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849B1 -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 Google Patents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849B1
KR101699849B1 KR1020150007435A KR20150007435A KR101699849B1 KR 101699849 B1 KR101699849 B1 KR 101699849B1 KR 1020150007435 A KR1020150007435 A KR 1020150007435A KR 20150007435 A KR20150007435 A KR 20150007435A KR 101699849 B1 KR101699849 B1 KR 10169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ring
back yoke
coupled
rotor
circula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122A (ko
Inventor
정문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솔
Priority to KR1020150007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8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8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1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넷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동력전달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는, 한 쌍의 마그넷 링을 구비하여 종동축 또는 구동축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이너로터; 및 상기 이너로터의 외측과 내측 각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마그넷 링을 구비하여 상기 이너로터가 결합되지 않은 종동축 또는 구동축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아우터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로터들 사이의 자력결합력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동력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MAGNETIC COUPLER FOR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마그넷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자력 결합력을 극대화시키는 것에 의해 동력전달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기계, 자동화 설비, 펌프 등의 장치에는 동력전달을 위하여 구동축과 종동축을 상호 연결하여 두 개의 축 사이에서 등속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축이음부재로 이용되는 커플러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커플러로는 축과 축이 일직선 상에 놓이는 경우, 축과 축이 서로 평행하게 놓이거나 어긋나게 놓이는 경우, 또는 서로 교차되게 놓이는 경우에 따라 적용되는 체인 커플러, 플랜지 커플러, 기어 커플러, 유체 커플러, 기어, 벨트, 로프, 베벨기어, 웜기어 등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의 커플러 중 기어 방식, 벨트 또는 로프 방식의 커플러는 구동력이 직접 물리적으로 접촉된 한 쌍의 커플러에 의해 전달되는 것에 의해, 마찰에 의한 소음이 크고, 마모에 의해 이물질이 발생하여 기계의 고장이나 동력전달 손실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커플러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2320호(종래기술 1)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0965호(종래기술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4543호(종래기술 3)에서 서로 일직선 상으로 놓이는 축들 사이이 동력전달을 위하여, 커플러 쌍이 서로 물리적인 접촉 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슬립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커플러 자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넷 커플러들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에 개시된 마그넷 커플러는 밀폐된 제품 또는 부품에서 동력전달이 필요한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마그넷 커플러를 구서하여, 기체 등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종래기술 2는 모터, 하우징, 모터축과 중심이 결합되며 자성을 갖춘 디스크가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된 디스크 케이스, 디스크 케이스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 출력축을 포함하는 동력정단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케이스의 디스크와 대향하는 위치에 N극과 S극이 교차하도록 방사상으로 다수의 마그넷이 구비된 마그넷 홀더를 포함하는 마그넷 커플러를 개시한다.
또한, 종래기술 3은, 종동축과 구동축의 단부에 마그넷을 장착한 후 홀더로 결합하여 자력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마그넷 커플러에서, 마그넷 홀더를 스틸재질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동 중 발생하는 고열에도 자기력의 감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마그넷 커플러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마그넷 커플러들은, 마그넷 링들이 단일 커플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작은 부하에도 슬립이 발생하게 되므로, 동력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속의 밀집성을 높여 마그넷 링 사이의 자력 결합력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동력전달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마그넷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그넷 커플러는, 한 쌍의 마그넷 링을 구비하여 하나의 축에 결합되는 이너로터; 및 상기 이너로터의 외측과 내측 각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마그넷 링을 구비하여 상기 이너로터가 결합되지 않은 다른 축에 결합된 후 상기 이너로터와 결합되는 아우터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로터는, 원형 관으로 하나의 마그넷링을 형성하는 제 1 이너마그넷링;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원형 관으로 형성되는 제 2 이너마그넷링;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과 상기 제 2 이너마그넷링의 사이에 삽입 결합되도록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이너백요크;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을 지지하는 제 1 이너마그넷링지지리브와 상기 제 2 이너마그넷링을 지지하는 제 2 이너마그넷링지지리브가 상기 이너백요크의 원형단부가 삽입되는 이너백요크요홈을 형성하도록 원형관으로 돌출 형성된 원판형으로,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과 제 2 이너마그넷링과 상기 이너백요크의 단부를 긴밀히 고정하는 이너몸체; 및 상기 이너몸체의 반대 측에서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과 제 2 이너마그넷링과 상기 이너백요크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이너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과 제 2 이너마그넷링은, 서로 대향하는 등각도 간격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교대로 배치되는 이너원호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커버와 상기 이너몸체는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백요크는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로터는, 원형 관으로 내측의 마그넷링을 형성하는 제 1 아우터마그넷링;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의 내측에 결합되는 원형 관으로 형성되는 내부아우터백요크;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의 외측에 원형 관으로 형성되는 제 2 아우터마그넷링;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형 관으로 형성되는 외부아우터백요크;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이 안착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내부아우터백요크가 외주연으로 삽입되는 제 1 아우터마그넷링지지리브와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이 안착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가 내주연으로 삽입되는 제 2 아우터마그넷링지지리브가 한 쌍의 원관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판형으로, 상기 제 1 아우터 마그넷링과 제 2 아우터그넷링을 포함하는 아우터마그넷링과, 상기 내부아우터백요크와 외부아우터백요크를 포함하는 아우터백요크의 일단이 긴밀히 고정되는 아우터몸체; 및 상기 아우터몸체의 반대 측에서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과 상기 내부아우터백요크의 타단을 밀폐하는 내부아우터커버와,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과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의 타단을 밀폐하는 외부아우터커버로 이루어지는 아우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과 제 2 아우터마그넷링은, 서로 대향하는 등각도 간격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교대로 배치되는 아우터원호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커버와 상기 아우터몸체는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백요크는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이너로터와 아우터로터에 구성되는 마그넷링을 2중 링구조로 하고, 각각의 마그넷 링의 등간격 이너원호부와 아우터원호부는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지도록 하는 것에, 이너로터와 아우터로터 사이의 자속 밀집성을 높이여 이너로터와 아우터로터 사이의 자기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동력전달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그넷 커플러(1)의 이너로터(100)와 아우터로터(200)의 결합상태도.
도 2는 상기 이너로터(100)의 구성도.
도 3은 상기 아우터로터(200)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그넷 커플러(1)의 이너로터(100)와 아우터로터(200)의 결합상태도이고, 도 2는 상기 이너로터(100)의 구성도이며, 도 3은 상기 아우터로터(200)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상기 마그넷 커플러(1)는 한 쌍의 마그넷 링을 구비하여 종동축 또는 구동축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이너로터(inner rotor)(100) 및 상기 이너로터의 외측과 내측 각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마그넷 링을 환형으로 구비하여 상기 이너로터(100)가 결합되지 않은 종동축 또는 구동축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 후 상기 이너로터와 커플링 결합되는 아우터로터(outer rotor)(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상기 이너로터(100)는, 한 쌍의 제 1 이너마그넷링(140)과 제 2 이너마그넷링(150)을 포함하는 이너마그넷링((inner magnet ring)(160), 이너백요크(inner back yoke)(120), 이너몸체(inner body)(130) 및 이너커버(inner cover)(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너마그넷링(160)의 제 1 이너마그넷링(140)은 원형 관으로 하나의 마그넷링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이너마그넷링(15)은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원형 관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140)과 제 2 이너마그넷링(150)은 서로 대향하는 등각도 간격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교대로 배치되는 이너원호부(161)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너원호부(161)들은 영구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백요크(120)는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140)과 상기 제 2 이너마그넷링(150)의 사이에 삽입 결합되도록 원형관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이너백요크(120)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140)과 상기 제 2 이너마그넷링(150)의 자속의 통로롤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너마그넷링(160)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력선의 자속을 이너백요크(120)의 측 방향으로 집속시킨다.
상기 이너몸체(130)는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140)을 지지하는 제 1 이너마그넷링지지리브(133)와 상기 제 2 이너마그넷링(150)을 지지하는 제 2 이너마그넷링지지리브(135)가 상기 이너백요크(120)의 원형단부가 삽입되는 이너백요크요홈(131)을 형성하도록 원형관으로 돌출 형성된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140)과 제 2 이너마그넷링(150) 각각은 이너몸체(130)에서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지지리브(133)와 제 2 이너마그넷링지지리브(135)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지지리브(133)와 제 2 이너마그넷링지지리브(135)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너백요크요홈(131)은 이너몸쳬(130)의 상부면에서 원호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너백요크(12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긴밀히 고정된다.
상기 이너커버(110)는 상기 이너몸체(130)의 반대 측에서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140)과 제 2 이너마그넷링(150)과 상기 이너백요크(120)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링형의 판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 중 상기 이너몸체(130)와 이너커버(110)는 비자성체로 구성되고, 제 1 이너마그넷링(140)와 제 2 마그넷링(150)의 사이에 위치되는 이너백요크(120)는 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제 1 이너마그넷링(140)과 제 2 마그넷링(150)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력선의 자속이 이너몸체(130)의 판상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최소화되고, 원관형의 이너마그넷링(160)의 내부 및 방사상의 측방향으로는 최대가 된다.
도 3과 같이, 상기 아우터로터(200)는 원형 관 형상의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과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을 포함하는 아우터마그넷링(outer magnet ring)(260), 원관 형상의 내부아우터백요크(220a), 외부아우터백요크(220b), 아우터백요크(outer back yoke)(220)의 일단이 긴밀히 고정되는 아우터몸체(outer body)(230) 및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과 상기 내부아우터백요크(220a)의 상부를 밀폐하는 내부아우터커버(210a)와,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과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220b)의 상부면을 밀폐하는 외부아우터커버(210b)로 이루어지는 아우터커버(outer cover)(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우터마그넷링(260)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은 원형 관으로 내측의 마그넷링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은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의 외측에 원형 관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과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은 상기 이너마그넷링(100)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이격 원주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과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들은 서로 대향하는 등각도 간격으로 서로 다른 자극(N, S)이 교대로 배치되는 아우터원호부(261)들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백요크(220)를 구성하는 상기 내부아우터백요크(220a)는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의 내측에 결합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220b)는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형 관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아우터백요크(220a)와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220b)는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각각이 결합되는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 또는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의 자속이 원관을 중심으로 방사사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아우터몸체(230)는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이 안착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내부아우터백요크(220a)가 외주연으로 삽입되는 제 1 아우터마그넷링지지리브(233)와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이 안착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220b)가 내주연으로 삽입되는 제 2 아우터마그넷링지지리브(235)가 한 쌍의 원관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아우터몸체(230)의 상부면 중 테두리 영역에는 외부아우터백요크(220a)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지지리브(235)에 의해 영역이 한정되는 단턱부로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아우터몸체(230) 중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지지리브(233)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 1 아우터 마그넷링(240)이 지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지지리브(235)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 2 아우터그넷링(250)이 지지 고정된다. 또한, 관형상의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지지리브(233)의 내측 면에는 상기 내부아우터백요크(220a)의 하단부의 외주 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내부아우터백요크(220a)가 상기 아우터몸체(230)와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지지리브(235)의 외측 면에는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220b)의 하단부 내측 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220b)가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의 외주 면에 밀착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커버(210) 중 상기 내부아우터커버(210a)는 비자성체 원판 상으로 형성되어, 아우터몸체(230)의 반대 측에서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과 상기 내부아우터백요크(220a)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내부아우터커버(210a)가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의 상부면으로 방사되는 자속을 최소화시키는 것에 의해 아우터마그넷링(210)의 측방향 자속밀도를 높인다.
또한, 상기 외부아우터커버(210b)는 링형의 비자성체 판 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과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220b)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외부아우터커버(220a)가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과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220a)의 상부면으로 방사되는 자속을 최소화시켜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과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220b)의 측방향에서 중심방향으로 퍼지는 자속밀도를 높인다.
도 1과 같이, 상술한 구성의 도 2의 상기 이너로터(100)는 도 3의 아우터로터(200)의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과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의 사이 영역에 이너마그넷링(160)이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140)과 제 2 이너마그넷링(150)과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 및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의 각각의 원호부(이너원호부(161), 아우터원호부(261))들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이너로터(100)의 이너커버(110)가 이너로터(100)의 축 방향으로의 자속을 차폐하여 이너로터(100)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너로터(100)의 내부와 외부로 방사상으로 퍼지는 자속밀도를 크게 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로터(200)는 상기 내부아우터커버(210a)가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의 축방향으로 방사되는 자속을 차폐하여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사상으로 방사되는 자속밀도를 크게 한다. 또한, 상기 외부아우터커버(210b)는 제 2 아우터마그넷링(250)과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220b)의 아우터로터(200)의 축방향으로 방사되는 자속을 차폐하여. 상기 제 2 아우터마크넷링(250)에서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240) 방향의 자속밀도를 크게 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이너몸체(130)와 아우터몸체(230), 이너백요크(120)와 아우터백요크(220) 및 이너커버(110)와 아우터커버(210)들은 각각 서로 볼트 체결 혹은 본드 접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이너로터(100)와 아우터로터(200)는 서로 대향하는 원호부들이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원관 형상의 마그넷 링이 구비된 상태로 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너로터(100)와 아우터로터(200)는 삽입 혹은 면 접합하여 볼트, 클램프 본드 등의 접합 등의 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축과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너로터(100)의 2 중 마그넷링의 구조와 이너백요크(120) 및 이너커버(110), 아우터로터(200)의 2 중 마그넷링 구조와 이중의 아우터백요크(220) 및 아우터커버(210)의 구조에 의해, 이너로터(100)와 아우터로터(200)의 결합 자력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이너로터(100)가 결합되는 축과 아우터로터(200)가 결합되는 축 사이에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의 토크가 커지게 되어 회전 동력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1: 마그네트 커플러 100: 이너커플러
110: 이너커버 120: 이너백요크
130: 이너몸체 131: 이너백요크요홈
133: 제 1 이너마그넷링지지리브 135: 제 2 이너마그넷링지지리브
140: 제 1 이너마그넷링 150: 제 2 이너마그넷링
160: 이너마그넷링 161: 이너원호부
200: 아우터커플러 210: 아우터커버
210a; 외부아우터커버 210b: 내부아우터커버
220: 아우터백요크 220a: 외부아우터백요크
220b: 내부아우터백요크 230: 아우터몸체
233: 제 1 아우터마그넷링지지리브 235: 제 2 아우터마그넷링지지리브
240: 제 1 아우터마그넷링 250: 제 2 아우터마그넷링
260: 아우터마그넷링 261: 아우터원호부

Claims (9)

  1. 한 쌍의 마그넷 링을 구비하여 하나의 축에 결합되는 이너로터; 및
    상기 이너로터의 외측과 내측 각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마그넷 링을 구비하여 상기 이너로터가 결합되지 않은 다른 축에 결합된 후 상기 이너로터와 결합되는 아우터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로터는,
    원형 관으로 하나의 마그넷링을 형성하는 제 1 이너마그넷링;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원형 관으로 형성되는 제 2 이너마그넷링;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과 상기 제 2 이너마그넷링의 사이에 삽입 결합되도록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이너백요크;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을 지지하는 제 1 이너마그넷링지지리브와 상기 제 2 이너마그넷링을 지지하는 제 2 이너마그넷링지지리브가 상기 이너백요크의 원형단부가 삽입되는 이너백요크요홈을 형성하도록, 원형관으로 돌출 형성된 원판형으로,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과 제 2 이너마그넷링과 상기 이너백요크의 단부를 긴밀히 고정하는 이너몸체; 및
    상기 이너몸체의 반대 측에서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과 제 2 이너마그넷링과 상기 이너백요크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이너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너마그넷링과 제 2 이너마그넷링은,
    서로 대향하는 등각도 간격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교대로 배치되는 이너원호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커버와 상기 이너몸체는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백요크는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로터는,
    원형 관으로 내측의 마그넷링을 형성하는 제 1 아우터마그넷링;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의 내측에 결합되는 원형 관으로 형성되는 내부아우터백요크;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의 외측에 원형 관으로 형성되는 제 2 아우터마그넷링;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형 관으로 형성되는 외부아우터백요크;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이 안착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내부아우터백요크가 외주연으로 삽입되는 제 1 아우터마그넷링지지리브와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이 안착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가 내주연으로 삽입되는 제 2 아우터마그넷링지지리브가 한 쌍의 원관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판형으로, 상기 제 1 아우터 마그넷링과 제 2 아우터그넷링을 포함하는 아우터마그넷링과, 상기 내부아우터백요크와 외부아우터백요크를 포함하는 아우터백요크의 일단이 긴밀히 고정되는 아우터몸체; 및
    상기 아우터몸체의 반대 측에서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과 상기 내부아우터백요크의 타단을 밀폐하는 내부아우터커버와, 상기 제 2 아우터마그넷링과 상기 외부아우터백요크의 타단을 밀폐하는 외부아우터커버로 이루어지는 아우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우터마그넷링과 제 2 아우터마그넷링은,
    서로 대향하는 등각도 간격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교대로 배치되는 아우터원호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커버와 상기 아우터몸체는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백요크는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KR1020150007435A 2015-01-15 2015-01-15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KR101699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435A KR101699849B1 (ko) 2015-01-15 2015-01-15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435A KR101699849B1 (ko) 2015-01-15 2015-01-15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122A KR20160088122A (ko) 2016-07-25
KR101699849B1 true KR101699849B1 (ko) 2017-01-25

Family

ID=5661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435A KR101699849B1 (ko) 2015-01-15 2015-01-15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8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174B1 (ko) 2019-12-10 2021-03-26 (주)가온솔루션 고속 회전용 마그넷 커플링 회전 조립체
KR20230072744A (ko) 2021-11-18 2023-05-25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마그네틱 커플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578A (ja) * 2001-12-14 2003-07-04 Smc Corp 磁石可動型電磁アクチュエータ
CN2679417Y (zh) 2004-03-01 2005-02-16 虞培清 感应式异式高温磁力耦合传动器
JP2012097891A (ja) 2010-10-29 2012-05-24 B'pro Corp 永久磁石磁気軸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2678B1 (en) * 2001-09-12 2004-03-09 James A. Mason Power transmission by magnetized ball coupl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578A (ja) * 2001-12-14 2003-07-04 Smc Corp 磁石可動型電磁アクチュエータ
CN2679417Y (zh) 2004-03-01 2005-02-16 虞培清 感应式异式高温磁力耦合传动器
JP2012097891A (ja) 2010-10-29 2012-05-24 B'pro Corp 永久磁石磁気軸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174B1 (ko) 2019-12-10 2021-03-26 (주)가온솔루션 고속 회전용 마그넷 커플링 회전 조립체
KR20230072744A (ko) 2021-11-18 2023-05-25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마그네틱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122A (ko) 201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746B1 (ko) 사이클로 감속기 장치
US8525380B2 (en) Vacuum mechanical rotation-transmitting apparatus
JP7063637B2 (ja) 回転電機のロータ
US20060290218A1 (en) Inner magnet of a magnetic coupling
JP6783081B2 (ja) 磁気歯車のための磁極片構造体
CN102782989A (zh) 旋转电机的转子
KR101699849B1 (ko) 동력전달용 마그넷 커플러
JP2014217412A (ja) 磁気カップリング式混練機
JP6464407B2 (ja) 磁性流体シールの組立方法及び磁性流体シール
US2488827A (en) Magnetic coupling
AU2012208367A1 (en) Improvements in magnetic couplings
CN102158044A (zh) 流动产生装置
CN103291934A (zh) 机械密封体
JP5839752B2 (ja) 磁気粘性流体を用いたトルクコンバータにおけるシール構造
KR100944543B1 (ko) 마그네트 펌프용 커플러
US20140203678A1 (en) Magnetic coupling
RU2657081C2 (ru) Полумуфта для предусмотренного без возможности проворота присоединения вала
KR102269299B1 (ko) 분할된 요우크를 포함하는 회전자
JP6693527B2 (ja) 磁気ギア装置
CN213027768U (zh) 一种新型的防轴端泄漏的磁力联轴器
CN102128167A (zh) 耐高温磁力驱动器
CN210693744U (zh) 一种永磁涡流传动反应釜
CA2799860C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torque magnetically
JP2021173369A (ja) 磁気歯車装置
US4684836A (en) Magnetic speed redu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