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311B1 -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311B1
KR101698311B1 KR1020100054081A KR20100054081A KR101698311B1 KR 101698311 B1 KR101698311 B1 KR 101698311B1 KR 1020100054081 A KR1020100054081 A KR 1020100054081A KR 20100054081 A KR20100054081 A KR 20100054081A KR 101698311 B1 KR101698311 B1 KR 101698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cabinet
mold
fixture
foaming
foa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218A (ko
Inventor
민동오
채홍익
정상전
백이주
예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4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31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rosslinked or vulcani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발포 공정의 생산성 및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발포 장치가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최소화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 및 상기 발포 방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를 제공한다.
냉장고 캐비닛의 발포 방법은 냉장고 캐비닛이 이송장치에 의해 로딩장치로 이송되고, 상기 로딩장치로 이송된 냉장고 캐비닛이 로딩장치에 의해 발포금형에 결합되고, 결합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이 대기중인 픽스쳐에 투입되고, 상기 픽스쳐에 투입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에 발포액이 주입되고,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에 주입된 발포액이 경화된 후 상기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가 로딩장치로 이송되고, 상기 로딩장치로 이송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의 결합체가 로딩장치에 의해 분리된 후 분리된 냉장고 캐비닛이 다음공정을 위해 이송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METHOD FOR FOAMING REFRIGERATOR CABINET}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 및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를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캐비닛의 발포 공정은 고정식 발포 공정과 회전식 발포 공정으로 나뉘어 진다.
상기 고정식 발포 공정은 냉장고 캐비닛이 별도의 컨베이어(Conveyor)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는 발포 장치 내부로 공급이 되고 하부의 픽스쳐(Fixture)가 상승하여 상부에 위치한 발포 금형과 합체되고, 합체시 상(Top)면, 하(Bottom)면, 측면의 지지구조물이 동작하여 캐비닛의 외곽을 고정하게 된다.
캐비닛의 고정이 끝나면 발포액이 주입되고 발포가 진행이 되어 경화가 끝날때까지 고정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경화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금형 합체부 및 고정지지구조물들이 동작하여 냉장고 캐비닛에서 이탈이 되고 하부 픽스쳐(Fixture)가 하강하여 취출 투입 컨베이어(Conveyor)를 통해 공정이 완료된 냉장고 캐비닛을 취출하고 다시 새로운 냉장고 캐비닛이 진입되어 다음 공정이 진행된다.
상기 회전식 발포 공정은 이동이 가능한 팰럿 타입(Pallet Type)의 발포 금형이 있고 이 금형이 일정한 궤도를 가지는 컨베이어(Conveyor)상에서 이동이 되며 일정 구간에서 금형 오픈(Open), 캐비닛 취출, 클리닝(Cleaning), 캐비닛 반제품 공급, 발포액 주입, 금형 클로징(Closing), 컨베이어(Conveyor) 이동(경화 시간 동안)등의 공정으로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식 발포 공정은 한 개의 캐비닛이 한 개의 픽스쳐(Fixture)에서만 발포가 진행되므로 발포진행 및 경화가 끝날때까지 다음 제품이 대기해야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생산량 증가를 위해서는 발포 장치를 계속 증가시켜야 하고 이에 따라서 공장의 면적 또한 생산성과 비례하여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전식 발포 공정에서는 발포 금형이 내치구와 외치구로 구성되어지며 이 발포 금형의 견고성 및 품질에 의해 발포의 품질이 결정이 되며 발포 경화시 발생되는 발포압력을 견디기 위해 금형의 규모가 계속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발포 공정의 생산성 및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발포 장치가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최소화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포 방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은 냉장고 캐비닛이 이송장치에 의해 로딩장치로 이송되고; 상기 로딩장치로 이송된 냉장고 캐비닛이 로딩장치에 의해 발포금형에 결합되고; 결합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이 대기중인 픽스쳐에 투입되고; 상기 픽스쳐에 투입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에 발포액이 주입되고;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에 주입된 발포액이 경화된 후 상기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가 로딩장치로 이송되고; 상기 로딩장치로 이송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가 로딩장치에 의해 분리된 후 분리된 냉장고 캐비닛이 다음공정을 위해 이송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스쳐 한 개에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 두 개가 투입되어 동시에 발포액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의 결합체가 분배차와 픽스쳐 사이를 왕복하며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장고 캐비닛의 기종에 맞는 발포금형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발포금형의 기종을 변경해주는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는 냉장고 캐비닛을 공급 또는 배출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냉장고 캐비닛을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는 로딩장치; 상기 로딩장치에 의해 냉장고 캐비닛이 결합되는 발포금형; 상기 냉장고 캐비닛의 기종에 맞는 발포금형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발포금형의 기종을 변경해주는 기종변경장치; 상기 발포금형에 냉장고 캐비닛이 결합된 상태로 투입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에 투입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에 발포액을 주입하는 발포액 주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금형은 하부 플레이트와 코어부, 전면 지지판 및 후면 지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픽스쳐 한 개에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 두 개가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픽스쳐는 투입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를 가이드하는 하부 픽스쳐, 투입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를 좌·우에서 지지해주는 지지부, 투입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의 상부를 밀착시켜주는 상부 픽스쳐, 상기 상부 픽스쳐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픽스쳐의 높이를 조절해주는 높낮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픽스쳐는 투입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를 이동시키는 구동 롤러, 투입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가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위치를 결정시키는 위치 결정핀, 투입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를 안내하고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픽스쳐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의 상부에 밀착되고 발포액 주입구가 구비된 베이스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결합핀과 상기 높낮이조절부와 결합되는 캠 롤러 및 토글이 구비된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 픽스쳐의 결합핀과 결합되는 상부 결합부, 상기 픽스쳐의 하부에 구비된 안내 레일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 상기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의 좌·우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상기 상부 픽스쳐의 캠 롤러와 결합되어 마찰을 통해 상기 상부 픽스쳐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 캠 가이드, 상기 상부 픽스쳐의 토글과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된 토글판, 상기 토글판이 토글과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조절하는 토글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포액 주입장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가 투입된 픽스쳐로 상기 발포액 주입장치를 이동시키는 발포액 주입장치 안내부, 발포액을 주입하는 발포액 주입헤드, 상기 발포액 주입헤드가 고정되는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 상기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를 상기 상부 픽스쳐의 발포액 주입구로 이동시키는 발포액 주입헤드 안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포액 주입헤드가 고정된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는 상기 발포액 주입헤드 안내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좌우로 이동된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에 고정된 발포액 주입헤드는 상기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한 개의 픽스쳐(Fixture)에서 두 개의 냉장고 캐비닛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발포 금형이 컨베이어(Conveyor) 방식에 의해 냉장고 캐비닛의 기종에 맞도록 기종이 변경되어 직접 투입되는 방식으로 물류 공간 및 기종변경공간 활용이 극대화된다.
또한, 개선된 발포액 주입방식을 통하여 발포품질개선 및 경화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의 발포금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의 픽스쳐에 구비된 상부 픽스쳐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의 픽스쳐에 구비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의 픽스쳐에 구비된 하부 픽스쳐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의 픽스쳐에 구비된 높낮이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의 발포액 주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의 발포액 주입장치가 픽스쳐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의 전 공정을 나타내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1)는 냉장고 캐비닛(C)을 공급 또는 배출시키는 이송장치(10), 이송장치(10)에 의해 이송된 냉장고 캐비닛(C)을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는 로딩장치(20), 로딩장치(20)에 의해 냉장고 캐비닛(C)이 결합되는 발포금형(30), 발포금형(30)에 냉장고 캐비닛(C)이 결합된 상태로 투입되는 픽스쳐(40), 픽스쳐(40)에 투입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에 발포액을 주입하는 발포액 주입장치(50), 냉장고 캐비닛(C)의 기종에 맞는 발포금형(30)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발포금형(30)의 기종을 변경해주는 기종변경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장치(10)는 냉장고 캐비닛(C)이 공급되는 공급부(11), 냉장고 캐비닛(C)이 배출되는 배출부(13), 냉장고 캐비닛(C)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15)로 구성된다.
이송장치(10)의 공급부(11)로 공급된 냉장고 캐비닛(C)은 컨베이어(15)를 따라 로딩장치(20)로 이송되고, 로딩장치(20)로 이송된 냉장고 캐비닛(C)은 로딩부(21)에 의해 로딩되어 발포금형(30)과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금형(30)은 하부 플레이트(31), 전면 지지판(33), 후면 지지판(35), 냉동 코어부(37A)와 냉장 코어부(37B)로 구분되는 코어부(37)로 구성된다.
발포금형(30)은 하부 플레이트(31)와 전·후면 지지판(33, 35)만으로 구성되고, 좌·우면 지지판 및 상면 지지판이 생략되도록 하여 발포금형(30)의 중량을 감소시켜 발포금형(30)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40)는 상부 픽스쳐(41), 지지부(43), 하부 픽스쳐(45), 높낮이조절부(47), 안내 레일(49)로 구성된다.
또한, 픽스쳐(40) 한 개에는 두 개의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가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투입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의 상부를 밀착시켜주는 상부 픽스쳐(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41A)와 상부 플레이트(41B)로 구성된다.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의 상부에 밀착되는 베이스부(41A)에는 발포액 주입구(41a)가 구비되어 발포액 주입장치(50)를 통해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에 발포액이 주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상부 플레이트(41B)에는 결합핀(41b), 캠 롤러(41c), 토글(41d)이 구비된다.
결합핀(41b)에는 하기할 지지부(43)의 상부 결합부(43A)가 결합되어 지지부(43)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캠 롤러(41c)는 하기할 높낮이조절부(47)의 캠 가이드(47A)와 결합되어 캠 롤러(41c)와 캠 가이드(47A) 사이의 마찰을 통해 상부 픽스쳐(41)가 하강 또는 상승하게 된다.
토글(41d)은 하기할 높낮이조절부(47)의 토글판(47C)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토글(41d)과 토글판(47C)이 연결되면 상부 플레이트(41B)가 고정되고, 토글(41d)과 토글판(47C)이 분리되면 상부 플레이트(41B)가 상승 또는 하강 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3)는 상부 결합부(43A), 하부 결합부(43B), 지지판(43C)으로 구성된다.
상부 결합부(43A)는 상부 플레이트(41B)의 결합핀(41b)과 결합되고, 하부 결합부(43B)는 픽스쳐(40)의 하부에 위치한 안내 레일(49)과 결합된다.
지지부(43)의 상부 결합부(43A)와 하부 결합부(43B)가 각각 결합핀(41b)과 안내 레일(49)에 결합되어 지지부(43)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43)의 좌·우 이동을 통해 지지판(43C)이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의 좌·우측을 지지하여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를 고정시키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픽스쳐(40)에는 지지판(43C)이 4개가 구비되어 한 개의 픽스쳐(40)에 동시에 두 개의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를 투입하여 발포액을 주입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픽스쳐(45)는 구동 롤러(45A), 위치 결정핀(45B), 가이드 롤러(45C)로 구성된다.
구동 롤러(45A)는 픽스쳐(40)로 투입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픽스쳐(40)로 투입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는 가이드 롤러(45C)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투입될 수 있게 된다.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가 픽스쳐(40)로 투입된 후에는 위치 결정핀(45B)에 의해 정위치로 안내되어 안착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낮이조절부(47)는 캠 가이드(47A), 토글 스위치(47B), 토글판(47C)으로 구성된다.
높낮이조절부(47)는 상부 픽스쳐(41)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픽스쳐(40)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가 투입되면 토글 스위치(47B)가 On 되어 토글판(47C)이 상부 픽스쳐(41)의 토글(41d)과 분리되게 된다.
토글판(47C)과 토글(41d)이 분리되게 되면 상부 픽스쳐(41)가 이동할 수 있게되고, 상부 픽스쳐(41)의 캠 롤러(41c)와 높낮이조절부(47)의 캠 가이드(47A) 사이의 마찰을 통해 상부 픽스쳐(41)가 하강하게 된다.
상부 픽스쳐(41)가 하강하여 상부 픽스쳐(41)의 베이스부(41A)가 픽스쳐(40)로 투입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의 상부와 밀착되게 되면 토글 스위치(47B)가 Off 되어 토글판(47C)과 상부 픽스쳐(41)의 토글(41d)이 연결되게 된다.
토글판(47C)과 토글(41d)이 연결되면 상부 픽스쳐(41)가 고정되게 되고, 상부 픽스쳐(41)가 고정된 후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로 발포액 주입장치(50)에 의해 발포액이 주입되게 된다.
발포액의 주입이 완료되고, 발포액 경화 시간이 완료되면 토글 스위치(47B)가 On 되어 토글판(47C)과 토글(41d)이 분리된다.
토글판(47C)과 토글(41d)이 분리되면 상부 픽스쳐(41)가 이동할 수 있게되고, 상부 픽스쳐(41)의 캠 롤러(41c)와 높낮이조절부(47)의 캠 가이드(47A)사이의 마찰을 통해 상부 픽스쳐(41)가 상승하게 된다.
상부 픽스쳐(41)의 상승이 완료되면 토글 스위치(47B)가 Off 되어 토글판(47C)과 토글(41d)이 연결되어 상부 픽스쳐(41)가 고정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액 주입장치(50)는 발포액 주입장치 안내부(51), 발포액 주입헤드(53),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55), 발포액 주입헤드 안내부(57)로 구성된다.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가 픽스쳐(40)로 투입되어 상부 픽스쳐(41)의 베이스부(41A)가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의 상부와 밀착되게 되면, 발포액 주입장치 안내부(51)에 의해 발포액 주입장치(50)가 픽스쳐(40)로 이동된다.
발포액 주입장치(50)가 픽스쳐(40) 상부로 이동되면 발포액 주입헤드 안내부(57)에 의해 각각의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55)가 이동된다.
각각의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55)가 상부 픽스쳐(41)의 베이스부(41A)에 형성된 발포액 주입구(41a)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되면, 각각의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55)에 고정된 발포액 주입헤드(53)가 하강하여 발포액 주입구(41a)에 투입되게 된다.
발포액 주입이 완료되면 발포액 주입헤드(53)가 상승하게 되고, 발포액 주입헤드(53)의 상승이 완료되면 발포액 주입장치 안내부(51)에 의해 발포액 주입장치(50)가 다음 픽스쳐(40)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포액 주입장치(50)가 이동되면서 발포액이 주입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픽스쳐(40)의 높이를 최소화 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발포액 주입헤드(53)가 4개로 구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냉장고 캐비닛(C)의 기종에 따라 발포액 주입헤드(53)의 수는 4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포액 주입헤드(53)가 다수 개 구비되도록 하여 여러 곳에서 동시에 발포액이 주입됨으로서 발포액의 경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1)에는 기종변경장치(6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기종변경장치(60)는 냉장고 캐비닛(C)의 기종에 따라 그에 맞는 발포금형(30)을 직접 공급시켜 주기 위한 장치이다.
공급되는 냉장고 캐비닛(C)의 기종에 따라 기종변경장치(60)에서 그에 맞는 발포금형(30)을 곧바로 공급할 수 있어 발포금형(30)의 교체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다음으로 냉장고 캐비닛 발포 공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우선 냉장고 캐비닛(C)이 공급부(11)를 통해 공급되면, 냉장고 캐비닛(C)은 컨베이어(15)를 따라 로딩장치(20)로 이송된다.
로딩장치(20)로 이송된 냉장고 캐비닛(C)은 로딩장치(20)에 구비된 로딩부(21)에 의해 로딩되어 발포금형(30)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된다.
로딩부(21)가 발포금형(30)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되면, 로딩부(21)에 로딩되어 있던 냉장고 캐비닛(C)이 언로딩되면서 발포금형(30)과 결합되게 된다.
냉장고 캐비닛(C)이 발포금형(30)과 결합된 상태에서 분배차(DC)로 이동되면, 분배차(DC)는 비어있는 픽스쳐(40)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를 투입하기 위해 이동된다.
분배차(DC)가 비어있는 픽스쳐(40)로 이동되면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가 픽스쳐(40)로 투입되게 된다.
픽스쳐(40)로 투입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는 하부 픽스쳐(45)의 구동 롤러(45A)에 의해 이동되고, 가이드 롤러(45C)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되면서 픽스쳐(40) 내부로 투입된다.
픽스쳐(40) 내부로 투입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는 위치 결정핀(45B)에 의해 정위치로 안내되어 안착되게 된다.
픽스쳐(40) 내부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가 투입되면, 지지부(43)가 좌·우로 이동되면서 지지판(43C)에 의해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의 좌·우면이 지지되게 된다.
지지부(43)의 지지판(43C)에 의해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의 좌·우면이 지지되면, 높낮이조절부(47)의 토글 스위치(47B)가 On 되어 높낮이조절부(47)의 토글판(47C)과 상부 픽스쳐(41)의 토글(41d)이 분리되게 된다.
토글판(47C)과 토글(41d)이 분리되면 상부 픽스쳐(41)가 이동 가능하게 되고, 이동 가능하게 된 상부 픽스쳐(41)가 하강하게 된다.
상부 픽스쳐(41)의 캠 롤러(41c)와 높낮이조절부(47)의 캠 가이드(47A)의 마찰에 의해 상부 픽스쳐(41)가 하강하여 상부 픽스쳐(41)의 베이스부(41A)가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의 상부에 밀착되게 된다.
베이스부(41A)가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의 상부에 밀착되면, 높낮이조절부(47)의 토글 스위치(47B)가 Off 되어 토글판(47C)과 토글(41d)이 분리되면서 상부 픽스쳐(41)가 고정되게 된다.
상부 픽스쳐(41)가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면, 발포액 주입장치(50)가 이동되게 된다.
발포액 주입장치(50)는 발포액 주입장치 안내부(51)에 의해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가 투입된 픽스쳐(40)로 이동된다.
픽스쳐(40) 상부로 발포액 주입장치(50)가 이동되면,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55)가 발포액 주입헤드 안내부(57)에 의해 상부 픽스쳐(41)의 베이스부(41A)에 형성된 발포액 주입구(41a)가 형성된 위치로 이동된다.
발포액 주입구(41a)가 형성된 위치로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55)가 이동되면,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55)에 고정된 발포액 주입헤드(53)가 하강하게 된다.
발포액 주입헤드(53)가 하강하여 발포액 주입구(41a)에 투입되면, 발포액이 주입되게 된다.
발포액의 주입이 완료되면 발포액 주입헤드(53)는 상승하게 되고, 발포액 주입헤드(53)의 상승이 완료되면 발포액 주입장치(50)는 발포액 주입장치 안내부(51)에 의해 다음 픽스쳐(40)로 이동된다.
발포액의 주입이 완료된 후에 발포액의 경화 시간이 완료되면, 높낮이조절부(47)에 구비된 토글 스위치(47B)가 On 되어 높낮이조절부(47)의 토글판(47C)과 상부 픽스쳐(41)의 토글(41d)이 분리된다.
토글판(47C)과 토글(41d)이 분리되면, 높낮이조절부(47)의 캠 가이드(47A)와 상부 픽스쳐(41)의 캠 롤러(41c)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부 픽스쳐(41)가 상승하면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에서 분리된다.
상부 픽스쳐(41)가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에서 분리된 후 상승하면, 지지부(43)가 좌·우로 이동되어 지지판(43C)이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에서 분리된다.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의 상부와 좌·우면이 픽스쳐(40)에서 모두 분리되면,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는 하부 픽스쳐(45)의 구동 롤러(45A)에 의해 이동되어 분배차(DC)로 배출된다.
분배차(DC)로 배출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는 로딩장치(20)로 이동된다.
로딩장치(20)로 이동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MC)는 로딩부(21)에 의해 냉장고 캐비닛(C)이 발포금형(30)과 분리된 상태로 로딩되어 이송장치(10)로 이동된다.
이송장치(10)로 이동된 냉장고 캐비닛(C)은 컨베이어(15)를 따라 배출부(13)로 이송되고, 배출부(13)를 통해 배출된 냉장고 캐비닛(C)은 다음 공정에 투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있어서, 공급되던 냉장고 캐비닛(C)의 기종이 변경되면 기종변경장치(60)에 의해 그에 맞는 발포금형(30)이 직접 공급되어 상기와 동일한 공정이 진행되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 및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
10 : 이송장치 11 : 공급부
13 : 배출부 15 : 컨베이어
20 : 로딩장치 21 : 로딩부
30 : 발포금형 31 : 하부 플레이트
33 : 전면 지지판 35 : 후면 지지판
37 : 코어부 37A : 냉동실 코어부
37B : 냉장실 코어부
40 : 픽스쳐 41 : 상부 픽스쳐
41A : 베이스부 41B : 상부 플레이트
41a : 발포액 주입구 41b : 결합핀
41c : 캠 롤러 41d : 토글
43 : 지지부 43A : 상부 결합부
43B : 하부 결합부 43C : 지지판
45 : 하부 픽스쳐 45A : 구동 롤러
45B : 위치 결정핀 45C : 가이드 롤러
47 : 높낮이조절부 47A : 캠 가이드
47B : 토글 스위치 47C : 토글판
49 : 안내 레일
50 : 발포액 주입장치 51 : 발포액 주입장치 안내부
53 : 발포액 주입헤드 55 :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
57 : 발포액 주입헤드 안내부
C : 냉장고 캐비닛 DC : 분배차
MC :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

Claims (14)

  1. 냉장고 캐비닛이 이송장치에 의해 로딩장치로 이송되고;
    상기 로딩장치로 이송된 냉장고 캐비닛이 로딩장치에 의해 발포금형에 결합되고;
    결합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이 대기중인 픽스쳐에 투입되고;
    상기 픽스쳐에 투입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에 발포액이 주입되고;
    상기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의 결합체에 주입된 발포액이 경화된 후 상기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가 로딩장치로 이송되고;
    상기 로딩장치로 이송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가 로딩장치에 의해 분리된 후 분리된 냉장고 캐비닛이 다음공정을 위해 이송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캐비닛의 발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한 개에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 두 개가 투입되어 동시에 발포액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의 발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가 분배차와 픽스쳐 사이를 왕복하며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의 발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캐비닛의 기종에 맞는 발포금형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발포금형의 기종을 변경해주는 공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의 발포 방법.
  5. 냉장고 캐비닛을 공급 또는 배출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냉장고 캐비닛을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는 로딩장치;
    상기 로딩장치에 의해 냉장고 캐비닛이 결합되는 발포금형;
    상기 냉장고 캐비닛의 기종에 맞는 발포금형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발포금형의 기종을 변경해주는 기종변경장치;
    상기 발포금형에 냉장고 캐비닛이 결합된 상태로 투입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에 투입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에 발포액을 주입하는 발포액 주입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금형은 하부 플레이트와 코어부, 전면 지지판 및 후면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한 개에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 두 개가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투입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를 가이드하는 하부 픽스쳐,
    투입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를 좌·우에서 지지해주는 지지부,
    투입된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의 상부를 밀착시켜주는 상부 픽스쳐,
    상기 상부 픽스쳐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픽스쳐의 높이를 조절해주는 높낮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픽스쳐는 투입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를 이동시키는 구동 롤러,
    투입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가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위치를 결정시키는 위치 결정핀,
    투입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를 안내하고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픽스쳐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의 상부에 밀착되고 발포액 주입구가 구비된 베이스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결합핀과 상기 높낮이조절부와 결합되는 캠 롤러 및 토글이 구비된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 픽스쳐의 결합핀과 결합되는 상부 결합부,
    상기 픽스쳐의 하부에 구비된 안내 레일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
    상기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의 좌·우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상기 상부 픽스쳐의 캠 롤러와 결합되어 마찰을 통해 상기 상부 픽스쳐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 캠 가이드,
    상기 상부 픽스쳐의 토글과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된 토글판,
    상기 토글판이 토글과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조절하는 토글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액 주입장치는 발포금형과 냉장고 캐비닛 결합체가 투입된 픽스쳐로 상기 발포액 주입장치를 이동시키는 발포액 주입장치 안내부,
    발포액을 주입하는 발포액 주입헤드,
    상기 발포액 주입헤드가 고정되는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
    상기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를 상기 픽스쳐의 발포액 주입구로 이동시키는 발포액 주입헤드 안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액 주입헤드가 고정된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는 상기 발포액 주입헤드 안내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좌우로 이동된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에 고정된 발포액 주입헤드는 상기 발포액 주입헤드 고정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 발포 장치.
KR1020100054081A 2010-06-08 2010-06-08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 KR101698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081A KR101698311B1 (ko) 2010-06-08 2010-06-08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081A KR101698311B1 (ko) 2010-06-08 2010-06-08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218A KR20110134218A (ko) 2011-12-14
KR101698311B1 true KR101698311B1 (ko) 2017-01-23

Family

ID=4550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081A KR101698311B1 (ko) 2010-06-08 2010-06-08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3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556B1 (ko) * 2013-06-13 2014-09-30 주식회사 우레아텍 믹싱헤드 배치방법
KR101485365B1 (ko) * 2014-08-29 2015-01-26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 케이스의 공용 발포 금형
KR101740032B1 (ko) 2015-06-16 2017-06-08 (주)위니아글로벌테크 김치냉장고 제조설비에서 김치냉장고의 내부케이스 냉각장치
KR102338097B1 (ko) * 2017-03-28 2021-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단열재 주입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주입방법
KR20240057268A (ko) * 2022-10-24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발포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4614A (en) 1984-10-05 1987-05-12 Crios S.P.A. Foaming apparatus with rotatable plug-holder drum for refrigerator cabine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785B1 (ko) * 2001-03-08 2003-07-1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 케이스 제조방법
ITMI20041609A1 (it) * 2004-08-05 2004-11-05 Crios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schiumatura sottovuoto di armadi frigoriferi
KR101555898B1 (ko) * 2008-11-27 2015-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캐비닛을 발포하기 위한 멀티 발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4614A (en) 1984-10-05 1987-05-12 Crios S.P.A. Foaming apparatus with rotatable plug-holder drum for refrigerator cabin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218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311B1 (ko) 냉장고 캐비닛 발포 방법
US11186028B2 (en) Blow mold unit, blow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replacing blow mold unit
KR101426068B1 (ko)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CN103354780B (zh) 吹塑成形机
CN108330003B (zh) 一种发泡蜡烛生产线
CN107405680A (zh) 电池组件的成型
KR20100060334A (ko) 냉장고 캐비닛을 발포하기 위한 멀티 발포장치
CN102548731B (zh) 塑料容器吹制站模制型腔的更换方法及动态存放装置
KR101098906B1 (ko) 너트삽입장치
ITMI20111848A1 (it) Metodo ed apparato per lo stampaggio sottovuoto di materiale poliuretanico
KR101296696B1 (ko) 식품처리 시스템
CN111098108A (zh) 一种耳机扬声器磁路组装装置
JPH0775857B2 (ja) 射出成形機から射出成形部材を搬出する装置および移送ユニット
KR102225042B1 (ko) 사출 금형장치
JP6556857B2 (ja) ブロー成形装置
KR20150109695A (ko) 얼음용기 성형장치
CN210475911U (zh) 一种汽车座盆螺母焊接设备
KR200193273Y1 (ko) 고무제품 성형기
KR20210039097A (ko) 사출 금형장치
KR100811858B1 (ko) 튜브 헤드의 성형방법 및 장치
JPH05138683A (ja) ロータリー式射出成形機
US6530763B2 (en) Tire vulcanizing system
KR200368685Y1 (ko)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TW201511920A (zh) 球閥開關全自動射出機
CN209969521U (zh) 一种油盘壳压铸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