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111B1 -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111B1
KR101700111B1 KR1020150038481A KR20150038481A KR101700111B1 KR 101700111 B1 KR101700111 B1 KR 101700111B1 KR 1020150038481 A KR1020150038481 A KR 1020150038481A KR 20150038481 A KR20150038481 A KR 20150038481A KR 101700111 B1 KR101700111 B1 KR 10170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strial property
procedure
providing server
deadli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556A (ko
Inventor
공준상
Original Assignee
공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준상 filed Critical 공준상
Priority to KR1020150038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11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은, 산업재산권의 관리를 수행하고, 관리중인 상기 산업재산권의 진행절차에 기반하여 후속절차 및 마감기일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후속절차 및 마감기일 정보를 제공하고, 후속절차 시행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제공서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식별번호 입력을 통해 상기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산업재산권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후속절차, 마감기일 및 후속절차 시행여부확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NDUSTRIAL PROPERTY RIGHT}
본 발명은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서비스에 기반하여 산업재산권에 대한 후속절차, 마감기일 및 후속절차에 해당하는 시행여부확인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원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합리적인 산업재산권 정책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웹서비스 기반 산업재산권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FTA 체결 이후, 국가간 국제통상과 무역에 있어서 지적재산권의 가치가 대두되었고 국내 기업의 제품과 관련된 지적재산권의 기술보호 가치가 증대되었다.
기업은 제품에 포함된 새로운 기술과 디자인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자사 상표로 국내 및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 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 등의 산업재산권이 출원되어 산업상 보호 가치가 있는 권리를 설정하며, 산업재산권은 제품에 적용된 기술에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및 서비스표권을 등록하여 권리를 보호한다.
위와 같이 산업재산권은 출원 후 등록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절차를 해당 마감일자에 정확히 진행해야 하며, 만약 이러한 절차를 제대로 진행하지 못할 경우 등록을 받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변리사 사무실에는 몇몇의 프로그램들이 도입되어 절차진행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절차진행을 돕고 있다.
도 1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리인 관리시스템(101)으로 특허청 서버(100)에서 전송되는 관련서류들을 수기로 입력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특허공개번호 10-2004-0011011, '인터넷을 이용한 산업재산권 관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기존의 방식(산업재산권 관련 일의 진행을 희망하는 법인의 관계자 및 개개인들이 산업재산권과 관련된 대리 업무를 서비스하는 특허법률사무소를 방문하여 담당 변리사와 전문가와 관련 내용을 상담하거나 또는 특허 전문가로 하여금 원하는 장소를 방문하도록 요청하여 관련 내용을 상담하는 방식으로 산업재산권의 출원 및 관련 서비스 등에 대한 대리를 의뢰함)과는 달리, 산업재산권을 서비스 받는 모든 대리 행위를 온라인으로 요청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시간적 측면에서 편리하게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 진행중인 산업재산권의 권리 확보를 위해 서류의 제출 마감일을 체크하여 온라인으로 관련 당사자에게 서비스해 주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관리 프로그램이나 현재 사용 중인 산업재산권 관리 프로그램들은 특허청에서 발송되거나 특허청에 제출하는 서류들을 제출할 때마다, 그 해당서류가 어떤서류인지를 인식시키는 작업과 발송일 혹은 제출일을 입력하는 작업을 직접 입력해야 하며, 이렇게 순차적으로 입력된 내용을 바탕으로 관리프로그램은 그 후에 진행해야할 후속절차와 후속절차의 마감일을 산출하게 된다.
즉 종래의 관리프로그램은 해당 절차의 항목을 관리프로그램이 인식할 수 있도록 입력자가 직접입력해야 하므로, 서류명을 잘못 인식시키거나, 해당 서류의 날짜를 잘못 입력하는 경우 그 잘못 입력된 내용에 근거하여 후속절차와 기일을 산출하므로, 후속절차와 기일을 제대로 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관리프로그램들은 상기 산출된 후속절차가 실제로 진행되었는지와 관계없이 후속절차가 진행되었다고 입력할 수 있으므로, 후속절차가 진행되었다고 입력된 것만으로는 해당 후속절차가 실제로 진행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어 실제 후속절차의 진행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일예로 특허청에서 발송되는 의견제출통지서를 종래 관리프로그램에 입력하는 경우 입력자는 현재 입력하는 서류명이 의견제출통지서임을 선택한 후 해당날짜를 입력하면, 종래 프로그램은 서류명이 의견제출통지서라는 것으로부터 상기 해당날짜로부터 2개월을 더해 의견서와 보정서를 제출할 날짜를 산출하여 알려준다.
이후 입력자는 상기 산출된 날짜에 근거하여 의견서와 보정서를 특허청에 제출하면서 프로그램에게 제출한 서류가 의견서와 보정서 라는 것과 해당제출날짜를 입력하게 되는데, 만약 특허청에 제출한 서류를 잘못하여 제출하지 못하게 되거나 실수로 제출하는 절차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프로그램에는 의견서와 보정서가 제출된 것으로 인식하여 이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절차의 진행 중간에 수임을 받아 관리 프로그램에 입력해야 할 경우 일일이 처음부터 진행된 절차를 수기로 입력해야 하므로 입력에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황에 따라 관리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산업재산권을 대량으로 관리를 요청받는 경우 특허청 사이트에 일일이 접속하여 그 진행상황을 확인하면서 그 절차를 수기로 입력하여 정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현재의 관리 프로그램들은 진행서류나 후속절차의 마감일이 언제라는 것은 알 수 있으나, 그 마감일과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현재일간의 차이인 잔여일을 나타내는 항목이 없으며, 이에 따라 잔여일의 남은 정도에 따른 긴급처리를 나타낼 수 없어 긴급처리를 수동으로 정리해서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인이나 업체가 자신이 관심있는 특허의 진행상황 뿐만 아니라 이후에 진행해야 할 후속절차 및 마감일을 알고 싶어하나, 이러한 내용을 알려주는 서비스가 없어, 특허절차를 제대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인이나 업체들은 자신이 관심있는 특허에 대해 특허청에서 발행되는 서류나 접수되는 서류에 대해 진행상황을 바로 알려주는 서비스가 없어 특허절차를 제대로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04-0011011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허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일시(동시간대)에 해당 산업재산권과 관련된 진행절차 및 해당절차의 진행일자들을 한꺼번에 다운받은 다음, 상기 다운받은 진행절차들과 진행일자들을 분석하여 후속절차와 후속절차의 마감기일을 프로그램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진행절차들을 순차적으로 입력하지 않더라도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손쉽게 결정하여 산업재산권을 관리하는 산업재산권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정보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받은 진행절차에 대한 항목과 해당 항목의 진행일자를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인식하고 이를 관리프로그램 내에서 바로 활용함으로써 수기로 입력함으로서 발생하는 실수를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속절차의 마감기일 이후에 상기 후속절차가 실제로 실행되었는지를 자동으로 확인하기 위해 후속절차와 진행일자를 특허정보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후속절차가 실제로 진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속절차의 마감일을 산출하는 산출일로부터 후속절차의 마감일간의 차이인 잔여일을 산출하고 상기 잔여일의 정도로부터 긴급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구나 쉽게 자신의 또는 관심있는 산업재산권의 진행상태 및 후속절차를 손쉽게 파악하면서 진행절차의 변동이 생기면 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은, 산업재산권의 관리를 수행하고, 관리중인 상기 산업재산권의 진행절차에 기반하여 후속절차 및 마감기일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후속절차 및 마감기일 정보를 제공하고, 후속절차 시행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제공서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식별번호 입력을 통해 상기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산업재산권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후속절차, 마감기일 및 후속절차 시행여부확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업재산권 관리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산업재산권 서비스 안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한 산업재산권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출원인 또는 대리인 단말)로부터 관심 대상 또는 관리 요청 대상인 산업재산권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b)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특허정보 제공서버로 상기 식별조회에 해당하는 산업재산권의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와, (c)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특허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산업재산권의 진행절차 및 진행일자를 포함하는 정보를 다운하는 단계와, (d)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다운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업재산권의 후속절차 및 상기 후속절차의 마감일자를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산출된 후속절차 및 후속절차의 마감일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재산권의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제공서버는 특허정보제공 서버에 수시로 접속하여 산업재산권과 관련된 진행절차 및 진행일자를 다운로드받고, 상기 다운로드된 진행절차 및 진행일자를 분석하여 후속절차 및 마감기일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이후 후속절차 시행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산업재산권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정보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진행절차에 대한 항목과 해당 항목의 진행일자를 서비스 제공서버의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인식하고 이를 서비스 제공서버의 관리 프로그램 내에서 바로 활용함으로써 수기로 입력할 때 발생하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속절차의 마감기일 이후에 상기 후속절차가 실제로 실행되었는지를 자동으로 확인하기 위해 진행절차와 진행일자를 다운로드받아 후속절차의 진행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후속절차 시행여부를 피드백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구나 쉽게 자신의 (또는 관심있는 타인의) 산업재산권의 진행상태를 손쉽게 파악하면서 진행절차의 변동이 생기면 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은 산업재산권 처리 절차나 날짜를 수기로 입력함으로써 생기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모든 산업재산권 처리 절차와 해당날짜가 모두 특허정보관리 서버로부터 전산화된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므로 안정적으로 절차진행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관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어느 한 시점에서 받은 데이터만을 가지고 전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불특정 출원인 또는 대리인이 산업재산권 처리 절차의 진행과정 중인 산업재산권의 진행절차를 요청하는 경우,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이 즉각 대응이 가능하며, 주기적으로 특허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산업재산권 처리 데이터를 제공받아, PC, 스마트폰, 타블렛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함으로써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관심 산업재산권의 현재의 상태와 후속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특허, 상표, 디자인을 관리하는 특허 정보 제공 서버와 달리 별도로 특허법인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대리인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웹서비스에 기반하여 산업재산권을 관리할 수 있는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전자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사용하여 식별정보 입력에 따라 관심 대상 또는 관리 요청 대상인 특허 조회 및 이후 절차를 안내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업재산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웹서비스에 기반하여 산업재산권을 관리할 수 있는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은, 특허정보 제공서버(110), 사용자 단말(10, 20, 30), 서비스 제공서버(200), 메일 서버(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0, 20, 30)은 PC, 스마트폰, 타블렛, PC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일 수 있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관리 요청을 원하거나, 관심있는 산업재산권의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서버(200)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접속하거나, 서비스 제공서버(200)의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산업재산권 고객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 20, 30)은 산업재산권에 관련된 식별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상기 산업재산권에 대한 관리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식별번호는 상기 산업재산권의 출원번호, 공개번호, 등록번호, 출원일자, 공개일자, 등록일자, 출원인, 발명자, 출원인 인적사항, 발명자 인적사항, 발명의 명칭, 대리인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10, 20, 30)이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관리 요청을 원하거나, 관심있는 산업재산권의 진행상황 정보를 요청하면,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특허정보 제공서버(110)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요청된 산업재산권에 대한 진행관련 정보를 다운받는다.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상기 다운된 산업재산권에 대한 진행관련정보(진행절차)에 기초하여 현재 진행상태, 후속절차 및 후속절차의 마감기일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후속절차 및 마감기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 20, 30)로 전송한다.
이 과정을 설명하면,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i) 특허정보 제공서버(110)로부터 관리대상인 산업 재산권의 진행 관련 정보(해당 서류의 발행 및 접수 날짜)를 일정시간대에 수신받아 소프트웨어를 통해 후속 절차와 마감기일을 분석 및 산출하여 자동 설정한 후 사용자 단말(10, 20, 30)로 전송함으로써, 종래에 손으로 일일이 후속 절차를 입력 시 발생하던 실수를 예방한다.
ii) 해당 산업재산권 후속절차에 해당하는 서류제출의 마감 기일 이후에 특허정보 제공서버(110)에 접속하여 실제 후속절차 서류의 제출 여부, 즉 후속절차 시행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사용자 단말(10, 20, 30)로 보냄으로써 사용자가 후속절차의 진행여부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한다.
iii) 마감기일이 잡힌 산업재산권이 소정의 기준보다 많을 경우 후속절차 산출일로부터 마감기일까지의 잔여일들을 각각 계산하여 긴급히 처리해야할 우선순위(예를 들면, 1.해외출원 마감일, 2.거절결정 마감일, 3.의견서/보정서 제출 기일)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산업재산권의 리스트를 순서대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사용자 단말(10, 20, 30)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산업재산권을 관리하도록 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상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10. 20, 30)로 문자메시지(SMS, LMS, MMS), 이메일, 푸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도 전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후속절차의 마감기일을 기준으로 잔여일을 계산하고, 상기 잔여일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급도를 상기 잔여일과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10, 20, 30)로 전송할 수 있다. 더불어 후속절차의 마감기일까지 잔여일이 상대적으로 작은 산업재산권을 우위에 나열하여 리스트를 구성하고, 시급도에 따라 하이라이트 처리, 깜박이 처리, 색상 차별화, 표 외곽의 서로 다른 모양 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시급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가 산업재산권 리스트를 수신함에 따라 직관적으로 시급도를 파악하게 하여 산업재산권 관리에 있어서 누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잔여일이란,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산출하는 날로부터 해당 후속절차의 마감기일까지 남은 기일을 의미한다.
즉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산출하는 날이 2015년, 3월 10일이고 후숙절차의 마감일(예, 의견서 및 보정서 제출마감일)이 2015년, 3월 20일 이면 잔여일은 마감일에서 산출일을 빼면 되므로 10일이 된다.
여기서 시급도란 위에서 설명한 잔여일이 얼마 남지 않았을 경우 후속절차를 빨리 처리해야 하므로 시급도를 표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시급도는 잔여일이 5일 혹은 7일 혹은 필요에 따라 정해진 날짜를 활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후속절차의 마감기일을 계산하는 과정은 '의견제출통지서 발송일'인 D1, '의견서 또는 보정서 제출일'인 D2, '등록결정서 발송일'인 D3, '거절결정서 발송일'인 D4, '기일연장서 제출일'인 D5, '등록료납부일'인 D6을 특허정보 제공서버(110)로부터 다운받아 계산하게 되는데, 계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본인이 발명하여 이미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10-2014-151535, 151536)에서 설명하였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후속절차와 해당 후속절차의 마감기일의 계산과정은 관심있는 각 산업재산권에 대해 진행된 해당서류와 관련일자(위의 D1, D2, D3, D4 .. 등)를 일시에 다운받은 다음, 상기 다운받은 진행절차들과 진행일자들을 분석하여 후속절차와 후속절차의 마감기일을 프로그램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진행절차들을 순차적으로 입력하지 않더라도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불특정 출원인 또는 대리인이 진행과정 중인 산업재산권의 현재상태와 후속절차 및 후속절차의 마감기일을 요청하는 경우, 즉각 대응이 가능하며,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특허정보 제공서버(110)로부터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산업재산권 처리 데이터(예로 진행절차, 진행일자)를 제공받아, 지속적으로 관심 산업재산권의 현재의 상태와 후속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특허정보 제공서버(110)는 특허청 서버(10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동되며, 특허, 상표, 디자인의 산업재산권에 대한 진행절차와 진행절차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받는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산업재산권의 식별정보(출원번호, 공개번호, 등록번호, 공개일자, 등록일자, 출원인 인적사항, 발명자 인적사항, 대리인, 발명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특허정보 제공서버(110)로 전송하게 되며, 특허정보 제공서버(110)는 전송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산업재산권의 상태정보인 각종 서류명과 서류가 특허청으로부터 발송된 발송일자 혹은 접수된 접수일자를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 20, 30)로부터 ID, 이름, 전화번호 등의 회원정보를 입력받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 20, 30)로부터 ID, 패스워드 계정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확인한다. 여기서 회원정보는 ID, Password,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이동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를 포함한다. 인증 이후, 사용자 단말기(10, 20, 30)가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특정(관심) 산업재산권에 대해 조회를 요청하면,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해당 산업재산권의 검색결과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회원의 출원, 등록 특허뿐만 아니라 관심 설정된 특허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의 후속 절차를 안내하고, 등록된 회원의 이동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해당 산업재산권의 문서 제출 기일 이전에 산업재산권 고객 맞춤 서비스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서버(200)와 연동되며, 고객(회원)의 이동전화번호로 특허, 실용, 상표, 디자인에 해당하는 문서의 제출 기일 이전에 산업재산권 고객 맞춤 서비스 안내 문자를 전송하는 SMS 서버(40)와, 서비스 제공서버(200)와 연동되며, 고객의 이메일 주소로 특허, 실용, 상표, 디자인의 문서의 제출 기일 이전에 산업재산권 고객 맞춤 서비스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메일 서버(210)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HTTP Request/Reply를 처리하는 웹 서버; 산업재산권 고객맞춤 서비스 회원 정보를 입력받는 회원정보 관리부; ID, Password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 20, 30)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심 특허의 조회 요청 정보에 따라 특허, 상표, 디자인, PCT 국제출원의 검색결과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회원의 출원/등록특허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관심 특허 상태의 처리 정보를 제공하고 이후 처리 절차(후속절차)를 안내하는 산업재산권 검색부; SMS 서버(40)와 연동되어 고객의 이동전화 번호로 특허, 실용, 상표, 디자인 문서의 제출 기일 이전에 산업재산권 고객 맞춤 서비스 안내 문자를 전송하는 SMS 문자 전송부; 및 메일 서버(210)와 연동되어 고객의 이메일 주소로 특허, 실용, 상표, 디자인의 문서의 제출 기일 이전에 산업재산권 고객 맞춤 서비스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메일을 전송하는 메일 전송부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HTTP Request/Reply를 처리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하여 웹(Web) 기반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웹 서버 구비하지 않고 없이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산업재산권 고객맞춤 서비스 회원에게 월별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좀 더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10, 20, 30)로부터 회원정보를 입력하면,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상기 해당회원정보를 통해 가입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회원정보와 상기 회원에 의해 관심 설정되거나 관리 요청된 산업재산권에 관련된 식별번호, 상기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산업재산권의 후속절차 및 마감기일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접속하는 회원의 인증정보를 통해 가입여부를 확인하고, 인증된 회원이 관심 대상 또는 관리 요청 대상인 산업재산권의 식별번호를 입력 및 등록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만약 관심 산업재산권의 식별번호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회원에게 관심 대상 또는 관리 요청 대상인 산업재산권의 식별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기(10, 20), 30)로부터 관심 대상 또는 관리 요청 대상인 산업재산권의 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상기 식별번호를 특허정보 제공서버(110)로 전송한 다음 특허정보 제공서버(110)로부터 진행절차 및 진행일자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다운받는다.
여기서 상태정보란 하기에 정리되어 있으며 도 2에 설명된 데이터로서, 관심 산업재산권의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들이다.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상기 다운받은 상태정보를 통해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산출한 다음, 산출된 후속절차와 마감기일 정보를 회원정보, 식별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10, 20, 30)가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회원정보 입력을 통해 가입인증을 시도하면,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입력된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회원정보가 있을 경우, 회원이 입력했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산업재산권의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0, 20, 3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회원이 사용자 단말기(10, 20, 30)를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접속했을 때, 이전에 관심 설정 또는 관리 요청 대상인 산업재산권의 식별정보를 등록한 경우라면,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회원정보를 통해 이전에 관심 설정 또는 관리 요청 대상인 산업재산권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산업재산권에 대해 미리 계산해 놓은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사용자 단말기(10, 20, 3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0, 20, 30)는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회원은 관심 설정 또는 관리 요청 대상인 산업재산권에 대해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10, 20, 30)를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전송된 회원정보가 처음 가입한 회원이거나 이전에 회원가입을 한 회원정보라도 관심대상 또는 관리 요청 대상인 산업재산권 식별정보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라면,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관심대상인 산업재산권 식별정보를 등록하도록 요청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회원의 관심대상 또는 관리 요청 대상인 산업재산권에 대한 절차가 추가로 진행되거나,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이러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바로 사용자 단말(10, 20, 30)로 전달함으로써 회원에게 절차변동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전자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사용하여 식별정보 입력에 따라 관심 대상 또는 관리 요청 대상인 특허 조회 및 이후 절차를 안내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PC(10), 스마트폰(20), 타블렛 PC(30)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기(10,20,30)는 PC를 사용한 HTTP Request/Reply에 의한 유무선 통신망(인터넷, WCDMA/LTE, Wi-Fi)을 통해 ID, Password 인증 후 특허정보 제공 서버와 연동된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여 특허, 상표, 디자인, PCT 국제출원 상황을 조회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또는 타블렛 PC의 어플(App)을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폰에서 ID/Password 인증 후 나의 출원 등록특허 뿐만 아니라 산업재산권 조회 시 '특허/실용신안', '상표', '디자인', 'PCT 국제출원', '해외 특허 또는 해외 상표 또는 해외 디자인'(미국, 유럽, 일본을 체크 박스에 마킹)을 선택할 수 있으며, '특허'를 선택한 경우 해당 조회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여러가지 검색 조건에 따라 관심 특허의 식별정보(출원번호, 공개번호, 등록 번호, 권리자 등)로 조회하여 구분식별코드를 독출하여 현재까지 관심 특허의 처리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이후 처리 절차(후속절차)를 안내하며, 고객의 이동전화번호로 의견제출통지서, 특허거절결정서, 특허등록 결정서 등의 해당 문서의 제출 기일 이전에 산업재산권 고객 맞춤 서비스 안내 문자를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SMS 서버와 메일 서버(210)와 연동하여 고객의 이메일 주소로 특허, 실용, 상표, 디자인 등의 해당 산업재산권 문서의 제출 기일 이전에 고객의 이동전화 번호 또는 이메일로 산업재산권 고객 맞춤 서비스 안내 정보를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업재산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업재산권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PC, 스마트폰, 타블렛 PC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10,20,30)를 통하여 회원등록을 위한 회원 정보를 등록받는 단계(S10),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10, 20, 30)로부터 ID와 Password 입력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확인하는 단계(S20); 사용자 단말(10,20,30)로부터 특허, 상표, 디자인의 산업재산권의 식별정보(출원번호, 공개번호, 등록번호, 권리자, 출원일자, 공개일자, 등록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음으로써,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산업재산권의 조회요청을 수신받는 단계(S30), 특허정보 제공서버(110)로 회원에 의해 요청된 산업재산권의 식별정보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S40); 사용자 단말(10, 20, 30)로 관심 산업재산권의 식별정보에 따라'구분식별코드'를 독출하여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0); 해당 산업재산권의 이후 후속절차를 안내하는 단계(S60); SMS 서버(40)와 연동되어 고객의 이동전화 번호로 해당 산업재산권의 제출 기일 이전에 안내 문자를 전송하거나, 또는 출원인의 이메일 주소로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메일을 전송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여기서, (S60)의 상기 관심 산업재산권의 이후 처리될 후속 절차의 안내 단계는, 특허출원일(우선일) 기준 1년 이내에 우선권 주장 해외출원 기일, 의견제출통지서의 제출 기일, 거절 대응 재심사청구 기일, 거절결정불복심판 제출 기일, 분할출원 제출 기일, 특허/상표/디자인의 등록 결정서 설정등록 기일 중에서 필요한 내용을 안내하고 해당 문서 수신마다 이후 처리 절차와 수수료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산업재산권으로서 특허, 상표, 디자인, PCT 국제출원, 해외출원특허, 상표,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의 진행상태, 후속절차, 후속절차의 마감기일 및 후속절차 시행여부 확인정보를 사용자 단말(10, 20, 30)에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사용자가 요청한 복수의 산업재산권에 대한 진행상태 및 처리상태를 날짜별, 마감기일 우선순위별, 시급도별 리스트로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10, 20, 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대리인의 관리 시스템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산업재산권 처리절차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산업재산권 식별번호에 따라 이를 매칭하여, 후속절차 및 마감일을 산출하고 해당 서류 제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80); 및 대리인의 관리 시스템이 절차의 중간에 산업재산권을 위임받은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해당 산업재산권의 식별정보로 조회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이전에 관리 특허출원 시점 이후 위임 시점까지의 이전 서류와 처리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여 후속 절차의 서류 제출 정보와 마감 기일이 관리되는 단계(S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특허정보 제공서버(110)로 전송한 식별정보에 대해 특허정보 제공서버(110)가 전송하는 상태정보(서류 종류 및 해당서류를 특허청에서 발송한 발송일자 혹은 출원인/대리인이 특허청에 접수한 접수일자)를 전송받아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즉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산출부를 통해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후속절차와 마감일자를 계산하고, 상기 후속절차의 마감기일 이후에는 다시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후속절차를 실제로 시행했는지를 파악한다.
또한 전송된 상태정보로부터 연차료와 관련하여 현재상태의 연차료 납부차수와 등록일을 인지하고 이를 통해 다음 연차료 납부일(마감일)과 다음차수를 계산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서버는 주기적으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위에서 수시로 최신상태의 후속절차와 마감일을 업데이트하며 해당 후속절차를 실제로 진행했는지를 수시로 업데이트 한다.
여기서 특허정보제공서버는 특허청 서버일 수도 있고, 특허청 서버와 연계하여 특허정보를 제공하는 또 다른 기관의 특허정보제공서버 일 수 있다.
우리나라는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오픈할 수 있는 국가데이터를 필요한 기업(개인)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국가데이터에는 특허정보도 이에 포함된다.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 20, 30)이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관리요청대상 산업재산권으로 의뢰된 사건에 대한 상세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조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 20, 30)이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신규로 관리할 관리요청대상 산업재산권의 식별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단계는 스마트기기의 앱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산업재산권의 '식별정보'와 상기 '구분식별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출원인 또는 대리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출원인 또는 대리인 단말의 요청 수신에 대응하여 전송하거나, 서비스 제공서버가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재산권의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제공서버는 특허정보제공 서버에 수시로 접속하여 산업재산권과 관련된 진행절차 및 진행일자를 다운로드받고, 상기 다운로드된 진행절차 및 진행일자를 분석하여 후속절차 및 마감기일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이후 후속절차 시행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산업재산권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정보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진행절차에 대한 항목과 해당 항목의 진행일자를 서비스 제공서버의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인식하고 이를 서비스 제공서버의 관리 프로그램 내에서 바로 활용함으로써 수기로 입력할 때 발생하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속절차의 마감기일 이후에 상기 후속절차가 실제로 실행되었는지를 자동으로 확인하기 위해 진행절차와 진행일자를 다운로드받아 후속절차의 진행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후속절차 시행여부를 피드백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구나 쉽게 자신의 (또는 관심있는 타인의) 산업재산권의 진행상태를 손쉽게 파악하면서 진행절차의 변동이 생기면 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은 산업재산권 처리 절차나 날짜를 수기로 입력함으로써 생기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모든 산업재산권 처리 절차와 해당날짜가 모두 특허정보관리 서버로부터 전산화된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므로 안정적으로 절차진행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관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어느 한 시점에서 받은 데이터만을 가지고 전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불특정 출원인 또는 대리인이 산업재산권 처리 절차의 진행과정 중인 산업재산권의 진행절차를 요청하는 경우,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이 즉각 대응이 가능하며, 주기적으로 특허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산업재산권 처리 데이터를 제공받아, PC, 스마트폰, 타블렛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함으로써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관심 산업재산권의 현재의 상태와 후속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특허청 서버 101: 대리인 관리시스템
110: 특허정보 제공 서버 200: 서비스 제공 서버
210: 메일 서버
10: PC 20: 스마트폰 30: 타블렛 PC 40: SNS 서버

Claims (24)

  1. 산업재산권을 관리함에 있어서, 진행절차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산업재산권의 관리가 가능한 산업재산권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산업재산권의 관리를 수행하고, 관리중인 상기 산업재산권의 진행절차에 기반하여 후속절차 및 마감기일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후속절차 및 마감기일 정보를 제공하고, 후속절차 시행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제공서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식별번호 입력을 통해 상기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산업재산권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후속절차, 마감기일 및 후속절차 시행여부확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관리대상 산업재산권에 대한 상세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특허정보 제공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산업재산권의 절차상태 및 관련일자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하는 기능;과
    상기 업데이트된 산업재산권의 후속절차 및 마감기일을 산출하는 후속절차와 마감기일을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특허정보제공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후속절차의 시행여부를 확인하는 기능;과
    상기 산출된 후속절차 및 마감기일 및 상기 후속절차 시행여부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를 포함하고
    상기 후속절차와 마감기일 산출기능은 관심있는 각 산업재산권에 대해 진행된 해당서류와 관련일자 정보를 상기 특허정보제공서버로부터 다운받은 다음, 상기 다운받은 진행절차들과 진행일자들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후속절차의 마감기일을 설정하며,
    상기 후속절차의 시행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은 후속절차에 해당하는 서류제출의 마감기일 이후에 특허정보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실제 후속절차 서류의 제출 여부를 확인하여 후속절차 시행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후속절차 및 마감기일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마감기일 전까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후속절차 마감일을 산출하는 산출일로부터 상기 마감일까지의 잔여일을 계산하고, 상기 잔여일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급도와 상기 잔여일을 표시한 정보를 전송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후속절차, 마감기일 및 후속절차 시행여부확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푸시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푸시 메시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웹의 특정 페이지를 열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신규로 관리할 관리요청대상 산업재산권의 식별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번호는,
    상기 산업재산권의 출원번호, 공개번호, 등록번호, 출원일자, 공개일자, 등록일자, 출원인 인적사항, 발명자 인적사항, 발명의 명칭, 대리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50038481A 2015-03-19 2015-03-19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0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481A KR101700111B1 (ko) 2015-03-19 2015-03-19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481A KR101700111B1 (ko) 2015-03-19 2015-03-19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493A Division KR20160137490A (ko) 2016-11-23 2016-11-23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556A KR20160112556A (ko) 2016-09-28
KR101700111B1 true KR101700111B1 (ko) 2017-01-26

Family

ID=5710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481A KR101700111B1 (ko) 2015-03-19 2015-03-19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959A1 (ko) * 2017-01-13 2018-07-19 주식회사 지식피플 지식재산권 플랫폼 시스템 및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11A (ko) 2002-07-26 2004-02-05 김진관 인터넷을 이용한 산업재산권 관리 방법
KR20120030837A (ko) * 2010-09-20 2012-03-29 공준상 특허 데이타베이스와 연동된 클라이언트를 사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6654A (ko) * 2012-11-23 2014-06-02 (주) 임픽스 지적재산권 통합 관리시스템과 그의 구동방법 및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556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2085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运维工单处理方法及装置
WO2007134463A1 (en) Lead management system
CN108475268A (zh) 知识产权公文管理系统
CN109657899B (zh) 事项处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9902095B (zh) 保单信息更新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872933B1 (ko) 생산관리시스템
CN114386896A (zh) 信息发送方法、页面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US20120095961A1 (en) Tool tracking system and method
KR101700111B1 (ko)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786004B2 (en) Obtaining missing documents from user
KR20150049671A (ko) 외주견적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60137490A (ko)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246776B (zh) 用于指示知识产权(ip)提交的计算机系统
CN113256240A (zh) 消息的处理方法、装置和服务器
KR20160051451A (ko) 산업재산권 관리 방법
US88321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management
KR101839322B1 (ko) 실시간 정보처리를 통한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CN111507817A (zh) 固定资产盘点方法及装置
KR20160051450A (ko) 산업재산권 관리 방법
KR20200029664A (ko) 법률문서 첨삭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
KR101533502B1 (ko) 금융사의 고객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3175088A (ja) 依頼管理装置、依頼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依頼管理システム
KR102441841B1 (ko)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JP2010009162A (ja) 有価証券発注方法、有価証券発注プログラム、並びに有価証券取引方法
JP6589846B2 (ja) 電子メール管理装置及び電子メール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