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439B1 -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439B1
KR101697439B1 KR1020150151338A KR20150151338A KR101697439B1 KR 101697439 B1 KR101697439 B1 KR 101697439B1 KR 1020150151338 A KR1020150151338 A KR 1020150151338A KR 20150151338 A KR20150151338 A KR 20150151338A KR 101697439 B1 KR101697439 B1 KR 10169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ndensing
condenser
suppli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판홍
Original Assignee
장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판홍 filed Critical 장판홍
Priority to KR102015015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41/06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1/28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the element being built-up from finned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1Fan speed control of condense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 엔진으로 구동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1차 응축시키는 제1응축부; 상기 제1응축부의 전방에 구비되되, 상기 제1응축부와 소정의 간격(d)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응축부에서 1차 응축된 냉매를 2차 응축시키는 제2응축부; 상기 제1응축부 및 제2응축부에서 응축된 냉매가 교축(throtting)되어 저온 및 저압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팽창밸브; 및 상기 팽창밸브에서 냉각된 냉매를 이용하여 냉동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및 정차에 따라 냉매가 제1응축부만을 거쳐 증발부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제1응축부 및 제2응축부를 거쳐 증발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정차시에도 냉동부의 온도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REFRIGERATION SYSTEM EFFICIENCY OF THE REFRIGERATOR CAR REFRIGERATOR HAS BEEN IMPROVED}
본 발명은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부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차량의 주행 및 정차에 따라 연동되어, 제1응축부만을 거쳐 공급되도록 하거나, 제1응축부 및 제2응축부를 거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냉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는 채소류, 육류, 어류, 빙과류 및 냉동식품 등을 운반하기 위해서 냉동 기능이 구비되는 냉동탑차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냉동탑차는 각종 냉동식품이나 저온식품 등 상온에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없는 저온 식물 및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차량 적재부에 박스 형태의 운반고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의 헤드부 또는 운반고의 상부에 상기 운반고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냉동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냉동탑차는, 차량의 주행시에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그 냉동 효율이 적정 수준으로 나오게 되어 운반고의 온도 조절에 문제가 없으나, 차량의 정차시에는 차량의 주행에 따른 바람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냉동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계절에 따라 비교적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차량의 정차시에도 냉동 효율이 적정 수준으로 나오게 되나, 비교적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차량의 주행시에도 냉동 효율이 적정 수준으로 나오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국내등록특허 제 10-1461394 호(등록일자 : 2014. 11. 07)에는 압력 조절 기능을 가지는 냉동탑차의 냉동-냉방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압력 조절 기능을 가지는 냉동탑차의 냉동-냉방 시스템은, 차량의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응축되도록 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거친 냉매가 통과되면서 냉동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부 증발기, 냉동탑차의 내부로 냉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방부 증발기, 상기 냉동부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가 압축기로 흡입되도록 하는 제1흡입배관 및 상기 냉방부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가 압축기로 흡입되도록 하는 제2흡입배관으로 이루어져, 1대의 압축기를 이용하여 냉방부와 냉동부를 동시에 가동할 수 있게 되고, 제1흡입배관 및 제2흡입배관을 각각 독립되게 구성함으로써 냉방부와 냉동부 싸이클의 압력 간섭을 최소화하여 냉방부가 냉동부보다 비교적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성능 저하를 방지하며, 자동으로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냉방부와 냉동부를 동시에 구비하기 위한 구성에는 문제가 없으나, 차량의 정차시에도 냉방부 및 냉동부의 적정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은 구비되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계절에 따른 온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성도 구비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KR 10-1461394 B1 (2014. 11. 07)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주행시에는 냉매가 제1응축부만을 거쳐 공급되도록 하고, 차량의 정차시에는 냉매가 제1응축부 및 제2응축부를 거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정차시에도 냉동부의 적정 온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응축부에서 응축되어 배출되는 냉매가 팽창밸브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와, 제1응축부에서 1차 응축되어 배출되는 냉매가 제2응축부에서 2차 응축되어 팽창밸브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가 각각 차량의 주행 및 정차에 따라 연동되도록 할 수 있는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은, 자체 엔진으로 구동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1차 응축시키는 제1응축부; 상기 제1응축부의 전방에 구비되되, 상기 제1응축부와 소정의 간격(d)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응축부에서 1차 응축된 냉매를 2차 응축시키는 제2응축부; 상기 제1응축부 및 제2응축부에서 응축된 냉매가 교축(throtting)되어 저온 및 저압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팽창밸브; 및 상기 팽창밸브에서 냉각된 냉매를 이용하여 냉동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응축부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공급배관; 상기 제1공급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응축부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상기 제2응축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응축배관; 상기 제2응축부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상기 제1공급배관으로 재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냉매가 상기 제1공급배관과 응축배관의 분기부 후단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공급배관; 상기 응축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가 상기 제2응축부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제어밸브; 및 상기 제1공급배관과 제2공급배관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급배관 또는 제2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를 제어하는 제2제어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응축부는, 상기 압축부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통과되는 응축관; 상기 응축관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응축관을 통과하는 냉매의 열을 방사시키는 방열핀; 상기 응축관과 접촉되게 구비되며, 상기 응축관을 통과하는 냉매에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사시키는 라디에이터; 및 상기 라디에이터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관, 방열핀 및 라디에이터에서 방사되는 열을 흡인하여 송풍하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및 정차에 따라 냉매가 제1응축부만을 거쳐 공급되도록 하거나, 제1응축부 및 제2응축부를 모두 거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정차시에도 냉동부의 온도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응축부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팽창밸브로 공급되는 경우와 제2응축부로 공급되는 경우가 각각 구분되도록 함으로써 냉매의 역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응축부의 응축관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열핀, 라디에이터 및 송풍팬을 통해 방사되도록 함으로써 제1응축부의 냉매 응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계절에 따라, 비교적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냉매가 제1응축부만을 거쳐 공급되도록 하고, 비교적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냉매가 제1응축부 및 제2응축부를 모두 거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의 제1응축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압축부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차량의 주행 및 정차에 따라 연동되어, 제1응축부만을 거쳐 공급되도록 하거나, 제1응축부 및 제2응축부를 거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냉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의 제1응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냉동 시스템(100)은, 자체 엔진(70)으로 구동되는 압축부(10), 상기 압축부(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1차 응축시키는 제1응축부(20), 상기 제1응축부(20)의 전방에 구비되되 상기 제1응축부(20)와 소정의 간격(d)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응축부(20)에서 1차 응축된 냉매를 2차 응축시키는 제2응축부(30), 상기 제1응축부(20) 및 제2응축부(30)에서 응축된 냉매가 교축(throtting)되어 저온 및 저압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팽창밸브(50) 및 상기 팽창밸브(50)에서 냉각된 냉매를 이용하여 냉동부(220)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부(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응축부(30)가 갖는 소정 간격(d)은 상기 제1응축부(2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제2응축부(3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간격이며, 예를 들면 5 ~ 20cm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응축부(20)의 열은 상기 제1응축부(20)가 상기 엔진(70)과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엔진(7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도되어 발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2응축부(30)를 상기 제1응축부(20)와 소정 간격(d) 이격시키는 것은 상기 제1응축부(20)가 엔진(70)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도 상기 엔진(70)의 열이 제2응축부(30)에 까지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냉매를 충분히 응축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냉동 시스템(100)은, 상기 압축부(10)에서 공급되어 제1응축부(20) 및 제2응축부(30)를 거쳐 응축된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50)에서 냉각된 후 상기 증발부(40)를 거쳐 다시 상기 압축부(10)로 전달된 후 압축되는 순환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공급배관(61)에는 상기 제1응축부(20) 및 제2응축부(30)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액체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50)로 이동되기 전에 일시 저장되는 수액탱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액탱크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고압용기로 구성되고, 주위 온도나 환경에 따른 변화에도 상기 냉동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냉매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냉매의 흐름상 상기 수액탱크의 다음 위치에는 상기 수액탱크를 거친 액체 냉매의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드라이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 시스템(100)에는, 상기 제1응축부(20)와 팽창밸브(5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응축부(2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50)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공급배관(61), 상기 제1공급배관(61)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응축부(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상기 제2응축부(30)로 공급되도록 하는 응축배관(63), 상기 제2응축부(30)와 제1공급배관(61)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응축부(3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상기 제1공급배관(61)으로 재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냉매가 상기 제1공급배관(61)과 응축배관(63)의 분기부 후단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공급배관(65), 상기 응축배관(63)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급배관(61)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가 상기 제2응축부(30)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제어밸브(67) 및 상기 제1공급배관(61)과 제2공급배관(65)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급배관(61) 또는 제2공급배관(65)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를 제어하는 제2제어밸브(69)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200)의 주행시에는 상기 제1제어밸브(67)가 잠기고 상기 제2제어밸브(69)는 상기 제1응축부(20)로부터 연결된 배관(a)만 열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응축부(20)만을 이용하여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고, 차량(200)의 정차시에는 상기 제1제어밸브(67)가 열리고 상기 제2제어밸브(69)는 상기 제2응축부(30)로부터 연결된 배관(b)만 열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응축부(20) 및 제2응축부(30)를 모두 이용하여 냉매를 1차 및 2차로 응축시킬 수 있다. 즉, 차량(200)의 주행시에는 차량(200)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바람에 따른 영향에 의해 제1응축부(20)만을 이용하여 차량(200)의 냉동부(220)를 냉동시키게 되고, 차량(200)의 정차시에는 제1응축부(20) 및 제2응축부(30) 모두를 이용하여 차량(200)의 냉동부(220)를 냉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제어밸브(67)는 자체 엔진(70)과 연동되어 차량(200)의 주행시에는 잠기고 정차시에는 열리도록 자동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2제어밸브(69)는 상기 엔진(70)과 연동되어 차량(200)의 정차시에는 배관(a)만 열리고 주행시에는 배관(b)만 열리도록 자동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응축부(20) 및 제2응축부(30)는 상기 압축부(10)로부터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에서 열을 방출하여 응축 및 액화시키게 된다. 즉 상기 증발부(40)에서 열을 얻은 냉매는, 상기 압축부(10)를 거쳐 상기 제1응축부(20) 및 제2응축부(30)로 공급되어 상기 제1응축부(20) 및 제2응축부(30)의 방열 구조에 의해 응축 잠열을 빼앗기게 되고, 상기 팽창밸브(50)에서 교축되어 저온 및 저압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응축부(20)는, 상기 압축부(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통과되는 응축관(21), 상기 응축관(21)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응축관(21)을 통과하는 냉매의 열을 방사시키는 방열핀(22), 상기 응축관(21)과 접촉되게 구비되며 상기 응축관(21)을 통과하는 냉매에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사시키는 라디에이터(23) 및 상기 라디에이터(23)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관(21), 상기 방열핀(22) 및 라디에이터(23)에서 방사되는 열을 흡인하여 송풍하는 송풍팬(2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응축부(30)는 상기 제1응축부(20)의 응축관(21)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냉매가 통과되는 응축관(31) 및 상기 제1응축부(20)의 방열핀(22)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응축관(21)을 통과하는 냉매의 열을 방시키는 방열핀(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응축부(20) 및 제2응축부(30)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나, 상기 제1응축부(20) 및 제2응축부(30)의 외형이 방열핀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상기 제1응축부(20)에 구비되는 송풍팬(24)은 상기 제2응축부(30)를 통과하는 냉매의 열까지도 흡인하여 송풍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차량(200)이 주행중인 상태에서의 냉동 시스템(100)을 나타내고 있다.
차량(200)이 주행중이기 때문에 차량(200)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바람의 영향으로 제1응축부(20)에서 냉매를 응축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한 응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차량(200)이 주행중일 경우에는 제1제어밸브(67)는 잠긴 상태이고, 제2제어밸브(69)는 상기 제1응축부(20)와 팽창밸브(50)를 연결하는 배관(a)만 열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응축부(20)만을 이용하여 냉매를 응축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 엔진(70)으로 구동되는 압축부(10)로부터 냉매가 공급되게 되고, 상기 압축부(10)에서 공급된 냉매는 상기 제1응축부(20)에서 응축되어 제1공급배관(61)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1공급배관(61)을 통해 배출된 냉매는 팽창밸브(50)로 이동되며, 상기 팽창밸브(50)에서는 상기 냉매를 교축시켜 저온 및 저압상태로 만들어 상기 증발부(40)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증발부(40)는 상기 냉매를 이용하여 차량(200)의 냉동부(220)로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증발부(40)에서 냉동부(220)로 냉기를 공급하는데 사용되어 열 교환된 냉매는 상기 압축부(10)로 이동되게 되며, 상기 압축부(10)는 다시 상기 냉매를 상기 제1응축부(20)로 공급하게 되어 순환 구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차량(200)이 정차중인 상태의 냉동 시스템(100)을 나타내고 있다.
차량(200)이 정차중일 경우에는 차량(200)의 주행에 따른 바람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제1응축부(20)에서 응축시키는 것만으로는 냉매의 냉각이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200)이 정차중일 경우, 제1제어밸브(67)가 열린 상태이고, 제2제어밸브(69)는 상기 제2응축부(30)로부터 연결된 배관(b)만 열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응축부(20) 및 제2응축부(30)를 이용하여 냉매를 1차 및 2차로 응축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 엔진(70)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부(10)로부터 냉매가 공급되게 되고, 상기 압축부(10)에서 공급된 냉매는 상기 제1응축부(20)에서 1차 응축되어 제1공급배관(61)을 통해 이동되게 되며, 상기 냉매는 상기 제1제어밸브(67)를 거쳐 상기 제2응축부(30)로 공급되게 되고, 상기 제2응축부(30)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제2응축부(30)에서 2차 응축되어 제2공급배관(65)을 통해 상기 제1공급배관(61)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제1공급배관(61)으로 이동된 냉매는 팽창밸브(50)로 공급되며, 상기 팽창밸브(50)는 공급된 냉매를 교축시켜 저온 및 저압 상태가 되도록 만들어 증발부(40)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증발부(40)는 공급된 상기 냉매를 이용하여 차량(200)의 냉동부(220)로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증발부(40)에서 냉동부(220)로 냉기를 공급하는데 사용되어 열 교환된 냉매는 상기 압축부(10)로 이동되게 되며, 상기 압축부(10)는 상기 냉매를 다시 상기 제1응축부(20)로 공급하게 되어 순환 구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및 정차에 따라 냉매가 제1응축부만을 거쳐 증발부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제1응축부 및 제2응축부를 모두 거쳐 증발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정차시에도 냉동부의 온도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
10 : 압축부
20 : 제1응축부 21 : 응축관
22 : 방열핀 23 : 라디에이터
24 : 송풍팬
30 : 제2응축부 31 : 응축관
32 : 방열핀
40 : 증발부 50 : 공급펌프
61 : 제1공급배관 63 : 응축배관
65 : 제2공급배관 67 : 제1제어밸브
69 : 제2제어밸브
200 : 차량
70 : 엔진 220 : 냉동부

Claims (3)

  1. 자체 엔진(70)으로 구동되는 압축부(10);
    상기 압축부(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1차 응축시키는 제1응축부(20);
    상기 제1응축부(20)의 전방에 구비되되, 상기 제1응축부(20)와 소정의 간격(d)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응축부(20)에서 1차 응축된 냉매를 2차 응축시키는 제2응축부(30);
    상기 제1응축부(20) 및 제2응축부(30)에서 응축된 냉매가 교축되어 저온 및 저압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팽창밸브(50); 및
    상기 팽창밸브(50)에서 냉각된 냉매를 이용하여 냉동부(220)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부(4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응축부(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50)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공급배관(61);
    상기 제1공급배관(61)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응축부(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상기 제2응축부(30)로 공급되도록 하는 응축배관(63); 및
    상기 제2응축부(3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상기 제1공급배관(61)으로 재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냉매가 상기 제1공급배관(61)과 응축배관(63)의 분기부 후단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공급배관(65);
    이 더 구비되며,
    상기 응축배관(63)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급배관(61)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가 상기 제2응축부(30)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제어밸브(67) 및 상기 제1공급배관(61)과 제2공급배관(65)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급배관(61) 또는 제2공급배관(65)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를 제어하는 제2제어밸브(69)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제어밸브(67)와 제2제어밸브(69)의 제어는 상기 엔진(70)과 연동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차량(200)의 주행시에는 상기 제1제어밸브(67)가 잠기고 상기 제2제어밸브(69)는 상기 제1응축부(20)로부터 연결된 배관(a)만 열리도록 하여 상기 제1응축부(20)만을 이용하여 냉매를 응축시키되, 차량(200)의 정차시에는 상기 제1제어밸브(67)가 열리고 상기 제2제어밸브(69)는 상기 제2응축부(30)로부터 연결된 배관(b)만 열리도록 하여 상기 제1응축부(20) 및 제2응축부(30)를 모두 이용하여 냉매를 1차 및 2차로 응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응축부(20)는,
    상기 압축부(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통과되는 응축관(21);
    상기 응축관(21)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응축관(21)을 통과하는 냉매의 열을 방사시키는 방열핀(22);
    상기 응축관(21)과 접촉되게 구비되며, 상기 응축관(21)을 통과하는 냉매에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사시키는 라디에이터(23); 및
    상기 라디에이터(23)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관(21), 방열핀(22) 및 라디에이터(23)에서 방사되는 열을 흡인하여 송풍하는 송풍팬(24);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
KR1020150151338A 2015-10-29 2015-10-29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 KR10169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338A KR101697439B1 (ko) 2015-10-29 2015-10-29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338A KR101697439B1 (ko) 2015-10-29 2015-10-29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439B1 true KR101697439B1 (ko) 2017-01-17

Family

ID=5799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338A KR101697439B1 (ko) 2015-10-29 2015-10-29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4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326B1 (ko) * 2010-11-30 2011-03-14 이형주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KR101461394B1 (ko) 2014-05-23 2014-11-14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압력 조절 기능을 가지는 냉동탑차의 냉동-냉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326B1 (ko) * 2010-11-30 2011-03-14 이형주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KR101461394B1 (ko) 2014-05-23 2014-11-14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압력 조절 기능을 가지는 냉동탑차의 냉동-냉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1109C (en) Cooling system
US10619902B2 (en) Controlling chilled state of a cargo
US8109327B2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having heat exchange modules with indirect expansion cooling and in-tube electric heating
US20090250190A1 (en) Heating for a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operating in cold ambients
US105696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frigerated transport using an indirect injection of a cryogenic liquid and a heating system for maintaining temperature in the event of extremely low outside temperatures
US20160138836A1 (en) Multi-compartment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with evaporator isolation valve
US20100106303A1 (en) Control of pull-down in refrigeration systems
KR100983259B1 (ko) 냉동탑차의 냉동/냉장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31370A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KR101697439B1 (ko) 냉동탑차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시스템
JP3966308B2 (ja) 冷却加温システムおよびこの冷却加温システムを備えた自動販売機
KR101359932B1 (ko) 이젝터를 이용한 냉동탑차의 냉동-냉방 시스템
KR101461394B1 (ko) 압력 조절 기능을 가지는 냉동탑차의 냉동-냉방 시스템
JP4569545B2 (ja) ショーケース
CN1112887C (zh) 低温商品陈列柜
JP2010076587A (ja) 輸送車両のキャビン空調装置
JP2003214747A (ja) 冷凍車
KR101359931B1 (ko) 압력조절밸브를 이용한 냉동탑차의 냉동-냉방 시스템
TWM546499U (zh) 具有溫度控制功能之物流箱
KR200341847Y1 (ko) 복수의 증발기에 의한 구획공간별 개별 온도제어가가능한 냉동탑차
JPH0989311A (ja) 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機
KR100451355B1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102628450B1 (ko) 냉동탑차용의 냉동싸이클 시스템
KR200252626Y1 (ko)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
KR200341848Y1 (ko)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