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840B1 - 샤워기 변기를 위한 샤워기 암 - Google Patents

샤워기 변기를 위한 샤워기 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840B1
KR101697840B1 KR1020147025368A KR20147025368A KR101697840B1 KR 101697840 B1 KR101697840 B1 KR 101697840B1 KR 1020147025368 A KR1020147025368 A KR 1020147025368A KR 20147025368 A KR20147025368 A KR 20147025368A KR 101697840 B1 KR101697840 B1 KR 101697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nozzle
vortex chamber
toilet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3098A (ko
Inventor
마우루스 츠빅커
롤프 바이쓰
Original Assignee
게베리트 인터내셔널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베리트 인터내셔널 아게 filed Critical 게베리트 인터내셔널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12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25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out any source of compressed gas, e.g. the air being sucked by the pressurised liquid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기 분사에서 와류를 생성하기 위한 구형 와류 챔버를 포함하는 샤워기 변기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 및 대응하는 샤워기 장치 및 대응하는 샤워기 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샤워기 변기를 위한 샤워기 암 {Shower Arm for Shower WC}
본 발명은 샤워기 변기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세정을 위한 샤워기 장치를 포함하는 변기들은 공지되었고 오랫동안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대체로, 상기 샤워기 장치는 세정 동안 완전히 은폐되거나 부분적으로 은폐된 위치로부터 상기 변기의 통으로 이동될 수 있고 세정 후 다시 뒤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샤워기 암을 갖는다. 상기 움직임의 수단에 의해, 상기 샤워기 암은 한편으로는 상기 사용자의 하체를 겨냥하는 샤워기 물의 배출을 위한 유리한 위치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하지 않을 때 후퇴되는 위치에서 오염 및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러나, 상기 샤워기 암의 움직임은, 비록 관습적일지라도,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샤워기 노즐에 샤워기 물을 공급하기 위한 이러한 타입의 샤워기 암의 물 공급 파이프에서 와류 챔버(swirl chamber)에 관한 종래 기술은 이미 존재한다. 이러한 타입의 와류 챔버는 물의 회전 유동을 생성하도록 의도되며, 특히 원심력에 의해 상기 샤워기 노즐 밖으로 통과하는 물의 분사를 넓히기 위해 의도된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기술 문제는 와류 챔버를 구비한 개선된 샤워기 암, 상기 후자를 갖춘 샤워기 변기 및 이러한 변기를 위한 샤워기 장치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문제는 샤워기 변기의 사용자를 세정하기 위한 샤워기 노즐로서 샤워기 물이 상기 샤워기 노즐로부터 상기 샤워기 변기의 사용자의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샤워기 노즐, 상기 노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 및 상기 노즐에 전달되는 샤워기 물에 회전하는 물 유동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물 공급 파이프 내의 와류 챔버를 포함하는 샤워기 변기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와류 챔버는 구형 와류 챔버(spherical swirl chamber)이며, 상기 구형 와류 챔버는 구형 와류 챔버에 바로 앞서는 상기 물 공급 파이프의 섹션보다 더 큰 내부 치수를 갖고, 상기 물 공급 파이프 입구 개구 및 출구 개구와 이 개구들의 어떠한 에지 교차부들을 제외하면 구형 형상이고, 상기 후자를 갖춘 샤워기 변기, 상기 후자를 갖춘 샤워기 장치 및 상기 샤워기 암의 대응하는 사용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소위 구형 와류 챔버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여기서 구형의 내부 형태를 갖는 와류 챔버로 제공된다. 물론, 이에 대한 예외는 상기 구형의 형태에서 중단을 유발하는 상기 물 공급 파이프의 입구 개구 및 출구 개구이다. 여기에서 발생하는 에지들은 상기 구형의 형태에서, 특히 유동 비율을 개선하기 위한 만곡부 또는 경사진 형태에서 더욱 편차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구형 와류 챔버의 일반적인 파이프 단면은 기본적으로 상기 물 공급 파이프에 대하여, 특히 상기 입구 개구에 바로 앞서는 단면에 대하여 넓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물 공급 파이프의 일반적인 원형 단면에서 상기 구형 와류 챔버의 일반적인 내부 직경 또는 내부 반경은 상기 물 공급 파이프, 특히 상기 바로 앞서는 단면의 그것보다 더 커야 하고, 이로부터 벗어나는 상기 물 공급 파이프의 단면 형태를 구비하면, 이에 따라 이는 상기 물 공급 파이프의 일반적인 직경에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 단면은 상기 샤워기 물이 상기 구형 와류 챔버로 유입함에 따라 넓어지고, 상기 구형 와류 챔버는 상기 물 유동에 와류를 제공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물은 상기 샤워기 노즐 그 자체에 상당한 정도 이상으로 이 와류를 보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가는 도중에 상기 샤워기 물의 분사를 형성한다. 상기 분사의 주 출구 방향을 가로지르는 유동 요소들에 의해 진동하는(pulsating) 마사지 느낌 및/또는 상기 샤워기 분사의 확장 및/또는 개선된 세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입구 개구 및/또는 하나보다 많은 출구 개구도 기본적으로 고려 될 수 있지만, 상기 정확히 하나의 물 공급 파이프, 즉 상기 구형 와류 챔버에 정확히 하나의 입구 개구 및 정확히 하나의 출구 개구의 경우가 여기에 바람직하다.
발명자에 의해 실행된 실험에서, 상기 구형 와류 챔버는 생산하기 쉬운 와류 챔버의 특히 효과적인 형태로 입증되었다.
또한, 상기 샤워기 물이 상기 샤워기 노즐 밖으로 통과하기 전에 상기 와류가 크거나 충분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와류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워기 노즐 가까이에, 즉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워기 암에서 상기 물 공급 파이프의 상기 대향하는 단부보다 상기 샤워기 노즐에 명확히 더 가까이에 위치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좋은 분사를 형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물 파이프 섹션이 상기 실제 샤워기 출구 표면과 상기 구형 와류 챔버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물 공급 파이프는 상기 샤워기 물의 주 출구 방향에 대하여 상기 노즐에서 상기 구형 와류 챔버로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15°의 각도로, 즉 직각 더하기/빼기 25°로 진행한다. 상기 직각으로부터 많아도 20°, 15°, 10° 및 심지어는 5°의 편차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물이 상기 노즐의 주 출구 방향에 거의 평행한 회전의 축에 대하여 소용돌이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거의 직각으로 상기 물 유동의 방향으로의 변화는 가치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고, 이는 상기 분사를 넓히는 것과 관련하여 유리하다.
또한, 적어도 상기 구형 와류 챔버에 바로 앞서는 상기 물 공급 파이프의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워기 암의 길이 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위치하고, 많아야 20° 및 더 좋게는 많아야 15°, 10°, 또는 심지어는 5°의 각도 편차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샤워기 암 내의 상기 물 공급 파이프의 배열에 대한 바람직한 기하학적 구조, 및 상기 구형 와류 챔버의 앞뒤의 물 공급 파이프 사이의 바람직한 각도 배열로, 상기 샤워기 암으로부터 상기 후자로 거의 가로지르는 물 출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구형 와류 챔버에 대하여, 한편으로는 상기 노즐의 주 출구 방향 및 상기 구형 와류 챔버에 바로 앞서는 상기 물 파이프 단면 모두에 직각으로 위치하는 방향에 관하여 그리고, 추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노즐 출구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관하여 상기 구형 와류 챔버에서 상기 물 공급 파이프의 입구 개구의 중심 배열은 바람직하다. 상기 나중에 상술된 방향(상기 노즐 출구 방향에 평행함)과 관련한 상기 중심 배열은 상기 구형 와류 챔버 내에서 뚜렷한 와류를 촉진한다. 상기 먼저 상술된 방향(상기 주 노출 출구 방향 및 상기 구형 와류 챔버 앞의 물 공급 파이프에 직각임)과 관련한 상기 중심 배열은, 상기 종래 기술[와류 챔버의 편심 유입(eccentric inflow)과 관련함]과 대조하여, 상기 구형 와류 챔버에서 회전의 방향과 상이한, 특히 거의 반대인, 엇갈리는 와류 상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 중심 유입과 와류 방향 또는 회전 방향은 다소 무작위로 발전하지 않고 유지되지만, 전기 공학에서 쌍안정 플립플롭 회로(bistable flip-flop circuit)와 유사하게, 이 점에 있어서 상기 유동은 시간 순서로 되풀이해서 "뒤집힌다"는 점이 명백해졌다. 또한, 이러한 엇갈리는 와류 상태들은 상기 샤워기 물이 상기 샤워기 노즐의 밖으로 통과한 후에도 상기 샤워기 분사를 형성한다. 상기 진동 때문에, 이는 상기 사용자들에게 특히 뚜렷한 마사지 느낌을 야기한다.
또한, 일시적인 시간 평균에서 분사 확장뿐만 아니라 상기 샤워기 분사에 의해 커버되는 상기 영역의 내부 구역의 특히 좋은 적용 범위도 발생하도록, 특정 방향에서 특히 뚜렷한 와류들 사이의 중간 단계에서 상기 원심력은 더 작고 그리고/또는 불균일한 유동 상태에 의해 혼합된다. 상기 발명자는 상기 샤워기 분사에서 와류의 결과로써 원심력에 의한 분사 확장에서 집중은, 이를테면, 중공 원추형 분사(hollow cone jet) 또는 어떠한 이벤트에서 작은 세정 효과를 구비한 샤워기 분사가 그 내부 구역에서 생성될 것이라는 위험을 감춘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이는 상기 엇갈리는 와류 상태에 의해 효과적으로 대항할 수 있다.
상기 구형 와류 챔버와 상기 입구 개구 및 상기 출구 개구 사이의 상기 교차 에지들은 급격할 필요가 없다는 점은 이미 언급되었다. 특히, 상기 출구 개구에서 만곡부는 여기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만곡부(상기 섹션에서 원형의 세그먼트 형상에 반드시 정확히 일치할 필요는 없음)의 일반적인 반경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형 와류 챔버의 내부 반경의 0.3배와 3배 사이이다. 이하의 하한들, 즉, 상기 구형 와류 챔버의 내부 반경의 0.5배, 0.7배 및 0.8배인 하한들이 그 순서대로 점점 더 선호된다. 또한, 이하의 상한들, 즉, 상기 구형 와류 챔버의 내부 반경의 2배, 1.5배 및 1.2배인 상한들이 그 순서대로 점점 더 선호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구형 와류 챔버로부터 상기 소용돌이 치는 유동의 교차부에서의 중단은 상기 노즐 쪽의 출구 개구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구형 와류 챔버에서 상기 유입에 대한 상기 유동 비율은 어떠한 경우에도 다시 정의되기 때문에, 상기 입구 개구에서 만곡부의 이러한 타입은 동일한 중요성이 있지 않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구형 와류 챔버는 상기 바로 앞서는 물 공급 파이프 섹션에 대하여 효과적인 유동 단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의도된다는 것을 이미 언급하였다. 특히, 상기 파이프 섹션의 내부 반경(분자) 및 상기 구형 와류 챔버 자체의 내부 반경(분모)의 비율이 0.3과 0.9 사이인 것이 선호되며, 순서대로 0.4 및 0.5의 하한 및 0.8, 0.7 및 0.6의 상한이 점점 더 선호된다.
또한, 상기 물 공급 파이프의 앞서는 섹션의 단면 형태는, 특히 상기 가장 큰 내부 직경(예를 들어, 타원의 긴 축 또는 직사각형의 대각선)이 상기 구형 와류 챔버의 직경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원형 형태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반경 비율에 관하여, 상기 평균 반경이 측정된다. 그러나, 원형의 파이프 단면이 선호된다.
상기 구형 와류 챔버와 상기 실제 노즐 출구 개구 사이의 상기 물 파이프의 단면은 고작해야 상기 구형 와류 챔버 바로 앞의 상기 물 파이프의 단면만큼 크다. 그러나, 또한 그것은 부분적으로 노즐, 즉, 테이퍼링(tapering)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노즐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은 상기 구형 와류 챔버로부터 상기 노즐 출구 개구로 연속적으로 점점 가늘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형 와류 챔버와 상기 노즐 출구 개구 사이의 상기 물 파이프는 여기서 전체적으로 노즐을 형성하고 상기 단면 감소로 인해 상기 주 배출 방향으로 상기 물 분사의 속도 성분을 가속한다. 이러한 테이퍼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은 원추형이며, 상기 구형 와류 챔버와 이 원추형 형태는 교차부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만곡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하여 제1 예시적인 실시예가 참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라, 상기 노즐 개구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리브(rib),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리브들이 제공되며, 예를 들어,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6개의 리브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동 리브들은 내측 벽으로부터 내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물 유동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유동 리브들은 바람직하게는 직선형이며, 즉 추가 와류에 있어서 휘어지지 않으며, 상기 유동 리브들은(상기 도시된 노즐의 중심 축까지의 거리의 감소 또는 증가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 분사의 주 배출 방향에 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이 유동 안내 리브들은, 원하는 경우, 상기 와류 상태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상기 소용돌이치는 유동을 다소 진정시킨다. 특히, 그들은 상기 와류 상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샤워기 분사에 공기를 혼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물이 더 미세하게 분산되고 상기 샤워기 분사는 상기 물 소비가 증가됨이 없이, 이를테면, “더 체적적으로(volumically)” 작용하기 때문에, 공기의 이러한 혼합은 바람직하다.
추가 구성에서, 상기 샤워기 노즐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공급 채널, 즉, 상기 샤워기 노즐의 구역에 외부로부터 상기 물 파이프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추가 파이프를 구비한다. 보다 유리하게는, 상기 공기는 물 분사 펌프 원리에 따라 상기 샤워기 노즐에서 상기 유동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 채널 또는 채널들은 기본적으로 상기 샤워기 암의 다른 측면으로부터 이 공기를 도입할 수도 있지만, 상기 공기 공급 채널들이 상대적으로 짧고 상기 샤워기 물을 위한 상기 노즐 출구 표면 바로 옆으로 배출하도록, 즉, 여기서 공급되어야 하는 상기 공기도 흡입하도록 만들어지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예시를 위해서, 예시적인 실시예, 다시 말해 제3 실시예도 참조된다.
또한 작동 상태에서 샤워기 암은 샤워기 노즐을 향하여 수평선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의 각도로 하향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보다 자세히 개시될 것이며, 또한, 개개의 특징들은 상이한 조합 및 청구의 범위 범주 모두에 관하여 중요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의 사시도, 평면도, 길이 방향 섹션 및 마지막으로 이 길이 방향 섹션에서 일 섹션에 따라 샤워기 암의 노즐 측면 단부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응하는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응하는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장치를 구비한 샤워기 변기를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 다시 말해 샤워기 암(1)의 말단부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이 말단부는 분리할 수 있는 노즐 헤드(1)로 설계될 수 있고 오로지 지지 기능 및 전달 기능만을 갖는 상기 샤워기 암의 추가 섹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샤워기 헤드(1)는 작동 및 이후 프로젝트 동안 플러싱 에지(flushing edge)의 후방(벽 측 또는 물탱크 측) 구역 또는 플러싱 자유벽 변기통(flushing wall-free WC bowl)의 벽으로부터 상기 변기통의 개구로 약간 햐항으로 경사져서 상기 변기로 밀어진다. 상기 경사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되는 면 표면(2)이 작동 상태에서 수직으로 있도록, 약 5°의 상기 샤워기 암의 길이 방향(도 1c 및 도 1d 횡 방향에서)과 수평선 사이의 각에 대응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상기 샤워기 헤드(1)의 상부 측에 있는 노즐 출구 표면(3)을 도시하고, 도 1c 및 도 1d는 섹션(도 1d에서 확대됨)에서 이 노즐 출구 표면(3)의 상류부에 배열된 원추형의 샤워기 노즐(4)을 도시한다. 상기 후자는 상기 샤워기 암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수직으로 상향으로, 즉, 상기 샤워기 암의 작동 위치에서 수직선에 대하여 약 5°로 전방으로 경사져서 지향된다. 그 길이 방향으로 상기 샤워기 분사의 주 출구 방향을 형성한다. 이는 도 1d에서 도면 부호 "5"에 의해 식별되며, 상기 샤워기 암의 길이 방향은 도면 부호 "6"에 의해 식별된다. 도 1d에서 상기 샤워기 암의 길이 방향(6)을 나타내는 라인은 동시에, 도 1d에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샤워기 물이 상기 샤워기 암을 따라 흐르는 물 공급 파이프(7)의 길이 방향의 중심 축이며, 또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 출구 방향(5)을 따라 상향으로 편향되고 상기 샤워기 노즐(4)을 통하여 상부 밖으로 통과한다. 도 1d에 도시된 상기 물 파이프(7)의 섹션들 사이에서 상기 후자와 편향시키기 위한 수단 사이의 연결편은 상기 물 파이프(7)(도 1c 및 1d에서 우측 에지에 있음)의 원형의 입구 개구 및 상기 노즐(4)(도 1c 및 도 1d에서 상부 에지에 있음)쪽의 교차부(9)를 제외하면 도 1c 및 도 1d에 섹션에서 도시된 구형인 구형 와류 챔버(8)이다. 상기 교차부(9)는 만곡되고, 약 2.5mm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상기 구형 와류 챔버(8)의 내측 반경은 2.2mm이고 상기 물 공급 파이프(7)의 내측 반경은 1.25mm이다. 상기 원추형의 노즐(4)은 1.17mm의 내측 반경으로부터 0.775mm로 점점 가늘어진다.
상기 물 공급 파이프(7)는 도 1c 및 도 1d에서의 상기 수직선들 및 상기 도면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 (및 도 1b에서의 상기 수직선)에 대하여 상기 구형 와류 챔버와 동심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물 공급 파이프(7)로부터 상기 구형 와류 챔버(8)로 상기 물 유동의 유입으로 인해, 여기서 상기 주 출구 방향(5) 및 상기 원추형의 노즐(4)의 길이 방향의 축에 거의 평행하게 위치하는 회전의 축을 따르는 우세한 와류와 더불어 엇갈리는 난류(alternating turbulent flow)가 발생한다. 상기 주 와류의 회전의 방향은 상기 끊임없이 변하는 와류에 의해 연속적으로 반전된다. 이러한 와류 상태는 상기 노즐(4)을 통과하고 상기 노즐 출구 표면(3)의 밖으로 통과하는 동안 상기 유동에서 주로 유지되고, 상기 물 유동은 상기 노즐(4)에서 상기 테이퍼에 의해 가속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출구 표면(3) 위에 상기 와류에 의한 상기 원심력은 상기 샤워기 분사에 효과를 끼치고 상기 샤워기 분사를 넓힐 수 있다. 그것은 거의 구형을 형성하고, 이 구형은 그 개구 폭에 관하여 그리고 상기 구형의 중심부 및 에지에서 상기 물의 부분과 관련하여 비유적으로 말하자면 진동된다. 특히, 상기 구형 에지는 보다 크게 커버되고 특히 뚜렷한 와류 상태가 우세한 경우 상기 구형의 개구 폭은 더 커지며 중간부는 보다 크게 커버되고 완전한 분사는 상기 교차부 중간에서 더 좁아진다. 특히, 이러한 진동은 빠르게 발생할 수 있어서 상기 노즐 출구 표면(3)과 세정될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표면 사이의 섹션에서 복수의 상이한 와류 상태 및 교차 상태는 그 중간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그리고 나서 상기 "구형"은 중단되거나 더 이상 응집하지 않는 코팅을 갖는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주 출구 방향(5)으로 가로지르는 상기 물의 뚜렷한 속도 성분의 결과로서 "부드럽고" 좋은 세정 효과를 갖는 진동하는 물 분사를 느낀다.
상기 발명자의 실험은 상기 물의 유동 속도가 상기 원하는 진동하는 와류 순서에 특별히 필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유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통과하는 상기 샤워기 분사의 개구 각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이 유동 속도는 상기 유동의 세기를 결정한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유동 속도는 1 l/min 내지 1.5 l/min의 크기 정도가 바람직하며, 상기 물 공급 파이프(7)의 현재 비교적 얇은 치수에 대해서는 1 l/min의 비교적 낮은 유동 속도가 양호하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상기 구형 와류 챔버(8)의 내측 반경이 상기 물 공급 파이프(7)의 앞서는 섹션의 내측 반경보다 더 큰 것이 상기 원하는 유동 상태의 형성에 유리하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4)의 원추형의 노즐 형태 및 상기 구형 와류 챔버(8)와 상기 노즐(4) 사이의 만곡된 교차부는 특히 많은 양의 난류 상태 및 상기 후자의 비교적 적은 "브레이크"를 받아들인다.
도 2a 내지 도 2d는 제2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하나의 버전을 도시한다. 여기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들은 도 1a 내지 도 1d에 대응하는 참조 번호에 의해 식별되고, 상기 번호는 각각 10이 더해진다. 따라서, 도 1c에서의 상기 면 표면(2)은 도 2c에서의 상기 면 표면(12)에 대응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미 개시된 경사각은 더 크며, 즉, 약 15°이며, 따라서, 상기 샤워기 암(11)은 보다 더 크게 경사진다. 여기서도 상기 면 표면(12)은 상기 작동 상태에서 수직으로 있다. 또한, 상기 반경에 대한 정량적인 세부 사항은 상기 제2 예시적인 실시예 및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상기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2c 에서 상기 샤워기 암(11)의 외측에 우측 에지에 상기 샤워기 암의 나머지와 대응하고 여기에 도시된 상기 샤워기 암 헤드가 삽입되는 파이프 섹션을 볼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섹션 내에서, 대응하는 시일을 위한 그루브를 볼 수 있다.
바로 전에 언급된 상기 더 큰 경사 외에, 상기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차이는 상기 노즐(14)이 상이한 형상이라는 점이다. 그것은 비슷한 수직 길이를 넘어 연장하지 않는다. 대신, 상기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응하는 만곡부(19)에 의한 인접은 기본적으로 물 파이프의 섹션에 대응하는 직선형의 원통형 파이프 섹션(14a)이다. 또한, 상기 노즐은 짧은 섹션에 걸쳐서 구역(14b)에서 원추형으로 테이퍼 지고, 더 짧은 섹션에 걸쳐서는 다시 원통형(즉, 도 2d에서 직선형)이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단지 상기 외측으로부터 상기 파이프 라인 섹션으로 돌출하는 도 2b에서 볼 수 있는 상기 여섯 리브들의 내향으로 향하는 표면에만 대응한다. 상기 원통형의 파이프 라인 섹션(14a)은 상기 노즐 출구 개구(13)까지 상기 리브들 사이에서 어떠한 중단 없이 상향으로 진행한다.
상기 리브 구조와 함께 상기 실제 노즐(14b), 즉, 상기 출구 표면 앞의 테이퍼는 여기서 상기 제1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상기 원추형의 구조(4)보다 더 적게 유동을 가속하는 역할을 한다. 더 정확히 말하면, 상기 와류 상태는 전체적으로 다소 더 부드럽고, 보다 더 균일하고 더 적게 진동하는 샤워기 분사를 생성하기 위해 다소 진정된다. 동시에, 상기 노즐(14b)안의 리브들과 상기 와류 상태 사이의 상호 작용에서 공기 첨가가 발생하고, 상기 공기는 상기 노즐 출구 표면(13)으로부터 유래한다. 이는 종래의 수도 꼭지에서의 소위 폭기장치(aerator)와 유사하다.
또한, 도 2d는 상기 물 공급 파이프(17)의 길이 방향의 중심 축(16)과 상기 구형 와류 챔버(18)의 중심점 사이의 약간의 수직 오프셋을 도시한다. 이 오프셋은 여기서 0.4mm, 즉, 상기 물 공급 파이프(17)의 반경(1.25mm)의 약 1/3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수직 편차로 실험하였다. 이들은 이러한 편차들이 상기 물 공급 파이프(17)와 상기 구형 와류 챔버(18) 사이의 반경의 차이보다 더 크지 않는다면,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구형 와류 챔버(18)에서 원하는 쌍안정 와류를 크게 방해하지 않는다. 각각의 경우에 이러한 수직 편차와 함께 상기 샤워기 암(11) 내의 특정 공간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유동에 유리하고 생산하기 쉽기 때문에, 중심 배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 2d의 도면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중심 배열으로부터의 약간의 편차 또한 기본적으로 고려할 수 있지만, 특히, 상당한 접선 유입이 달성될 때, 즉, 이 방향으로 상기 오프셋이 상기 반경 차이만큼 클 때, 단지 회전의 일 방향으로 일정한 와류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비교하여 이보다 작은 (또는 부정확한) 오프셋 섹션은 불이익하지 않다.
상기 제3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다. 앞서 이루어진 설명들이 또 다시 널리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전 도면들과 같이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얻어지며, 21과 29 사이의 도면 부호가 여기서 사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면 표면(도 3b 및 도 3c에서 좌측에 있음)은 "2" 또는 "12" 대신에 "22"로 식별된다. 상기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 같이, 도 3b 및 도 3c에서 또 다시 상기 수직선에 약 5°의 동일한 각도로 있다.
또한, 상기 제3 예시적인 실시예는 직선형의 원통형 섹션(24a)이 여기서 또 다시 만곡부를 구비한 교차부(29) 뒤의 상기 구형 와류 챔버(28) 위에 인접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응한다. 이 위에 공기 공급 채널(24c)들을 구비한 노즐(24b)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이러한 채널(24c)들이 세 부분으로 제공되고 노즐 출구 표면(23) 주위에서 링 세그먼트들처럼 그룹화되는 것을 도시한다. 그들은 상기 노즐 출구 표면(23) 바로 옆의 그들의 개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도 3d에서 화살표에 따라 대응하는 역 방향 후에 상기 노즐(24b)에서 상기 물 유동으로 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물 분사 펌프의 원리는 여기에 적용된다. 상기 물 분사의 대응하여 증가된 체적을 고려하여 상기 노즐(24b)의 실제 구역, 즉, 상기 공기 공급 채널들 사이에서 상기 물 분사에 대한 상기 파이프 단면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 출구 표면(23)은 상기 노즐(24b)과 상기 구형 와류 챔버(28) 사이의 상기 물 파이프 섹션(24a)보다 더 큰 단면을 갖는다.
상기 샤워기 분사 그 자체에 있어서 상기 구형 와류 챔버(28)로부터 난류 상태의 유지에 관하여, 원칙적으로 상기 제1 예시적인 실시예 및 제2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언급된 것을 적용한다. 상기 난류는 여기서 상기 제2 예시적인 실시예의 직선형의 유동 리브 노즐(14b)에 의한 것보다 덜 진정되지만, 또한, 상기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노즐의 평탄한 원추형의 구조에 의한 것보다 더 크게 방해된다. 이러한 버전에서는, 특히 많은 양의 공기가 공급되며 특히 "보다 체적적"이고 분명히 더 부드러운 샤워기 분사가 생성된다.
간결성을 위하여, 특히 항문부 세정을 위한, 단일의 샤워기 노즐이 세 개의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된다. 본 발명은 물론 기본적으로 동일한 샤워기 암에 복수의 샤워기 노즐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샤워기 노즐들은 상기 샤워기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이들 중 첫 번째에 대하여, 질부 노즐이 항문부 노즐과 결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경사진 정렬은 상기 두 노즐 사이의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에도 불구하고 세정되어야 할 영역 사이의 더 큰 해부학적 거리가 고려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샤워기 암(31)을 제외한 종래의 샤워기 변기(30)의 개략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상기 샤워기 변기(30)는 변기통(33) 및 도 4에서 후방의 좌측으로, 변기통(33)에 인접하는, 여기서 도면 부호 "32"로 일률적으로 식별되는 샤워기 장치를 위한 하우징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샤워기 장치는 전술한 샤워기 암(31) 및 그 바로 옆에 도시된 드라이어 암(34)의 형태로 상기 하우징 구조로부터 상기 변기통(33)으로 돌출한다. 상기 샤워기 암(31) 및 상기 드라이어 암(34) 모두 연장되고 후퇴될 수 있고, 상기 샤워기 변기(30)를 사용한 후에 공지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를 세정하고 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물 가열기, 특히 연속 흐름 가열기는 상기 샤워기 물을 위해 상기 하우징 구조에 제공되며, 상기 드라이어 암(34)의 건조한 공기를 위한 팬 히터를 구비한 송풍기에도 제공된다. 또한, 상기 샤워기 장치(32)는 냄새 추출 시스템 및 다양한 다른 이미 공지된 장비 구성들을 가질 수 있고, 도 4에 좌측에 도시된 상기 하우징 구조의 일 측면에 있는 컨트롤 패널에 의해 작동된다.
도시된 상기 샤워기 장치(32) 및 전체 샤워기 변기(30)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암(31)을 특징으로 하고, 도 4에 우측 하향을 지향하는 상기 단부는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한다. 상기 대응하는 물 공급 파이프(7, 17, 27)는 도 4에 도시된 상기 샤워기 암(31)의 전체 가시 거리를 따라 작동한다.

Claims (15)

  1. 샤워기 변기(30)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31)이며,
    상기 샤워기 변기(30)의 사용자를 세정하기 위한 샤워기 노즐(4, 14b, 24)로서 샤워기 물이 상기 샤워기 노즐(4, 14b, 24)로부터 상기 샤워기 변기(30)의 사용자의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샤워기 노즐(4, 14b, 24)과,
    상기 노즐(4, 14b, 24)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7, 17, 27)와,
    상기 노즐(4, 14b, 24)에 전달되는 샤워기 물에 회전하는 물 유동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물 공급 파이프(7, 17, 27) 내의 와류 챔버와,
    상기 와류 챔버 및 상기 샤워기 노즐(4, 14b, 24)의 노즐 출구 개구 사이의 물 파이프 부분(4, 14a, 14b, 24a)을 포함하며,
    상기 물 파이프 부분은 상기 와류 챔버 바로 앞의 상기 물 공급 파이프(7, 17, 27)의 단면과 같거나 더 작은 단면을 갖고,
    상기 와류 챔버는 구형 와류 챔버(8, 18, 28)이며, 상기 구형 와류 챔버(8, 18, 28)는 구형 와류 챔버(8, 18, 28)에 바로 앞서는 상기 물 공급 파이프(7, 17, 27)의 섹션보다 더 큰 내부 치수를 갖고, 상기 물 공급 파이프(7, 17, 27)의 입구 개구 및 출구 개구와 이 개구들의 어떠한 에지 교차부들을 제외하면 구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변기(30)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3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와류 챔버(8, 18, 28)에 바로 앞서는 상기 물 공급 파이프(7, 17, 27)의 상기 섹션은 상기 샤워기 물의 주 노즐 출구 방향(5, 15, 25)에 관하여 65°와 115° 사이의 각을 에워싸는,
    샤워기 변기(30)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3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와류 챔버(8, 18, 28)에 바로 앞서는 상기 물 공급 파이프(7, 17, 27)의 상기 섹션은 상기 샤워기 암(31)의 길이 방향(6, 16, 26)에 관하여 0°와 20° 사이의 각을 에워싸는,
    샤워기 변기(30)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3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와류 챔버(8, 18, 28)의 중심점이 상기 물 공급 파이프(7, 17, 27)의 상기 섹션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주 노즐 출구 방향(5, 15, 25)에 평행한 평면에 있도록, 상기 구형 와류 챔버(8, 18, 28)에 바로 앞서는 상기 물 공급 파이프(7, 17, 27)의 상기 섹션이 상기 구형 와류 챔버(8, 18, 28)와 만나는,
    샤워기 변기(30)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3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와류 챔버(8, 18, 28)에 바로 앞서는 상기 물 공급 파이프(7, 17, 27)의 상기 섹션은 상기 샤워기 물의 주 노즐 출구 방향(5, 15, 25)에 평행한 방향으로 오프셋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구형 와류 챔버(8, 18, 28)와 만나는,
    샤워기 변기(30)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3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와류 챔버(8, 18, 28)의 상기 출구 개구에 교차 에지들은 만곡되는,
    샤워기 변기(30)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31).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와류 챔버(8, 18, 28)에 바로 앞서는 상기 물 공급 파이프(7, 17, 27)의 상기 섹션의 내부 반경 및 상기 구형 와류 챔버(8, 18, 28) 자체의 내부 반경은 서로 0.3과 0.9 사이의 비율인,
    샤워기 변기(30)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3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 노즐(4)은, 상기 구형 와류 챔버(8) 위에 상기 출구 개구에서의 에지 만곡부를 제외하고, 상기 구형 와류 챔버(8)로부터 상기 노즐 출구 개구(3)로 연속적으로 테이퍼진 내부 단면을 갖는,
    샤워기 변기(30)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31).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 노즐(14b)은 상기 주 노즐 출구 방향(15)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유동 안내 리브를 구비하는,
    샤워기 변기(30)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31).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와류 챔버(28)와 상기 노즐 출구 표면(23) 사이의 상기 물 공급 파이프(27)의 부분 섹션(24a)에 상기 샤워기 물 유동으로 공기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 방향 공기 공급 채널(24c)이 제공되는,
    샤워기 변기(30)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3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채널 또는 채널(24c)들은 상기 노즐 출구 표면(23) 바로 옆의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 개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샤워기 변기(30)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암(31).
  12. 물 가열기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샤워기 암(31)을 포함하는,
    샤워기 변기(30) 또는 비데를 위한 샤워기 장치(32).
  13. 제12항에 따른 샤워기 장치(32)와 변기통(33)을 포함하는,
    샤워기 변기(30).
  14. 제13항에 있어서,
    작동 상태에서 상기 샤워기 암(13)은 상기 샤워기 노즐(4, 14b, 24)을 향하여 수평선에 대하여 2° 내지 30°의 각도로 하향하여 그 길이 방향(6, 16, 26)으로 경사지는,
    샤워기 변기(30).
  15. 삭제
KR1020147025368A 2012-02-16 2013-02-13 샤워기 변기를 위한 샤워기 암 KR101697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001036.8A EP2628546B1 (de) 2012-02-16 2012-02-16 Duscharm für Dusch-WC
EP12001036.8 2012-02-16
PCT/EP2013/000416 WO2013120605A1 (en) 2012-02-16 2013-02-13 Shower arm for shower w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098A KR20140123098A (ko) 2014-10-21
KR101697840B1 true KR101697840B1 (ko) 2017-02-01

Family

ID=4771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368A KR101697840B1 (ko) 2012-02-16 2013-02-13 샤워기 변기를 위한 샤워기 암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151032B2 (ko)
EP (1) EP2628546B1 (ko)
JP (1) JP5968468B2 (ko)
KR (1) KR101697840B1 (ko)
CN (1) CN104105549B (ko)
DK (1) DK2628546T3 (ko)
ES (1) ES2515717T3 (ko)
HR (1) HRP20141077T1 (ko)
PL (1) PL2628546T3 (ko)
PT (1) PT2628546E (ko)
RS (1) RS53540B1 (ko)
SI (1) SI2628546T1 (ko)
WO (1) WO2013120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7398B (zh) * 2014-10-14 2017-07-14 Toto株式会社 卫生洗净装置
ES2674793T3 (es) 2015-09-09 2018-07-04 Geberit International Ag Inodoro bidé con calentador continuo y caldera
DE202015006214U1 (de) 2015-09-09 2016-12-12 Geberit International Ag Dusch-WC mit Durchlauferhitzer und Boiler
ES2778101T3 (es) 2015-11-18 2020-08-07 Geberit Int Ag Inodoro-bidé con calentador de agua
DE202015007909U1 (de) 2015-11-18 2017-02-21 Geberit International Ag Dusch-WC mit einem Wassererhitzer
CN107178129A (zh) * 2016-03-12 2017-09-19 慈溪三和智能卫浴有限公司 一种温水便座喷水管组件
JP6623976B2 (ja) * 2016-08-25 2019-12-2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CN106759737B (zh) * 2016-11-29 2019-02-22 佛山市家家卫浴有限公司 一种喷洗装置及使用其的座便器
JP6957970B2 (ja) * 2017-05-19 2021-11-02 株式会社アイシン 洗浄便座装置
DE102017113207A1 (de) 2017-06-15 2018-12-20 Alfons Kenter Zerstäuberdüse zum Zerstäuben eines Fluids
CN107309107A (zh) * 2017-07-12 2017-11-03 昆明理工大学 一种液体喷洒用动压涡旋喷头
CN108343130B (zh) * 2018-01-31 2020-02-21 江苏大学 一种用于坐便器的旋转水清洗装置
CN108547360B (zh) * 2018-03-07 2019-12-03 江苏大学 一种用于智能坐便器的可喷射旋转水流的喷嘴
CN110575092B (zh) * 2019-09-19 2022-02-08 秦永红 一种自动消毒清洗马桶
CN110670687B (zh) * 2019-10-08 2020-12-18 江苏大学 一种低压旋流气泡式喷嘴
DE202020106169U1 (de) 2020-10-28 2022-02-01 Geberit International Ag Duscheinrichtung zur Montage an einer Schüssel
HRP20231329T1 (hr) 2020-10-28 2024-02-16 Geberit International Ag Upotreba uređaja za tuširanje dizajniranog za montiranje na školjku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5995A (ja) 2001-03-12 2002-09-25 Tot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及び洗浄装置
JP2003247260A (ja) 2002-02-25 2003-09-05 Toto Ltd 吐水装置
JP2011144581A (ja) 2010-01-15 2011-07-28 Toto Ltd 吐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88349A (en) * 1926-10-08 1928-04-10 Hermes George Lawrence De Whal Apparatus for delivery of liquids under pressure for atomising, aerating and like purposes
JPH0720564B2 (ja) * 1990-05-15 1995-03-08 松下電工株式会社 流体発振素子ノズル
US5826282A (en) * 1994-03-09 1998-10-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anitary cleaning apparatus
CN1175150C (zh) * 1996-08-06 2004-11-10 东陶机器株式会社 抽水马桶
JP4178353B2 (ja) * 1999-09-24 2008-11-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局部洗浄装置
US20040040080A1 (en) * 2002-08-30 2004-03-04 American Standard, Inc. Toilet assembly
WO2004097125A1 (ja) * 2003-04-28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GB0426429D0 (en) * 2004-12-01 2005-01-05 Incro Ltd Nozzle arrangement and dispenser incorporating nozzle arrangement
DE102008019930A1 (de) * 2007-04-19 2008-10-23 Vita Vortex Gmbh Flüssigkeitszerstäubervorrichtung
US8151379B2 (en) * 2007-05-07 2012-04-10 Kohler Co. Toilet with reduced water usage
KR101498238B1 (ko) * 2013-03-08 2015-03-05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의 노즐 팁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5995A (ja) 2001-03-12 2002-09-25 Tot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及び洗浄装置
JP2003247260A (ja) 2002-02-25 2003-09-05 Toto Ltd 吐水装置
JP2011144581A (ja) 2010-01-15 2011-07-28 Toto Ltd 吐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15717T3 (es) 2014-10-30
JP5968468B2 (ja) 2016-08-10
CN104105549A (zh) 2014-10-15
KR20140123098A (ko) 2014-10-21
US20150020302A1 (en) 2015-01-22
PL2628546T3 (pl) 2015-01-30
EP2628546B1 (de) 2014-08-13
HRP20141077T1 (hr) 2014-12-19
SI2628546T1 (sl) 2014-12-31
PT2628546E (pt) 2014-10-07
US9151032B2 (en) 2015-10-06
WO2013120605A1 (en) 2013-08-22
RS53540B1 (en) 2015-02-27
DK2628546T3 (en) 2014-11-17
JP2015513015A (ja) 2015-04-30
EP2628546A1 (de) 2013-08-21
CN104105549B (zh)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840B1 (ko) 샤워기 변기를 위한 샤워기 암
CN106938223B (zh) 吐水装置
EP3150770B1 (en) Spout apparatus
JP2018167164A (ja) 吐水装置
US20190153713A1 (en) Flush toilet
US10272450B2 (en) Spout apparatus
JP7265952B2 (ja) 吐出装置及び水回り設備
JP2006002485A (ja) 腰掛式便器
JP5633784B2 (ja) シャワー装置
CN115942994A (zh) 微流体振荡器
JP6827647B2 (ja) 吐水装置
US20170087568A1 (en) Spout apparatus
KR200344335Y1 (ko) 비데용 세척수 분사노즐장치
JP3162867U (ja) 泡シャワー
JP5633785B2 (ja) シャワー装置
WO2020189255A1 (ja) 吐出装置
JP2013153922A (ja) 手乾燥装置
JP5762422B2 (ja) 節水コマ
KR200348334Y1 (ko) 비데용 세척수 분사노즐장치
JP2022045781A (ja) 吐出装置
TW202409382A (zh) 用於衛生器具的沖洗水分配器及具有這種沖洗水分配器的衛生器具
JP5779733B1 (ja) シャワーヘッド
KR100741416B1 (ko) 비데용 분사노즐
JP2017064100A (ja) シャワーヘッド
JP2009082255A (ja) 噴流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