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027B1 -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027B1
KR101699027B1 KR1020150100522A KR20150100522A KR101699027B1 KR 101699027 B1 KR101699027 B1 KR 101699027B1 KR 1020150100522 A KR1020150100522 A KR 1020150100522A KR 20150100522 A KR20150100522 A KR 20150100522A KR 101699027 B1 KR101699027 B1 KR 101699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frame
representative
ta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948A (ko
Inventor
전영준
손혜은
한준
전미연
전봉준
황세일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9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F17/21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 공유 시스템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의 인기도 및 등록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일부 대표 컨텐츠를 확장 대상 컨텐츠로 선정하고, 상기 페이지는 상기 확장 대상 컨텐츠를 나머지 컨텐츠보다 크게 표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인터넷 등의 통신망의 보급과 접근성이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들이 컨텐츠를 서로 공유하고자 하는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 간 컨텐츠를 공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활발하게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 공유 시스템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의 인기도 및 등록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일부 대표 컨텐츠를 확장 대상 컨텐츠로 선정하고, 상기 페이지는 상기 확장 대상 컨텐츠를 나머지 컨텐츠보다 크게 표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컨텐츠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페이지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의 인기도 및 등록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일부 대표 컨텐츠를 확장 대상 컨텐츠로 선정하고, 상기 페이지는 상기 확장 대상 컨텐츠를 나머지 컨텐츠보다 크게 표시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를 소정 기준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표시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하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은 복수의 태그를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대표 컨텐츠의 인기도 및 등록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선정되는 확장 대상 컨텐츠를 나머지 컨텐츠보다 크게 표시함으로써, 인기도가 높거나 등록 시각이 빠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높이며,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00)에 구비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화면(40)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예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직사각 영역(41)에서 프레임을 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페이지의 예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프레임(521)이 선택되었을 때 제공되는 화면(5211)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예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직사각 영역 내에 6개의 프레임을 배치하는 방법의 예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직사각 영역 내에 6개의 프레임을 배치하는 다른 방법의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세히,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업로드한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조회하고, 인기 컨텐츠를 조회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하면 이를 서버(100)에 등록하며, 다른 사용자들이 서버(100)에 등록된 컨텐츠를 조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본인 또는 다른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컨텐츠를 “추천”하여 컨텐츠에 대한 호감을 표시하거나, 컨텐츠에 덧글을 작성하거나, 컨텐츠를 자신의 계정으로 공유하는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사용자들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서로를 친구 관계로 지정할 수 있고,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친구 관계로 지정된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한 명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모아서 하나의 페이지에 제공할 수도 있고, 여러 명의 사용자가 각각 업로드한 컨텐츠를 모아서 하나의 페이지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엔드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되는 컨텐츠는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내용물을 의미하며,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를 업로드하면서, 컨텐츠에 대한 태그를 하나 이상 지정할 수 있다. 태그는 텍스트 기반일 수 있고, 컨텐츠와 관련된 단어들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맛있는 음식에 대한 사진을 업로드하면서, “음식”, “먹방”, “맛집” 등의 텍스트를 해당 사진에 대한 태그로 지정할 수 있다. 태그는 컨텐츠에 부여되는 일종의 메타데이터로써, 컨텐츠 관리, 조회, 검색 등 다양한 기능에 활용될 수 있다. 컨텐츠의 작성자 혹은 등록자가 직접 태그를 지정하므로, 컨텐츠와의 실제 연관성, 트랜드 반영 등의 측면에서 오류 없는 적합한 태그가 지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202)이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를 구비한다.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버튼,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3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서버(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메모리, 입/출력부, 프로그램 저장부,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00)에 구비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10)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0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제공 장치(11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10)는 컨텐츠 요청 수신부(111), 페이지 제공부(112) 및 데이터베이스(113)를 포함한다.
컨텐츠 요청 수신부(11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요청 수신부(11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기 컨텐츠의 요청을 수신한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컨텐츠 요청 수신부(111)가 수신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복수의 태그를 선정하고, 선정된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를 선정하고, 복수의 대표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페이지 제공부(11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인기 컨텐츠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츠의 인기도 및/또는 등록 시각을 고려하여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를 선정하고, 선정된 대표 컨텐츠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제공한다. 복수의 태그는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페이지 제공부(112)에 의해 제공되는 페이지는 복수의 태그 및 각 태그를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의 정보를 포함한다. 페이지는 기설정된 개수만큼의 프레임을 소정 영역 내에 빈틈없이 배치할 수 있고, 각 프레임에 태그를 하나씩 할당하고, 각 프레임에 할당된 태그의 대표 컨텐츠를 각 프레임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소정 영역에는 기설정된 개수의 태그가 할당될 것이고, 기설정된 개수의 대표 컨텐츠가 표시될 것이다. 소정 영역은, 페이지에 포함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소정 영역의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직사각 형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소정 영역이 직사각 영역인 경우의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지만, 이하의 설명은 소정 영역이 다른 형태(예컨대, 다각형, 직선 및/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도형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 대하여서도 적용될 수 있다.
페이지는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을 직사각 영역 내에 배치할 때, 일부 프레임의 크기를 다른 프레임의 크기보다 크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제공부(112)는 복수의 대표 컨텐츠의 인기도 및 등록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일부 대표 컨텐츠를 확장 대상 컨텐츠로 선정하고, 확장 대상 컨텐츠가 배치된 프레임은 다른 프레임보다 크게 표시함으로써, 확장 대상 컨텐츠를 나머지 컨텐츠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의 인기도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추천 및 덧글 개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제공부(112)는 복수의 대표 컨텐츠들 중 사용자들의 추천 및 덧글 개수가 가장 많은 컨텐츠, 즉 인기도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확장 대상 컨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확장 대상 컨텐츠는 바람직하게는 직사각 영역 내에 표시되는 대표 컨텐츠들 중 한 개의 대표 컨텐츠로 설정될 수 있으며, 하나의 확장 대상 컨텐츠가 다른 대표 컨텐츠들보다 크게 표시됨에 따라 하나의 확장 대상 컨텐츠에 사용자의 이목이 집중될 수 있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확장 대상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컨텐츠 요청이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확장 대상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프레임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나머지 프레임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보다 기설정된 배율만큼 그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제공부(112)는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프레임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나머지 프레임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의 2배가 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은,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프레임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은,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전술한 직사각 영역을 복수 개 포함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직사각 영역은 기설정된 개수만큼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복수의 직사각 영역 내에 포함된 프레임 각각에는 서로 다른 태그가 할당되고, 각 프레임에 할당된 태그의 대표 컨텐츠가 각 프레임에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직사각 영역은 페이지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페이지가 상하로 길게 제공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페이지를 상하로 스크롤하여 원하는 영역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직사각 영역 내에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을 배치하고, 그 중 특정 위치의 프레임의 기능을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 영역 내에 복수의 프레임을 배치하고, 특정 위치의 프레임에는 항상 실시간 급상승 태그의 대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위치의 프레임에는 항상 랜덤 태그의 대표 컨텐츠를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프레임의 기능이 한정되는 경우, 페이지 제공부(112)는 특정 프레임의 크기를 확장하지 않으며 항상 동일한 크기로 동일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직사각 영역 내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하나의 특정 프레임의 기능이 한정되는 경우, 페이지 제공부(112)는 기설정된 개수보다 한 개 적은 개수의 태그를 나머지 프레임에 할당하고, 각 프레임에 할당된 태그의 대표 컨텐츠를 각 프레임에 표시한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직사각 영역 내에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을 배치하고, 그 중 특정 위치의 프레임의 기능을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 영역 내에 복수의 프레임을 배치하고, 특정 위치의 프레임에는 항상 기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페이지 제공부(112)는 사용자가 기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하면, 실시간 급상승 태그의 태그 갤러리를 제공할 수 있다. 태그 갤러리는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들을 나열한 페이지이다. 즉, 실시간 급상승 태그의 태그 갤러리는 실시간 급상승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들을 제공한다. 다른 예에 따라 페이지 제공부(112)는 사용자가 기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하면, 랜덤 태그의 태그 갤러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페이지 제공부(112)는 랜덤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기저장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특정 프레임의 위치 및 크기를 항상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직사각 영역에 복수의 프레임을 배치함에 있어서, 직사각 영역을 3x3 매트릭스를 이루는 9개의 공간으로 나누고, 이 중 2x2 매트릭스를 이루는 4개의 공간을 합하여 하나의 확장 프레임을 배치하고, 나머지 5개의 공간 각각에 일반 프레임을 배치하여, 총 6개의 프레임을 하나의 직사각 영역 내에 배치할 수 있다. 3X3 매트릭스를 이루는 9개의 공간은 크기가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페이지 제공부(112)는 3x3 매트릭스를 이루는 9개의 공간 중 어느 공간을 합하여 확장 프레임을 구성할 것인지를 확장 대상 컨텐츠의 표시 위치 또는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될 프레임의 위치(또는 번호)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1번부터 6번까지의 총 6개의 프레임에 6개의 태그를 일대일로 할당하고, 이 중 어느 하나의 태그의 대표 컨텐츠를 확장 대상 컨텐츠로 선정한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될 프레임의 위치(또는 번호)에 따라 3x3 매트릭스를 이루는 9개의 공간 중 어느 공간을 합하여 확장 프레임을 구성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 또는 2번 프레임에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3x3 매트릭스를 이루는 9개의 공간 중 좌측 상단 코너의 2X2 매트릭스를 이루는 4개의 공간을 합하여 확장 대상 컨텐츠를 표시하고, 나머지 5개의 공간에 나머지 대표 컨텐츠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페이지 제공부(112)가 확장 대상 컨텐츠를 표시할 프레임이 표시될 직사각 영역 내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서는, 도 6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제공 장치(1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에서 도 2의 컨텐츠 요청 수신부(11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컨텐츠 요청은, 특정 태그 또는 특정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며 특별한 조건 없이 인기 컨텐츠를 광범위하게 요청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태그 검색 요청 및 사용자 검색 요청과 구별될 수 있다. 태그 검색 요청은 특정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고, 사용자 검색 요청은 특정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다. 한편 단계 S31에서 도 2의 컨텐츠 요청 수신부(111)가 수신하는 컨텐츠 요청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비스가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자동으로 서버(100)에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비스가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초기 화면에 대한 요청으로써 인기 컨텐츠 요청을 컨텐츠 요청 수신부(111)에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2에서 도 2의 페이지 제공부(112)는 복수의 태그를 선정하고,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를 선정하고,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화면(40)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예이다.
도 4a에 도시된 화면(40)에는 도 2의 컨텐츠 제공 장치(110)에 의해 제공된 페이지의 예가 표시되었다. 도 4a에 도시된 화면(40)에는 사용자의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여 복수의 태그 및 각 태그의 대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페이지가 표시된 예가 도시되었다.
화면(40)에 표시된 페이지는 직사각 영역(41)을 포함한다. 직사각 영역(41)에는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이 배치되는데, 도 4a의 예에서는 직사가 영역(41)에 6개의 프레임(411-416)이 배치된 예가 도시되었다. 각 프레임마다 하나의 태그가 할당되고, 각 프레임 내에는 할당된 태그의 대표 컨텐츠가 표시된다. 도 4a의 예에서, 제1 프레임(411)에 태그 1이 할당되고, 제2 프레임(412)에 태그 2가 할당되고, 제3 프레임(413)에 태그 3이 할당되고, 제4 프레임(414)에 태그 4가 할당되고, 제5 프레임(415)에 태그 5가 할당되고, 제6 프레임(416)에 태그 6이 할당된 예가 도시되었다. 각 프레임에는 각 프레임에 할당된 태그 명이 표시되며, 각 프레임에 할당된 태그가 지정된 복수의 컨텐츠 중 선정된 어느 하나의 대표 컨텐츠가 표시된다.
도 4a에서는 각 프레임 내에 표시된 컨텐츠의 형태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대표 컨텐츠의 표시 형식을 한정하지 않기 위한 것일 뿐, 각 프레임 내에는 각 프레임에 할당된 태그의 대표 컨텐츠가 다양한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 컨텐츠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는데, 각 프레임 내에는 정지영상이 표시되거나, 동영상의 전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이 표시되거나, 동영상의 서머리가 표시되거나, 동영상이 표시되어 재생될 수 있다.
화면(40) 상단에는 현재 화면(40)에 표시된 페이지가 인기 컨텐츠의 페이지임을 나타내기 위해 “HOT PIC”이라는 문구가 표시되었다. HOT PIC이라는 문구가 표시된 영역의 배경에는, 페이지에 표시된 대표 컨텐츠들 중 가장 인기도가 높은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대표 컨텐츠들 중 인기도가 가장 높은 컨텐츠는, 최근 24시간 이내에 사용자들로부터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컨텐츠일 수 있다. 화면(40) 하단에는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컨텐츠를 업로드하거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메뉴 바(42)가 표시된다.
한편, 직사각 영역(41)에 할당되는 태그는 페이지 제공부(112)에 의해 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제공부(112)는 최근 24시간 동안의 복수의 태그에 대한 관심도에 기초하여 직사각 영역(41)에 할당되는 태그를 선정할 수 있다. 페이지 제공부(112)가 총 70개의 프레임을 페이지에 제공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페이지 제공부(112)는 최근 24시간 동안의 복수의 태그의 인기도에 기초하여 인기도가 높은 100개의 태그를 선정하고, 선정된 100개의 태그 중 랜덤으로 선정된 69개의 태그와 급상승 태그 1개를 70개의 프레임에 일대일로 할당할 수 있다. 급상승 태그는, 최근 24시간 동안의 복수의 태그의 인기도에 기초하여 선정된 100개의 태그에 포함되지 않으며, 더 짧은 시간 단위, 예컨대 1시간 동안의 인기도에 기초하여 선정되는 것일 수 있다.
태그의 인기도는, 태그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요청 빈도, 및 사용자가 태그를 컨텐츠에 대하여 지정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제공부(112)는 사용자가 태그를 컨텐츠에 대하여 지정하는 빈도, 태그의 신규 구독자 수,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추천 또는 덧글 개수 등을 고려하여 각 태그의 인기도를 산출할 수 있다. 태그의 구독자는 해당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에 대한 소식을 개인적으로 받아볼 수 있는 구독 기능을 신청한 사용자를 의미한다.
한편, 페이지 제공부(112)는 직사각 영역(41)에 할당할 태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하여 도 2의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제공부(112)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때마다 직사각 영역(41)에 할당할 태그를 실시간으로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되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되는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직사각 영역(41)에 태그를 할당할 수 있다. 주기는 1시간일 수 있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직사각 영역(41)에 할당할 태그를 선정하여 갱신할 때, 이전 대비 신규하게 선정된 태그는 페이지의 상단에 노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각 태그의 대표 컨텐츠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되어 도 2의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들어, 각 태그의 대표 컨텐츠는 1시간마다 갱신될 수 있다.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때마다 각 태그의 대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선정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되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되는 각 태그의 대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에 표시된 대표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의 대표 컨텐츠를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의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처리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직사각 영역(41)에 할당될 태그 및 각 태그의 대표 컨텐츠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되어 도 2의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직사각 영역(41)에 표시되는 기설정된 개수(도 4a의 경우 6개)의 대표 컨텐츠의 인기도 또는 등록시각을 비교하여 확장 대상 컨텐츠를 결정하는 연산의 부하는 크지 않다. 따라서 페이지 제공부(112)는 사용자의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확장 대상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지금 현재 실시간으로 가장 인기가 많거나 가장 최근에 등록된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이목이 집중된 컨텐츠가 가장 인기가 많거나 가장 최근에 등록된 컨텐츠인 경우, 인기 컨텐츠를 요청했던 사용자의 만족도가 증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4a에 도시된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프레임에 할당된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프레임을 선택하면, 제1 태그의 태그 갤러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태그의 태그 갤러리는 제1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들을 모아서 제공하는 페이지이다.
도 4a의 예에서는, 태그 3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선정되어,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3 프레임(413)이 나머지 프레임(411, 412, 414, 415, 416)보다 크게 표시된 예가 도시되었다. 도 4a의 예에서, 제3 프레임(413)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는, 나머지 프레임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의 2배로 표시되었다. 이와 같이 확장 대상 컨텐츠의 크기를 나머지 컨텐츠보다 2배 크게 표시함으로써, 각 프레임들을 빈틈없이 배치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직사각 영역(41)에서 프레임을 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사각 영역은 3X3 매트릭스(M)를 이루는 9개의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2X2 매트릭스를 이루는 4개의 공간을 묶어 제1 프레임(f1)을 구성하고, 나머지 5개의 공간에 각각 제2 프레임(f2), 제3 프레임(f3), 제4 프레임(f4), 제5 프레임(f5) 및 제6 프레임(f6)을 배치함으로써, 직사각 영역 내에 총 6개의 프레임을 배치하고, 그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나머지 프레임의 가로 및 세로 길이의 2배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페이지의 예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페이지(50)는 복수의 직사각 영역(51-56)을 포함한다. 복수의 직사각 영역(51-56)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페이지(50)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면,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는 페이지(50)의 일부만 표시될 것이며, 사용자는 스크롤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될 페이지(50)의 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각각의 직사각 영역(51-56)은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도 5b의 경우 기설정된 개수는 6개로 도시되었다.
한편 페이지 제공부(112)는 페이지에 직사각 영역을 제공할 뿐 아니라, 배너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배너(57)는 직사각 영역들 사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a의 예에서, 제1 직사각 영역(51)과 제2 직사각 영역(52) 사이에 배너(57)가 표시된 예가 도시되었다. 배너(57)의 표시 위치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배너(57)를 선택하면, 페이지 제공부(112)는 기설정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컨대 특정 태그의 태그 갤러리를 제공하거나, 특정 URL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거나, 특정 이벤트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직사각 영역은 기설정된 위치의 프레임에 기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기설정된 위치의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에만 태그를 할당하여, 할당된 태그의 대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a의 예에서 제2 직사각 영역(52)의 기설정된 위치(좌측 하단)의 프레임(521)에는 기저장된 이미지가 표시되고, 제2 직사각 영역(52)의 나머지 5개 프레임에만 태그가 할당되어 대표 컨텐츠가 표시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프레임의 위치는 관리자에 의해 기설정되어 고정될 수 있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기저장된 이미지로써 프레임(521)에 시계 등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프레임(521)을 선택하면 실시간 급상승 인기 태그의 태그 갤러리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급상승 인기 태그는, 최근 3시간 이내에 사용자들이 컨텐츠에 해당 태그를 지정한 횟수, 해당 태그의 신규 구독자 수, 해당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추천 및 덧글 수를 기초로 선정될 수 있다.
도 5a의 예에서 제4 직사각 영역(54) 역시 기설정된 위치(우측 하단)의 프레임(541)에 기저장된 이미지가 표시되고, 제4 직사각 영역(54)의 나머지 5개 프레임에만 태그가 할당되어 대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페이지 제공부(112)는 기저장된 이미지로써 프레임(541)에 랜덤을 의미하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프레임(541)을 선택하면 랜덤 태그의 태그 갤러리를 제공할 수 있다. 랜덤 태그는,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들이 받은 추천 개수가 합산 100개 이상인 태그 중 랜덤으로 선정될 수 있으며, 100개라는 수치는 예시일 뿐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프레임(521)이 선택되었을 때 제공되는 화면(5211)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예이다.
도 5a의 프레임(521)에 기저장된 시계 등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도 5a의 프레임(521)이 선택되면 실시간 급상승 인기 태그의 갤러리가 제공되도록 기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도 5의 프레임(521)을 선택하면 실시간 급상승 인기 태그의 갤러리가 제공된다. 도 5b의 화면(5211)에는 실시간 급상승 인기 태그가 “크리스마스”여서, “크리스마스”의 태그 갤러리가 표시되었다. 태그 “크리스마스”의 태그 갤러리는, “크리스마스”라는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들을 나열하여 제공한다.
도 6a 내지 도 6f는 직사각 영역 내에 6개의 프레임을 배치하는 방법의 예이다.
상세히, 직사각 영역 내에 6개의 프레임 각각에 태그가 할당되어 직사각 영역 내에 총 6개의 태그가 할당된 경우, 그 중 어느 프레임에 할당된 태그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컨텐츠로 선정되는가에 따라, 각 프레임의 크기와 위치가 어떻게 배치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직사각 영역 내에 6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제1 프레임에 태그 1이, 제2 프레임에 태그 2가, 제3 프레임에 태그 3이, 제4 프레임에 태그 4가, 제5 프레임에 태그 5가, 제6 프레임에 태그 6이 할당된 예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f 각각은, 태그 1 내지 태그 6의 대표 컨텐츠 중 어떤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되는지에 따른 각 프레임의 배치를 도시한다.
먼저 도 6a는 태그 1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각 프레임의 위치 및 배열을 도시한다. 도 6a에서 태그 1이 할당된 제1 프레임은 좌측 상단에 배치되었으며, 나머지 프레임들은 제1 프레임에 인접하여 제1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었다. 도 6a에서 나머지 프레임들은 제1 프레임을 전부 둘러싸지는 않으며, 제1 프레임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다. 프레임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나머지 프레임들이 제1 프레임의 외곽을 전부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6b는 태그 2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각 프레임의 위치 및 배열을 도시한다. 도 6b에서 태그 2가 할당된 제2 프레임은 좌측 상단에 배치되었으며, 나머지 프레임들은 제2 프레임에 인접하여 제2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었다. 한편, 도 6b에서는 태그 2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태그 2가 할당된 제2 프레임이 좌측 상단에 배치되었지만, 제2 프레임은 우측 상단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1 프레임과 제3 프레임이 제2 프레임의 좌측에 배치될 것이다.
다음으로, 도 6c는 태그 3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각 프레임의 위치 및 배열을 도시한다. 도 6c에서 태그 3이 할당된 제3 프레임은 우측 상단에 배치되었으며, 나머지 프레임들은 제3 프레임에 인접하여 제3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었다.
다음으로, 도 6d는 태그 4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각 프레임의 위치 및 배열을 도시한다. 도 6d에서 태그 4가 할당된 제4 프레임은 좌측 하단에 배치되었으며, 나머지 프레임들은 제4 프레임에 인접하여 제4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었다.
다음으로, 도 6e는 태그 5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각 프레임의 위치 및 배열을 도시한다. 도 6e에서 태그 5가 할당된 제5 프레임은 좌측 하단에 배치되었으며, 나머지 프레임들은 제5 프레임에 인접하여 제4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었다. 한편, 도 6e에서는 태그 5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태그 5가 할당된 제5 프레임이 좌측 하단에 배치되었지만, 제5 프레임은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4 프레임과 제6 프레임이 제5 프레임의 좌측에 배치될 것이다.
다음으로, 도 6f는 태그 6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각 프레임의 위치 및 배열을 도시한다. 도 6f에서 태그 6이 할당된 제6 프레임은 우측 하단에 배치되었으며, 나머지 프레임들은 제6 프레임에 인접하여 제4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었다.
도 7a 내지 도 7e는 직사각 영역 내에 6개의 프레임을 배치하는 다른 방법의 예이다.
상세히, 도 7a 내지 도 7f는 직사각 영역에 포함된 6개의 프레임 중 특정 위치의 프레임은 기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나머지 프레임에 태그가 각각 할당되어, 직사각 영역 내에 총 5개의 태그가 할당된 경우, 그 중 어느 태그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컨텐츠로 선정되는가에 따라 각 프레임이 어떻게 배치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직사각 영역 내에 6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제1 프레임에 태그 1이, 제2 프레임에 태그 2가, 제3 프레임에 태그 3이, 제4 프레임에 태그 4가, 제5 프레임에 태그 5가, 제6 프레임에는 실시간 급상승 태그가 할당되어 기저장된 시계 이미지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e 각각은, 태그 1 내지 태그 5의 대표 컨텐츠 중 어떤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되는지에 따른 각 프레임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e의 예에서, 기저장된 시계 이미지가 표시되어 실시간 급상승 태그가 할당되는 제6 프레임은, 나머지 프레임들의 크기 및 위치 변경과 무관하게 그 크기와 위치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크기 및 위치에 고정되어 표시된다.
먼저, 도 7a는 태그 1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각 프레임의 위치 및 배열을 도시한다. 도 7a에서 태그 1이 할당된 제1 프레임은 좌측 상단에 배치되었으며, 나머지 프레임들은 제1 프레임에 인접하여 제1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었다. 실시간 급상승 태그가 할당되어 시계 이미지가 표시된 제6 프레임의 위치 및 크기는 고정되어 표시된다.
도 7b는 태그 2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각 프레임의 위치 및 배열을 도시한다. 도 7b에서 태그 2가 할당된 제2 프레임은 좌측 상단에 배치되었으며, 나머지 프레임들은 제2 프레임에 인접하여 제2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었다.
도 7c는 태그 3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각 프레임의 위치 및 배열을 도시한다. 도 7c에서 태그 3이 할당된 제3 프레임은 우측 상단에 배치되었으며, 나머지 프레임들은 제3 프레임에 인접하여 제3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었다.
도 7d는 태그 4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각 프레임의 위치 및 배열을 도시한다. 도 7d에서 태그 4가 할당된 제4 프레임은 우측 하단에 배치되었으며, 나머지 프레임들은 제4 프레임에 인접하여 제3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었다. 도 6d에 도시된 예와 달리 도 7d에서는 좌측 하단의 특정 위치에 기저장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제4 프레임이 우측 하단에 배치되었다.
도 7e는 태그 5의 대표 컨텐츠가 확장 대상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각 프레임의 위치 및 배열을 도시한다. 도 7e에서 태그 5가 할당된 제5 프레임은 우측 하단에 배치되었으며, 나머지 프레임들은 제5 프레임에 인접하여 제5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 6a 내지 도 7e에 도시된 프레임 배치 방법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a 내지 도 7e에서는 좌측 하단에 기저장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나머지 프레임들 중 어느 프레임이 확장 대상 컨텐츠를 표시하는가에 따라 프레임의 크기 및 배열이 달라지는 예가 도시되었는데, 확장 대상 프레임이 좌측 상단, 우측 상단, 또는 우측 하단에 표시되는 예가 도시되었다. 그러나, 도 7a 및 도 7e에 도시된 것처럼 좌측 하단에 기저장된 이미지가 고정되어 표시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확장 대상 프레임이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에만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네트워크
110: 컨텐츠 제공 장치
111: 컨텐츠 요청 수신부
112: 페이지 제공부
113: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컨텐츠 공유 시스템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복수의 태그를 선정하고, 상기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를 선정하고, 상기 대표 컨텐츠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의 인기도 및 등록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일부 대표 컨텐츠를 확장 대상 컨텐츠로 선정하고,
    상기 페이지는 상기 확장 대상 컨텐츠를 나머지 컨텐츠보다 크게 표시하고, 상기 대표 컨텐츠와 상기 대표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태그를 함께 표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는, 기설정된 개수만큼의 프레임을 직사각 영역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상기 기설정된 개수의 태그를 할당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할당된 태그의 대표 컨텐츠를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표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의 인기도 및 등록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어느 하나의 대표 컨텐츠를 확장 대상 컨텐츠로 선정하고,
    상기 페이지는, 상기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프레임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나머지 프레임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의 2배로 표시하고, 상기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은 상기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는, 복수의 직사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직사각 영역 각각은 상기 기설정된 개수만큼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직사각 영역 내에 포함된 프레임 각각에는 서로 다른 태그의 대표 컨텐츠가 표시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사각 영역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표 컨텐츠의 인기도 및 등록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각각의 직사각 영역마다 하나의 확장 대상 컨텐츠를 선정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는, 기설정된 개수만큼의 프레임을 직사각 영역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 중 기설정된 위치의 프레임에 실시간 급상승 태그의 대표 컨텐츠 또는 상기 실시간 급상승 태그와 관련하여 기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나머지 프레임 각각에 상기 기설정된 개수보다 한 개 적은 개수의 태그 각각의 대표 컨텐츠를 표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설정된 위치의 프레임이 선택되면, 상기 실시간 급상승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를 나열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는, 기설정된 개수만큼의 프레임을 직사각 영역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 중 기설정된 위치의 프레임에 랜덤 태그의 대표 컨텐츠 또는 상기 랜덤 태그와 관련하여 기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나머지 프레임 각각에 상기 기설정된 개수보다 한 개 적은 개수의 태그 각각의 대표 컨텐츠를 표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설정된 위치의 프레임이 선택되면, 상기 랜덤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를 나열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직사각 영역 내에 표시되는 대표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확장 대상 컨텐츠로 선정하고, 상기 페이지는 상기 확장 대상 컨텐츠를 상기 기설정된 위치의 프레임보다 큰 프레임에 표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 영역은, 3X3 매트릭스의 형태로 배열된 9개의 공간 중 2X2 매트릭스를 이루는 4개의 공간을 합하여 구성된 확장 프레임 및 나머지 5개의 공간 각각으로 구성된 5개의 일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는 상기 확장 프레임에 상기 확장 대상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5개의 일반 프레임 각각에 나머지 대표 컨텐츠를 표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는, 기설정된 개수만큼의 프레임을 소정 영역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상기 기설정된 개수의 태그를 할당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할당된 태그의 대표 컨텐츠를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표시하고,
    상기 페이지는 상기 소정 영역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소정 영역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는, 상기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프레임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나머지 프레임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보다 기설정된 배율만큼 크게 표시하고, 상기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은 상기 확장 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5.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컨텐츠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복수의 태그를 선정하고, 상기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를 선정하고, 상기 대표 컨텐츠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페이지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태그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컨텐츠의 인기도 및 등록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일부 대표 컨텐츠를 확장 대상 컨텐츠로 선정하고, 상기 페이지는 상기 확장 대상 컨텐츠를 나머지 컨텐츠보다 크게 표시하고, 상기 대표 컨텐츠와 상기 대표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태그를 함께 표시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16.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12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00522A 2015-02-11 2015-07-15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99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971 2015-02-11
KR20150020971 2015-02-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402A Division KR102017831B1 (ko) 2015-02-11 2017-01-10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948A KR20160098948A (ko) 2016-08-19
KR101699027B1 true KR101699027B1 (ko) 2017-01-23

Family

ID=56874993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523A KR20160098949A (ko) 2015-02-11 2015-07-15 동영상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00525A KR101727700B1 (ko) 2015-02-11 2015-07-15 자료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00521A KR101722675B1 (ko) 2015-02-11 2015-07-15 자료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00522A KR101699027B1 (ko) 2015-02-11 2015-07-15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00857A KR101692500B1 (ko) 2015-02-11 2015-07-16 컨텐츠 공유 서버, 컨텐츠 공유 서버의 컨텐츠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003402A KR102017831B1 (ko) 2015-02-11 2017-01-10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523A KR20160098949A (ko) 2015-02-11 2015-07-15 동영상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00525A KR101727700B1 (ko) 2015-02-11 2015-07-15 자료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00521A KR101722675B1 (ko) 2015-02-11 2015-07-15 자료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857A KR101692500B1 (ko) 2015-02-11 2015-07-16 컨텐츠 공유 서버, 컨텐츠 공유 서버의 컨텐츠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003402A KR102017831B1 (ko) 2015-02-11 2017-01-10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201600989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901B1 (ko) 2017-11-17 2022-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부분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84749B1 (ko) * 2018-01-08 2020-03-04 조현성 반려동물 신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97688B1 (ko) * 2018-06-20 2020-12-31 박준석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KR102194767B1 (ko) * 2018-11-27 2020-12-24 네이버 주식회사 컨텐츠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2160600B1 (ko) * 2019-03-25 2020-09-28 주식회사 핀인사이트 사용자 반응 향상을 위한 해시태그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KR102159017B1 (ko) * 2019-07-19 2020-09-23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66718B1 (ko) * 2020-10-13 2022-11-1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프레젠테이션 문서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에 녹화 영상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67653B1 (ko) * 2021-08-26 2022-02-28 이유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541558B1 (ko) * 2022-03-02 2023-06-13 라이트하우스(주) 문제 풀이 영상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954402B1 (en) * 2022-11-29 2024-04-09 Henk B. Rogers Talk story system and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81B1 (ko) * 2010-05-28 2013-09-06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238A (ko) 2004-12-13 2006-06-16 한재준 문자메시지 전달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28042B1 (ko) * 2007-08-29 2009-11-24 박대령 메타데이터 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장치
KR101453914B1 (ko) * 2008-01-16 2014-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1062655B1 (ko) * 2008-12-18 2011-09-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그를 이용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125426A (ja) 2011-12-15 2013-06-24 Fujifilm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38577A (ko) * 2012-09-11 2014-03-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KR101387914B1 (ko) * 2012-10-16 2014-04-23 주식회사 와이즈넛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과 연동되는 추천 결과 제공 방법
KR20140059591A (ko) * 2012-11-08 2014-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셜 미디어 기반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40081220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34773B1 (ko) 2013-01-08 2014-08-26 한국과학기술원 포토 태그 클라우드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표시장치
KR102115259B1 (ko) * 2013-07-22 2020-06-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개인 매거진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81B1 (ko) * 2010-05-28 2013-09-06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500B1 (ko) 2017-01-03
KR20160098951A (ko) 2016-08-19
KR20160098948A (ko) 2016-08-19
KR20170007849A (ko) 2017-01-20
KR20160098950A (ko) 2016-08-19
KR102017831B1 (ko) 2019-09-03
KR101722675B1 (ko) 2017-04-04
KR20160098949A (ko) 2016-08-19
KR101727700B1 (ko) 2017-04-17
KR20160098947A (ko) 201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027B1 (ko)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RU263216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потоков в социальной сети и сервер
US9589594B2 (en) Generation of layout of videos
US2012019222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ed Video Modification
US20170127102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video recommendation
KR101985714B1 (ko) 유연한 이미지 레이아웃
US97128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180005171A (ko) 정보의 타깃화된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CN104221006A (zh) 包括视频的网页内容的优化
KR101834188B1 (ko) 콘텐츠 정보 공유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JP7066804B2 (ja) コンテンツ共有サービス提供方法、その装置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528585A (ja) ユーザアクションに応答してウィンドウを自動的にサイズ調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50032554A1 (en) Method for Social Retail/Commercial Media Content
JP6594317B2 (ja) ニュースタイムラインおよび薦められるニュースエディションの生成
CN111324836B (zh) 一种页面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927507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placement, retrieval and management based on geolocation and other parameters
US10091277B2 (en) Method, server, client and software for image processing
CN104584014B (zh) 信息显示方法及记录介质
KR20110093554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23006B1 (ko)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8322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reaming media content
JP2019200572A (ja) 通知方法、通知プログラムおよび通知装置
US20120066252A1 (en) Medium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 collection support system
JP6139617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バー、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用のプログラム
US1182259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 itinerary based on multimedia content of inte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