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474B1 -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474B1
KR101697474B1 KR1020140044117A KR20140044117A KR101697474B1 KR 101697474 B1 KR101697474 B1 KR 101697474B1 KR 1020140044117 A KR1020140044117 A KR 1020140044117A KR 20140044117 A KR20140044117 A KR 20140044117A KR 101697474 B1 KR101697474 B1 KR 101697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mixed
herbal medici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363A (ko
Inventor
심만섭
Original Assignee
천지인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지인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지인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4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47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9Polygalaceae (Milkwort fami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자육, 황금, 원지을 주 원료로 하는 혼합 생약제를 추출, 농축, 분말 단계를 거쳐 과립제, 산제, 환제로 제조함으로써 우울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자육, 황금, 원지로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과 연자육, 황금, 원지에 단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과 연자육, 황금, 원지에 용안육, 산조인, 백복령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과 연자육, 황금, 원지에 참당귀, 오미자, 치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과 연자육, 황금, 원지에 단삼, 용안육, 산조인, 백복령, 참당귀, 오미자, 치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혼합 생약제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A1)와 상기 단계(A1)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A2)와 혼합 생약제를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B1)와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B1)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과립제, 산제, 환제를 제조하는 단계(C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The herbal mixtur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composition and its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자육, 황금, 원지를 주 원료로 하는 혼합 생약제를 추출, 농축, 분말 단계를 거쳐 과립제, 산제, 환제로 제조함으로써 우울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는 생체에 미치는 자극이 일정한 정도 이상이 될 경우 상해적으로 작용하는데, 이때 생체는 그 자극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한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비특이적인 전신증후군을 나타내는 현상으로 정의되었다.
스트레스에 의한 대표적인 증상은 우울증이 있으며, 이 우울증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알려져 있다.(신경전달물질은 신경 세포에서 분비되는 신호 물질로, 한 신경원(neuron)에서 다른 신경원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대표적인 예로 히스타민, 세로토닌, 도파민 등이 있다.)
우울증의 주요 증상은 지속적인 우울감, 의욕 저하, 흥미의 저하, 수면장애, 식욕 저하 또는 식욕증가와 관련된 체중변화, 주의집중력 저하, 여성의 경우 산후 우울증, 갱년기 우울증 등이 있다.
우울증의 치료제인 항우울제는 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아민계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삼환계 항우울제(tricyclic antidepressant), 모노아민옥시다제 억제제(MAOI) 및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0194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로서 페닐-피페라진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우울증 및 불안증의 치료에 효과적인 신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우울증 및 불안증의 치료에 효능이 있지만, 상기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장기 복용 시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설사, 메스꺼움 및 구토와 같은 위장 장애가 유발되며, 걱정, 불안, 수면장애, 체중증가, 성기능장애 및 금단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장기 복용 시 부작용의 우려가 있는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달리 자연에서 채취된 생약제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에 관련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이 종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0333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의 부작용을 없앨 수 있지만, 건강기능식품의 역할만 할 뿐, 불안, 우울증에 대한 효과가 미흡하고, 수면, 식욕, 집중력 개선을 하지 못하는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자육, 황금, 원지를 주 원료로 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은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를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연자육, 황금, 원지를 주 원료로 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은 수면, 식욕, 집중력 개선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연자육, 황금, 원지를 주 원료로 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으로 과립제, 산제, 환제를로 제조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복용하도록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자육, 황금, 원지로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자육, 황금, 원지에 단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연자육, 황금, 원지에 용안육, 산조인, 백복령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자육, 황금, 원지에 참당귀, 오미자, 치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연자육, 황금, 원지에 단삼, 용안육, 산조인, 백복령, 참당귀, 오미자, 치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제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A1)와 상기 단계(A1)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A2)와 혼합 생약제를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B1)와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B1)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과립제, 산제, 환제를 제조하는 단계(C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연자육, 황금, 원지를 주 원료로 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은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연자육, 황금, 원지를 주 원료로 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은 수면, 식욕, 집중력 개선의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연자육, 황금, 원지를 주 원료로 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으로 과립제, 산제, 환제로 제조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복용하도록 편의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연자육, 황금, 원지로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며, 일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연자육 추출물 8 내지 92 중량%, 황금 추출물 4 내지 62 중량%, 원지 추출물 4 내지 30 중량%를 함유한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자육은 수련과(Nymphaeaceae)에 속하는 연꽃(Nelumbo nucifera Gaetner)의 씨로서 종피를 벗긴 것이다. 연자육의 효능은 비(脾)를 보하여 설사를 멈추게 하고, 신장(腎)을 도와주어 정기를 보호하며, 신체(身體)의 기운을 복돋아주어 심신을 편안하게 해준다. 연자육의 네퍼린(neferine) 성분은 항불안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스코플라민(scopolamine) 성분은 기억력 개선과 항우울활성 작용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은 일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8 중량% 미만인 경우 네퍼린과 스코플라민 체내 흡수가 낮아 항우울 활성 작용이 낮아지며, 92 중량% 초과인 경우 평소에 몸이 차거나 소화불량인 사람에게는 변비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황금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황금(黃芩)(Scutellaria baicalensis Geogi) 의 뿌리이다. 황금의 효능은 체내의 열을 내려주고 습을 건조시키고, 화를 내려주고 체내의 독(毒)을 해독하며, 체내의 열을 내려주어 혈에서 열기를 내려주고, 임신시 태아를 편안하게 보존하게 한다. 황금의 오록실린 에이(oroxylinA) 성분은 뇌졸중 같은 물리적 손상에 의한 기억력 감퇴에 대하여 기억력 회복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은 일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4 중량% 미만인 경우 오록실린 에이의 체내 흡수가 낮아 기억력 회복 개선의 효과가 없으며, 62 중량% 초과인 경우 독성은 없지만 약의 성질 때문에 설사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원지는 원지과(Polygalaceae)에 속하는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enow)의 뿌리이며,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원지의 효능은 마음을 편안하게 하며 심신을 안정시키고, 체내의 담을 제거하여 순환을 좋게 해 준다. 원지의 테뉴이폴린(tenuifolin)과 테뉴이폴리사이드 비(tenuifoliside B) 성분은 뇌 신경 보호 및 기억력 개선 작용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원지 추출물은 일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4 중량% 미만인 경우 뇌 신경보호 작용이 약해지고 기억력 회복 개선의 효과가 없으며, 30 중량% 초과인 경우 구토, 설사, 위장관장애, 현기증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연자육, 황금, 원지에 단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며, 다른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연자육 추출물 8 내지 88 중량%, 황금 추출물 4 내지 48 중량%, 원지 추출물 4 내지 24 중량%, 단삼 추출물 4 내지 20 중량%를 함유한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삼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며,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단삼의 효능은 혈을 활성화시켜 체내의 어혈을 제거하고, 혈을 도와주어 체내의 종기를 제거하며, 심신을 편안하게 해 준다. 단삼은 임상에서 심혈관질환, 간질환, 월경이상, 부종 및 불면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중추신경계를 활성화시켜 수면 시간 연장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단삼 추출물은 다른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4 중량% 미만인 경우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이 약하여 수면 개선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20 중량% 초과인 경우 출혈성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지혈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연자육, 황금, 원지에 용안육, 산조인, 백복령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며, 또 다른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연자육 추출물 8 내지 73 중량%, 황금 추출물 4 내지 38 중량%, 원지 추출물 4 내지 18 중량%, 용안육 추출물 7 내지 12 중량%, 산조인 추출물 8 내지 12 중량%, 백복령 추출물 4 내지 12 중량%를 함유한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안육은 무환자과(Sapindaceae)에 속하는 용안(Dimocarpus longan Lour.)의 가종피를 말하며, 용안육의 효능은 심(心)장과 비장(脾臟)의 기운을 복돋아주고, 체내의 기(氣)와 혈(血)을 복돋아 준다. 용안육의 성분 중 탄닌의 일종인 코릴라진(corilagin)은 항고혈압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심신을 안정시켜주는 작용이 있다. 또한, 스트레스 억제작용, 체중증가작용, 면역증강작용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용안육 추출물은 또 다른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7 중량% 미만인 경우 심신을 안정시켜주는 작용이 약하여 숙면을 취할 수 없고 이로 인해 피로감이 더 느낄 수 있고, 12 중량% 초과인 경우 용안육의 따뜻한 성질 때문에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복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산조인은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속하는 묏대추나무(Zizyphus jujuba Mill. var. spinosa Hu)의 종자를 건조한 것이다. 산조인의 효능은 심장에 영양을 공급해주고 간을 도와주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땀을 수렴한다. 산조인은 중추신경계의 과도한 흥분으로 의해 발생하는 불면, 불쾌감 등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진정 또는 수면약물로 사용되고 있다. 산조인의 알칼로이드 성분 중의 하나인 산조이닌 에이(sanjoinine A)는 불안완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산조인 추출물은 또 다른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8 중량% 미만인 경우 중추신경계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하지 못하여 불면 치료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12 중량% 초과인 경우 자궁근육을 수축시키는 작용이 강해져 임산부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상기 백복령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복령(pachyma hoelen Rumph. 잔나비걸상과 polyporaceae)의 균핵이다. 가운데 송근(松根)이 있는 것을 복신(茯神), 피부(皮部)를 복령피(茯笭皮)라고 하며, 내부가 담홍색인 것을 적복령(赤茯)이라 하고, 적복령을 절편한 다음 백색 부분만을 백복령(白茯)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복령이란 백복령을 말한다. 백복령의 효능은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체내의 습기를 제거하고, 비장을 건강하게 하며, 마음을 편안하게 하며 심신을 안정시킨다. Caffeine으로 유도된 흥분을 억제하여 수면 개선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백복령 추출물은 또 다른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4 중량% 미만인 경우 신경과민를 해소하지 못하여 불안, 초조감을 느끼게 하며, 12 중량% 초과인 경우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에게 변비를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연자육, 황금, 원지에 참당귀, 오미자, 치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며, 또 다른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연자육 추출물 8 내지 69 중량%, 황금 추출물 4 내지 15 중량%, 원지 추출물 4 내지 7 중량%, 참당귀 추출물 5 내지 40 중량%, 오미자 추출물 15 내지 24 중량, 치자 추출물 3 내지 6 중량%를 함유한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참당귀는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이다. 참당귀의 주 성분은 쿠마린(coumarin) 유도체로서 디커시널(decursinal)이다. 참당귀의 효능은 진정, 진통, 항염, 항균, 조경, 배변작용을 원활하게 한다. 다른 효능은 심근의 산소 순환이 촉진되어 혈압을 저하시키고 심신(心神)의 안정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참당귀 추출물은 또 다른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5 중량% 미만인 경우 심신 안정을 주지 못하여 불안감을 느끼게 하며, 40 중량% 초과인 경우 장이나 위가 약한 사람에게 설사를 멈추지 못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오미자는 오미자과(Schizandraceae) 에 속하는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의 성숙한 열매를 건조한 것이다. 오미자의 효능은 기침과 가래의 진정작용이 있으며, 신장의 진액을 공급해 주고, 진액을 공급 해 주고 땀을 나가지 않게 하며, 신장의 정기를 보호하고 설사를 멈추게 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안정시킨다. 오미자의 성분인 쉬잔드롤 에이(schizandrol A)는 수면 시간 연장 효과를 가지고, 심혈관계에 대하여 오미자 추출물은 혈압을 저하시키며 심박동수를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또 다른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15 중량% 미만인 경우 쉬잔드롤 에이(schizandrol A)의 체내 흡수량이 적어져 수면 시간의 연장 효과를 가질 수 없고, 24 중량% 초과인 경우 호흡 곤란 증세가 나타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치자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한 상록관목인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Ellis)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이다. 치자의 효능은 체내의 화와 번민을 제거하고, 체내의 열을 내려주고 이뇨작용을 도우며, 체내의 혈을 차갑게 해 주고 해독작용을 한다. 치자는 수면 시간 연장과 혈압강하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치자 추출물은 또 다른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3 중량% 미만인 경우 수면 시간의 연장 효과가 낮아지며, 6 중량% 초과인 경우 위 기능 저하, 복부 창만, 현기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연자육, 황금, 원지에 단삼, 용안육, 산조인, 백복령, 참당귀, 오미자, 치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며, 또 다른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연자육 추출물 8 내지 12 중량%, 황금 추출물 7 내지 12 중량%, 원지 추출물 4 내지 6 중량%, 단삼 4 내지 6 중량%, 용안육 추출물 7 내지 12 중량%, 산조인 추출물 8 내지 12 중량%, 백복령 추출물 4 내지 6 중량%, 참당귀 추출물 5 내지 40 중량%, 오미자 15 내지 23 중량%, 치자 추출물 3 내지 6 중량%를 함유한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내용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제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A1)와 상기 단계(A1)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A2)와 혼합 생약제를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B1)와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B1)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과립제, 산제, 환제를 제조하는 단계(C1)를 제공한다.
상기 혼합 생약제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A1)에서 정제수와 식품용 알코올을 8 : 2 내지 5 : 5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 용매를 제조한다. 상기 식품용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추출 용매는 알코올 대비 물의 중량비가 5 중량비 미만이면 알코올 성분이 상대적으로 늘어나 추출 후 알코올이 남아있어서 알코올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며, 알코올 대비 물의 중량비가 8 중량비를 초과이면 알코올 성분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각각의 생약제의 추출물들이 균일하게 추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우선 혼합 생약제를 깨끗이 세척하고 배합한 후, 1,000 내지 5,000 mL의 상기 혼합 추출 용매를 넣고 75 내지 9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A1)를 수행한다.
상기 혼합 생약제를 배합할 때는 연자육, 황금, 원지로 구성된 군 또는 연자육, 황금, 원지로 구성된 군에 단삼을 더 포함하거나 연자육, 황금, 원지로 구성된 군에 용안육, 산조인, 백복령으로 구성된 군을 더 포함하거나 연자육, 황금, 원지로 구성된 군에 참당귀, 오미자, 치자로 구성된 군을 더 포함하거나 연자육, 황금, 원지로 구성된 군에 단삼, 용안육, 산조인, 백복령, 참당귀, 오미자, 치자로 구성된 군을 더 포함하여 배합을 한다.
상기 단계(A1)에서 상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얻은 후, 상기 단계(A1)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A2)를 수행한다. 1,000 내지 5,000 mL의 상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진공 저온 농축 방법으로 500 내지 1,000 mL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한다.
상기 진공 저온 농축 방법은 열 영향을 받는 물질이나 공기에 의해 산화되는 물질을 농축하기 위해 진공 상태에서 저온(40 ~ 90 ℃)으로 약효 손상 없이 농축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로, 상기 혼합 생약제를 건조하고 분말화하는 단계(B1)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B1)에서는 혼합 생약제를 깨끗이 세척하고 배합한 후, 건조기에서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100 내지 400 mesh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혼합 생약제를 배합할 때는 연자육, 황금, 원지로 구성된 군 또는 연자육, 황금, 원지로 구성된 군에 단삼을 더 포함하거나 연자육, 황금, 원지로 구성된 군에 용안육, 산조인, 백복령으로 구성된 군을 더 포함하거나 연자육, 황금, 원지로 구성된 군에 참당귀, 오미자, 치자로 구성된 군을 더 포함하거나 연자육, 황금, 원지로 구성된 군에 단삼, 용안육, 산조인, 백복령, 참당귀, 오미자, 치자로 구성된 군을 더 포함하여 배합을 한다.
상기 단계(A2)에 의해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고, 상기 단계(B1)에 의해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한 후, 다음과 같이 과립제, 산제, 환제를 제조하는 단계(C1)를 수행한다.
상기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부형제(옥수수 분말)를 1 : 1 내지 4 : 1 중량비로 배합한 후 동결건조로 과립제를 제조한다.
상기 부형제는 약제에 적당한 굳기나 형상을 주기 위해서 첨가하거나, 주제(主劑)의 양이 적은 경우에 일정 중량을 주어 취급하기 쉬운 크기로 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이다. 상기 혼합 생약제 농축액이 부형제 대비 1 중량비 미만이면 우울증의 효능이 나타나지 않으며, 부형제 대비 4 중량비를 초과하면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부형제가 서로 응집되는 것이 어려워 과립제 제조 시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혼합 생약제 분말을 1 : 1 내지 4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100 내지 400 mesh 산제를 제조한다.
상기 산제 100 내지 400 g에 찹쌀 50 내지 450 g과 정제수 500 내지 1,500 mL를 더 포함하여 혼합하고 3 내지 7 mm의 직경으로 환제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혼합 추출 용매의 제조예
혼합 추출 용매는 정제수와 식품용 알코올(에탄올)을 7 : 3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예 1
본 발명의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예 1은 아래와 같은 조성물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A1) 연자육 50.0 중량%, 황금 33.0 중량%, 원지 17.0 중량%의 생약제를 배합한 후, 상기 제조예의 혼합 추출 용매 1,000 내지 5,000 mL를 넣고 75 내지 9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A2) 상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얻은 후, 1,000 내지 5,000 mL의 상기 단계(A1)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진공 저온 농축 방법으로 500 내지 1,000 mL로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B1) 연자육 50.0 중량%, 황금 33.0 중량%, 원지 17.0 중량%의 생약제를 깨끗이 씻은 후, 건조기에서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100 내지 400 mesh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였다.
(C1)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옥수수 분말(부형제)을 2 : 1 중량비로 배합한 후 동결건조로 과립제를 제조하고,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B1)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 mesh 산제를 제조하며, 상기 산제 300 g에 찹쌀 300 g과 정제수 1,000 mL를 더 포함하여 혼합한 후 5 mm의 직경으로 환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예 2
본 발명의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예 2는 아래와 같은 조성물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A1) 연자육 48.0 중량%, 황금 26.0 중량%, 원지 14.0 중량%, 단삼 12.0 중량%의 생약제를 배합한 후, 상기 제조예의 혼합 추출 용매 1,000 내지 5,000 mL를 넣고 75 내지 9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A2) 상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얻은 후, 1,000 내지 5,000 mL의 상기 단계(A1)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진공 저온 농축 방법으로 500 내지 1,000 mL로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B1) 연자육 48.0 중량%, 황금 26.0 중량%, 원지 14.0 중량%, 단삼 12.0 중량%의 생약제를 깨끗이 씻은 후, 건조기에서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100 내지 400 mesh 혼합 생약제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였다.
(C1)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옥수수 분말(부형제)을 2 : 1 중량비로 배합한 후 동결건조로 과립제를 제조하고,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B1)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 mesh 산제를 제조하며, 상기 산제 300 g에 찹쌀 300 g과 정제수 1,000 mL를 더 포함하여 혼합한 후 5 mm의 직경으로 환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예 3
본 발명의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예 3은 아래와 같은 조성물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A1) 연자육 40.5 중량%, 황금 21.0 중량%, 원지 11.0 중량%, 용안육 9.5 중량%, 산조인 10.0 중량%, 백복령 8.0 중량%의 생약제를 배합한 후, 상기 제조예의 혼합 추출 용매 1,000 내지 5,000 mL를 넣고 75 내지 9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A2) 상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얻은 후, 1,000 내지 5,000 mL의 상기 단계(A1)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진공 저온 농축 방법으로 500 내지 1,000 mL로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B1) 연자육 40.5 중량%, 황금 21.0 중량%, 원지 11.0 중량%, 용안육 9.5 중량%, 산조인 10.0 중량%, 백복령 8.0 중량%의 생약제를 깨끗이 씻은 후, 건조기에서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100 내지 400 mesh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였다.
(C1)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옥수수 분말(부형제)을 2 : 1 중량비로 배합한 후 동결건조로 과립제를 제조하고,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B1)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 mesh 산제를 제조하며, 상기 산제 300 g에 찹쌀 300 g과 정제수 1,000 mL를 더 포함하여 혼합한 후 5 mm의 직경으로 환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예 4
본 발명의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예 4는 아래와 같은 조성물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A1) 연자육 38.5 중량%, 황금 9.5 중량%, 원지 5.5 중량%, 참당귀 22.5 중량%, 오미자 19.5 중량%, 치자 4.5 중량%의 생약제를 배합한 후, 상기 제조예의 혼합 추출 용매 1,000 내지 5,000 mL를 넣고 75 내지 9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A2) 상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얻은 후, 1,000 내지 5,000 mL의 상기 단계(A1)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진공 저온 농축 방법으로 500 내지 1,000 mL로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B1) 연자육 38.5 중량%, 황금 9.5 중량%, 원지 5.5 중량%, 참당귀 22.5 중량%, 오미자 19.5 중량%, 치자 4.5 중량%의 생약제를 깨끗이 씻은 후, 건조기에서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100 내지 400 mesh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였다.
(C1)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옥수수 분말(부형제)을 2 : 1 중량비로 배합한 후 동결건조로 과립제를 제조하고,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B1)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 mesh 산제를 제조하며, 상기 산제 300 g에 찹쌀 300 g과 정제수 1,000 mL를 더 포함하여 혼합한 후 5 mm의 직경으로 환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예 5
본 발명의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예 5는 아래와 같은 조성물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A1) 연자육 10.0 중량%, 황금 9.5 중량%, 원지 5.0 중량%, 단삼 5.0 중량%, 용안육 9.5 중량%, 산조인 10.0 중량%, 백복령 5.0 중량%, 참당귀 22.5 중량%, 오미자 19.0 중량%, 치자 4.5 중량%의 생약제를 배합한 후, 상기 제조예의 혼합 추출 용매 1,000 내지 5,000 mL를 넣고 75 내지 9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A2) 상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얻은 후, 1,000 내지 5,000 mL의 상기 단계(A1)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진공 저온 농축 방법으로 500 내지 1,000 mL로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B1) 연자육 10.0 중량%, 황금 9.5 중량%, 원지 5.0 중량%, 단삼 5.0 중량%, 용안육 9.5 중량%, 산조인 10.0 중량%, 백복령 5.0 중량%, 참당귀 22.5 중량%, 오미자 19.0 중량%, 치자 4.5 중량%의 생약제를 깨끗이 씻은 후, 건조기에서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100 내지 400 mesh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였다.
(C1)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옥수수 분말(부형제)을 2 : 1 중량비로 배합한 후 동결건조로 과립제를 제조하고,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B1)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 mesh 산제를 제조하며, 상기 산제 300 g에 찹쌀 300 g과 정제수 1,000 mL를 더 포함하여 혼합한 후 5 mm의 직경으로 환제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비교 제조예
본 발명의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비교 제조예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조성물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복분자 250 g을 세절한 후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여 70 % 메탄올(750 mL)로 3회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
본 발명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 실시예 1 > 내지 < 실시예 5 >와 < 비교예 >에 의해 제조된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이용하여 우울증으로 인한 불면증, 식욕 감퇴, 집중력 감퇴를 가진 환자 50명(남녀 각각 25명)을 대상으로 3 개월간 비교 관능 평가하였다. 수면 개선, 식욕 개선, 집중력 개선에 대한 관능평가는 5점 척도법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로 진행하였으며, 매우 좋음 5 점, 좋음 4 점, 보통 3 점, 나쁨 2 점, 매우 나쁨 1 점으로 하였다. 평가 점수는 하기 [표 1]과 같다.
평가항목 실시예 1의
추출물
실시예 2의
추출물
실시예 3의
추출물
실시예 4의
추출물
실시예 5의
추출물
비교예의
추출물
수면 개선 4.24 4.85 4.75 4.41 4.96 2.37
식욕 개선 4.10 4.73 4.53 4.34 4.83 2.43
집중력 개선 4.05 4.68 4.30 4.27 4.77 2.15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연자육, 황금, 원지, 단삼, 용안육, 산조인, 백복령, 참당귀, 오미자 및 치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은 연자육 추출물 8 내지 12 중량%, 황금 추출물 7 내지 12 중량%, 원지 추출물 4 내지 6 중량%, 단삼 4 내지 6 중량%, 용안육 추출물 7 내지 12 중량%, 산조인 추출물 8 내지 12 중량%, 백복령 추출물 4 내지 6 중량%, 참당귀 추출물 5 내지 40 중량%, 오미자 15 내지 23 중량% 및 치자 추출물 3 내지 6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혼합 생약제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A1);
    상기 단계(A1)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A2);
    혼합 생약제를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B1);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B1)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산제 또는 환제를 제조하는 단계(C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단계(A1)과 단계(B1)의 혼합 생약제는 연자육, 황금, 원지, 단삼, 용안육, 산조인, 백복령, 참당귀, 오미자 및 치자를 포함하여 이루어고,
    상기 단계(A2)에서 혼합 생약제 추출물은 연자육 추출물 8 내지 12 중량%, 황금 추출물 7 내지 12 중량%, 원지 추출물 4 내지 6 중량%, 단삼 4 내지 6 중량%, 용안육 추출물 7 내지 12 중량%, 산조인 추출물 8 내지 12 중량%, 백복령 추출물 4 내지 6 중량%, 참당귀 추출물 5 내지 40 중량%, 오미자 15 내지 23 중량% 및 치자 추출물 3 내지 6 중량%를 함유하며,
    상기 단계(A2)에서 혼합 생약제 농축액은 진공 저온 농축 방법으로 농축되는 것으로, 약효 손상이 없도록 진공 상태에서 40 ~ 90 ℃로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혼합 생약제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A1);
    상기 단계(A1)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A2);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옥수수 분말을 1 : 1 내지 4 : 1 중량비로 배합한 후 동결건조로 과립제를 제조하는 단계(C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단계(A1)의 혼합 생약제는 연자육, 황금, 원지, 단삼, 용안육, 산조인, 백복령, 참당귀, 오미자 및 치자를 포함하여 이루어고,
    상기 단계(A2)에서 혼합 생약제 추출물은 연자육 추출물 8 내지 12 중량%, 황금 추출물 7 내지 12 중량%, 원지 추출물 4 내지 6 중량%, 단삼 4 내지 6 중량%, 용안육 추출물 7 내지 12 중량%, 산조인 추출물 8 내지 12 중량%, 백복령 추출물 4 내지 6 중량%, 참당귀 추출물 5 내지 40 중량%, 오미자 15 내지 23 중량% 및 치자 추출물 3 내지 6 중량%를 함유하며,
    상기 단계(A2)에서 혼합 생약제 농축액은 진공 저온 농축 방법으로 농축되는 것으로, 약효 손상이 없도록 진공 상태에서 40 ~ 90 ℃로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6 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A1)에서 정제수와 식품용 알코올을 8 : 2 내지 5 : 5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2)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B1)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65 내지 75 ℃의 온도로 건조한 후 산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산제에 찹쌀과 정제수를 더 포함하여 혼합한 후 3 내지 7 mm의 직경으로 환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40044117A 2014-04-14 2014-04-14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97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117A KR101697474B1 (ko) 2014-04-14 2014-04-14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117A KR101697474B1 (ko) 2014-04-14 2014-04-14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363A KR20150118363A (ko) 2015-10-22
KR101697474B1 true KR101697474B1 (ko) 2017-01-18

Family

ID=5442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117A KR101697474B1 (ko) 2014-04-14 2014-04-14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4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841A (ko) * 2019-01-10 2020-07-20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 추출물 yj06을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58761A3 (ko) * 2021-01-22 2023-01-12 신지환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193B1 (ko) * 2021-01-22 2023-04-27 신지환 항우울용, 스트레스 완화용 및 항불안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사상의학회지 제7권 제2호, 227-240 페이지(1995년)*
인터넷 자료, url: http://chungdamin.tistory.com/413(2013.11.22.게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841A (ko) * 2019-01-10 2020-07-20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 추출물 yj06을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58761A3 (ko) * 2021-01-22 2023-01-12 신지환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363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952B1 (ko) 수면에 영향을 주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
CN106035861A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桦褐孔菌代用茶及其制备方法
CN111012876A (zh) 一种改善睡眠的产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697474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2673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19999A (ko) 동의보감 원문에 근거한 국산 유기농 공진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389587A (zh) 一种清润保健花茶及其制备工艺
CN110973625A (zh) 基于火麻仁的护肝醒酒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895387B (zh) 一种温补肾阳的药物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8653432B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剂
CN103656315A (zh) 用于治疗猪传染性胸膜肺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10179931B (zh) 一种养心安神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332390A (zh) 一种补肝肾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840773A (zh) 治疗椎动脉型颈椎病的中药组合物及制法
CN103751391A (zh) 一种治疗马胃蝇蛆病的药物组方
CN105169259A (zh) 治疗癫狂的方剂及制备方法
CN113749279A (zh) 一种咖啡味提神烟弹烟油及其制备方法
CN103751388A (zh) 一种治疗马属动物螨病的药物组方
CN104800687A (zh) 一种治疗小儿疳积的中药剂及其制备方法
CN110897119A (zh) 一种改善睡眠质量的组合物
CN104436090A (zh) 一种治疗神经性呕吐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CN103800515A (zh) 一种治疗马属动物寄生虫病的药物组合
CN112675282A (zh) 一种治疗肺炎的组合物、制备方法及其制备的颗粒
CN111543524A (zh) 桦褐孔菌健脾化湿祛浊保健茶
CN106177590A (zh) 一种用于治疗小儿抽动秽语综合征的中药胶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