학습 방식의 온라인 쇼핑몰 상품 노출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엔진의 검색 결과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에 최적화된 상품이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상품에 대한 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은, 검색 키워드를입력하는 사용자 접속단말기 상기 접속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에 따른 웹사이트 URL(UniformResource Locator)을 검색하는 검색엔진서버 상기 검색엔진서버로부터 검색되는 웹사이트 URL을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 상기 검색엔진서버를 통해 사용자 접속단말기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시, 상기 접속단말기의 검색 키워드 입력 정보를 실시간 수집한 후 그 수집된 검색 키워드 정보와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게 되는 상품의 연관도를 저장하는 학습서버 및, 사용자가 접속단말기를 통해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상기 검색엔진서버에 입력시, 입력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에 매칭되는 최적화된 상품이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학습서버에 저장되는 검색키워드와 상품의 연관도 정보를 상기 접속 단말기에 제공하는 상품노출서버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학습서버는, 검색엔진서버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 접속단말기에서 입력한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실시간 수집하는 검색 키워드 수집부 상기 검색 키워드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저장하면서 사용자 접속단말기의 인터넷 브라우저내에 제공하는 정보 저장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접속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되는 접속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상품 선택시, 선택된 상품과 검색 키워드의 연관도를 실시간 수집저장한 후 이를 상품노출서버에 제공하는 키워드-상품 연관도 수집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와 연관되어 저장되는 상품은 상품ID 정보이고, 상기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와 상품ID의 연관도는 관계지수로서 상기 키워드-상품 연관도 수집부에 테이블화되어 누적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키워드-상품 연관도 수집부에서 테이블화되어 저장하는 검색키워드와 상품에 대한 연관도는,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서 검색키워드를 통해 열람한 상품정보,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서 검색키워드를 통해 검색하여 주문한 상품정보,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서 검색키워드를 통해 검색하여 주문 후 결제한 상품 정보를 판단하여 증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키워드-상품 연관도 수집부에서 사용자 접속단말기에 제공하는 검색키워드와 상품에 대한 연관도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서 검색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페이지 뷰 시간,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서 검색 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검색페이지 방문 횟수,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별 접속 횟수, 검색키워드에 의해검색된 상품의 매출 정보, 검색 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개수를 포함하는 상품에 대한 가치 평가 정보를판단하여 증가되는 것이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운영방법은, 접속단말기를 통해 검색엔진서버에 접속하여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입력한 검색키워드에 대응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결과 검색키워드에 대응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시, 학습서버에서 검색엔진서버에 입력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사용자 접속단말기의 인터넷 브라우저내 저장부에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사용자 접속단말기가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시, 사용자가 접속단말기를 통해 상품을 선택하였는가를 분석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분석결과 상품
선택시,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검색엔진서버에 입력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와 상기 선택된 상품의 연관도를 학습서버에서 테이블화하여 실시간 저장하는 제 5 단계 및, 사용자가 접속단말기를 통해 검색할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검색엔진서버에 입력시, 상품노출서버에서 학습서버에 테이블화되어 저장되는 검색키워드와 상품의 연관도를 상기 접속단말기에 제공하고, 제공되는 연관도 정보를 사용자가 클릭시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서 상기 검색엔진서버에 입력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에 매칭되는 최적화된 상품을 노출시키는 제6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에서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의 실시간 수집은, 사용자가 접속단말기를 통해 검색엔진서버에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한 후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시 그 접속경로(HTTP referrer)의URL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는 상기 접속경로의 URL을 분석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코드가 삽입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들이 특정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여 쇼핑몰 사이트에서 상품을 선택시 이들 정보들을 취합한 후 추전 상품 목록을 생성하게 되는 사용자 검색 키워드 학습 방식의 온라인 쇼핑몰 상품 노출 시스템을 구성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것이다.
첫째,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온라인 쇼핑몰은 사용자가 이탈하는 비율을 줄여 상품에 대한 더 많은 매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온라인 쇼핑몰은 수 만개의 검색 키워드를 일일이 수동으로 관리하지 않고 자동화하여 인건비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온라인 쇼핑몰은 기존에 검색 키워드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검색 키워드를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집하고, 이를 통해 최적화된 상품 판매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섯째, 온라인 쇼핑몰은 수 만개의 검색 키워드 중 어떤 검색 키워드가 더 상품 판매에 기여를 하는지를 확인하여 좀 더 정교한 타켓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운영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검색엔진서버를 통해 검색 키워드 입력시 검색 키워드에 매칭되는 상품의 노출 화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은,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접속단말기(100)와, 상기 접속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에따른 웹사이트 URL을 검색하는 검색엔진서버(200)와, 상기검색엔진서버(200)로부터 검색되는 웹사이트 URL의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학습서버(400)와 상품노출서버(500)를 더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속단말기(100)는 유,무선망을 통해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PDA, 셀룰러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검색엔진서버(200)는 검색포털사이트로서 다음, 네이버, 야후, 구글 등 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학습서버(400)는 상기 검색엔진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접속단말기(100)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될 때, 상기 접속단말기(100)의 검색 키워드 입력 정보를 실시간 수집한 후 그 수집된 검색 키워드 정보와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게 되는 상품의 연관도를 저장하는 것으로, 검색 키워드 수집부(401), 정보 저장 처리부(402), 키워드-상품 연관도 수집부(40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검색 키워드 수집부(401)는 검색엔진서버(200)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하는 사용자 접속단말기(100)에서 입력한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실시간 수집한 후 이를 상기 정보 저장 처리부(402)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검색 키워드 수집부(401)는 사용자가 접속단말기(100)를 통해 검색엔진서버(200)에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한 후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시 그 접속경로(HTTP referrer)의 URL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따라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는 상기 접속경로의 URL을 분석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코드가 삽입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정보 저장 처리부(402)는 상기 검색 키워드 수집부(401)로부터 수집된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저장하는 한편, 상기 저장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사용자 접속단말기(100)의 인터넷 브라우저내에 제공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접속단말기(100)를 통해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시, 입력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에 따른 상품 정보 검색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정보 저장 처리부(402)는 상기 접속단말기(100)의 인터넷 브라우저내에 검색키워드의 쿠키정보를 저장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키워드-상품 연관도 수집부(403)는 사용자 접속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되는 접속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가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상품과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에 대한 연관도를 실시간 수집 저장한 후 이를 상기 상품노출서버(500)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와 연관되어 저장되는 상품은 상품ID 정보이고, 상기 상품 검색 키워드와 상품ID의 연관도는 관계지수로서 아래 표1의 예에서와 같이 상기 키워드-상품 연관도 수집부(403)에 테이블화되어 누적 저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키워드-상품 연관도 수집부(403)에서 상기 표1과 같이 테이블화되어 저장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키워드와 상품에 대한 연관도는,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서 웹사이트 URL의 검색키워드를 통해열람한 상품정보,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서 웹사이트 URL의 검색키워드를 통해 검색하여 주문한 상품정보,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서 웹사이트 URL의 검색키워드를 통해 검색하여 주문 후 결제한 상품 정보를 판단하여 증가되고, 이에 더하여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서 검색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페이지 뷰 시간,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서 검색 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상품 검색페이지의 방문 횟수,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별 접속 횟수, 검색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매출 정보, 검색 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상품 개수를 포함하는 상품에 대한 가치 평가 정보를 판단하여 증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품노출서버(500)는 사용자가 접속단말기(100)를 통해 웹사이트 URL의 검색키워드를 상기 검색엔진서버(200)에 입력시, 입력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에 매칭되는 최적화된 상품이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학습서버(400)에 저장되는 검색키워드와 상품의 연관도 정보를 상기 접속단말기(100)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접속단말기(100)를 통해 검색엔진서버(200)에 접속하여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접속단말기(100)는 입력한 검색키워드에 대응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때 학습서버(400)에 포함되는 검색 키워드 수집부(401)에서는 검색엔진서버(200)에 입력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는 접속경로의 URL을 분석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코드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검색 키워드 수집부(401)에서는 사용자가 접속단말기(100)를 통해 검색엔진서버(200)에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한 후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할 때 그 접속경로(HTTP referrer)의URL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상기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검색 키워드 수집부(401)에 의해 수집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는 상기 학습서버(400)에 포함되는 정보 저장 처리부(402)에 저장되는 한편, 상기 정보 저장 리부(402)에서는 저장되는 검색 키워드의 쿠키정보를 사용자 접속단말기(100)의 인터넷 브라우저내 저장부에 제공하도록 하였으며, 이는 사용자가 접속단말기(100)를 통해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시,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에 따른 상품 정보 검색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접속단말기(100)가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속단말기(100)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학습서버(400)에 포함되는 키워드-상품 연관도 수집부(403)에서는 검색엔진서버(200)에 입력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와 상기 선택된 상품의 연관도를 테이블화하여 실시간 저장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와 연관되어 저장되는 상품은 상품ID 정보이고, 상기 상품 검색 키워드와 상품ID의 연관도는 관계지수로서, 검색키워드와 상품에 대한 연관도는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서 검색키워드를 통해 열람한 상품정보,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서 검색키워드를 통해 검색하여 주문한 상품정보,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서 검색키워드를 통해 검색하여 주문 후 결제한 상품 정보를 판단하여 증가되는 것이고, 이에 더하여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서 검색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페이지 뷰 시간,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서 검색 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상품 검색페이지의 방문 횟수, 상품 검색 키워드별 접속 횟수, 검색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매출 정보, 검색 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상품 개수를 포함하는 상품에 대한 가치 평가 정보를 판단하여 증가되도록 하였다.
일예로, 검색키워드와 상품에 대한 연관도는 표1의 예에서와 같이 단순히 "봄옷 추천" 이라는 검색키워드로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된 사용자가 1번 상품을 한번 봤을 때 "1" 증가하는 것이 아닌, 1번 상품의 체류시간, 결제여부, 재 방문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그 관계지수를 높이는 것으로, 한번 클릭시 1점, 두번째 클릭시 3점, 결제시 10점이 추가되는 형식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향후 "봄옷 추천" 으로 새로운사용자가 웹사이트 URL의 키워드 검색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할 경우 접속된 새로운 사용자에게 연관도 점수가 높은 서열대로 상품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웹사이트 URL의 검색키워드와 상품ID의 연관도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되는 사용자들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누적 저장되는 것으로, 이렇게 누적 저장되는 연관도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또 다른 사용자가접속단말기(100)를 통해 검색할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를 검색엔진서버(200)에 입력하는 경우, 상품노출서 버(500)에서는 상기 학습서버(400)에서 테이블화되어 저장되는 검색키워드와 상품의 연관도를 상기 접속단말기(100)에 제공하게 되고, 상기 접속단말기(100)에 제공되는 연관도 정보를 사용자가 클릭시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검색엔진서버(200)에 입력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에 매칭되는최적화된 상품이 노출되면서, 사용자의 상품 구매력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 검색 키워드를 통한 상품 검색은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에 일반적인 메인 화면으로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어필할 가장 중요한 내용만을 보여주면서 오프라인의 백화점 입점 소식을 전하는 수준에서 큰 이미지로 온라인 쇼핑몰의 분위기를 한눈에 보여주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검색엔진서버(예 네이버, 다음 등)(200)에서 입력한 웹사이트 URL의 검색키워드에 매칭되는 상품들이 전면에 부각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에 최적화된 상품 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예로, 사용자가 "봄날 스커트" 를 검색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쇼핑몰의 화면에는 봄날에 어울리는 스커트 또는 스커트에 어울리는 블라우스 상품을 추전하는 화면의 노출을 통해 특정 카테고리에 머무르지 않은 누적된 통계에 의한 상품 목록을 노출시켜 상품에 대한 클릭 횟수를 증가시킴은 물론, 그 상품에대한 구매를 유도하는 것에 더 초점을 맞춘 기술적 특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접속단말기 200 검색엔진서버
300 온라인 쇼핑몰 서버 400 학습서버
401 검색 키워드 수집부 402 정보 저장 처리부
403 키워드-상품 연관도 수집부 500 상품노출서버

Claims (1)

  1.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접속단말기
    상기 접속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에 따른 웹사이트 URL을 검색하는 검색엔진서버
    상기 검색엔진서버로부터 검색되는 웹사이트 URL의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쇼핑몰 서버
    상기 검색엔진서버를 통해 사용자 접속단말기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시, 상기 속단말기의 검색 키워드 입력 정보를 실시간 수집한 후 그 수집된 검색 키워드 정보와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게되는 상품의 연관도를 저장하는 학습서버 및, 사용자가 접속단말기를 통해 웹사이트 URL의 검색키워드를 상기 검색엔진서버에 입력시, 입력되는 웹사이트 URL의 검색 키워드에 매칭되는 최적화된 상품이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학습서버에 저장되는 검색키워드와 상품의 연관도 정보를 상기 접속단말기에 제공하는 상품노출서버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KR1020170152867A 2017-11-16 2017-11-16 키워드검색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Withdrawn KR20190055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867A KR20190055963A (ko) 2017-11-16 2017-11-16 키워드검색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867A KR20190055963A (ko) 2017-11-16 2017-11-16 키워드검색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963A true KR20190055963A (ko) 2019-05-24

Family

ID=66680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867A Withdrawn KR20190055963A (ko) 2017-11-16 2017-11-16 키워드검색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596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900B1 (ko) 2019-10-08 2020-02-28 김경록 판매 상품의 최적 검색어 제공 시스템
KR20210121387A (ko)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메디치소프트 콘텐츠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N113987153A (zh) * 2021-11-05 2022-01-28 京东科技信息技术有限公司 物品描述词的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28449A (ko)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이지그룹 온라인 쇼핑 키워드 분석 서버 장치
US11941666B2 (en) 2020-12-09 2024-03-26 Nh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matching search advertisement based on product preliminary class
KR20250038872A (ko) 2023-09-12 2025-03-20 주식회사 닉신디케이트 콘텐츠 추천을 위해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우선순위를 최적으로 결정하는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900B1 (ko) 2019-10-08 2020-02-28 김경록 판매 상품의 최적 검색어 제공 시스템
KR20210121387A (ko)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메디치소프트 콘텐츠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30013140A (ko) 2020-03-30 2023-01-26 주식회사 메디치소프트 키워드 추출 규칙 기반의 키워드 추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028449A (ko)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이지그룹 온라인 쇼핑 키워드 분석 서버 장치
US11941666B2 (en) 2020-12-09 2024-03-26 Nh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matching search advertisement based on product preliminary class
CN113987153A (zh) * 2021-11-05 2022-01-28 京东科技信息技术有限公司 物品描述词的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50038872A (ko) 2023-09-12 2025-03-20 주식회사 닉신디케이트 콘텐츠 추천을 위해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우선순위를 최적으로 결정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5963A (ko) 키워드검색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N102859518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
US200601294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product searching, and use thereof
US20120179716A1 (en) System for recommending an article not present in an image
US20130086052A1 (en) Method and System of Information Matching in Electronic Commerce Website
KR20100091669A (ko) 전자상거래 서비스에서의 개인화 추천 시스템
KR20200048004A (ko) 사용자 구매 기준 및 상품 리뷰 기반 상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06682925A (zh) 广告内容的推荐方法及装置
JP697620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07660B1 (ko) 연관 검색어를 이용한 관심사 카테고리 기반 이커머스 시스템
KR20140133633A (ko)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EP3289487B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of website analysis
TW201207649A (en) Search engine optimization at scale
KR101509393B1 (ko)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70282A (ko) 쇼핑몰 사이트 제공 시스템, 쇼핑몰 사이트 제공 방법, 그 프로그램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N105022830A (zh) 一种基于用户行为的加权轨迹数据集构建方法
KR101026544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한 랭킹 분석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그 장치
KR20160117678A (ko) 큐레이션 커머스에서 상품 등록 및 추천 방법
CN107153697A (zh) 一种商品交易网站中的商品搜索方法和装置
US20160343046A1 (en) Review text output system and review text output method
KR102082900B1 (ko) 판매 상품의 최적 검색어 제공 시스템
KR101655368B1 (ko) 쇼핑 후기를 검색하고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42192A (ko) 가격비교 서비스를 위한 상품정보 제공수단
JP2002288216A (ja) 感性商品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00117668A (ko) 크로스크레딧 기반의 b2b2c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