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210B1 -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outer wall of building - Google Patents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outer wall of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210B1
KR102096210B1 KR1020190098841A KR20190098841A KR102096210B1 KR 102096210 B1 KR102096210 B1 KR 102096210B1 KR 1020190098841 A KR1020190098841 A KR 1020190098841A KR 20190098841 A KR20190098841 A KR 20190098841A KR 102096210 B1 KR102096210 B1 KR 102096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device
emergency evacuation
lever
frame portion
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용
Original Assignee
정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용 filed Critical 정성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2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which facilitates restoration after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with an emergency exit comprises: a first frame unit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second frame unit to which a panel is attached and which is installed to come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ame unit; a third frame unit formed on both sides to connect the first frame unit and the second frame unit, and formed to be folded; a fourth frame unit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frame unit and the second frame unit, and formed to be folded; a ladder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frame unit to be spread towards the first frame unit by gravity when unlocked; a moving door unit formed on the fourth frame unit to move to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positioned on a lower floor; and a lever unit including a first lever rotatably formed on an emergency exit side to open the moving door unit and deploy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when unlocked, a second lever to be rotated when unlocked to clear fixation of the second frame unit, and a third lever to be rotated when unlocked to open the moving door unit.

Description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outer wall of building}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outer wall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건물 외벽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화재, 재난 등 비상 시에 작동되어 전개되므로써, 대피공간을 확보하고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안전한 상태에서 화재 초기진압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 후 복원이 용이한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that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is operated and deployed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disaster, thereby securing an evacuation space and evacuating the evacuator safely downstairs. It relates to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that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that not only makes it possible, but also allows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in a safe state and is easy to restore after use.

빌딩 또는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구조물에서 화재 발생시 현관문을 통해 탈출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면 창가 또는 발코니에 가서 구조를 기다리거나 화재 진압 실패로 인하여 화염에 휩싸인 놀란 대피자가 고층 건물에서 뛰어내리거나 추락하여 부상당하거나 사망에 이르는 인명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When a fire occurs in an architectural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or apartment house, if you encounter a situation where you cannot escape through the front door, go to a window or balcony and wait for the rescue, or a surprised evacuee who is caught in flames due to a fire extinguishing jump or fall from a high-rise building A human accident leading to injury or death is occurring.

종래에는 건축구조물의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발코니에 설치할 수 있는 하향식 피난구, 완강기 등과 같은 화재대피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화재 대피장치는 외부 침입자의 이동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하고, 대피자의 추락 위험에 취약하며, 화재 대피장치가 설비된 발코니에는 각종 생활용품 등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대피공간으로서 제 역할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fire evacuation devices such as a top-down evacuation device and a descender, which can be installed on a balcony, have been developed in preparation for a fire of a building structure. These fire evacuation devices are often used as a means of transport by external intruders, are vulnerable to the danger of fall of the evacuees, and various appliances are placed on the balcony equipped with fire evacuation device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lay a role.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640021호(발명의 명칭: 대피용 구조물)에는 건축물 외벽에 피구조인이 일시적으로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대피용 구조물을 개시한다. 이 대피용 구조물은 건축물 외벽의 개방된 부분에 피구조인이 대기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회전동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부 프레임과, 외부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있다. As an exampl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40021 (invention name: evacuation structure) discloses an evacuation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a space where the rescued person can temporarily wait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is evacuation structure includes an outer frame that is rotatably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rescued person can wait in an open par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 scaffolding part provided inside the outer frame and supporting the load. It contains.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036763호(발명의 명칭: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는 접이식으로 발코니 등에 설치된 화재 피난 대피시설을 개시하고 있다. 이 화재 피난 대피시설은 화재 발생시 건축물 외부로 판넬벽이 펼쳐져 대피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대피자가 화염과 유독가스로로부터 대피하고, 대피시설 내부에 체류하면서 구조를 기다리도록 개발되었다. 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36763 (invention name: fire evacuation facility) discloses a fire evacuation facility installed on a balcony or the like by folding. This fire evacuation facility was developed to allow evacuees to evacuate from flames and poisonous gas passages and wait inside the evacuation facility by securing the evacuation space by extending the panel walls outside the building in the event of a fire.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449380호(발명의 명칭: 비상탈출 시설)에는 비상시 난간이 전개되어 대피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다리를 통해 건물 밖으로 탈출하는 비상 탈출 시설을 개시한다.As another exampl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49380 (invention name: emergency escape facility) discloses an emergency escape facility in which an emergency railing is deployed to provide an evacuation space and escape through a ladder through a building.

그러나, 상기 제10-0640021호, 제10-1036763호의 경우 화재 등 비상시에 대피자가 화재 발생 장소에 머무르며 구조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화재 위험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날 수 없는 한계로 인하여 안전한 대피장소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제10-1449380호에서는 화재 발생 시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아래층으로 수직 피난시 대피시설의 바닥면에 형성된 대피통로가 항시 개방된 구조여서 고층에서 대피하는 경우 추락 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Nos. 10-0640021 and 10-1036763,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the evacuee stays in the place of the fire and has to wait for the rescue. There is a disadvantage, and in 10-1449380, it has the advantage of evacuating to the ground in the event of a fire, but when evacuating from a high floor because the evacuation rout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vacuation facility is always open when evacuating to the lower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risk of falling.

또한, 상기 제10-1449380호는 사용 후 고층에 위치하는 비상탈출 시설을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건물 외부에서 고소작업차 등을 이용해야만 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No. 10-1449380 has a disadvantage that it may be necessary to use a aerial vehicle outside the building to restore the emergency escape facility located on the high floor after us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화재, 재난 등 비상 시에 작동되어 전개되므로써, 대피공간을 확보하고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안전한 상태에서 화재 초기진압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 후 복원이 용이한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is operated and deployed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disaster, thereby securing an evacuation space and allowing the evacuee to safely evacuate to the lower level.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that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that enables initial fire suppression and is easy to restore after us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는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부; 판넬이 부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부 전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 프레임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연결시키되,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3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의 하단에 연결되되,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4 프레임부; 상기 제2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해제 시 중력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부 측으로 펼쳐지는 사다리부; 상기 제4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아래층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도어부 및 비상구측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잠금해제 시 비상대피장치를 전개시키고 상기 이동도어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제1 레버, 잠금해제 시 회동되어 상기 제2 프레임부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제2 레버 및 잠금해제 시 회동되어 상기 이동도어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제3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비상대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having an emergency exit; A second frame portion to which a panel is attached and installed to contact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ame portion; A third fram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to connect the first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formed to be foldable; A fourth frame part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and formed by folding; A ladder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unfolded toward the first frame portion by gravity when unlocking; It is formed on the fourth frame part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moving door part and the emergency exit side to be moved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located on the lower floor. When unlocking,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an be deployed and the movable door part can be opened. 1 lever,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cluding a lever portion including a second lever that is rotated when unlocked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a third lever that is rotated when unlocked to open the movable door portion Can provide.

또한, 상기 제2 프레임부는 상기 제2 레버가 걸려 상기 제2 프레임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레버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버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부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비상대피장치가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frame portion includes a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to enable the second frame portion to be fixed by engaging the second lever,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is released as the second lever is rotated to release the emergenc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vacuation device is deployed.

또한, 상기 제2 레버는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 레버걸림부가 걸려 안착될 수 있는 걸림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안착부는 상기 제2 레버걸림부의 지름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2 레버걸림부가 안착될 수 있는 곡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ever is formed in a hook shape, and includes a locking seating portion to which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is caught and seated, and the locking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2 may include a curvature portion to which the lever engaging portion can be seated.

또한, 상기 제3 프레임부는 2개의 사다리프레임이 대칭되게 경첩으로 연결되어 접힌상태로 설치되고, 잠금해제 시 펼쳐질 수 있는 경첩사다리부 및 상기 경첩사다리부 하측에 형성되되, 일단이 제1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추락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frame portion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the two ladder frames are symmetrically connected by a hinge, and is formed below the hinge ladder portion and the hinge ladder portion that can be unfolded when unlocked, and one end of the first frame portion It may include a fall prevention unit that is rotatably connected.

또한, 상기 추락방지부는 일단이 제1 프레임부 우측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잠금해제 시 타단이 우측으로 회동하여 제2 프레임부에 접하는 제1 추락방지부 및 일단이 제1 프레임부 좌측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잠금해제 시 타단이 좌측으로 회동하여 제2 프레임부에 접하는 제2 추락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ll preven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ight end of the first frame portion so that it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toward the rear side, 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and the one end contacting the second frame unit by rotating the other end to the right when unlocking. The first frame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inner surface and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toward the rear side, and when unlocking, the other end may rotate to the left to include a second fall prevention portion that contacts the second frame portion.

또한, 상기 제1 추락방지부는 일면에 중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추락방지부는 상기 제1 추락방지부 보다 상하방향의 길이가 작게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로 설치될 시 상기 중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fall prevention portion includes an overlapping groove on one surface, and the second fall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to have a smaller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first fall prevention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overlapping groove when installed in a folded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사다리부는 하단이 상기 제2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부 및 타단이 상기 수직부 상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잠금해제 시 상측이 제1 프레임부 측으로 회동되는 회동바; 일단이 상기 수평부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수평부와 중첩되게 설치되는 연결바 및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상기 연결바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사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dder portion includes a vertical portion at which the low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at which the other end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so that the upper side is rotated toward the first frame portion when unlocked. bar; One e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part, and may include a connecting bar installed to overlap the horizontal part and a ladder to which the other ends of the connecting bar are connected to both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이동도어부는 상기 제4 프레임부에 홀로 형성된 이동통로 및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로를 개폐하는 이동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door unit may include a movable door formed of a hole and a plate shape formed by a hole in the fourth frame unit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ourth frame unit to open and close the movable channel.

또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이동도어가 회동함에 따라 회동되어 아래층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를 전개시키는 제4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ver portion may include a fourth lever that rotates as the movable door rotates to deploy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located on the lower floor.

또한, 상기 비상대피장치는 상기 회동바 및 연결바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 상기 회동바 및 연결바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사다리부가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핀; 상기 제2 프레임부 내측면에 형성된 이동삽입관; 상기 고정핀과 이동와이어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삽입관에 삽입될 수 있는 이동핀 및 상기 이동삽입관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제1 프레임부 내측에 형성된 충돌판을 더 포함하여, 전개된 상기 비상대피장치를 다시 접을 시에,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가 접함에 따라 이동핀이 상기 충돌판과의 충돌에 의해 상기 이동삽입관에서 이탈되고 이동와이어에 의해 고정핀이 당겨져 고정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s a fixed hole formed in each of the pivot bar and the connecting bar;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pivoting bar and the connecting bar and fixed so that the ladder portion does not expand; A moving insertion tu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portion; Further comprising the collision pin formed inside the first fram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ement pin and the movement pin and the movement pin which is connected to the fixing pin and the moving wir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movement insertion tube, the deployed emergency evacuation When the device is folded again, as the first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come into contact, the moving pin is released from the moving insertion tube due to the collision with the collision plate, and the fixed pin is pulled by the moving wire and released from the fixed hol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상기 이동와이어는 상기 이동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핀이 당겨질 수 있도록 꺾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ing wi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pin can be pu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in.

또한, 상기 비상대피장치는 상기 제2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와이어에 꺾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와이어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formed on the second frame portion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moving wire so that a bent portion is formed on the moving wire.

또한, 상기 비상대피장치는 와이어가 연결된 접이핀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부에 형성된 제1 접이홀; 접이핀에 연결된 와이어가 관통되어 상기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내부에서 와이어를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비상구에 형성된 제2 접이홀 및 상기 제4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갈고리를 걸어 상기 제4 프레임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갈고리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갈고리걸림부에 갈고리를 걸어 제4 프레임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서 상기 접이핀에 연결된 와이어를 건물 내부에서 당기는 것으로 전개된 상기 비상대피장치를 다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may include a first fold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frame portion to detach and attach a folding pin to which a wire is connected; A second folding hole formed in the emergency exit and a fourth frame formed in the emergency exit so that the wire connected to the folding pin can be penetrated to pull the wire inside the building where the emergency exit is formed, and the hook can be hooked to lift the fourth frame upward. Including the hook engaging portion to enable, it is possible to re-fold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deployed by pulling the wire connected to the folding pin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while hooking the hook to the hook engaging portion and lifting the fourth frame portion upward. Is done.

또한, 상기 비상대피장치는 상기 건물 외벽에 형성된 소화전; 상기 소화전에 연결시킬 수 있는 소화호스 및 상기 소화호스를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판넬에 후면에 형성된 호스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s a fire hydrant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fire hos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fire hydrant and a hose storage part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panel may be further included to store the fire hose.

또한, 상기 비상대피장치는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된 보조사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uxiliary ladder portions respectively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frame portion.

또한, 상기 비상대피장치는 상기 제2 레버, 제3 레버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가 관통되어 한곳으로 모으는 와이어 수렴판 및 상기 와이어 수렴판을 관통한 와이어가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 제1 레버에 연결된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 wire converging plate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and the third lever, respectively, and collects them in one place, and a wire passing through the wire converging plate are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first lever to the other side. The wire connected to the wire may further include a wire connecting r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는 건물 외벽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화재, 재난 등 비상 시에 작동되어 전개되므로써, 대피공간을 확보하고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is operated and deployed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disaster, thereby securing an evacuation space and evacuating safely to the lower floor I can do it.

또한,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소화전, 호스 등이 구비되어 있어, 대피자가 대피공간에 위치하여 안전한 상태에서 화재를 초기 진압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및 대물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fire hydrants, hoses, etc. are provided to cope with fires, so that evacuees are located in evacuation spaces and can extinguish fires in a safe state, thereby reducing human and object damage.

또한, 레버부를 통해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설치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can be easily operated through the lever portion, so it is easy to use, easy to install, and low in installation cost.

또한, 작동시킨 후 별도의 큰 장치없이 각 층 건물 안에서 비상대피장치를 다시 접혀진 상태로 만들 수 있어, 사용 후 복원 비용 또한 저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fter operatio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an be re-folded in the building on each floor without a separate large device, so the cost of restoration after use is also inexpensi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건물 외벽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설치된 건물 내부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7은 도 5의 사다리부가 펼쳐지고 이동도어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8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의 레버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도 8의 제2 레버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의 사다리부가 사다리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제1 접이홀, 제2 접이홀 및 갈고리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소화전을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소화호스 및 호스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보조사다리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도어고정레버 및 도어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일부 절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보조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건물 내부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와이어 수렴판 및 와이어 연결링을 더 포함함에 따라 와이어 연결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a building exterio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building exterior wall.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s equipped with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l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l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der portion of FIG. 5 is unfolded and the movable door portion is opened.
Figure 8 (a) to (d)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ever portion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second lever of Fig. 8;
Figure 10 (a) and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der portion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and released by the ladder fixing.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urther includes a first folding hole, a second folding hole, and a hook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urther includes a fire hydr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urther includes a fire hose and a hos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lad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artially cutaway view showing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door fixing lever and a door hanging part.
Figure 1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side the build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op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re connection state a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ire converging plate and a wire connecting ring.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convers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in meaning to themselves,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compon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have"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nd understood to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7.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건물 외벽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설치된 건물 내부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사다리부가 펼쳐지고 이동도어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8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의 레버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2 레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의 사다리부가 사다리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제1 접이홀, 제2 접이홀 및 갈고리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소화전을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소화호스 및 호스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보조사다리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도어고정레버 및 도어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일부 절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보조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건물 내부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가 와이어 수렴판 및 와이어 연결링을 더 포함함에 따라 와이어 연결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nd FIG. 4 is an exterior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lded state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i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xample is unfolded, and FIG. 7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der part of FIG. 5 is unfolded and the movable door part is opened. It is an attempt, and FIGS. 8 (a) to 8 (d)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lever part of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econd lever of FIG. 8 A side view showing, and Figure 10 (a) and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der part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and released by the ladder fixing part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further includes a first folding hole, a second folding hole, and a hooking portion, and FIG. 12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fire hydrant, and FIG. 13 shows tha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e hose and a hose. Figure that includes more storage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and FIG.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ladder, and FIG. 15 is a building oute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 cut-awa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door further includes a door fixing lever and a door hanging part, and FIG. 16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opening part i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building oute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uilding showing the appearance, and FIG. 17 shows the wire connection state a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ire converging plate and a wire connecting ring. It is an example diagram show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이하 '비상대피장치'라 함)(1)는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외벽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가 비상 시 작동하여 전개되는 것으로, 대피공간을 제공하고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이동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ere the emergency exit is formed, and is operated and deployed in an emergency. It is to provide evacuation space and to move safely downstairs so that they can evacuat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1)는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제3 프레임부(30), 제4 프레임부(40), 사다리부(50), 이동도어부(60) 및 레버부(7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portion 10, a second frame portion 20, and a third frame portion 30 ), A fourth frame portion 40, a ladder portion 50, a moving door portion 60 and a lever portion 70.

먼저, 제1 프레임부(10)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frame portion 10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제2 프레임부(20)는 전면에 판넬(200)이 부착되고 제1 프레임부(10) 전면측에 제1 프레임부(10)와 평행되게 위치되어 제1 프레임부(10)와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경우 제1 프레임부(10)와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The second frame portion 20 is installed so that the panel 200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and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first frame portion 10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to contact the first frame portion 10.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part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러한 제2 프레임부(20)는 제1 프레임부(10)와 같이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프레임부(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rame portion 20 may be formed as a frame having a square shape like the first frame portion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ame portion 10.

이때, 판넬(200)이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의 프레임 내부에 격자 모양 또는 'ㅗ'자 형상 등의 프레임이 더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rame such as a lattice shape or a 'ㅗ' shape may be further form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so that the panel 200 can be easily attached.

또한, 판넬(200)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1)를 비, 눈, 바람, 먼지 등 외부 요소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건물 외부에서 비상대피장치(1)를 바라볼 경우 외관상으로도 거슬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더 미려할 수 있도록 도형, 그림 등의 디자인이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anel 200 not only protect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outdoors, from external elements such as rain, snow, wind, and dust, but also looks a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from outside the building. In this case, it can be made to be unobtrusive even in appearance. In addition, designs such as figures and drawings may be shown to be more visually beautiful.

또한, 제2 프레임부(20)는 제2 프레임부(20)가 고정되어 비상대피장치(1)가 접힌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레버걸림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rame portion 20 may include a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201 so that the second frame portion 20 is fixed so tha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can be installed in a folded state.

제2 레버걸림부(201)는 원형 바의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프레임부(20)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제2 레버(701)가 걸릴 수 있다.The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201 is formed in a 'b' shape of a circular bar, and one or mor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so that the second lever 701 may be caught.

이때, 제2 레버걸림부(201)는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위해 제2 프레임부(20)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the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201 is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for fixing force so that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0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y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제2 레버걸림부(201)에 제2 레버(701)가 걸림에 따라 제2 프레임부(20)가 고정될 수 있고, 제2 레버(701)가 회동되면 제2 레버(701)가 제2 레버걸림부(201)에서 이탈되어 제2 프레임부(20)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수 있다.As the second lever 701 is locked to the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201, the second frame portion 20 may be fixed, and when the second lever 701 is rotated, the second lever 701 is removed. 2 It can be released from the lever engaging portion 201, the fixing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can be released. Accordingly,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may be deployed.

제3 프레임부(30)는 1 프레임부(10) 및 제2 프레임부(20) 양측에 형성되어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제1 프레임부(10) 및 제2 프레임부(20)의 사이를 연결시킬 수 있다.The third frame portion 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0 and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0,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0.

이때, 비상대피장치(1)가 접히고 펴질 수 있도록, 제3 프레임부(30)는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frame portion 30 may be formed to be foldable so tha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can be folded and unfolded.

이러한 제3 프레임부(30)는 경첩사다리부(300) 및 추락방지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frame part 30 may include a hinge ladder part 300 and a fall prevention part 301.

경첩사다리부(300)는 2개의 사다리프레임이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대칭되게 설치되고, 서로 경첩으로 연결되어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inge ladder portion 300 is two ladder frames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0, respectively, and symmetrically instal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hinges to form a folding structure. .

이에 경첩사다리부(300)는 접힙상태로 설치되며, 잠금해제 시 펼?질 수 있다. 이때, 경첩사다리부(300)는 경첩으로 연결된 부분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어, 제2 프레임부(20)의 고정이 해제되면 토션스프링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져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inge ladder part 300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and can be opened or closed when unlocked. At this time, the hinge ladder part 300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in the part connected by the hinge, and when the fixing of the second frame part 20 is released, it is automatically unfolded by the force of the torsion spring and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It can be done.

또한, 경첩사다리부(300)는 사다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사다리프레임을 이용하여 비상대피장치(1)의 측면을 이룸으로써, 대피자가 사다리부(50)외에도 제3 프레임부(30)를 이용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nge ladder part 300 forms a side surface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using a ladder frame made of a ladder shape, so that the evacuee can evacuate using the third frame part 30 in addition to the ladder part 50. I can do it.

추락방지부(301)는 경첩사다리부(300) 하측에 형성되되, 일단이 제1 프레임부(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비상대피장치(1)의 잠금해제 시 제2 프레임부(20)의 고정이 해제됨에 따라 후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타단이 측면측으로 회동하여 펼쳐져 제2 프레임부(20)에 접할 수 있다.The fall prevention unit 301 is formed under the hinge ladder portion 300,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unit 10, the second frame unit 20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unlocked As the fixing of the) is released, the other end can be rotated to the side and unfolded in the state folded to the rear side to contact the second frame portion 20.

이때, 경첩사다리부(300)도 일단 측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어, 경첩사다리부(300)와 같이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hinge ladder portion 300 is also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on one side, it can be automatically unfolded like the hinge ladder portion 300.

이에 추락방지부(301)는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시 측면 하부측을 막아주어 대피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all prevention unit 301 can prevent the evacuator from falling by blocking the lower side of the side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또한, 추락방지부(301)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어 있어, 경첩사다리부(300)를 이용한 대피자가 발을 딛일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all prevention unit 301 may be used as a space for evacuators using the hinged ladder unit 300 to step on, since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open.

또한, 추락방지부(301)는 비상대피장치(1) 설치 시(접힌상태 형성 시) 부피를 최소화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1 추락방지부(301a) 및 제2 추락방지부(301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ll prevention unit 301 is 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301a and 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to minimize the volume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installed (when forming a folded state) and efficiently use the space. ).

제1 추락방지부(301a)는 일단이 제1 프레임부(10) 우측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잠금해제 시 타단이 우측으로 회동하여 제2 프레임부(20)에 접할 수 있다.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301a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ight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unit 10 and folded to the rear side, so that the other end rotates to the right when unlocking the second frame unit 20 You can contact.

이때, 제1 추락방지부(301a)는 제2 추락방지부(301b)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중첩될 수 있도록 중첩홈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fall prevention portion 301a may include an overlapping groove so that the second fall prevention portion 301b is accommodated inward and overlapped.

중첩홈은 제1 추락방지부(301a) 일면에 형성되되, 제2 추락방지부(301b)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비상대피장치(1) 설치 시 제2 추락방지부(301b)가 중첩홈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1 추락방지부(301a)와 제2 추락방지부(301b)가 중첩되어 부피를 최소한으로 차지할 수 있다.The overlapping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fall prevention portion 301a,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ll prevention portion 301b. Accordingly,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installed, 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is inserted into the overlapping groove, so that 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301a and 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overlap and occupy a minimum volume. have.

제2 추락방지부(301b)는 일단이 제1 프레임부(10) 좌측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잠금해제 시 타단이 좌측으로 회동하여 제2 프레임부(20)에 접할 수 있다.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unit 10 and folded to the rear side, so that the second end rotates to the left when unlocking, and the second frame unit 20 You can contact.

이때, 제2 추락방지부(301b)는 중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추락방지부(301a) 보다 상하방향의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301a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overlapping groove.

제4 프레임부(40)는 전개 시 대피자가 발을 딛일 수 있는 발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양단이 제1 프레임부(10) 및 제2 프레임부(20)의 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접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4 프레임부(4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ourth frame portion 40 serves as a scaffold for evacuators to step on when deployed, and both end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0, respectively. It can be formed to be folded and installed in a folded state. At this time, the fourth frame portion 40 may be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제4 프레임부(40)는 전후방향의 중앙에 좌우방향을 따라 축이 형성된 경첩이 형성되어 접힐 수 있는데, 경첩을 기준으로 전후단이 후측으로 회동하여 경첩이 형성된 중앙이 상측으로 올라가는 것으로 접힐 수 있고, 전후단이 상측으로 회동하고 경첩이 형성된 중앙이 하측으로 내려가는 것으로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fourth frame portion 40 may be folded by a hinge form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front-rear end rotates to the rear side based on the hinge, so that the center where the hinge is formed rises upward. It can be folded, and the front and rear ends can be unfolded by pivoting upwards and the hinged center lowering downwards.

이때, 제4 프레임부(40) 하면의 경첩이 형성된 부분에 토션스프링이 형성됨으로써, 펼쳐지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힘을 주어 펼쳐질 때 무게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rsion spring is formed in the hing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ourth frame part 40, so that a force appli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unfolded can alleviate the impact caused by the weight when unfolding.

사다리부(50)는 제2 프레임부(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해제 시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됨에 따라 중력에 의해 제1 프레임부(10) 측으로 펼쳐져 사다리(502)에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ladder portion 5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frame portion 20, as shown in FIG. 7, the first frame portion by gravity a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when unlocking ( 10) It can be spread to the side to form a space to support the foot on the ladder (502).

즉, 사다리부(50)는 비상대피장치(1)가 접혀진 상태로 설치될 경우 판넬(200)과 인접되게 접혀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가, 제3 프레임부(30), 제4 프레임부(40)가 펼쳐져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중력에 의해 제1 프레임부(10)측으로 펼쳐져 판넬(200)과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ladder unit 50 is provided in a folded state adjacent to the panel 200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and then the third frame part 30 and the fourth frame part 40 ) A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0 is unfolded and unfolded toward the first frame portion 10 by gravity, the panel 200 and the spaced apart space may be formed.

이와 같은 사다리부(50)는 중력에 의해 펼쳐질 수 있도록 무게 중심이 제1 프레임부(10) 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회동바(500), 연결바(501) 및 사다리(502)를 포함할 수 있다.It is important that the ladder portion 50 has a center of gravity formed toward the first frame portion 10 so that it can be unfolded by gravity, and for this purpose, includes a rotating bar 500, a connecting bar 501, and a ladder 502 can do.

회동바(500)는 4개가 제2 프레임부(20)에 사각 형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잠금해제 시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됨에 따라 상측이 제1 프레임부(10)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The rotating bar 5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portion 20 in a square shape at regular intervals to be rotatable, and a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when unlocking,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 Side.

구체적으로, 회동바(500)는 수직부(500a) 및 수평부(500b)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tation bar 500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500a and a horizontal portion 500b.

수직부(500a)는 하단이 제2 프레임부(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500a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portion 20.

수평부(500b)는 타단이 수직부(500a) 상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일단에 연결바(501)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500b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500a, and the connection bar 50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연결바(501)는 일단이 수평부(500b)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이 사다리(502)에 연결되어, 수평부(500b)와 중첩되게 설치되고, 잠금해제 시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됨에 따라 회동바(500)가 회전하여 회동바(500)의 수평부(500b)와 수직 상태가 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ar 501 has one end pivo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part 500b, bu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adder 502, so as to overlap with the horizontal part 500b, and when the lock is released,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As it is deployed, the rotating bar 500 rotates to be in a vertical state with the horizontal portion 500b of the rotating bar 500.

사다리(502)는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연결바(501)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판넬(200)과 인접되게 설치되고, 잠금해제 시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됨에 따라 회동바(500)가 회전하여 펼쳐지는 것으로 판넬(200)과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Ladder 502,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ar 501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panel 200, and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when the lock is released, the rotating bar 500 rotates. By being unfolded, the panel 200 may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에 판넬(200)과 사다리(502)간에 이격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대피자가 사다리(502)를 용이하게 밟고 대피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the space between the panel 200 and the ladder 502 is formed, the evacuee can easily step on the ladder 502 and evacuate.

이러한 사다리부(50)는 상기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사다리부(50)의 무게 중심이 제1 프레임부(10)측으로 형성됨으로써,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되면 중력에 의해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As the ladder portion 5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adder portion 50 is formed toward the first frame portion 10, so that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it can be unfolded by gravity.

이동도어부(60)는 제4 프레임부(40)에 형성되어 아래층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1)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동통로 및 이동도어(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door unit 60 is formed in the fourth frame unit 40 to move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located on the lower layer, and may include a moving passage and a moving door 600.

이동통로는 제4 프레임부(40)에 홀로 형성되어 대피자가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vement passage is formed with a hole in the fourth frame portion 40 so that the evacuator can move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이동도어(6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 프레임부(4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통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제3 레버(702)가 회동함에 따라 이동도어가 회동하여 이동통로를 개방하면 대피자가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로 이동할 수 있다.The movable door 6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ourth frame portion 40 to open and close the movable passage. As the third lever 702 rotates, the movable door rotates to open the movable passage. The evacuee can then move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또한, 이동도어(600)는 이동통로 개방 시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로 이동하는 대피자가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사다리부(50)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손잡이(60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door 600 is a handle 601 so that the evacuator moving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can easily evacuate to the ladder portion 50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when the movement passage is opened. It may include.

손잡이(601)는 이동도어(600)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대피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handle 601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bile door 600 so that the evacuee can easily grip it.

레버부(70)는 접혀진 상태로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를 잠금해제 시켜 전개시키는 것으로, 제1 레버(700), 제2 레버(701) 및 제3 레버(70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r part 70 unlocks and deploy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in a folded state, and may include a first lever 700, a second lever 701, and a third lever 702.

제1 레버(700)는 건물 내부 비상구측에 설치되고,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어, 대피자에 의해 회동함에 따라 연결된 와이어를 당겨 비상대피장치(1)를 펼칠 수 있다. 즉,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제2 레버(701)가 회동되도록 하여 비상대피장치(1)의 잠금을 해제시켜 전개시키는 것이다.The first lever 700 is installed on the emergency exit side of the building, and as shown in FIG. 8 (a), is formed to be rotatable and the wires are connected, so as to be rotated by an evacuator, the connected wires are pulled for emergency. The evacuation device 1 can be unfolded. That is, the second lever 701 connected by the wire is rotated so tha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unlocked and deployed.

또한, 제1 레버(700)는 와이어를 통해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제3 레버(702)와도 연결되어 있어, 회동함에 따라 제3 레버(703)도 회동시켜 이동도어부(60)를 개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ever 700 is also connected to the third lever 702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through a wire, so as to rotate, the third lever 703 also rotates to move the door 60 Can be opened.

제2 레버(701)는 제2 레버걸림부(201)와 상응되게 제1 프레임부(10)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제1 레버(700)에 연결된 와이어가 연결되어, 제1 레버(700)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어 제2 프레임부(2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second levers 70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to correspond to the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201, and wires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7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I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700) can release the fixing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즉, 제2 레버(701)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버(700)의 회동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지면 회동하여 제2 레버걸림부(201)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제2 프레임부(2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lever 701 is rotated when the wire is pull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lever 700, as shown in FIG. 8 (b), so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201 is released.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또한, 제2 레버(701)는 바람 등 외부 환경에 의해 비상대피장치(1)가 흔들리거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ever 701 may be formed as illustrated in FIG. 9 so tha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not shaken or generated by an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wind.

구체적으로, 제2 레버(701)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 레버걸림부(201)가 걸려 안착될 수 있는 걸림안착부(701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lever 701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but may include a catch seating portion 7010 in which the second lever catching portion 201 is caught and seated.

걸림안착부(7010)는 제2 레버(701) 하측에 형성되어 제2 레버(701)의 회동에 따라 제2 레버걸림부(201)가 수용되어 안착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The engaging seating portion 7010 is formed under the second lever 701 so that the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201 is accommodated and seated or relea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lever 701.

이때, 걸림안착부(7010)는 안착된 제2 레버걸림부(201)가 이동되지 않고 견고히 안착되도록 곡률부(7010a)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gaging seating portion 7010 may include a curvature portion 7010a so that the seated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201 does not move and is firmly seated.

곡률부(7010a)는 제2 레버걸림부(201)의 지름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걸림안착부(7010)에 수용된 제2 레버걸림부(201)가 그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curvature portion 7010a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201, so that the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201 accommodated in the engaging seat 7010 can be seated in its position. do.

이에 비상대피장치(1)가 접혀진 상태로 설치될 시에 바람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흔들리거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it may not be shaken or generated by an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wind.

제3 레버(702)는 이동도어부(60)의 이동도어와 연결되고, 제1 레버(700)에 연결된 와이어가 연결되어,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버(700)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어 이동도어를 회동시켜 이동도어부(60)를 개방시킬 수 있다.The third lever 702 is connected to the moving door of the moving door unit 60, and a wire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700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8 (c), the first lever 700 )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vable door to rotate to open the movable door unit 60.

또한, 레버부(70)는 제4 레버(7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ver portion 7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lever 703.

제4 레버(703)는 이동도어가 회동함에 따라 회동되어 아래층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1)를 전개시킬 수 있다.The fourth lever 703 is rotated as the moving door rotates to deploy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located on the lower floor.

구체적으로, 제4 레버(703)는 제4 프레임부(4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도어 상면에 거치되도록 설치되고, 와이어에 의해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제2 레버(701)와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ourth lever 70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ourth frame portion 40, is installed to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door, and the second lever 701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by a wire. ).

이에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도어가 회동하여 이동통로가 개방될 시 이동도어의 회동에 따라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회동하여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제2 레버(701)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를 당겨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를 전개시킬 수 있다.8 (d), the second lever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is rotated while being lifted upward and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ving door when the moving door is rotated and the moving passage is opened. 701) by pulling the wire connected to the lower floor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can be deployed.

이와 같이 레버부(70)를 통해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되고 이동도어부(60)가 개방되며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까지 전개되도록 하여 대피자의 대피가 좀 더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through the lever part 70, the mobile door part 60 is opened, and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is also deployed, so that evacuation of the evacuator is more easily and quickly. Can be don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1)는 사다리고정부(80), 제1 접이홀(90), 제2 접이홀(91) 및 갈고리걸림부(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10 and 11,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dder fixing unit 80, a first folding hole 90, and a second folding hole 91.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hook engaging portion (92).

상기와 같은 구성들은 비상대피장치(1)를 잠금해제 시켜 전개시킨 후 별도의 큰 장치없이 각 층 건물 안에서 비상대피장치(1)를 다시 접혀진 상태로 용이하게 재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above structures are intended to facilitate the reinstallation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 a folded state in each floor building without a separate large device after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unlocked and deployed.

먼저, 사다리고정부(80)는 전개된 비상대피장치(1)를 다시 접을 때 사다리부(50)를 고정하여 걸리는 것 없이 비상대피장치(1)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하며, 비상대피장치(1)가 접힘과 동시에 고정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됨에 따라 사다리부(50)가 중력에 의해 펼쳐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irst, the ladder fixing unit 80 secures the ladder unit 50 when the folded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folded again, so tha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can be easily folded without being caught, and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 1) by fixing the release at the same time as the folding,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can be made to expand the ladder portion 50 by gravity as the deployment.

이를 위해, 사다리고정부(80)는 고정홀(800), 고정핀(801), 이동삽입관(802), 이동핀(803) 및 충돌판(804)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ladder fixing unit 80 may include a fixing hole 800, a fixing pin 801, a moving insertion tube 802, a moving pin 803, and a collision plate 804.

고정홀(800)은 회동바(500)의 수평부(500b) 및 연결바(501)에 각각 형성되되, 수평부(500b)와 연결바(501)가 중첩되게 설치될 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hole 800 is formed on the horizontal portion 500b and the connection bar 501 of the rotation bar 500, respectively, and is position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when the horizontal portion 500b and the connection bar 501 are installed to overlap each other. Can be formed.

고정핀(801)은 회동바(500)의 수평부(500b) 및 연결바(501)에 각각 형성된 고정홀(800)에 동시에 삽입되어 사다리부(50)가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핀(801)은 이동와이어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xing pin 801 may be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800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500b and the connecting bar 501 of the rotating bar 500 to fix the ladder portion 50 from being unfolded. At this time, the fixing pin 801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wire.

이동삽입관(802)은 제2 프레임부(20) 내측면에 형성되어, 이동핀(803)이 삽입될 수 있다.The movement insertion tube 80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so that the movement pin 803 can be inserted.

이동핀(803)은 고정핀(801)과 이동와이어로 연결되고 이동삽입관에 삽입될 수 있다.The moving pin 803 is connected to the fixing pin 801 and the moving wir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moving insertion tube.

충돌판(804)은 이동삽입관(802)의 위치에 대응되게 제1 프레임부(10) 내측에 형성되어, 이동핀(803)과 충돌하여 이동핀(803)이 이동삽입관(802)에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llision plate 804 is formed inside the first frame portion 1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movement insertion pipe 802, and the movement pin 803 collides with the movement pin 803 so that the movement pin 803 is in the movement insertion pipe 802. You can let it escape.

여기서, 이동와이어는 이동핀(803)의 이동에 따라 고정핀(801)이 확실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꺾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와이어에 수직으로 꺾여진 꺾임부가 형성되어야만 좌우방향으로 위치되는 고정핀(801)이 전후방향으로 위치되어 충돌에 의해 전측으로 이동하는 이동핀(803)의 이동에 의해 확실하게 당겨져 고정홀(800)에서 이탈될 수 있다.Here, the moving wire may be formed with a bent portion so that the fixing pin 801 can be reliably pu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in 803. The fixing pin 801, which is position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ly when the bent portion vertically bent is formed in the moving wire, is positio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reliably pulled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pin 803 moving forward by collision. You can deviate from (800).

이를 위해, 사다리고정부(80)는 롤러(8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ladder fixing unit 80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805.

롤러(805)는 제2 프레임부(20)에 형성되어 이동와이어에 꺾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이동와이어의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roller 805 may be formed on the second frame portion 20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moving wire so that a bent portion is formed on the moving wire.

이와 같은 구성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비상대피장치(1)를 다시 접을 시에,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접함에 따라 이동핀(803)이 충돌판(804)과의 충돌에 의해 이동삽입관(802)에서 이탈되고 이동와이어에 의해 고정핀(801)이 당겨져 고정홀(800)에서 이탈되어 사다리부(50)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0, when the deployed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folded again, the moving pin 803 as the first frame part 10 and the second frame part 2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 Is disengaged from the movement insertion tube 802 by collision with the collision plate 804, and the fixing pin 801 is pulled by the moving wire and detached from the fixing hole 800, so that the fixing of the ladder part 50 is released. You can.

이는 사다리부(50)가 중력에 의해 펼쳐진 상태에서는 비상대피장치(1)를 다시 접기에 제3 프레임부(30) 등과 걸려 완전히 접할 수 없기 때문에, 사다리고정부(80)를 통해 사다리부(50)를 접힌 상태로 고정시켜 용이하게 비상대피장치(1)를 접고 자동으로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ladder unit 50 is in the unfolded state by gravity,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cannot be ful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hird frame unit 30 or the like by folding again, so the ladder unit 50 is provided through the ladder fixing unit 80. ) Is fixed in a folded state to easily fold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and automatically release the fixing so that it can be used again.

제1 접이홀(90)은 와이어가 연결된 접이핀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부(20)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olding hole 9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rame portion 20 to detach and attach the folding pin to which the wire is connected.

제2 접이홀(91)은 비상구에 형성되어, 접이핀에 연결된 와이어가 관통되어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내부에서 와이어를 당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folding hole 91 is formed in the emergency exit, so that the wire connected to the folding pin can penetrate to pull the wire in the building where the emergency exit is formed.

여기서, 제2 접이홀(91)은 건물 내부에서 접이핀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접이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접이홀(91)을 통해 드라이버 등 다른 장비들을 이용하여 접이핀을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Here, the second folding hole 91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folding pin to facilitate detachment of the folding pin inside the buil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devices such as a driver may be used through the second folding hole 91. You can also remove the folding pin.

갈고리걸림부(92)는 제4 프레임부(40)에 형성되어 갈고리를 걸어 제4 프레임부(40)를 상측으로 살짝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The hook engaging portion 92 is formed on the fourth frame portion 40 so as to hook the hook and lift the fourth frame portion 40 slightly upward.

이를 통해, 비상대피장치(1)는 전개된 비상대피장치(1)를 다시 접고자 할 경우, 사다리고정부(80)로 사다리부(50)를 고정시키고 제1 접이홀(90)에 접이핀을 부착한 다음 접이핀에 연결된 와이어를 제2 접이홀(91)로 관통시킨 후, 건물 내부에서 갈고리를 갈고리걸림부(92)에 걸어 제4 프레임부(40)를 상측으로 살짝 들어올린 다음 와이어를 당기는 것으로 제2 프레임부(20)를 제1 프레임부(10) 측으로 끌어 당겨 비상대피장치(1)를 다시 접을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wants to fold the deployed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again, the ladder portion 50 is fixed with the ladder fixing unit 80 and the folding pin is placed in the first folding hole 90. After attaching and penetrating the wire connected to the folding pin through the second folding hole 91, the hook is hooked to the hooking portion 92 inside the building, and the fourth frame portion 40 is slightly lifted upwards, and then wired. By pulling the second frame portion 20 to the first frame portion 10 side,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can be folded agai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1)는 소화전(93), 소화호스(94) 및 호스보관부(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12 and 13,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e hydrant 93, a fire hose 94 and a hose storage portion 95 have.

소화전(93)은 건물 외벽에 비상대피장치(1) 일측에 비상대피장치(1)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fire hydrant 93 may be formed along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one side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소화호스(94)는 소화전(93)에 연결시킬 수 있고, 소화전(93)에 연결되어 소화전(93)으로부터 급수 받아 화재 시 물을 건물에 뿌릴 수 있도록 한다.The fire hose 94 can be connected to the fire hydrant 93 and is connected to the fire hydrant 93 to receive water from the fire hydrant 93 so that water can be sprinkled on the building during a fire.

호스보관부(95)는 소화호스(94)를 보관할 수 있도록 판넬(200)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hose storage portion 95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anel 200 to store the fire hose 94.

이에 화재 발생 시 대피자가 비상대피장치(1)에 대피한 상태에서 화재초기진압을 할 수 있어 다른 대피자의 대피를 도울 수 있고 화재 피해가 최소화도록 할 수도 있다.Accordingly, in the event of a fire, the evacuator can extinguish the initial fire in the state of evacuation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to help evacuate other evacuees and minimize fire damage.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1)는 보조사다리부(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14,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ladder portion 96.

보조사다리부(96)는 제2 프레임부(2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층간의 높이가 높아 층마다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1)의 거리가 커질 경우 보조사다리를 통해 층간의 비상대피장치(1)의 거리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대피자의 무서움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auxiliary ladder portion 96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and thus the height between the floors is high,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s 1 installed on each floor is increased through the secondary ladder. The distance betwe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s 1 between the floors is minimized, thereby reducing the fear of evacuators and enabling safe evacua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1)의 이동도어(600)는 도어걸림부(602)를 더 포함하고, 제2 프레임부(20)는 도어고정레버(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동도어(600)가 회동되어 이동통로가 개방될 시, 이동도어(600)가 다시 닫혀짐에 따라 대피자가 다치는 사고를 방지하고 손잡이(601)를 잡고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15, the mobile door 600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oor hung portion 602, the second frame portion 20 A door fixing lever 202 may be further included. This is a configuration to prevent the evacuee from being injured as the mobile door 600 is closed again and to easily evacuate by holding the handle 601 when the mobile door 600 is rotated and the mobile passage is opened again. .

도어걸림부(602)는 원형 바의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도어(6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도어고정레버(202)가 걸릴 수 있다.The door hung portion 602 is formed in a 'b' shape of a circular bar, and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mobile door 600 so that the door fixing lever 202 can be caught.

이와 같이 도어걸림부(602)가 도어고정레버(202)에 걸림에 따라 이동도어(600)가 고정되어 닫히지 않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door 600 is fixed and may not be closed as the door engaging portion 602 is caught by the door fixing lever 202.

도어고정레버(202)는 제2 프레임부(20)에서 이동도어(600)의 도어걸림부(602)와 상응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동도어(600)가 개방되면서 도어걸림부(602)의 이동에 따라 도어걸림부(602)가 걸려 이동도어(600)가 닫히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The door fixing lever 202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can correspond to the door catching part 602 of the mobile door 600 in the second frame part 20, and the door catching part 602 is opened while the mobile door 600 is opened. ), The door hanging part 602 is cau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so that the moving door 600 is not closed.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1)는 보조개구부(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6,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opening (97).

보조개구부(97)는 비상구 문에 형성되어, 비상대피장치(1)는 전개된 비상대피장치(1)를 다시 접고자 할 경우, 비상구는 닫고 보조개구부(97)를 열어, 이를 통해 비상대피장치(1)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auxiliary opening 97 is formed on the door of the emergency exit, and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attempts to fold the deployed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again, the emergency exit is closed and the auxiliary opening 97 is opened, through which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can be easily folded.

이때, 보조개구부(97)는 아무나 열지 못하도록 잠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opening 97 may include a locking device to prevent anyone from opening it.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1)는 와이어 수렴판(98) 및 와이어 연결링(99)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re converging plate 98 and a wire connecting ring 99.

와이어 수렴판(98)은 비상대피장치(1)에서 제2 레버(701), 제3 레버(702) 등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를 한 곳으로 모으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wire converging plate 98 may serve to collect wires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701 and the third lever 702 in one place i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이를 위해, 와이어 수렴판(98)은 2개 이상의 와이어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고, 와이어삽입홀에 제2 레버(701), 제3 레버(702), 제4 레버(703) 등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를 관통시키는 것으로, 다수의 와이어를 한 위치로 모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비상대피장치(1)의 제2 레버(701), 제3 레버(702), 제4 레버(703)에 연결된 와이어뿐만 아니라 아래층, 위층 등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에 포함되는 와이어 연결링(99)과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도 와이어 수렴판(98)의 와이어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wire converging plate 98 may include two or more wire insertion holes,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lever 701, the third lever 702, and the fourth lever 703 to the wire insertion hole. By passing through the wires, a plurality of wires can be collected in one location. At this time, as well as the wires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701, the third lever 702, and the fourth lever 703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the wires included i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the upper floor, etc. The wire connected to the ring 99 may also be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hole of the wire converging plate 98.

와이어 연결링(99)은 일측에 와이어 수렴판(98)을 관통하는 와이어들이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제1 레버(700)에 연결된 와이어가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레버(700)를 당기는 것으로 와이어 연결링(99)이 당겨져 와이어 연결링(99)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들이 동시에 당겨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레버(701), 제3 레버(702)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래층, 위층 등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도 현재층의 비상대피장치(1)와 같이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wire connecting ring 99, wires penetrating the wire converging plate 98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and a wire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70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ccordingly, the wire connecting ring 99 is pulled by pulling the first lever 700 so that the wires connected to the wire connecting ring 99 can be pull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the second lever 701 and the third lever 702 can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and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the upper floor, and the like can be deployed like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current floor. You can.

이와 같은, 와이어 수렴판(98) 및 와이어 연결링(99)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도 17의 제2 레버(701)에 연결된 와이어(701a,b,c,d), 아래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에 포함되는 와이어 연결링(99)에 연결되는 와이어(UW1, UW2), 제1 레버(700)에 연결되는 와이어(700a)를 예시로 설명하도록 한다.In order to make the wire converging plate 98 and the wire connecting ring 99 easy to understand, the wires 701a, b, c, and d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701 of FIG. 17 are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The wires UW1 and UW2 connected to the wire connecting ring 99 included in the evacuation device 1 and the wire 700a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7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701a,b,c,d, UW1)가 와이어 수렴판(98)의 와이어삽입홀에 관통되고, 와이어 수렴판(98)에 연결된 와이어(701a,b,c,d, UW1)가 와이어 연결링(99) 일측에 각각 묶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연결링(99) 타측에 와이어(700a)가 연결되는 것으로 제1 레버(700)의 작동에 의해 제2 레버(701),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가 모두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와이어(UW2)가 제4 레버(703)에 따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이동도어(600)가 열어짐에 따라 제4 레버(703)가 회동되어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wires 701a, b, c, d, and UW1 are penetrated through the wire insertion hole of the wire converging plate 98, and wires 701a, b, c connected to the wire converging plate 98 are connected. , d, UW1) may be connected to each side of the wire connecting ring 99. 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wire 700a to the other side of the wire connecting ring 99, the second lever 701 and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may be interlocked and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lever 700. It is. At this time, the wire UW2 may be separately connected to the fourth lever 703, and as the mobile door 600 is opened, the fourth lever 703 is rotated so tha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is formed. Can be deployed.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는 건물 외벽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화재, 재난 등 비상 시에 작동되어 전개되므로써, 대피공간을 확보하고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is operated and deployed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disaster, thereby securing an evacuation space and evacuating the lower floor You can safely evacuate.

또한,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소화전, 호스 등이 구비되어 있어, 대피자가 대피공간에 위치하여 안전한 상태에서 화재를 초기 진압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및 대물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fire hydrants, hoses, etc. are provided to cope with fires, so that evacuees are located in evacuation spaces and can extinguish fires in a safe state, thereby reducing human and object damage.

또한, 레버부를 통해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설치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can be easily operated through the lever portion, so it is easy to use, easy to install, and low in installation cost.

또한, 작동시킨 후 별도의 큰 장치없이 각 층 건물 안에서 비상대피장치를 다시 접혀진 상태로 만들 수 있어, 사용 후 복원 비용 또한 저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fter operatio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an be re-folded in the building on each floor without a separate large device, so the cost of restoration after use is also inexpensive.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is not limiting.

1: 비상대피장치
10: 제1 프레임부
20: 제2 프레임부
200: 판넬
201: 제2 레버걸림부
202: 도어고정레버
30: 제3 프레임부
300: 경첩사다리부
301: 추락방지부
301a 제1 추락방지부
301b: 제2 추락방지부
40: 제4 프레임부
50: 사다리부
500: 회동바
500a: 수직부
500b: 수평부
501: 연결바
502: 사다리
60: 이동도어부
600: 이동도어
601: 손잡이
602: 도어걸림부
70: 레버부
700: 제1 레버
701: 제2 레버
7010: 걸림안착부
7010a: 곡률부
702: 제3 레버
703: 제4 레버
80: 사다리고정부
800: 고정홀
801: 고정핀
802: 이동삽입관
803: 이동핀
804: 충돌판
805: 롤러
90: 제1 접이홀
91: 제2 접이홀
92: 갈고리걸림부
93: 소화전
94: 소화호스
95: 호스보관부
96: 보조사다리부
97: 보조개구부
98: 와이어 수렴판
99: 와이어 연결링
1: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0: first frame portion
20: second frame portion
200: Panel
201: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202: door fixing lever
30: third frame portion
300: hinge ladder
301: Fall Prevention Unit
301a First Fall Prevention Unit
301b: second fall prevention unit
40: fourth frame portion
50: ladder part
500: rotating bar
500a: vertical part
500b: horizontal part
501: connection bar
502: ladder
60: mobile door
600: moving door
601: handle
602: door hanger
70: lever part
700: first lever
701: second lever
7010: Jam seat
7010a: Curvature
702: third lever
703: fourth lever
80: ladder fixing
800: fixed hole
801: fixing pin
802: mobile insertion tube
803: moving pin
804: crash board
805: roller
90: first folding hole
91: second folding hole
92: hook
93: fire hydrant
94: fire hose
95: hose storage
96: auxiliary ladder
97: auxiliary opening
98: wire convergence plate
99: wire connecting ring

Claims (16)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부;
판넬이 부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부 전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 프레임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 부 및 제2 프레임부를 연결시키되,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3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의 하단에 연결되되,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4 프레임부;
상기 제2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해제 시 중력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부 측으로 펼쳐지는 사다리부;
상기 제4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아래층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도어부 및
비상구측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잠금해제 시 비상대피장치를 전개시키고 상기 이동도어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제1 레버, 잠금해제 시 회동되어 상기 제2 프레임부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제2 레버 및 잠금해제 시 회동되어 상기 이동도어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제3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다리부는, 하단이 상기 제2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부 및 타단이 상기 수직부 상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잠금해제 시 상측이 제1 프레임부 측으로 회동하는 회동바;
일단이 상기 수평부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수평부와 중첩되게 설치되는 연결바 및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상기 연결바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사다리를 포함하는 비상대피장치.
I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ere the emergency exit is formed,
A first frame portion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second frame portion to which a panel is attached and installed to contact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ame portion;
A third fram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to connect the first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formed to be foldable;
A fourth frame part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and formed by folding;
A ladder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unfolded toward the first frame portion by gravity when unlocking;
It is formed on the fourth frame portion to move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located on the lower floor and the moving door portion and
It is formed to be rotatable on the emergency exit side, and a first lever capable of deploying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when unlocking and opening the movable door, a second lever pivoting when unlocking, and a second lever capable of unlocking the second frame part and locking It includes a lever portion including a third lever that can be rotated when released to open the movable door portion,
The ladder portion, including a vertical portion of the low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of which the other end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the rotation bar when the upper side rotates toward the first frame portion when unlocked ;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cluding a ladd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and overlapping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ladder to which the other ends of the connection bars are connected to both upper and lower s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부는,
상기 제2 레버가 걸려 상기 제2 프레임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레버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버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부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비상대피장치가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rame portion,
A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to enable the second frame portion is fixed to the second lever is caugh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rame is fixed as the second lever is released and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s deploy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 레버걸림부가 걸려 안착될 수 있는 걸림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안착부는,
상기 제2 레버걸림부의 지름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2 레버걸림부가 안착될 수 있는 곡률부를 포함하는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lever,
It is formed in a hook shape, and includes a locking seating portion that can be seated by a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The engaging seating portio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cluding a curvature portion that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can be seated on the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부는,
2개의 사다리프레임이 대칭되게 경첩으로 연결되어 접힌상태로 설치되고, 잠금해제 시 펼쳐질 수 있는 경첩사다리부 및
상기 경첩사다리부 하측에 형성되되, 일단이 제1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추락방지부를 포함하는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frame portion,
The two ladder frames are symmetrically connected by hinge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and the hinge ladder can be opened when unlocked, and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tha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inge ladder part, and includes a fall prevention part,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부는,
일단이 제1 프레임부 우측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잠금해제 시 타단이 우측으로 회동하여 제2 프레임부에 접하는 제1 추락방지부 및
일단이 제1 프레임부 좌측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잠금해제 시 타단이 좌측으로 회동하여 제2 프레임부에 접하는 제2 추락방지부를 포함하는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all prevention unit,
A first fall prevention unit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frame portion, so that the other end rotates to the right when unlocking and contacts the second frame portion.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cluding a second fall prevention unit,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side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folded to the rear side when the lock is released, so that the other end rotates to the left when it is unlocked to contact the second frame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락방지부는,
일면에 중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추락방지부는,
상기 제1 추락방지부 보다 상하방향의 길이가 작게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로 설치될 시 상기 중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Includes overlapping grooves on one side,
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vertic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and when inserted in a folded state, it is inserted into the overlapping groov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도어부는,
상기 제4 프레임부에 홀로 형성된 이동통로 및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로를 개폐하는 이동도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door unit,
A movement passage formed by a hole in the fourth frame part and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omprising a moving door formed in a plate shap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ourth frame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movement pass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이동도어가 회동함에 따라 회동되어 아래층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를 전개시키는 제4 레버를 포함하는 비상대피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lever portion,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omprising a fourth lever that rotates as the movable door rotates to deploy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located on a lower fl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대피장치는,
전개된 상기 비상대피장치를 다시 접을 때 사다리부를 고정하고 해제시킬 수 있는 사다리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다리고정부는,
상기 회동바 및 연결바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
상기 회동바 및 연결바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사다리부가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핀;
상기 제2 프레임부 내측면에 형성된 이동삽입관;
상기 고정핀과 이동와이어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삽입관에 삽입될 수 있는 이동핀 및
상기 이동삽입관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제1 프레임부 내측에 형성된 충돌판을 포함하여,
전개된 상기 비상대피장치를 다시 접을 시에,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가 접함에 따라 이동핀이 상기 충돌판과의 충돌에 의해 상기 이동삽입관에서 이탈되고 이동와이어에 의해 고정핀이 당겨져 고정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When the folded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s folded again further comprises a ladder fixing unit that can fix and release the ladder unit,
The ladder fixing,
A fixing hole formed in each of the pivoting bar and the connecting bar;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pivoting bar and the connecting bar and fixed so that the ladder portion does not expand;
A moving insertion tu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portion;
A moving pin that is connected to the fixing pin and the moving wir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moving insertion tube and
Including the collision plate formed inside the first fram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ing insertion tube,
When the deployed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s folded again, as the first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contact, the moving pin is disengaged from the moving insertion tube due to the collision with the collision plate and the fixing pin is moved by the moving wir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by being pulled out of the fixed ho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와이어는,
상기 이동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핀이 당겨질 수 있도록 꺾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moving wir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pin can be pu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i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고정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와이어에 꺾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와이어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비상대피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ladder fixing,
Emergency escape device further comprises a roller formed in the second frame portion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moving wire so that a bent portion is formed on the moving wir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대피장치는,
와이어가 연결된 접이핀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부에 형성된 제1 접이홀;
접이핀에 연결된 와이어가 관통되어 상기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내부에서 와이어를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비상구에 형성된 제2 접이홀 및
상기 제4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갈고리를 걸어 상기 제4 프레임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갈고리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갈고리걸림부에 갈고리를 걸어 제4 프레임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서 상기 접이핀에 연결된 와이어를 건물 내부에서 당기는 것으로 전개된 상기 비상대피장치를 다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 first fold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frame portion so that the folding pin to which the wire is connected is detachable;
A second folding hole formed in the emergency exit so that the wire connected to the folding pin can penetrate and pull the wire inside the building where the emergency exit is formed.
It is formed on the fourth frame portion, including a hook portion to hook the hook to lift the fourth frame portion upward,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hooking the hook to the hooking portion and lifting the wire connected to the folding pin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while lifting the fourth frame part upward,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an be folded ag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대피장치는,
상기 건물 외벽에 형성된 소화전;
상기 소화전에 연결시킬 수 있는 소화호스 및
상기 소화호스를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판넬에 후면에 형성된 호스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 fire hydrant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ire hydrant hos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hydrant and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hose storage portion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panel to store the fire ho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대피장치는,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된 보조사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ladder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second frame portion,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대피장치는,
상기 제2 레버, 제3 레버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가 관통되어 한곳으로 모으는 와이어 수렴판 및
상기 와이어 수렴판을 관통한 와이어가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 제1 레버에 연결된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링을 더 포함하는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 wire converging plate through which wires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and the third lever are respectively penetrated and collected in one place.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wire connecting ring through which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wire converging plate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a wire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KR1020190098841A 2019-06-10 2019-08-13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outer wall of building KR10209621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8119 2019-06-10
KR1020190068119 2019-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210B1 true KR102096210B1 (en) 2020-04-01

Family

ID=7027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841A KR102096210B1 (en) 2019-06-10 2019-08-13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outer wall of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21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811A (en) * 2021-11-04 2023-05-11 (주)멘토티앤씨 Apparatus for escaping fire and disaster in a structure
CN116752881A (en) * 2023-08-17 2023-09-15 佛山市南海富球铝业有限公司 Escape window and building escape device
KR102612618B1 (en) * 2022-08-02 2023-12-12 주식회사 매직웨이 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KR102612619B1 (en) * 2022-11-25 2023-12-12 주식회사 매직웨이 Linked deploy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680B1 (en) * 2008-02-13 2010-09-27 양해완 Emergency escape instrument for high-storied building
KR20170027206A (en) * 2015-09-01 2017-03-09 오현석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1782139B1 (en) * 2017-06-16 2017-10-12 주식회사 에스엠텍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structure
KR101892255B1 (en) * 2016-06-08 2018-08-27 주식회사 디딤돌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680B1 (en) * 2008-02-13 2010-09-27 양해완 Emergency escape instrument for high-storied building
KR20170027206A (en) * 2015-09-01 2017-03-09 오현석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1892255B1 (en) * 2016-06-08 2018-08-27 주식회사 디딤돌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KR101782139B1 (en) * 2017-06-16 2017-10-12 주식회사 에스엠텍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structur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811A (en) * 2021-11-04 2023-05-11 (주)멘토티앤씨 Apparatus for escaping fire and disaster in a structure
KR102639113B1 (en) * 2021-11-04 2024-02-22 (주)멘토티앤씨 Apparatus for escaping fire and disaster in a structure
KR102612618B1 (en) * 2022-08-02 2023-12-12 주식회사 매직웨이 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WO2024029652A1 (en) * 2022-08-02 2024-02-08 주식회사 매직웨이 Folding type evacuation apparatus
KR102612619B1 (en) * 2022-11-25 2023-12-12 주식회사 매직웨이 Linked deploy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N116752881A (en) * 2023-08-17 2023-09-15 佛山市南海富球铝业有限公司 Escape window and building escape device
CN116752881B (en) * 2023-08-17 2023-11-21 佛山市南海富球铝业有限公司 Escape window and building escap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210B1 (e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outer wall of building
KR101055294B1 (en) The installation to evacuating from a fire
JP6949147B2 (en) Fire / disaster evacuation facility in a building
KR100725267B1 (en) Ladder apparatus for disaster escape
WO2016190488A2 (en) Safe fire escape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KR101863901B1 (en) The folding type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combined using for balcony balustrade
KR101684335B1 (en)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KR100937336B1 (en) A safety balustrade including a means for emergency escaping
KR101892255B1 (en)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KR100965536B1 (en) Escaping equipment for high-rise building
KR101043592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2252742B1 (en) Fire Escaping Apparatus for Two Neighbors
KR101131484B1 (en) Escap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KR101692844B1 (en) A safety banister for evacuaton a fire
KR101141297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1171248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1171249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1922174B1 (en) Deployable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CN110770404B (en) Fire disaster or other disaster evacuation facility used for balcony guardrail
JP2004324283A (en) Ladder for escape
KR101166319B1 (en) Fire evacuation door with antenna type ladder
KR101080809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2612618B1 (en) 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KR20100007575U (en) Emergency ladder equipment
KR101105685B1 (en) Descending device for fire esc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