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196B1 - 전기실 - Google Patents
전기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2196B1 KR101702196B1 KR1020147016351A KR20147016351A KR101702196B1 KR 101702196 B1 KR101702196 B1 KR 101702196B1 KR 1020147016351 A KR1020147016351 A KR 1020147016351A KR 20147016351 A KR20147016351 A KR 20147016351A KR 101702196 B1 KR101702196 B1 KR 1017021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room
- electric
- room
- pressure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전기 설비로서 예를 들면 스위치 기어(1)가 수용되며, 스위치 기어(1)의 전면(前面)측에 보수 점검용 메인터넌스 스페이스(10)를 가지는 전기실로서, 스위치 기어(1)의 상부에, 스위치 기어(1)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 및 스위치 기어(1)의 내부 단락 사고시에 발생하는 고온·고압 가스의 통기 경로가 되는 방열·방압 스페이스(11)를 가지고, 메인터넌스 스페이스(10)와 방열·방압 스페이스(11)가 칸막이판(12)으로 구획되고, 방열·방압 스페이스(11)로부터 전기실 하우징(8)의 외부로 개구하는 전기실 배기구(15)가 마련되며, 전기실 배기구(15)에는, 상시 외부와 연통한 환기구와, 고온·고압 가스의 발생시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전기실 방압판(16)을 구비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 등의 전기 설비를 수용하는 전기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기실의 방열 및 방압(放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기어 등의 전기 설비가, 구획된 실내에 수용된 패키지식 전기실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전기실에 수용되는 전기 설비는, 사용시에 열을 발생하므로 그 열을 외부로 방출할 필요가 있다. 복수의 배전반을 늘어 놓아 열반(列盤) 구성한 전기 설비를 냉각하는 종래의 냉각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한 쌍의 배전반의 사이로 하우징을 개재시키고, 쌍을 이루는 상기 배전반의 각각과 하우징을 연결시키는 흡기구를 케이스의 하부에 마련함과 아울러 배기구를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하고, 흡기구를 가지는 흡기실과 배기구를 가지는 배기실에 격벽으로 하우징을 구획하며, 흡기실의 천장부에는 흡기 덕트를 접속하고, 배기실의 천장부에는 배기 덕트를 접속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덕트에 의한 흡배기 구조를 패키지식 전기실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덕트의 제작 비용이 소요되는데 더하여 덕트 단말의 개구부로부터의 빗물 침입 대책 등도 필요하게 되어 설치 공사비가 증가하는 등, 설비 전체의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스위치 기어 등의 전기 설비에서는, 내부 단락 사고 발생시의 압력 상승 대책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통상은, 스위치 기어 등의 전기 설비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천장부에 방압판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방압 대책을 패키지식 전기실에 적용하려고 하면, 전기 설비의 케이스의 천장부로부터 전기실의 외부로 통하는 방압용 덕트를 마련하고, 방압용 덕트의 전기실 출구측에 방압판을 마련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이 경우, 방압용 덕트만으로는 통상 운전시의 환기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전기실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특허 문헌 1과 같은 흡배기 구조를 겸비하는 구조로 하던지, 에어컨 등의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실 내를 냉각할 필요가 있다. 덕트 구조를 채용하면 상기와 같이 비용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기실 전체를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하는 경우에는 상응하는 냉각 용량의 냉각 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또, 냉각 장치의 고장 등에 의해 전기실의 온도가 상승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패키지식 전기실에서, 수용하는 전기 설비에서 발생하는 열의 배기와 내부 사고 발생시의 방압을, 간단한 구성으로 행할 수 있는 전기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실은, 전기실 하우징의 내부에 전기 설비가 수용되며, 전기 설비의 전면(前面) 외측에 작업원이 들어가 전기 설비의 보수 점검을 행하는 보수 점검용 메인터넌스(maintenance) 스페이스를 가지는 전기실로서, 전기 설비는 케이스를 가지고 전기 설비의 케이스의 상부에, 전기 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 및 전기 설비의 내부 단락 사고시에 발생하는 고온·고압 가스의 통기 경로가 되는 방열·방압 스페이스를 가지고, 메인터넌스 스페이스와 방열·방압 스페이스가 칸막이판으로 구획되고, 방열·방압 스페이스로부터 전기실 하우징의 외부로 개구하는 전기실 배기구가 마련되며, 전기실 배기구에는, 상시(常時) 외부와 연통한 환기구와, 고온·고압 가스의 발생시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전기실 방압판을 구비하고, 전기 설비의 케이스의 하부에 흡기구를 가지며, 흡기구에 대향하는 전기실 하우징의 벽면에 외기를 받아들이는 전기실 흡기구가 더 마련되고, 전기실 흡기구에는, 고온·고압 가스의 발생시의 압력에 의해 전기실 흡기구를 닫는 셔터가 마련되며, 통상시에는 전기실 흡기구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고온·고압 가스의 발생시에는 상기 셔터에 의해 상기 전기실 흡기구를 닫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실에 의하면, 메인터넌스 스페이스와 방열·방압 스페이스가 칸막이판으로 구획되고, 방열·방압 스페이스로부터 전기실 하우징의 외부로 개구하는 전기실 배기구가 마련되며, 전기실 배기구에는, 상시 외부와 연통한 환기구와, 고온·고압 가스의 발생시에 고압에 의해 개방되는 전기실 방압판을 구비하고, 전기 설비의 케이스의 하부에 흡기구를 가지며, 흡기구에 대향하는 전기실 하우징의 벽면에 외기를 집어넣는 전기실 흡기구가 더 마련되고, 전기실 흡기구에는, 고온·고압 가스의 발생시의 압력에 의해 전기실 흡기구를 닫는 셔터가 마련되며, 통상시에는 전기실 흡기구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고온·고압 가스의 발생시에는 상기 셔터에 의해 상기 전기실 흡기구를 닫도록 한 것이므로, 통상 운전시는 전기실 흡기구로부터 외기를 받아들여 환기구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자연 대류에 의한 환기에 의해 전기 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도록 환기 설계를 행함으로써, 냉각 장치, 환기 장치를 마련하지 않고 전기 설비의 통상 운전이 가능해진다. 또, 메인터넌스 스페이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전기실에 냉각 장치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냉각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전기실의 방압 구조를 저가로 구성할 수 있고, 전기 설비의 내부 단락 사고시에는 셔터에 의해 전기실 흡기구를 닫고, 전기 설비의 케이스의 상부의 방열·방압 스페이스의 전기실 배기구에 마련된 전기실 방압판을 열어, 고온·고압 가스를 전기실의 외부로 방출하여 작업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전기실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전기실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기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전기실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기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전기실의 천장 개구부와 방압판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전기실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기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전기실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기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전기실의 천장 개구부와 방압판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전기실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전기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원 발명의 전기실은, 전기실 하우징의 내부에 복수의 전기 설비가 늘어 놓아 배치되며, 전기 설비의 전면(前面)측에 보수 점검용 메인터넌스(maintenance) 스페이스를 가지는 패키지식 전기실이다. 전기 설비의 예로서, 이하에서는 배전반 을 늘어 놓아 배치된 스위치 기어로 설명한다.
이에, 먼저, 스위치 기어의 구성으로부터 설명한다. 스위치 기어(1)는, 스위치 기어 케이스(1a)의 내부가, 인출형 차단기가 수용된 차단기실(2)과, 차단기의 일단측에 접속되는 모선(母線)이 수용된 주모선실(3)과, 차단기의 타단측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수용된 케이블실(4)과, 제어 기기가 수용된 제어기실(5)로 구획되어 있다.
스위치 기어(1)는, 도 1의 방향에서 볼 때 좌측이 전면측이며, 개폐 도어가 마련되고, 계기류나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다.
차단기실(2), 주모선실(3), 케이블실(4)의 천장부측에는, 내부 단락 사고시 등에 개방됨으로써 고온·고압 가스를 스위치 기어(1)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압판(6)이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방압판(6)은, 내부 단락 사고 발생 등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통상 운전시에는 수평 방향으로 닫혀져 있다.
이 방압판(6)에는, 환기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으며, 통상 운전시에 스위치 기어(1) 내부로부터 발열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환기구는, 예를 들면 복수의 작은 구멍이나 슬릿(sli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기구에 필터를 마련해 두어도 좋다.
또, 스위치 기어 케이스(1a)의 배면측 하부에는, 흡기구(7)가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 기어(1)를 수용하는 전기실 하우징(8)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관은 직방체 모양의 컨테이너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강철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제조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전기실 하우징(8)의 내부의 짧은 방향의 일 측면에, 복수의 스위치 기어(1)가 전기실 하우징(8)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 놓아져, 배치되어 있으며, 짧은 방향의 타방측의 공간, 즉 스위치 기어(1)의 전면측 공간은, 작업원(9)이 전기 설비의 보수 점검을 행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스페이스(10)로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기어(1)의 배면측은 전기실 하우징(8)의 벽면에 근접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배전반을 늘어 놓아 배치된 스위치 기어(1)의 상부의 공간은, 스위치 기어(1) 내에서 따뜻해진 공기나 내부 사고시에 방출되는 고온·고압 가스의 통기 경로가 되는 방열·방압 스페이스(11)로 되어 있다.
여기서, 스위치 기어(1)의 전면측 상부와 전기실 하우징(8)의 천장부와의 사이에, 메인터넌스 스페이스(10)와 방열·방압 스페이스(11)를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판(12)을 마련하고 있다.
게다가, 스위치 기어(1)의 배면측의 전기실 하우징(8)의 벽면에는, 그 하부측에서 스위치 기어(1)의 흡기구(7)에 대향하는 위치에, 전기실 흡기구(13)가 마련되어 있다.
전기실 흡기구(13)의 외부측은, 예를 들면, 루버(louver, 13a)가 마련되어,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측에는, 스위치 기어(1)측으로부터의 가스압에 의해 닫혀지는 셔터(14)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전기실 흡기구(13)가 마련된 전기실 하우징(8) 측면의 상부측에는, 방열·방압 스페이스(11) 내의 따뜻해진 공기를 전기실 하우징(8)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전기실 배기구(15)가 마련되며, 전기실 배기구(15)에는, 스위치 기어(1)의 내부 단락 사고 등으로 발생하는 고온·고압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전기실 방압판(16)을 구비하고 있다. 전기실 방압판(16)은, 통상 운전시는 닫혀져 있으므로, 통상 운전시의 배열(排熱)·통기를 위한 환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전기실 방압판(16)에 마련되어 있다. 이 환기구는, 예를 들면 복수의 작은 구멍이나 슬릿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환기구에는 필터를 마련해도 좋다. 게다가, 환기구에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조치도 취해져 있다. 또한, 환기구는 반드시 전기실 방압판(16)에 마련할 필요는 없으며, 전기실 방압판(16)과는 별개로 전기실 배기구(15)에 마련해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실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는, 스위치 기어(1)의 내부 기기는 통전(通電)에 의해 발열하므로, 전기실 하우징(8) 하부의 전기실 흡기구(13) 및 스위치 기어(1)의 흡기구(7)를 통해서 외기가 받아 들여지며, 도 1 중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경로를 따라, 스위치 기어(1)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따뜻해진 공기는 스위치 기어 케이스(1a)의 천장부에 마련한 방압판(6)의 환기구로부터 방열·방압 스페이스(11)로 배출된다. 통상 운전시는 전기실 배기구(15)에 마련한 전기실 방압판(16)은 닫혀져 있으므로, 따뜻해진 공기는, 방열·방압 스페이스(11)로부터 전기실 방압판(16)에 형성되어 있는 환기구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만약, 스위치 기어(1)의 내부에서 단락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순식간에 고온·고압 가스가 발생한다. 이 고온·고압 가스에 의한 압력 상승에 의해, 하부측의 전기실 흡기구(13)는 셔터(14)가 화살표 쪽으로 회동하여 닫혀지고, 스위치 기어(1)의 천장측의 방압판(6)이, 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려, 고온·고압 가스는 방열·방압 스페이스(11)로 배출되고, 게다가, 전기실 방압판(16)이 개방되어, 전기실 배기구(15)로부터 고온·고압 가스가 전기실 하우징(8)의 외부로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 기어(1)의 배면측을 전기실 하우징(8)의 일방의 측벽에 접근시켜 배치하고, 그 측벽측에 흡기구와 배기구를 마련했으므로, 흡배기용 덕트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하게 흡배기를 할 수 있다.
도 2의 사시도에서, 우측의 전기실 방압판(16)은, 단락 사고 등이 발생하여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른 2개소의 전기실 방압판(16)은 통상 운전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방열·방압 스페이스(11)와 메인터넌스 스페이스(10)를 구획하는 칸막이판(12)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통상 운전시에서 스위치 기어(1) 내부에서 따뜻해진 공기가 메인터넌스 스페이스(10)로 돌아서 들어가지 않는다. 통상 운전시는 환기구에 의해 환기되기 때문에, 자연 대류에 의한 환기에 의해 전기 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도록 환기 설계를 행함으로써, 냉각 장치, 환기 장치를 마련하지 않고 전기 설비의 통상 운전이 가능해진다. 또, 메인터넌스 스페이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전기실에 냉각 장치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냉각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단락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칸막이판(12)이 있으므로, 고온·고압 가스가 메인터넌스 스페이스(10)로 방출되지 않아, 작업원(9)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전기실의 내부 구성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면의 배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스위치 기어(1)는 도 1의 구성과 다른 경우도 있다. 게다가, 전기 설비는 스위치 기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컨트롤 기어나 변압기 등이 수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점은 이하의 실시 형태의 전기실에서도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의 전기실에 의하면, 전기실 하우징의 내부에 전기 설비가 수용되며, 전기 설비의 전면 외측에 작업원이 들어가 전기 설비의 보수 점검을 행하는 보수 점검용 메인터넌스 스페이스를 가지는 전기실로서, 전기 설비의 상부에, 전기 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 및 전기 설비의 내부 단락 사고시에 발생하는 고온·고압 가스의 통기 경로가 되는 방열·방압 스페이스를 가지고, 메인터넌스 스페이스와 방열·방압 스페이스가 칸막이판으로 구획되고, 방열·방압 스페이스로부터 전기실 하우징의 외부로 개구하는 전기실 배기구가 마련되며, 전기실 배기구에는, 상시 외부와 연통한 환기구와, 고온·고압 가스의 발생시에 고압에 의해 개방되는 전기실 방압판을 구비하고, 전기 설비의 케이스의 하부에 흡기구를 가지며, 흡기구에 대향하는 전기실 하우징의 벽면에 외기를 받아들이는 전기실 흡기구가 마련되고, 전기실 흡기구에는, 고온·고압 가스의 발생시의 압력에 의해 전기실 흡기구를 닫는 셔터가 마련되며, 통상시에는 전기실 흡기구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고온·고압 가스의 발생시에는 상기 셔터에 의해 상기 전기실 흡기구를 닫도록 한 것이므로, 통상 운전시는 전기실 흡기구로부터 외기를 받아들여 환기구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자연 대류에 의한 환기에 의해 전기 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도록 환기 설계를 행함으로써, 냉각 장치, 환기 장치를 마련하지 않고 전기 설비의 통상 운전이 가능해진다. 또, 메인터넌스 스페이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전기실에 냉각 장치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냉각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전기실의 방압 구조를 저가로 구성할 수 있고, 전기 설비의 내부 단락 사고시에는 셔터에 의해 전기실 흡기구를 닫고, 전기 설비의 케이스의 상부의 방열·방압 스페이스의 전기실 배기구에 마련된 전기실 방압판을 열어, 고온·고압 가스를 전기실의 외부로 방출하여 작업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전기실 하우징은 직방체 모양이며, 복수의 전기 설비가 전기실 하우징의 내부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 놓아지고, 또한, 짧은 방향의 일방의 측면에 가깝게 배치되며, 짧은 방향의 타방의 측면과 전기 설비와의 공간을 메인터넌스 스페이스로 한 패키지식 전기실로 했으므로, 상기 효과를 가지는 컴팩트한 전기실을 저가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3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전기실의 측면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의 도 1과 동등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도 4는, 도 3의 전기실의 외관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1과의 차이점은, 전기실 배기구의 구조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실 배기구(15)에는,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양이 되는 차양형 천장(17)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차양형 천장(17)의 하면측에 전기실 방압판(18)을 마련하고 있다. 전기실 방압판(18)은,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통상 운전시의 방열을 위한 환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통상 운전시에는 수평 방향으로 닫혀져 있다.
여기서 전기실 배기구(15)에는, 필터 등을 장착하여, 작은 동물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과 같은 대책을 실시해도 좋다.
통상 운전시에는, 도 3 중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경로를 따라, 전기실 흡기구(13)로부터 스위치 기어(1)의 흡기구(7)를 통해서 외기가 받아 들여지며, 전기실 배기구(15)의 전기실 방압판(18)에 마련한 환기구로부터 배출되어 환기된다.
스위치 기어(1)의 내부에서 단락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는, 스위치 기어(1)의 방압판(6) 및 전기실 방압판(18)이 가스압에 의해 개방되어, 고온·고압 가스가 전기실의 외부로 방출된다.
도 4의 사시도에서, 좌측의 전기실 방압판(18)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의 전기실 배기구(15)는 통상 운전시의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2의 전기실에 의하면, 전기실 배기구는 전기실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고, 전기실 배기구의 외부측에,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양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실시 형태 1의 효과에 더하여, 전기실 배기구에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5는, 실시 형태 3에 의한 전기실의 측면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의 도 1과 동등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전기실의 외관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또, 도 7은, 도 5의 전기실 배기구를 구성하는 통 모양부, 및 방압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1과의 차이점은, 전기실 배기구의 구조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전기실 배기구(19)는, 스위치 기어(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기실 하우징(8)의 천장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기실 배기구(19)에는, 천장부로부터 더 상부로 굴뚝 형상으로 돌출하고, 상부로 개구한 통 모양부(20)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개구를 상면으로부터 덮도록, 전기실 방압판(21)이 마련되며, 전기실 방압판(21)은, 전기실 하우징(8)의 천장 외면에 연결 부재(22)로 연결되어 계지(繫止, 붙들어 매어 놓음)되어 있다. 연결 부재(22)는, 예를 들면, 신축하는 끈과 같은 것이라도 좋고, 스프링이나 체인과 같은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 힌지 구조로 해도 좋다.
도 7의 부품도에 의해, 통 모양부(20)와 전기실 방압판(21)을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통 모양부(20)는, 상면이 수평 방향 외측으로 열린 플랜지(20a)를 가지며, 측면의 상부측에는 환기구(20b)가 형성되어 있다. 환기구(20b)는, 도면에서는 복수의 슬릿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복수의 둥근 구멍으로 구성해도 좋다.
전기실 방압판(21)은, 그 주위를 수직 하부로 접어 구부려 형성한 레인 커버(21a)를 가지고 있다. 레인 커버(21a)는, 빗물이 통 모양부(20)의 개구부나 환기구(20b)로부터 전기실 내(內)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또, 강한 횡풍(橫風)을 맞았을 때, 전기실 방압판(21)이 강풍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전기실 배기구(19)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스위치 기어(1) 내부의 전기 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는, 도 5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경로로, 전기실 배기구(19)의 통 모양부(20)의 환기구(20b)로부터 전기실의 밖으로 배출된다.
내부 단락 사고 발생시에는, 가스압에 의해 전기실 방압판(21)이 상부로 개방되고, 통 모양부(20)의 플랜지(20a) 상면과 전기실 방압판(21) 하면과의 사이에 생긴 공극부로부터, 고온·고압 가스가 전기실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 전기실 방압판(21)은 연결 부재(22)에 의해 전기실 하우징(8)의 천장부에 계지되어 있으므로 비산(飛散)하지는 않는다.
도 6의 사시도에서, 좌측의 전기실 배기구(19)는, 통상 운전시에 전기실 방압판(21)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우측은 내부 단락 사고 발생시에 전기실 방압판(21)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3의 전기실에 의하면, 전기실 배기구는 전기실 하우징의 천장면에 형성되고, 천장면으로부터 외부 상부로 돌출하여 개구하는 통 모양부를 가지고, 통 모양부의 측면 상부에 환기구가 마련되고, 통 모양부의 상부로부터 개구를 덮도록, 외주에 레인 커버를 가지는 전기실 방압판이 씌워져 있으며, 내부 단락 사고시에는, 발생한 고온·고압 가스에 의해 전기실 방압판이 개방되어 고온·고압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했으므로, 고온·고압 가스가 전기실의 외부로 방출될 때에 윗방향을 향해 배출되기 때문에, 실시 형태 1의 효과가 얻어짐과 아울러, 실시 형태 1 및 2와 비교하면, 방출된 고온·고압 가스가 전기실 주위에 있는 사람에게 주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한다.
또, 전기실 방압판은, 연결 부재에 의해 전기실 하우징의 천장 외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전기실 방압판이 개방되었을 때에, 연결 부재에 의해 계지되도록 했으므로, 상기 효과에 더하여, 내부 단락 사고시에 전기실 방압판이 개방되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스위치 기어(전기 설비) 1a : 스위치 기어 케이스
2 : 차단기실 3 : 주모선실
4 : 케이블실 5 : 제어기실
6 : 방압판 7 : 흡기구
8 : 전기실 하우징 9 : 작업원
10 : 메인터넌스 스페이스 11 : 방열·방압 스페이스
12 : 칸막이판 13 : 전기실 흡기구
13a : 루버 14 : 셔터
15, 19 : 전기실 배기구 16, 18, 21 : 전기실 방압판
17 : 차양형 천장 20 : 통 모양부
20a : 플랜지 20b : 환기구
21a : 레인 커버 22 : 연결 부재
2 : 차단기실 3 : 주모선실
4 : 케이블실 5 : 제어기실
6 : 방압판 7 : 흡기구
8 : 전기실 하우징 9 : 작업원
10 : 메인터넌스 스페이스 11 : 방열·방압 스페이스
12 : 칸막이판 13 : 전기실 흡기구
13a : 루버 14 : 셔터
15, 19 : 전기실 배기구 16, 18, 21 : 전기실 방압판
17 : 차양형 천장 20 : 통 모양부
20a : 플랜지 20b : 환기구
21a : 레인 커버 22 : 연결 부재
Claims (5)
- 전기실 하우징의 내부에 전기 설비가 수용되며, 상기 전기 설비의 전면(前面) 외측에 작업원이 들어가서 상기 전기 설비의 보수 점검을 행하는 보수 점검용 메인터넌스(maintenance) 스페이스를 가지는 전기실로서,
상기 전기 설비는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전기 설비의 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전기 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 및 상기 전기 설비의 내부 단락 사고시에 발생하는 고온·고압 가스의 통기 경로가 되는 방열·방압(放壓) 스페이스를 가지고,
상기 메인터넌스 스페이스와 상기 방열·방압 스페이스가 칸막이판으로 구획되고,
상기 방열·방압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전기실 하우징의 외부로 개구하는 전기실 배기구가 마련되며,
상기 전기실 배기구에는, 상시(常時) 상기 외부와 연통한 환기구와, 상기 고온·고압 가스의 발생시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전기실 방압판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 설비의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흡기구를 가지며, 상기 흡기구에 대향하는 상기 전기실 하우징의 벽면에 외기를 받아들이는 전기실 흡기구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전기실 흡기구에는, 상기 고온·고압 가스의 발생시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전기실 흡기구를 닫는 셔터가 마련되며,
통상시에는 상기 전기실 흡기구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고온·고압 가스의 발생시에는 상기 셔터에 의해 상기 전기실 흡기구를 닫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실 하우징은 직방체 모양이며, 복수의 상기 전기 설비가 상기 전기실 하우징의 내부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 놓아지고, 또한, 짧은 방향의 일방의 측면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짧은 방향의 타방의 측면과 상기 전기 설비와의 공간을 상기 메인터넌스 스페이스로 한 패키지식 전기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실.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기실 배기구는 상기 전기실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기실 배기구의 외부측에,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양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실.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기실 배기구는 상기 전기실 하우징의 천장면에 형성되고, 상기 천장면으로부터 외부 상부로 돌출하여 개구하는 통 모양부를 가지고, 상기 통 모양부의 측면 상부에 환기구가 마련되며, 상기 통 모양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개구를 덮도록, 외주에 레인 커버(rain cover)를 가지는 전기실 방압판이 씌워져 있으며, 내부 단락 사고시에는, 발생한 상기 고온·고압 가스에 의해 상기 전기실 방압판이 개방되어 상기 고온·고압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기실 방압판은,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전기실 하우징의 천장 외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실 방압판이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계지(繫止, 붙들어 매어 놓음)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284692 | 2011-12-27 | ||
JPJP-P-2011-284692 | 2011-12-27 | ||
PCT/JP2012/076068 WO2013099393A1 (ja) | 2011-12-27 | 2012-10-09 | 電気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2918A KR20140092918A (ko) | 2014-07-24 |
KR101702196B1 true KR101702196B1 (ko) | 2017-02-03 |
Family
ID=4869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16351A KR101702196B1 (ko) | 2011-12-27 | 2012-10-09 | 전기실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837093B2 (ko) |
KR (1) | KR101702196B1 (ko) |
WO (1) | WO201309939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09291A2 (en) * | 2013-07-17 | 2015-01-22 | Schneider Electric USA, Inc. | Internal arc management and ventilation for electrical equipment |
JP5804223B1 (ja) * | 2014-02-28 | 2015-11-04 | 株式会社明電舎 | 閉鎖形配電盤 |
WO2016047411A1 (ja) * | 2014-09-24 | 2016-03-3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スイッチギヤ |
DE102014116473A1 (de) * | 2014-11-11 | 2016-05-12 |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 Lüftungsvorrichtung |
EP3386045B1 (en) * | 2015-12-02 | 2021-05-19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Gas-insulated switchgear |
JP6645836B2 (ja) * | 2016-01-12 | 2020-02-14 |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 開閉装置 |
CN105977831A (zh) * | 2016-06-23 | 2016-09-28 | 安徽富煌电控设备有限公司 | 一种ggd型低压开关柜 |
CN106253079A (zh) * | 2016-08-04 | 2016-12-21 | 安徽罗伯特科技股份有限公司 | 开关柜 |
JP6800705B2 (ja) * | 2016-11-09 | 2020-12-16 | 株式会社東芝 | 金属閉鎖型スイッチギヤ |
KR102466937B1 (ko) * | 2018-02-05 | 2022-11-14 | 엘에스일렉트릭(주) |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
KR20200038594A (ko) | 2018-10-04 | 2020-04-14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조립식 전기실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9145151U (ko) * | 1974-02-26 | 1974-12-14 | ||
JPS5612413U (ko) * | 1979-07-05 | 1981-02-02 | ||
JPS5661199A (en) * | 1979-10-23 | 1981-05-26 | Fujitsu Ltd | Electric eouipment container structure |
KR830000089Y1 (ko) * | 1979-12-20 | 1983-02-07 | 이마이 마사오 | 폐쇄배전반을 설치한 전기실의 안전장치 |
JPS59117212U (ja) * | 1983-01-26 | 1984-08-08 | 株式会社東芝 | 閉鎖配電盤 |
JPS6086014U (ja) * | 1983-11-21 | 1985-06-13 | 株式会社東芝 | 閉鎖配電盤 |
JPS60132108U (ja) * | 1984-02-14 | 1985-09-04 | 株式会社東芝 | 閉鎖配電盤 |
JPS62132609U (ko) | 1986-02-13 | 1987-08-21 | ||
JPH05191906A (ja) * | 1992-01-10 | 1993-07-30 | Fuji Electric Co Ltd | 屋外形配電盤の放圧装置 |
JPH09275609A (ja) * | 1996-04-01 | 1997-10-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ガス封入容器の放圧ダクト |
JP2004129464A (ja) * | 2002-10-07 | 2004-04-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閉鎖型配電盤 |
JP4906755B2 (ja) * | 2008-02-22 | 2012-03-2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ア |
-
2012
- 2012-10-09 WO PCT/JP2012/076068 patent/WO201309939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10-09 JP JP2013551509A patent/JP5837093B2/ja active Active
- 2012-10-09 KR KR1020147016351A patent/KR10170219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2918A (ko) | 2014-07-24 |
JPWO2013099393A1 (ja) | 2015-04-30 |
JP5837093B2 (ja) | 2015-12-24 |
WO2013099393A1 (ja) | 2013-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2196B1 (ko) | 전기실 | |
JP4979767B2 (ja) |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 |
CN109075542B (zh) | 用于电气设备的阻火过滤器 | |
US10375843B2 (en) | Switchgear exhaust assembly | |
CN203150958U (zh) | 一种具有散热结构的高压开关柜 | |
JP2017028766A (ja) |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 |
US9868003B2 (en) | Fire damper for ventilating fan | |
CN111095702B (zh) | 配电盘和电弧能量中断装置 | |
WO2017122565A1 (ja) | 開閉装置 | |
CN205016879U (zh) | 组装式散热配电箱 | |
JPWO2020100183A1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
CN213989825U (zh) | 一种带有清洁结构的高效散热型电气控制柜 | |
KR20150037799A (ko) | 이엠피 방호 캐비닛 | |
CN108023296A (zh) | 一种高压开关柜泄压装置 | |
JP4821858B2 (ja) | 機器の制御装置 | |
CN107611813A (zh) | 一种防潮防雨的电力箱 | |
JP2012005242A (ja) | 電力変換装置 | |
ES2883712T3 (es) | Unidad exterior de aparato de refrigeración | |
JP6128437B2 (ja)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
JP5944083B1 (ja) | スイッチギヤ | |
EP4084593A1 (en) | Fire shield for variable frequency drive enclosure | |
CN213151434U (zh) | 一种组合式新风机组控制柜 | |
JP2004129464A (ja) | 閉鎖型配電盤 | |
CN209992625U (zh) | 风电机组电网适应性测试装置 | |
JP2019054606A (ja) | 配電盤およびアークエネルギー遮断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