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263B1 -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 Google Patents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263B1
KR101702263B1 KR1020160027120A KR20160027120A KR101702263B1 KR 101702263 B1 KR101702263 B1 KR 101702263B1 KR 1020160027120 A KR1020160027120 A KR 1020160027120A KR 20160027120 A KR20160027120 A KR 20160027120A KR 101702263 B1 KR101702263 B1 KR 101702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retaining wall
pocket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주
기호석
Original Assignee
권태주
기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주, 기호석 filed Critical 권태주
Priority to KR1020160027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01G1/00
    • A01G9/1013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및 이를 위한 블록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은: 좌우로 배열되고,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블록과,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블록의 뒷채움재에 함유된 수분을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RETAINING WALL FOR INCREASING DRAINAGE AND SELF IRRIGATION}
본 발명은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및 이를 위한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 지반 개량의 용도로 사용되는 PVD 공법(Prefabricated Vertical Drainage)의 수직 배수판을 블록식 옹벽에 수평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함수율이 높은 점토질 토사를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과도한 수압 축적을 해소시켜 옹벽 벽체의 배부름현상이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하고, 초목류 식생이 가능한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및 이를 위한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란, 배후토사의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절개지의 안내면에 타 구조물의 건설을 위한 대지의 조성, 용수로나 하천 부근에서 붕괴의 주원인이 되는 토사 유출의 방지, 아파트 단지 조경 조성, 사면의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한 목적으로 다수의 블록들을 좌우방향으로 접촉 또는 결합하고 상하로 적층하여 시공한다.
이러한 옹벽은 구 구조에 있어 콘크리트 등의 재질에 의해 일체형으로 시공되는 일체식과, 블록 등의 재료에 의해 축조방식으로 시공되는 조적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나, 최근에는 대량 생산으로 규격화된 블록을 이용하여 비교적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노출되는 외관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블록을 이용한 조적식 시공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38298호(2007.04.10, 발명의 명칭 : 블록 옹벽 구조물)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함수율이 높은 점토질 토사를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과도한 수압 축적을 해소시켜 옹벽 벽체의 배부름현상이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및 이를 위한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식생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고, 편리한 유지 관리를 할 수 있는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및 이를 위한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식생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식생공간에 구비되고, 토사와 종자가 구비되는 식생부 및 상기 식생부의 이탈을 방지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부는 상기 식생공간에 결합되고, 토사가 수용되는 포켓부 및 상기 포켓부에 구비되고, 종자가 구비되는 식생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켓부는 전면과 상부가 개구되는 케이스로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의 하부에는 수분을 보관할 수 있는 저수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켓부의 전면에는 상기 식생매트가 결합되는 식생매트 삽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공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턱 및 상기 이탈방지턱에 접촉되도록 상기 포켓부의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은: 좌우로 배열되고,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블록과, 상기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블록의 뒷채움재에 함유된 수분을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은 식생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식생공간에 구비되고, 토사와 종자가 구비되는 식생부 및 상기 식생부의 이탈을 방지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부는 상기 식생공간에 결합되고, 토사가 수용되는 포켓부 및 상기 포켓부에 구비되고, 종자가 구비되는 식생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블록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에 하단부 삽입되고, 상기 블록의 상단에 위치한 블록의 식생공간에 상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의 상단부에는 경사조절링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조절링의 직경에 따라 적층되는 상기 블록의 경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블록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는 배수홈부 및 상기 배수홈부에 안착되고, 상기 블록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배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및 이를 위한 블록은 함수율이 높은 점토질 토사를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뒷채움재에 포함된 수분을 배수할 수 있어 과도한 수압 축적을 해소시킴으로써, 옹벽의 배부름 현상이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을 위한 토사가 포켓부에 구비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뒷채움재에서 배수되는 물을 포켓부에 공급함으로써, 식생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켓부의 하부에 저수조가 형성되어 축적된 수분을 보관하고 조절할 수 있어 식생에 보다 좋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그재그 형태로 축조되는 블록이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축조가 용이하고, 견고한 옹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고정핀에 구비되는 경사조절링에 의해 옹벽의 전면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C-C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경사조절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변형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및 이를 위한 블록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B-B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C-C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경사조절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변형예이다.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10)은 복수개의 블록(100), 연결부재(200) 및 배수부(300)를 포함한다.
블록(100)은 몸체(110), 식생부(120) 및 이탈방지부(13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식생공간(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10)에는 토사가 채워지는 별도의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식생공간(115)은 몸체(110)의 전면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식생공간(115)에는 식생부(120)가 구비된다. 식생부(120)는 토사와 종자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식생공간(115)에 결합되고, 토사가 수용되는 포켓부(122) 및 포켓부(122)에 구비되고 종자가 구비되는 식생매트(125)를 포함한다. 포켓부(122)는 전면과 상부가 개구되는 케이스로 형성된다. 그리고, 포켓부(122)의 하부에는 수분을 보관할 수 있는 저수조(123)가 형성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23)는 포켓부(122)의 바닥면에서 약 2~3cm까지 사방이 막혀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축적된 수분을 보관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식생매트(125)는 포켓부(122)에 수용되는 토사의 유출을 막도록 포켓부(122) 내측 전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식생매트(125)는 종자가 구비되는 폴리에스터 장섬유 필라멘트(FILAMENT)를 웹조직의 그물형태로 제조한 PET부직포 망사, 황마 섬유를 네트형태로 제조한 쥬트네트 망사, 코코넛 원사를 네트형태로 제조한 코아네트 망사 등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식생매트(125)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포켓부(122)의 전면에는 식생매트(125)가 결합되는 식생매트 삽입부(124)가 구비된다. 이때, 포켓부(122)의 전면에는 그릴이 형성되어 식생매트(125)의 배불림현상을 방지하고, 식생매트 삽입부(124)는 포켓부(122)의 전면에서 식생매트(125)의 두께만큼 이격되는 복수개의 지지바로 형성된다.
이탈방지부(130)는 식생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몸체(110)에 형성되어 식생공간(115)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턱(132) 및 이탈방지턱(132)에 접촉되도록 포켓부(122)의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단(134)을 포함한다. 따라서, 포켓부(122)는 식생공간(115)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전면이 노출된다.
이러한 블록(100)은 좌우로 배열되고,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옹벽(1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100)의 적층시에는 연결부재(20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즉,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0)은 이웃하는 상하단이 서로 엇갈리게 적층되게 되는데, 연결부재(20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블록(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홀(210) 및 고정홀(210)에 하단부가 삽입되고, 블록(100)의 상단에 위치한 블록(100)의 식생공간(115)에 상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핀(220)을 포함한다. 이때, 식생공간(115)에 구비되는 포켓부(122)는 쇄기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포켓부(122)의 뒷면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고정핀(220)의 상단부가 식생공간(115)에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고정핀(220)의 상단부에는 경사조절링(230)이 구비된다. 경사조절링(230)은 직경에 따라 적층되는 블록(10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조절링(230)의 직경이 커지면,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100)이 후퇴축조될 수 있다.
고정핀(220)에 구비되는 경사조절링(230)은 별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고정핀(220)과 경사조절링(230)은 폴리머 재질로 압출 후에 절단하여 제작하거나 사출 성형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배수부(300)는 블록(100)의 뒷채움재에 포함된 수분을 배수할 수 있다. 이는 과도한 수압 축적을 해소시켜 옹벽 벽체의 배부름 현상이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수부(300)는 뒷채움재에 존재하는 수분은 식생공간(115)으로 배수되어 포켓부(122)의 토사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배수부(300)는 블록(100)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는 배수홈부(310) 및 배수홈부(310)에 안착되고, 블록(100)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배수판(320)을 포함한다. 배수판(320)은 길이방향으로 골이 있는 폴리머 재질의 판재(322) 및 판재(322)에 부착되는 흡수부재(324)를 포함한다.
한편, 이러한 배수부(300)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블럭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및 이를 위한 블록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10)의 축조방법을 살펴보면, 설치 바닥면에 대해 복수개의 블록(100)을 설치하여 베이스단을 형성한다. 이후, 베이스단에 위치한 각 블록(100)의 식생공간(115)에 식생부(120)를 결합한다. 식생부(120)는 포켓부(122)의 식생매트 삽입부(124)에 종자가 수용된 식생매트(125)를 결합한 후, 포켓부(122) 내부에 토사를 수용시켜 형성한다. 이처럼 형성된 식생부(120)는 식생공간(115)에 결합된다. 식생공간(115)에 결합된 포켓부(122)는 이탈방지부(13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이탈방지턱(132)과 포켓부(122)의 지지단(134)이 상호 접하므로 포켓부(122)는 전면으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식생공간(115)에 구비된 식생부(120)에 물 공급이 원활하도록 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수홈부(310)에 배수판(320)이 안착된다.
상기한 상태의 베이스단 상부에는 블록(100)이 적층되어 다음 단을 형성하고, 다음 단의 블록(100)에 식생부(120)와 배수부(30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부로 블록(100)을 지그 재그로 적층시키고, 블록(100)의 적층에 맞추어 블록(100)의 후측에는 뒷채움재가 포설되고 다져져 옹벽(1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 형상의 식생부(120)를 몸체(110)의 식생공간(115)에 삽입하는 단순한 공정에 의해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의 블록(100)은 연결부재(200)에 의해 연결되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즉, 적층시 하단의 블록(100)에 형성된 고정홀(210)에 고정핀(220)을 삽입하고, 고정핀(220)의 상단은 상측의 블록(100)의 식생공간(115)에 수용됨으로써, 상하단의 블록(10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블록(100)은 지그재그 방향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어 견고한 옹벽(10)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는 블록(100)은 고정핀(220)에 구비되는 경사조절링(230)에 의해 블록(100)의 적층 경사가 조절될 수 있다. 이는 경사조절링(230)의 직경에 따라 적층되는 상측의 블록(100)이 수직으로 또는 후퇴되어 축조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블록과 블록(100)을 혼합하여 적층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의 옹벽(10)을 형성할 수 있다.
옹벽(10)의 후방의 뒷채움재에 존재하는 수분은 배수부(300)에 의해 식생공간(115)에 구비되는 포켓부(122)의 토사로 전달될 수 있다. 이는 자연상태와 동일하게 계절에 맞는 물의 공급을 보장할 수 있어 식생에 보다 좋은 환경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뒷채움재가 양호한 현장에서는 물공급이 원활하므로 배수판(320)이 제거될 수도 있다. 또한, 이처럼 전달된 수분은 포켓부(12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저수조(123)에 의해 보관되고, 조절될 수 있어 식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뒷채움재가 점토질인 경우에는 물의 유무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하게 되므로 철저한 배수관리가 필요하게 되는데, 배수부(300)에 의해 이를 관리할 수 있어 과도한 수압의 축적 및 점토의 팽창에 의하여 배부름 현상이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및 이를 위한 블록에 의하면, 함수율이 높은 점토질 토사를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뒷채움재에 포함된 수분을 배수할 수 있어 과도한 수압 축적을 해소시킴으로써, 옹벽의 배부름 현상이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식생을 위한 토사가 포켓부에 구비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뒷채움재에서 배수되는 물을 포켓부에 공급함으로써, 식생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옹벽 110 : 블록
110 : 몸체 115 : 식생공간
120 : 식생부 122 : 포켓부
123 : 저수조 124 : 식생매트 삽입부
125 : 식생매트 130 : 이탈방지부
132 : 이탈방지턱 134 : 지지단
200 : 연결부재 210 : 고정홀
220 : 고정핀 230 : 경사조절링
300 : 배수부 310 : 배수홈부
320 : 배수판 322 : 판재
324 : 흡수부재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좌우로 배열되고,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블록과, 상기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블록의 뒷채움재에 함유된 수분을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식생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식생공간에 구비되고, 토사와 종자가 구비되는 식생부 및 상기 식생부의 이탈을 방지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생부는 상기 식생공간에 결합되고, 토사가 수용되는 포켓부; 및
    상기 포켓부에 구비되고, 종자가 구비되는 식생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는 전면과 상부가 개구되는 케이스로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의 하부에는 수분을 보관할 수 있는 저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블록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는 배수홈부; 및
    상기 배수홈부에 안착되고, 상기 블록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배수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판은 길이방향으로 골이 있는 폴리머 재질의 판재; 및
    상기 판재에 부착되는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블록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에 하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블록의 상단에 위치한 블록의 식생공간에 상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포켓부는 상기 고정핀의 상단부가 상기 식생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뒷면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의 상단부에는 경사조절링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조절링의 직경에 따라 적층되는 상기 블록의 경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11. 삭제
KR1020160027120A 2016-03-07 2016-03-07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KR101702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20A KR101702263B1 (ko) 2016-03-07 2016-03-07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20A KR101702263B1 (ko) 2016-03-07 2016-03-07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263B1 true KR101702263B1 (ko) 2017-02-03

Family

ID=5815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120A KR101702263B1 (ko) 2016-03-07 2016-03-07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2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078B1 (ko) * 2006-10-18 2007-08-27 (주)금오물산 옹벽블럭
KR101029317B1 (ko) * 2010-09-10 2011-04-13 진흥콘크리트(주) 옹벽용 식생블록
KR20110114223A (ko) * 2010-04-13 2011-10-19 고두헌 상하좌우방의 입체 배수 보드
KR101337425B1 (ko) * 2012-12-31 2013-12-06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녹화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078B1 (ko) * 2006-10-18 2007-08-27 (주)금오물산 옹벽블럭
KR20110114223A (ko) * 2010-04-13 2011-10-19 고두헌 상하좌우방의 입체 배수 보드
KR101029317B1 (ko) * 2010-09-10 2011-04-13 진흥콘크리트(주) 옹벽용 식생블록
KR101337425B1 (ko) * 2012-12-31 2013-12-06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녹화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6812C (en) Retaining wall
US6663323B1 (en) Retaining wall block and drainage system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1079737B1 (ko) 배후토사의 저수조를 구비한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KR100900478B1 (ko) 고정바를 갖는 식생매트 및 시공방법
KR101678127B1 (ko) 토목용 블록
KR101702263B1 (ko) 배수 활성화와 자체 급수가 가능한 옹벽
CN108951543B (zh) 采用底泥原位处理构建生态护岸的方法
KR101201529B1 (ko) 친환경 식생 게비온 및 이를 이용한 사면처리 공법
US6371700B1 (en) Retaining wall system
KR101365658B1 (ko) 토낭 받침대
JP5816420B2 (ja) 擁壁構築用貯水ブロック
KR101060271B1 (ko) 사태막이 구조물
KR100695659B1 (ko) 상습 침수지 호안블럭 상면의 식생구조
CN114809036A (zh) 一种预制装配式高防水生态护坡施工方法
KR101124639B1 (ko) 식생블록
KR101818562B1 (ko) 식생이 용이한 보강토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05407B1 (ko)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KR102403019B1 (ko) 드레인 보드 구조체
JP5032824B2 (ja) 装飾用植栽装置
JP2007077771A (ja) 緑化擁壁ブロック
KR102036903B1 (ko) 지지력이 좋은 토사유출 방지구
KR102681075B1 (ko) 담장형 식생 블럭
KR102602839B1 (ko) 식생토낭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