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902B1 - 신발장 문짝 - Google Patents

신발장 문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902B1
KR101702902B1 KR1020160050859A KR20160050859A KR101702902B1 KR 101702902 B1 KR101702902 B1 KR 101702902B1 KR 1020160050859 A KR1020160050859 A KR 1020160050859A KR 20160050859 A KR20160050859 A KR 20160050859A KR 101702902 B1 KR101702902 B1 KR 101702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hoe
door
accommodation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희영
Original Assignee
선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희영 filed Critical 선희영
Priority to KR102016005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 E06B3/385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4Doors containing cup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발장 문짝은 상기 신발장의 전방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연결된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 구비되어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장 문짝{Door shoe rack}
본 발명은 신발장 문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신발 보관함이 구비되는 신발장 문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장은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96056호(2005.09.09)"와 같이, 공동주택 등의 입구에 설치되어 신발의 정리정돈이나 보관을 위해 사용되는 수납장으로서, 통상 사각 박스 형태에 신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획되어 있고, 신발장의 전면에는 신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의 도어의 경우, 신발장의 전면 양측에 하나씩 각각 구비되어 전면의 면적을 절반씩 양분하여 신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리도록 구비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사용하고자 하는 신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부터 꺼내기 위해서는 신발장 전면의 절반 면적에 가까운 도어를 열어야 하는데, 매번 신발을 사용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도어를 열고 닫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도어의 크기가 크거나 무거울 경우 매우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사용하는데 어려움 따른다.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해, 주로 사용하는 신발의 경우에는 신발장에 보관하지 않고, 현관 앞에 벗어 두는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현관 앞 공간이 협소하여 신발이 밟히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신발의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사용하는 신발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신발장 문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신발을 용이하게 사용 또는 보관할 수 있는 신발장 문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은 상기 신발장의 전방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연결된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 구비되어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일단이 상기 개구부의 하단에 얹혀져 있는 상태로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개구부에 얹혀져 있는 상기 몸체의 일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 하단 주변의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가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돌기와,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기 몸체의 일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수용된 신발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측벽과, 양단이 한 쌍의 상기 측벽 상부에 각각 얹혀지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일정범위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신발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개구부 측 일단에 연장되어 상기 몸체가 회전할 시 개구부의 하단 측 상기 본체와 맞대어져 상기 몸체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개구부를 정확하게 폐쇄하도록 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기 본체와 맞대어질 시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돌기에는 상기 회전돌기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탄력적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몸체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몸체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회전할 시 상기 본체와의 각도가 90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측벽 사이에 위치하고, 하나의 상기 수용공간을 동일한 면적의 두 개의 상기 수용공간으로 분할하여 신발이 한 짝씩 각각 수용되도록 하는 중앙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덮개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보조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 몸체의 상부에는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측벽, 상기 중앙벽, 상기 덮개가 구비되어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상기 측벽의 상면과 상기 보조 몸체의 하면 사이에는 상기 보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신발장 문짝에 의하면, 본체의 개구부로부터 회전하는 회전판의 수용공간에 신발을 수용할 수 있어 주로 사용하는 신발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판만을 개구부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신발을 꺼내거나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신발을 용이하게 사용 또는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이 신발장에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장 문짝이 신발장에 설치된 모습의 또 다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발장 문짝의 회전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신발장 문짝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회전판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회전판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회전판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이 신발장에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장 문짝이 신발장에 설치된 모습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10)은 본체(100), 개구부(200), 회전판(300) 및 수용공간(4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본체(100)는 신발장(A)의 전면에 각각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100)가 직사각 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신발장(A)의 전면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보였으나, 상기의 본체(100)는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개구부(200)는 본체(100)에 구비되는데 개구부(200)에 의해 신발장(A)의 내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개구부(200)가 본체(100)에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의 개구부(200)는 본체(100)에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회전판(300)은 일단이 개구부(200)와 연결되고 연결된 일단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판(300)은 개구부(200)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개구부(20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판(300)이 회전하지 않고 개구부(200)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에는 개구부(200)를 폐쇄하여 신발장(A)의 내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회전판(300)이 일단을 축으로 하여 신발장(A) 외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개구부(200)가 개방되어 신발장(A)의 내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의 수용공간(400)은 회전판(300)이 일단을 축으로 하여 신발장(A) 외부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시, 상 방향을 향하고 있는 회전판(3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신발(20)이 수용될 수 있다.
수용공간(400)에 수용된 신발(20)은 회전판(300)을 개구부(200)와 연결된 회전판(300)의 일단을 축으로 신발장(A) 내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개구부(200)를 통해 자연스럽게 신발장(A)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동시에 개구부(200)가 폐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신발장 문짝(10)은 본체(100)에 개구부(200)를 형성하고, 상기의 개구부(200)에 수용공간(400)이 형성되고 회전가능한 회전판(300)을 구비함으로써 신발장 문짝(10)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신발(20)을 꺼내거나 보관하기가 용이하여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로 사용하는 신발(20)의 별도 보관이 가능하게 되고, 현관 앞에 신발(20)을 벗어 두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협소한 현관 앞 공간에 의해 신발(20)이 밟혀 손상되는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10)의 회전판(3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발장 문짝의 회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신발장 문짝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10)은 신발장(A)의 전방에 구비되는 본체(100), 본체(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200), 개구부(200)와 일단이 연결되고 연결된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여 개구부(2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판(300) 및 회전판(3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신발(2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회전판(300)은 몸체(310), 회전돌기(320), 측벽(330) 및 덮개(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몸체(310)는 회전판(300)의 전체적인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개구부(200)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구비되며, 일단이 개구부(200)의 하단에 얹혀져 있는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돌기(320)는 개구부(200)에 얹혀져 있는 몸체(310)의 일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개구부(200) 하단 주변의 본체(1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의 회전돌기(320)에 의해 회전판(300)이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돌기(320)에 의해 몸체(310)가 회전함에 따라 개구부(20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회전돌기(320)에는 회전돌기(32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탄성체(3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탄성체(321)는 몸체(310)가 개구부(200)를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체(310)를 회전시켜 수용공간(400)에 수용된 신발(20)을 꺼내거나 수용공간(400)에 신발(20)을 수용한 후 몸체(310)가 탄력적으로 회전되어 개구부(200)를 폐쇄하는 본래 상태로 되돌아 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더욱 쉽고 간편하게 신발(20)을 수용공간(400)으로부터 꺼내거나 수용공간(400)에 수용할 수 있다.
측벽(330)은 수용공간(400)이 형성된 몸체(310)의 일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신발(20)의 유동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수용공간(400)에 수용된 신발(20)이 수용공간(4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측벽(3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의 좌우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측벽(330)이 구비되지 않은 몸체(310)의 테두리 방향으로 신발(20)을 수용공간(400)에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측벽(330)은 측벽(33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신발장(A)의 내부공간 방향에 위치한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형태의 연장부(331)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부(331)는 몸체(310)가 회전돌기(320)에 의해 회전하여 개구부(200)를 폐쇄할 시, 개구부(200)의 하단 측 본체(100)와 맞대어짐으로써 몸체(310)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몸체(310)가 개구부(200)를 정확하게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장부(331)의 일면 즉, 몸체(310)가 회전돌기(320)에 의해 회전하여 개구부(200)를 폐쇄할 시 개구부(200)의 하단 측 본체(100)와 맞대어지는 면에는 패드(3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패드(332)는 상기에서 언급한 탄성체(321)가 회전돌기(320)에 구비될 시, 탄성체(321)의 탄성력에 의해 연장부(331)와 본체(100) 간의 충격을 감소시킴으로써 충격에 의해 본체(100)나 회전판(3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덮개(340)는 양단이 몸체(310)의 좌우 측에 구비된 한 쌍의 측벽(330)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덮개(340)가 구비됨에 따라 수용공간(400)의 상부가 일정범위 덮일 수 있다.
여기서, 회전판(300)을 회전시켜 개구부(200)를 폐쇄할 경우, 수용공간(400)에 수용된 신발(20)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신발장(A)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게 되는데 덮개(340)에 의해 수용공간(400)의 상부가 일정범위 덮임에 따라 신발(20)이 수용공간(4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수직으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10)의 회전판(300)의 변형 예에 대래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회전판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10)은 신발장(A)의 전방에 구비되는 본체(100), 본체(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200), 개구부(200)와 일단이 연결되고 연결된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여 개구부(2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판(300) 및 회전판(3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신발(2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회전판(300)은 일단이 개구부(200)의 하단에 얹혀져 있는 상태로 구비되는 몸체(310), 개구부(200)에 얹혀져 있는 몸체(310)의 일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개구부(200) 하단 주변의 본체(100)에 삽입되어 몸체(310)가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돌기(320), 수용공간(400)이 형성된 몸체(310)의 일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수용된 신발(20)이 수용공간(4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측벽(330) 및 양단이 한 쌍의 측벽(330) 상부에 각각 얹혀지고, 수용공간(400)의 상부를 일정범위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수용공간(400)에 수용된 신발(20)이 수용공간(4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3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회전판(300)은 한 쌍의 측벽(330) 사이에 위치하고, 하나의 수용공간(400)을 동일한 면적의 두 개의 수용공간(400)으로 분할하는 중앙벽(3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중앙벽(350)은 측벽(330)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중앙벽(350)이 구비됨에 따라 수용공간(400)에 수용되는 신발(20)이 한 짝씩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400)에 신발(20)이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돌기(320)에 의해 몸체(310)가 회전할 시 신발(20)이 유동하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으며, 플랫 슈즈나 슬리퍼 등과 같은 두께가 얇은 신발(20)의 경우에는 중앙벽(350)에 의해 분할된 두 개의 수용공간(400) 중 어느 하나의 수용공간(400)에 모두 수용할 수 있으므로 나머지 수용공간(400)에 추가로 신발(20)을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중앙벽(350)이 수용공간(400)에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의 중앙벽(350)은 몸체(310)의 크기 등에 따라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10)의 회전판(300)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회전판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10)은 신발장(A)의 전방에 구비되는 본체(100), 본체(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200), 개구부(200)와 일단이 연결되고 연결된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여 개구부(2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판(300) 및 회전판(3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신발(2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회전판(300)은 일단이 개구부(200)의 하단에 얹혀져 있는 상태로 구비되는 몸체(310), 개구부(200)에 얹혀져 있는 몸체(310)의 일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개구부(200) 하단 주변의 본체(100)에 삽입되어 몸체(310)가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돌기(320), 수용공간(400)이 형성된 몸체(310)의 일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수용된 신발(20)이 수용공간(4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측벽(330) 및 양단이 한 쌍의 측벽(330) 상부에 각각 얹혀지고, 수용공간(400)의 상부를 일정범위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수용공간(400)에 수용된 신발(20)이 수용공간(4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3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덮개(340) 상부에는 상기의 몸체(310)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보조 몸체(36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몸체(360)의 상부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측벽(330), 중앙벽(350) 및 덮개(3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310)의 상부와 보조 몸체(360)의 상부에는 각각 수용공간(400)이 형성됨으로써 두 켤레의 신발(20)을 상하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310)의 구비되는 측벽(330)의 상면과 보조 몸체(360)의 하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3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지지부재(370)는 몸체(310)의 구비되는 측벽(330)의 상면과 보조 몸체(360)의 하면 사이에 구비되어 보조 몸체(360)를 지지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더욱 안전하게 수용공간(400)이 확보되고 지지받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보조 몸체(360)의 상부에 중앙벽(350)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보조 몸체(360)의 상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벽(350)이 생략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10)의 회전판(300)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대래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회전판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10)은 신발장(A)의 전방에 구비되는 본체(100), 본체(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200), 개구부(200)와 일단이 연결되고 연결된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여 개구부(2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판(300) 및 회전판(3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신발(2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회전판(300)은 일단이 개구부(200)의 하단에 얹혀져 있는 상태로 구비되는 몸체(310), 개구부(200)에 얹혀져 있는 몸체(310)의 일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개구부(200) 하단 주변의 본체(100)에 삽입되어 몸체(310)가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돌기(320), 수용공간(400)이 형성된 몸체(310)의 일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수용된 신발(20)이 수용공간(4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측벽(330) 및 양단이 한 쌍의 측벽(330) 상부에 각각 얹혀지고, 수용공간(400)의 상부를 일정범위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수용공간(400)에 수용된 신발(20)이 수용공간(4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3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몸체(310)에는 몸체(310)와 본체(1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연결부재(311)는 몸체(310)가 개구부(200)를 개방하도록 회전돌기(320)에 의해 회전할 시, 본체(100)와의 각도가 90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와의 각도가 90도 이상으로 벌어질 시에는 수용공간(400)에 수용된 신발(20)을 사용자가 꺼내기 이전에 신발(20)이 수용공간(400)으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할 수 있으며, 신발(20)을 수용공간(400)에 수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연결부재(311)를 구비하여 몸체(310)가 개구부(200)를 개방하도록 회전돌기(320)에 의해 회전할 시, 본체(100)와의 각도가 90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용공간(400)에 수용된 신발(20)을 사용자가 꺼내기 이전에 신발(20)이 수용공간(400)으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발(20)을 수용공간(400)에 수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400)에 신발(20)을 수용한 상태에서 신발(20)의 끈을 묶거나 신발(20)을 닦는 등의 부가적인 행위 또한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장 문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A: 신발장 10: 신발장 문짝
20: 신발 100: 본체
200: 개구부 300: 회전판
310: 몸체 320: 회전돌기
330: 측벽 340: 덮개
350: 중앙벽 360: 보조 몸체
370: 지지부재 400: 수용공간

Claims (8)

  1. 신발장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신발장 문짝에 있어서,
    상기의 신발장 문짝은 상기 신발장의 전방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연결된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 구비되어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은 일단이 상기 개구부의 하단에 얹혀져 있는 상태로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개구부에 얹혀져 있는 상기 몸체의 일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 하단 주변의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가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돌기와,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기 몸체의 일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수용된 신발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측벽과, 양단이 한 쌍의 상기 측벽 상부에 각각 얹혀지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일정범위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신발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와, 한 쌍의 상기 측벽 사이에 위치하고, 하나의 상기 수용공간을 동일한 면적의 두 개의 상기 수용공간으로 분할하여 신발이 한 짝씩 각각 수용되도록 하는 중앙벽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보조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 몸체의 상부에는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측벽, 상기 중앙벽, 상기 덮개가 구비되어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 문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상기 측벽의 상면과 상기 보조 몸체의 하면 사이에는 상기 보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 문짝.
KR1020160050859A 2016-04-26 2016-04-26 신발장 문짝 KR101702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859A KR101702902B1 (ko) 2016-04-26 2016-04-26 신발장 문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859A KR101702902B1 (ko) 2016-04-26 2016-04-26 신발장 문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902B1 true KR101702902B1 (ko) 2017-02-06

Family

ID=5810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859A KR101702902B1 (ko) 2016-04-26 2016-04-26 신발장 문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0645A (zh) * 2017-04-17 2017-06-13 湖南冬暖科技有限公司 一种壁挂式大容量旋转鞋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5036U (ko) * 1983-03-21 1984-10-10 이영락 설합장의 설합개폐장치
JPH01152540U (ko) * 1988-04-15 1989-10-20
JP2000352413A (ja) * 1999-06-14 2000-12-19 Itoki Crebio Corp トルク変動型軸受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ライティングビューロ
JP2010057711A (ja) * 2008-09-04 2010-03-18 Hochiki Corp 消火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5036U (ko) * 1983-03-21 1984-10-10 이영락 설합장의 설합개폐장치
JPH01152540U (ko) * 1988-04-15 1989-10-20
JP2000352413A (ja) * 1999-06-14 2000-12-19 Itoki Crebio Corp トルク変動型軸受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ライティングビューロ
JP2010057711A (ja) * 2008-09-04 2010-03-18 Hochiki Corp 消火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0645A (zh) * 2017-04-17 2017-06-13 湖南冬暖科技有限公司 一种壁挂式大容量旋转鞋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528B1 (ko) 회전식 콤팩트용기
KR101209874B1 (ko) 회전형 화장품 케이스
TW201713571A (zh) 整理箱
KR101702902B1 (ko) 신발장 문짝
US10351312B2 (en) Storage container
KR101563129B1 (ko) 도어장치
KR101102519B1 (ko)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JP3785224B2 (ja) 箱型容器
KR200406821Y1 (ko) 콤팩트 케이스 구조
KR200398353Y1 (ko) 보관함
KR101839611B1 (ko) 원터치캡
KR20160004455U (ko) 수납함
JP7236963B2 (ja) コンパクト容器
EP3860389B1 (en) Case for headphones
KR20110083787A (ko) 식품 보관 용기
KR101965679B1 (ko) 담배 케이스
JPS5852711Y2 (ja) 電気機器収納ボツクス
KR200246282Y1 (ko) 분통
KR200484234Y1 (ko) 보호덮개가 구비된 터미널블록
JP6961292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3713090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US9808058B1 (en) Contact lens package case
CN105826833A (zh) 住宅用配电盘
JP4614409B2 (ja) 回路遮断器収納箱
KR200390546Y1 (ko) 케이크 포장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