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724B1 -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724B1
KR101339724B1 KR1020130033375A KR20130033375A KR101339724B1 KR 101339724 B1 KR101339724 B1 KR 101339724B1 KR 1020130033375 A KR1020130033375 A KR 1020130033375A KR 20130033375 A KR20130033375 A KR 20130033375A KR 101339724 B1 KR101339724 B1 KR 101339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lpture
intaglio
circular
engraved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준
이선화
Original Assignee
이선화
김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화, 김경준 filed Critical 이선화
Priority to KR102013003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4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각 표현된 입체 조각물이 보는 각도에 따라 양각의 입체 조각물로 가상의 3차원 상으로 보여지게 한 것으로 물체의 부조(浮彫) 음각(陰刻)상을 수반하는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점토, 석고 등의 소조재료로 양각의 원형(原型) 조각물(20)을 성형하는 기초준비단계(S10); 성형틀(30)의 내부에 원형 조각물(20)을 내입시켜 고정시키고, 성형틀(30)의 내부와 원형 조각물(20)의 외부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준비단계(S20); 석고, 아크리스탈(acrystal), 폴리에스터(polyester) 등의 소재를 성형틀(30)에 충진시키는 충진단계(S30); 성형틀(30)에 충진된 충진물을 소재에 따라 적정시간을 자연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40); 건조된 충진물을 성형틀(30) 및 원형 조각물(20)에서 분리하는 음각 조각물(10)을 얻는 분리단계(S50); 분리한 음각 조각물(10)의 바탕부분(10a)과 음각부분(10b)을 서로 보색관계의 색을 도포하되, 음각부분(10b)은 아래부분과 파인 부분의 정도에 따라 반사효율을 다르게 도포하여 착시현상을 주는 도포단계(S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각 입체 조각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Intaglio three-dimensional sculp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본 발명은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각 표현된 입체 조각물이 보는 각도에 따라 양각의 입체 조각물로 가상의 3차원 상으로 보여지게 한 것으로 물체의 부조(浮彫) 음각(陰刻)상을 수반하는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각물은 피사체의 공간에 대한 관계를 묘사하는 물체를 형성하는 예술로서, 조각물은 돌, 금속, 점토, 플라스틱 혹은 나무와 같은 단단한 물질을 새기고 조각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어 진다. 종래의 원형(原形)의 조각물은 그 자체가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써 고려되었다. 이것은 정적인 형태이며 많은 상이한 각도로 관찰될 수 있는 것이다. 관찰자는 작품의 주의를 이리저리 이동할 수 있으며 여러 각도의 관찰로 작품에 대한 상이한 인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관찰자가 그 예술 작품의 주위를 이동할 때에도, 그 작품은 여전히 정적인 상태이다. 관찰자에 대한 작품의 상대적인 위치는 특별히 다른 인상을 창조하지 못한다. 그 작품은 부동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작품의 음각 주형으로부터 제조된 작품의 복제품은 그 작품과 동일하며, 크기 조건과 비례 관계에 있어서 원형에 충실한 것이다.
독창성과 새로움을 탐구하는데 있어서, 조각된 물체의 새로운 형태에 관한 탐구가 계속되고있으며, 새로움, 독창성 및 흥분은 그런 새로운 형태를 찾는 지표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가능한 새로운 형태 중에서, 착시를 만들어 내는 형태는 많은 예술가들의 흥미를 가지고 있다. 흥미로운 착시중의 하나가 2차원 디스플레이, 광학적 혹은 그 밖의 것으로부터 3차원 상 혹은 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미술은 새롭고 독특한 조각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래 동안 탐구되었으며, 이와 같이 그런 특별한 형상의 많은 복제품을 재생하기 위하여 개선되고 상업적으로 존속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오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술 조각물의 복제품을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원형(原型) 조각물로부터 주형을 형성하고 그런 주형을 사용하여 복제품을 제조하는 주조 기술을 포함하는 것으로, 종종, 주조된 조형은 하나의 복제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기술은 가격이 비싸고 상업적으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주형이 다중 복제를 위하여 제공되는 기술이 요구되며, 특히 복제될 물체가 하나인 경우라면, 비교적 대량 생산을 기초로 하여 쉽게 시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주조 복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몇 가지 종래 방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상당한 기술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 방법은 조각된 정밀한 모델로부터 석고 주형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되고, 원형 조각 모델의 단지 한 복제품만이 형성되며, 그 주형은 이 과정에서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음각 표현된 입체 조각물이 보는 각도에 따라 양각의 입체 조각물로 가상의 3차원 상으로 보여지게 한 것으로 물체의 부조(浮彫) 음각(陰刻)상을 수반하는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점토, 석고 등의 소조재료로 양각의 원형(原型) 조각물(20)을 성형하는 기초준비단계(S10); 성형틀(30)의 내부에 원형 조각물(20)을 내입시켜 고정시키고, 성형틀(30)의 내부와 원형 조각물(20)의 외부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준비단계(S20); 석고, 아크리스탈(acrystal), 폴리에스터(polyester) 등의 소재 중 하나를 성형틀(30)에 충진시키는 충진단계(S30); 성형틀(30)에 충진된 충진물을 소재에 따라 적정시간을 자연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40); 건조된 충진물을 성형틀(30) 및 원형 조각물(20)에서 분리하는 음각 조각물(10)을 얻는 분리단계(S50); 분리한 음각 조각물(10)의 바탕부분(10a)과 음각부분(10b)을 서로 보색관계의 색을 도포하되, 음각부분(10b)은 아래부분과 파인 부분의 정도에 따라 밝고 어둡게 반사효율을 다르게 도포하여 음각부분(10b)이 양각으로 보이게 착시현상을 주는 도포단계(S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각 입체 조각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음각 표현된 입체 조각물(10)의 바탕부분(10a)과 음각부분(10b)을 서로 보색관계의 색을 도포하고, 음각부분(10b)은 아래부분과 파인 부분에 바탕부분(10a)과 보색관계를 갖는 반사효율이 따른 색을 도포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착시현상으로 양각의 입체 조각물로 가상의 3차원 상으로 보여지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순서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음각 조각물의 성형물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형(原型) 조각물(20)을 성형하는 기초준비단계(S10), 박리제를 도포하는 준비단계(S20), 소재를 충진시키는 충진단계(S30), 자연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40), 음각 조각물(10)을 얻는 분리단계(S50), 바탕부분(10a)과 음각부분(10b)을 도포하는 도포단계(S6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점토, 석고 등의 소조재료를 이용하여 표현하고자하는 음각 조각물(10)의 양각의 원형 조각물(20)을 성형한다(S10).
여기서, 상기 원형 조각물(20)을 양각으로 성형한 조각물을 사용하였으나, 양각으로 성형한 조각물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고, 양각의 물체를 그대로 원형 조각물(20)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어서, 성형틀(30)의 내부에 상기 기초준비단계(S10)의 원형 조각물(20)을 내입시켜 성형틀(30) 바닥에 고정시키고, 성형틀(30)의 내부와 원형 조각물(20)의 외부 면에 박리제를 도포한다(S20).
여기서, 상기 성형틀(30)은 성형물이 잘 분리될 수 있게 코팅된 소재를 사용하며, 상기 박리제는 광물유, 식물유, 송진, 합성 수지 등의 왁스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성형물이 잘 분리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왁스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어서, 석고, 아크리스탈(acrystal), 폴리에스터(polyester) 등의 소재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준비단계(S20)의 성형틀(30)에 소재를 기포가 발생되지 않게 충진시킨다(S30).
이어서 상기 충진단계(S30)의 충진된 성형틀(30)의 충진물을 소재의 특성에 따라 적정시간을 자연 건조시킨다(S40).
여기서, 상기 충진물의 소재의 종류 중 아크리스탈, 폴리에스터 등은 1일 정도의 건조시간이 소요되며, 석고 등은 10~20분 정도의 건조시간이 소요된다.
이어서, 상기 건조단계(S40)의 건조된 충진물을 성형틀(30) 및 원형 조각물(20)에서 분리하여 음각 조각물(10)을 얻는다(S50).
여기서, 상기 성형틀(30) 및 원형 조각물(20)로부터 음각 조각물(10)의 분리는 상기 준비단계(S20)에서 박리제로 왁스를 도포 하였음으로 분리가 용이한 것이다.
이어서, 상기 분리단계(S50)에서 분리한 음각 조각물(10)의 바탕부분(10a)과 음각부분(10b)을 서로 보색관계 갖는 색을 도포하는 것으로, 이때, 음각부분(10b)의 아래부분과 파인 부분의 정도에 따라 반사효율을 다르게 도포하여 음각부분(10b)이 양각으로 보이게 도포한다(S6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각 조각물(10)의 음각부분(10b)에 음영으로 반사효율을 다르게 도포하여 음각 조각물(10)의 주위의 빛에 따라 음각부분(10b)이 양각으로 보이게 착시현상을 주어 양각 조각물과 같은 느낌을 주게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음각 조각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음각 조각물(10)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며, 바탕부분(10a)과 음각부분(10b)으로 구성되며, 바탕부분(10a)과 음각부분(10b)이 서로 보색관계을 갖는 색으로 도포되고, 음각부분(10b)은 아래부분과 음각정도에 따라 음영을 반사효율이 다르게 도색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바탕부분(10a)의 일측에 음각부분(10b)이 양각으로 보이는 것을 비교할 수 있게 양각 조각물(40)을 부착 고정시켜 구성한다.
이와 같이 음각 조각물(10)을 구성함으로서, 음각 조각물의 새로운 심미감을 줄수 있으며, 원형(原型) 조각물로부터 그 복제품 조각물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것이고, 산업 전반에 걸쳐 이득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음각 조각물
10a : 바탕부분
10b : 음각부분
20 : 원형 조각물
30 : 성형틀
40 : 양각 조각물

Claims (3)

  1. 점토, 석고의 소조재료로 양각의 원형(原型) 조각물(20)을 성형하는 기초준비단계(S10);
    성형틀(30)의 내부에 원형 조각물(20)을 내입시켜 고정시키고, 성형틀(30)의 내부와 원형 조각물(20)의 외부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준비단계(S20);
    석고, 아크리스탈(acrystal), 폴리에스터(polyester)의 소재 중 하나를 성형틀(30)에 충진시키는 충진단계(S30);
    성형틀(30)에 충진된 충진물을 소재에 따라 적정시간을 자연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40);
    건조된 충진물을 성형틀(30) 및 원형 조각물(20)에서 분리하는 음각 조각물(10)을 얻는 분리단계(S50);
    분리한 음각 조각물(10)의 바탕부분(10a)과 음각부분(10b)을 서로 보색관계의 색을 도포하되, 음각부분(10b)은 아래부분과 파인 부분의 정도에 따라 밝고 어둡게 반사효율을 다르게 도포하여 음각부분(10b)이 양각으로 보이게 착시현상을 주는 도포단계(S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각 입체 조각물의 제조방법.
  2. 상기 제 1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며,
    바탕부분(10a)과 음각부분(10b)으로 구성되고, 바탕부분(10a)과 음각부분(10b)이 서로 보색관계을 갖는 색으로 도포되며, 음각부분(10b)은 아래부분과 음각정도에 따라 음영을 반사효율이 다르게 도색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각 입체 조각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 조각물(10)의 바탕부분(10a)의 일측에 음각부분(10b)이 양각으로 보이는 것을 비교할 수 있게 양각 조각물(40)을 부착 고정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각 입체 조각물.
KR1020130033375A 2013-03-28 2013-03-28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 KR101339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375A KR101339724B1 (ko) 2013-03-28 2013-03-28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375A KR101339724B1 (ko) 2013-03-28 2013-03-28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724B1 true KR101339724B1 (ko) 2013-12-10

Family

ID=4998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375A KR101339724B1 (ko) 2013-03-28 2013-03-28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7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9470A (zh) * 2020-11-30 2021-03-19 华艺博展装饰有限公司 一种立体雕塑的创作方法
KR20220018667A (ko) 2020-08-07 2022-02-15 김대안 몰드복제용 마스터원형의 제조용 조성물 및 몰드복제용 마스터원형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342A (ko) * 1997-08-30 1999-03-25 이구택 인장강도 180 kgf/mm²이상을 가지는 초고강도강판 제조법
KR100973780B1 (ko) 2009-05-06 2010-08-04 박경남 콘크리트 건축 부재의 성형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KR101225461B1 (ko) 2011-09-16 2013-02-06 김혜경 아트 성형물 금형 제조 방법과 그 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342A (ko) * 1997-08-30 1999-03-25 이구택 인장강도 180 kgf/mm²이상을 가지는 초고강도강판 제조법
KR100973780B1 (ko) 2009-05-06 2010-08-04 박경남 콘크리트 건축 부재의 성형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KR101225461B1 (ko) 2011-09-16 2013-02-06 김혜경 아트 성형물 금형 제조 방법과 그 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667A (ko) 2020-08-07 2022-02-15 김대안 몰드복제용 마스터원형의 제조용 조성물 및 몰드복제용 마스터원형의 제조방법
CN112519470A (zh) * 2020-11-30 2021-03-19 华艺博展装饰有限公司 一种立体雕塑的创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7786A (en) Method of and system for making synthetic fossils
KR101339724B1 (ko)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
KR101786747B1 (ko) 조명장치로 사용가능한 서각작품 제작방법
US4528227A (en) Mosaic style artwork
US11472066B2 (en) Stackable/nesting stencil or mold system for modeling compound
US3769114A (en) Method of and system for making synthetic fossils
Brooks Mouldmaking and casting
KR101289915B1 (ko) 펄 효과를 연출하는 코팅 필름과, 상기 코팅필름을 사용하는 건축 내장용 몰딩 제조방법
CN106068188A (zh) 用于生产具有装饰性三维表面的物体的复制品的机器和方法
US6903736B1 (en) Visu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166254B1 (ko) 복합 무늬가 형성된 장식용 합성수지 판재의 제조방법
KR101639150B1 (ko) 압착 문양이 형성된 목재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목재 타일
CN205615165U (zh) 裸视立体浮雕烫印薄膜
JP2006271371A (ja) 成型用型及びこれを用いた成型物製造方法
JP4088273B2 (ja) 漆製品の製造方法
GB2558929A (en) Optical illusion device
JP7281238B1 (ja) 立体絵画の制作方法
JP3144905U (ja) 和紙成形品
CN203485652U (zh) 一种立体朽木雕刻烙画
CN101941351B (zh) 一种影灯灯罩板材的制作方法
CN201849231U (zh) 面塑浮雕壁画
FR2566709A1 (fr) Nouveau procede d'obtention de bas-reliefs pharaoniques realises a partir de l'original, d'une photographie ou d'un dessin
RU254643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изделия
JP3343235B2 (ja) 立体装飾材の製造方法
RU76858U1 (ru) Объемная детская раскрас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