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508B1 -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508B1
KR102491508B1 KR1020220076860A KR20220076860A KR102491508B1 KR 102491508 B1 KR102491508 B1 KR 102491508B1 KR 1020220076860 A KR1020220076860 A KR 1020220076860A KR 20220076860 A KR20220076860 A KR 20220076860A KR 102491508 B1 KR102491508 B1 KR 102491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ipient
contract
corporation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각
Original Assignee
정종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각 filed Critical 정종각
Priority to KR102022007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 표준으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크롤링에 의해 추출해서 복지 용구의 구매, 대여에 관련된 청구의 수급 계약 신청을 자동화하는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WELFARE TOOL OFFIC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 표준으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크롤링에 의해 추출해서 복지 용구의 구매, 대여에 관련된 청구의 수급 계약 신청을 자동화하는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기술을 예로 들면, 특허문헌 1의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은 복지용구가 필요한 예비수급자(10)가 복지용구와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콜센터(20)를 통해 신청하고,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는 인터넷신청모듈(120)이 마련되고, 수급자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종합하고, 신청수신모듈(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예비수급자(10)에게 상기 복지용구를 제공하는 사업소(40)를 매칭하는 사업소송수신모듈(220)이 마련되고, 상기 복지용구를 제조하는 제조사(30)가 상기 예비수급자(10)에 의해 요청한 복지용구를 확인받을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복지용구 리스트를 관리하고, 상기 예비수급자(10)의 복지등급을 확인하고 상기 복지용구의 비용을 지급하는 보험공단(60)을 관리하는 공단관리부와 상기 사업소(40)를 관리하고, 상기 사업소(40), 제조사(30), 수급자(10) 및 관리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발신한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복지용구 중계 플랫폼 통합관리 시스템은 복지용구가 필요한 예비수급자(10)가 복지용구와 상기 예비수급자 정보를 콜센터(20)를 통해 신청하고,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는 인터넷신청모듈(120)이 마련되고, 수급자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종합하고, 신청수신모듈(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예비수급자(10)에게 상기 복지용구를 제공하는 사업소(40)를 매칭하는 사업소송수신모듈(220)이 마련되고, 상기 복지용구를 제조하는 제조사(30)가 상기 예비수급자(10)에 의해 요청한 복지용구를 확인받을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복지용구 리스트를 관리하고, 상기 예비수급자(10)의 복지등급을 확인하고 상기 복지용구의 비용을 지급하는 보험공단(60)을 관리하는 공단관리부와 상기 사업소(40)를 관리하고, 상기 사업소(40), 제조사(30), 수급자(10) 및 관리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발신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사업소, 제조사, 수급자, 관리자가 수기 입력으로 복지 용구 계약을 수행하지만, 복지 용구 수급 신청에 사용되는 승인 정보, 수급자 정보를, 공단 서버로부터 크롤링하여 수기 입력 없이 수급 계약을 자동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02707호,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등록특허공보 제10-2259367호, "복지용구 중계 플랫폼 통합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복지 용구 수급 신청에 사용되는 승인 정보, 수급자 정보를 공단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페이지로부터 크롤링하여 수기 입력 없이 수급 계약을 자동화하는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웹 표준으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크롤링에 의해 추출해서 복지 용구의 구매, 대여에 관련된 청구의 수급 계약 신청을 자동화하는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서 컴퓨터의 수급 프로그램을 원격 제어하여 수급 계약 신청을 원격지에서 가능하게 하는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은, 정보 프로그램(32)을 실행하여 수급자 아이디로 대표되는 수급자 정보를 DB(Database)로 관리하고, 외부 정보 요청에 수급자 정보를 공단 DB 웹 표준(65)에 따라 제공하고, 수급 계약 신청에 공단 DB와 대조하여 수락하는 공단 서버(31); 수급 프로그램(22)을 실행하여 수급자 아이디에 부합하는 수급자 정보를 상기 공단 서버(31)에 의해 제공되는 웹페이지로부터 취득하고, 판매, 대여에 대한 수급 신청 계약 정보와 수급자 정보를 대조하여 상기 공단 서버(31)에 수급 계약을 신청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급 프로그램(22)은, 공단 로그인, 수급자 조회, 수급자 조회 이력, 수급자 관리, 계약서 출력, 제품 바코드 입력, 공단 계약, 제품 반품 공단 계약 취소, 기초 신청서 출력, 재고 관리, 대여 계약 및 연장 계약, 본인부담금 CMS(Cash Management Service) 및 가상 계좌, 기초 미연장 관리, 수급자 계약 문자 및 알림, 물품 주문, 공단 고시가 수정 및 신규 품목 등록, 공단 청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프로그램(52)을 실행하여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21)의 상기 수급 프로그램(22)을 원격 제어하고, 원격지에서 수급 신청을 지원하는 무선 정보처리 단말기(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21)는, 크롤링 모듈(67)을 이용하여 공단 DB 웹 표준(65)으로 인코딩된 수급자 정보 및 승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크롤링 모듈(67)은 셀레니움의 xPath를 이용하여 수급자 정보 및 승인 정보를 크롤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급 프로그램(22)은, 수급자를 조회하는 수급자 조회(221); 최근 조회 기록을 표시하는 최근 조회기록(222); 수급자 목록을 표시하는 수급자 목록(223); 주문 접수 정보를 표시하는 주문 및 접수(224); 재고 정보를 표시하는 재고 관리(225); 대여 정보를 표시하는 대여 관리(226); 수급자 정보를 표시하는 수급자 정보(227); 판매, 대여 품목을 표시하는 품목 정보(228); 구매 이력을 표시하는 구매 이력(229)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21)의 제어부(5)는, 품목 바코드 및 수급자 서명을 포함하는 공단 계약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공단 서버(31)에 의해 제공되는 웹페이지로부터 수급자 정보 및 승인 정보를 크롤링하는 단계; 크롤링된 승인 정보 및 수급자 정보를 작성된 공단 계약의 내용과 대조하는 단계; 및 크롤링된 승인 정보 및 수급자 정보가 작성된 공단 계약의 내용과 일치하는 경우에 공단 계약 신청을 완료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방법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정보 처리 단말기(21)에 의해서 수행되는 복지 용구 사무 자동화 방법으로서, 품목 바코드 및 수급자 서명을 포함하는 공단 계약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공단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페이지로부터 수급자 정보 및 승인 정보를 크롤링하는 단계; 크롤링된 승인 정보 및 수급자 정보를 작성된 공단 계약의 내용과 대조하는 단계; 및 크롤링된 승인 정보 및 수급자 정보가 작성된 공단 계약의 내용과 일치하는 경우에 공단 계약 신청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지 용구 수급 신청에 사용되는 승인 정보, 수급자 정보를 공단 서버에 의헤 제공되는 웹페이지로부터 크롤링하여 수기 입력 없이 수급 계약을 자동화함으로써 사업소, 제조사, 수급자, 관리자가 수기 입력 없이 복지 용구 수급 계약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웹 표준으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크롤링에 의해 추출해서 복지 용구의 구매, 대여에 관련된 청구의 수급 계약 신청을 자동화함으로써 사업소, 제조사, 수급자, 관리자가 수기 입력 없이 복지 용구의 구매, 대여에 관련된 청구의 수급 계약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서 컴퓨터의 수급 프로그램을 원격 제어하여 수급 계약 신청을 원격지에서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업소, 제조사, 수급자,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복지 용구 수급 계약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데이터 크롤링 동작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방법의 프로그램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방법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과 운영체제, 코어인 제어부의 동작, 제어부 동작을 실행할 권한을 부여하는 시스템 인증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스마트폰으로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서비스를 실행하는 경우의 스마트폰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스마트폰으로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서비스를 실행하는 경우의 배송관리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포함된 구성은 개별 또는 복합 결합 구성되어 동작한다.
도 1은 본 발명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은 컴퓨터(21), 공단 서버(31) 및 스마트폰(51)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21)는 수급 프로그램(22)을 실행하여 수급자 아이디에 부합하는 수급자 정보를 공단 서버(31)로부터 수신하고, 판매, 대여에 대한 수급 신청 계약 정보와 수급자 정보를 대조하여 공단 서버(31)에 수급 계약을 신청한다. 여기서, 수급자 아이디는 수급자에게 부여된 고유 아이디로, 공단 서버(31)에서 관리하는 수급자 정보에 접근할 때 사용되는 인증값이 되고, 수급자 정보는 수급자 현재 상태 정보(수급자 사망 또는 장해 등급 변경), 수급자가 구매, 대여한 품목, 수량, 대여 기간, 연장 회수를 포함한다.
수급 프로그램(22)은 공단 로그인, 수급자 조회, 수급자 조회 이력, 수급자 관리, 계약서 출력, 제품 바코드 입력, 공단 계약, 제품 반품 공단 계약 취소, 기초 신청서 출력, 재고 관리 반품건 도매 구입건, 대여 계약 및 연장 계약, 본인부담금 CMS(Cash Management Service) 및 가상 계좌, 기초 미연장 관리, 수급자 계약 문자 및 알림, 도매 물품 주문, 공단 고시가 수정 및 신규 품목 등록, 공단 청구를 수행한다.
수급 프로그램(22)은 복지용구 사업소에서 수급자가 복지 용구를 구매하거나 대여한 경우에, 계약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계약 체결 내역을 자동으로 공단에 등록하며, 급여 비용 청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수급 프로그램(22)은 크롬 셀레니움을 이용한 크롤링에 의해 공단으로부터 수급자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자동으로 관련 양식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급자 성명 및 인정번호를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공단 웹페이지에 수급자 성명 및 인정 번호에 대응하는 수급자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된 공단 웹페이지 화면으로부터 필요한 정보(장애 등급, 급여 비용 한도, 구매한 복지용구 리스트, 대여한 복지용구 리스트)가 크롤링 및 저장될 수 있다.
수급자가 복지용구 사업소에서 구매 또는 대여한 경우에, 수급 프로그램(22)은 해당 수급자에 대한 정보를 공단 웹페이지로부터 크롤링을 통해 불러와서 자동으로 계약서 양식을 생성할 수 있다. 복지용구 사업소의 수급 프로그램(22)은 특정 시점(예를 들면, 매월말)에 이전의 계약 체결 내역을 수집하고, 공단에 자동으로 계약 체결 내역을 등록하고, 공단에 자동으로 급여 비용 청구할 수 있다.
공단 서버(31)는 정보 프로그램(32)을 실행하여 수급자 아이디로 대표되는 수급자 정보를 DB(Database)로 관리하고, 외부 정보 요청에 수급자 정보를 공단 DB 웹 표준(65)에 따라 제공하고, 수급 계약 신청에 공단 DB와 대조하여 수락한다. 종래 복지용구사업소는 공단 포털인 공단 서버(31)에 수급자의 신청 내역에 대한 급여 가능 여부를 조회한다.
스마트폰(51)은 웹소켓을 이용한 원격 프로그램(52)을 실행하여 컴퓨터(21)의 수급 프로그램(22)을 원격 제어하고, 원격지에서 수급 신청을 지원한다. 원격 프로그램(52)의 동작을 살펴보면, 컴퓨터(21)에 설치된 웹서버를 중심으로, 서버 역할을 하는 컴퓨터(21),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스마트폰(51)이 웹소켓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고, 스마트폰(51)에서의 원격 프로그램(52)의 제어 명령이 컴퓨터(21)의 수급 프로그램(22)에 전달되어 수급 계약 동작이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원격 프로그램(5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스마트폰(51)을 이용하여 원격 프로그램(5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수급 프로그램(22)은 급여 비용 청구시에 계약 체결 내역과 관련된 수급자의 현재 상태 정보(수급자 사망 또는 장해 등급 변경)를 수집하고, 급여 비용 청구시에 계약 체결 내역과 현재의 수급자의 상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알림을 표시하고, 현재의 수급자 상태로 변경하여 급여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데이터 크롤링 동작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공단 서버(31)는 외부 정보 요청에 대해 공단 DB 웹 표준(65)을 지원하고, 컴퓨터(21)는 크롤링 모듈(67)을 포함한다.
컴퓨터(21)는 크롤링 모듈(67)을 이용하여 공단 DB 웹 표준(65)으로 인코딩된 수급자 정보 및 승인 정보를 추출한다.
크롤링 모듈(67)은 컴퓨터(21)의 수급 프로그램(22)에서 크롤링 모듈(67)을 이용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61); API(61)의 요청을 브라우저 드라이버(63)에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Wire Protocol 기반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전달하는 JSON 프로토콜(62); JSON 프로토콜(62)의 URL 명령을 수신하고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실제 브라우저(64)를 동작시키는 브라우저 드라이버(6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크롤링 모듈(67)은 기능적 자동화 테스트 도구인 셀레니움, 사이프레스일 수 있고, 브라우저 드라이버(63)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모방하는 테스트를 작성하는데 사용된다.
크롤링 모듈(67)은 셀레니움의 xPath를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취득하기 때문에 웹페이지의 화면 설정, 글자 크기 설정과 관계없이 정확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XPath(XML Path Language)는 W3C의 표준으로 확장 생성 언어 문서의 구조를 통해 경로 위에 지정한 구문을 사용하여 항목을 배치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기술하는 언어이다. XPath는 XML 문서의 노드를 정의하기 위하여 경로식을 사용하며, 수학 함수와 기타 확장 가능한 표현들이 있다. 크롤링시에 class 값이나 id 값이 계속 변하거나 없는 경우 원하는 값을 가져오기 어렵다. xPath를 이용하여 크롤링을 수행하면 웹페이지의 화면 설정, 글자 크기 설정과 관계없이 정확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크롤링 모듈(67)에 의한 데이터 크롤링은 공단 계약을 위한 정보 취득을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크롤링 모듈(67)에 의한 데이터 크롤링은 공단 청구 및 공단 취소를 위한 정보 취득을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브라우저(64)는 크롤링 모듈(67)의 명령에 따라 공단 서버(31) 또는 공단 서버(31)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 웹 페이지에 포함된 메뉴로 이동하고, 메뉴에 링크된 수급자 정보, 승인 정보를 수급 프로그램(22)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방법의 프로그램 화면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수급 프로그램(22)은 수급자를 조회하는 수급자 조회(221); 최근 조회 기록을 표시하는 최근 조회기록(222); 수급자 목록을 표시하는 수급자 목록(223); 주문 접수 정보를 표시하는 주문 및 접수(224); 재고 정보를 표시하는 재고 관리(225); 대여 정보를 표시하는 대여 관리(226); 수급자 정보를 표시하는 수급자 정보(227); 판매, 대여 품목을 표시하는 품목 정보(228); 구매 이력을 표시하는 구매 이력(229); 자금을 입출력하는 CMS(Cash Management Service)(230); 문자를 발송하는 문자 발송(231); 애프터 서비스 관리하는 AS 관리(232);를 수행한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급 프로그램(22)은 CID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복지용구 사업소에 CID 표시 장치를 설치하고, CID 표시 장치를 수급 프로그램(22)과 연동시키면, 유선 전화에서 수신되는 전화 번호가 파이썬 SERIAL 모듈을 이용하여 취득되고, 취득된 수신 전화 번호는 수급 프로그램(22)에 등록된 수급자 번호와 비교하여 동일한 전화번호일 경우 저장된 데이터(성함, 주문이력, 메모 등)를 컴퓨터 화면에 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지용구 사업소에서는 수신 전화와 관련된 수급자 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전화응대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급 프로그램(22)은 공단 계약과 관련된 전자 계약서를 모바일 메시지앱(카카오톡 등) 또는 SMS/MMS 메시지를 통하여 발송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공단계약과 관련된 전자 계약서에는 수급자의 서명이 필요하며, 수급 프로그램(22)은 전자 계약서를 수급자의 스마트폰에 모바일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로 발송할 수 있다. 수급자는 수신한 전자 계약서 양식에 서명 및 동의란에 체크하여 회신할 수 있다. 수급 프로그램(22)는 서명 및 동의란이 체크된 전자 계약서를 수급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 계약서를 공단 서버(31)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급 프로그램(22)은 기초 서류를 팩스 또는 이메일로 시/군/구 담당부서로 전송할 수 있는 서류 발송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초 서류는 API 연동에 의해 팩스로 발송되거나 또는 자바스크립트 모듈을 통하여 이메일로 발송될 수 있다.
도 4는 도 3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방법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5)는 단계(S101-S106)을 수행한다.
제어부(5)는 품목 바코드 및 수급자 서명을 포함하는 공단 계약을 작성하는 단계(S110); 상기 공단 서버(31)에 의해 제공되는 웹페이지로부터 수급자 정보 및 승인 정보를 크롤링하는 단계(S120); 크롤링된 승인 정보 및 수급자 정보를 작성된 공단 계약의 내용과 대조하는 단계(S103); 및 크롤링된 승인 정보 및 수급자 정보가 작성된 공단 계약의 내용과 일치하는 경우에 공단 계약 신청을 완료하는 단계(S104)를 수행한다. 여기서, 승인 정보는 복지 용구 수급을 신청할 권한을 부여받음을 나타내고, 수급자 정보는 수급자 현재 상태 정보(수급자 사망 또는 장해 등급 변경), 수급자가 구매, 대여한 품목, 수량, 대여 기간, 연장 회수를 포함하고, 신청 정보는 품목 구매, 대여에 따른 청구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과 운영체제, 코어인 제어부의 동작, 제어부 동작을 실행할 권한을 부여하는 시스템 인증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프로세서(1), 메모리(2), 입출력장치(3), 운영체제(4), 제어부(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s), GPU(Graphic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NPU(Neural Processing Unit)로서, 메모리(2)에 탑재된 운영체제(4), 제어부(5)의 실행 코드를 수행한다.
메모리(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장치(3)는 입력 장치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로,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체제(4)는 윈도우, 리눅스, IOS, 가상 머신, 웹브라우저, 인터프리터를 포함할 수 있고, 태스크, 쓰레드, 타이머 실행, 스케줄링, 자원 관리, 그래픽, 폰트 처리, 통신 등을 지원한다.
제어부(5)는 운영체제(4)의 지원하에 입출력장치(3)의 센서, 키, 터치, 마우스 입력에 의한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5)는 병렬 수행 루틴으로 타이머, 쓰레드에 의한 작업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제어부(5)는 입출력장치(3)의 센서값을 이용하여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에 따른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 인증 구성은 제어부(5)를 포함하는 단말기(6), 인증 서버(7)를 포함한다.
단말기(6)는 데이터 채널을 이중화하고, 단말기(6)의 키값, 생체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 서버(7)에 제1데이터 채널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단말기(6)는 생성된 킷값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인증 서버(7)로 전송한다.
단말기(6)는 단말기(6)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킷값을 입력하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제2데이터 채널을 통해 인증 서버(7)로 전송한다. 단말기(6)는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6)에 탑재된 시스템의 인증을 인증 서버(7)에 요청한다. 단말기(6)의 킷값은 컴퓨터 고유의 정보인 CPU 제조번호, 이더넷 칩의 맥주소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단말기(6)는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 인식,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 인식,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필기 인식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인증에 활용할 수 있다.
인증 서버(7)는 단말기(6)로부터 킷값을 수신하고, 단말기(6)로부터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6)의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사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단말기(6)의 시스템 이용에 대한 인증을 처리한다. 인증 서버(7)는 인증 결과를 단말기(6)로 전송하여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한다. 단말기(6)의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로 인해 킷값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인증 서버(7)는 사용자 정보의 히스토리 분석을 수행하고, 시간 흐름에 따라 사용자 정보의 일관성, 변화를 비교 판단한다. 히스토리 분석에서 사용자 정보가 일관성을 나타내면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하고, 변화를 나타내면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사용자 정보가 일관성을 나타낼 때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을 허가함으로써 사용자 정보가 변조된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안을 강화한다.
시스템의 사용을 인증하는 수단인 단말기(6)는 시스템과 직접 연결하지 않고, 인증 서버(7)를 통한 우회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인터넷망을 이루는 네트워크가 내부망과 외부망으로 구성되어 아이피 주소 설정 과정이 번거로울 때 단말기(6)를 이용한 인증 과정이 원활히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단말기(6)에는 시스템이 탑재되고, 단말기(6)는 인증 단말 수단이 되고, 인증 서버(7)는 인증 서버 수단이 된다.
클라우드(12)는 프로세서(1), 메모리(2), 입출력장치(3), 통신부(6)를 관리하는 운영체제(4)의 지원 하에 컨테이너(7)의 모듈화로, 웹(8), DB(9), 프로토콜(10), 라이브러리(11)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어부(5)는 컨테이너(7)의 서비스를 이용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컨테이너(7)라고 하는 표준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를 관련 구성 파일, 라이브러리(11) 및 앱 실행에 필요한 종속성과 함께 번들로 제공한다.
클라우드(12)는 다수의 단말기(6)를 통합 제어하고, 단말기(6)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을 저장하여 시간 흐름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단말기(6)의 동작 에러를 처리하고, 에러 메시지를 다른 단말기(6)로 알리고, 제어 대상인 단말기(6)를 스위칭 제어한다.
신경망 학습은 온도, 고도, 지문 등 각종 센서, 이미지, 적외선 등 카메라, 라이더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수집된 시계열 데이터로부터 특징량 선택, 알고리즘 선택을 통해 모델을 선택하고, 학습, 성능 검증 과정에 의한 반복 시행 착오를 거쳐 모델 선택을 반복한다. 성능 검증이 마치면 인공지능 모델이 선택된다.
제어부(5)는 센서값 판단에 신경망을 이용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신경망 학습에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고, 시험 데이터로 신경망 성능을 검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51)에 의해 이용가능한 복지용구 사무자동화 서비스의 홈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지용구 사무자동화 서비스는 수급자 조회, 최근 조회 기록, 수급자 목록, 주문 및 발주, 배송 관리, 대여 관리, 기초 관리, CMS 관리, 재고 관리, 재무 회계, 기초 신청, 담당자 관리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복지용구 사무자동화 서비스는 스마트폰(51)에 설치된 복지용구 사무자동화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51)에서 접속된 웹페이지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21)에 의해 제공되는 수급 프로그램(22)의 모든 기능은 스마트폰(51)을 통하여 이용가능한 복지용구 사무자동화 서비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복지용구 사업소의 관리자가 스마트폰으로 복지용구 사무자동화 서비스에 접속하여 자신의 ID 및 패스워드로 로그인하고, 바코드 인식을 통하여 구매 또는 대여 처리, 계약서 자동 생성, 계약 체결 내역 전송, 급여 비용 청구가 가능하다. 스마트폰에서는 웹소켓 이용하여 데이터만 웹서버에 넘겨주고, 웹서버에서는 프로그램 구동에 의해 실제의 공단 데이터 수집, 데이터 입력 및 등록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51)에 의해 제공되는 복지용구 사무자동화 서비스의 배송 관리 화면을 나타낸다.
주문 및 발주 처리가 이루어지면, 해당 주문건의 배송 담당에게 배송 일정 및 물품 정보 리스트가 노출된다. 카카오 지도, 네이버 지도 등의 지도 API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배송지를 표시하고, 해당 배송지의 좌표를 취득하여 자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가까운 거리 순으로 배송 순서를 결정하여 배송 담당에게 표시한다.
배송 담당 또는 복지용구 사업소 관리자는 드래그앤 드롭 조작 등에 의해 임의로 배송 리스트의 배송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배송 담당 또는 복지용구 사업소 관리자는 배송 관련 내용(배송 완료, 회수, 취소)를 클릭함으로써 배송 처리 단계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프로세서
2: 메모리
3: 입출력장치
4: 운영체제
5: 제어부
6: 단말기
7: 인증 서버
8: 웹
9: DB
11: 라이브러리
12: 클라우드
14: 컨테이너
16: 통신부
21: 컴퓨터
22: 수급 프로그램
31: 공단 서버
32: 정보 프로그램
42: 승인 프로그램
51: 스마트폰
52: 원격 프로그램
61: API
62: JSON 프로토콜
63: 브라우저 드라이버
64: 브라우저
65: 공단 DB 웹 표준

Claims (8)

  1. 정보 프로그램(32)을 실행하여 수급자와 관련된 수급자 정보를 DB(Database)로 관리하고, 외부 정보 요청에 따라 수급자 정보 및 승인 정보를 웹 표준(65)에 따라 제공하고, 복지용구 사업자의 수급 계약 신청에 대하여 공단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하여 수락하는 공단 서버(31);
    수급 프로그램(22)을 실행하여 수급자와 관련된 수급자 정보를 상기 공단 서버(31)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로부터 취득하고, 복지 용구의 판매 또는 대여에 대한 수급 신청 계약 정보와 수급자 정보 및 승인 정보를 대조하여 상기 공단 서버(31)에 수급 계약을 신청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21); 및
    원격 프로그램(52)을 실행하여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21)의 상기 수급 프로그램(22)을 원격 제어하고, 원격지에서 수급 신청을 지원하는 스마트폰(51)
    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21)는, 크롤링 모듈(67)을 이용하여 공단의 웹페이지로부터 수급자 정보 및 승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크롤링 모듈(67)은 셀레니움의 xPath를 이용하여 수급자 정보 및 승인 정보를 크롤링하며,
    상기 크롤링 모듈(67)은,
    컴퓨터(21)의 수급 프로그램(22)에서 크롤링 모듈(67)을 이용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61);
    API(61)의 요청을 브라우저 드라이버(63)에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Wire Protocol 기반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전달하는 JSON 프로토콜(62); 및
    JSON 프로토콜(62)의 URL 명령을 수신하고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실제 브라우저(64)를 동작시키는 브라우저 드라이버(63)를 포함하고,
    수급자 정보는 수급자의 등급 정보, 수급자의 구매 또는 대여 품목, 구매 또는 대여 품목의 수량, 대여 기간 및 연장 회수를 포함하고,
    승인 정보는 수급자가 복지 용구 수급을 신청할 권한을 갖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21)의 수급 프로그램(22)이 발신자 번호 표시 장치와 연동되고, 수신되는 전화 번호가 파이썬 SERIAL 모듈을 이용하여 수급 프로그램(22)에 취득되고, 취득된 수신 전화 번호는 수급 프로그램(22)에 등록된 수급자 번호와 비교하여 수신 전화와 관련된 수급자의 성명 및 주문 이력을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폰(51)은 웹소켓을 이용하여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수급 프로그램(22)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공단 서버(31)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로부터 수급자 정보 및 승인 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 입력 및 등록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스마트폰(51)은 복지 용구의 주문 또는 발주가 행해지는 경우에, 주문 또는 발주가 행해진 복지 용구의 배송 담당에게 배송 일정 및 물품 정보 리스트를 제공하고, 지도 API를 통하여 지도상에 배송지를 표시하며, 배송지의 좌표를 취득하여 자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가까운 거리 순으로 배송 순서를 결정하여 배송 담당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급 프로그램(22)은,
    공단 로그인, 수급자 조회, 수급자 조회 이력, 수급자 관리, 계약서 출력, 제품 바코드 입력, 공단 계약, 제품 반품 공단 계약 취소, 기초 신청서 출력, 재고 관리, 대여 계약 및 연장 계약, 본인부담금 CMS(Cash Management Service) 및 가상 계좌, 기초 미연장 관리, 수급자 계약 문자 및 알림, 물품 주문, 공단 고시가 수정 및 신규 품목 등록, 공단 청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급 프로그램(22)은,
    수급자를 조회하는 수급자 조회(221); 최근 조회 기록을 표시하는 최근 조회기록(222); 수급자 목록을 표시하는 수급자 목록(223); 주문 접수 정보를 표시하는 주문 및 접수(224); 재고 정보를 표시하는 재고 관리(225); 대여 정보를 표시하는 대여 관리(226); 수급자 정보를 표시하는 수급자 정보(227); 판매, 대여 품목을 표시하는 품목 정보(228); 구매 이력을 표시하는 구매 이력(229);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21)의 제어부(5)는,
    품목 바코드 및 수급자 서명을 포함하는 공단 계약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공단 서버(31)에 의해 제공되는 웹페이지로부터 수급자 정보 및 승인 정보를 크롤링하는 단계; 크롤링된 승인 정보 및 수급자 정보를 작성된 공단 계약의 내용과 대조하는 단계; 및 크롤링된 승인 정보 및 수급자 정보가 작성된 공단 계약의 내용과 일치하는 경우에 공단 계약 신청을 완료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8. 삭제
KR1020220076860A 2022-06-23 2022-06-23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491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860A KR102491508B1 (ko) 2022-06-23 2022-06-23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860A KR102491508B1 (ko) 2022-06-23 2022-06-23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508B1 true KR102491508B1 (ko) 2023-01-20

Family

ID=8510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860A KR102491508B1 (ko) 2022-06-23 2022-06-23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5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8184A (ja) * 2003-08-28 2005-03-24 Sekisui System Center Co Ltd 介護サポートシステム及び介護サポート方法
KR20090129684A (ko) * 2008-06-13 2009-12-17 김영하 청소 및 경비용역 가맹사업의 거래에 관한 회원들의 자동적총괄적 지급에 관한 금융거래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79041B1 (ko) * 2015-08-12 2015-12-21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 비용청구 시스템
KR20200074424A (ko) * 2018-12-17 2020-06-25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KR102202707B1 (ko) 2019-11-26 2021-01-13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KR102259367B1 (ko) 2020-01-20 2021-06-22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복지용구 중계 플랫폼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8184A (ja) * 2003-08-28 2005-03-24 Sekisui System Center Co Ltd 介護サポートシステム及び介護サポート方法
KR20090129684A (ko) * 2008-06-13 2009-12-17 김영하 청소 및 경비용역 가맹사업의 거래에 관한 회원들의 자동적총괄적 지급에 관한 금융거래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79041B1 (ko) * 2015-08-12 2015-12-21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 비용청구 시스템
KR20200074424A (ko) * 2018-12-17 2020-06-25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KR102202707B1 (ko) 2019-11-26 2021-01-13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KR102259367B1 (ko) 2020-01-20 2021-06-22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복지용구 중계 플랫폼 통합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64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sale transaction data
WO20200060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web processes utilizing an abstractable underlying platform layer
US20090030773A1 (en)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CN108475268A (zh) 知识产权公文管理系统
US118299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sale transaction data
CN111461914A (zh) 订单跟踪核销管理的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202302898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bank account information changes
KR102442694B1 (ko) 인력 매칭 시스템
KR100347019B1 (ko) 인터넷 상의 전자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017464B1 (en) Detecting account takeover fraud from digital transactional data
KR102304997B1 (ko)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95068A (ko) 부동산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2387B1 (ko) 친구계정 페이지로 직접 상품을 푸시하여 친구의 구매과정에 관여하는 방법
EP2765541A1 (en) Physical and electronic book reconciliation
CN112465467A (zh) 业务协作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491508B1 (ko)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28457A1 (en) Application sales management server system
US202203511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initialization by secondary user
US20140279212A1 (en) Multi-channel wireless pre-approval system
JP2005115930A (ja) 第1のコンピュータと第2のコンピュータとの間の通信プロトコル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
JP6560730B2 (ja) 対話形式で顧客ヒアリング、ガス器具販売および決済を行なう方法、コンピュータおよびプログラム
US11928725B2 (en) Methods for searching and obtaining design items and meta data concerning the design items
US20230206247A1 (en) Product catalog mapping and integration across distributed systems and interfaces, dynamic determination and presentation of customized service offers and lifecycle management of services
CN109308601A (zh) 信息处理系统及信息处理系统的信息处理方法
KR102102536B1 (ko) 통합 예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