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693B1 - 손잡이가 달린 드레인핀을 구비하는 오일필터모듈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달린 드레인핀을 구비하는 오일필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693B1
KR101698693B1 KR1020150185601A KR20150185601A KR101698693B1 KR 101698693 B1 KR101698693 B1 KR 101698693B1 KR 1020150185601 A KR1020150185601 A KR 1020150185601A KR 20150185601 A KR20150185601 A KR 20150185601A KR 101698693 B1 KR101698693 B1 KR 101698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andle
drain pin
pin
nip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호
Original Assignee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15018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693B1/ko
Priority to CN201680073784.8A priority patent/CN108697953B/zh
Priority to PCT/EP2016/080668 priority patent/WO2017108483A1/en
Priority to JP2018552120A priority patent/JP6626220B2/ja
Priority to CN202010393623.5A priority patent/CN111467868B/zh
Priority to US16/065,667 priority patent/US1062518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693B1/ko
Priority to US16/811,443 priority patent/US1088199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58Lubricant filling and dra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01D2201/291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15Bayonet conn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01M2011/031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오일필터모듈은, 오일을 배출하기 위해 하부에 원통형의 드레인니플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필터, 및 상기 드레인니플에 삽입되는 드레인핀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핀은, 몸체; 적어도 상기 드레인니플의 벽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손잡이; 및 상기 드레인핀이 상기 드레인니플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로부터 오일이 새지 않도록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잡이가 달린 드레인핀을 구비하는 오일필터모듈{Oil filter assembly having a drain pin with a grip}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오일을 여과하기 위한 오일필터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엔진오일 배출을 위한 드레인핀이 필터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오일필터모듈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엔진의 구동 시에 오일이 엔진 내의 각 마찰부분에 공급되어 마찰부위의 원활한 윤활 및 냉각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일은 엔진의 운전시간에 비례하여 금속입자, 카본입자, 오일 산화 시 발생되는 산화물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다. 이렇게 오일이 오염된 상태로 엔진의 운전이 계속되면 크랭크축이나 실린더 등의 마찰 회전부위가 점차 마모되고 상처를 입게 되며 더 악화되면 그 부위가 소착되어 안전사고의 위험까지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엔진의 수명 및 성능과도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것이므로, 엔진의 오일 순환계 상에는 반드시 오일필터모듈을 설치하여 오일이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한편,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는 사용한 엔진오일을 배출시키고 새로운 오일을 채워야하는데, 종래의 오일필터모듈의 경우 엔진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방식으로, 하부에 나사결합된 드레인볼트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의 오일필터모듈에서와 같이 엔진오일 배출을 위한 드레인볼트가 드레인공에 나사결합 구조로 체결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볼트를 탈거하는 도중에도 내부의 오일이 흘러내리므로 드레인볼트나 작업공구 및 작업자의 손에 엔진오일이 묻어 오염될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작업장에 오일이 튀면서 주변을 오염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나사결합방식의 드레인볼트가 아닌 드레인핀을 오일필터모듈의 하부에 삽입하여, 이 드레인핀을 뽑아낼 때 드레인핀이나 공구, 그리고 작업자의 손이 엔진오일에 의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일필터모듈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오일을 배출하기 위해 하부에 원통형의 드레인니플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필터, 및 드레인니플에 삽입되는 드레인핀을 포함한다. 드레인핀은 몸체, 손잡이, 및 밀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드레인니플에 드레인핀을 삽입했을 때 적어도 드레인니플의 벽의 외부로 돌출된다. 드레인핀이 드레인니플에 삽입되면 밀봉부재가 내부에 있는 오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기능하고,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드레인핀을 뽑아낼 때 상기 손잡이를 잡고 뽑아낼 수 있다. 손잡이는 삽입된 상태에서 드레인니플의 외부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드레인핀을 잡고 뽑아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손잡이는 드레인니플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드레인니플의 벽의 원통형 벽의 하향 연장선보다 측방향으로 바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드레인핀을 탈거시키는동안 오일이 흘러내리는 경로로부터 자신의 손을 이격시킬 수 있고 따라서 오일에 의한 오염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드레인핀은 손잡이와 몸체가 연결되는 부분에 손잡이가 부러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리브와 같은 보강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플레이트 형상이거나 고리 형상일 수 있으며, 손잡이의 형상은 작업자의 작업 편의를 위한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한 것이므로, 위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필터는 하단지지판을 구비하고, 드레인핀은 상기 드레인니플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필터의 하단지지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핀을 필터에 결합하는 수단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핀이 주행 중 예기치 못하게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어떠한 구성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일필터모듈은 오일을 배출하기 위해 하부에 원통형의 드레인니플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필터, 상기 드레인니플에 삽입되는 드레인핀, 및 드레인핀을 드레인니플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고, 드레인핀은 몸체, 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드레인핀이 드레인니플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으로부터 오일이 새지 않도록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한다.
손잡이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 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고정부는 상기 드레인니플의 벽에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드레인핀의 손잡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한다. 가이드 블록의 경계가 되는 가이드 슬롯은 플레이트 형상의 손잡이를 상향으로 삽입시킬 때와 상기 가이드 블록에 삽입공을 끼워넣으며 드레인핀을 회전시킬 때 드레인핀의 가이드 역할을 한다. 가이드 블록은 드레인니플의 벽의 일부이며, 가이드 슬롯을 경계로 하여 하나의 치아가 누워있는 형상처럼 한쪽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삽입공은 손잡이가 몸체와 만나는 경계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블록과 결합 가능하도록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상기 구성상 특징을 포함해야 하므로, 드레인니플의 벽의 원통형 벽의 하향 연장선보다 측방향으로 바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드레인핀을 탈거시키는동안 오일이 흘러내리는 경로로부터 자신의 손을 이격시킬 수 있고 따라서 오일에 의한 오염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은 끼워진 드레인핀의 역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턱부는 계단 형태일 수도 있고, 역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역방향 이동이 되지 않도록 드레인핀이 회전결합된 위치에서 결합해제 가능한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형태일 수도 있다. 만약 경사진 단턱부를 구비하게 되면, 드레인핀이 중력에 의해 하향으로 당겨질 것이므로, 예상되지 않은 드레인핀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 블록은 절개부와 텐션부, 그리고 단턱부를 포함하고, 절개부는 단턱부와 상기 텐션부 사이에 형성된다. 즉, 드레인니플을 측면에서 봤을 때, 가이드 블록이 돌출된 일단에서 약간 아래 부분에 절개부가 가이드 블록의 뿌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절개부의 아래 부분은 자연스럽게 절개부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텐션부로 정의된다.
한편, 상기 단턱부가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블록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의 폭이 불균일해지는데, 절개부가 없이 단턱부만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손잡이에 형성되는 삽입공의 상하방향 폭은 가이드 블록의 단부 측의 상하방향 폭보다 큰 경우에만 고정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으로는 드레인니플과 드레인핀을 결합한 후에 삽입공과 가이드 블록 사이에 유격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그 유격을 보상하기 위해서 절개부가 필요한 것이다. 즉, 절개부를 만들면 삽입공의 폭이 가이드 블록 단부 측의 폭(단턱부 상단에서부터 텐션부 하단까지의 폭)이 작더라도 손잡이의 삽입공으로 텐션부에 힘을 주어 탄성변형시키면 가이드 블록 단부의 폭이 삽입공의 폭보다 작아지면서 드레인핀을 완전하게 삽입시킬 수 있고, 삽입 후에도 두 부재 간 유격이 줄어들어 더욱 견고한 결합을 완성할 수 있다.
삽입공과 가이드 블록의 더 용이한 결합을 위해, 가이드 블록은 가이드 슬롯의 입구측에서부터 드레인핀이 회전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의 폭이 점점 커지도록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오일필터모듈은 제 2 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고정부는, 필터에 포함되는 하단지지판에 형성되는 로테이션 홈 및 드레인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션 홈에 결합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블록의 가로방향 길이는 로테이션 홈의 입구 폭보다 크고, 고정 블록의 세로방향 길이는 로테이션 홈의 입구 폭보다 작아서, 드레인핀을 드레인니플에 윗방향으로 삽입하면 고정 블록이 로테이션 홈에 들어가고, 삽입공이 가이드 블록에 끼워지도록 드레인핀을 약 90도 정도 회전시키면 고정 블록이 로테이션 홈에 걸려서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드레인핀을 탈거시킬 때, 삽입 상태에 있던 드레인핀의 손잡이를 잡고 90도 회전시킨 후 한번에 빼냄으로써 오일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손을 보호할 수 있다.
드레인핀은 손잡이와 몸체가 연결되는 부분에 손잡이가 부러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리브를 포함할 수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모듈에 의하면, 드레인핀 탈거가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엔진오일 배출을 위한 작업속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엔진오일이 드레인핀이나 작업공구에 묻는 현상이 방지되고, 특히, 손잡이가 적어도 드레인니플의 벽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므로 작업자가 드레인핀을 탈거시 손에 오일을 묻히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모듈에 의하면, 엔진오일 배출을 위한 드레인핀이 필터에 결합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드레인핀이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모듈에 의하면, 두 개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더욱 견고한 결합을 달성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드레인핀이 탈거되는 현상이 더욱 발생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오일필터모듈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오일필터모듈에 포함되는 하우징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드레인핀이 로테이션 홈에 결합된 형상의 일 예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6은 도 3 드레인핀이 로테이션 홈에 삽입된 상태 및 삽입 후 회전하여 결합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필터, 하우징의 일부, 드레인핀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고정 블록이 로테이션 홈에 안착되는 위치를 도시하는 수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오일필터모듈 하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라 드레인핀이 드레인니플과 삽입방향으로 일직선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따라 드레인핀이 드레인니플에 삽입된 후부터 회전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드레인핀이 드레인니플에 회전 결합이 완료된 형상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일필터모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로서, 오일필터모듈은 오일을 배출하기 위해 하부에 원통형의 드레인니플(310a)을 갖는 하우징(600), 상기 하우징(600) 내에 수용되는 필터(200), 및 상기 드레인니플(310a)에 삽입되는 드레인핀(400a)을 포함하고, 드레인핀(400a)은 몸체, 삽입했을 때 적어도 드레인니플(310a)의 벽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손잡이(430a) 및 드레인핀(400a)이 드레인니플(310a)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600)으로부터 오일이 새지 않도록 밀봉하는 밀봉부재(412)를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라, 하우징(600)은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나사결합되는 캡(300)으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홀(312)은 캡(3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바, 케이스(100) 및 캡(300)에 엔진오일이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드레인핀(400a)이 탈거됨으로써 드레인홀(312)이 개방되면, 상기 케이스(100) 및 캡(300) 내부에 채워져 있던 엔진오일은 드레인홀(3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반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핀(400a)이 드레인니플(310a)에 삽입 장착되어 드레인홀(312)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케이스(100) 및 캡(300) 내부로 유입된 엔진오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필터(200)를 거침으로써 여과된 후 엔진으로 재공급된다. 케이스(100) 및 캡(300) 내부로 유입된 엔진오일이 필터(200)를 거친 후 엔진으로 재공급되는 엔진오일의 유동경로는 종래의 오일필터모듈과 동일하므로, 상기 엔진오일이 여과되는 원리 및 유동경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때, 드레인홀(312)이 형성된 부위가 얇게 제작되면 드레인홀(312)을 막도록 드레인핀(400a)이 체결되었을 때 상기 드레인핀(400a)이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빠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600)의 바닥면 중 드레인홀(312)이 형성된 부위는 드레인핀(400a)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의 드레인니플(310a)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오일필터모듈은 오일의 배출 유로를 개폐시키는 드레인볼트가 나사결합 구조로 캡에 결합되는데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오일필터모듈은 드레인홀(312)의 개폐시키는 드레인핀(400a)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드레인니플(310a)에 결합되는바, 드레인홀(312)의 밀폐력이 다소 낮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핀(400a)의 외측면에는 오링 형상의 밀봉부재(4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드레인홀(312)이 형성된 지점의 두께가 얇으면 드레인핀(400a)의 삽입거리에 따라 밀봉부재(412)가 드레인홀(312)의 내주면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상기 드레인홀(312)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개방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드레인홀(312)이 드레인니플(310a)에 형성되면 드레인핀(400a)과 드레인니플(310a) 간의 접촉거리가 길어지므로, 상기 드레인핀(400a)의 삽입거리가 다소 변경되더라도 상기 밀봉부재(412)는 드레인홀(312)의 내주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드레인홀(312)의 밀폐 신뢰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200)는, 측벽에 다수 개의 개구부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여과지(220)와, 상기 여과지(220)의 상단을 덮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10)에 결합되는 상단지지판(230)과, 상기 여과지(220)의 하단을 덮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10)에 결합되는 하단지지판(2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여과지(220)의 수명이 다하여 오일 투과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할 때 상기 케이스(100) 내측으로 공급된 엔진오일이 지지프레임(210)의 내부 유로를 통해 케이스(100) 외부로 바이패스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210)의 내부 유로의 하단에는 바이패스밸브(500)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케이스(100)와 지지프레임(210), 여과지(220), 상단지지판(230), 바이패스밸브(500)는 종래의 오일필터모듈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하우징(600)에 포함되는 요소인 캡(300)의 저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드레인핀(400a)의 사시도이다. 캡(300)은 드레인니플(310a)을 포함하고, 드레인니플(310a)은 마킹홈(314)을 구비한다. 드레인핀(400a)은 몸체(410)를 중심으로 상단에는 결합 블록(420), 하단에는 손잡이(430a), 그리고 몸체에 결합되는 밀봉부재(412)를 포함한다. 손잡이(430a)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되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드레인핀(400a)이 드레인니플(310a)에 결합되었을 때에도 작업자가 드레인핀을 잡기 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플레이트 형상의 손잡이(430a)는 몸체(410) 하단의 원형 바닥에 연결되는데, 손잡이(430a)가 상기 원형 바닥의 중심을 지나도록 구성되고, 플레이트 형상의 네 군데 꼭지점 부분은 각이 지거나 둥근 형상의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꼭지점은 각진 형상으로 되어 있고, 몸체에 연결된 부분 중 하단 부분은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3에서 손잡이(430a)는 수평 방향(몸체(41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작업자가 손잡이를 쉽게 파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는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는 손잡이(430a)의 높이도 마찬가지이지만, 드레인핀(400a)을 완전히 삽입하였을 때 상기 하우징(600) 또는 캡(300)의 바닥부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서는 안 된다.
손잡이는 작업자가 파지하기 좋게 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얼마든지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의 형상이 기본적으로는 플레이트 형상이되,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손잡이의 양 면에서 바라볼 때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면, 작업자가 더욱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느 한 면만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예를 들어, 손잡이의 면이 거칠게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에 땀이나 액체가 묻어있더라도 드레인핀을 충분히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마찰력을 가지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손잡이의 한쪽 끝단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430a)가 연장되는 수평방향으로 약간 돌출되어 대체로 둥글게 형성된다. 이 형상은 드레인핀(400a)을 위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꼭지점이 둥근 삼각형에 가깝다. 이는 작업자가 손잡이를 파지할 때나 다룰 때 손잡이의 모서리에 의해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하는데 유용하다. 손잡이(430a)의 상기 한쪽 끝단과 마찬가지로, 플레이트 형상의 양면을 연결하는 모든 면이 둥글거나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430a)를 더욱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 도 5 또는 도 6을 보면, 상기 원형 바닥과 손잡이(430a)가 연결되는 부분은 원형 바닥의 원점을 포함하여 하나의 지름을 지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430a)가 작업자로부터 회전력을 받을 때 부러지지 않도록 리브(460a)가 형성되는데, 이 리브는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 바닥과 손잡이(430a)에 상기 직각삼각형 형태의 직각인 두 변이 각각 연결되어 손잡이(430a)가 지나는 지름에 수직인 지름을 덮도록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이며, 또 하나의 예를 들면 손잡이 자체가 원형바닥의 원주로부터 연장되는 대체로 원뿔 형태인 부분과 그 원뿔 형태의 일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형성되면 별도의 리브 없이도 손잡이를 보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손잡이(430a)의 형태는 예시에 불과하며, 작업자의 편의 증대를 위해 다른 형태로의 변형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드레인핀(400a)을 드레인니플(310a)에 삽입시킬 때에는 드레인핀(400a)의 상단이 하단지지판(24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드레인핀(400a)을 상승시킬 수 있고, 차량의 운행 중에는 드레인핀(400a)이 드레인니플(310a)로부터 쉽게 탈거되지 아니하도록 즉, 드레인핀(400a)이 아래로 빠지지 아니하도록 드레인니플(310a)의 상단이 하단지지판(240)에 걸리는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드레인핀(400a)은, 상기 드레인니플(31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 회전 되었는지에 따라 상단이 하단지지판(240)에 걸리거나 또는 걸리지 아니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 수단으로서, 고정 블록(42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200)의 하단지지판(240)에 형성된 로테이션 홈(242)에 드레인핀(400a)을 고정하여 자동차의 주행 중에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고정 블록(420)과 관련하여, 작업자가 드레인핀(400a)을 결합할 때 하단지지판(240)의 로테이션홈(242)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드레인핀(400a)의 삽입 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마킹홈(314)에 의해 달성된다. 드레인니플(310a)의 하단에 마킹홈(314)이 구비되어 있으면, 작업자가 마킹홈(314)의 위치를 기준으로 손잡이(430a) 또는 고정 블록(420)의 위치를 맞추어 삽입할 수 있고, 마킹홈(314)을 기준으로 약 90도 정도 회전시켜 드레인핀(400a)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하단지지판(240)의 저면에는 케이스(100)의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갖는 링 형상의 로테이션홈(242)이 형성되되, 상기 로테이션홈(242)은 바닥면보다 입구가 좁은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로테이션홈(242)의 외벽에는 엔진오일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관통홀(2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블록(420)의 가로방향 길이는 상기 로테이션홈(242)의 입구 폭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고정 블록(420)의 세로방향 길이는 상기 로테이션홈(242)의 입구 폭보다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고정 블록(420)의 가로방향이 로테이션홈(242)의 직경방향을 향하는 경우(도 6 및 도 8 참조)에는 고정 블록(420)이 로테이션홈(242)으로부터 빠지지 아니하고 상기 로테이션홈(24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고정 블록(420)의 가로방향이 로테이션홈(242)의 접선방향을 향하는 경우(도 5 참조)에는 고정 블록(420)이 로테이션홈(242)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로테이션홈(242)이 원형이 아닌 하나의 오목한 홈 형태로 제작되면 필터(200)가 놓이는 위치에 따라 상기 오목한 홈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필터(200)가 놓이는 위치를 지정해야만 하거나 캡(300)이 케이스(100)에 나사결합되었을 때 드레인니플(310a)과 상기 오목한 홈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하는 수단을 따로 구비하여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드레인핀(400a)을 캡(300)의 회전축 상에 장착시키면 로테이션홈(242)을 하나의 오목한 홈 형태로 제작하더라도 위와 같은 문제가 없지만, 이와 같은 경우 드레인핀(400a)과 바이패스밸브(500)의 간섭이 발생되는바 상기 캡(300)을 상하방향으로 매우 길게 제작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제 1 실시예에 의한 오일필터모듈은 드레인핀(400a)이 캡(300)의 회전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장착되더라도 상기 로테이션홈(242)이 캡(300)의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갖는 링 형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로테이션홈(242)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면, 필터(200)가 놓이는 위치를 사전에 결정하여 드레인니플(310a)과 상기 오목한 홈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하는 수단을 따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캡(300)의 나사결합이 완료되는 어느 지점에서든 드레인핀(400a)을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고정 블록(420)의 가로방향이 항상 로테이션홈(242)의 직경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블록(420)의 가로방향 일측단(422)은 상기 로테이션홈(242)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되,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블록(420)의 가로방향 일측단(422)이 로테이션홈(242)의 내측 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블록(420)에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고정 블록(420)은 자전하지 아니하는바, 드레인핀의 의도되지 않은 이탈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 블록(420)의 가로방향 일측단(422) 전체가 로테이션홈(242)의 내측 벽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블록(420)의 가로방향 일측단(422)은 상기 로테이션홈(242)의 내측 벽면 곡률에 맞춰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블록(420)의 가로방향 일측단(422)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고정 블록(420)이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전혀 회전되지 아니하는바, 고정 블록(420)과 로테이션홈(242) 간의 결합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블록(420)이 금속 등과 같이 탄성이 거의 없는 재료로 제작되면 드레인핀(400a)을 탈거하기 위해 상기 드레인핀(400a)을 자전시킬 때 상기 고정 블록(420)의 모서리 부위가 로테이션홈(242)의 내측 벽면에 걸려 상기 드레인핀(400a)이 자전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블록(420)은 엔진의 진동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서는 자전되지 아니하지만 작업자의 조작력이 인가될 때에는 모서리 부위가 로테이션홈(242)의 내측 벽면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합성수지 등과 같이 기준치 이상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도 7은 필터(200), 캡(300), 드레인핀(400a)의 분해도로서, 드레인핀(400a)을 상기 필터(200)에 결합되었을 때의 방향으로 분해하여 놓은 것이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작업자는 마킹홈(314)의 위치를 보고, 손잡이(430a) 방향을 마킹홈(314)과 일치시켜 삽입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삽입 후, 작업자가 손잡이(430a)를 잡고 상향으로 끝까지 밀어올려 약 90도 회전시키면 고정 블록(420)이 로테이션 홈(242)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드레인니플(310a)에 마킹홈(314)이 형성되면, 작업자는 손잡이(430a)의 방향과 마킹홈(314)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드레인핀(400a)을 정확한 각도만큼만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바, 드레인핀(400a)의 탈착 및 엔진오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오일필터모듈은 오일을 배출하기 위해 하부에 원통형의 드레인니플(310b)을 갖는 하우징(600), 상기 하우징(600) 내에 수용되는 필터(200), 상기 드레인니플(310b)에 삽입되는 드레인핀(400b), 및 상기 드레인핀(400b)을 상기 드레인니플(310b)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고, 드레인핀(400b)은 몸체와 상기 몸체(410)에 형성되는 손잡이(430b) 및 드레인핀(400b)이 드레인니플(310b)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으로부터 오일이 새지 않도록 밀봉하는 밀봉부재(412)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손잡이(430b)와 드레인니플(310b)의 결합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이는 여기에서 제 1 고정부로 정의된다. 동시에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던 고정부를 포함하여 도시하는데, 이는 제 2 고정부로 정의된다. 제 2 고정부는 필터(200)에 포함되는 하단지지판(240)에 형성되는 로테이션 홈(242) 및 드레인핀(400b)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 블록(420)을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드레인핀(400b)의 고정을 두 위치에서 행함으로써 드레인핀(400b)의 의도되지 않은 이탈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두 위치에서의 고정은 로테이션홈(242)과 고정 블록(420) 및 가이드 블록(450)과 삽입공(440)에서의 결합을 뜻한다. 다만, 상기 제 2 고정부의 고정 방식은 반드시 로테이션 홈(242)과 고정 블록(420)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고정부와 함께 드레인핀(400b)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대체 가능하다. 제 2 고정부에 대해 도시된 구성, 즉 드레인핀(400b)이 필터(200)의 하단지지판(240)과 결합되는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아래에서 일부 보충하여 설명한다.
제 1 고정부는 상기 드레인니플의 벽에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450) 및 상기 드레인핀(400b)의 손잡이(430b)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450)이 삽입되는 삽입공(440)을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 의한 오일필터모듈은 드레인니플(310b)에 삽입되어 회전됨으로써 결합되는 드레인핀(400b)을 구비한다.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여기서의 손잡이(430b)는 단순히 몸체(410)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뿐만 아니라, 몸체(410)와 손잡이(430b)가 만나는 경계 부분에 하나의 구멍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공(440)으로 정의되는 이 구멍은 드레인니플(310b)에 드레인핀(400b)을 삽입 및 결합할 때 가이드 블록(450)이 들어가는 구성요소이다.
도 10과 11에서 볼 수 있듯이, 드레인니플(310b)의 아래에서 드레인핀(400b)의 손잡이(430b)가 드레인니플(310b)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455)의 세로방향 부분에 맞추어 정렬되면, 작업자에 의해 드레인핀(400b)이 드레인니플(310b)에 상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손잡이의 제 1 연결부(430b1)와 제 2 연결부(430b2)가 가이드 슬롯(455)의 세로방향 부분에 맞추어 끼워진다. 이후, 작업자는 삽입공(440)에 가이드 블록(450)이 삽입되게 손잡이(430b)를 우측(또는 좌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드레인핀(400b)이 하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핀(400b)의 손잡이(430b)가 적어도 드레인니플(310b)의 벽보다 바깥으로 드러나도록 연장되어 사용자가 드레인핀(400b)을 제거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내에 고여있던 오일이 드레인핀(400b)의 제거와 거의 동시에 흘러 떨어지더라도 작업자는 자신의 손을 오일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30b)는 몸체(410)의 측면에서 연장되는데, 도 9 내지 12의 실시예에서는 몸체(410)의 원통형 벽으로부터 연장되어 몸체(410)와의 경계부터 그 반대쪽 일단까지 대체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에서 손잡이(430b)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레인핀(400b)은 리브(460b)를 포함한다. 리브(460b)는 도 12에서 손잡이(430b)의 좌측 하부에만 보이지만,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다시피 좌측과 우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430b)는 리브(460b)를 통해서 보강되어 작업자의 조작 중 가해지는 충격에 더욱 견고해진다.
상기 리브(460b)는 몸체의 하부에서 손잡이(430b)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러나, 리브(460b)는 도 1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얇고 길게 형성되는 구성 뿐 아니라 더욱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혹은, 손잡이의 하부가 몸체와 접하는 뿌리 부분에서부터 손잡이 일단까지 두께가 줄어들며 연장하는 구성을 선택함으로써 리브(460b)를 따로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손잡이의 모든 모서리 부분은 각진 형상일 수 있으나, 둥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드레인핀(400b)을 취급할 때 상처를 입지 않을 수 있다.
도 12에서 손잡이(430b)는 수평 방향(몸체(41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작업자가 손잡이를 쉽게 파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는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는 손잡이(430b)의 높이도 마찬가지이지만, 드레인핀(400b)을 완전히 삽입하였을 때 상기 하우징(600) 또는 캡(300)의 바닥부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서는 안 된다.
손잡이는 작업자가 파지하기 좋게 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얼마든지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의 형상이 기본적으로는 대체로 플레이트 형상이되,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손잡이의 양 면에서 바라볼 때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면, 작업자가 더욱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느 한 면만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예를 들어, 손잡이의 면이 거칠게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에 땀이나 액체가 묻어있더라도 드레인핀을 충분히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마찰력을 가지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예를 들어, 손잡이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리 형상의 손잡이로 인해, 작업자가 손가락을 끼워넣어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작업 과정에서 드레인핀을 놓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 슬롯(455)은 상기 가이드 돌기의 역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단턱부(451)를 포함한다. 이 단턱부(45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향 이탈 방지 효과는 더욱 강화된다. 상기 단턱부(451)는 계단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탈 방지를 위한 형태라면 어느 것이든 대체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블록(450)은 절개부(452)와 텐션부(453)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452)는 상기 단턱부(451)와 상기 텐션부(45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텐션부(453)가 절개부(452)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다. 따라서, 단턱부(451) 상단에서 텐션부(453) 하단까지의 폭이 삽입공(440)의 폭보다 크더라도, 상기 텐션부가 상기 절개부(452) 쪽으로 탄성변형되면 상기 삽입공(440)에 상기 가이드블록(450) 삽입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가이드 슬롯(455)의 입구측에 테이퍼부(454)를 추가로 포함하여, 드레인핀(400b)의 고정을 위해 손잡이(430b)를 회전시킬 때 상기 탄성변형되는 절개부(452)와 함께 삽입이 더 쉬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단턱부(451) 상단에서 텐션부(453) 하단까지의 폭이 삽입공(440)의 폭보다 크지만, 테이퍼부(454)가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블록(450)의 최초 폭은 삽입공(440)의 폭보다 충분히 작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한 원리로, 상기 단턱부(451)의 테이퍼부(454) 반대쪽 부분은 계단 형태가 아닌 경사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경사형태로 형성되면, 텐션부(453)가 더이상 탄성변형되지 않는 부분에서 가이드 블록(450)의 폭이 삽입공(440)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단턱부(451)가 차지하는 범위 자체를 상기 절개부(452)의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함으로써, 언급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하우징(600)은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100)에 나사결합되는 캡(3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드레인니플(310b)은 상기 캡(300b)에 형성되어, 캡(300)을 분리할 수 있는 오일필터모듈로 실시할 수도 있다.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를 모두 갖춤으로써, 드레인핀(400b)의 더욱 견고한 고정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홈(242)은 바닥면 폭보다 입구 폭이 좁게 형성되고, 고정 블록(420)의 가로방향 길이는 로테이션 홈(242)의 입구 폭보다 크고, 고정 블록(420)의 세로방향 길이는 로테이션 홈(242)의 입구 폭보다 작다. 상기 고정 블록(420)의 가로방향은 손잡이(430b)가 몸체(41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도 10에서처럼 손잡이(430b)의 제 1, 2 연결부를 가이드 슬롯(455)에 맞춘 상태로 드레인핀(400b)을 삽입하면 고정 블록(420)은 자연스럽게 로테이션 홈(242)에 안착된다. 따라서 제 1 고정부를 활용하여 드레인핀(400b)을 고정하게 되면, 이에 따라 고정 블록(420)이 로테이션 홈(242)에 고정되는 위치로 배향된다.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가 동시에 드레인핀(400b)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처럼 따로 마킹홈(314)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작업자는 드레인핀(400b)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케이스 200 : 필터
210 : 지지프레임 220 : 여과지
230 : 상단지지판 240 : 하단지지판
242 : 로테이션홈 244 : 관통홀
300 : 캡 310a, 310b : 드레인니플
312 : 드레인홀 314 : 마킹홈
400a, 400b : 드레인핀 410 : 몸체
412 : 밀봉부재 420 : 고정 블록
422 : 밀착단 430a, 430b : 손잡이
440 : 삽입공 450 : 가이드 블록
451 : 단턱부 452 : 절개부
453 : 텐션부 454 : 테이퍼부
455 : 가이드 슬롯 460a, 460b : 리브
500 : 바이패스밸브 600 : 하우징

Claims (18)

  1. 오일을 배출하기 위해 하부에 원통형의 드레인니플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필터, 및 상기 드레인니플에 삽입되는 드레인핀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핀은,
    몸체;
    삽입했을 때 적어도 상기 드레인니플의 벽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손잡이; 및
    상기 드레인핀이 상기 드레인니플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오일이 새지 않도록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하단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핀은 상기 드레인니플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필터의 하단지지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일필터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드레인니플의 벽의 원통형 벽의 하향 연장선보다 측방향 바깥으로 돌출되는 오일필터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핀은 손잡이와 몸체가 연결되는 부분에 손잡이가 부러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오일필터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플레이트 형상인 오일필터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고리 형상인 오일필터모듈.
  6. 삭제
  7. 삭제
  8. 오일을 배출하기 위해 하부에 원통형의 드레인니플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필터, 상기 드레인니플에 삽입되는 드레인핀, 및 상기 드레인핀을 상기 드레인니플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핀은,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드레인핀이 상기 드레인니플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오일이 새지 않도록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드레인니플의 벽에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드레인핀의 손잡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오일필터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 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오일필터모듈.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끼워진 드레인핀의 역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단턱부를 포함하는 오일필터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는 계단형태로 형성되는 오일필터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절개부와 텐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단턱부와 상기 텐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텐션부가 절개부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오일필터모듈.
  14. 제8항,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드레인핀이 회전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의 폭이 점점 커지도록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오일필터모듈.
  15. 제8항,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오일필터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필터에 포함되는 하단지지판에 형성되는 로테이션 홈; 및
    상기 드레인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션 홈에 결합되는 고정 블록;
    을 포함하는 오일필터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의 가로방향 길이는 상기 로테이션 홈의 입구 폭보다 크고, 상기 고정 블록의 세로방향 길이는 상기 로테이션 홈의 입구 폭보다 작은 오일필터모듈.
  18. 제8항,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핀은 손잡이와 몸체가 연결되는 부분에 손잡이가 부러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오일필터모듈.
KR1020150185601A 2015-12-24 2015-12-24 손잡이가 달린 드레인핀을 구비하는 오일필터모듈 KR101698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601A KR101698693B1 (ko) 2015-12-24 2015-12-24 손잡이가 달린 드레인핀을 구비하는 오일필터모듈
CN201680073784.8A CN108697953B (zh) 2015-12-24 2016-12-12 具有带握把的排出销的液体滤清器组件
PCT/EP2016/080668 WO2017108483A1 (en) 2015-12-24 2016-12-12 Liquid filter assembly having a drain pin with a grip
JP2018552120A JP6626220B2 (ja) 2015-12-24 2016-12-12 グリップを有するドレインピンを備えた液体フィルタモジュール
CN202010393623.5A CN111467868B (zh) 2015-12-24 2016-12-12 具有带握把的排出销的液体滤清器组件
US16/065,667 US10625187B2 (en) 2015-12-24 2016-12-12 Liquid filter assembly having a drain pin with a grip
US16/811,443 US10881994B2 (en) 2015-12-24 2020-03-06 Liquid filter assembly having a drain pin with a gr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601A KR101698693B1 (ko) 2015-12-24 2015-12-24 손잡이가 달린 드레인핀을 구비하는 오일필터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693B1 true KR101698693B1 (ko) 2017-01-20

Family

ID=5754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601A KR101698693B1 (ko) 2015-12-24 2015-12-24 손잡이가 달린 드레인핀을 구비하는 오일필터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625187B2 (ko)
JP (1) JP6626220B2 (ko)
KR (1) KR101698693B1 (ko)
CN (2) CN108697953B (ko)
WO (1) WO201710848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556B1 (ko) * 2020-03-12 2020-10-19 박은순 접철형 오일 필터 유닛
KR102167553B1 (ko) * 2020-03-12 2020-10-19 박은순 회동형 오일 필터 유닛
KR102244868B1 (ko) * 2021-01-22 2021-04-27 주식회사 세인 차량용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KR20220114952A (ko) * 2021-02-09 2022-08-17 박은순 오일 필터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4227B2 (en) 2014-12-18 2021-01-19 Cummins Filtration Ip, Inc. Auto drain plug for a filtration apparatus
WO2016100772A1 (en) 2014-12-19 2016-06-23 Cummins Filtration Ip, Inc. Pre-cleaning air filter
US10799819B2 (en) 2018-06-11 2020-10-13 Cummins Filtration Sarl Filtration system with automatic drain pl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1834U (ko) * 1995-11-09 1997-06-18 오일 드레인 장치
KR19980029152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자동차 오일팬의 오일드레인 구조
KR101482184B1 (ko) * 2013-10-07 2015-01-13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드레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67Y2 (ko) * 1985-03-05 1991-02-21
JPH07228202A (ja) * 1994-02-15 1995-08-29 Ichikoh Ind Ltd 車両用フィニッシャにおける取付構造
JP3378783B2 (ja) * 1997-10-06 2003-02-17 株式会社 マーレ テネックス 液体処理用のフィルタ
JP3415410B2 (ja) * 1997-10-06 2003-06-09 株式会社 マーレ テネックス 液体処理用のフィルタ
AU2004241409B2 (en) * 2003-05-20 2010-07-01 Lg Electronics Inc. Lock nut and wrench for leg assembly of home appliance
KR100775520B1 (ko) 2006-12-18 2007-11-09 주식회사 동우 오일필터의 드레인 밸브
DE102009041523B4 (de) * 2009-09-15 2024-01-25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einrichtung
US8235759B1 (en) * 2010-07-19 2012-08-07 Brunswick Corporation Engine cooling system drain
CN201818408U (zh) * 2010-10-22 2011-05-04 派克汉尼汾液压系统(上海)有限公司 防漏装燃油滤芯的燃油滤清器
DE202011104686U1 (de) * 2011-08-18 2011-12-19 Mahle International Gmbh Flüssigkeitsfilter, insbesondere ein Ölfilter
DE102012209242A1 (de) 2012-05-31 2013-12-05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einrichtung
JP5248701B1 (ja) * 2012-08-27 2013-07-31 有限会社共栄塗装工業 棒状部材の連結器具
AU2014235855B2 (en) * 2013-03-22 2017-09-07 Caterpillar Inc. Filter assembly
US10641223B2 (en) 2013-10-01 2020-05-05 Enplas Corporation Attachment structure of fuel injection device nozzle plate
US9302206B2 (en) * 2014-03-31 2016-04-05 Caterpillar Inc. Filter assembly
KR101583713B1 (ko) * 2014-11-13 2016-01-08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회전형 드레인핀을 구비하는 오일필터모듈
US9778041B2 (en) 2015-01-09 2017-10-03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Ratiometric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gyroscope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1834U (ko) * 1995-11-09 1997-06-18 오일 드레인 장치
KR19980029152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자동차 오일팬의 오일드레인 구조
KR101482184B1 (ko) * 2013-10-07 2015-01-13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드레인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556B1 (ko) * 2020-03-12 2020-10-19 박은순 접철형 오일 필터 유닛
KR102167553B1 (ko) * 2020-03-12 2020-10-19 박은순 회동형 오일 필터 유닛
WO2021182777A1 (ko) * 2020-03-12 2021-09-16 박은순 접철형 오일 필터 유닛
US11484820B2 (en) 2020-03-12 2022-11-01 Eun Soon PARK Foldable oil filter unit
KR102244868B1 (ko) * 2021-01-22 2021-04-27 주식회사 세인 차량용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KR20220114952A (ko) * 2021-02-09 2022-08-17 박은순 오일 필터 유닛
KR102521618B1 (ko) 2021-02-09 2023-04-13 박은순 오일 필터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67868A (zh) 2020-07-31
US10881994B2 (en) 2021-01-05
CN108697953A (zh) 2018-10-23
JP6626220B2 (ja) 2019-12-25
US20180369726A1 (en) 2018-12-27
JP2019507286A (ja) 2019-03-14
CN108697953B (zh) 2020-10-13
WO2017108483A1 (en) 2017-06-29
US20200197845A1 (en) 2020-06-25
CN111467868B (zh) 2022-05-27
US10625187B2 (en)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693B1 (ko) 손잡이가 달린 드레인핀을 구비하는 오일필터모듈
USRE48573E1 (en) Oil filter assembly having rotation type drain pin
US8973760B2 (en) Filter system with fuel-water separator
KR20170117240A (ko) 드릴 비트를 위한 커팅부
KR101691556B1 (ko) 체결구조가 개선된 드레인핀을 구비하는 오일필터모듈
US8561761B2 (en) Oil pan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JP2009222230A (ja) フィルタの回転を防止した航空機用エアフィルタ装置
EP3096918B1 (en) Laser processing apparatus
KR20200124727A (ko) 고글과 안면 마스크의 조합
JP2016041608A (ja) キャップ
US7651613B2 (en) Aircraft filter device with a member for keying and driving the cartridge
US20020162407A1 (en) Oil drainage structure for a combustion engine crank case or the like, and method for oil drainage
KR101878195B1 (ko) 오일 필터 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오일 필터 장치
WO2017080606A1 (en) Oil filter assembly having rotation type drain pin
US20180327242A1 (en) Funnel
JP5294722B2 (ja) 容器
JP6800495B2 (ja) オイルフィルターケースの着脱工具
JP7307625B2 (ja) ドレインプラグ
KR102521618B1 (ko) 오일 필터 유닛
JP2018119464A (ja) ドレンプラグ
KR20180005477A (ko) 드릴용 비산방지장치
KR20010001581U (ko) 오일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