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707B1 -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707B1
KR101132707B1 KR1020110076107A KR20110076107A KR101132707B1 KR 101132707 B1 KR101132707 B1 KR 101132707B1 KR 1020110076107 A KR1020110076107 A KR 1020110076107A KR 20110076107 A KR20110076107 A KR 20110076107A KR 101132707 B1 KR101132707 B1 KR 10113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block
dimensional
frame
attaching
pict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인복
Original Assignee
양인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인복 filed Critical 양인복
Priority to KR1020110076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46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bearing graphical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44C3/025Superimposing layers to produce ornamental relief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은, 주제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주제에 따른 조립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기초자료의 표시형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표시형태에 따르도록 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작도면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작도면에 따르도록 가공장치를 통해 소재를 가공하여 입체적인 조립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작된 조립블록을 액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액자 틀과, 상기 액자 틀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뒷판과, 상기 뒷판의 전면에 부착되는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전면에 부착되며, 가공장치에 의해 입체적으로 가공되는 조립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PICTURE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평면적이었던 액자의 표현방식을 벗어나 입체적인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액자 틀과, 상기 액자 틀의 후방에 결합되는 뒷판과, 상기 뒷판의 배면에 결합되어 액자 틀을 장식대 등에 거치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자는, 통상적으로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되고, 장식장 등에 올려놓거나 벽에 걸어 장식미를 갖게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51124호(2003년 06월 25)일이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액자틀과 배면판에 상호부착 가능하게 자성체를 구비시킴으로써 사진이나 그림의 밀착 고정이나 교환을 편리하게 한 "액자"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적이었던 표현방식을 벗어나 조각과 같은 조형물의 입체적인 미감을 액자에서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전방에서 뿐 아니라 여러 각도에서도 입체적인 미감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주제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주제에 따른 조립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기초자료의 표시형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표시형태에 따르도록 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작도면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작도면에 따르도록 가공장치를 통해 소재를 가공하여 입체적인 조립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작된 조립블록을 액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자료는 상기 조립블록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형태는 2차원(2D), 3차원(3D), 색상, 선두께, 글꼴, 크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작도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이미지 프로그램을 이용해 상기 표시형태에 따르도록 상기 이미지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와, 상기 편집된 이미지 정보를 드로잉 프로그램을 이용해 선 형태로 드로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작도면을 작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작도면을 2차원(2D) 형태를 이루도록 평면상에 전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블록을 액자에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액자의 내측 전면에 상기 조립블록의 배경이 되는 밑판을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밑판의 전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상기 조립블록의 배면에 접착부재를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밑판의 전면에 상기 조립블록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는 양면 테이프, 액상 접착제, 실리콘, 글루건(glue gu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블록을 제작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조립블록을 상기 밑판의 전면에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다수로 부착시키며, 상기 밑판의 전면에 부착시킨 조립블록 보다, 이후에 부착되는 조립블록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큰 사이즈로 부착시켜 원근감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액자 틀과, 상기 액자 틀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뒷판과, 상기 뒷판의 전면에 부착되는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전면에 부착되며, 가공장치에 의해 입체적으로 가공되는 조립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립블록의 배면에는 접착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접착부재는 양면 테이프, 액상 접착제, 실리콘, 글루건(glue gu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자 틀의 전면에는 투명한 유리판이 더 결합되며, 상기 유리판의 배면에는 상기 조립블록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블록은 상기 밑판의 전면에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다수로 부착되되, 상기 밑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기 조립블록 보다, 이후에 부착되는 조립블록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큰 사이즈로 부착시켜 원근감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체적인 형태를 갖는 조립블록을 액자에 적용함으로써, 평면적이었던 사진이나 그림 등과 달리, 조각과 같은 조형물의 입체적인 심미감을 액자에서도 느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전방 뿐 아니라 여러 각도에서 입체적인 심미감을 느낄 수 있고, 원목의 질감이 그대로 표현되므로 광고 및 장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편집 과정을 거친 이미지 정보를 도면화한 후에, 가공장치를 이용해 조립블록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가공성이 우수한 원목을 소재로 이용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게다가, 입체적인 조립블록을 액자에 여러 층으로 적용하는 경우, 여러 가지 형태를 하나의 액자에 다양하게 표현 할 수 있어 표현의 다양성이 확보되고, 원근감과 입체감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어 더욱 입체적인 액자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기 위해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의 제조방법에서 기초자료를 편집한 후에, 제작도면을 작성하는 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의 제조방법에서 기초자료를 편집한 후에, 제작도면을 작성하는 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의 제조방법에서 조립블록을 액자에 부착하는 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의 제조방법에서 액자의 내측 전면에 밑판을 부착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의 제조방법에서 조립블록의 배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의 제조방법에서 조립블록을 밑판에 부착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게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1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입체 액자(100)는, 액자 틀(110)과, 뒷판(120)과, 밑판(130)과, 조립블록(1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액자 틀(110)의 전면에는 투명한 유리판(15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자 틀(110)은 일정한 넓이의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조립블록(140)이 위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자 틀(110)의 배면 또는 상단에는 상기 액자 틀(110)을 벽체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걸고리(미도시) 또는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액자 틀(110)은 하트, 원형, 다각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자 틀(110)은 원목,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뒷판(120)은, 액자 틀(110)의 배면에 대응되는 넓이와 형상으로 결합 및 분리된다. 즉, 상기 뒷판(120)은 후술 될 밑판(130)의 설치 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액자 틀(110)의 배면 테두리 부위에는 축 결합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되며, 상기 회전되는 타단이 상기 뒷판(120)의 테두리에 걸림 위치되는 고정부재(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뒷판(120)에는 액자 틀(110)을 장식대 등에 거치시키기 위한 지지대(18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80)의 일단에는, 뒷판(120)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장식장의 바닥 등을 지지하여 액자 틀(110)을 거치시킬 수 있다.
밑판(130)은, 후술 될 조립블록(140)의 부착 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밑판(130)은 뮤지엄 보드(압축 하드보드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밑판(130)의 전면에는 이니셜, 그림 및 생산지 등이 부착 또는 프린팅(Printing)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밑판(130)의 배면 또는 뒷판(120)의 전면에는 상호간의 접착을 위한 접착부재(160)가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재(160)는 양면 테이프, 액상 접착제, 실리콘, 글루건(glue gu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립블록(140)은, 입체감을 갖도록 3차원(3D)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조각과 같은 입체적인 미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액자 제작자는 선정된 주제에 따른 기초자료를 수집한 후에, 수집된 기초자료를 편집하여 제작도면을 작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작도면에 따르도록 가공장치(미도시)를 이용해 소재를 가공함으로써, 입체적인 형태의 조립블록(140)을 제작한다.
또한, 조립블록(140)은 나무의 질감을 그대로 표현하고, 가공의 용이성을 위해 원목을 사용할 수 있다.
원목의 종류로는, 마호가니(1T/2T), 월넛(1T/2T), 벚나무(1T), 미송(1T), 자작합판(2T), 일반합판(3T), 뉴크라프트(0.5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원목은 위에 나열한 종류 이외에 다른 종류를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원목 뿐 아니라 합성수지재, 금속재, 석재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원목의 두께는 1~3mm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두께는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립블록(140)은 밑판(130)의 전면에 하나의 층을 이룰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밑판(130)의 전면에 복수의 층을 이룰 수도 있다.
즉, 다수의 조립블록(140)을 여러 겹으로 겹쳐 밑판(130)의 전면에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하는 경우,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조립블록(140)을 하나의 액자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액자에 다양한 미감을 함께 연출할 수 있다.
또한, 가까이 있는 물체와 멀리 있는 물체 간의 원근감 등을 표현할 수 있어, 표현하고자 주제의 입체감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립블록(140)은 다수의 부품조각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는데, 각 부품조각을 순차적으로 부착시켜 하나의 조립블록(140)을 완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립블록(140)은 기존의 사진이나 그림 등과 같이 평면적인 이미지들에 비해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므로, 기존의 액자와 다른 입체적인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원목은 나무의 질감이 그대로 표현되므로 미려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가공성도 좋아 조립블록(140)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 제조장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과 동일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의 제조방법은 주제를 선정하는 단계(S100)와,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단계(S200)와, 제작도면을 생성하는 단계(S300)와, 조립블록(140)을 제작하는 단계(S400)와, 조립블록(140)을 액자에 부착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먼저, 주제를 선정하는 단계(S100)는 제작자가 창작에 의해 주제를 선정하거나, 소비자로부터 액자의 제작을 요청받는 경우에 해당 주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선정할 주제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으나, 인테리어, 선물, 관광 상품 등과 같이 사용할 목적에 따라 다양한 주제를 선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스포츠 관련, 직역별, 대륙별, 세계의 멋, 나라별 국기, 각종 빌딩(탑), 풍경, 산업, 환경, 과학, 예술, 계절, 악세사리, 한국의 멋, 지자체 공개행사, 회사 간판, 광고판, 이니셜 등 다양한 것들이 있다.
다음으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단계(S200)는, 주제를 선정하는 단계(S100)에서 선정된 주제에 따른 이미지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단계(S200)에서는 조립블록(140)을 제작하기 위해, 제작자가 직접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거나, 소비자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정보는, 소비자로부터 남산타워, 남대문, 남산타워, 교각, 광고판 등의 이미지 정보를 제공 받거나, 제작자가 직접 이미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정보로는 사진(확장자: jpg, png, bmp 등)이나 스케치한 그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작도면을 생성하는 단계(S300)는 수집된 이미지 정보의 표시형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표시형태에 따르도록 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작도면을 생성한다.
도 5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작도면을 생성하는 단계(S300)는 이미지 프로그램(포토샵, 캐드 등)을 이용하여, 미리 선정된 표시형태에 따르도록 기초자료를 편집하는 단계(S310)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편집된 이미지 정보를 드로잉(drawing) 프로그램(코렐, 일러스트, 캐드 등)을 이용해 선 형태로 드로잉하는 단계(S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형태는 2차원(2D), 3차원(3D), 색상, 선두께, 글꼴, 크기 등이 포함된다.
기초자료를 편집하는 단계(S310)는, 전술한 단계(S200)에서 수집된 기초자료가 명확하지 않거나, 별도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작업을 수행한다.
즉, 기초자료를 편집하는 단계(S310)는 색상, 선두께, 글꼴, 크기 등과, 2차원(2D) 또는 3차원(3D) 중 어떠한 방식으로 편집할 것인지를 선정한다.
만약, 상기 이미지 정보가 스케치한 그림 등인 경우, 별도의 스캔 작업을 통해 해당 그림을 이미지 파일(확장자: jpg, png, bmp 등) 형태로 변환시켜 편집할 수 있다.
드로잉하는 단계(S320)는, 기초자료를 편집하는 단계(S310)에서 편집된 이미지 정보를 평면적인 2차원(2D) 형태로 전개시켜 드로잉(drawing)한다.
즉, 상기 드로잉하는 단계(S320)는 기초자료를 편집하는 단계(S310)에서 편집된 이미지 정보가 3차원(3D)인 형상인 경우, 왜곡 되는 부분이 모두 보일 수 있도록 2차원(2D) 형태로 전개시킨다.
또한, 상기 드로잉하는 단계(S320)에서는 후술 될 조립블록(140)을 다수의 부품조각으로 분할 한 후에, 각 부품조각들에 대한 순번을 지정할 수 있다.
즉, 후술 될 조립블록(140)을 제작하는 단계(S400)에서는 각 조립블록(140)을 지정된 순번에 따라 밑판(130)의 전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조립블록(140)을 제작하는 단계(S400)는 드로잉하는 단계(S320)에서 작성된 제작도면에 따르도록 가공장치(레이저 조각기, CNC 등)를 이용해 소재를 가공한다.
여기서, 가공된 조립블록(140)은 입체감을 갖도록 3차원(3D)으로 가공된다.
그리고, 조립블록(140)을 제작하는 단계(S400)에서 하나의 조립블록(140)을 밑판(130)의 전면에 부착시킬 수 있으나, 조립블록(140)을 다수의 층을 갖도록 부착시킬 수도 있다.
즉, 다수의 조립블록(140)을 여러 겹으로 겹쳐 밑판(130)의 전면에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하는 경우,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조립블록(140)을 하나의 액자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액자에 다양한 미감을 함께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멀리 있는 물체의 형상을 갖는 조립블록(140)을 밑판(130)의 전면에 먼저 부착시킨 후에, 가까이에 있는 물체의 형상을 갖는 조립블록(140)을 먼저 부착된 조립블록(140)의 전면에 더 큰 형상으로 부착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나중에 부착되는 조립블록(140)의 사이즈를 점진적으로 더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가까이 있는 물체와 멀리 있는 물체 간의 원근감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아울러, 조립블록(140)을 다수의 부품조각으로 분할되도록 가공한 후에, 각 부품조각을 밑판(130)의 전면에 순차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부품조각에는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밑판(130)에 부착되는 순번이 지정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드로잉하는 단계(S320)에서 지정된 각 부품조각의 순번에 따라 밑판(13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각 부품조각을 밑판(130)에 모두 부착시키는 경우, 하나의 조립블록(140)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블록(140)은 일반적인 사진이 평면으로 프린트된 이미지들에 비해 입체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어 기존의 액자와는 다른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원목은 나무의 질감이 그대로 표현되므로 미려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가공성도 좋아 조립블록(140)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조립블록(140)을 액자에 부착하는 단계(S500)는 제작이 완료된 조립블록(140)을 액자에 부착한다.
도 7은 조립블록(140)을 액자에 부착하는 단계(S500)는 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블록(140)을 액자에 부착하는 단계(S500)는 액자의 내측 전면에 상기 조립블록(140)의 배경이 되는 밑판(130)을 부착시키는 단계(S510)를 진행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밑판(130)의 전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상기 조립블록(140)의 배면에 접착부재(160)를 부착시키는 단계(S520)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재(160)는 양면 테이프, 액상 접착제, 실리콘, 글루건(glue gu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판(130)의 전면에 조립블록(140)을 부착시키는 단계(S530)를 진행한다.
즉, 제작자가 접착부재(160)가 부착되어진 조립블록(140)을 밑판(130)의 전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물론, 밑판(130)을 부착시키는 단계(S510)와 조립블록(140)의 배면에 접착부재(160)를 부착시키는 단계(S520)는 순서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체적인 형태를 갖는 조립블록(140)을 액자에 적용함으로써, 평면적이었던 사진이나 그림 등과 달리, 조각과 같은 조형물의 입체적인 미감을 액자에서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전방 뿐 아니라 여러 각도에서 입체적인 미감을 즐길 수 있고, 원목의 질감이 그대로 표현되므로 광고 및 장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편집 과정을 거친 이미지 정보를 도면화한 후에, 가공장치를 이용해 조립블록(140)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가공성이 우수한 원목을 소재로 이용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입체적인 조립블록(140)을 액자에 여러 층으로 적용하는 경우, 여러 가지 형태를 하나의 액자에 다양하게 표현 할 수 있어 표현의 다양성이 확보되고, 원근감과 입체감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어 더욱 입체적인 액자를 구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입체 액자 110: 액자 틀
120: 뒷판 130: 밑판
140: 조립블록 150: 유리판
160: 접착부재 170: 고정부재
180: 지지대

Claims (11)

  1. 주제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주제에 따른 조립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기초자료의 표시형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표시형태에 따르도록 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작도면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작도면에 따르도록 가공장치를 통해 소재를 가공하여 입체적인 조립블록들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작된 조립블록들을 액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블록을 액자에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액자의 내측 전면에 상기 조립블록의 배경이 되는 밑판을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밑판의 전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상기 조립블록의 배면에 접착부재를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밑판의 전면에 상기 조립블록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블록을 제작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조립블록을 상기 밑판의 전면에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다수로 부착시키되, 상기 밑판의 전면에 부착시킨 조립블록 보다, 이후에 부착되는 조립블록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큰 사이즈로 부착시켜 원근감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자료는,
    상기 조립블록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형태는,
    2차원(2D), 3차원(3D), 색상, 선두께, 글꼴,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도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이미지 프로그램을 이용해 상기 표시형태에 따르도록 상기 이미지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와, 상기 편집된 이미지 정보를 드로잉 프로그램을 이용해 선 형태로 드로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작도면을 작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작도면을 2차원(2D) 형태를 이루도록 평면상에 전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양면 테이프, 액상 접착제, 실리콘, 글루건(glue gu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76107A 2011-07-29 2011-07-29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3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07A KR101132707B1 (ko) 2011-07-29 2011-07-29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07A KR101132707B1 (ko) 2011-07-29 2011-07-29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707B1 true KR101132707B1 (ko) 2012-04-06

Family

ID=4614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107A KR101132707B1 (ko) 2011-07-29 2011-07-29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7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453A (ko) * 2015-01-15 2016-07-26 전권희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및 이의 제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4399U (ko) * 1986-11-21 1988-06-02
JP2004090276A (ja) * 2002-08-29 2004-03-25 Tenyo Co Ltd デコパージュ装飾額縁
KR20070011033A (ko) * 2005-09-15 2007-01-24 강신웅 이미지 음, 양각 문양 세라믹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 타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4399U (ko) * 1986-11-21 1988-06-02
JP2004090276A (ja) * 2002-08-29 2004-03-25 Tenyo Co Ltd デコパージュ装飾額縁
KR20070011033A (ko) * 2005-09-15 2007-01-24 강신웅 이미지 음, 양각 문양 세라믹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 타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453A (ko) * 2015-01-15 2016-07-26 전권희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700743B1 (ko) 2015-01-15 2017-01-31 지한나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조형물 및 이의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opigno et al. Digital fabrication techniques for cultural heritage: a survey
Bickel et al. State of the art on stylized fabrication
JP2008517795A (ja) ホログラフィック外観を持つ基板を製作する方法
CN105205846B (zh) 水墨动画制作方法
US7682476B2 (en) Method to create 3-dimensional images from a 2-dimensional image
KR101132707B1 (ko)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
WO2005038499A3 (de) Optisch variable beugungsstruktur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i Bello Sculptural Photographs: From the Calotype to Digital Technologies
KR101125831B1 (ko) 입체적 장식성을 갖는 포장재
CN105216306B (zh) 雕刻模型生成系统及方法、雕刻模型3d打印系统及方法
US20150103514A1 (en) Monochromatic dynamically-tonal stereolithographic image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KR20190046007A (ko) 3d프린팅을 활용한 기념품 제조방법
CN203142253U (zh) 发光膜皮影装饰牌
Cao Copying in reverse: China trade paintings on glass
US11718040B2 (en) 3D printed sculptures and process
JP3121623U (ja) ミニチュア装飾品
CN105774363A (zh) 一种3d奇石艺术雕像的制作方法
CN110065340A (zh) 多层叠加立体挂画加工工艺
KR100984190B1 (ko) 명화 조형물 제조방법 및 그 명화 조형물
JP5704498B2 (ja) キューブ(正六面体)によるモザイク画作製
KR102129770B1 (ko)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Cao Sculpture Design using 3D VR Technology with an Example of Nanjing Jiangbei New District
KR200401551Y1 (ko) 절곡식 장식품
KR20110131679A (ko) 입체 조형물이 구비된 액자 및 그 제작방법
US20110277605A1 (en) Method to create 3-dimensional images from a photograp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