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565A -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565A
KR20180031565A KR1020170106427A KR20170106427A KR20180031565A KR 20180031565 A KR20180031565 A KR 20180031565A KR 1020170106427 A KR1020170106427 A KR 1020170106427A KR 20170106427 A KR20170106427 A KR 20170106427A KR 20180031565 A KR20180031565 A KR 20180031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subsidy
information
server
recip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성현
Original Assignee
여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성현 filed Critical 여성현
Priority to KR1020170106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1565A/ko
Publication of KR20180031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금 수령대상자, 보청기 판매업체 및 보청기 제조업체에서 보청기 보조금을 환급 받는데 필요한 각각의 콘텐츠를 해당 자 및 해당 업체에서 직접 등록하되,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개별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등록하게 유도함으로써 보청기 보조금의 환급 과정 중 야기될 수 있는 부정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주고,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나이, 장애등급, 사회계층의 지위 정도 등의 조건들을 조합하여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환급액수를 연산 안내하여 주며,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수령한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5년 이내에 재차 수령 시 콘텐츠 이력관리를 바탕으로 인지 제어가능하고,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수령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조금 수령조건에 대당하는 콘텐츠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보조금 액수를 안내 받을 수 있어 효율적인 보청기 보조금의 환급관리 효율이 극대화되고, 보청기 보조금의 부정수급을 야기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에게 부정수급에 따른 행정절차를 안내함으로써, 부정수급에 따른 경각심을 유도하여 향후 부정수급의 추가 발생가능성을 반감시켜주는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전송하고,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전송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와;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중계전송하고,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중계전송하는 병원서버(200)와; 상기 병원서버(200)로부터 중계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 및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콘텐츠로 저장관리하는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와; 보청기 판매업체가 운영하는 것으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성능 및 금액을 포함하는 보청기 판매정보가 보청기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와; 보청기를 제조하는 업체가 운영하는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와;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는 개인신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 접속하고, 표시되는 보청기 판매정보 중 구매하고자 하는 보청기 판매정보를 선택하여 보청기 구매요청을 수행하며,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는 그 구매요청에 의해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개인신상정보와 선택된 보청기 판매정보인 선택 보청기 판매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를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 및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는 상기 개인신상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를 소유한 보조금 수령대상자로 배송된 정보인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개인신상정보와 배송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을 포함하는 보청기 배송내역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는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와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대비하여,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보청기 정부보조금의 환급안내 요청을 거부하고,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한 경우 양자에 포함된 정보 중 개인신상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토대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산정하며, 그 산정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정부보조금인 환급 보청기 정부보조금정보와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개인신상정보로 이루어진 보청기 정부보조금 환급안내정보를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는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서 전송되는 보청기 정부보조금 환급안내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은행 계좌로 보청기 정부보조금이 환급되도록 안내하는 장치 및 방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및 방법{Content traceability device to prevent fraud hearing aid suppl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청기에 대한 보장구급여 지급 및 수급에 있어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보안하고자 대상자와 보청기 판매업체에서 보청기 보조금을 환급 받는데 필요한 각각의 콘텐츠를 해당 자 및 해당 업체에서 직접 등록하되,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개별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등록하게 유도함으로써 보청기 보조금의 환급 과정 중 야기될 수 있는 부정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주고,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나이, 장애등급, 사회계층의 지위 정도 등의 조건들을 조합하여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환급액수를 연산 안내하여 주며,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수령한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5년 이내에 재차 수령 시 콘텐츠 이력관리를 바탕으로 인지 제어가능하고,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수령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조금 수령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보조금 액수를 안내 받을 수 있어 효율적인 보청기 보조금의 환급관리 효율이 극대화되고, 보청기 보조금의 부정수급을 야기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에게 부정수급에 따른 행정절차를 안내함으로써, 부정수급에 따른 경각심을 유도하여 향후 부정수급의 추가 발생가능성을 반감시켜주는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이라 함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부자유스러운 상태에 있는 사람을 말하는 것으로서, 최근 조사에 따르면 선천적인 장애 보다 후천적인 장애가 압도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급속한 고도산업화와 도시화 등으로 각종 안전사고가 급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공해가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서, 장애인 보호의 책임이 더 이상 가족이나 지역에 국한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경제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복지에 대한 욕구도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열악한 생활을 하고 있는 장애인에 대한 관심과 복지서비스도 점차적으로 증가해왔으며, 특히 저소득 장애인을 중심으로 복지의 혜택이 증가되어 왔다. 예를 들어, 정부는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의 보장을 위해 장애인 연금제도, 장애인 활동 지원제도의 도입, 각종 세금의 면제 또는 감면, 철도 요금 감면 등 경제적 부담 경감, 장애 아동 재활치료 사업, 편의시설정비사업 등 다양한 형태의 장애인 복지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복지사업 중 하나인 보청기의 경우 최근 음향 기기의 사용, 노인 인구 비중의 증가, 및 소음 환경의 증대로 인하여 난청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난청 인구의 증가에 따른 보청기의 수요 증가에 따라 보청기 정부보조금 신청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전의 보청기 정부보조금은 청각장애등급이 있는 난청자의 경우 27만원 정도의 비용이 지원되었으나, 2015년 11월, 국민건강보험법의 개정에 따라 보청기 정부보조금이 청각장애 등록자는 최대 131만원, 15세 이하 청각장애 등록자는 최대 262만원으로 인상되어 청각장애를 앓고 있는 국민에게 보다 정밀하고, 청각장애 환자의 개인마다 차이가 있는 청각장애 증상에 맞게 최적화된 고성능의 보청기를 보다 적은 비용으로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보다 나은 복지사업의 일예로 각광받고 있다.
이 때문에, 보청기와 관련된 특허의 개발 동향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일상 생활의 다양한 상황과 환경에 맞게 피팅된 소리를 제공 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청기를 유, 무선으로 연결하여 피팅(fitting)을 수행하는 기술(특허문헌 1 참조), 보청기 자체에서 실현될 수 없는 청력 향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통합형 보청기를 제공하는 기술(특허문헌 2 참조)이나 보청기를 통해 직접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여 정확한 청력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시로 용이하게 청력 측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외부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신호처리부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를 재생하는 리시버 및 보청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보청기에 있어서, 외부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무선통신부와, 외부단말기로부터 명령을 받아 리시버가 일정 주파수를 갖는 일정 크기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발생부와, 신호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가청여부를 외부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저장하는 청력저장부를 포함하는 셀프 청력검사 및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등 고성능의 기능을 갖는 다양한 보청기(특허문헌 3 참조)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최대 262만원으로 대폭 상향된 보청기 정부보조금은 5년 이내에 한 번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등급이나 사회계층의 지위 정도에 따라 보조금 또한 최소 117만원 정도에서 최대 262만 정도로 차등을 두고 있다.
이에,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수령한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5년 이내에 재차 수령할 경우 이를 인지할 수 있는 콘텐츠 이력관리가 부재하고, 설사 5년 주기로 정당하게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수령한다 할지라도 수령조건에 차등 지급되는 여건 상 보조금 수령대상자 자신이 받는 비용보다 더 많이 정부보조금을 수령할 경우 이를 인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부재하다.
이로 인해 정부 보조금이 낭비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기 어려운 문제점이 파생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수령한 대상자가 5년 이내에 재차 수령 시 콘텐츠 이력관리를 바탕으로 인지 제어가능하고,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수령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조금 수령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보조금 액수를 안내 받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14-0098615호(2014년08월08일) 특허문헌 2 :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425554호(2014년07월25일) 특허문헌 3 :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551664호(2015년09월03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금 수령대상자와 보청기 판매업체에서 보청기 보조금을 환급 받는데 필요한 각각의 콘텐츠를 해당 자 및 해당 업체에서 직접 등록하되,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개별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등록하게 유도함으로써 보청기 보조금의 환급 과정 중 야기될 수 있는 부정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주어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청기 보조금이 수령대상자가 직접내지는 판매업체만이 대리 수령할 수 있게 하여 지급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나이, 장애등급, 사회계층의 지위 정도 등의 조건들을 조합하여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환급액수를 연산 안내하는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수령한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5년 이내에 재차 수령 시 콘텐츠 이력관리를 바탕으로 인지 제어가능하고,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수령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조금 수령조건에 대당하는 콘텐츠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보조금 액수를 안내 받을 수 있어 효율적인 보청기 보조금의 환급관리 효율이 극대화된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하여, 현재의 보조금 시스템은 15세 이상의 경우 난청의 정도나 나이 등을 구분하지 않고 최대구입한도 131만원을 기준으로 미만의 경우 실구입가의 90%, 이상의 경우 131만원의 90%만을 일괄적으로 지급하고 있다. 단 생활보호대상자나 차상위의경우는 100%지급하고 있어 이를 허술하게 관리하면 국가 보조금의 국민의 혈세를 낭비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필요성이 더욱 더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청기 보조금의 부정수급을 야기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에게 부정수급에 따른 행정절차를 안내함으로써, 부정수급에 따른 경각심을 유도하여 향후 부정수급의 추가 발생가능성을 반감시켜주는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전송하고,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전송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와;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중계전송하고,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중계전송하는 병원서버와;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중계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 및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콘텐츠로 저장관리하는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와; 보청기 판매업체가 운영하는 것으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성능 및 금액을 포함하는 보청기 판매정보가 보청기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와; 보청기를 제조하는 업체가 운영하는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와; 건강보험공단 서버와; 유관기관 단말;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는 개인신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에 접속하고, 표시되는 보청기 판매정보 중 구매하고자 하는 보청기 판매정보를 선택하여 보청기 구매요청을 수행하며,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는 그 구매요청에 의해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의 개인신상정보와 선택된 보청기 판매정보인 선택 보청기 판매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를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는 상기 개인신상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를 소유한 보조금 수령대상자로 배송된 정보인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의 개인신상정보와 배송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을 포함하는 보청기 배송내역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는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와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대비하여,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보청기 정부보조금의 환급안내 요청을 거부하고,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한 경우 양자에 포함된 정보 중 개인신상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토대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산정하며, 그 산정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정부보조금인 환급 보청기 정부보조금정보와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개인신상정보로 이루어진 보청기 정부보조금 환급안내정보를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는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에서 전송되는 보청기 정부보조금 환급안내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은행 계좌로 보청기 정부보조금이 환급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는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와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대비하여,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하지 않아 부정수급에 해당한다는 메시지와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부정수급 대응안내정보를 상기 유관기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유관기관 단말은 상기 전송된 부정수급 대응안내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부정수급을 야기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로 부정수급에 따른 행정절차를 안내하는 부정수급 행정절차 안내정보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에 접속 시 식별수단으로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는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로 전송 시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에 식별수단으로 업체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접속한 상태에서 전송하며,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는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로 전송 시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에 식별수단으로 업체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접속한 상태에서 전송한다.
본 발명은 보조금 수령대상자, 보청기 판매업체 및 보청기 제조업체에서 보청기 보조금을 환급 받는데 필요한 각각의 콘텐츠를 해당 자 및 해당 업체에서 직접 등록하되,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개별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등록하게 유도함으로써 보청기 보조금의 환급 과정 중 야기될 수 있는 부정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나이, 장애등급, 사회계층의 지위 정도 등의 조건들을 조합하여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환급액수를 연산 안내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수령한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5년 이내에 재차 수령 시 콘텐츠 이력관리를 바탕으로 인지 제어가능하고,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수령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조금 수령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보조금 액수를 안내 받을 수 있어 효율적인 보청기 보조금의 환급관리 효율을 극대화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청기 보조금의 부정수급을 야기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에게 부정수급에 따른 행정절차를 안내함으로써, 부정수급에 따른 경각심을 유도하여 향후 부정수급의 추가 발생가능성을 반감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를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를 이루는 전체 구성 중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를 나타낸 상세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를 이루는 전체 구성 중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에서 운영하는 보청기 판매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보청기의 신청 및 구매 시 부정수급을 방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는 크게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 병원서버(200),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 건강보험공단 서버(600) 및 유관기관 단말(7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요청하고,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요청하는 단말로서, 사전에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회원으로 가입해야 한다.
즉,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를 운영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는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접속한 후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의 회원가입화면 상에서 입력양식에 맞게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는 그 입력된 각종 정보를 DB에 저장관리하는데 이 부분은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세부구성은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 및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역활을 하는 정보통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정보통신부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 (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Bluetooth), 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등) 또는 근거리 유선통신(USB 등)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부재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에는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팜탑(palmtops),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또는 UMPC(Ultra-mobile PC) 및 MID(Mobile Internet Device) 등 다양한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병원서버(200)는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의해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 및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부재이다.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는 병원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 및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콘텐츠로 저장관리하는 서버부재이다.
이를 위해,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는, DB부(310), 콘텐츠 관리엔진(320) 및 콘텐츠 기반 보조금 환급액수 연산엔진(320)이 탑재되어진다.
먼저, DB부(310)에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성별 및 나이를 포함하는 성별정보,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접속 시 식별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청기 보조금의 수령 시 부정수급을 방지하고자 이용되는 회원 ID 및 비밀번호,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휴대폰번호나 주거지 등을 포함하는 연락처 정보가 저장된 회원별 신상정보 DB(311),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보청기 보조금의 환급액수를 결정하는 정보로서, 청각 장애 등급, 차상위 계층, 종별 의료급여 수급권자 등의 정보 중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해당되는 정보가 저장된 회원별 보조금 환급액수 결정내역정보 DB(312),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등록한 것으로,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순음청력검사에 따른 청각장애등급을 포함하는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 보청기 보조금이 환급되는 해당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청력확인내역을 포함하는 상기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환급받기 위해 필요한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본인명의 통장사본정보,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복지카드 사본정보, 보청기 구입 세금계산서 사본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회원별 보조금 환급관련 필요내역정보 DB(313), 보청기 보조금 환급 시 필요한 콘텐츠를 등록하는 보청기 판매업체 및 보청기 제조업체를 포함하는 업체의 회사명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업체 신상정보, 업체가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접속 시 식별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업체 ID 및 비밀번호가 저장된 업체별 신상정보 DB(314),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 DB(315) 및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 DB(316) 등을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관리엔진(320)은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에서 회원가입 요청에 따라 등록된 정보 중,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성별 및 나이를 포함하는 성별정보,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지정한 회원 ID 및 비밀번호,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휴대폰번호 및 주거지 등을 포함하는 연락처 정보를 상기 회원별 신상정보 DB(311)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에서 회원가입 요청에 따라 등록된 정보 중, 청각 장애 등급, 차상위 계층, 종별 의료급여 수급권자 등의 정보 중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해당되는 정보인 보조금 환급액수 결정내역정보를 상기 회원별 보조금 환급액수 결정내역정보 DB(312)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에서 회원가입 요청에 따라 등록된 정보 중,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통장사본정보 및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복지카드 사본정보를 상기 회원별 보조금 환급관련 필요내역정보 DB(313)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콘텐츠 관리엔진(320)은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로 부터 전송되는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 및 상기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상기 회원별 보조금 환급관련 필요내역정보 DB(313)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는 보청기 판매업체가 운영하는 것으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성능 및 금액을 포함하는 보청기 판매정보가 보청기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다양한 보청기 판매관련 화면을 운영함으로써,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를 운영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자신에게 맞는 고성능 보청기를 선택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일예로, 도 3은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에서 운영하는 보청기 판매화면(410)을 나타낸 것으로, 보청기 판매화면(410)에는 다양한 성능을 갖는 보청기의 이미지 및 모델명이 혼용표시된 다양한 보청기들을 나타낸 보청기 안내표시부(411)가 표시되어진다.
이를 통해, 보조금 수령대상자는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정보입력부를 조작하여 원하는 보청기의 이미지를 선택하면 해당 그 선택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성능 및 금액을 포함하는 보청기 판매정보가 팝업표시된다.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정보입력부를 조작하여 보청기를 선택하면,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는 그 구매요청에 의해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개인신상정보와 선택된 보청기 판매정보인 선택 보청기 판매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를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 및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각각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는 사전에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업체회원으로 가입해야 하고, 그 가입에 의해 발급받은 식별수단으로 업체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를 전송해야 한다.
즉,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를 운영하는 보청기 판매업체 측은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접속한 후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의 업체회원가입화면 상에서 보청기 판매업체의 회사명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업체 신상정보, 업체가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접속 시 식별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업체 ID 및 비밀번호 등을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하여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는 콘텐츠 관리엔진(320)을 운영하여 전송되는 보청기 판매업체의 회사명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업체 신상정보, 업체가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접속 시 식별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업체 ID 및 비밀번호를 업체별 신상정보 DB(314)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는 보청기를 제조하는 업체가 운영하는 서버부재로,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로부터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개인신상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를 소유한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선택한 보청기를 배송하고, 그 배송된 정보인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개인신상정보와 배송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을 포함하는 보청기 배송내역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도 사전에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업체회원으로 가입해야 하고, 그 가입에 의해 발급받은 식별수단으로 업체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전송해야 한다.
즉,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를 운영하는 보청기 제조업체 측은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접속한 후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의 업체회원가입화면 상에서 보청기 제조업체의 회사명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업체 신상정보, 업체가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접속 시 식별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업체 ID 및 비밀번호 등을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하여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는 콘텐츠 관리엔진(320)을 운영하여 전송되는 보청기 제조업체의 회사명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업체 신상정보, 업체가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접속 시 식별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업체 ID 및 비밀번호를 업체별 신상정보 DB(314)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는 보청기를 구매한 보조금 수령대상자에게 보청기 보조금의 환급을 수행하는 서버부재이다.
상기 유관기관 단말(700)은 해당 부정수급을 야기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로 부정수급에 따른 행정절차를 안내하는 부정수급 행정절차 안내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유관기관 단말(700)은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거주하는 행정구역별 주민센터가 운영하는 단말 또는 행정구역별 경찰서가 운영하는 단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보청기의 선택, 배송 및 환급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는 개인신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 접속하고, 표시되는 보청기 판매정보 중 구매하고자 하는 보청기 판매정보를 선택하여 보청기 구매요청을 수행한다.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는 그 구매요청에 의해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개인신상정보와 선택된 보청기 판매정보인 선택 보청기 판매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를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 및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각각 전송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는 업체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 상태에서 전송한다.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는 상기 개인신상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를 소유한 보조금 수령대상자로 배송된 정보인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개인신상정보와 배송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을 포함하는 보청기 배송내역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업체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 상태에서 전송한다.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는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와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대비하여,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보청기 정부보조금의 환급안내 요청을 거부하고,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한 경우 양자에 포함된 정보 중 개인신상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토대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산정하며, 그 산정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정부보조금인 환급 보청기 정부보조금정보와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개인신상정보로 이루어진 보청기 정부보조금 환급안내정보를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로 전송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의 콘텐츠 기반 보조금 환급액수 연산엔진(320)은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 DB(315) 및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 DB(316)에 각각 저장된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 및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대비하여,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보청기 정부보조금의 환급안내 요청을 거부하는 메시지인 보청기 내역 불일치 안내정보를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기반 보조금 환급액수 연산엔진(320)은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 DB(315)를 판독하여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가 5년 이내에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보청기 정부보조금의 환급안내 요청을 거부하는 메시지인 보청기 부정수급 안내정보를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의 콘텐츠 기반 보조금 환급액수 연산엔진(320)은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 DB(315) 및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 DB(316)에 각각 저장된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 및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대비하여,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한 경우 양자에 포함된 정보 중 개인신상정보를 상기 회원별 신상정보 DB(311)와 매칭하여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나이를 확인하고, 상기 회원별 보조금 환급관련 필요내역정보 DB(313)에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며,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나이 및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토대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산정하며, 그 산정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정부보조금인 환급 보청기 정부보조금정보와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개인신상정보로 이루어진 보청기 정부보조금 환급안내정보를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콘텐츠 기반 보조금 환급액수 연산엔진(320)은 상기 회원별 보조금 환급관련 필요내역정보 DB(313)에서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본인명의 통장사본정보,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복지카드 사본정보, 보청기 구입 세금계산서 사본정보를 상기 보청기 정부보조금 환급안내정보에 취합되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는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서 전송되는 보청기 정부보조금 환급안내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은행 계좌로 보청기 정부보조금이 환급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는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와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대비하여,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하지 않아 부정수급에 해당한다는 메시지와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부정수급 대응안내정보를 상기 유관기관 단말(700)로 전송한다.
상기 유관기관 단말(700)은 상기 전송된 부정수급 대응안내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부정수급을 야기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로 부정수급에 따른 행정절차를 안내하는 부정수급 행정절차 안내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를 이용한 일련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보조금 수령대상자는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병원서버(200)에 접속한 상태에서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의 전송을 요청(S10)한다.
이후, 병원서버(200)는 그 요청된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S20)한다.
이후,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는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저장관리(S30)한다.
그리고 보조금 수령대상자는 보청기 구매를 위해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를 조작하는데 즉, 로그인 정보로 개인신상정보를 이용하여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 접속하고, 표시되는 보청기 판매정보 중 구매하고자 하는 보청기 판매정보를 선택하여 보청기 구매요청을 수행(S40)
이후,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는 그 구매요청에 의해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개인신상정보와 선택된 보청기 판매정보인 선택 보청기 판매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를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 및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각각 전송(S50)한다.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는 개인신상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를 소유한 보조금 수령대상자로 배송된 정보인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개인신상정보와 배송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을 포함하는 보청기 배송내역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S60)한다.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는 병원서버(200)에 접속하여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의 전송을 요청(S70)한다.
이후, 병원서버(200)는 그 요청된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S80)한다.
이후,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는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저장관리(S90)한다.
한편,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는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와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대비하여,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한지 확인(S100)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하지 않아 부정수급에 해당한다는 메시지와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부정수급 대응안내정보를 상기 유관기관 단말(700)로 전송(S110)한다.
이후, 유관기관 단말(700)은 전송된 부정수급 대응안내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부정수급을 야기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로 부정수급에 따른 행정절차를 안내하는 부정수급 행정절차 안내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S120)한다.
한편,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는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와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대비하여,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한 경우 양자에 포함된 정보 중 개인신상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토대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산정하며, 그 산정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정부보조금인 환급 보청기 정부보조금정보와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개인신상정보로 이루어진 보청기 정부보조금 환급안내정보를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로 전송(S101)한다.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는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서 전송되는 보청기 정부보조금 환급안내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은행 계좌로 보청기 정부보조금이 환급되도록 안내(S102)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100 :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
200 : 병원서버
300 :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
310 : DB부
320 : 콘텐츠 관리엔진
330 : 콘텐츠 기반 보조금 환급액수 연산엔진
311 : 회원별 신상정보 DB
312 : 회원별 보조금 환급액수 결정내역정보 DB
313 : 회원별 보조금 환급관련 필요내역정보 DB
314 : 업체별 신상정보 DB
315 :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 DB
316 :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 DB
400 :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
410 : 보청기 판매화면
411 : 보청기 안내표시부
500 :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
600 : 건강보험공단 서버
700 : 유관기관 단말

Claims (3)

  1.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와;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의해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의해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전송하는 병원서버(200)와;
    상기 병원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 및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콘텐츠로 저장관리하는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와;
    보청기 판매업체가 운영하는 것으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성능 및 금액을 포함하는 보청기 판매정보가 보청기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와;
    보청기를 제조하는 업체가 운영하는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와;
    건강보험공단 서버(600)와;
    유관기관 단말(7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는 개인신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 접속하고, 표시되는 보청기 판매정보 중 구매하고자 하는 보청기 판매정보를 선택하여 보청기 구매요청을 수행하며,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는 그 구매요청에 의해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개인신상정보와 선택된 보청기 판매정보인 선택 보청기 판매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를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 및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는 상기 개인신상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를 소유한 보조금 수령대상자로 배송된 정보인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개인신상정보와 배송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을 포함하는 보청기 배송내역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는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와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대비하여,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한 경우 양자에 포함된 정보 중 개인신상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토대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정부보조금을 산정하며, 그 산정된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정부보조금인 환급 보청기 정부보조금정보와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개인신상정보로 이루어진 보청기 정부보조금 환급안내정보를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는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서 전송되는 보청기 정부보조금 환급안내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은행 계좌로 보청기 정부보조금이 환급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는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와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대비하여,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하지 않아 부정수급에 해당한다는 메시지와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부정수급 대응안내정보를 상기 유관기관 단말(700)로 전송하고,
    상기 유관기관 단말(700)은 상기 전송된 부정수급 대응안내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부정수급을 야기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로 부정수급에 따른 행정절차를 안내하는 부정수급 행정절차 안내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는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접속 시 식별수단으로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는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 시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식별수단으로 업체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접속한 상태에서 전송하며,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는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 시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 식별수단으로 업체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접속한 상태에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3.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에서 병원서버(200)에 접속하여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S10)와;
    상기 병원서버(200)에서 그 요청된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S20)와;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서 상기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처방전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단계(S30)와;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에서, 개인신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 접속하고, 표시되는 보청기 판매정보 중 구매하고자 하는 보청기 판매정보를 선택하여 보청기 구매요청을 수행하는 단계(S40)와;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서, 그 구매요청에 의해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개인신상정보와 선택된 보청기 판매정보인 선택 보청기 판매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를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 및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S50)와;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에서, 상기 개인신상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를 소유한 보조금 수령대상자로 배송된 정보인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의 개인신상정보와 배송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을 포함하는 보청기 배송내역정보로 이루어진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S60)와;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병원서버(200)에 접속하여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S70)와;
    상기 병원서버(200)에서 그 요청된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S80)와;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서 상기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보청기 관련 검수확인서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단계(S90)와;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서,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와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대비하여,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S100)와;
    상기 콘텐츠 이력관리 서버(300)에서, 상기 보청기 판매업체 서버(4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판매내역 정보와 상기 보청기 제조업체 서버(500)에서 전송되는 보조금 수령대상자별 보청기 배송내역 정보를 대비하여,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양자에 포함된 보청기의 제조회사, 제조모델명 및 금액이 동일하지 않아 부정수급에 해당한다는 메시지와 해당 보조금 수령대상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부정수급 대응안내정보를 상기 유관기관 단말(700)로 전송하는 단계(S110)와;
    상기 유관기관 단말(700)에서, 상기 전송된 부정수급 대응안내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부정수급을 야기한 상기 보조금 수령대상자 단말기(100)로 부정수급에 따른 행정절차를 안내하는 부정수급 행정절차 안내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방법.
KR1020170106427A 2017-08-23 2017-08-23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80031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427A KR20180031565A (ko) 2017-08-23 2017-08-23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427A KR20180031565A (ko) 2017-08-23 2017-08-23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023 Division 2016-09-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565A true KR20180031565A (ko) 2018-03-28

Family

ID=6190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427A KR20180031565A (ko) 2017-08-23 2017-08-23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156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975B1 (ko) * 2018-08-10 2019-01-22 김훈 보청기 중계 시스템
KR20200061709A (ko) * 2018-11-26 2020-06-03 강병국 앱을 활용한 보청기 사업 방법
KR20200074424A (ko) * 2018-12-17 2020-06-25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KR102202707B1 (ko) * 2019-11-26 2021-01-13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KR102259367B1 (ko) * 2020-01-20 2021-06-22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복지용구 중계 플랫폼 통합관리 시스템
KR102563687B1 (ko) 2023-01-02 2023-08-07 구민승 보청기 사용자 및 보호자를 위한 보청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975B1 (ko) * 2018-08-10 2019-01-22 김훈 보청기 중계 시스템
KR20200061709A (ko) * 2018-11-26 2020-06-03 강병국 앱을 활용한 보청기 사업 방법
KR20200074424A (ko) * 2018-12-17 2020-06-25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KR102202707B1 (ko) * 2019-11-26 2021-01-13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복지용구 제공을 위한 통합 중계플랫폼 시스템
KR102259367B1 (ko) * 2020-01-20 2021-06-22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복지용구 중계 플랫폼 통합관리 시스템
KR102563687B1 (ko) 2023-01-02 2023-08-07 구민승 보청기 사용자 및 보호자를 위한 보청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1565A (ko) 보청기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력관리 장치 및 방법
US11232670B2 (en) Identification verification system
US8447359B2 (en) Electronic transactions
US20070078760A1 (en) Authentication by owner to shared payment instruments
US20070228148A1 (e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CN103793865A (zh) 用于健康护理数据的通信的系统
US9438580B2 (en) Authenticating access to confidential information by unregistered requestor
US20100102123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ccess to Medical Information
AU20102760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unauthorized resale of event tickets
JP2019036098A (ja) 融資管理装置、融資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046970A1 (en) Controlled substance distribution system
US20040038690A1 (en) Method for approving service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203518B1 (ko)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병원비 결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EP2676227A1 (en) Money transfer system for sending money to an institution for the benefit of a receiver associated with the institution
JP6817391B1 (ja) クレジットカード利用管理システム
US20180018747A1 (en) Risk based medical identity theft prevention
KR100931556B1 (ko) Ars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전자바우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000172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oupon Service Using Smart Card
KR102578787B1 (ko) 결제 정보 등록 시스템
KR20090099839A (ko) Rfid를 이용한 전자 바우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601282B1 (ko) 모바일 바우처 발급 및 결제 시스템과 방법
Hofer Factors Influencing Mobile Phone Payment Processing Adoption among Digital and Non-digital Natives: A Correlation Study
KR20090099840A (ko)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전자 바우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0114786B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Gill et al. A Matter of Life and Death: How the Covid-19 Pandemic Threw the Spotlight on Digital Financial Exclusion in the U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