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044B1 -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 Google Patents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044B1
KR101702044B1 KR1020160081288A KR20160081288A KR101702044B1 KR 101702044 B1 KR101702044 B1 KR 101702044B1 KR 1020160081288 A KR1020160081288 A KR 1020160081288A KR 20160081288 A KR20160081288 A KR 20160081288A KR 101702044 B1 KR101702044 B1 KR 10170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delete delete
frame portion
folded
fall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2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남용
Original Assignee
송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남용 filed Critical 송남용
Priority to KR102016008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0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0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apet having an evacuation function, and is simple in structure, has a beautiful appearance, is secured against failures and malfunctions, can be easily operated in evacuation to secure an evacuation space, and can safely descend people to a lower floor.

Description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0001]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잔고장 및 오작동우려가 없어 피난시 쉽게 조작하여 피난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내려올 수 있는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rail having a simple structure, a beautiful appearance, and an evacuation function capable of safely evacuating to a lower floor without a fear of a residual sound or malfunction, and being able to easily operate an evacuation space by evacuation.

일반적으로, 발코니는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의 공간활용 및 미관향상의 목적으로 구성된 공간이다.Generally, a balcony is a space composed of high-ris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for the purpose of space utilization and aesthetic improvement.

이러한 발코니는 사람이나 물건 등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파이프를 이용한 난간을 설치하고 있다.These balconies are equipped with pipe railing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of people or goods.

한편, 아파트의 경우에 소방법상 별도의 비상탈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출입구를 이용하거나 발코니를 이용하되, 발코니를 이용시에는 고가 사다리와 같은 특수 인력 및 장비를 통해서만 비상탈출이 가능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apartment, there is no separate emergency escape method in the Fire Law, so i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s, use a doorway or a balcony, but if using a balcony, use special manpower and equipment such as an elevated ladder Emergency escape was possible.

그래서, 아파트의 발코니에 구비된 난간을 이용하여 화재와 같은 비상시 비상사다리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특허문헌 0001 내지 0010 등으로 개시된 바 있다.[0003] Patent Literatures 0001 to 0010 disclose a technique that can be used as an emergency ladder in an emergency, such as fire, by using a railing provided on a balcony of an apartment.

특허문헌 0001 내지 0010의 경우, 즉 종래에는 상하 수평프레임과 상하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된 난간프레임의 양단부를 발코니 벽면에 분리가능한 조인트로 연결하고, 일측 하부는 회전축으로 연결하여 상기 조인트를 분리한 후 난간프레임을 발코니 벽면에서 분리한 상태로 일측 하부의 회전축을 이용하여 하방향으로 회전설치함으로 아래층 발코니로 피난할 수 있는 비상사다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case of Patent Literatures 0001 to 0010, that is, in the related art, both end portions of a railing frame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connecting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and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are connected to a balcony wall by detachable joints, After the joint is separated, the balustrade frame is separated from the balcony wall, and it is installed as an emergency ladder to be able to evacuate to the lower balcony by using the rotary shaft of the lower side to rotate downward.

그러나, 상기 비상사다리는 난간프레임이 중량체임으로, 조인트를 분리한 상태로 사다리를 전체적으로 들어올려 회전시키는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mergency ladd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to lift the ladder as a whole and rotate the ladder in a state in which the joint is separated, since the railing frame is a heavy weight.

이에, 상술한 종래기술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처방안으로 난간프레임의 회전동작을 전원공급을 통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구동수단을 이용한 방법이 개시된 바 있었으나, 이 경우 화재발생시 나타나는 고온의 열기에 의해 전선이 단선되거나 전선의 피복이 녹아내려 합선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여 전원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서, 비상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countermeasure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re has been disclosed a method using a driving means for automatically operating a rotating operation of a railing frame through power supply. In this cas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wer supply is not smoothly performed due to frequent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of the wires or short-circuiting of the coating of the wires, so that the function can not be exhibited in an emergency.

KR 2014-0117030 (2014.10.07)KR 2014-0117030 (2014.10.07) KR 2013-0017592 (2013.02.20)KR 2013-0017592 (2013.02.20) KR 2012-0028526 (2012.03.23)USD 2012-0028526 (Mar 23, 2012) KR 2012-0028525 (2012.03.23)USD 2012-0028525 (Mar 23, 2012) KR 2011-0090411 (2011.08.10)KR 2011-0090411 (2011.08.10) KR 2011-0090042 (2011.08.10)KR 2011-0090042 (2011.08.10) KR 2011-0003150 (2011.01.11)KR 2011-0003150 (2011.01.11) KR 2010-0137131 (2010.12.30)KR 2010-0137131 (2010.12.30) KR 0738812 (2007.07.05)KR 0738812 (2007.07.05) KR 1562205 (2015.10.15)KR 1562205 (October 15, 20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잔고장 및 오작동우려가 없어 피난시 쉽게 조작하여 피난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내려올 수 있는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vacuation function capable of securing an evacuation space by easily manipulating the evacuation device and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rail provi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부와;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일단부에 중간부가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후단부가 축결합되는 일측사다리부와,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타단부에 중간부가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후단부가 축결합되는 타측폐쇄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중간부가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후단부가 축결합되는 발판부로 구성되는 절첩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측에 배치되고, 일단부, 타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일측사다리부의 전단부, 상기 타측폐쇄부의 전단부 및 상기 발판부의 전단부에 각각 축결합되는 추락방지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평상시에는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가 상기 절첩부에 의해 절첩된 상태로 유지되고, 화재를 포함한 비상시에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를 펼쳐 상기 일측사다리부 및 상기 발판부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ladder portion having a rear end portion thereof axially coupled to one end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so as to be folded inwardly so as to be inwardly folded inwardly and a second closing portion to which the rear end portion is axially coupl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A folding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olding portion, the folding portion being formed with a footing portion whose rear end is axially coupled so that the intermediate portion is folded inward; And a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disposed at a front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one end, the other end, and the lower end are axial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one ladder por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other closing portion,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oot portion,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is normally held in a folded state by the folding portion and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is unfolded in an emergency including a fire so that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can be evacuated to the lower layer by using the one ladder portion and the foot portion To provide a handrail with an evacuation function.

여기서, 상기 타측폐쇄부는 사다리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closed portion is formed in a ladder structure.

그리고, 상기 타측폐쇄부의 내측에 상기 타측폐쇄부를 따라 절첩되는 도어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door member which is folded along the other side closing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other side closing portion.

또한, 상기 도어부재의 개폐를 단속하는 도어락과;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여부를 알리는 알림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oor lock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member; And a notification unit informing whether the door lock is unlocked.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상부에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의 절첩상태를 해제시키는 상부절첩해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upper folded release portion for releasing the folded state of the fall prevention frame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여기서, 상기 상부절첩해제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상부회전축과; 상기 상부회전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걸림고정부재와;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걸림고정부재가 각각 걸림고정되는 상부걸림고정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pper fold-back portion includes an upper rotation shaft rotatably horizontally dispos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An upper fastening member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rotation shaft; And an upper locking fixture shaft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upper locking fixture members are respectively locked and fixed.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하부에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의 절첩상태를 해제시키는 하부절첩해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a lower fold-back releasing portion for releasing the folding state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is provided below the vertical frame portion.

여기서, 상기 하부절첩해제부는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하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하부회전축과; 상기 하부회전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하부걸림고정부재와;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부걸림고정부재가 각각 걸림고정되는 하부걸림고정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folded-back portion includes a lower rotating shaft rotatably and horizontally disposed in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A lower locking fixtu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rotation shaft; And a lower fastening shaft formed at a lower side and a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art, respectively, to which the lower fastening fastening members are fastened and fixed, respectively.

나아가, 상기 상부절첩해제부의 회전력을 상기 하부절첩해제부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pper folded portion to the lower folded portion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회전력전달부는 상기 상부절첩해제부의 상부회전축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상측이 연결되고, 상기 하부절첩해제부의 하부회전축의 하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하부회전축의 전측에 하측이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otation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upper unfolding portion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upper rotation shaft, and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otation shaf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otation shaft, .

더불어, 상기 하부절첩해제부의 하부회전축에 회전된 상기 하부회전축을 원위치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elastic member for returning the lower rotary shaft rotated to the lower rotary shaft of the lower foldable release portion is provided.

아울러,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를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전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ushing portion for pushing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푸쉬부는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내부에 각각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판부와; 상기 판부가 후측에 형성되고, 전측이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전측외부로 일정길이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판부를 따라 전후이동하는 전후이동축과;Here, the push portion includes a plate portion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portion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respectively; A front and rear coaxial element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plate portion and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plate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to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판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And a resilient member provided inside the vertical frame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plate portion.

그리고,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의 전측에 각각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복수의 관통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ate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pl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이 고층건물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추락방지프레임부의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추락방지프레임부가 절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발판부의 중간부가 절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타측폐쇄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타측폐쇄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타측폐쇄부의 도어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고,
도 10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1은 상부절첩해제부와 하부절첩해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상부절첩해제부 및 하부절첩해제부를 통해 추락방지프레임부의 절첩상태가 해제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4는 하부절첩해제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배면도이고,
도 15는 수직프레임부에 구비되는 푸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rail having an evacuation func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high-rise buildin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andrail having an evacu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te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is separated,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ll prevention frame section is folded,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iddle portion of the footrest portion is folded,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other closed portion,
8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ther closed portion,
9 is an enlarged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member of the other closed portion is opened,
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fold-back releasing portion and the lower fold-back releasing portion,
12 and 13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collapsed state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through the upper folded portion and the lower folded portion,
FIG. 14 is a partially enlarged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lower fold-back releasing por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ush portion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por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이 고층건물의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추락방지프레임부의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rail having an evacuation function,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wall of a high-rise buildin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andrail having an evacuation func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te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is separated. Fig.

본 발명의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코니(2)에 설치된 난간(2a)의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고정된 상태로 고층 건물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좌우대칭을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handrail 1 having the evacu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fixing bolts on the front side of the handrail 2a provided on the balcony 2, And may be provided in a zigzag manner.

또는, 본 발명의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1)은 발코니(2)에 설치된 난간(2a)의 일측 또는 타측방향에 위치하도록 고층 건물의 벽체에 앵커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고층 건물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좌우대칭을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복수구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handrail 1 having the evacu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wall of the high-rise building by a fixing member such as an anchor bolt so as to be positioned at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handrail 2a provided on the balcony 2 A plurality of zigzag lines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in the lower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igh-rise build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1)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직프레임부(20), 절첩부(30) 및 추락방지프레임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railing 1 having the evacuation function,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frame portion 20, a folding portion 30, and a fall prevention frame portion 50 .

먼저, 상기 수직프레임부(20)는 윗층의 발코니(2)에서 아래층의 발코니(2)까지 상하연장형성된 상태로 발코니(2)의 난간(2a) 또는 상기 발코니(2)의 난간(2a)의 일측 또는 타측방향에 위치하도록 고층 건물의 벽체에 앵커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vertical frame part 20 is formed by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balcony 2 of the upper floor to the balcony 2 of the lower balcony so that the vertical frame part 20 can be folded on the balustrade 2 or the balustrade 2 of the balcony 2 It can be fixed to the wall of the high-rise building by a fixing member such as an anchor bolt so as to be located at one side or the other side.

다음으로, 상기 절첩부(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사다리부(330), 타측폐쇄부(340) 및 발판부(350)로 구성된다.3, the folding unit 30 includes a ladder unit 330, a second closure unit 340, and a foot plate unit 350. [

상기 일측사다리부(330)의 중간부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상기 일측사다리부(330)의 후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일단부 내측에 축결합된다.The rear end of the one side ladder part 330 is axi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part 20 so that the middle part of the one side ladder part 330 is folded inside the vertical frame part 20.

상기 타측폐쇄부(340)의 중간부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상기 타측폐쇄부(340)의 후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타단부 내측에 축결합된다.The rear end of the other side closing part 340 is axi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frame part 20 such that the middle part of the other side closing part 340 is folded inward of the vertical frame part 20.

상기 발판부(350)의 중간부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상기 발판부(350)의 후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하단부 내측에 축결합된다.The rear end of the footrest part 350 is axi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end part of the vertical frame part 20 such that an intermediate part of the footrest part 350 is folded inward of the vertical frame part 20. [

다음으로,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는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전측에 배치된다.Next,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5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0.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의 일단부 내측에 상기 일측사다리부(330)의 전단부가 축결합된다.The front end portion of the one side ladder portion 330 is axi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one end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50.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의 타단부 내측에 상기 타측폐쇄부(340)의 전단부가 축결합된다.The front end portion of the other closing portion 340 is axi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50. [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의 하단부 내측에 상기 발판부(350)의 전단부가 축결합된다.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ootrest portion 350 is axi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all prevention frame portion 50. [

도 4 및 도 5는 추락방지프레임부가 절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발판부의 중간부가 절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5의 A - A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다.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ll preventing frame section is folded, and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which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middle portion of the footrest section is folded.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고층 건물의 거주자 또는 관리자 등에 의해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가 상기 수직프레임부(20)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직프레임부(20)에 접한 상태로 상기 절첩부(30)에 의해 절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fall prevention frame unit 5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unit 20 by a resident of the high-rise building or the like to contact the vertical frame unit 2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by the folding unit 30.

그리고, 화재를 포함한 비상시에는 고층 건물의 거주자 또는 관리자 등에 의해 상기 추락방지프레임(50)이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전측방향으로 밀리면서 펼쳐질 수 있고, 이상태에서 고층 건물의 거주자 또는 관리자 등은 상기 일측사다리부(330) 및 상기 발판부(350)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게 된다.In an emergency including a fire, the fall prevention frame 50 may be pushed forward by the resident or the manager of the high-rise building in a forward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0, and the resident or manager of the high- It is possible to evacuate to the lower level by using the one side ladder 330 and the footrest 350.

도 7은 타측폐쇄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other closed portion.

다음으로, 상기 타측폐쇄부(340)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사다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타측폐쇄부(340)는 크게, 전측프레임(341), 후측프레임(342) 및 축부재(343)으로 구성될 수 있다.7, the other side closure part 340 may include a front side frame 341, a rear side frame 342, and a rear side frame 342. The other side closure part 340 may be formed as a ladder structure, And a shaft member 343.

상기 전측프레임(341)의 전단부는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의 타단부의 내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front frame 341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ther end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unit 50.

상기 후측프레임(342)의 전단부는 상기 전측프레임(341)의 후단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rear frame 342 may be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front frame 341.

상기 후측프레임(342)의 후단부는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타단부 내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rear frame 342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frame 20.

상기 축부재(343)는 상기 전측프레임(341)의 내측에 상기 전측프레임(34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The shaft member 343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ont frame 341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frame 341.

또한, 상기 축부재(343)는 상기 후측프레임(342)의 내측에 상기 후측프레임(34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The shaft member 343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ar frame 342 on the inner side of the rear frame 342.

도 8은 타측폐쇄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타측폐쇄부의 도어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Fig. 8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ther closing portion, and Fig. 9 is an enlarged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member of the other closing portion is opened.

다음으로, 다른예로서, 상기 타측폐쇄부(340)의 내측에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폐쇄부(340)를 따라 중간부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내측으로 절첩되는 도어부재(36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8 and 9, an inner side of the other side closing part 340 is provided with a door, which is folded inward along the other side closing part 340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frame part 20 Member 360 may be provided.

상기 도어부재(360)는 상기 타측폐쇄부(340)의 전측프레임(341)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는 전측도어부재(361)과; 상기 타측폐쇄부(340)의 후측프레임(342)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는 후측도어부재(362);로 구성될 수 있다.The door member 360 includes a front door member 361 provid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341 of the other closing portion 340; And a rear door member 362 provid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ide frame 342 of the other side closing portion 340.

상기 전측도어부재(361)의 전단부의 반대측인 후단부에 상기 후측도어부재(362)의 전단부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rear door member 362 can be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front door member 361 opposite to the front end thereof.

상기 후측도어부재(362)의 후단부는 상기 타측폐쇄부(340)의 후측프레임(342)의 일측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rear door member 362 may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rear frame 342 of the other closing portion 340.

상기 전측도어부재(361)의 내측에 축부재(363)가 상기 전측도어부재(36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A shaft member 363 can be horizontally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ont door member 361 inside the front door member 361. [

상기 후측도어부재(362)의 내측에도 상기 축부재(363)가 상기 후측도어부재(36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The shaft member 363 may be horizontally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ar door member 362 in the inner side of the rear door member 362 as well.

고층 건물의 거주자 또는 관리자 등은 상기 도어부재(360)의 후측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부재(360)의 전측을 상기 타측폐쇄부(340)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타측폐쇄부(340)의 내측을 개방할 수 있다.The resident or manager of the high-rise building rotates the front side of the door member 360 toward one side of the other side closing part 340 with respect to the rear side of the door member 360, The inner side can be opened.

다음으로, 상기 도어부재(360)의 전측도어부재(361)의 전단부 일측에는 상기 도어부재(360)의 개폐를 단속하는 전자식 도어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도어락(370)이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door member 361 of the door member 36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end thereof with a door lock 370 which may be an electronic door lock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member 360.

전자식 도어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도어락(370)을 통해 상기 도어부재(360)가 상기 타측폐쇄부(340)의 내측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door member 360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inside of the other side closing part 340 is closed through the door lock 370 which can be formed of an electronic door lock or the like.

고층 건물의 거주자 또는 관리자 등은 상기 도어부재(360)가 상기 타측폐쇄부(340)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전자키, 암호버튼, 리모콘 등으로 상기 도어락(37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A resident or manager of the high-rise building may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370 by using an electronic key, a cryptographic button,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so that the door member 360 can open the other closing part 340. [

도 10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식 도어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도어락(370)의 잠금해제여부를 알리는 알림부(38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0, a notification unit 380 may be provided to notify whether the door lock 370 is unlocked, which may be an electronic door lock or the like.

상기 알림부(380)는 제어부(390)의 제어에 의해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380 may be a speaker or the like that outputs an alarm sound such as a siren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90.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알림부(380)와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타측폐쇄부(340)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380 and the control unit 390, which may be formed of a speaker or the like,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one provided at the other closing unit 340.

전자식 도어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도어락(370)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제어부(3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어락(370)과 연동되는 상기 알림부(380)는 전원공급부(39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380 interlocked with the door lock 3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90 when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unit 370 is releas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91, So that an alarm sound such as a siren sound can be output.

전자식 도어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도어락(370)이 잠금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3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380)는 작동정지될 수 있다.When the door lock 370, which may be an electronic door lock, is in a locked state, the notification unit 380 may be shut d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90.

상기 알림부(380)를 통해 화재를 포함한 비상상황을 인지하지 못한 거주자에게 비상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화재를 포함한 비상상황이 아닌 상태에서는 불법침입자 등이 상기 도어부재(360)를 악이용하여 해당 발코니로 침입을 시도하고 있음을 보다 용이하게 알릴 수 있게 된다.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more easily recognized by residents who are not aware of the emergency situation including the fire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380 and the illegal intruder or the like can be recognized by the door member 360, So that it is easier to inform that the user is attempting to enter the balcony.

도 11은 상부절첩해제부와 하부절첩해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fold-back releasing portion and the lower fold-back releasing portion.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상부에 상기 난간프레임부(40) 및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의 절첩상태를 해제시키는 상부절첩해제부(60)가 구비될 수 있다.11, an upper fold-back releasing portion 60 for releasing the folding state of the railing frame portion 40 and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5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0 .

상기 상부절첩해제부(60)는 크게, 상부회전축(610), 상부걸림고정부재(620) 및 상부걸림고정축(6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unfolding portion 60 may include an upper rotation shaft 610, an upper fixing member 620, and an upper fixing shaft 630.

상기 상부회전축(610)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상부 내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상부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rotating shaft 610 may horizontally be vertically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part 20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part 20.

상기 상부회전축(61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상부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rotation shaft 610 may be expos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part 20, respectively.

상기 상부걸림고정부재(620)는 후크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크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상부걸림고정부재(620)는 상기 상부회전축(61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retaining member 620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or the like and the upper retaining member 620, which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or the like, .

상기 상부걸림고정축(630)은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각각 수평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fastening shaft 630 may be formed horizontally on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one side of the fall prevention frame part 50, respectively.

후크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상부걸림고정부재(620)의 내측에 상기 상기 상부걸림고정축(630)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상부걸림고정부재(620)가 상기 상부걸림고정축(630)에 각각 걸림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retaining member 6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retaining shaft 630 while the upper retaining shaft 630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retaining member 620, Respectively.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하부에는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의 절첩상태를 해제시키는 하부절첩해제부(7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1, a lower fold-back releasing portion 70 for releasing the folding state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5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0. As shown in FIG.

상기 하부절첩해제부(70)는 하부회전축(710), 하부걸림고정부재(720) 및 하부걸림고정축(7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folding unlocking portion 70 may include a lower rotating shaft 710, a lower fastening fastening member 720, and a lower fastening fastening shaft 730.

상기 하부회전축(710)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하부 내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하부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rotating shaft 710 may be horizontally rotatable in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part 20 while pass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part 20.

상기 하부회전축(71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하부일측 외부방향 및 하부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rotation shaft 710 may be expos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part 20 and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lower side, respectively.

상기 하부걸림고정부재(720)는 후크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크형상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하부걸림고정부재(720)는 상기 하부회전축(71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retaining member 720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or the like. The lower retaining member 720 may be vertic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rotation shaft 710, .

후크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하부걸림고정부재(720)의 내측에 상기 하부걸림고정축(730)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부걸림고정부재(720)가 상기 하부걸림고정축(730)에 각각 걸림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engaging and fixing member 7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gaging and fixing shaft 730 while the lower engaging and fixing shaft 73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engaging and fixing member 720, It can be locked.

도 12 및 도 13은 상부절첩해제부 및 하부절첩해제부를 통해 추락방지프레임부의 절첩상태가 해제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S. 12 and 13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releasing the collapsed state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through the upper folded portion and the lower folded portion.

다음으로, 상기 상부절첩해제부(60)의 정역회전력을 상기 하부절첩해제부(70)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8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 rotation force transmitting portion 80 for transmitt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force of the upper folded portion releasing portion 60 to the lower folded back portion 70 may be provided.

상기 회전력전달부(80)를 통해 상기 상부절첩해제부(60)와 함께 상기 하부절첩해제부(70)가 정역회전될 수 있다.The lower unfolding portion 70 can be rotated in the normal or revers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upper unfolding portion 60 through the rotation force transmitting portion 80. [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층 건물의 거주자 또는 관리자 등에 의해 상기 상부절첩해제부(60)의 상부회전축(610)과 함께 상기 하부절첩해제부(70)의 하부회전축(710)이 상기 회전력전달부(80)를 통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부걸림고정부재(620)의 내측 및 상기 하부걸림고정부재(720)의 내측에 각각 상기 상부걸림고정축(630)과 상기 하부걸림고정축(730)이 수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난간프레임부(40) 및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의 절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12, the lower rotation axis 710 of the lower unfolding portion 70 together with the upper rotation axis 610 of the upper unfolding portion 60 is rotated by the occupant or the manager of the tall building such that the rotation force transmitting portion The upper retaining shaft 630 and the lower retaining shaft 730 are received i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retaining member 620 and the inner side of the lower retaining member 720, So that the folded state of the railing frame part 40 and the fall preventing frame part 50 can be maintained.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층 건물의 거주자 또는 관리자 등에 의해 상기 상기 상부회전축(610) 및 상기 하부회전축(71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부걸림고정부재(620)의 내측 및 상기 하부걸림고정부재(720)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상부걸림고정축(630)과 상기 하부걸림고정축(730)이 이탈되면, 상기 발판부(350)의 중간부가 각각 자중에 의해 상기 발판부(350)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전측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다.13, the upper rotation shaft 610 and the lower rotation shaft 710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by a resident of the high-rise building or the like so that the inside of the upper retaining member 620 and the lower retaining member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ootrest portion 350 is lower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footrest portion 350 when the upper fastening axis 630 and the lower fastening axis 730 are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footrest portion 720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50 can be automatically opened while being push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0.

다음으로, 상기 회전력전달부(80)는 일예로,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80 may be formed of a wire, for example.

상기 회전력전달부(80)를 이룰 수 있는 상기 와이어의 상측은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절첩해제부(60)의 상부회전축(610)의 전측 외면의 반대측인 후측 외면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11 and 12, the upper side of the wire that can form the torque transmission portion 8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ar outer surface of the upper rotation shaft 610 of the upper unfolding portion 60, which is opposit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rotation shaft 610 .

그리고, 상기 회전력전달부(80)를 이룰 수 있는 상기 와이어의 하측은 상기 하부절첩해제부(70)의 하부회전축(710)의 하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하부회전축(710)의 전측 외면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side of the wire that can form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8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lower rotating shaft 710 in a state of wrapp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rotating shaft 710 of the lower unfolding portion 70 .

도 14는 하부절첩해제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배면도이다.FIG. 14 is a partially enlarged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lower fold-back releasing portion; FIG.

다음으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절첩해제부(70)의 하부회전축(710)에는 상기 상부절첩해제부(60)의 상부회전축(610)을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하부회전축(71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시키는 비틀림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부재(90)가 구비될 수 있다.14, the lower rotating shaft 710 of the lower unfolding portion 7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lower rotating shaft 710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long the upper rotating shaft 610 of the upper unfolding portion 60, And a torsion spring that rotates the torsion spring 9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rotate the torsion spring 90 in the opposite direction.

비틀림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90)의 내측에 상기 하부회전축(710)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90)의 일측은 상기 하부회전축(710)에 일체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90)의 타측은 상기 수직프레임(20)의 하부 일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9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rotary shaft 710 while the lower rotary shaft 710 is accommodated in the elastic member 90 which may be formed of a torsion spring or the like,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2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20.

도 15는 수직프레임부에 각각 구비되는 푸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ush portion provided in each vertical frame portion,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B-B in Fig.

다음으로,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전측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부(20)에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를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전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쉬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15, in order to allow the fall preventing frame unit 50 to be more easily opened while being push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frame unit 20, And a push portion 100 for pushing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50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0, respectively.

상기 푸쉬부(100)는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전측 각 모서리부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push portion 100 may be provided at a front corn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0, respectively.

상기 푸쉬부(100)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판부(101), 전후이동축(102) 및 탄성부재(1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6, the push portion 100 may include a plate portion 101, a front and rear coaxial shaft 102, and an elastic member 103.

상기 판부(101)는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각 모서리부위 내부에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The plate portion 101 may be vertically provided in each corn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0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0.

상기 전후이동축(102)의 후측에는 상기 판부(101)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portion 101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and rear coaxial shafts 102.

상기 전후이동축(102)의 전측이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전측 외부로 일정길이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이동축(102)이 상기 판부(101)를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coaxial shafts 102 can be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plate portion 101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side of the front and rear coaxial shafts 10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103)는 상기 판부(101)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후측 내면 사이에 각각 수평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판부(101)와 함께 상기 전후이동축(102)이 전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판부(101)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03 may be formed of a spring or the like so as to extend horizontally between the plate portion 101 and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0, The plate portion 101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the plate portion 101 can be moved back and forth.

다음으로, 상기 타측폐쇄부(340) 및 상기 발판부(350)가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50)의 전측에는 상기 타측폐쇄부(340) 및 발판부(350)를 가리는 플레이트(300)가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Next, the other side closure part 340 and the foot part 350 ar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all prevention frame part 50,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fall prevention frame part 50 becomes more beautiful 2 and 3, the plate 300 for covering the other side closure part 340 and the foot plate part 350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fall prevention frame part 50 . ≪ / RTI >

상기 플레이트(300)가 강풍 등에 의해 흔들리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300)에는 강풍 등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301)가 각각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plate 300 from being shaken due to strong winds or the like and generating nois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01 through which strong wind or the like can pass may be formed in the plate 3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잔고장 및 오작동우려가 없어 피난시 쉽게 조작하여 피난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내려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imple structure, a good appearance, and is free from a fear of remaining and malfunc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operated in evacuation to secure an evacuation space and can be safely lowered to the lower layer.

20; 수직프레임부, 30; 절첩부,
50; 추락방지프레임부.
20; A vertical frame part, 30; However,
50; Fall prevention frame part.

Claims (14)

수직프레임부와;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상부에 추락방지프레임부의 절첩상태를 해제시키는 상부절첩해제부와;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하부에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의 절첩상태를 해제시키는 하부절첩해제부와;
상기 상부절첩해제부의 회전력을 상기 하부절첩해제부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와;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일단부에 중간부가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후단부가 축결합되는 일측사다리부와, 사다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타단부에 중간부가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후단부가 축결합되는 타측폐쇄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중간부가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후단부가 축결합되는 발판부로 구성되는 절첩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측에 배치되고, 일단부, 타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일측 사다리부의 전단부, 상기 타측폐쇄부의 전단부 및 상기 발판부의 전단부에 각각 축결합되는 추락방지프레임부;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를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전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쉬부와;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의 전측에 복수의 관통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타측폐쇄부의 내측에 상기 타측폐쇄부를 따라 절첩되는 도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부재의 개폐를 단속하는 도어락과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여부를 알리는 알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절첩해제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상부회전축, 상기 상부회전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걸림고정부재,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걸림고정부재가 각각 걸림고정되는 상부걸림고정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절첩해제부는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하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 구비되는 하부회전축, 상기 하부회전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하부걸림고정부재,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부걸림고정부재가 각각 걸림고정되는 하부걸림고정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력전달부는 상기 상부절첩해제부의 상부회전축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상측이 연결되고, 상기 하부절첩해제부의 하부회전축의 하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하부회전축의 전측에 하측이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절첩해제부의 하부회전축에 회전된 상기 하부회전축을 원위치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푸쉬부는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내부에 각각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판부, 상기 판부가 후측에 형성되고, 전측이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전측 외부로 일정길이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판부를 따라 전후이동하는 전후이동축,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판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가 상기 절첩부에 의해 절첩된 상태로 유지되고, 화재를 포함한 비상시에 상기 추락방지프레임부를 펼쳐 상기 일측사다리부 및 상기 발판부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A vertical frame portion;
An upper folding releasing portion for releasing the folding state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A lower folding release portion for releasing the folding state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the upper folded portion to the lower folded portion;
A first ladder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so that the middle portion thereof is folded inward so that the rear end thereof is axially coupl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and the other clos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And a stepped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the stepped portion of which the rear end is axially coupled so that the intermediate portion is folded inwardly;
A fall prevention frame portion disposed at a front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one end, the other end, and the lower end are axial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one side ladder por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other closing portion,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oot portion;
A push portion for pushing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respectively;
And a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front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And a door member which is folded along the other side closing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other side closing portion,
A door lock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member, and a notification unit informing whether the door lock is unlocked,
The upper fold canceling unit includes upper rotation shafts rotatably and horizontally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upper engagement fixing member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rotation shaft, And an upper fastening shaft to which the upper fastening fastening members are respectively fastened and fixed,
The lower folding unlocking portion includes a lower rotation shaft rotatably and horizontally disposed in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a lower locking and fixing member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rotation shaft, And the lower engaging and fixing member is engaged and fixed, respectively,
The rotating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wire connected to an upper side on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upper rotating shaft of the upper unlocking portion and a lower sid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lower rotating shaft in a state of wrapp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rotating shaft of the lower unlocking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for returning the lower rotary shaft rotated by the lower rotary shaft of the lower foldable portion,
Wherein the push portion includes a plate portion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portion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 plate portion formed on a rear side of the plate portion, and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the front portion of which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plate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vertical frame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plate portion,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is normally held in a folded state by the folding portion and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is unfolded in an emergency including a fire so that the fall preventing frame portion can be evacuated to the lower layer by using the one side ladder portion and the footing portion. Handrail with evacuation fun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81288A 2016-06-29 2016-06-29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KR101702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288A KR101702044B1 (en) 2016-06-29 2016-06-29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288A KR101702044B1 (en) 2016-06-29 2016-06-29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044B1 true KR101702044B1 (en) 2017-02-02

Family

ID=5815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288A KR101702044B1 (en) 2016-06-29 2016-06-29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04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4040A (en) * 2020-03-31 2021-10-01 门恩特技术与咨询有限公司 Fire disaster and disaster refuge device
KR102521481B1 (en) * 2022-09-21 2023-04-13 주식회사 썬라이트 Folding evacuation ladder apparatus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812B1 (en) 2006-01-12 2007-07-12 김기종 An salvager ladder using a handrail of a balcony
KR20100137131A (en) 2009-06-22 2010-12-30 주식회사 에스엠텍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20110003150A (en) 2009-07-03 2011-01-11 주식회사 에스엠텍 An apparatus for escaping emergency using a balustrade in veranda
KR20110024910A (en) * 2009-09-03 2011-03-09 경기도시공사 Emergency escape system of high-rise building ,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10028027A (en) * 2009-09-11 2011-03-17 주식회사 에스엠텍 Safety handrail having a foot supporting means for escaping fire
KR20110090042A (en) 2010-02-02 2011-08-10 문근술 A ladder for fire escape
KR20110090411A (en) 2010-02-03 2011-08-10 주식회사 에스엠텍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120028526A (en)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 에스엠텍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120028525A (en)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 에스엠텍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130017592A (en) 2011-08-11 2013-02-20 이종암 Ladder for emergency evacuation
KR20140117030A (en) 2013-03-26 2014-10-07 김상종 A safety banister for evacuaton a fire
KR101548010B1 (en) * 2015-06-03 2015-09-04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Fence apparatus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KR101562205B1 (en) 2015-05-22 2015-10-23 주식회사 에스엠텍 Safety system for escaping the fire place in the high building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812B1 (en) 2006-01-12 2007-07-12 김기종 An salvager ladder using a handrail of a balcony
KR20100137131A (en) 2009-06-22 2010-12-30 주식회사 에스엠텍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20110003150A (en) 2009-07-03 2011-01-11 주식회사 에스엠텍 An apparatus for escaping emergency using a balustrade in veranda
KR20110024910A (en) * 2009-09-03 2011-03-09 경기도시공사 Emergency escape system of high-rise building ,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10028027A (en) * 2009-09-11 2011-03-17 주식회사 에스엠텍 Safety handrail having a foot supporting means for escaping fire
KR20110090042A (en) 2010-02-02 2011-08-10 문근술 A ladder for fire escape
KR20110090411A (en) 2010-02-03 2011-08-10 주식회사 에스엠텍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120028526A (en)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 에스엠텍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120028525A (en)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 에스엠텍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130017592A (en) 2011-08-11 2013-02-20 이종암 Ladder for emergency evacuation
KR20140117030A (en) 2013-03-26 2014-10-07 김상종 A safety banister for evacuaton a fire
KR101562205B1 (en) 2015-05-22 2015-10-23 주식회사 에스엠텍 Safety system for escaping the fire place in the high building
KR101548010B1 (en) * 2015-06-03 2015-09-04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Fence apparatus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4040A (en) * 2020-03-31 2021-10-01 门恩特技术与咨询有限公司 Fire disaster and disaster refuge device
KR102521481B1 (en) * 2022-09-21 2023-04-13 주식회사 썬라이트 Folding evacuation ladder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335B1 (en)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KR102141719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ire and disaster in a structure
CN110799250B (en) Fire or other disaster evacuation facility in a building
KR101607133B1 (en) Emergency evacuation railings for apartment houses
KR101962656B1 (en) Disaster Escaping System Equipped with Gate for Skyscraper
KR102096210B1 (e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outer wall of building
KR101892255B1 (en)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KR101702044B1 (en)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KR101805060B1 (en) Corridor safety railing for building evacuation
KR20120000565U (en) Emergency ladder with crime prevention bar
KR20070060646A (en) Ladder structure for emergency escape from building
KR102252742B1 (en) Fire Escaping Apparatus for Two Neighbors
KR100613880B1 (en) Emergency shelter device using a handrail balcony
KR101153786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the fire place in the high building
KR101043592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1130970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1171248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1153908B1 (en) Ladder for evacuation
JP2004324283A (en) Ladder for escape
KR101922174B1 (en) Deployable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KR101153788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the fire place in the high building
JPH10127796A (en) Refuge hatch in construction structure
KR200349394Y1 (en) A veranda's refuge ladder
KR102612618B1 (en) 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KR100772972B1 (en) Escape device for emergency evac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