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135B1 -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2135B1 KR101702135B1 KR1020100132050A KR20100132050A KR101702135B1 KR 101702135 B1 KR101702135 B1 KR 101702135B1 KR 1020100132050 A KR1020100132050 A KR 1020100132050A KR 20100132050 A KR20100132050 A KR 20100132050A KR 101702135 B1 KR101702135 B1 KR 1017021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ubricant
- boss
- bucket
- shaft
- slide bea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4—Booms only for booms with cable suspension arrangements; Cable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암 선단의 보스부(101) 양측에 버킷의 연결부(104)가 축(10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축(105)과 접촉하는 보스부와 버킷의 내측에 제공되는 원통형의 슬라이드 베어링(111)과,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의 중앙부에 요홈 형태로서 형성된 윤활제 수용홈(110), 상기 보스부(101)와 버킷 연결부(104) 사이에 마찰에 의한 마모 방지를 위하여 배치되는 환형판 형태의 내마모성 심(shim:107), 및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축(105)과 보스부(101)의 접촉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111) 외측으로 심(107)과 인접한 단부에 더스트 씰(115)을 구비한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111,140)의 각각의 양측 단부들과 상기 더스트 씰(115) 사이에 윤활제 공급을 위한 보조 윤활제 저장소로서 윤활제 수용 공간부(120, 155)가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윤활제 수용부 형성에 따른 구조적인 약화를 초래하지 않고도 원활하게 축과 보스 및 버킷 연결부에 윤활제를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서 윤활막이 소실되지 않고, 마찰 및 마모 특성이 개선되며 급지 주기를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기의 암 선단부에 장착되는 버킷을 슬라이드가능하게 연결하는 관절부에서 윤활특성이 개선된 구조의 관절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에서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작업기의 암(1) 선단에 버킷(2)이 관절부 연결장치(3)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관절부 연결장치(3)의 힌지 구조의 예는 도 2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암(1) 선단의 보스부(4) 양측에 버킷의 연결부(5)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축(7)과, 상기 연결 축과 암 선단의 보스부(4)에 형성된 홀(8) 내측면 사이에 제공되는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서의 부싱(9), 외부로 부터 축과 암 선단 보스부(4)의 접촉운동면으로 빗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부싱의 외측에 제공되는 더스트 씰(10), 암의 보스부(4)와 버킷 연결부(5) 사이에 보강재(6)와 와셔 형태의 스토퍼(11)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관절부는 저속고하중하에서 요동운동을 경험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베어링의 회전축에 걸리는 마찰저항이 매우 크다. 저속 고하중 영역에서의 금속-금속간 접촉은 마모를 가속화시키는 특징이 있으며 마찰열에 의해 응착 마모를 일으켜 소음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베어링과 축의 계면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사용하는데, 유막 부족에 의한 마찰 및 마모 특성 저하를 막고자 주기적으로 윤활제를 공급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빈번한 윤활제의 공급은 급지 작업의 번거로움뿐만 아니라 장비 가동 시간의 저하를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윤활유를 함침하고 있는 소결체로 슬라이딩 베어링을 사용하거나, 습동면에 그리스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보스부(4)의 홀(8) 내측면에 그리스와 같은 윤활제 저장소(12)를 형성하여 급지 주기를 늘리면서도 습동면에 균일한 유막을 형성하기 위한 기술이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윤활제 저장소는 그루부나 딤플 형태로 형성되어 윤활제 공급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습동면을 돌아다니는 이물질이나 마찰 과정에서 발생된 마모분을 포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그루브와 딤플 형태의 유활제 저장소(12)는 공급과 이물질 수용은 내주면에 그 기능이 한정되어 있어 슬라이딩 베어링의 마모 특성 개선에 한계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습동면의 윤활막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윤활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그루브, 포켓, 딤플 등)의 면적과 개수를 늘리면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서의 부싱(9)과 축(7)의 접촉 면적 감소에 따른 접촉압력 상승으로 마찰 및 마모 특성 저하를 유발한다.
또한,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측 첨단부는 아래의 3가지 원인으로 열악한 마찰 및 마모 특성을 보인다.
- 장비 특성상, 그리스 형태의 윤활제를 축의 중심부 혹은 슬라이딩 베어링의 중심부에 형성된 그리스 홀에서 공급되며, 보스 중앙부에 형성된 윤활제 저장소로부터 가장 멀기 때문에 외측 첨단부는 윤활제 공급조건이 가장 열악하며 외부로 연결되어 있어 윤활제 유실이 있다. (도 2에서의 화살표 및 윤활제 저장소 위치 참조)
- 암-버킷 연결부는 작업과정에서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마모에 가장 취약한 부분이며, 더스트 씰의 밀봉력 저하로 유입된 이물질이 슬라이딩 베어링 습동면의 좁은 유격으로 인해 이동하지 못하고 머무르며 양끝단의 슬라이딩 베어링과 축의 마모를 유발한다.
- 구조상 작업중 발생하는 편하중이나 축의 굽힘변형에 의한 집중하중의 가능성이 가장 크기 때문에 슬라이딩 베어링의 양끝 첨단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은 면압이 작용한다.
따라서, 버킷과 암 선단부를 연결하는 관절부 연결장치에서의 마모 특성을 감안하여 윤활유 급지주기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도록 관절부 연결장치의 구조 개선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에서의 윤활유 공급 및 마모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베어링을 기준으로 양쪽 단부로 윤활제를 공급하여 급지주기를 연장하고, 더스트 씰과 슬라이딩 베어링 사이에 윤활제 저장소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더스트 씰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는 암 선단의 보스부 양측에 버킷의 연결부가 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축과 접촉하는 보스부와 버킷의 내측에 제공되는 원통형의 슬라이드 베어링과,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의 중앙부에 요홈 형태로서 형성된 윤활제 수용홈, 상기 보스부와 버킷 연결부 사이에 마찰에 의한 마모 방지를 위하여 배치되는 환형판 형태의 내마모성 심(shim), 및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축과 보스부의 접촉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 외측으로 심과 인접한 단부에 더스트 씰을 구비한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의 각각의 양측 단부들과 상기 더스트 씰 사이에 윤활제 공급을 위한 보조 윤활제 저장소로서 윤활제 수용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윤활제 수용 공간부는 슬라이드 베어링의 각각의 양측 단부들에서 더스트 씰을 향하여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연장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상기 윤활제 수용 공간부는 보스부의 홀 속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베어링의 외측 단부쪽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링부와 내마모성 디스크부재 또는 심과 보스부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판 형태의 내마모 부재로 이루어지고 원통형 슬라이드 베어링의 외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윤활제 수용 공간부의 폭 길이는 상기 버킷과 암 선단부 보스와 축의 구조적 안정성과 슬라이딩 베어링의 마찰 및 마모 특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암 선단부 보스의 전체 폭 길이의 4%와 3 - 25mm의 길이중에서 선택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윤활제 수용 공간부의 깊이는 윤활제 수용능력 및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슬라이딩 베어링 두께의 15~75%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암 선단부의 보스 좌우에 버킷의 연결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에서 이물질이 유입되기 쉬운 슬라이드 베어링의 양측 끝단부에 더스트 씰과 슬아이드 베어링 사이에 보조적인 윤활제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윤활제 수용부 형성에 따른 구조적인 약화를 초래하지 않고도 원활하게 축과 보스 및 버킷 연결부에 윤활제를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서 윤활막이 소실되지 않고, 마찰 및 마모 특성이 개선되며 급지 주기를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굴삭기에서 암 선단부에 버킷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버킷이 장착된 암 선단부에서의 관절부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2와 다른 종래의 관절부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 선단부 보스와 버킷의 결합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선단부 보스와 버킷의 결합부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장부와 플랜지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더스트 씰과 슬라이딩 베어링사이에 원통형 링을 도입하여 윤활제저장소를 형성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윤활 저장소 폭과 급지주기 향상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2는 도 1의 버킷이 장착된 암 선단부에서의 관절부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2와 다른 종래의 관절부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 선단부 보스와 버킷의 결합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선단부 보스와 버킷의 결합부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장부와 플랜지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더스트 씰과 슬라이딩 베어링사이에 원통형 링을 도입하여 윤활제저장소를 형성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윤활 저장소 폭과 급지주기 향상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선된 구조의 관절부 연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부 연결장치는 암 선단의 보스부(101) 양측에 버킷의 연결부(104)가 배치되고, 축(105)이 보스부(101)와 버킷 연결부(104)를 관통하여 끼워져 버킷 연결부(104)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버킷 연결부(104)와 보스부(101) 사이에 갭을 보정하고, 버킷 작동시 버킷 연결부와 보스부의 대향면의 마찰에 의한 마모 방지를 위하여 보스부(101)와 버킷 연결부(104) 사이에는 환형판 형태의 내마모성 심(shim:107)이 배치되고, 상기 심(107)의 외주면에는 O-링(108)이 제공되어 외부로 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암 선단의 보스부(101)에 형성된 축(105)용 홀(109)의 내측면에는 중앙부에 윤활제 수용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윤활제 수용홈(110)의 양측에는 각각 보스부(101)의 홀(109) 내측면과 축(105)의 사이에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원통형의 슬라이딩 베어링(111)이 배치됨으로써 중앙의 윤활제 수용홈(110)으로 부터 윤활제가 양측의 슬라이딩 베어링(111)으로 공급된다.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빗물이 축(105)과 보스부(101)의 접촉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111) 외측으로 심(107)과 인접한 단부에 더스트 씰(115)이 제공된다.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111)은 더스트 씰(115)을 향한 외측 단부에 연장부(112)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는 내경이 슬라이딩 베어링(111)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더스트 실(115)과 슬라이드 베어링(111) 사이에 슬라이드 베어링의 연장부(112)의 내측면과 축(105)과의 사이에 보조 윤활제 수용 공간부(120)가 암 선단부 보스부(101)의 홀(109) 중앙부에 형성되는 윤활제 수용홈(110)에 의한 윤활제 저장소에 더하여 보조 윤활제 저장소로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111)의 단부에 연장부(112)를 일체로 형성하는 대신에 별도의 원통형 링부재를 조립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윤활제 저장소로서 슬라이드 베어링의 연장부(112)에 의한 윤활제 수용 공간부(120)에서 윤활제가 공급됨으로써, 종래 보스부(101)의 홀(109) 중앙부에 형성되는 윤활제 수용홈(110)의 윤활제가 슬라이드 베어링의 외측 단부까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함에 따른 슬라이드 베어링의 양끝단에서 축과의 마모가 유발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일반적인 형태의 원통형 슬라이드 베어링과 다른 형태로, 즉 보스부(101)의 홀(109) 속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베어링(140)의 외측 단부쪽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링부(151)와 내마모성 디스크부재 또는 심(107)과 보스부(101)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판 형태의 내마모 부재(152)로 이루어지는 플랜지부재(150)가 원통형 슬라이드 베어링(140)의 외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배치되는 구성으로 된다.
이때, 더스트 씰(115)은 심(107)과 접촉되게 환형판 형태의 내마모 부재(152)의 내경부에 배치됨으로써 슬라이드 베어링(140)의 외측 단부와 플랜지부재(150) 및 더스트 씰(115)로 형성되는 보조 윤활제 공간부(155)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보조 윤활제 수용 공간부(120) 보다 더 큰 용적을 갖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보조 윤활제 저장소로서의 보조 윤활제 수용 공간부(120, 155)는 슬라이딩 베어링 혹은 플랜지형 슬라이딩 베어링을 제작함에 있어서 압입용 챔퍼가공하는 반대쪽 말단의 내주면을 관절부 축의 하중 특성 및 윤활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윤활 저장소의 깊이와 폭만큼 슬라이딩 베어링(111,140)의 내주면의 하중 지지면의 내경에 더해 기계가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보조 윤활제 저장소를 형성함에 있어서 가공 용이성을 감안하여 연장부(112)나 플랜지부재(15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도 6 내지 8 참조). 이때 윤활제 저장소를 구성하는 상기 연장부(112)나 플랜지부재(150)의 형상은 축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그 모서리가 날카롭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도입에 있어 그 폭과 깊이의 최대치는 특허의 규정을 따르며 최소 폭과 깊이는 형상에 기인하는 윤활제 저장소의 부피로 환산하여 규정한다.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원통형의 슬라이딩 베어링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더스트 씰(115)과 슬라이딩 베어링(111) 사이에 원통형 링(160)을 도입하여 윤활제저장소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원통형 링은 슬라이딩 베어링과 같은 외경을 지니며 그 내경은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경에 보조 윤활제 저장소의 깊이를 더하여 결정하며, 그 폭은 설계된 윤활제 저장소의 폭과 일치한다. 이러한 구조의 장점은 기존에 설계, 제작된 슬라이딩 베어링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본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나 압입 공정의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본 발명에 따라 보조 윤활제 저장소를 형성하여 급지주기의 연장 및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한 구조에서, 버킷 연결부와 암 선단부 보스를 축으로 조립할 때 더스트 씰이 내측으로 밀려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보스에 요구되는 지지 강도를 양측 단부에서 얻기 위하여 보조 윤활제 저장소의 폭과 깊이를 아래와 같이 한정할 필요가 있다.
1. 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 윤활제 저장소의 폭
본 발명에 따라 보조 윤활제 저장소를 적용하여 급지 주기를 연장함에 있어서, 축과 암 선단부 보스와 버킷 연결부의 구조적 안정성을 헤치지 않게 하기 위해 3mm에서 암 선단부 보스 폭 길이의 4% 이내, 최대 25mm의 폭을 갖는 윤활 수용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한정의 이유는, 상기 보조 윤활제 저장소의 폭이 3mm를 넘지 않으면 이물질의 1차적 수용소로서의 역할 및 윤활제 공급을 통한 균일한 윤활막 형성에 기어하는 바가 미미하여 본 구조의 이득을 상실하게 되고, 보조 윤활제 저장소의 폭이 증가함에 따라 윤활특성 향상으로 급지 주기가 상승하지만 그 효과는 폭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급지 주기 기존대비 최대 125~135% 수준으로 수렴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보조 윤활제 저장소의 폭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슬라이딩 베어링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면이 암 선단부 보스의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축의 휨 변형(deflection) 증가를 초래하여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측 끝단에 집중 분포 하중을 증가 시켜 마모 속도를 증가시키고 윤활막의 탈락과 금속-금속간 마찰에 따른 열을 발생시켜 응착 마모(adhesion)에 의한 소착(seizure)가 유발되고, 마찰 특성 저하와 소음을 일으킨다.
따라서, 버킷과 암 선단부 보스와 축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구조적 안정성을 저해하여 슬라이딩 베어링의 마찰 및 마모 특성을 저해하므로 암 선단부 보스의 전체 폭 길이의 4% 혹은 3 - 25mm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해당하는 폭을 갖는 윤활저장소를 갖는 힌지 어셈블리는 기존대비 약 125~130%의 급지 주기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2. 윤활제저장소의 깊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윤활제 저장소의 체적을 최대화 하기 위해 깊이를 증가 시키면, 외벽이 지나치게 얇아져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보조 윤활제 저장소의 깊이는 슬라이딩 베어링 두께의 15~75%로 한정하여 윤활제 수용 능력 및 구조 유지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Φ95ⅹΦ105ⅹ90mm의 연질화 열처리하고 내주면(하중지지면)에 그리스 수용 그루브(groove)가 형성된 슬라이딩 베어링을 사용하여 윤활제저장소를 형성한 결과 급지주기의 향상 정도는 아래 표 1 내지 3과 같다.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의 급지주기를 100%로 환산하여 결과를 아래와 같이 표시하였다.
윤활저장소 부피 | |||||
윤활저장소의 깊이 | |||||
윤활저장소의 폭 | 0.7mm | 1.5mm | 4.5mm | 7.5mm | |
길이(mm) | 비율(%) | 7% | 15% | 45% | 75% |
0 | 0 | 0 | 0 | 0 | 0 |
3 | 3.33 | 1257.476 | 2705.895 | 8244.855 | 13953.375 |
10 | 11.11 | 4191.586 | 9019.65 | 27482.85 | 46511.25 |
5 | 5.56 | 2095.793 | 4509.825 | 13741.425 | 23255.625 |
15 | 16.67 | 6287.379 | 13529.475 | 41224.275 | 69766.875 |
20 | 22.22 | 8383.172 | 18039.3 | 54965.7 | 93022.5 |
25 | 27.78 | 10478.97 | 22549.125 | 68707.125 | 116278.125 |
30 | 33.33 | 12574.76 | 27058.95 | 82448.55 | 139533.75 |
35 | 38.89 | 14670.55 | 31568.775 | 96189.975 | 162789.375 |
급지 주기향상 | |||||
윤활저장소의 깊이 | |||||
윤활저장소의 폭 | 0.7mm | 1.5mm | 4.5mm | 7.5mm | |
길이(mm) | 비율(%) | 7% | 15% | 45% | 75% |
0 | 0 | 100 | 100 | 100 | 100 |
3 | 3.33 | 103.1 | 105.056 | 105.35 | 107.506 |
10 | 11.11 | 103.4 | 105.5925 | 109.4925 | 111.345 |
5 | 5.56 | 103.2 | 109.125 | 116.4 | 124.451 |
15 | 16.67 | 104.6 | 112.32 | 124.32 | 128.4 |
20 | 22.22 | 104.8 | 117.8 | 127.3 | 129.1 |
25 | 27.78 | 105.4 | 121.73 | 127.652 | 129.5 |
30 | 33.33 | 106.2 | 123.132 | 128.2 | 130.1 |
35 | 38.89 | 107.3 | 124.6 | 128.6 | 130.4 |
위 표 1 및 표 2와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버킷과 암 선단부 보스와 축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구조적 안정성 및 슬라이딩 베어링의 양호한 마찰 및 마모 특성을 갖기 위해서는 암 선단부 보스의 전체 폭 길이의 4% 혹은 3 - 25mm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하고, 이때 기존대비 약 125~130%의 급지 주기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에서는 굴삭기의 암 선단부의 보스와 버킷의 연결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굴삭기뿐만 아니라 다른 건설기계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고, 버킷의 연결을 위한 연결장치 뿐만 아니라 예를들어 버킷외의 다른 구성요소와의 연결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서만 한정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예를들어 암 선단부의 보스와 버킷과 같은 구성요소들의 연결장치에 슬라이드 베어링에 윤활유 저장소를 형성하되 구조적인 약화를 초래하지 않고 슬라이드 베어링의 외측 단부에 보조 윤활유 저장소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윤활유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급지주기를 증가시키도록 적용할 수 있다.
101: 암 선단의 보스부 104: 연결부
105; 축 107: 심
110: 윤활제 수용홈 111, 140: 슬라이드 베어링
112: 연장부 115: 더스트 씰
120, 155: 보조 윤활제 수용 공간부
150: 플랜지 부재 152: 내마모 부재
105; 축 107: 심
110: 윤활제 수용홈 111, 140: 슬라이드 베어링
112: 연장부 115: 더스트 씰
120, 155: 보조 윤활제 수용 공간부
150: 플랜지 부재 152: 내마모 부재
Claims (6)
- 암 선단의 보스부 양측에 버킷의 연결부가 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축과 접촉하는 보스부와 버킷의 내측에 제공되는 원통형의 슬라이드 베어링과,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의 중앙부에 요홈 형태로서 형성된 윤활제 수용홈, 상기 보스부와 버킷 연결부 사이에 마찰에 의한 마모 방지를 위하여 배치되는 환형판 형태의 내마모성 심(shim), 및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축과 보스부의 접촉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 외측으로 심과 인접한 단부에 더스트 씰을 구비한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의 각각의 양측 단부들과 상기 더스트 씰 사이에 윤활제 공급을 위한 보조 윤활제 저장소로서 보조 윤활제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윤활제 수용 공간부는 슬라이드 베어링의 각각의 양측 단부들에서 더스트 씰을 향하여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수용 공간부의 폭 길이는 상기 버킷과 암 선단부 보스와 축의 구조적 안정성과 슬라이딩 베어링의 마찰 및 마모 특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암 선단부 보스의 전체 폭 길이의 4%와 3 - 25mm의 길이중에서 선택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수용 공간부의 깊이는 윤활제 수용능력 및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슬라이딩 베어링 두께의 15~75%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 암 선단의 보스부 양측에 버킷의 연결부가 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축과 접촉하는 보스부와 버킷의 내측에 제공되는 원통형의 슬라이드 베어링과,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의 중앙부에 요홈 형태로서 형성된 윤활제 수용홈, 상기 보스부와 버킷 연결부 사이에 마찰에 의한 마모 방지를 위하여 배치되는 환형판 형태의 내마모성 심(shim), 및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축과 보스부의 접촉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 외측으로 심과 인접한 단부에 더스트 씰을 구비한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의 각각의 양측 단부들과 상기 더스트 씰 사이에 윤활제 공급을 위한 보조 윤활제 저장소로서 보조 윤활제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윤활제 수용 공간부는 보스부의 홀 속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베어링의 외측 단부쪽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링부와 내마모성 디스크부재 또는 심과 보스부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판 형태의 내마모 부재로 이루어지고 원통형 슬라이드 베어링의 외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수용 공간부의 폭 길이는 상기 버킷과 암 선단부 보스와 축의 구조적 안정성과 슬라이딩 베어링의 마찰 및 마모 특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암 선단부 보스의 전체 폭 길이의 4%와 3 - 25mm의 길이중에서 선택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수용 공간부의 깊이는 윤활제 수용능력 및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슬라이딩 베어링 두께의 15~75%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2050A KR101702135B1 (ko) | 2010-12-22 | 2010-12-22 |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2050A KR101702135B1 (ko) | 2010-12-22 | 2010-12-22 |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0642A KR20120070642A (ko) | 2012-07-02 |
KR101702135B1 true KR101702135B1 (ko) | 2017-02-06 |
Family
ID=4670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2050A KR101702135B1 (ko) | 2010-12-22 | 2010-12-22 |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213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46859B (zh) * | 2015-05-28 | 2017-09-26 | 南宁远卓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粉碎功能的挖掘机 |
KR102236361B1 (ko) * | 2019-05-17 | 2021-04-05 | 주식회사 에버다임 | 굴삭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3919B1 (ko) * | 1999-08-14 | 2002-02-25 | 김충환 | 다중 영상표시장치 |
KR100655327B1 (ko) * | 2004-12-20 | 2006-12-08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
-
2010
- 2010-12-22 KR KR1020100132050A patent/KR10170213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0642A (ko) | 2012-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91377B2 (en) | Bearing device | |
US6250804B1 (en) | Self-lubricating linear guide apparatus | |
KR20110100254A (ko) | 슬라이딩베어링 및 슬라이딩베어링 조립체 | |
JPS6053216A (ja) | 滑り軸受ユニツト | |
WO2006096062A1 (en) | Sliding bearing with different sets of cavities | |
CN210127929U (zh) | 一种柱塞泵用滑靴和柱塞式液压泵 | |
CN211874942U (zh) | 一种自润滑耐磨轴承 | |
KR101702135B1 (ko) |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 |
CN101858385A (zh) | 一种金属基镶嵌式弹性自润滑滑动轴承 | |
CN203835954U (zh) | 滑动轴承的润滑结构 | |
CN110700980A (zh) | 一种喷油泵导向活塞组件 | |
JP2013029167A (ja) | 無給油チェーン | |
CN214617550U (zh) | 一种自润滑滑动轴承 | |
JP2009210017A (ja) | 継手リンクユニット付き無給油チェーン | |
CN219691997U (zh) | 一种润滑效果好的调整垫 | |
CN110645129B (zh) | 一种船用低速机电控单体式高压油泵 | |
CN110094430A (zh) | 一种局部滚针式重载万向节 | |
CN201953802U (zh) | 一种用于重载和高频摆动工况的动静压球头铰链机构 | |
CN210919303U (zh) | 一种喷油泵导向活塞组件 | |
CN205117976U (zh) | 铰接自润滑结构及具有其的泵车 | |
CN209800539U (zh) | 一种自润式线性滑轨 | |
CN104727676B (zh) | 一种重载锥形铰链 | |
CN202228342U (zh) | 混凝土泵送设备及其混凝土泵送活塞 | |
CN201475164U (zh) | 一种复合滚轮轴承 | |
CN220101424U (zh) | 液压马达中的改进型柱塞组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