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688B1 -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 Google Patents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688B1
KR102197688B1 KR1020180070971A KR20180070971A KR102197688B1 KR 102197688 B1 KR102197688 B1 KR 102197688B1 KR 1020180070971 A KR1020180070971 A KR 1020180070971A KR 20180070971 A KR20180070971 A KR 20180070971A KR 102197688 B1 KR102197688 B1 KR 102197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velopment
developer
terminal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255A (ko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석 filed Critical 박준석
Priority to KR1020180070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688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는, 아이디어 시제품을 개발하는 개발업체로부터 개발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개발정보 관리부와, 상기 개발업체에 대한 차등화된 크기의 이미지로 표현되는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광고정보 관리부와, 개발의뢰자로부터 상기 개발업체에 대한 개발요청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개발요청정보 관리부와, 상기 개발업체로부터 상기 개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견적정보를 입력받아 제공하는 견적정보 관리부와, 상기 개발업체와 상기 개발의뢰자를 매칭하고, 상기 개발이력정보를 관리하는 매칭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개발업체와 개발의뢰자를 매칭하고 개발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PLATFORM SERVER FOR MAKING A PROTOTYPE OF IDEA}
본 발명은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제품 개발업체와 개발의뢰자를 매칭시켜 제품을 개발하고 그 이력을 관리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지금까지 제품 개발은 연구소, 기업 혹은 개인이 은밀하게 연구, 개발하는 풍토를 보여왔다. 하지만 실제 하나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람들의 협업이 필요로 하며 더 나아가 실제 제품을 구입할 소비자의 요구까지 포함해야지만 제품개발에 성공할 수 있다.
최근 많은 창업자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로 제품개발에 도전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아이디어만으로 제품개발에 시도하여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나 제품 개발경험이 부족하여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창업자들이 쉽게 제품개발업체를 선정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5595호(2012년09월26일 공개)는 네트워크 기반 제품 개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아이디어, 디자인 제안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정보를 전문 심의 위원이 미리 판단, 평가하여 필요한 경우 특허를 출원하는 단계, 이후 일반회원에게 한정된 개수의 아이디어, 디자인을 공개하여 투표 방식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는 아이디어, 디자인을 선택하는 단계, 제품의 개선안 제안 및 SNS를 활용한 정보 전달 효과를 갖는 단계, 제품의 생산전에, 선구매 의사를 밝힌 사용자에게 가격 할인을 해주는 단계를 갖춘 서비스 시스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기술의 경우 제품 개발을 위해 개발업체와 매칭 후 개발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과정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발업체와 개발의뢰자를 매칭하고 개발이력을 관리하는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개발업체의 견적정보를 신뢰성 있게 관리하고, 개발의뢰자로부터 견적정보에 대한 수수료를 부과하여 유효한 견적요청을 유도하는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개발업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관리하여 서비스 개선을 촉진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는, 아이디어 시제품을 개발하는 개발업체로부터 개발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개발정보 관리부와, 상기 개발업체에 대한 차등화된 크기의 이미지로 표현되는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광고정보 관리부와, 개발의뢰자로부터 상기 개발업체에 대한 개발요청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개발요청정보 관리부와, 상기 개발업체로부터 상기 개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견적정보를 입력받아 제공하는 견적정보 관리부와, 상기 개발업체와 상기 개발의뢰자를 매칭하고, 상기 개발이력정보를 관리하는 매칭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견적정보 관리부는, 상기 견적정보에 상기 개발업체의 제1 식별정보와, 상기 개발의뢰자의 제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발업체와 상기 개발의뢰자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며, 상기 개발업체의 상기 평가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정보의 이미지 크기를 가변시키도록 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발업체와 개발의뢰자를 매칭하고 개발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개발업체의 견적정보를 신뢰성 있게 관리하고, 개발의뢰자로부터 견적정보에 대한 수수료를 부과하여 유효한 견적요청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개발업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관리하여 서비스 개선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중 광고정보 관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중 견적정보 관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중 평가부에서 견적업체 단말의 상담활동을 평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시스템은 개발업체 단말(10), 개발의뢰자 단말(20) 및 플랫폼서버(100)를 포함한다. 개발업체 단말(10)은 아이디어 시제품을 개발하는 개발업체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을 의미한다. 개발업체 단말(10)은 플랫폼서버(100)와 통신하여 개발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개발업체 단말(10)은 PC, 키오스크와 같은 고정형 단말이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이 경우, 개발업체 단말(10)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발업체 단말(10)은 GPS모듈, 카메라모듈과 같은 기능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개발업체 단말(10)은 이동통신번호 인증이나 이메일 인증 등을 통해 플랫폼서버(100)에 회원인증을 받을 수도 있다.
개발의뢰자 단말(20)은 아이디어 시제품을 의뢰하는 개발의뢰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을 의미한다. 개발의뢰자 단말(20)은 플랫폼서버(100)와 통신하여 개발요청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개발의뢰자 단말(20) 단말은 PC, 키오스크와 같은 고정형 단말이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이 경우, 개발의뢰자 단말(20)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발의뢰자 단말(20)은 GPS모듈, 카메라모듈과 같은 기능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개발의뢰자 단말(20)은 이동통신번호 인증이나 이메일 인증 등을 통해 플랫폼서버(100)에 회원인증을 받을 수도 있다.
플랫폼서버(100)는 개발업체 단말(10) 및 개발의뢰자 단말(20)을 매칭시키는 중개관리서버이다. 플랫폼서버(100)는 웹페이지 또는 모바일페이지를 제공하여 개발업체 단말(10)로부터는 개발정보를 입력받고, 개발의뢰자 단말(20)로부터는 개발요청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플랫폼서버(100)는 외부의 결제서버나 이동통신서버와 연계되어 각종 인증이나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플랫폼서버(100)는 개발의뢰정보나 견적정보 등 보안이 필요한 정보에 대해 암호화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랫폼서버(100)는 개발업체 단말(10)과 개발의뢰자 단말(20)이 매칭되는 경우 해당 개발이력의 진행상황을 푸쉬알람이나 이메일, 단문메시지와 같은 형태로 개발의뢰자 단말(20)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100)는 개발정보 관리부(110), 광고정보 관리부(120), 개발요청정보 관리부(130), 견적정보 관리부(140) 및 매칭부(150)를 포함한다.
개발정보 관리부(110)는 아이디어 시제품을 개발하는 개발업체로부터 개발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한다. 개발정보 관리부(110)는 개발업체 단말의 계정으로 회원가입을 처리하며, 디자인, 설계, 시제품, 생산업체 등 분야별 개발업체별 개발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개발정보는 해당 개발업체가 개발했던 아이디어 시제품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개발정보에는 설계, 시제품, 양산 과정에 따른 비용 및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발정보 관리부(110)는 개발업체의 사업자등록증, 재무제표, 개발자의 학위증명서, 경력증명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개발정보는 기술분야별, 지역별로 분류되어 관리할 수 있다.
광고정보 관리부(120)는 개발업체에 대한 차등화된 크기의 이미지의 광고정보를 제공한다. 광고정보 관리부(120)는 개발업체를 홍보하기 위한 광고정보를 이미지객체로 생성하여 개발업체의 기간별 광고비에 따라 차등하여 플랫폼서버(100)의 웹페이지 또는 모바일페이지 상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광고정보 관리부(120)는 개발업체에 대한 평가정보에 따라 광고정보의 이미지 크기를 가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광고정보 관리부(120)는 플랫폼서버(100)의 웹페이지 또는 모바일페이지를 광고를 기 설정된 시간별로 업데이트하여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발요청정보 관리부(130)는 개발의뢰자 단말로부터 개발업체에 대한 개발요청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한다. 여기서, 개발요청정보는 개발의뢰자의 요구정의서나 사업계획서와 같은 기획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 경우, 개발요청정보는 시제품에 대한 기간, 비용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발요청정보 관리부(130)는 플랫폼서버(100)의 웹페이지 또는 모바일페이지 상에 개발요청정보를 부분적으로 노출시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개발업체에게 개발요청정보에 대한 제안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개발요청정보 관리부(13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발요청정보의 변경사항을 개발의뢰자별로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견적정보 관리부(140)는 개발업체로부터 개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견적정보를 입력받아 제공한다. 이 경우, 견적정보 관리부(140)는 개발업체의 견적정보를 부분적으로 마스킹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킹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견적정보 관리부(140)는 개발의뢰자에게 마스킹된 견적정보를 제공하고, 개발의뢰자의 계정으로부터 개발요청정보에 따라 소정의 수수료가 지급되면 마스킹된 견적정보를 공개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이는 개발의뢰자가 무분별하게 여러 개발업체 견적정보를 받고 채택하지 않는 것을 줄이기 위함이다.
또한, 견적정보 관리부(140)는 견적정보를 암화화하여 개발의뢰자 계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체적인 개발에 대한 견적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개발의뢰자의 이동통신단말의 인증번호, 이메일계정을 이용한 인증번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견적정보를 크롤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개발의뢰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의 인증번호, 이메일계정을 이용한 인증번호 등을 이용하여 견적정보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견적정보 관리부(140)는 견적정보에 개발업체의 제1 식별이미지와, 개발의뢰자의 제2 식별이미지를 포함하여 인증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1 식별정보 및 제2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얼굴이미지, 지문, 홍채, 목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견적정보가 위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견적정보 관리부(140)는 제1 식별정보와 제2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견적정보를 암호화하여 관리하게 된다. 견적정보 관리부(140)는 견적정보에 변동사항이 발생할 경우 제1 식별정보와 제2 식별정보를 갱신하여 견적정보를 재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견적정보 관리부(140)는 복수의 개발업체로부터 견적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내에만 받아서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적정보 관리부(140)는 개발의뢰자로부터 개발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개발업체에게 요청하여 복수의 견적정보를 수신하여 비교견적서를 제공한다. 이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만 제공된 견적정보만을 이용하여 비교견적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개발의뢰자의 개발요청정보에 신속하게 비교견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견적업체가 견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간은 6시간, 1일, 2일 등으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발업체가 개발요청정보를 수신하면 신속하게 견적정보를 생성하도록 유도하여 개발의뢰가 신속하게 비교견적서를 확인할 수 있다.
매칭부(150)는 개발업체와 개발의뢰자를 매칭하고, 개발정보의 진행상황인 개발이력정보를 관리한다. 매칭부(150)는 개발업체로부터 견적정보를 제공받은 개발의뢰자로부터 매칭 수락이 있는 경우 해당 개발업체와의 전자계약을 진행한다. 이 경우, 전자계약에는 구체적인 계약에 대한 내용을 플랫폼서버(100)와의 인증을 통해 양 측이 서로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계약서에 개발업체와 개발의뢰자가 각각 전자서명을 한 후, 플랫폼서버(100)의 전자서명이 완료되면 계약이 완료된다. 매칭부(150)는 개발정보의 이력을 개발업체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푸쉬알림이나 이메일로 개발의뢰자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발의뢰자는 개발정보의 이력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매칭부(150)는 개발업체의 개발이력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업데이트하고, 개발이력정보의 진행률에 따라 개발비용을 분할하여 이체할 수 있다. 매칭부(150)는 일종의 에스크로 결제와 같은 방식으로 개발이력정보의 진행률에 따라 개발비용을 지급함에 따라 비용정산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매칭부(150)는 외부의 결제서버와 연동되어 신용카드, 계좌이체, 페이팔과 같은 방식으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매칭부(150)는 개발업체로부터 입력되는 개발이력정보가 허위로 작성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문서 형태의 개발이력정보를 인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발업체에서 개발이력정보를 생성시 연관된 개발의뢰자로부터 문자, SNS. 이메일로 인증정보를 전송하여 승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개발업체서는 개발이력정보를 입력시 개발의뢰자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구되며, 입력된 개발의뢰자의 문자, SNS,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로 개발이력정보의 인증요청이 전송된다. 이 경우, 개발의뢰자가 개발이력정보를 인증하면 인증된 개발이력정보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개발업체가 허위 개발이력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평가부(160)는 개발업체 단말과 개발의뢰자 단말로부터 상대방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개발업체나 개발의뢰자에 대한 평가정보는 수치화하여 제공하거나, 리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가부(160)는 평가점수가 높은 개발업체 또는 개발의뢰자를 플랫폼서버(100)의 홈페이지에게 랭킹화하여 노출시킬 수 있다. 평가부(160)는 개발업체 단말과 개발의뢰자 단말로 평가정보에 따른 포인트나 쿠폰과 같은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평가부(160)는 광고관리부를 통해 평가점수에 따라 플랫폼서버(100)의 홈페이지에서 노출되는 광고창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평가정보를 획득하는 개발업체는 플랫폼서버(100)의 홈페이지 상에서 상위에 노출되며, 광고배너의 크기도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광고정보가 평가정보에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최적의 개발업체를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평가부(160)는 개발업체 단말과 개발의뢰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대면 상담이 이뤄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발업체와 개발의뢰자가 대면하여 상담하는 경우, 개발업체 단말은 개발의뢰자 단말에 표시되는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플랫폼 서버로 전송한다. 평가부(160)는 개발업체 단말과 개발의뢰자 단말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경우 상담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평가부(160)는 개발업체 단말로부터 식별코드를 수신한 시간부터 위치정보상 이격되어 상담이 종료된 경우까지의 시간을 계산한다. 평가부(160)는 개발업체 단말과 개발의뢰자 단말 간의 상담 횟수, 시간을 이용하여 개발업체의 평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160)는 개발업체 단말로부터 위치정보 및 개발업체 담당자의 사진정보, 음성정보,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를 획득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실제로 개발업체가 상담소에서 미팅을 하였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담소는 개발의뢰자의 장소 또는 제3의 장소로 설정될 수 있다. 평가부(160)는 개발업체 단말로부터 위치정보, 생체정보 외에 상담소에 형성된 식별코드, 초음파정보, 광통신정보 중 어느 하나의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추가 인증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개발업체 단말은 상담소에 설치된 단말의 디스플레이에서 주기적으로 가변되는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인증할 수 있다. 또한, 개발업체 단말은 상담소에 설치된 스피커로부터 주기적으로 가변되는 초음파정보를 인식하여 인증할 수 있다. 또한, 개발업체 단말은 상담소에 설치된 LED 조명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점멸되는 광통신정보를 인식하여 인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발업체가 개발의뢰자를 계약한 횟수만큼 미팅하였는지 여부를 반영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중 광고정보 관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발의뢰자 단말(20)에서 표시되는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의 모바일페이지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바일페이지를 예시로 들었으나, 웹페이지를 통해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예를 들어, 주간, 월간, 연간 광고비에 따라 모바일페이지에서 표시되는 광고정보(300)의 이미지 크기가 가변된다. 또한, 광고정보(300)는 평가정보에 따라 그 순서가 바뀌거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제1 시점의 평가정보에 의해 광고정보(300)가 배열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A 테크"가 가장 큰 크기의 광고정보(300)로 표시된다. (b)는 제2 시점의 평가정보에 의해 광고정보(300)가 배열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C 테크"가 가장 큰 크기의 광고정보(300)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광고정보(300)는 기 설정된 시간주기에 따라 재배열된다. 이에 따라, 개발의뢰자는 가장 최신의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광고정보(300)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중 견적정보 관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견적정보 관리부는 개발의뢰자 단말로 잠금페이지(400)를 제공한다. 이 경우, 잠금페이지(400)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개발의뢰자 단말에서 다운로드받아 사용할 수 있다. 잠금페이지(400)에는 견적정보(401)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견적정보(401)는 일부 정보가 마스킹처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잠금페이지(400)에는 식별이미지를 기 설정된 경로 상으로 이동시키는 터치정보(402)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개발의뢰자는 잠금페이지(400)에 자신의 개발요청정보에 기초하여 추천된 개발업체의 견적정보(401)가 제공된다. 개발의뢰자는 터치정보(402)를 생성함으로서 견적정보(401)를 전체공개로 확인하거나, 해당 견적정보(401)를 패스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견적정보(401)를 전체공개로 보는 것으로 선택시 개발의뢰자 단말의 포인트로부터 기 설정된 견적비용이 차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중 평가부에서 견적업체 단말의 상담활동을 평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평가부는 상담소에 설치된 상담소 단말(30)로부터 식별코드(500), 초음파정보(501), 광통신정보(50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획득하여 인증할 수 있다. 개발업체 단말(10)은 상담소 단말(30)로부터 출력되는 식별코드(500)를 인식하여 인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은 개발업체가 개발의뢰자를 직접 대면하여 상담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개발업체 단말(10)은 상담소 단말(30)로부터 획득한 식별코드(500), 초음파정보(501), 광통신정보(50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로 제공한다. 이 경우, 상담소 단말(30)에서 출력되는 식별코드(500), 초음파정보(501), 광통신정보(502)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개발업체는 자신이 상담소에 방문하여 개발의뢰자와 상담을 하였다는 것을 인증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개발업체 단말
20 : 개발의뢰자 단말
100 :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110 : 개발정보 관리부
120 : 광고정보 관리부
130 : 개발요청정보 관리부
140 : 견적정보 관리부
150 : 매칭부
160 : 평가부
300 : 광고정보
400 : 잠금페이지
401 : 견적정보
402 : 터치정보
500 : 식별코드
501 : 초음파정보
502 : 광통신정보

Claims (3)

  1. 아이디어 시제품을 개발하는 개발업체로부터 개발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개발정보 관리부;
    상기 개발업체에 대한 차등화된 크기의 이미지로 표현되는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광고정보 관리부;
    개발의뢰자로부터 상기 개발업체에 대한 개발요청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개발요청정보 관리부;
    상기 개발업체로부터 상기 개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견적정보를 입력받아 제공하되, 상기 견적정보에 상기 개발업체의 제1 식별정보와, 상기 개발의뢰자의 제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견적정보 관리부;
    상기 개발업체와 상기 개발의뢰자를 매칭하고, 상기 개발업체에서 개발이력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개발의뢰자의 SNS 또는 이메일로 상기 개발이력정보에 대한 인증정보를 전송하여 인증되면 인증된 상기 개발이력정보로 표시하는 매칭부; 및
    상기 개발업체의 단말과 상기 개발의뢰자의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대면 상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개발업체 단말이 상기 개발의뢰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식별코드를 전송하면, 상기 식별코드를 수신한 시간부터 상기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담이 종료되기 까지의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상담의 횟수,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개발업체의 평가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개발업체 단말로부터 담당자의 음성정보 또는 지문정보의 생체정보를 획득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개발업체 단말로부터 상담소에 설치된 스피커로부터 주기적으로 가변되는 초음파정보를 인식하여 인증하도록 하고, 상기 개발업체와 상기 개발의뢰자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며, 상기 개발업체의 상기 평가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정보의 이미지 크기를 가변시키도록 하는 평가부를 포함하는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2. 삭제
  3. 삭제
KR1020180070971A 2018-06-20 2018-06-20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KR102197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971A KR102197688B1 (ko) 2018-06-20 2018-06-20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971A KR102197688B1 (ko) 2018-06-20 2018-06-20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255A KR20190143255A (ko) 2019-12-30
KR102197688B1 true KR102197688B1 (ko) 2020-12-31

Family

ID=6910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971A KR102197688B1 (ko) 2018-06-20 2018-06-20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861B1 (ko) * 2020-06-15 2022-08-23 주하영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제품 거래 방법 및 장치
KR102169328B1 (ko) 2020-07-07 2020-10-26 (주)부품디비 공장없는 제조를 위한 개방형 제조 서비스 시스템
KR102249008B1 (ko) * 2020-11-26 2021-05-07 박한빈 패션코디네이터 매칭 플랫폼 서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512B1 (ko) * 2016-08-08 2017-06-28 주식회사 포인블랙 단말기, 단말기의 위치 판단 방법 및 단말기의 위치 판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781A (ko) * 2000-06-23 2000-09-05 박창영 거래자 정보 및 가격 정보를 암호화한 기업간 상거래 방법및 시스템
KR20120138494A (ko) * 2011-06-15 2012-12-26 인크루트 주식회사 소셜인증을 이용한 이력서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40034572A (ko) * 2012-09-12 2014-03-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태정보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60017270A (ko) * 2014-08-01 2016-02-16 (주)포앰 시제품 제작 지원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1699027B1 (ko) * 2015-02-11 2017-01-23 네이버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512B1 (ko) * 2016-08-08 2017-06-28 주식회사 포인블랙 단말기, 단말기의 위치 판단 방법 및 단말기의 위치 판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255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896B2 (en) Authentication methods for use in financial transactions and information banking
US201901884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centralizing Consumer Preferences, Consent and Permissions Management with Reward and Reputation Network for Enterprises Using a Blockchain Ledger
US201900660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Identity Transmission with Integrated Service Network and Application Ecosystem
CA2624981C (en) Three-dimensional transaction authentication
US201100355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ive message tagging
CA29807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ing cryptographically secure transactions using voice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WO20151001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ation check-in and payment using beacons
US20160234187A1 (en) Independent administering of verified user-controlled electronic identifications utilizing specifically programme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computer systems
US11122049B2 (en) Attribute database system and method
KR102197688B1 (ko)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US202103504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credit
CA3114026A1 (en)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acquiring and verifying online information
KR102444901B1 (ko) 개인 영역 네트워크
US104552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ance based video advertisement reward system with instant dynamic price generation for digital media propagation
KR102197203B1 (ko) 아이디어 시제품 개발 및 펀딩 플랫폼서버
KR102178933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KR102269993B1 (ko) 기술거래형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서버
US2021039817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price negotiation
Krauß et al. A more User-Friendly Digital Wallet? User Scenarios of a Future Wallet
US202202400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secured communications and transactions between devices
WO2022087033A1 (en) Federated currency payment exchan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