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743B1 -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및 이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및 이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0743B1 KR101700743B1 KR1020150007123A KR20150007123A KR101700743B1 KR 101700743 B1 KR101700743 B1 KR 101700743B1 KR 1020150007123 A KR1020150007123 A KR 1020150007123A KR 20150007123 A KR20150007123 A KR 20150007123A KR 101700743 B1 KR101700743 B1 KR 1017007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mensional
- unit
- stereoscopic
- planar image
- manufactu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Abstract
본 발명은 설계 과정과 색깔 도포 과정 등을 생략하여, 제작 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작 비용 및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은, 복수의 단위 구성을 가지는 사물 또는 인물이 담긴 평면 이미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평면 이미지를 컴퓨터에 업로드 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업로드된 평면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단위 구성으로 분리하되 입체 표현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구성보다 여유 있게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으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물에서 상기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을 오리는 단계; 상기 오려진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을 각 구성의 입체적 특성에 맞게 오리기, 접기, 누르기, 감기, 자국내기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단계; 상기 입체적으로 표현된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의 후면에 보형제를 바르는 단계; 및 상기 보형제가 발라진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을 원근감 또는 공간감을 고려한 높이 차를 두어 배경판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체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 조형물은 면이 모이고 명암이 더해진 것으로, 그 입체감으로 인해 사물이나 인물을 사실적으로 표현을 할 수 있어 시각 디자인이 강조되는 오늘날 평면 이미지에 비해 그 사용 빈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평면 이미지는 원근법을 통해 입체감을 주게 된다. 여기서, 원근법은 인간의 인식 지각 능력을 근거로 하여,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는 나름대로의 공간을 차지한다는 원리로 물체의 다양한 공간관계를 화면에 입체적으로 묘사하는 방법이다.
원근감, 즉 화면의 깊이를 나타내기 위한 요소에는 선상 원근법(linear perspective), 공기 원근법(aerial perspective), 면의 중첩(overlapping planes), 상대적인 크기(relative size), 화면상의 높이(high plane) 등이 있다.
이중 선상원근법과 공기 원근법은 화면의 깊이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보통 투시원근법으로 불리는 선상원근법은 일정한 시점에서 바라본 물체의 형태와 위치를 소실점을 기준으로 해서 표현하는 방법이고, 공기원근법은 물체가 시야에서 멀어질수록 흐려지는 원리와 같이 먼 거리에 위치한 물체일수록 윤곽선과 색채를 흐리게 처리해서 거리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공기 원근법은 선상 원근법의 보조적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화면에 중심과 통일을 주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원근법은 인간의 눈 혹은 인간의 지각 능력으로 보는 3차원 공간을 규격화된 2차원의 공간 위에 묘사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므로 물체의 묘사와 느낌에 한계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의 기술은 평판에 구성물을 입체적으로 적층하고, 그 적층된 구성물에 색깔을 입히는 방식으로 입체 조형물을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기존의 기술은 구성물을 미리 설계하여 그 설계 치수에 맞게 구성물을 만들어야 하므로 설계 전문가에 의한 설계가 미리 이루어져야 하므로 제작 과정이 길고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기존의 기술은 색깔을 입히는 과정이 반드시 요구되므로 제작 과정이 길어지고 제작 편차가 심하게 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물감 제조사의 편차로 인해 입체 조형물 마다 색깔 편차가 날 수 있고, 작업자의 편차로 인해 색깔이 번지는 등 불량률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설계 과정과 색깔 도포 과정 등을 생략하여, 제작 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작 비용 및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은, 복수의 단위 구성을 가지는 사물 또는 인물이 담긴 평면 이미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평면 이미지를 컴퓨터에 업로드 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업로드된 평면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단위 구성으로 분리하되 입체 표현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구성보다 여유 있게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으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물에서 상기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을 오리는 단계; 상기 오려진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을 각 구성의 입체적 특성에 맞게 오리기, 접기, 누르기, 감기, 자국내기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단계; 상기 입체적으로 표현된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의 후면에 보형제를 바르는 단계; 및 상기 보형제가 발라진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을 원근감 또는 공간감을 고려한 높이 차를 두어 배경판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형제를 바르는 단계에서, 상기 보형제는 실리콘일 수 있다.
상기 배경판에 접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높이 차는 접착제를 얇게 바르거나 두껍게 바르는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일 수 있다.
상기 평면 이미지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평면 이미지는 사진 또는 그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으로 제작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은, 배경판; 평면 이미지로부터 분리된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 상기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보형제; 상기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을 상기 배경판에 부착시키되 높이 차를 가지도록 부착시킨다.
상기 보형제 및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및 이의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물 또는 인물이 담긴 평면 이미지를 오려 입체 조형물을 제작하므로, 종래의 설계 과정과 색깔 도포 과정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제작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음과 함께 제작 비용 및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종래의 기술보다는 시장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과정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과정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고,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과정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복수의 단위 구성(U1)을 가지는 사물 또는 인물이 담긴 평면 이미지(M)를 준비한다(S110). 여기서, 사물은 음식, 생활잡화, 가구, 탈것, 건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입체 조형물이 음식점 광고판에 사용될 경우 사물은 음식과 그릇 등일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단위 구성(U1)은 사물을 이루는 보다 세분화된 구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음식 중 국수의 경우, 국수와, 국수를 담는 그릇과, 그르고 국수에 올려지는 고명 등이 복수의 단위 구성(U1)이 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이미지(M)는 사진 또는 회화 그림일 수 있다.
이 후, 평면 이미지(M)를 컴퓨터(미도시)에 업로드 한다(S120). 여기서, 컴퓨터는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포토샵 등의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업로드된 평면 이미지(M)를 복수의 단위 구성(U1)으로 분리하되 입체 표현을 고려하여 복수의 단위 구성(U1)보다 여유 있게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U2)으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한다(S130). 여기서,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U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구성(U1)에 좀 여유 있게 주변 배경이 일부 포함된 것이다. 이렇게 입체 단위 구성(U2)을 단위 구성(U1)보다 좀 여유 있게 하는 이유는, 입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입체 단위 구성(U2)을 접는 과정에서 단위 구성(U1)이 뒤로 접혀버리지 않고 잘 돋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물에서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U2)을 오린다(S140). 특히 오릴 때 입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오리게 된다. 여기서, 입체적 특성은 표면의 주름, 무게감, 질감, 형태 등을 포함한 성질이다.
그리고 나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려진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U2)을 각 구성의 입체적 특성에 맞게 오리기, 접기, 누르기, 감기, 자국내기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한다(S150).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리 모자의 주름과 질감, 양감 등을 누리기, 접기, 자국내기 등의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표현된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U2)의 후면에 보형제(S)를 바른다(S160). 특히, 평면 이미지(M)는 대체로 종이 재질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자체 탄성에 의해 쉽게 형태가 변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나아가 추후 배경판(P)에 부착시 원근감, 즉 다른 입체 단위 구성과의 높이 차를 주기 위해 두께를 주는 역할을 보조할 수 있다.
나아가, 보형제(S)로는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형제(S)가 발라진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U2)을 원근감 또는 공간감을 고려한 높이 차를 두어 배경판(P)에 접착시킨다(S170). 여기서, 배경판(P)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이미지(M)에서 상술한 복수의 단위 구성(U1)이 제거된 상태의 배경(B)만을 판에 접착시킨 것이다.
나아가, 배경판(P)에 접착시키는 과정에서, 높이 차는 접착제(미도시)를 얇게 바르거나 두껍게 바르는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로는 보형제와 더불어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으로 제작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도 11의 100)은, 도 2, 도 3,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판(P)과,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U2)과, 보형제(S)와, 그리고 접착제(미도시)를 포함한다.
배경판(P)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이미지(M)에서 상술한 복수의 단위 구성(U1)이 제거된 상태의 배경만을 판에 접착시킨 것이다.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U2)은, 평면 이미지(M)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구성(U1)에 좀 여유 있게 주변 배경이 일부 포함된 것이다. 이렇게 입체 단위 구성(U2)을 단위 구성(U1)보다 좀 여유 있게 하는 이유는, 입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입체 단위 구성(U2)을 접는 과정에서 단위 구성(U1)이 뒤로 접혀버리지 않고 잘 돋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형제(S)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U2)의 후면에 도포되어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U2)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실리콘 등일 수 있다.
접착제는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U2)을 배경판(P)에 부착시키되 높이 차를 가지도록 부착시키는 것으로, 보형제(S)에서와 같이 실리콘 등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및 이의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물 또는 인물이 담긴 평면 이미지(M)를 오려 입체 조형물을 제작하므로, 종래의 설계 과정과 색깔 도포 과정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제작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음과 함께 제작 비용 및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종래의 기술보다는 시장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입체 조형물 M: 평면 이미지
U1: 복수의 단위 구성 U2: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
S: 보형제 P: 배경판
U1: 복수의 단위 구성 U2: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
S: 보형제 P: 배경판
Claims (8)
- 복수의 단위 구성을 가지는 사물 또는 인물이 담긴 평면 이미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평면 이미지를 컴퓨터에 업로드 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업로드된 평면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단위 구성으로 분리하되 입체 표현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구성보다 여유 있게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으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물을 상기 각각의 입체 단위 구성으로 오리는 단계;
상기 오려진 각각의 입체 단위 구성을 각 구성의 입체적 특성에 맞게 오리기, 접기, 누르기, 감기, 자국내기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단계;
상기 입체적으로 표현된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의 후면에 보형제를 바르는 단계; 및
상기 보형제가 발라진 복수의 입체 단위 구성을 원근감 또는 공간감을 고려한 높이 차를 두어 배경판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입체 단위 구성으로 오려질 출력물이 출력되는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보형제를 바르는 단계에서,
상기 보형제는 실리콘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배경판에 접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높이 차는 접착제를 얇게 바르거나 두껍게 바르는 방식으로 달성되는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 - 제3항에서,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평면 이미지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평면 이미지는 사진 또는 그림인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7123A KR101700743B1 (ko) | 2015-01-15 | 2015-01-15 |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및 이의 제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7123A KR101700743B1 (ko) | 2015-01-15 | 2015-01-15 |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및 이의 제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8453A KR20160088453A (ko) | 2016-07-26 |
KR101700743B1 true KR101700743B1 (ko) | 2017-01-31 |
Family
ID=5668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7123A KR101700743B1 (ko) | 2015-01-15 | 2015-01-15 |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및 이의 제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074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4239B1 (ko) | 1999-10-21 | 2001-11-26 | 지창수 | 종이 공예용 도안지 및 그 제조방법 |
KR101132707B1 (ko) | 2011-07-29 | 2012-04-06 | 양인복 |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 |
-
2015
- 2015-01-15 KR KR1020150007123A patent/KR1017007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4239B1 (ko) | 1999-10-21 | 2001-11-26 | 지창수 | 종이 공예용 도안지 및 그 제조방법 |
KR101132707B1 (ko) | 2011-07-29 | 2012-04-06 | 양인복 |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8453A (ko) | 2016-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8205938A (ja) | 加飾画像の作成方法 | |
US11472112B2 (en) | Composite object and composite object producing method | |
CN103625199B (zh) | 3d画及其制作工艺 | |
US20150360816A1 (en) | Three-dimensional multilayer structure for food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105398277A (zh) | 一种3d装饰膜及其制作方法 | |
CN107447594B (zh) | 一种3d墙纸及其制造方法 | |
KR101700743B1 (ko) |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및 이의 제작 방법 | |
US20070221320A1 (en) | Method to create 3-dimensional images from a 2-dimensional image | |
JP2008517781A (ja) | 立体レリーフ像を形成するための像形成用カッター | |
KR101389748B1 (ko) |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입체 장식물 | |
KR20210060496A (ko) | 바닥재 및 장식용 구조체들을 위한 디지털 인쇄 | |
KR101711289B1 (ko) |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 | |
TWM562011U (zh) | 紙模成型系統 | |
JP3155699U (ja) | 段ボールシートを用いた積層造形置物 | |
JP6910677B2 (ja) | 立体造形物及び平面画像の立体化法 | |
TW201917032A (zh) | 立體飾板的成型方法 | |
KR101339724B1 (ko) |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 | |
TWM483189U (zh) | 四維(4d)打印機構 | |
CN203876478U (zh) | 多层印刷透光剪纸 | |
KR20160074370A (ko) | 접철식 폼보드 우드락 및 이를 이용한 학습용 입체조형물 | |
CN205353470U (zh) | 一种立体图像展示装置及立体印刷棋盘 | |
JP7285539B2 (ja) | 色柄を備えた物品の製造方法 | |
CN202063342U (zh) | 一种包装盒的装饰结构 | |
JP3210947U (ja) | 美粧段ボールシート | |
KR20160140520A (ko) |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