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731B1 -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731B1
KR101699731B1 KR1020140134523A KR20140134523A KR101699731B1 KR 101699731 B1 KR101699731 B1 KR 101699731B1 KR 1020140134523 A KR1020140134523 A KR 1020140134523A KR 20140134523 A KR20140134523 A KR 20140134523A KR 101699731 B1 KR101699731 B1 KR 101699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ternal quality
quality management
quality contro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0948A (ko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소프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소프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소프트랩
Priority to KR1020140134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7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lgebra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정도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에 의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통계적 비교가 용이한 결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은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단계, 기 설정된 평가기준에 따라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단계, 데이터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분석결과에 따른 특이사항 또는 조치사항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단계,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 데이터 분석결과 및 조치사항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 및 사용자가 입력한 조회기간의 의료장비 또는 콘트롤 물질에 대한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 데이터 분석결과, 조치사항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이계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시켜 출력하는 조회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Statistical Internal Quality Control Result Managing Method for Medical Test Data and Apparatus thereof}
본 명세서에서는 정도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에 의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통계적 비교가 용이한 결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진단검사의학과에서 수행하는 모든 검사는 의료행위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신뢰할 수 있는 검사결과를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검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검사 품질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며, 검사업무의 표준화도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정도관리(Quality Control)는 검사 데이터가 항상 일정한 정확도와 정밀도를 유지하여 의료진으로 하여금 확신을 가지고 진단 및 치료를 할 수 있도록 과학적이고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검사 데이터를 관리하는 일련의 체계를 말한다. 정도관리는 의학적으로 의미가 없는 분석 에러를 찾아내는 것으로서 검사결과치를 잘 알고 있는 샘플 물질을 의미하는 콘트롤 물질을 분석하여 현재의 결과와 기대치를 비교하게 된다. 통상, 콘트롤 물질은 (의료)장비의 정상적 작동 여부 및 시약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때에 사용된다.
정도관리는 1931년 Shewart에 의해 기본 원리가 소개된 이후 1977년부터 Westgard에 의해 정도관리 데이터의 해석 및 그에 관한 멀티 룰(multi-rule)이 소개되기에 이르렀다. 멀티 룰은 정도관리 데이터가 유효한지 무효한지를 판단하는 일련의 법칙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상 6개의 법칙이 이용되고, 이용하는 콘트롤 레벨(control level)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정도관리는 평균(Mean),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VIS(Variance Index Score), SDI(Standard Deviation Index) 등과 같은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정도관리는 내부 정도관리와 외부정도관리로 분류된다.
내부 정도관리는 자체 내 기계나 검사성적에 대한 일내, 일차 변동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정밀도와 정확도를 평가하며, 이를 위해 각 검사별로 정도관리 물질과 방법을 문서화하여 원칙에 따라 정도관리를 시행하며, 그 결과는 검사담당자, 전문의의 검토를 거쳐 승인을 받는다. 또한, 검사기기의 점검 및 유지, 온도기록 등의 적극적인 검토, 관리도 문서화하여 원칙대로 시행하여 승인을 받는 것을 포함한다.
정도관리 물질은 농도를 알고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검사하고자 하는 물질(constituents)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자 검체와 동일하게 반응하는 물질로서 검사 과정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검정할 때에 이용하는 물질을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보정(calibrator) 물질이 있는데, 보정 물질은 농도를 알고 있는 여러 레벨의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장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보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러한 보정 물질은 콘트롤 물질로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외부 정도관리는 검사실 간 행하는 정도관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국가기관 혹은 학회 등 공인된 단체에서 각 검사실로 검체를 보내 검사를 실시하게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신뢰도를 판정한다. 시설 간, 장비 간, 측정 방법 간 차이에서 발생하는 계통오차를 해결하고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국내에서는 대한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 대한핵의학회 등에서 정기적인 일정에 따라 시행하고 있다.
내부 정도관리를 위한 분석기준에는 Westgard Rule을 사용할 수 있고, 외부정도관리를 위한 분석기준은 국제기준을 참고하여 병원별 자체 기준을 설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통상 외부 정도관리는 검사결과의 정확도 향상 및 유지가 목적이고, 내부 정도관리는 검사결과의 정밀도 향상 및 유지가 목적이다. 여기서, 정밀도(Precision)는 2개 이상의 측정치에 대한 재현성을 판단하는 척도를 의미하고, 정확도(Accuracy)는 기대치에 근접하는 정도를 판단하는 척도를 의미한다.
종래의 정도관리 활동은 정도관리 데이터의 관리, 분석 등을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했고, 이에 따라 원칙에 따라 정도관리를 수행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여러 종류의 정도관리 데이터가 취합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이들 데이터의 조합에 따른 특이사항의 확인과 해석 및 조치사항의 결정에 더욱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정도관리에 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71641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시스템에 적용된 기준에 따라 극단치를 제외시킨 평균치와 표준편차만을 통계처리하는 수준에 머무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71641
본 명세서에서는 정도관리에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더불어 특이사항의 확인과 해석 및 조치사항의 결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은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단계, 기 설정된 평가기준에 따라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단계, 데이터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분석결과에 따른 특이사항 또는 조치사항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단계,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 데이터 분석결과 및 조치사항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 및 사용자가 입력한 조회기간의 의료장비 또는 콘트롤 물질에 대한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 데이터 분석결과, 조치사항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이계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시켜 출력하는 조회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들에 의하면, 의료검사 데이터의 정도관리에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정도관리 데이터들에 따른 특이사항의 확인과 해석 및 조치사항의 결정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조회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2b는 도 2a의 좌측 1/2 확대 도면이다.
도 3a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조회 결과 출력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3b 및 도 3c는 도 3a의 좌우 1/2씩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더불어 특이사항의 확인과 해석 및 조치사항의 결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해 방대한 양의 의료검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의료검사의 오류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검사결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은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단계(S101), 기 설정된 평가기준에 따라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단계(S102), 데이터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분석결과에 따른 특이사항 또는 조치사항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단계(S103),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 데이터 분석결과 및 조치사항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S104) 및 사용자가 입력한 조회기간의 의료장비 또는 콘트롤 물질에 대한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 데이터 분석결과, 조치사항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이계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시켜 출력하는 조회 출력단계(S105)를 포함한다.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데이터 저장수단 또는 검사장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 입력될 수 있다. 정도관리 데이터는 의료검사진행을 위한 장비, 시약, 기구, 온도 등 전반적인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된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는 기 설정된 평가기준에 따라 분석이 수행된다. 여기서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에 대한 기 설정된 평가기준은 Westgard에 의한 정도관리 데이터의 해석 및 그에 관한 룰(rule)을 포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평가기준은 인터페이스 제공단계를 통해 룰의 레벨(level)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결과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되고, 사용자는 정도관리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분석결과를 검토하여 특이사항의 내용 또는 사용자가 취하여야 할 일련의 조치사항을 입력한다.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는 기 설정된 평가기준에 따라 표시된 정도관리 데이터를 사용자가 클릭하는 경우 팝업의 형태로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정도관리 데이터, 데이터 분석결과 및 조치사항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분류 형식 및 포멧으로 출력될 수 있다.
조회 출력단계(S105)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회기간의 의료장비 또는 콘트롤 물질에 대한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 데이터 분석결과, 조치사항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이계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시켜 출력한다. 사용자의 결과 조회 입력에 따라 조회기간에 대해 실제 측정값과 이들의 통계치를 기 설정된 기준값의 통계치와 비교함으로써, 검사결과의 오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조회 출력단계는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이계수에 대응하는 자체 검사실의 랩타겟(Lab Target) 데이터, 타 검사실의 동종 데이터, 전월에 측정한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 또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각각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이계수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동종 데이터는 동종 장비, 동일 검사방법 또는 동일 시약 등에 대한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조회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회기간(201)을 설정하고, 의료장비명(202)과 콘트롤 물질(203)을 선택하면 일자별 등록된 데이터(204)가 출력된다. 여기에 비교대상 기준(20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면 측정된 데이터와 선택된 비교대상을 대비할 수 있는 표(207)를 출력한다. 비교대상 기준(206)에는 자체 검사실의 랩타겟 데이터(206에서 Lab Target), 타 검사실의 동종 데이터(206에서 Peer Group), 전월에 측정한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206에서 전월비교) 또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206에서 제조사)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들과 선택적으로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종 데이터는 동종 장비, 동일 검사방법 또는 동일 시약에 대한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타 검사실에서 동종의 장비에서의 결과, 동일한 검사방법에 따른 결과 또는 동일한 시약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 등의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측정된 데이터의 오류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당월에 실제 측정된 데이터는 측정된 데이터의 통계값인 평균(Mean), 표준편차(SD), 변이계수(CV)로 계산될 수 있으며, 출력되는 표(207)에서는 자체 검사실의 랩타겟 데이터(206에서 Lab Target), 타 검사실의 동종 데이터(206에서 Peer Group), 전월에 측정한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206에서 전월비교) 또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206에서 제조사)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변이계수를 함께 출력(208)함으로써, 당월 실제 측정된 데이터에서의 오류를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조회기간 내의 변화 추이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인터페이스 제공단계(S103)는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 중 기 설정된 평가기준을 초과하는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의 포함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205)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통계치에 반영시킬 수 있다.
조회 출력단계는 조회기간에 따라 복수의 의료검사항목, 의료장비, 정도관리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른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를 그래프 또는 표의 형태로 출력하고, 조회기간에 대한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터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이계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조회 결과 출력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회기간을 선택한 후 복수의 의료검사항목(301)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의료장비(302) 및 정도관리물질(303)을 선택하면, 선택된 의료검사항목에 대한 결과치가 그래프와 통계치로 출력된다. 도 3에서는 2개의 의료검사항목(AST, ALT)에 대한 결과값이 출력된 것이 도시되었다.
특히, 이러한 데이터들에 대한 통계치(Mean, SD, CV: 305)를 함께 출력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월별 추이를 그래프와 통계치를 통해 동시에 확인함으로서 문제의 원인이 정도관리 물질, 시약, 의료장비, 검사자의 문제인지를 확인하고 대책을 마련하는데 용이하다.
한편, 통계치 중 가장 유용한 통계치는 CV인데 이 결과치 월별추이를 볼 때 수치가 큰 변화를 보였으면 해당 월의 검사결과의 재현성을 확인하므로써 문제를 확인해 볼 수 있다. 특히, 도 3 우측에 도시된 CV에 대한 월별 누적 결과 그래프(306)를 출력함으로써 월별추이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의료검사 데이터의 정도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AM, ROM, CD-ROM, 자기 테이프, 광 데이터 저장장치, 플로피 디스크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캐리어 웨이브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의료검사 데이터의 정도관리 방법은 의료검사 데이터의 정도관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의료검사 데이터의 정도관리 방법 또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정도관리 방법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구성되어 하드웨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장치는 입력부(401), 제어부(402), 디스플레이부(404), 저장부(405)를 포함하고, 제어부(402)는 인터페이스 제공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01)는 도 1에서 설명한 데이터 입력단계가 구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 또는 네트워크나 데이터 전송 등에 의한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402)는 데이터 분석단계가 구현되는 것으로서,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논리적, 수학적 연산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404)는 데이터 분석결과 또는 조회 출력단계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며, 정도관리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분석결과 등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이다. 저장부(405)는 정도관리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분석결과가 저장되는 곳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장치이다. 인터페이스 제공부(404)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장치에 데이터를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인터페이스 제공부(404)는 제어부(402)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01: 입력부
402: 제어부
403 인터페이스 제공부
404: 디스플레이부
405: 저장부

Claims (5)

  1. 입력에 의해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단계;
    제어부는 기 설정된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분석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분석결과에 따른 특이사항 또는 조치사항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 상기 데이터 분석결과 및 상기 조치사항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 저장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조회기간의 의료장비 또는 콘트롤 물질에 대한 상기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 상기 데이터 분석결과, 상기 조치사항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이계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조회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에 따라 상기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 중 상기 기 설정된 평가기준을 초과하는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의 포함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출력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이계수에 대응하는 자체 검사실의 랩타겟(Lab Target) 데이터, 타 검사실의 동종 데이터, 전월에 측정한 상기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 또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각각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이계수를 함께 출력하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종 데이터는
    동종 장비, 동일 검사방법 또는 동일 시약에 대한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출력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에 따라,
    상기 조회기간에 따라 복수의 의료검사항목, 의료장비, 정도관리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른 상기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를 그래프 또는 표의 형태로 출력하고,
    상기 조회기간에 대한 상기 내부 정도관리 데이터터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이계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출력하는,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KR1020140134523A 2014-10-06 2014-10-06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699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523A KR101699731B1 (ko) 2014-10-06 2014-10-06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523A KR101699731B1 (ko) 2014-10-06 2014-10-06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948A KR20160040948A (ko) 2016-04-15
KR101699731B1 true KR101699731B1 (ko) 2017-01-25

Family

ID=5580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523A KR101699731B1 (ko) 2014-10-06 2014-10-06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135B1 (ko) * 2018-10-18 2019-10-01 이성윤 병원 내 검사 장비와 미들웨어 간 허브 단말을 이용한 정도관리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02289B1 (ko) * 2019-03-19 2021-01-13 주식회사 신화소프트랩 의료검사 데이터의 내부 정도관리를 위한 검사실 허용범위 설정 방법
KR102506015B1 (ko) * 2021-11-26 2023-03-06 김성일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병원 내 검사 데이터의 자동화된 정도관리 방법
CN117434289B (zh) * 2023-12-20 2024-02-27 北京众驰伟业科技发展有限公司 全自动凝血测试仪的质量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8767A (zh) 2013-03-27 2013-07-24 无锡曼荼罗软件有限公司 一种临床病历的质量控制方法及系统
CN103530840A (zh) 2013-10-10 2014-01-22 中国中医科学院 一种准确快速的电子病历录入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3456B2 (ja) * 2005-07-26 2011-07-27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前処理の外部精度管理方法、核酸検出処理の外部精度管理方法、検量線作成処理の外部精度管理方法、前処理の外部精度管理コンピュータ、核酸検出処理の外部精度管理コンピュータ、検量線作成処理の外部精度管理コンピュータ、前処理装置、及び核酸検出装置
JP4436856B2 (ja) 2007-07-26 2010-03-24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精度管理方法
JP2013210265A (ja) * 2012-03-30 2013-10-10 Sysmex Corp 検体分析装置、精度管理用検体ユニットおよび精度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8767A (zh) 2013-03-27 2013-07-24 无锡曼荼罗软件有限公司 一种临床病历的质量控制方法及系统
CN103530840A (zh) 2013-10-10 2014-01-22 中国中医科学院 一种准确快速的电子病历录入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948A (ko) 201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ppi et al. Quality in laboratory diagnostics: from theory to practice
Flatland et al. ASVCP quality assurance guidelines: control of general analytical factors in veterinary laboratories
Westgard Managing quality vs. measuring uncertainty in the medical laboratory
Badrick Integrating quality control and external quality assurance
KR101699731B1 (ko)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의 결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Westgard Statistical quality control procedures
Schifman et al. Reliability of point-of-care capillary blood glucose measurements in the critical value range
Rishniw et al. Evaluation of performance of veterinary in‐clinic hematology analyzers
Linko et al. Evaluation of uncertainty of measurement in routine clinical chemistry-applications to determination of the substance concentration of calcium and glucose in serum
Westgard Perspectives on quality control, risk management, and analytical quality management
Camus et al. ASVCP quality assurance guidelines: external quality assessment and comparative testing for reference and in‐clinic laboratories
US81608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linical equivalence of test methods
KR101601789B1 (ko)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정도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erson Developing risk-based quality control plans: an overview of CLSI EP23-A
KR102202289B1 (ko) 의료검사 데이터의 내부 정도관리를 위한 검사실 허용범위 설정 방법
KR101617015B1 (ko) 의료검사 데이터의 통계적 내부 정도관리를 위한 이력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N111406294A (zh) 自动生成用于实验室仪器的规则
Albert et al. Importance of integrating a volume verification method for liquid handlers: applications in learning performance behavior
Weitzel et al. Measurement uncertainty for the pharmaceutical industry
Álvarez et al. Procedures for validation of diagnostic methods in clinical laboratory accredited by ISO 15189
Hooijberg Quality assurance for veterinary In-clinic laboratories
Nichols Verification of method performance for clinical laboratories
Theodorsson Issues in assessing analytical performance specifications in healthcare systems assembling multiple laboratories and measuring systems
Glencross et al. Categorizing and establishing CD4 service equivalency: Testing of residual, archived external quality assessment scheme sample panels enables accelerated virtual peer laboratory review
KR102599838B1 (ko) 혼합 표준편차를 활용한 검사실 허용범위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