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326B1 -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326B1
KR101697326B1 KR1020150174185A KR20150174185A KR101697326B1 KR 101697326 B1 KR101697326 B1 KR 101697326B1 KR 1020150174185 A KR1020150174185 A KR 1020150174185A KR 20150174185 A KR20150174185 A KR 20150174185A KR 101697326 B1 KR101697326 B1 KR 101697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racket
aiming
aiming bol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우
이종석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저테스트
동원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저테스트, 동원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저테스트
Priority to KR102015017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xterior fittings, e.g. bumpers, lights, wipers, exhau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4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공간 내부에서 상단에 브라켓을 수평상태로 안치하여 지지하는 브라켓 받침부와, 조립공간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 받침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 받침부에 안치된 브라켓의 체결부 상에 에이밍볼트의 전방측이 위치되게 에이밍볼트의 후방측을 안치하여 고정 지지하는 에이밍볼트 지지부 및 조립공간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 받침부 상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브라켓의 체결부에 위치하는 에이밍볼트의 일측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압인하여 에이밍볼트의 전방측이 브라켓의 체결부에 조립되도록 하는 압인부를 포함하여,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헤드램프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체결부에 에이밍볼트를 조립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이밍볼트 조립장치{Aiming bolt assembly device}
본 발명은 에이밍볼트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램프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체결부에 에이밍볼트를 조립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램프에서 비추어지는 불빛이 원하는 방향으로 비추어지도록 하기 위해 에이밍(aiming) 작업을 해 주어야 하는데, 이때 헤드램프의 조사 각을 변경하는 에이밍볼트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에이밍볼트는 자동차의 헤드램프와 연결되어, 에이밍볼트의 회전에 따라 헤드램프의 조사각이 조정된다.
특히 헤드램프 조립라인에서 에이밍볼트를 조립함에 있어 종래에는 작업자들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립하였기 때문에 조립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작업 시간과 작업 노동의 심각한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등록특허 제10-1444938호(2014.09.19)에서는 프레임과, 프레임 상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양단부가 프레임에 결합된 채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에이밍볼트의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도레일부재 및 자성레일부재와, 상기 유도레일부재 및 자성레일부재 상에 위치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며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어 에이밍볼트를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하는 승강구동수단과, 상기 승강구동수단에 연결된 상태로 승강 작동하며 에이밍볼트를 전류의 인가 또는 차단에 의해 접착시키거나 접착 해제시키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구동을 지시하고 전자석의 하강 완료 시점에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구동을 단속하여 중지시키는 감지용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레일부재에 상방향으로 레일블록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자성레일부재는 중앙 상면에 영구 막대 자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고정자가 일렬로 설치되고, 상기 이동판은 저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도레일부재의 레일블록 상에 위치하면서 유도레일부재에 고주파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기전력을 생성하는 포크형 돌기부와, 저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포크형 돌기부와 상호 이격됨을 이룬 채 상기 자성레일부재의 고정자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포크형 돌기부에 의해 생성된 기전력을 전원으로 공급받아 자력을 형성하는 가동자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에이밍볼트 공급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헤드램프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체결부에 에이밍볼트를 조립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헤드램프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체결부에 에이밍볼트를 조립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이밍볼트 조립장치는 케이스의 조립공간 내부에서 헤드램프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체결부에 에이밍볼트를 조립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에 있어서, 조립공간 내부에서 상단에 브라켓을 수평상태로 안치하여 지지하는 브라켓 받침부와, 조립공간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 받침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 받침부에 안치된 브라켓의 체결부 상에 에이밍볼트의 전방측이 위치되게 에이밍볼트의 후방측을 안치하여 고정 지지하는 에이밍볼트 지지부 및 조립공간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 받침부 상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브라켓의 체결부에 위치하는 에이밍볼트의 일측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압인하여 에이밍볼트의 전방측이 브라켓의 체결부에 조립되도록 하는 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이밍볼트 지지부는 에이밍볼트의 후방측이 안치되도록 반원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구와, 상기 안착구의 후방에 결합되고, 에이밍볼트의 측면이미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구를 180°회전시키는 로우터를 포함한다.
삭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구의 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구에 안치된 에이밍볼트의 나사산에 대한 측면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로우터의 후방에 결합되고, 에이밍볼트가 압인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직으로 구비된 승강가이드를 따라 승강하여, 에이밍볼트의 압인 시, 에이밍볼트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승강블록을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구의 안착홈에는 선택적으로 진공압을 생성하는 다수의 진공홀이 형성되어, 안착홈에 안착된 에이밍볼트의 타측을 진공흡착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인부는 에이밍볼트를 압인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실린더에서 제공하는 가압력을 전달하는 완충블록와, 상기 완충블록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블록을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으로 하단을 통해 에이밍볼트의 일측을 압인하는 압인블록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완충블록은 상기 가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하단과 연결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의 하단에 좌,우측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의 가이드에 구비되어, 하부프레임에 탄성 반발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L'형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L'형부재 상단을 감지하는 포토센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이밍볼트 조립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브라켓 받침부를 통해 조립할 브라켓을 거치하고, 에이밍볼트 지지부를 통해 에이밍볼트를 고정하면서 압인부를 통해 가압지는 가압력으로 헤드램프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체결부에 에이밍볼트를 억지끼움으로 조립되도록 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헤드램프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체결부에 에이밍볼트를 조립하는 상태를 보인 에시도이다.
도 2는 헤드램프 하우징의 조립부에 에이밍볼트 및 한 조의 베벨기어세트를 조립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에이밍볼트 조립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에이밍볼트 지지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에이밍볼트가 브라켓의 체결부에 조립되기 전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에이밍볼트가 브라켓의 체결부에 조립되기 후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헤드램프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체결부에 에이밍볼트를 조립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헤드램프 하우징 조립장치에 적용하는 헤드램프 하우징(10)은 길이방향이 상,하로 향하게 수직상태로 세워져 거치되는데 , 이때 에이밍볼트 (20) 역시, 길이방향이 상,하로 향하게 수직상태로 브라켓(50)에 고정되어, 헤드램프 하우징(10)의 조립부 상측을 통해 조립부 내부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에이밍볼트(20)를 살펴보면, 상기 에이밍볼트(20)는 볼트몸체 (21) 중간에 형성된 중간플랜지(22)를 기준으로, 상기 중간플랜지(22) 상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23)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플랜지(22) 하측에는 베벨기어가 결합되는 결합부(24)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4)의 하단에는 판 상의 돌출편(25)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볼트부(23)의 나사산은 중간플랜지(22)와 일정 거리를 둔 제1플랜지(26)와, 볼트부(23)의 상단에 형성된 제2플랜지(27)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베벨기어가 결합되는 결합부(24)에는 상기 결합부(24)의 축을 기준으로 수직플랜지(28)가 사방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 상의 결합편(25)은 전, 후 수직플랜지(28)와 동일한 일직선선상을 이루고, 결합부(24) 상에는 오링(50)이 끼워져, 추후 베벨기어와 중간플랜지(2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상기 결합부(24)를 하단에서 바라보면, 상기 수직플랜지(28)의 배치 형상이 열십자 '+'형태를 이룬다.
또한 한 조의 베벨기어세트는 상기 에미밍볼트(20)의 결합부(24)에 조립되는 제1 베벨기어 (30)와, 상기 제1베벨기어 (30) 일측에서 제1베벨기어 (30)와 치합되어 직각축을 이루는 제2베벨기어 (40)로 구비되는데, 상기 제1베벨기어 (30)는 상기 에이밍볼트(20)의 결합부(24)에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24)가 삽입 관통되는 원통형의 기어몸체(31)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몸체(31)의 하측 외주연을 따라 기어치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몸체(31)의 하면은 상기 에이밍볼트(20)의 결합부(24)가 관통되도록, 열십자'+'형상으로 절개공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공의 주변에는 복수의 걸림편( 32)이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편(32)들은 상기 결합부(24)의 수직플랜지( 28)들 사이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베벨기어 (30)의 하단을 바라보면 중심에 열십자'+'형상으로 절개된 절개공이 보이고, 상기 에미밍볼트(20)의 결합부(24)에 제1베벨기어 (30)를 조립하기 전, 상기 제1베벨기어 (30)의 하단에 형성된 절개공을 상기 결합부(24)의 축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배치 형성된 수직플랜지(28)들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1베벨기어 ( 30)의 조립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상기 복수의 걸림편(32)은 자체 탄성으로 하단이 결합부(24)의 턱에 걸려, 상기 결합부(24)에서 제1베벨기어 (3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베벨기어 (40)는 제1베벨기어 (30)와 치합되도록 일측면에는 기어치가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열십자'+'형태의 조작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램프의 에이밍을 조작하고자 한다면, '+'형의 드라이버 끝단을 상기 제2베벨기어 (40)의 조작홈에 끼워 드라이버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으로써, 헤드램프의 에이밍을 조작되는데, 드라이버의 끝단을 상기 제2베벨기어 (40)의 조작홈에 끼워 회전시키면, 상기 제2베벨기어 (4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베벨기어 (40)가 회전함에 따라 치합된 제1베벨기어 (3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베벨기어 (3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32)들이 상기 에미밍볼트(20)의 수직플랜지(28)들을 측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에이밍볼트(20) 의 회전으로 볼트부(23)의 나사산에 상응하여 헤드램프의 에이밍이 조절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에이밍볼트 조립장치는 케이스(100) 및 스테이지(110), 브라켓 받침부(200), 에이밍볼트 지지부(300), 압인부(400)가 포함되는데, 먼저 상기 케이스(100)는 조립용 다수의 프레임 및 벽체가 육면체로 조립되어, 내부에 헤드램프 하우징(10) 내부에 장착되는 브라켓(50)의 체결부에 에이밍볼트(20)의 조립을 실시할 수 있는 조립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케이스(100)의 조립공간 내부에는 수평면으로 구비되는 스테이지(1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스테이지(110) 상에는 브라켓 받침부(200)가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받침부(200)의 상단에는 에이밍볼트가 조립될 브라켓(50)이 수평으로 안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브라켓 받침부(200)는 복수의 받침블록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일례로 한 쌍의 받침블록은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50)의 전단 및 후단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조립공간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 받침부(200)의 후방에서 에이밍볼트 지지부(300)가 배치되는데, 상기 에이밍볼트 지지부(300)는 상기 브라켓 받침부(200)에 안치된 브라켓(50)의 체결부(51) 상에 에이밍볼트(20)의 전방측인 볼트부(23)가 위치되게 에이밍볼트(20)의 후방측인 결합부(24)를 안치하여 고정 지지한다.
상기한 에이밍볼트 지지부(3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이밍볼트 지지부(300)는 에이밍볼트(20)의 후방측인 결합부(24)가 안치되도록 에이밍볼트(20)의 후방측인 결합부(24)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는데, 반원 형태의 안착홈(311)이 형성된 안착구(31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안착구(310)의 안착홈(311) 후단에는 상기 에이밍볼트(20)의 판 상의 돌출편(25)이 안치되는 네모진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안착홈(311)에는 다수의 진공홀(312)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311)에 안착된 에이밍볼트(20)의 후방측인 결합부(24)를 진공흡착으로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에이밍볼트(20)는 판 상의 돌출편(25) 어느 한 면이 상향으로 노출되게 상기 안착홈(311)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구(311)의 후방에는 로우터(320)가 결합되는데, 상기 로우터(320)는 측면이미지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구(310)를 180°회전시켜, 상기 안착구(310)에 안치된 에이밍볼트(20)가 180°회전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브라켓의 체결부(51)에 형성된 나사산과 에이밍볼트(20)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올바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인데, 상기 안착구(310)의 회전을 180°로 한정한 것은 상기 에이밍볼트(20)가 판 상의 돌출편(25)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홈(311)에 안착되며, 상기 에이밍볼트(20)의 주연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은 180°를 기준으로 나사산 또는 나사골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안착구(310)의 측방에는 촬영수단(500)이 배치되어, 상기 안착구(310)에 안치된 에이밍볼트(20)의 나사산에 대한 측면이미지를 촬영한다.
이때 상기 촬영수단(500)에 의해 촬영된 측면이미지에서 상기 에이밍볼트에 형성된 중간플랜지(22)를 기준으로, 중간플랜지(22에 가장 근접하는 것이 나사산 인지, 나사골 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로우터(320)의 구동을 결정한다.
일례로 브라켓(50)의 체결부(51)에 에이밍볼트(20)가 나사산으로 결합되어야 한다면, 측면이미지에서 상기 에이밍볼트(20)에 형성된 중간플랜지(22)를 기준으로, 중간플랜지(22)에 가장 근접하는 것이 나사산이면, 에이밍볼트(20)의 회전 없이 바로 조립공정이 이루어질 것이고, 만일 측면이미지에서 상기 에이밍볼트(20)에 형성된 중간플랜지(22)를 기준으로, 중간플랜지(22)에 가장 근접하는 것이 나사골이면, 상기 에이밍볼트(20)의 중간플랜지(22)에 가장 근접한 것이 나사산이 되도록, 상기 로우터(320)가 구동하여 상기 안착구(311)를 180°회전시켜 상기 에이밍볼트(20)의 조립각도를 보정한다.
또한 상기 로우터(320)의 후방에는 승강블록(330)이 결합되는데, 상기 승강블록(330)은 에이밍볼트(20)가 압인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스테이지(110)에서 수직으로 구비된 승강가이드(331)를 따라 승강한다.
상기 승강블록(330)에 의해 에이밍볼트(20)가 고정된 상태로 하강되도록 한 것은 에이밍볼트(20)가 브라켓(50)의 체결부(51)에 조립될 시, 나사산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압인에 의해 조립이 될 시, 에이밍볼트(20)의 기울기가 발생하지 않게 에이밍볼트(20)를 수평상태로 압인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에이밍볼트(20)의 압인은 압인부(40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압인부(4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조립공간 내부의 상기 브라켓 받침부(2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압인부(400)는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브라켓(50)의 체결부(51)에 위치하는 에이밍볼트(20)의 전방측인 볼트부(23)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압인되어, 브라켓(50)의 체결부(51)에 조립된다.
이때 상기 압인부(400)는 에이밍볼트(20)를 압인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실린더(410)가 포함되고, 상기 가압실린더(410)의 하측에는 완충블록(420)이 구비되어, 상기 완충블록(420)이 가압실린더(410)에서 제공하는 가압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블록(420)은 상기 가압실린더(410)의 피스톤로드 하단과 연결되는 상부프레임(421)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421)의 좌,우측에 각각 한 쌍의 가이드(422)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422) 좌,우측이 각각의 하단에는 하부프레임(423)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421)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423)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422)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4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421)과 하부프레임(423) 사이의 가이드들(422)에는 한 쌍의 스프링(424)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프레임(423)에 탄성 반발력을 제공하여, 스프링의 반발력 이상의 가압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과도한 가압력으로 인해 에이밍볼트(20)의 볼트부(23) 나사산 및 브라켓(50)의 체결부(51)에 형성된 나사산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완충블록(420)의 하부에는 압인블록(430)이 구비되어, 상기 완충블록(420)을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으로 하단을 통해 에이밍볼트(20)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여 압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423)의 일측에는 'L'형부재(425)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프레임(421)의 일측에는 포토센서부재(426)가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421)과 하부프레임(423)의 사이 간격을 감지한다.
상기한 'L'형부재(425) 및 포토센서부재(426)의 구성은 상기 완충블록(420)의 복귀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압인부(400)가 하강하여 에이밍볼트(20)의 볼트부(23)가 브라켓(50)의 체결부(51)에 조립되면, 상기 압인블록(430)을 통해 하부프레임(423)으로 스프링의 탄성 반발력보다 높은 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423) 위치를 고수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421)이 지속적으로 하강하게 되며,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421)과 하부프레임(423)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L'형부재(425)의 상단이 포토센서부재(426)에 감지된다.
이때 상기 포토센서부재(426)에서 발생한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압인부(400)의 상승이 이루어져 상기 압인부(400)가 원상태로 유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헤드램프 하우징 20: 에이밍볼트
21: 볼트몸체 22: 중간플랜지
23: 볼트부 24: 결합부
25: 돌출편 26: 제1플랜지
27: 제2플랜지 28: 수직플랜지
30: 제1베벨기어 31: 기어몸체
32: 걸림편 40: 제2베벨기어
50: 브라켓 51: 체결부
60: 오링
100: 케이스 110: 스테이지
200: 브라켓 받침부 300: 에이밍볼트 지지부
310: 안착구 311: 안착홈
312: 진공홀 320: 로우터
330: 승강블록 331: 승강가이드
400: 압인부 410: 가압실린더
420: 완충블록 421: 상부프레임
422: 한 쌍의 가이드 423: 하부프레임
424: 한 쌍의 스프링 425: 'L'형부재
426: 포토센서부재 430: 압인블록
500: 촬영수단

Claims (8)

  1. 케이스의 조립공간 내부에서 헤드램프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체결부에 에이밍볼트를 조립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에 있어서,
    조립공간 내부에서 상단에 브라켓을 수평상태로 안치하여 지지하는 브라켓 받침부;
    조립공간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 받침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 받침부에 안치된 브라켓의 체결부 상에 에이밍볼트의 전방측이 위치되게 에이밍볼트의 후방측을 안치하여 고정 지지하는 에이밍볼트 지지부; 및
    조립공간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 받침부 상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브라켓의 체결부에 위치하는 에이밍볼트의 일측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압인하여 에이밍볼트의 전방측이 브라켓의 체결부에 조립되도록 하는 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이밍볼트 지지부는 에이밍볼트의 후방측이 안치되도록 반원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구와;
    상기 안착구의 후방에 결합되고, 에이밍볼트의 측면이미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구를 180°회전시키는 로우터를 포함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구의 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구에 안치된 에이밍볼트의 나사산에 대한 측면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포함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의 후방에 결합되고, 에이밍볼트가 압인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직으로 구비된 승강가이드를 따라 승강하여, 에이밍볼트의 압인 시, 에이밍볼트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승강블록을 포함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구의 안착홈에는
    선택적으로 진공압을 생성하는 다수의 진공홀이 형성되어, 안착홈에 안착된 에이밍볼트의 타측을 진공흡착으로 고정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인부는
    에이밍볼트를 압인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실린더에서 제공하는 가압력을 전달하는 완충블록와;
    상기 완충블록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블록을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으로 하단을 통해 에이밍볼트의 일측을 압인하는 압인블록을 포함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완충블록은
    상기 가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하단과 연결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의 하단에 좌,우측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의 가이드에 구비되어, 하부프레임에 탄성 반발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L'형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L'형부재 상단을 감지하는 포토센서부재를 포함하는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KR1020150174185A 2015-12-08 2015-12-08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KR101697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185A KR101697326B1 (ko) 2015-12-08 2015-12-08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185A KR101697326B1 (ko) 2015-12-08 2015-12-08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326B1 true KR101697326B1 (ko) 2017-01-18

Family

ID=5799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185A KR101697326B1 (ko) 2015-12-08 2015-12-08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3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713B1 (ko) * 2017-11-07 2018-11-14 (주)비에스오토메이션 에이밍 볼트 압입방법 및 에이밍 볼트와 토크와셔 압입 장치
CN109773440A (zh) * 2018-12-24 2019-05-21 深圳科易设计服务有限公司 一种自动化螺旋式灯盖组装机
KR20230012932A (ko) * 2021-07-16 2023-01-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램프 유닛 및 램프 에이밍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966A (ko) * 2000-04-27 2001-11-08 에릭 발리베 이종부품의 압입고정장치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966A (ko) * 2000-04-27 2001-11-08 에릭 발리베 이종부품의 압입고정장치와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713B1 (ko) * 2017-11-07 2018-11-14 (주)비에스오토메이션 에이밍 볼트 압입방법 및 에이밍 볼트와 토크와셔 압입 장치
CN109773440A (zh) * 2018-12-24 2019-05-21 深圳科易设计服务有限公司 一种自动化螺旋式灯盖组装机
KR20230012932A (ko) * 2021-07-16 2023-01-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램프 유닛 및 램프 에이밍 장치
KR102492468B1 (ko) 2021-07-16 2023-01-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램프 유닛 및 램프 에이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326B1 (ko) 에이밍볼트 조립장치
KR101550749B1 (ko) 클램프 장치
EP2947511A1 (en) Projection device
AU2015203237B2 (en) Scooter assembly line
KR101379441B1 (ko) 회전형 용접장치
US10414177B2 (en) Cutting apparatus
CN109441923A (zh) 保压设备
CN105485576A (zh) 一种可报警提示且带导向槽的桥梁装饰灯具安装装置
KR101158010B1 (ko) 렌즈 포커스 조정 방법 및 조정 장치
CN202330828U (zh) 立照相机构调整模组
KR20170027981A (ko) 자동스크류체결기의 스크류이송장치
CN102508393B (zh) 一种平照相机机构调整模组
CN211014044U (zh) 一种全方位检测的ccd检测机
CN102508395B (zh) 一种立照相机构调整模组
KR101459919B1 (ko) 차량용 글라스 장착장치
KR101747168B1 (ko) 헤드램프 하우징 조립장치
KR101637236B1 (ko) 자동차 사이드 미러 히터의 자동 조립장치
CN112676820A (zh) 一种双枪螺钉拧紧装置
CN210306348U (zh) 一种可调节双工位焊接台
CN209157564U (zh) 一种产品自动精准插装机构
KR102242557B1 (ko) 검사장비용 워크 스테이지
CN206982564U (zh) 一种线扣压合装置
JP2019030919A (ja) ねじ締め機
JP2022522632A (ja) 取付装置及びシステム
CN215357151U (zh) 一种双枪螺钉拧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