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707B1 -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707B1
KR102202707B1 KR1020190152926A KR20190152926A KR102202707B1 KR 102202707 B1 KR102202707 B1 KR 102202707B1 KR 1020190152926 A KR1020190152926 A KR 1020190152926A KR 20190152926 A KR20190152926 A KR 20190152926A KR 102202707 B1 KR102202707 B1 KR 10220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ipient
management
welfare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호
서재용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152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급자(10), 복지용구 사업소(40), 제조사(30) 및 건강보험공단(60) 간에 복지용구를 효율적으로 중계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은 복지용구가 필요한 예비수급자(10)가 복지용구와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콜센터(20)를 통해 신청하는 콜센터신청모듈(110) 및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는 인터넷신청모듈(120)이 마련된 수급자관리시스템(100); 상기 수급자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종합하는 신청수신모듈(210) 및 상기 신청수신모듈(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예비수급자(10)에게 상기 복지용구를 제공하는 사업소(40)를 매칭하는 사업소송수신모듈(220)이 마련된 콜센터관리시스템(200); 상기 복지용구를 제조하는 제조사(30)가 상기 예비수급자(10)에 의해 요청한 복지용구를 확인받을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복지용구 리스트를 관리하는 제조사관리시스템(300); 및 상기 예비수급자(10)의 복지등급을 확인하고 상기 복지용구의 비용을 지급하는 보험공단(60)을 관리하는 공단관리부와 상기 사업소(40)를 관리하는 사업소관리부(511)를 포함하며, 상기 사업소(40), 제조사(30), 수급자(10) 및 관리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발신하는 공통관리시스템(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CONTROL SYSTEM FOR SUPPLYING FOR WELFARE EQUIPMEN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급자(10), 복지용구 사업소(40), 제조사(30) 및 건강보험공단(60) 간에 복지용구를 효율적으로 중계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애인 및 고령자를 위한 복지 용품의 증가하고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다양한 용품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애인 및 고령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복지시스템과 복지용품의 효율적인 제공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장애인 및 고령자를 위한 간병 용품의 렌탈시스템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는 수급자(10)에게 재사용에 대한 거부감이 있고 렌탈 시스템이 수급자(10)와 렌탈업체간에 한정된 정보 제공 시스템이므로 여러 측면에서 도움이 필요한 장애인 및 고령자가 사용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복지용구가 필요한 수급자(10)와 장애 등급에 따른 효율적인 복지용품 제공방법 및 비용지급에 대한 복지용구 통합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9066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지용품 수급자(10)에게 맞는 복지용구 제공이 효율적으로 시행될 수 있는 복지용구 통합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지용품 수급자(10)와 복지용구 사업소(40), 제조사(30) 및 건강보험관리공단간의 복지용구를 중계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 또는 고령자에게 효율적으로 복지용구신청, 대금신청 및 대금지급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인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은,
복지용구가 필요한 예비수급자(10)가 복지용구와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콜센터(20)를 통해 신청하는 콜센터신청모듈(110) 및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는 인터넷신청모듈(120)이 마련된 수급자관리시스템(100);
상기 수급자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종합하는 신청수신모듈(210) 및 상기 신청수신모듈(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예비수급자(10)에게 상기 복지용구를 제공하는 사업소(40)를 매칭하는 사업소송수신모듈(220)이 마련된 콜센터관리시스템(200);
상기 복지용구를 제조하는 제조사(30)가 상기 예비수급자(10)에 의해 요청한 복지용구를 확인받을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복지용구 리스트를 관리하는 제조사관리시스템(300); 및
상기 예비수급자(10)의 복지등급을 확인하고 상기 복지용구의 비용을 지급하는 보험공단(60)을 관리하는 공단관리부와 상기 사업소(40)를 관리하는 사업소관리부(511)를 포함하며, 상기 사업소(40), 제조사(30), 수급자(10) 및 관리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발신하는 공통관리시스템(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복지용품 수급자(10)에게 맞는 복지용구 제공이 효율적으로 시행될 수 있는 복지용구 통합 중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지용구 수급자(10)와 복지용구사업소(40), 제조사(30), 건강보험관리공단 및 지자체 간의 복지용구를 중계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인 또는 고령자에게 효율적으로 복지용구신청, 대금신청 및 대금지급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관리시스템(1)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수급자(10), 콜센터(20), 제조사(30), 사업소(40) 및 건강보험보험공단(60) 간의 복지용구 중계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1)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수급자(10)와 콜센터(20)를 중계하는 수급자관리시스템(100) 및 콜센터관리시스템(200)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통합관리시스템(1)에서 제조사관리시스템(300)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통합관리시스템(1)에서 사업소관리시스템(400)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통합관리시스템(1)을 관리하는 공통관리시스템(500)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통합관리시스템(1)을 이용하여 수급자(10), 콜센터(20), 제조사(30), 사업소(40) 및 건강보험보험공단(60) 간의 복지용구를 중계하는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수급자(10), 콜센터(20), 제조사(30), 사업소(40) 및 건강보험보험공단(60) 간의 복지용구 중계를 위한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사업소송수신모듈(220)에서 사업소리스트출력부(223)에 의해 실행되는 사업소(40)리스트의 일실시예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인터넷신청모듈(120)에서 로그인부(121)를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인터넷신청모듈(120)에서 정보확인부(122), 제품내역제공부(123), 계약서관리부(124) 및 수급자알람부(125)를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18 내지 도 22는 제조사관리시스템(300)의 구성 일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23 내지 도 38은 사업소관리시스템(400)의 구성 일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39 내지 도 49는 공통관리시스템(500)의 구성 일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50 내지 도 51은 공통관리시스템(500)에서 고객센터관리모듈(550) 구성 일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은 통합관리시스템(1)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통합관리시스템(1)은 크게 수급자관리시스템(100), 콜센터관리시스템(200), 제조사관리시스템(300), 사업소관리시스템(400) 및 공통관리시스템(500)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통합관리시스템(1)은 복지용구를 주문하고 배송받는 (예비)수급자(10), 상기 (예비)수급자(10)가 복지용구를 전화로 주문하는 콜센터(20), 복지용구를 제조하는 제조사(30), 수급자(10)가 복지용구를 주문할 때 비용을 지급하는 보험공단(60), 복지용구를 관리하고 중계하는 사업소(40), 통합관리시스템(1)을 관리하는 시스템관리부(50)를 통해 이용된다.
먼저, 상기 수급자관리시스템(100)은 복지용구가 필요한 예비수급자(10)가 복지용구를 신청하기 위해 콜센터(20)를 통해 신청하는 콜센터신청모듈(110) 및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는 인터넷신청모듈(120)이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급자관리시스템(100)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복지용구가 필요한 예비수급자(10)가 복지용구 신청을 위해 상기 콜센터신청모듈(110) 및 인터넷신청모듈(120)로 구성된다.
상기 콜센터신청모듈(110)은 제1데이터입력부(111)와 제1데이터발신부(1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데이터입력부(111)는 상기 예비수급자(10)가 전화로 상기 콜센터(20)에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면, 기설정된 항목에 따라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가 입력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데이터발신부(112)는 상기 제1데이터입력부(111)에 입력된 기본정보를 상기 콜센터관리시스템(200)에 발신한다. 상기 기본정보는 회원가입을 위한 아이디, 비밀번호, 장기요양인정번호,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및 복지용구를 송달받을 주소 입력이 요구된다. 상기 기본정보 중 장기요양인정번호, 전화번호 및 복지용구를 송달받을 주소는 반드시 입력되어야 하는 항목이다.
상기 인터넷신청모듈(120)은 로그인부(121), 정보확인부(122), 제품내역제공부(123), 계약서관리부(124) 및 수급자알람부(125)로 구성된다.
상기 로그인부(121)는 웹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수급자(10)가 로그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로그인부(121)는 상기 제1데이터입력부(111)에서 입력되는 기본정보와 동일하게 입력된다.
상기 정보확인부(122)는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기설정된 항목에 입력하고, 추가적인 정보인 추가정보가 입력되도록 추가항목을 제공된다. 상기 정보확인부(122)는 상기 기본정보 중 장기요양인정번호, 전화번호 및 주소를 추출하여 기설정된 항목에 자동으로 입력하고, 추가정보인 수급자(10)명, 장기요양등급, 성별, 생년월일, 본인부담률, 대여 또는 구매 유효기간, 연한도액 적용구간, 보호자명, 보호자와의 관계, 보호자 전화번호, 보호자 이메일주소, 및 보호자 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가 입력되도록 항목을 제공한다. 상기 장기요양인정번호가 기본정보로 입력되면 상기 장기요양등급은 상기 정보확인부(122)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된다. 상기 기본정보 및 추가정보 항목이 제공되고, 추가로 장기요양급여 제공기록지가 제공된다. 상기 장기요양급여 제공기록지는 상기 장기요양등급에 따라 보험공단(60)으로부터 수여받아 복지용구를 구매 또는 대여할 수 있는 요양급여의 기록지로, 상기 장기요양급여 제공기록지 확인자 및 수령방법 및 특이사항을 기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확인부(122)는 상기 기본정보 및 추가정보를 이용하여 취급가능제품현황, 구매이력, 대여이력 및 수급자(10)상태 및 메모를 제공한다. 상기 취급가능제품현황은 상기 장기요양등급에 따라 수급자(10)가 구매 또는 대여할 수 있는 복지용구의 물품 목록인 취급가능제품의 목록을 자동 생성한다. 상기 구매이력 및 대여이력은 상기 수급자(10)가 구매한 이력 및 대여한 이력을 리스트화하여 제공한다. 상기 수급자(10)상태는 날짜에 따라 수급자(10)의 상태를 제공하는 것으로, 수급자(10) 등록 또는 공급계약서 작성 이력을 제공하고 삭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메모는 상기 수급자(10)상태를 수급자(10)가 임의로 추가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제품내역제공부(123)는 시스템관리부(50)의 시스템관리부(50)가 등록한 복지용구 리스트와 상기 복지용구의 이미지, 제품명 및 고시가를 포함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복지용구는 구매 가능한 제품과 대여 가능한 제품을 분리하여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취급가능제품현황, 구매이력 및 대여이력를 보다 자세하게 리스트화하여 제공한다. 상기 제품내역제공부(123)는 복지용구의 이미지, 품목, 제품명, 고시가, 급여코드, 바코드, 제조사(30), 구매일자 및 대여기간을 포함하며, 상기 고시가가 높은 순 또는 낮은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상기 계약서관리부(124)는 예비수급자(10)가 상기 제품내역제공부(123)에 의해 제공된 복지용구를 선택한 경우 복지용구의 공급계약서를 상기 예비수급자(10)에게 발행하되, 전자서명시스템서버(D23)가 마련되어 전사서명에 의한 계약서 발생이 진행된다. 상기 계약서관리부(124)는 계약일, 구매품목, 구매금액, 대여품목, 대여금액, 합계금액 및 수급자(10) 담당자를 리스트화하여 제공하고, 복지공구 공급계약서, 장기요양급여비용(본인부담금) 영수증, 장기요양급여 제공기록지(복지용구) 및 장기요양급여 비용명세서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수급자(10)가 선택한 경우 해당 수급자(10) 이메일과 연동되어 발송하도록 제공한다. 상기 계약서에 상기 바코드가 등록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바코드가 없으므로 이메일 발송을 할 수가 없다는 메시지와 함께 이메일 발송은 제한된다.
상기 수급자알람부(125)는 상황별로 기설정된 내용의 자동 알람메시지를 통해 상기 예비수급자(10)에게 알람 메시지를 발신한다. 상기 알람메시지 내용은 상기 공통관리시스템(500)의 알람관리모듈(560)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콜센터관리시스템(200)은 상기 수급자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종합하는 신청수신모듈(210) 및 상기 신청수신모듈(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예비수급자(10)에게 상기 복지용구를 제공하는 사업소(40)를 매칭하는 사업소송수신모듈(220)이 마련된다.
상기 콜센터관리시스템(200)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콜센터(20)가 상기 사업소(40)와 상기 예비 수급자(10)의 매칭을 위해 상기 신청수신모듈(210) 및 사업소송수신모듈(220)을 포함하며, 상기 신청수신모듈(210)은 제1데이터수신부(211), 인터넷데이터수신부(212) 및 데이터종합부(213)로 구성되고, 상기 사업소송수신모듈(220)은 획득데이터수신부(221), 지도매칭시스템입력부(222), 사업소리스트출력부(223), 사업소매칭부(224) 및 사업소알람부(225)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데이터수신부(211)는 상기 콜센터신청모듈(110)의 제1데이터발신부(112)로부터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수신받는다. 상기 인터넷데이터수신부(212)는 상기 인터넷신청모듈(120)로부터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수신받는다. 상기 데이터종합부(213)는 상기 제2데이터수신부 및 인터넷데이터수신부(212)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통합한다. 상기 콜센터(20)에서 통화 후 1차 정보기록은 콜센터CRM서버(D30)에 등록된다.
다음으로, 상기 획득데이터수신부(221)는 상기 데이터종합부(213)로부터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지도매칭시스템입력부(222)는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로부터 상기 예비수급자(10)의 주소를 추출하고 입력하여 상기 예비수급자(10)의 위치를 확인한다. 상기 사업소리스트출력부(223)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지도매칭시스템입력부(222)를 통해 상기 예비수급자(10)의 위치에서 가까운 위치순으로 사업소(40)의 리스트를 출력한다. 상기 사업소매칭부(224)는 상기 예비수급자(10)가 상기 사업소리스트출력부(223)에 의해 출력된 사업소(40)의 리스트에서 선택하면 상기 예비수급자(10)와 사업소(40)를 매칭한다. 상기 사업소(40)알림부는 상기 예비수급자(10)가 선택한 사업소(40)에 기설정된 메시지의 자동 알람을 통해 상기 사업소(40)에 알람 메시지를 발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사관리시스템(300)은 상기 복지용구를 제조하는 제조사(30)가 상기 예비수급자(10)에 의해 요청한 복지용구를 확인받을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제조사(30)가 제조한 상기 복지용구를 업로드하고 상기 복지용구의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제조사관리시스템(300)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황관리모듈(310), 제조사제품관리모듈(320), 제조사관리모듈(330), 제조사알람모듈(340)로 구성된다.
상기 현황관리모듈(310)은 해당 제조사(30)에서 제조하여 공급 가능한 복지용구를 리스트화하여 제공한다. 상기 현황관리모듈(310)은 제품현황관리부(311), 제품등록관리부(312), 상세정보관리부(313), 제품수정관리부(314)로 구성된다. 상기 제품현황관리부(311)는 상기 시스템관리부(50)가 등록 또는 승인한 구매품목 리스트가 표시된다. 제품의 이미지, 품목, 제품명, 급여코드, 고시가 등이 표시된다. 고시가가 높은순 또는 낮은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구매품목을 선택하면 하단의 리스트가 선택된 품목 리스트가 자세히 표시된다. 제품을 상기 제품관리모듈에 업로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품등록관리부(312)에서 사진 등록을 클릭시 팝업으로 사진등록 화면이 표시되며, 제품 등록 신청을 하면 상기 시스템관리부(50)의 제품현황에 등록되어 제품등록이 신청되며, 상기 시스템관리부(50)의 관리자가 승인하면 제품등록이 완료된다. 색상등록을 클릭하면 색상등록 팝업이 띄며 색상을 입력후 확인을 클릭하면 등록된 색상이 셀렉트박스로 표시되고, 색상이 하나일 경우 한가지 색상만 등록하면 셀렉트박스 없이 한가지 색상으로 표시된다. 제품 수정 후 제품수정신청 버튼 클릭시 시스테관리자 제품현황에 제품수정신청이 등록된다. 상기 상세정보관리부(313)에서 제조사(30)에서 제조한 복지용구의 상세정보를 업로드하고, 상기 제품수정관리부(314)는 상기 제조사(30)에서 복지용구를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제조사제품관리모듈(320)은 상기 제조사(30)에서 공급 가능한 복지용구 중 상기 수급자(10)가 주문한 복지용구를 리스트화하여 제공한다. 상기 제조사제품관리모듈(320)은 주문현황관리부(321) 및 주문상세관리부(322)로 구성된다. 상기 주문현황관리부(321)는 주문한 복지용구 리스트에서 행 오버시 행 바탕화면 색이 바뀌며 클릭시 해당 제품의 제품주문 상세내역 페이지로 이동되고, 주문상태(전체, 주문신청, 배송중, 배송완료, 주문취소, 제품교환)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주문상세관리부(322)는 상기 사업소(40)에서 신청한 제품주문 정보와 배송지 정보가 표시되고, 택배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주문상세관리부(322)는 등록버튼 클릭시 등록 완료되며 제품주문내역 페이지로 이동되고, 취소버튼 클릭시 제품주문내역 페이지로 이동된다. 사용자 모바일 시스템 또는 복지용구 시스템에서 바코드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바코드는 입력할 수 있도록 Input box 처리되고 바코드 입력시 복지용구사업소(40) 시스템에도 등록되며, 바코드를 등록하면 바코드가 계약 완료한 계약서에 등록된다.
상기 제조사관리모듈(330)은 시스템관리부(50)의 시스템관리자가 상기 제조사(30)의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제조사관리모듈(330)은 제조사정보관리부(331)로 구성된다. 상기 제조사정보관리부(331)는 회원가입시 등록한 회원정보가 표시되고, 정보수정 클릭시 정보수정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제공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조사정보관리부(331)에서는 아이디는 직접 수정 불가하나 아이디 변경 신청을 하면 시스템관리자에서 확인후 복지용구공급업체 정보수정에서 변경되고, 변경 신청시 시스템관리자 알람메세지로 전달하도록 제공한다. 제조사(30)명과 사업자등록번호는 직접 수정 불가하나, 사업자정보 변경 신청을 하면 시스템관리부(50)에서 확인 후 제조사(30) 정보수정에서 변경되며 변경 신청시 시스템관리자 알람메세지로 전달되도록 제공한다.
상기 제조사알람모듈(340)은 기설정된 메시지의 자동 알람을 통해 상기 제조사(30)에 알람 메시지를 발신한다. 상기 제조사알람모듈(340)은 제조사확인부(341)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황별 자동 푸시 알람메시지가 제공되나, 시스템관리부(50)에서 작성한 메시지 내용도 표시되며 전체 또는 기간별 검색이 가능하다. 알람내용 클릭시 팝업으로 메시지 전체내용이 표시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사업소(40)와 예비수급자(10) 간의 계약이 체결된 경우, 상기 제조사알람모듈(340)은 복지용구 주문 정보를 자동 알람을 통해 알람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알람 메시지를 읽지 않을 때 계속 알람 메시지가 쌓이며 읽지 않은 메시지 숫자가 표시된다. 상기 알람 메시지를 클릭시 알람 메시지 목록 페이지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사업소관리시스템(400)은 예비수급자(10) 및 수급자(10)의 정보를 관리하고, 전사서명에 의한 계약서를 제공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사업소관리시스템(400)은 수급자관리모듈(410), 사업소제품관리모듈(420), 계약서관리모듈(430), 청구관리모듈(440), 주문확인모듈(450), 사업소서식관리모듈(460), 사업소관리모듈(470) 및 사업소알람모듈(480)로 구성된다.
상기 수급자관리모듈(410)은 예비수급자(10) 신청현황을 리스트화하여 제공하고, 상기 예비수급자(10)가 복지용구를 선택하면 수급자(10) 등록현황을 리스트화하고 상기 수급자(10)의 정보를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급자관리모듈(410)은 예비수급자관리부(411) 및 수급자관리부(412)로 구성된다. 상기 예비수급자관리부(411)는 각 해당 셀렉트박스 선택에 따라 하단 리스트가 표시되고 리스트는 20개를 기본으로 표시된다. 기본은 최근 정보가 가장 상위에 표시된다. 수급자(10)명 입력후 검색시 하단 리스트에 표시되고 엑셀저장 클릭시 검색된 내용으로 엑셀저장되도록 제공한다. 처리현황은 콜센터(20)에서 입력한 정보가 전달 되었을때 ‘신규신청’으로 표시되고 수급자(10)등록 페이지에서 수급자(10)등록을 완료하면 ’등록완료’ 표시되고 예비수급자(10) 정보 페이지에서 처리중 체크시 ‘처리중’으로 표시되며, 예비수급자(10) 정보 페이지에서 미등록 체크시 ‘미등록’으로 표시된다. 콜센터(20)에서 신규 예비수급자(10)를 신청했을때 자동 알람메세지가 전달된다. 상기 예비수급자관리부(411)는 신청일을 최신순 또는 오래된 순으로 정렬할 수 있고, 상태별(신규신청, 등록완료, 미등록) 순으로 리스트를 정렬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수급자관리부(412)는 예비수급자(10)가 복지용구를 선택하면 수급자(10) 등록현황를 리스트화하고 상기 수급자(10)의 정보를 관리한다. 수급자(10)명, 장기요양인정번호, 인정기간만료일, 적용기간만료일 및 대여기간만료일로 구분하여 리스트화한다. 수급자(10) 체크후 수급자(10)등록 버튼 클릭시 수급자(10) 정보등록 페이지로 이동한다. 제품을 대여한 기록이 있을 경우 대여기간만료일을 표시하며 대여제품이 여러 제품일 경우 가장 최근에 만료되는 날짜가 표시된다. 대여기간만료일을 선택한 경우 가장 현재에서 가장 가까운 날짜부터 표시가 되며 대여제품이 없는 사람들일 경우 인정기간만료일이 가까운 사람부터 표시가 된다. 상기 수급자관리부(412)에서는 상태별(전체, 등록, 계약, 보류, 해지), 수급자(10)구분(일반, 강경, 기초, 의료급여) 및 만료일별(인정기간만료일, 적용기간만료일, 대여기간만료일) 순으로 구분하여 정렬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사업소제품관리모듈(420)은 수급자(10)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복지용구의 현황과 각 복지용구의 이미지, 고시가, 제조사(30), 재질, 중량, 사이즈 및 주문가능수량을 포함한 제품정보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품관리모듈은 사업소제품관리부(421), 취급제품현황부(422), 구매제품관리부(423) 및 대여제품관리부(424)로 구성된다. 상기 사업소제품관리부(421)는 시스템관리부(50)에서 등록한 제품상세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취급제품현황부(422)는 시스템관리부(50)가 등록한 구매품목 리스트가 표시되고, 상기 제품현황관리부(311)에서 취급제품 등록한 제품이 표시된다. 상기 구매제품관리부(423)는 전체 기간의 구매제품이 표시되며, 수급자명/제품명/공급업체명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대여제품관리부(424)는 전체 기간의 대여제품이 표시되며, 수급자명/제품명/공급업체명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계약서관리모듈(430)은 상기 예비수급자(10)가 상기 제품내역제공부(123)에 의해 제공된 복지용구를 선택한 경우 복지용구의 공급계약서를 상기 사업소(40)에 발행하되, 전자서명시스템서버(D23)가 마련되어 전사서명에 의한 계약서 발생이 진행된다. 상기 계약서관리모듈(430)은 공급계약서관리부(431)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계약서관리부(431)은 계약서 완료 후 계약된 항목이 표시된다. 출력 클릭시 공급계약서가 발급되도록 마련되고, 보다 자세하게는 복지용구 공급계약서 (2부 출력), 장기요양급여비용(본인부담금) 영수증, 개인정보 이용 및 제공 사전동의서 및 개인정보 이용 및 제공 사전동의서 위임장이 제공된다. 전체출력 클릭시 복지용구 공급계약서, 장기요양급여비용(본인부담금) 영수증, 개인정보 이용 및 제공 사전동의서, 개인정보 이용 및 제공 사전동의서 위임장, 장기요양급여 제공기록지(복지용구) 및 장기요양급여 비용명세서 (2부 출력)가 출력된다. 상기 복지용구 공급계약서와 장기요양급여 비용명세서는 2부씩 출력되고, 출력시 계약서에 바코드가 등록되지 않았을 경우 바코드가 등록되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표시한 후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이메일 발송 아이콘 클릭시 해당 수급자(10) 이메일로 연동 (수급자(10) 이메일 정보를 가져옴)되고, 이메일은 전체문서들을 1부씩 첨부되어 발송된다. 상기 계약서에 바코드가 등록되지 않았을 경우 바코드가 없으므로 이메일 발송을 할 수가 없다는 메시지와 함께 이메일 발송 제한된다.
상기 청구관리모듈(440)은 상기 계약서관리모듈(430)에 의해 계약이 진행된 경우, 계약된 복지용구의 품목, 구매 또는 대여기간, 수급자(10), 제품명, 금액을 포함한 내역을 리스트화하여 제공하고, 월별 영업실적과 직원별 실적을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구관리모듈(440)은 청구내역관리부(441), 급여제공기록부(442), 영업실적관리부(443) 및 직원별실적관리부(444)로 구성된다. 상기 청구내역관리부(441)는 달력을 클릭시 월별 달력이 표시되며 선택 월을 클릭시 선택된 월 실적 청구내역이 표시되고 품목별은 구매품목/대여품목으로 표시된다. 월별 실적현황에서 담당자명을 입력후 검색을 하면 해당 담당자의 실적현황이 검색 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급여제공기록부(442)는 청구된 급여내용기록지를 출력하도록 제공되며, 출력 클릭시 급여제공기록지 발급하되 장기요양급여 제공기록지(복지용구) 및 장기요양급여 비용명세서가 제공된다. 또한, 전체출력 클릭시 복지용구 공급계약서 (2부출력), 장기요양급여비용(본인부담금) 영수증, 개인정보 이용 및 제공 사전동의서, 개인정보 이용 및 제공 사전동의서 위임장, 장기요양급여 제공기록지(복지용구) 및 장기요양급여 비용명세서 (2부출력)가 출력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복지용구 공급계약서와 장기요양급여 비용명세서는 2부씩 출력된다. 상기 영업실적관리부(443)는 선택기간 동안 실적 합계로 고시가, 본인부담금, 공단부담금, 구매제품건수 및 대여제품건수로 분류하여 실적을 제공한다. 상기 직원별실적관리부(444)는 상기 영업실적관리부(443)와 동일하게 제공하되, 사업소(40)의 직원별로 제공된다.
상기 주문확인모듈(450)은 상기 계약서관리모듈(430)에 의해 계약이 진행된 경우, 계약된 복지용구의 이미지, 품목, 제품명, 수급자(10), 배송업체, 주문일자, 택배번호, 주문상태를 포함한 내역을 리스트화하여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문관리모듈은 주문내역확인부(451)로 구성된다. 상기 주문내역확인부(451)는 제품의 이미지, 품목, 제품명, 수급자(10), 배송업체, 주문일자, 택배사, 택배번호 및 주문상태 등을 리스트화하여 제공한다. 상기 주문상태에서는 택배사 API 연동을 통하여 배송상태 확인되고 배송완료후 주문확정 클릭시 제품 구매완료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주문취소 및 제품교환 체크시 주문취소, 제품교환이 공급업체로 전달된다. 택배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 배송할 경우 직접배송 체크란을 제공하고 직업배송 체크시 택배정보 입력란은 비활성화 되고 주문내역의 택배번호에 직접배송으로 표시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주문내역확인부(451)에는 수급자(10)용 모바일 시스템에서 에서 바코드를 입력 하지 않았을 경우 입력할 수 있도록 Input box 처리되고, 바코드를 등록하면 바코드가 계약 완료한 계약서에 등록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사업소서식관리모듈(460)은 수급자(10)가 복지용구를 신청하기 위해 필요한 기설정된 서식목록 내용을 제공받는다. 상기 사업소서식관리모듈(460)은 서식목록확인부(461) 및 평가항목부(462)로 구성된다. 상기 서식목록확인부(461)에서 기설정된 서식목록의 내용을 확인하고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평가항목부(462)는 통합관리시스템(1)을 포함한 모든 항목을 평가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통계화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사업소관리모듈(470)은 사업소(40)가 직원을 관리하기 위해 직원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제공한다. 상기 사업소관리모듈(470)은 사업소직원관리부(471) 및 사업소정보관리부(472)로 구성된다. 상기 사업소직원관리부(471)는 직원명, 직종, 아이디, 휴대폰번호, 이메일, 주소, 등록일 및 시스템사용여부 등을 제공하여 리스트화한다. 상기 사업소정보관리부(472)는 회원정보관리 기타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사업소알람모듈(480)은 기설정된 메시지의 자동 알람을 통해 상기 사업소(40)에 알람 메시지를 발신한다. 상기 사업소알람모듈(480)은 사업소확인부(481)로 구성된다. 상기 콜센터(20)에서 예비수급자(10)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사업소알람모듈(480)에서 알람메시지를 전달한다. 알람메세지를 읽지 않았을 때 계속 알람이 쌓이며 우측으로 읽은 않은 메시지 숫자 표시되고, 알람메세지 클릭시 알람메세지 목록 페이지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통관리시스템(500)은 제조사를 관리하는 제조사관리부(512)와 상기 사업소(40)를 관리하는 사업소관리부(511)를 포함하며, 상기 사업소(40), 제조사(30), 수급자(10) 및 관리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발신한다. 상기 공통관리시스템(500)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관리모듈(510), 복지용구관리모듈(520), 서식관리모듈(530), 시스템관리모듈(540), 고객센터관리모듈(550) 및 알람관리모듈(560)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관리모듈(510)은 등록된 사업소(40) 현황 및 제조사(30) 현황을 리스트화하여 나타낸다. 상기 사용자관리모듈(510)은 사업소관리부(511) 및 제조사관리부(512)로 구성된다. 상기 사업소관리부(511)는 사업소(40)의 아이디, 사업소(40)명, 전화번호, 이메일, 승인여부 및 등록일로 구성된다. 승인을 클릭하면 해당 사용자가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복지용구사업소(40) 현황 페이지로 이동. 휴대폰번호로 시스템 사용이 승인되었음을 알리는 문자와 알림메세지가 전송 된다. 상기 사업소관리부(511)는 사업자등록증 저장 클릭시 팝업으로 이미지를 저장하는 항목이 뜨며 등록 완료후 사업자등록증 확인으로 버튼이 바뀌며, 사업자등록증 확인 클릭시 팝업으로 사업자 등록증 이미지가 보여진다. 상기 제조사관리부(512)는 제조사(30)의 아이디, 제조사(30)명, 전화번호, 이메일, 승인여부 및 등록일로 구성된다. 상기 제조사관리부(512)는 상기 사업소관리부(511)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상기 복지용구관리모듈(520)은 수급자(10)가 구매하거나 대여한 복지용구의 품목 현황을 리스트화하고, 시스템관리부(50)의 관리자에 의해 복지용구의 상세정보를 추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복지용구관리모듈(520)은 품목현황관리부(521) 및 복지용구현황관리부(522)로 구성된다. 상기 품목현황관리부(521)는 상기 사업소관리시스템(400)과 상기 제조사관리시스템(300)에서 신청된 상품의 품목현황을 구매제품 및 대여제품으로 분리하여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지용구현황관리부(522)는 제품의 현황을 제품 이미지, 품목, 제품명, 제조사(30), 급여코드, 고시가 등으로 구분되어 리스트화한 후 제공된다.
상기 서식관리모듈(530)은 수급자(10)가 복지용구를 신청하기 위해 필요한 기설정된 서식목록 내용을 제공한다. 상기 서식관리모듈(530)은 서식관리부(531)로 구성된다. 상기 서식관리부(531)는 시스템관리부(50)에서 제공하는 서식을 업로드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관리모듈(540)은 상기 수급자관리시스템(100), 제조사관리시스템(300) 및 사업소관리시스템(400)의 각 모듈 사용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관리모듈(540)은 사용메뉴관리부(541), 시스템권한관리부(542), 시스템상품관리부(543)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메뉴관리부(541)는 사업소(40)관시시스템과 수급자관리시스템(100) 및 제조사관리시스템(300)의 각 모듈의 사용여부를 설정한다. 상기 시스템권한관리부(542)는 시스템관리부(50)의 담당자를 사용자명, 아이디, 사용여부 및 등록일로 구분하고 권한관리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상품관리부(543)는 상기 사업소(40) 및 제조사(30)가 본 발명의 사용여부를 관리하여 권한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객센터관리모듈(550)은 수급자(10), 제조사(30), 사업소(40) 및 보험공단(60)에 공지사항을 제공하고, 질의응답을 제공한다. 상기 고객센터관리모듈(550)은 공지사항관리부(551), FAQ관리부(552) 및 질문관리부(553)로 구성된다. 상기 공지사항관리부(551)는 상기 수급자(10), 제조사(30), 사업소(40) 및 보험공단(60)에 공지사항을 작성하여 제공한다. 상기 FAQ관리부(552)는 자주 묻는 질문을 제공한다. 상기 질문관리부(553)는 상기 수급자(10), 제조사(30), 사업소(40) 및 보험공단(60)이 질문을 작성하면 시스템관리부(50)의 관리자가 질문에 답을 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알람관리모듈(560)은 수급자(10), 제조사(30), 사업소(40)에 제공되는 자동 알람의 메시지 설정하고, 기설정된 메시지의 자동 알람을 통해 상기 사업소(40)의 담당자, 상기 제조사(30)의 담당자 및 시스템관리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발신한다. 상기 알람관리모듈(560)은 사업소알람관리부(561), 제조사알람관리부(562), 수급자알람관리부(563), 시스템관리자알람부(564), 사업소담당자알람부(565) 및 제조사관리자알람부(566)로 구성된다. 상기 사업소알람관리부(561), 제조사알람관리부(562) 및 수급자알람관리부(563)는 사업소(40), 제조사(30) 및 수급자(10)에 제공되는 자동 알람의 메시지 설정하고, 상기 시스템관리자알람부(564)는 상기 공통관리시스템(500)의 시스템관리부(50)의 담당자에게 자동 알람되는 메시지를 설정하고, 사업소담당자알람부(565)는 사업소관리시스템(400)의 담당자에게 자동 알람되는 메시지를 설정하고 제조사관리자알람부(566)는 상기 제조사관리시스템(300)의 담당자에게 알람되는 메시지를 설정한다. 상기 알람관리모듈(560)의 자동알람 메시지의 일실예는 아래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1]은 사업소(40)에 전달되는 자동 알람메시지이다.
상황 알람메시지 내용
회원가입승인 완료후 회원가입 승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시스템 로그인이 가능하며 ‘시스템 이용신청 ‘메뉴에서 상품을 선택 후 시스템이용 신청을 하시면 상품기간 동안 시스템 이용이 가능합니다.
콜센터(20)에서 예비수급자(10) 정보가 전달된 후 신규 예비수급자(10)가 신청 되었습니다.
수급자(10) 인정기간 만료일 일주일전 일주일 후 인정기간 만료 수급자(10)가 있습니다 수급자(10)관리대장 화면에서 확인하세요.
수급자(10) 인정기간 만료일 금일 인정기간 만료 수급자(10)가 있습니다.
수급자(10)관리대장 화면에서 확인하세요.
수급자(10) 적용기간
만료일 일주일전
일주일 후 적용기간 만료 수급자(10)가 있습니다. 수급자(10)관리대장 화면에서 확인하세요.
수급자(10) 적용기간 만료일 금일 적용기간 만료 수급자(10)가 있습니다.
수급자(10)관리대장 화면에서 확인하세요.
수급자(10) 대여기간
만료일 일주일전
일주일 후 대여기간 만료 수급자(10)가 있습니다.
수급자(10)관리대장 화면에서 확인하세요.
수급자(10) 대여기간 만료일 금일 대여기간 만료 수급자(10)가 있습니다.
수급자(10)관리대장 화면에서 확인하세요.
수급자(10)가 주문신청을 완료했을 때 수급자(10)가 제품신청을 완료하였습니다. 상세한 주문내역은 제품주문내역 화면에서 확인하세요.
시스템 이용신청 승인 완료후 신청하신 시스템이용승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시스템이용시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를 이용해 주십시오.
아이디 변경신청 승인 완료후 신청하신 아이디 변경승인이 완료 되었습니다. 변경된 아이디로 접속하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명 변경신청 승인 완료후 신청하신 사업자명 변경승인이 완료 되었습니다.
사업자등록번호 변경신청 승인 완료후 신청하신 사업자등록번호 변경승인이 완료 되었습니다.
신청한 공급업체 제품 택배 등록후 홍길동님께서 주문하신 복지용구가 배송 출발 되었습니다.
[표 2]는 제조사(30)에 전달되는 자동 알람메시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상황 알람메시지 내용
회원가입승인 완료후 회원가입 승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시스템 로그인이 가능하며 ‘시스템 이용신청 ‘메뉴에서 상품을 선택 후 시스템이용 신청을 하시면 상품기간 동안 시스템 이용이 가능합니다.
시스템 이용신청 승인 완료후 신청하신 시스템이용승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시스템이용시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를 이용해 주십시오.
제품등록 신청다음 시스템관리자에서 등록 완료후 신청하신 제품등록이 완료 되었습니다.
제품수정 신청다음 시스템관리자에서 수정 완료후 신청하신 제품수정이 완료 되었습니다.
구매/대여 제품 주문 신청시 ‘복지용구제품명’ 제품 주문이 신청되었습니다. 제품주문현황에서 제품상세주문내역을 확인하세요.
구매/대여 제품 주문 취소시 ‘복지용구제품명’ 복지용구 제품이 주문이 취소 되었습니다.제품주문현황에서 제품상세주문내역을 확인하세요.
구매/대여 제품 배송지변경시 복지용구제품명’ 제품배송지 변경이 요청되었습니다. 제품주문현황에서 제품상세주문내역을 확인하세요.
구매/대여 제품 교환시 ‘복지용구제품명’ 복지용구 제품 교환이 요청되었습니다.제품주문현황에서 제품상세주문내역을 확인하세요.
아이디 변경신청 승인완료후 신청하신 아이디 변경승인이 완료 되었습니다. 변경된 아이디로 접속하시기 바랍니다.
공급업체명 변경신청 승인완료후 신청하신 공급업체명 변경승인이 완료 되었습니다.
사업자등록번호 변경신청 승인완료후 신청하신 사업자등록번호 변경승인이 완료 되었습니다.
[표 3]은 시스템관리부(50)에 전달되는 자동 알람메시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상황 알람메시지 내용
신규 복지용구사업소(40) 회원가입시 신규 복지용구사업소(40) 회원이 가입하였습니다.
신규 복지용구 공급업체 회원가입시 신규 복지용구 공급업체 회원이 가입하였습니다.
시스템 이용 신청시 신규 상품 시스템 이용이 신청 되었습니다.
복지용구사업소(40) 아이디 변경 신청시 복지용구사업소(40) 아이디 변경이 신청 되었습니다.
변경전 아이디 : abcd1234 / 변경후 아이디 : nhsje2345
복지용구공급업체 아이디 변경 신청시 복지용구공급업체 아이디 변경이 신청 되었습니다.
변경전 아이디 : abcd1234 / 변경후 아이디 : nhsje2345
복지용구사업소(40) 사업자명 변경 신청시 서북복지용구사업소(40)에서 복지용구사업소(40) 사업자명 변경이 신청 되었습니다.
변경전 복지용구 사업자명 : 서북복지용구사업소(40) / 변경후 복지용구사업소(40)명 : 사랑복지용구사업소(40)
복지용구사업소(40) 사업자등록번호 변경신청시 서북복지용구사업소(40)에서 복지용구사업소(40) 사업자등록번호 변경이 신청 되었습니다.
변경전 사업자등록번호 : 123-456-789 / 변경후 사업자등록번호 : 987-654-321
복지용구공급업체 사업자명 변경 신청시 미키코리아㈜에서 복지용구 공급업체명 변경이 신청 되었습니다.
변경전 복지용구 공급업체명: 미키코리아㈜ / 변경후 복지용구 공급업체명: 우리코리아㈜
복지용구공급업체 사업자등록번호 변경신청시 미키코리아㈜에서 복지용구 공급업체 사업자등록번호 변경이 신청 되었습니다.
변경전 사업자등록번호 : 123-456-789 / 변경후 사업자등록번호 : 987-654-321
제품등록 신청시 신규 제품등록이 신청되었습니다.
제품수정 신청시 제품정보 수정이 신청되었습니다.
[표 4]는 수급자(10)에게 전달되는 자동 알람메시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상황 문자메시지 내용
수급자(10) 인정기간 만료일 일주일전 홍길동님 일주일 후 2019년 12월 24일 인정기간이 만료 예정입니다.
수급자(10) 인정기간 만료일 홍길동님 금일 인정기간 만료이 만료 됩니다.
수급자(10) 대여기간 만료일 일주일전 홍길동님 일주일 후 2019년 12월 24일 제품 대여기간이 만료 예정입니다.
수급자(10) 대여기간 만료일 홍길동님 금일 제품 대여기간 만료 됩니다.
공급업체 제품 택배 배송시 홍길동님께서 주문하신 복지용구가 배송 출발 되었습니다.
[표 5]는 사업소(40) 담당자에게 전달되는 자동 알람메시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상황 문자메시지 내용
회원가입시 회원가입을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업자등록증을 팩스 (051-583-1301) 또는 이메일(thkc1300@hanmail.net)로
보내시면 관리자가 확인하여 승인완료 후 시스템을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승인시 회원가입 승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시스템 로그인이 가능하며 ‘시스템 이용신청 ‘메뉴에서 상품을 선택 후 시스템이용 신청을 하시면 상품기간 동안 시스템 이용이 가능합니다.
시스템 이용신청 승인 완료후 신청하신 시스템이용승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시스템 이용시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를 이용해 주십시오.
시스템 이용기간 만료일 일주일전 일주일 후 2019년 12월 24일 시스템 이용기간이 만료 예정입니다
시스템 이용을 추가 신청해 주세요.
시스템 이용기간 만료일 일주일 후 2019년 12월 24일 시스템 이용기간이 만료 예정입니다.
시스템 이용을 추가 신청해 주세요.
[표 6]은 제조사(30) 담당자에게 전달되는 자동 알람메시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상황 문자메시지 내용
회원가입시 회원가입을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업자등록증을 팩스 (051-583-1301) 또는 이메일(thkc1300@hanmail.net)로 보내시면 관리자가 확인하여 승인완료 후 시스템을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승인시 회원가입 승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시스템 로그인이 가능하며 ‘시스템 이용신청 ‘메뉴에서 상품을 선택 후 시스템이용 신청을 하시면 상품기간 동안 시스템 이용이 가능합니다.
시스템 이용신청 승인 완료후 신청하신 시스템이용승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시스템 이용시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를 이용해 주십시오.
시스템 이용기간 만료일 일주일전 일주일 후 2019년 12월 24일 시스템 이용기간이 만료 예정입니다
시스템 이용을 추가 신청해 주세요.
시스템 이용기간 만료일 일주일 후 2019년 12월 24일 시스템 이용기간이 만료 예정입니다
시스템 이용을 추가 신청해 주세요.
구매/대여 제품 주문 신청시 ‘복지용구제품명’ 복지용구 제품이 주문 신청 되었습니다.
구매/대여 제품 주문 취소시 ‘복지용구제품명’ 복지용구 제품이 주문이 취소 되었습니다.
구매/대여 제품 배송지변경시 ‘복지용구제품명’ 복지용구 제품 배송지 변경이 요청되었습니다.
구매/대여 제품 교환시 ‘복지용구제품명’ 복지용구 제품 교환이 요청되었습니다.
아래는 본 발명인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지용구를 제공 순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은 순서에 의해 진행된다.
먼저, 상기 통합관리시스템(1)을 이용하여 수급자(10)가 콜센터신청모듈(110)이나 인터넷신청모듈(120)을 이용하여 콜센터(20)로 전화하거나 또는 웹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다.
다음으로, 수급자(10)의 개인정보 동의하에 수급자(10)의 기본정보(성명, 생년월일, 연락처, 주소 등)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지도매칭시스템입력부(222)를 통해 상기 수급자(10)의 위치와 상기 통합관리시스템(1)에 등록된 사업소(40) 파악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업소리스트출력부(223)를 통해 상기 수급자(10)와 가까운 거리순으로 사업소(40)의 리스트를 화면 출력한다.
다음으로, 예비수급자(10)가 A사업소(40)를 선택한 경우, 상기 알람관리모듈(560)에서 상기 사업소알람모듈(480)에 자동 알람 메시지 및 SMS 문자를 전송하여 예비수급자(10)의 정보 등을 발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A사업소(40) 담당자가 상기 예비수급자(10) 주소지로 방문을 하고 장기용양등급 신청 및 관련 안내를 한다.
다음으로, 상기 예비수급자(10)가 보험공단(60)에 신청 후 등급을 인정 받으면 상기 A사업소(40) 담당자에게 재방문을 요청한다. 위의 내용 중 장기요양인정을 받은 수급자(10)일 경우 생략하여 진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A사업소(40) 담당자가 수급자(10) 주소지로 재방문하고, 상기 보험공단(60)에서 발행한 장기요양인정서, 복지용구급여확인서 등을 확인 후 해당 복지용구를 구매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A사업소(40) 담당자가 상기 통합관리시스템(1)에 접속하여 해당 복지용구 제품을 설명한다.
다음으로, 상기 통합관리시스템(1)에 접속한 예비수급자(10)가 구매할 복지용구 제품을 선택 및 수급자(10) 정보를 확인 후 복지용구 공급계약서에 전사서명을 입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예비수급자(10)가 전사서명 후 계약서 저장을 하게 되면, 상기 알람관리모듈(560)은 제조사(30)와 제조사(30) 담당자에게 자동 알람메시지 및 SMS 문자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사(30) 담당자가 상기 통합관리시스템(1)에 접속하여 제조사제품관리모듈(320)의 주문현황관리부(321)에서 주문 제품 내역을 확인한다. 상기 제조사(30) 담당자는 상기 주문상세관리부(322)에서 택배 송장번호 등록 후 택배를 발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A사업소(40)에서는 상기 통합관리시스템(1)에 접속하여 상기 주문현황관리부(321)에서 제품의 배송 상태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상기 A사업소(40)에서는 제품 배송 완료 시 제품 검수 확인 후 상기 주문상세관리부(322)에서 주문을 확정 처리 및 거래를 종료한다.
추가로 (예비)수급자(10) 회원가입 후 로그인시 통합관리시스템(1)을 이용한 복지용구 구매 내역 확인 가능하도록 정보확인부(12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복지용품 수급자(10)에게 맞는 복지용구 제공이 효율적으로 시행될 수 있는 복지용구 통합 중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지용구 수급자(10)와 복지용구사업소(40), 제조사(30), 건강보험관리공단 및 지자체 간의 복지용구를 중계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인 또는 고령자에게 효율적으로 복지용구신청, 대금신청 및 대금지급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통합관리시스템
10. 수급자
20. 콜센터
30. 제조사
40. 사업소
50. 시스템관리부
60. 보험공단
D10. 통합관리백업서버
D20. 통합관리시스템서버
D21. DB서버
D22. DB이중화서버
D23. 전자서명시스템서버
D24. 전자서명DB서버
D30. 콜센터CRM서버
D40. 콜센터시스템서버
100. 수급자관리시스템
110. 콜센터신청모듈
111. 제1데이터입력부
112. 제1데이터발신부
120. 인터넷신청모듈
121. 로그인부
122. 정보확인부
123. 제품내역제공부
124. 계약서관리부
125. 수급자알람부
200. 콜센터관리시스템
210. 신청수신모듈
211. 제1데이터수신부
212. 인터넷데이터수신부
213. 데이터종합부
220. 사업소송수신모듈
221. 획득데이터수신부
222. 지도매칭시스템입력부
223. 사업소리스트출력부
224. 사업소매칭부
225. 사업소알람부
300. 제조사관리시스템
310. 현황관리모듈
311. 제품현황관리부
312. 제품등록관리부
313. 상세정보관리부
314. 제품수정관리부
320. 제조사제품관리모듈
321. 주문현황관리부
322. 주문상세관리부
330. 제조사관리모듈
331. 제조사정보관리부
340. 제조사알람모듈
341. 제조사확인부
400. 사업소관리시스템
410. 수급자관리모듈
411. 예비수급자관리부
412. 수급자관리부
420. 사업소제품관리모듈
421. 사업소제품관리부
422. 취급제품현황부
423. 구매제품관리부
424. 대여제품관리부
430. 계약서관리모듈
431. 공급계약서관리부
440. 청구관리모듈
441. 청구내역관리부
442. 급여제공기록부
443. 영업실적관리부
444. 직원별실적관리부
450. 주문확인모듈
451. 주문내역확인부
460. 사업소서식관리모듈
461. 서식목록확인부
462. 평가항목부
470. 사업소관리모듈
471. 사업소직원관리부
472. 사업소정보관리부
480. 사업소알람모듈
481. 사업소확인부
500. 공통관리시스템
510. 사용자관리모듈
511. 사업소관리부
512. 제조사관리부
520. 복지용구관리모듈
521. 품목현황관리부
522. 복지용구현황관리부
530. 서식관리모듈
531. 서식관리부
540. 시스템관리모듈
541. 사용메뉴관리부
542. 시스템권한관리부
543. 시스템상품관리부
550. 고객센터관리모듈
551. 공지사항관리부
552. FAQ관리부
553. 질문관리부
560. 알람관리모듈
561. 사업소알람관리부
562. 제조사알람관리부
563. 수급자알람관리부
564. 시스템관리자알람부
565. 사업소담당자알람부
566. 제조사관리자알람부

Claims (6)

  1. 복지용구가 필요한 예비수급자(10)가 복지용구를 신청하기 위해 콜센터(20)를 통해 신청하는 콜센터신청모듈(110) 및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는 인터넷신청모듈(120)이 마련된 수급자관리시스템(100);
    상기 수급자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종합하는 신청수신모듈(210) 및 상기 신청수신모듈(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예비수급자(10)에게 상기 복지용구를 제공하는 사업소(40)를 매칭하는 사업소송수신모듈(220)이 마련된 콜센터관리시스템(200);
    복지용구를 제조하는 제조사(30)가 상기 예비수급자(10)에 의해 요청한 복지용구를 확인받을 수 있도록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고, 복지용구 리스트를 관리하는 제조사관리시스템(300);
    예비수급자(10) 및 수급자(10)의 정보를 관리하고, 전사서명에 의한 계약서를 제공하는 사업소관리시스템(400); 및
    상기 예비수급자(10)의 복지등급을 확인하고 상기 복지용구의 비용을 지급하는 보험공단(60)을 관리하는 공단관리부와 상기 사업소(40)를 관리하는 사업소관리부(511)를 포함하며, 상기 사업소(40), 제조사(30), 수급자(10) 및 관리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발신하는 공통관리시스템(500);으로 구성하되,
    상기 사업소관리시스템(400)은,
    예비수급자(10) 신청현황을 리스트화하여 제공하고, 상기 예비수급자(10)가 복지용구를 선택하면 수급자(10) 등록현황를 리스트화하고 상기 수급자(10)의 정보를 관리하는 수급자관리모듈(410);
    수급자(10)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복지용구의 현황과 각 복지용구의 이미지, 고시가, 제조사(30), 재질, 중량, 사이즈 및 주문가능수량을 포함한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소제품관리모듈(420);
    상기 예비수급자(10)가 제품내역제공부(123)에 의해 제공된 복지용구를 선택한 경우 복지용구의 공급계약서를 상기 사업소(40)에 발행하되, 전자서명시스템서버(D23)가 마련되어 전사서명에 의한 계약서 발생이 진행되는 계약서관리모듈(430);
    상기 계약서관리모듈(430)에 의해 계약이 진행된 경우, 계약된 복지용구의 품목, 구매 또는 대여기간, 수급자(10), 제품명, 금액을 포함한 내역을 리스트화하여 제공하고, 월별 영업실적과 직원별 실적을 관리하는 청구관리모듈(440);
    상기 계약서관리모듈(430)에 의해 계약이 진행된 경우, 계약된 복지용구의 이미지, 품목, 제품명, 수급자(10), 배송업체, 주문일자, 택배번호, 주문상태를 포함한 내역을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주문확인모듈(450);
    수급자(10)가 복지용구를 신청하기 위해 필요한 기설정된 서식목록 내용을 제공받는 사업소서식관리모듈(460);
    사업소(40)가 직원을 관리하기 위해 직원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사업소관리모듈(470); 및
    기설정된 메시지의 자동 알람을 통해 상기 사업소(40)에 알람 메시지를 발신하는 사업소알람모듈(4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수급자관리시스템(100)은,
    상기 복지용구가 필요한 예비수급자(10)가 복지용구 신청을 위해 상기 콜센터신청모듈(110) 및 인터넷신청모듈(120)을 마련하되,
    상기 콜센터신청모듈(110)은,
    상기 예비수급자(10)가 전화로 상기 콜센터(20)에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면, 기설정된 항목에 따라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가 입력되도록 마련된 제1데이터입력부(111); 및
    상기 제1데이터입력부(111)에 입력된 기본정보를 상기 콜센터관리시스템(200)에 발신하는 제1데이터발신부(112);로 구성하고,
    상기 인터넷신청모듈(120)은,
    웹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수급자(10)가 로그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로그인부(121);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기설정된 항목에 입력하고, 추가적인 정보인 추가정보가 입력되도록 추가항목을 제공하는 정보확인부(122);
    시스템관리부(50)의 시스템관리자가 등록한 복지용구 리스트와 상기 복지용구의 이미지, 제품명 및 고시가를 포함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복지용구는 구매 가능한 제품과 대여가능한 제품을 분리하여 제공하는 제품내역제공부(123);
    상기 예비수급자(10)가 상기 제품내역제공부(123)에 의해 제공된 복지용구를 선택한 경우 복지용구의 공급계약서를 상기 예비수급자(10)에게 발행하되, 전자서명시스템서버(D23)가 마련되어 전사서명에 의한 계약서 발생이 진행되는 계약서관리부(124); 및
    상황별로 기설정된 내용의 자동 알람메시지를 통해 상기 예비수급자(10)에게 알람 메시지를 발신되는 수급자알람부(1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센터관리시스템(200)은,
    상기 콜센터(20)가 상기 사업소(40)와 상기 예비 수급자(10)의 매칭을 위해 상기 신청수신모듈(210) 및 사업소송수신모듈(220)을 포함하되,
    상기 신청수신모듈(210)은,
    상기 콜센터신청모듈(110)로부터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수신받는 제1데이터수신부(211);
    상기 인터넷신청모듈(120)로부터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수신받는 인터넷데이터수신부(212); 및
    상기 제1데이터수신부(211) 및 인터넷데이터수신부(212)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통합하는 데이터종합부(213);로 구성되고,
    상기 사업소송수신모듈(220)은,
    상기 데이터종합부(213)로부터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데이터수신부(221);
    상기 예비수급자(10)의 기본정보로부터 상기 예비수급자(10)의 주소를 추출하고 입력하여 상기 예비수급자(10)의 위치를 확인하는 지도매칭시스템입력부(222);
    상기 지도매칭시스템입력부(222)를 통해 상기 예비수급자(10)의 위치에서 가까운 위치순으로 사업소(40)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사업소리스트출력부(223);
    상기 예비수급자(10)가 상기 사업소리스트출력부(223)에 의해 출력된 사업소(40)의 리스트에서 선택하면 상기 예비수급자(10)와 사업소(40)를 매칭하는 사업소매칭부(224);
    상기 예비수급자(10)가 선택한 사업소(40)에 기설정된 메시지의 자동 알람을 통해 상기 사업소(40)에 알람 메시지를 발신하는 사업소알람부(2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사관리시스템(300)은,
    해당 제조사(30)에서 제조하여 공급 가능한 복지용구를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현황관리모듈(310);
    상기 제조사(30)에서 공급 가능한 복지용구 중 상기 수급자(10)가 주문한 복지용구를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제조사제품관리모듈(320);
    시스템관리부(50)의 시스템관리자가 상기 제조사(30)의 정보를 관리하는 제조사관리모듈(330); 및
    기설정된 메시지의 자동 알람을 통해 상기 제조사(30)에 알람 메시지를 발신하는 제조사알람모듈(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관리시스템(500)은,
    등록된 사업소(40) 현황 및 제조사(30) 현황을 리스트화하여 나타내는 사용자관리모듈(510);
    수급자(10)가 구매하거나 대여한 복지용구의 품목 현황을 리스트화하고, 시스템관리부(50)의 관리자에 의해 복지용구의 상세정보를 추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지용구관리모듈(520);
    수급자(10)가 복지용구를 신청하기 위해 필요한 기설정된 서식목록 내용을 제공하는 서식관리모듈(530);
    상기 수급자관리시스템(100), 제조사관리시스템(300) 및 사업소관리시스템(400)의 각 모듈 사용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시스템관리모듈(540);
    수급자(10), 제조사(30), 사업소(40) 및 보험공단(60)에 공지사항을 제공하고, 질의응답을 제공하는 고객센터관리모듈(550); 및
    수급자(10), 제조사(30), 사업소(40)에 제공되는 자동 알람의 메시지 설정하고, 기설정된 메시지의 자동 알람을 통해 상기 사업소(40)의 담당자, 상기 제조사(30)의 담당자 및 시스템관리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발신하는 알람관리모듈(5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KR1020190152926A 2019-11-26 2019-11-26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KR10220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926A KR102202707B1 (ko) 2019-11-26 2019-11-26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926A KR102202707B1 (ko) 2019-11-26 2019-11-26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707B1 true KR102202707B1 (ko) 2021-01-13

Family

ID=7414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926A KR102202707B1 (ko) 2019-11-26 2019-11-26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7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508B1 (ko) 2022-06-23 2023-01-20 정종각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8842A (ja) * 2005-02-24 2006-10-05 Knowledge Integrator:Kk 福祉用具の選択方法
KR20120090664A (ko) 2011-02-08 2012-08-17 강범희 노인 복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6193A (ko) * 2014-09-24 2016-04-04 주식회사 팀인터페이스 재가노인에 대한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31565A (ko) * 2017-08-23 2018-03-28 여성현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8842A (ja) * 2005-02-24 2006-10-05 Knowledge Integrator:Kk 福祉用具の選択方法
KR20120090664A (ko) 2011-02-08 2012-08-17 강범희 노인 복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6193A (ko) * 2014-09-24 2016-04-04 주식회사 팀인터페이스 재가노인에 대한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31565A (ko) * 2017-08-23 2018-03-28 여성현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508B1 (ko) 2022-06-23 2023-01-20 정종각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9832B1 (en)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
US200401334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jectively managing complex familial interactions and responsibilities
US200401722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jectively managing complex familial interactions and responsibilities
US79255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of medical claims
US7016856B1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care administration
US20080133388A1 (en) Invoice exception management
US11282145B2 (en) Dashboard interface, platform, and environment for automated negotiation, benchmarking, compliance, and auditing
US201302900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receipt based contents inventory and casualty claim processing
CN1571964A (zh) 用于管理对一个或多个目录项目的预订请求的系统和方法
US201001254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tering a List of Insured Items for Valuation
EP1323113A1 (en) Method for selling marine cargo insurance in a network environment
US201103137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olicyholder review using dynamic interviews
CN106716459A (zh) 用于跟踪开销和计费的系统和方法
KR102202707B1 (ko)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US20120173439A1 (en) Managing a breach of contract
US200402434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ustoms compliance in the importation of merchandise
KR102259367B1 (ko) 복지용구 중계 플랫폼 통합관리 시스템
US20160132818A1 (en) Signing Agent Management Software
US20160132807A1 (en) Method for Managing Signing Agents
EP1403803A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end user subscriptions
US97630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among parties
Piepiorra vtiger CRM v6. 5.0-User and Administration Manual
TWI798576B (zh) 雲端帳務管理系統及其方法
TWI705393B (zh) 雲端帳務管理系統及其方法
KR101892414B1 (ko) 갱신 정보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