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218B1 -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218B1
KR101700218B1 KR1020150003291A KR20150003291A KR101700218B1 KR 101700218 B1 KR101700218 B1 KR 101700218B1 KR 1020150003291 A KR1020150003291 A KR 1020150003291A KR 20150003291 A KR20150003291 A KR 20150003291A KR 101700218 B1 KR101700218 B1 KR 101700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leaning
needle
ionizer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077A (ko
Inventor
이동훈
정용철
이상덕
김은민
김희묵
김한주
김성훈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주)선재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재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선재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5000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2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6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spark gaps or sparking plugs
    • H01T2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spark gaps or sparking plugs of sparking plugs
    • H01T21/04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4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using rotary operative members
    • B08B1/12
    • B08B1/3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Abstract

본 발명은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작동 전후 또는 작동 중 소정 시간 동안 방전 전극 청소용 브러쉬를 소정 각도로 반복 회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방전 전극을 수시로 청소하는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브러쉬가 방전 전극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은 (a)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 청소용 브러쉬와 연동되어 있는 제 1 모터의 턴온시 상기 제 1 모터가 소정 횟수 좌우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 1 모터와 연동되는 상기 브러쉬가 상기 방전침 주변을 좌우로 회동하도록 한 후 상기 제 1 모터를 턴오프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상기 방전침에 코로나 방전을 유도하기 위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를 턴온시키고 상기 방전침에서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 제거용 이온을 소정 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따른 다른 실시예는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공급받아 코로나방전을 발생시키는 방전침과 상기 방전침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전기 제거용 이온을 소정 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구비하는 송풍형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송풍팬의 작동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방전침을 청소하기 위한 브러쉬를 작동시키는 모터가 턴온되어 상기 브러쉬가 상기 방전침 주변을 수회 좌우로 회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브러쉬가 방전침에 끼이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주기적으로 방전침을 청소하는 효과가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Method for cleaning the discharge tip of corona discharge ionizer}
본 발명은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작동 전후 또는 작동 중 소정 시간 동안 방전 전극 청소용 브러쉬를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반복 회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방전 전극을 수시로 청소하는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브러쉬가 방전 전극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웨이퍼나 액정 유리 등의 각종 워크의 처리 공정에 있어서는, 정전기로 대전된 워크의 정 및 부의 전하를 중화(제전;除電)시키기 위하여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이오나이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이오나이저는 직류 방식과 교류 방식이 있다.
직류 방식의 이오나이저는, 바늘 형상을 한 정의 방전 전극(방전침)과 부의 방전 전극(방전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방전 전극에 정 및 부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극 선단의 방전부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정 및 부의 이온을 에어로 반송(搬送)하여 워크에 뿜어냄으로써 당해 워크상의 정 및 부의 전하를 중화시킨다.
교류 방식의 이오나이저는, 방전 전극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 방전 전극으로부터 정 및 부의 이온을 서로 번갈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도 1에는 특허출원번호가 제10-2007-0043340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코로나 방전형 이오나이저 및 팬 유닛"(출원인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인 특허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송풍 기능을 갖는 코로나 방전형 이오나이저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 공보에는 고전압의 인가에 의해 코로나 방전하는 방전침을 송풍로상 또는 송풍로 주변에 구비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음, 도 2는 특허출원번호가 제10-2008-7007990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송풍형 이오나이저"(출원인 :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인 특허 공보에 개시된 기술로, 방전침에 직류 또는 교류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키고, 이들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화 에어를 대전(帶電)된 피제전물(被除電物)에 송풍하여 제전하는 송풍형 이오나이저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이오나이저의 경우 공기 중의 미세 먼지 등이 방전 전극에 흡착되고 누적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방전 전극이 서서히 절연 상태로 변하게 되고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기 어려워져 이온의 발생이 저해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업계에서는 브러시 등과 같은 청소 부재를 이용하여 방전 전극을 정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234972호에는, 케이스의 송풍구 내에 방전 전극과 팬과 청소 부재(브러시 부재)를 형성하여 방전 전극을 청소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해당 이오나이저는 송풍구 내에 팬으로부터의 에어류에 의해 회전하는 가동 부재를 형성하고 이 가동 부재에 청소 부재를 부착한 것으로, 이 청소 부재가 가동 부재와 함께 회전할 때에 방전 전극의 선단에 닿아, 당해 선단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이오나이저의 경우 가동 부재와 청소 부재가 송풍구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온을 포함하는 에어류가 이들 가동 부재와 청소 부재에 의해 차단되거나 흐트러지거나 하여, 에어의 취출(吹出)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정 및 부의 이온이 에어의 흐트러짐으로 인하여 서로 혼합 및 재결합되어 워크로 전달되는 이온량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이오나이저 사용 중에 방전 전극의 청소가 행해지기 때문에, 당해 방전 전극으로부터 박리(剝離)된 이물질이 에어류에 의해 비산(飛散)하여, 이오나이저의 다른 부분에 재부착하거나, 이오나이저로부터 유출됨으로써 제전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워크로 직접 전달되어 워크를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출원번호가 제10-2009-0072238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방전 전극 청소 기구가 부착된 이오나이저"(출원인 :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인 특허 공보에서는 도 3과 같이 방전 전극이 오염되었을 때 이오나이저의 작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청소 부재로 당해 방전 전극을 청소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구조를 제안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브러쉬 등과 같은 청소 부재를 이용하여 방전 전극을 청소하는 이러한 송풍형 이오나이저의 경우 청소용 브러쉬의 작동이 정지된 시점에 브러쉬가 방전 전극에 끼여 있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때문에 코로나 방전 재동작시 브러쉬의 일부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브러쉬의 일부가 타면서 오염 물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특허출원번호 : 10-2007-0043340, 발명의 명칭 : 코로나 방전형 이오나이저 및 팬 유닛(출원인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2. 특허출원번호 : 10-2008-7007990, 발명의 명칭 : 송풍형 이오나이저 (출원인 :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3. 특허출원번호: 10-2009-0072238, 발명의 명칭 : 방전 전극 청소 기구가 부착된 이오나이저 (출원인 :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는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 부재인 브러쉬로 청소함에 있어서, 청소 작업 후 브러쉬가 방전 전극(=방전침)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송풍형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작동 전후 또는 작동 중 소정 시간 동안 방전 전극 청소용 브러쉬를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반복 회동 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방전 전극을 수시로 청소하는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브러쉬가 방전 전극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청소부재인 브러쉬를 이용한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은 (a)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 청소용 브러쉬와 연동되어 있는 제 1 모터의 턴온시 상기 제 1 모터가 소정 횟수 좌우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 1 모터와 연동되는 상기 브러쉬가 상기 방전침 주변을 좌우로 회동하도록 한 후 상기 제 1 모터를 턴오프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상기 방전침에 코로나 방전을 유도하기 위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를 턴온시키고 상기 방전침에서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 제거용 이온을 소정 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실시중, 방전침 청소 모드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종료시킨 다음, 상기 제 1 모터가 턴온되고 상기 제 1 모터가 소정 횟수 좌우로 회동하면서 상기 브러쉬가 상기 방전침 주변을 좌우로 회동하도록 한 후 상기 제 1 모터를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실시중, 소정 시간 경과시마다 자동적으로 상기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종료시킨 다음, 상기 제 1 모터가 턴온되고 상기 제 1 모터가 소정 횟수 좌우로 회동하면서 상기 브러쉬가 상기 방전침 주변을 좌우로 회동하도록 한 후 상기 제 1 모터를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터가 소정 횟수로 좌우 회동하는 시점은 상기 제 1 모터가 턴온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 1 모터와는 다른 제 2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본 발명의 따른 다른 실시예는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공급받아 코로나방전을 발생시키는 방전침과 상기 방전침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전기 제거용 이온을 소정 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구비하는 송풍형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송풍팬의 작동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방전침을 청소하기 위한 브러쉬를 작동시키는 모터가 턴온되어 상기 브러쉬가 상기 방전침 주변을 수회 좌우로 회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인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공급받아 코로나방전을 발생시키는 방전침과, 상기 방전침에 인접하여 부설되는 복수개의 제 1 자성 부재와,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상기 방전침 청소용의 청소 부재와, 상기 청소 부재에 부설되는 제 2 자성 부재를 구비하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자성 부재와 상기 제 2 자성 부재는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방전침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서로 동일한 극성으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모터가 턴오프된 경우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방전침에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한 경우 자연스럽게 상기 제 1 및 제 2 자성 부재간의 밀침 현상에 의하여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방전침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방전침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브러쉬가 방전침에 끼이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주기적으로 방전침을 청소하는 효과가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송풍형 이오나이저의 일예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외관 사시도 및 그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청소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외관 사시도 및 그 배면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일예로, 그 기본적인 구성의 골격은 전술한 종래의 선행 기술에서 언급되거나 설명되어진 송풍형 이오나이저와 유사할 수 있으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주요 구성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기능 블록도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도 4 및 도 5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진 송풍형 이오나이저 등에 다양하게 접목시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이 내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오나이저의 형상의 동일 유사 여부를 떠나 모두 본 발명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구성 요소와 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송풍형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는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침과,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발생된 이온을 제전 대상체로 이송시키기 위한 에어류를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설정 조건에 따라 방전침을 주기적으로 청소하기 위한 브러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브러쉬는 모터1의 회전축과 연동되어 있으며 송풍팬은 또 다른 구동부인 모터2의 회전축과 연동되어 있다. 제어부는 외부 타이머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소정의 커맨드를 수신하여 모터1, 모터2, 및 고전압 발생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로 표시되는 복수개의 자성 부재가 방전침에 인접하여 부설되며, 청소 부재인 브러쉬에는 자석2로 표시되는 자성 부재가 부설되어 있다.
도 6에 부설되어 있는 자성 부재인 자석1과 자석2는 청소 부재인 브러쉬가 방전침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 부재인 브러쉬가 방전침에 맞닿으면서 정지한 경우 자연스럽게 자성 부재간의 밀침 현상에 의하여 브러쉬가 방전침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브러쉬가 방전침에 끼일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도 6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 청소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청소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브러쉬를 이용하여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오나이저에 부설된 기능 버튼(SW)를 조작하여 송풍형 이오나이저를 동작시키는 커맨드를 입력한다.
동작 커맨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 청소용 브러쉬와 연동되어 있는 구동부인 모터1을 턴온시킨 후 내장 타이머를 이용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는 모터1을 소정 주기 및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회동시킨다. 여기서 소정 각도 범위내란 방전침 주변을 터치하면서 청소할 수 있는 범위로 방전침 및 브러쉬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브러쉬는 모터1의 회전축과 연동되어 있으므로 모터1에 연동되어 소정 시간 동안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회동하면서 방전침 주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작업을 수행함과 더불어 소정 주기로 좌우 회동하기 때문에 브러쉬가 방전침에 끼이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는 기능을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다.
소위 털어 주기 작업을 소정 시간 수행한 후 제어부는 브러쉬와 연동되어 있는 모터1을 턴오프시킨다.
다음, 제어부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에 코로나 방전을 유도하기 위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를 턴온시킴과 아울러 방전침에서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 제거용 이온을 소정 거리 이송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구동시킨다. 이를 본 발명에서는 송풍형 이오나이저의 정상 동작 모드라 칭하기로 한다.
정상 동작 모드 수행 중, 기능 버튼(SW)을 통하여 방전침 청소 스위치가 턴온되어 방전침 청소 모드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정상 동작 중이던 고전압 발생기와 송풍팬의 구동을 종료시킨 후, 모터1을 턴온시켜 소정 시간 동안 소정 주기로 좌우 회동시킴으로써 브러쉬가 방전침 주변을 청소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정상 동작 모드 수행 중 소정 시간 경과시마다 자동적으로 상기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팬의 구동을 종료시킨 다음, 모터1을 턴온시켜 소정 시간 동안 소정 주기로 좌우 회동시키면서 브러쉬가 방전침 주변을 청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로,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모터1이 회동하는 시점은 모터1이 턴온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도 7에 도시되어 설명된 흐름도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동작 전후 및 동작 중 브러쉬가 방전침에 끼일 수 있는 현상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오나이저의 정상 동작 직전에만 실시하든지 이오나이저의 정상 동작 종료 직후에 실시하든지 그 시기와 무관하게 브러쉬를 좌우로 회동시켜 소위 털어주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모든 종류의 코로나 이오나이저에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송풍형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정상 동작 모드가 종료된 후에만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고전압 발생기와 송풍팬의 작동이 모두 종료된 후, 방전침을 청소하기 위한 브러쉬를 작동시키는 모터1이 턴온되어 브러쉬가 방전침 주변을 소정 시간 동안 수회 좌우로 회동하도록 하는 소위 털어주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방전침을 청소함과 아울러 브러쉬가 방전침에 끼이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기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자성 부재인 자석1과 자석2를 청소 부재인 브러쉬가 방전침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하여 놓음으로써 청소 부재인 브러쉬가 좌우 회동한 후 방전침에 맞닿으면서 정지한 경우 자연스럽게 자성 부재간의 밀침 현상에 의하여 브러쉬가 방전침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브러쉬가 방전침에 끼일 수 있는 상황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브러쉬를 이용한 소위 털어주기 방식의 동작 수행 후 우연히 브러쉬와 방전침이 맞닿아 있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자석1과 자석2의 상호 동일한 극성간 밀침 현상에 의하여 브러쉬가 자연스럽게 방전침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소 부재인 브러쉬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모든 종류의 이오나이저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고전압 발생기와,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공급받아 코로나방전을 발생시키는 방전침과, 방전침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전기 제거용 이온을 소정 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모든 형태의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송풍형 이오나이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코로나 방전을 위해 방전침을 갖는 모든 종류의 제전 장치에 실시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소위 털어주기 작업 기능이 탑재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이오나이저 경우 본 발명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기술적 범주에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코로나 방전을 위한 방전침을 구비하는 모든 제품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제품의 용도 내지 명칭과 무관하게 코로나 방전을 위한 방전침을 구비하는 제품(예컨대 헤어 드라이기, 실내 또는 차량용 공기 정청기)이라면 그 명칭, 용도나 구조와 무관하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오나이저 범주에 모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하며 이러한 제품 등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전침 청소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모두 동일하게 보호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공급받아 코로나방전을 발생시키는 방전침과, 상기 방전침에 인접하여 부설되는 복수개의 제 1 자성 부재와,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상기 방전침 청소용의 청소 부재와, 상기 청소 부재에 부설되는 제 2 자성 부재를 구비하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자성 부재와 상기 제 2 자성 부재는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방전침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서로 동일한 극성으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모터가 턴오프된 경우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방전침에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한 경우 자연스럽게 상기 제 1 및 제 2 자성 부재간의 밀침 현상에 의하여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방전침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방전침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
  9.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공급받아 코로나방전을 발생시키는 방전침과, 상기 방전침에 인접하여 부설되는 복수개의 제 1 자성 부재와,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상기 방전침 청소용의 청소 부재와, 상기 청소 부재에 부설되는 제 2 자성 부재를 구비하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으로서,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부재와 연동되어 있는 제 1 모터의 턴온시 상기 제 1 모터가 소정 횟수 회동하면서 상기 제 1 모터와 연동되는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방전침 주변을 좌우로 회동하도록 한 후 상기 제 1 모터를 턴오프시키며,
    상기 제 1 자성 부재와 상기 제 2 자성 부재는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방전침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서로 동일한 극성으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1 모터가 턴오프된 경우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방전침에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한 경우 자연스럽게 상기 제 1 및 제 2 자성 부재간의 밀침 현상에 의하여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방전침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방전침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
KR1020150003291A 2015-01-09 2015-01-09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 KR10170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291A KR101700218B1 (ko) 2015-01-09 2015-01-09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291A KR101700218B1 (ko) 2015-01-09 2015-01-09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077A KR20160086077A (ko) 2016-07-19
KR101700218B1 true KR101700218B1 (ko) 2017-01-26

Family

ID=5661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291A KR101700218B1 (ko) 2015-01-09 2015-01-09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2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526Y1 (ko) 2006-03-20 2006-05-30 임진옥 이오나이저
KR100776572B1 (ko) 2006-06-01 2007-11-15 (주)선재하이테크 송풍형 이오나이저의 자동 침 청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340A (ko) 2005-10-21 2007-04-25 유일산업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JP4662839B2 (ja) 2005-10-31 2011-03-30 オムロン株式会社 送風型イオナイザ
JP5341330B2 (ja) * 2007-08-23 2013-11-1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クリーニング機構を備えたイオン発生器
KR20090072238A (ko) 2007-12-28 2009-07-02 (주)비주얼 스포츠 스포츠 동영상의 이미지 통합 시스템 및 방법
JP5098883B2 (ja) * 2008-08-07 2012-12-12 Smc株式会社 放電電極清掃機構付きイオナイ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526Y1 (ko) 2006-03-20 2006-05-30 임진옥 이오나이저
KR100776572B1 (ko) 2006-06-01 2007-11-15 (주)선재하이테크 송풍형 이오나이저의 자동 침 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077A (ko) 201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0509B2 (en) Ionizer having mechanism for cleaning discharge electrodes
KR102549255B1 (ko) 자동 이미터 포인트 클리너
TWI306781B (en) An automatic needle cleaning apparatus of a blowing-type ionizer
KR20160138931A (ko) 세정유닛을 갖춘 송풍형 이오나이저
JP2009301851A (ja) クリーニング機構を備えた除電器
JP4262488B2 (ja) 送風式イオン生成装置
JP6783161B2 (ja) 電気集塵装置および送風機
KR101700218B1 (ko)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의 방전침을 청소하는 방법
US20150255961A1 (en) Ionizer with needle cleaning device
JP2007317463A (ja) 除電装置、除電方法および該除電装置を備えた基板処理装置
JP3079478B2 (ja) 帯電物体の中和装置
JP4488608B2 (ja) 静電気除去装置
JP2007307449A (ja) 除電・除塵装置および除電・除塵システム
KR20140113187A (ko) 정전기 제거 장치
KR20120030462A (ko) 제전 장치 및 정전하 제거 시스템
JPH09192209A (ja) X線による気体の電離においてプラスイオン、マイナスイオ ンの混合比を簡便に調節する方法とその方法を適用せる空気 浄化装置並びに静電気帯電を除去もしくは付与する装置。
JP2020146605A (ja) 荷電装置および電気集塵装置
KR100491014B1 (ko) 직류 푸시풀형 제전기
KR200497356Y1 (ko) 방전 전극 세정 시스템을 구비한 막대형 이오나이저
KR100491017B1 (ko) 직류 푸시풀형 제전기
KR19990003268A (ko) 이오나이저의 전극 사용시간 표시장치
JP2010244839A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放電装置
CN118040479A (en) Automatic emitter tip cleaner
JPS6322860B2 (ko)
Harrison Evaluation of electrostatic charges on aerosol particle attractiveness to silicon wafer in class i cleanroo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