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191B1 -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 - Google Patents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191B1
KR101697191B1 KR1020160043283A KR20160043283A KR101697191B1 KR 101697191 B1 KR101697191 B1 KR 101697191B1 KR 1020160043283 A KR1020160043283 A KR 1020160043283A KR 20160043283 A KR20160043283 A KR 20160043283A KR 101697191 B1 KR101697191 B1 KR 101697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veling
protection plate
support frame
level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유한회사 휴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유한회사 휴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Priority to KR102016004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서, 수목 보호판 시공작업시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로 분할된 프레임(10)은 연결브라켓(20)에 의해 연결 구성되고, 상기 각 프레임(10)의 내벽면에는 수목보호판(200)이 안착되도록 안착턱(11)이 형성된 수목 보호판 받침틀(10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시공작업시 지면과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레벨링볼트(30)가 체결되며; 상기 프레임(10)에는 레벨링볼트(30)와 나사치합이 이루어지는 볼트체결구(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LEVELING TYPE TREE PROTECTION PLATE SUPPORT FRAME}
본 발명은 수목 보호판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 보호판을 받쳐주는 받침틀의 레벨링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하기 위한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를 보호하면서 가로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전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로수와 지면이 서로 맞닿은 부위에 수목 보호판이 설치되며, 이러한 수목보호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받침틀이 주변을 따라 구성된다.
이러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의 종래 일 예로, 특허등록 제1380489호에서는 수목 보호용 받침틀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수목 보호판의 시공작업시 받침틀의 높이를 주변 보도블럭과 동일하게 맞춰주어야 하나, 종래 기술에서의 받침틀은 이러한 높이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보도블럭과 단차가 발생되어 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시공작업시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위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받침틀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주변 보도블럭과 동일 높이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로 분할된 프레임은 연결브라켓에 의해 연결 구성되고, 상기 각 프레임의 내벽면에는 수목보호판이 안착되도록 안착턱이 형성된 수목 보호판 받침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시공작업시 지면과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레벨링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레벨링볼트와 나사치합이 이루어지는 볼트체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목 보호판 받침틀은, 프레임 저면부에 레벨링볼트가 구비됨으로서 시공작업시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보다 안정적인 지면 고정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레벨링볼트 중단에는 와셔너트가 결합되어짐으로서 레벨링볼트의 높이 조절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토양과의 고정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목 보호판 받침틀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목 보호판 받침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수목 보호판 받침틀 설치상태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목 보호판 받침틀의 요부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목 보호판 받침틀의 요부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100)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수목 보호판 받침틀(100)은 4개의 프레임(10)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각 모서리 부위에는 연결브라켓(20)이 조립됨으로서 상호간에 연결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10)의 내벽면에는 수목보호판(200)이 안착되도록 안착턱(11)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일측 프레임(10)의 저면 복수의 개소에 레벨링볼트(30)가 체결됨으로서 시공작업시 지면과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프레임(10)에는 레벨링볼트(30)와 나사치합이 이루어지는 볼트체결구(12)가 구비된다.
또한, 레벨링볼트(30) 중단부에는 회동력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와셔너트(31)가 일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수목 보호판 받침틀(100)의 시공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3 및 도 4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수목보호판(200)을 설치하기에 앞서 수목 주변에 본 발명의 수목 보호판 받침틀(100)을 수평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수목 보호판 받침틀(100)이 주변의 보도블럭(300)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레벨링볼트(30)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프레임(10)의 저면에 4개소에 체결되어 있는 각각의 레벨링볼트(30)의 와셔너트(31)를 돌려줌으로서 볼트체결구(12)와의 나사 작용에 의해 각 레벨링볼트(30)의 높이가 조절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레벨링볼트(30)를 이용하여 수목 보호판 받침틀(100)이 주면의 보도블럭(300)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수목 보호판 받침틀(100) 하부공간에 흙을 메워주고, 이후 수목보호판(200)을 안착턱(11)에 안착시킴으로서 시공작업이 완료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시공이 이루어지는 수목보호판 받침틀(100) 및 수목보호판(200)은 보도블럭(300)과 평탄면을 유지하게 됨으로서, 보행자의 보행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가운데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프레임(10) 내부에는 레벨링볼트(30)의 상단부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13)이 구비되고, 상기 레벨링볼트(30) 하단부에는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지지판(33)이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탄성스프링(13)에 의해 레벨링볼트(30) 상단부가 탄성 지지됨으로서 레벨링볼트(30)의 유동 발생 및 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지지판(33)에 의해 지면과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흙이 메워졌을 때 지지판(33)에 의해 토양과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되어 수목보호판 받침틀(100)의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서 도난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프레임(10) 내부에는 레벨링볼트(30)의 상단부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13)이 구비되고, 상기 레벨링볼트(30) 하단부에는 지면과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짐과 함께 2차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레벨링볼트(30)와 나사치합을 위한 나사통공(41)이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조절구(40)가 체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조절구(40)는 구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지면과의 마찰면적을 증대시킴과 함께,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탄성스프링(13)의 탄성작용으로 인해 레벨링볼트(30)의 유동 발생이 방지되며, 레벨링볼트(30) 하단부에 나사체결된 조절구(40)를 이용하여 2차적인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레벨링볼트(30)를 적절하게 돌려주어 수목보호판 받침틀(100)의 개략적인 높이를 맞춰준 상태에서 조절구(40)를 돌려주어서 모다 정밀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절구(40)는 구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실시 예에서 지지판과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10 : 프레임 11 : 안착턱
12 : 볼트체결구 20 : 연결브라켓
30 : 레벨링볼트 31 : 와셔너트
40 : 조절구 41 : 나사통공
100 : 수목보호판 받침틀 200 : 수목보호판
300 : 보도블럭

Claims (5)

  1. 다수개로 분할된 프레임(10)은 연결브라켓(20)에 의해 연결 구성되고, 상기 각 프레임(10)의 내벽면에는 수목보호판(200)이 안착되도록 안착턱(11)이 형성된 수목 보호판 받침틀(10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 저면에는 시공작업시 지면과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레벨링볼트(30)가 관통 체결되며;
    상기 프레임(10)에는 레벨링볼트(30)와 나사치합이 이루어지는 볼트체결구(12)가 구비되고;
    상기 레벨링볼트(30) 중단부에는 회동력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와셔너트(31)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0) 내부에는 레벨링볼트(30)의 상단부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13)이 구비되고;
    상기 레벨링볼트(30) 하단부에는 지면과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짐과 함께 2차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레벨링볼트(30)와 나사치합을 위한 나사통공(41)이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조절구(40)가 체결되되, 상기 조절구(40)는 지면과의 마찰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구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43283A 2016-04-08 2016-04-08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 KR101697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283A KR101697191B1 (ko) 2016-04-08 2016-04-08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283A KR101697191B1 (ko) 2016-04-08 2016-04-08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191B1 true KR101697191B1 (ko) 2017-01-17

Family

ID=5799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283A KR101697191B1 (ko) 2016-04-08 2016-04-08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9043A (zh) * 2017-09-06 2017-11-24 天津企智科技股份有限公司 工程测量水准仪支撑装置及操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960B1 (ko) * 1993-09-03 1999-08-16 이종은 목재건물바닥재
JP2005155037A (ja) * 2003-11-20 2005-06-16 Minato Home Protect:Kk 金属製床束及びこの床束を備えた住宅の歪み検知システム
KR100966108B1 (ko) * 2009-11-18 2010-06-28 (주) 그린엠티브이 수목 보호판
KR101152881B1 (ko) * 2009-08-13 2012-06-14 (주)마이즈텍 그레이팅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960B1 (ko) * 1993-09-03 1999-08-16 이종은 목재건물바닥재
JP2005155037A (ja) * 2003-11-20 2005-06-16 Minato Home Protect:Kk 金属製床束及びこの床束を備えた住宅の歪み検知システム
KR101152881B1 (ko) * 2009-08-13 2012-06-14 (주)마이즈텍 그레이팅 프레임
KR100966108B1 (ko) * 2009-11-18 2010-06-28 (주) 그린엠티브이 수목 보호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9043A (zh) * 2017-09-06 2017-11-24 天津企智科技股份有限公司 工程测量水准仪支撑装置及操作方法
CN107389043B (zh) * 2017-09-06 2024-04-02 庐江骏鹏光电科技有限公司 工程测量水准仪支撑装置及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2775B1 (en) Adjustable electrical box for flush or offset mounting of electrical devices on brick or stone walls
KR101697191B1 (ko)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
KR102107671B1 (ko) 높이 및 경사 조절식 맨홀
KR20120096334A (ko) 지주용 기초구조물
JP2002294853A (ja) 排水桝
KR100875276B1 (ko) 도로용 강관유닛
KR101881477B1 (ko) 마루 받침장치
KR20110119202A (ko) 방음벽
KR20130026895A (ko) 각도조절형 펜스
KR100868932B1 (ko) 목재 기둥 설치구조
KR101821230B1 (ko) 목조 건축물의 높이 조절형 기둥 연결구조
CA2932078C (en) Fence system
CN209457151U (zh) 集装箱房屋
KR101439789B1 (ko) 기둥 설치장치
KR101588117B1 (ko) 레벨볼트를 구비한 커튼월 설치장치
KR20140001884U (ko) 펜스 지주각도 조절장치
KR20120026710A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난간
KR102135143B1 (ko) 도어 프레임에 매립되는 플로어 힌지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
KR200352197Y1 (ko) 마루널 고정장치
JP2009028216A (ja) 収納体の設置方法
KR200345737Y1 (ko) 이동식 실내 야구연습장
CN219992733U (zh) 一种实木楼梯底座安装结构
KR102062692B1 (ko) 고탄성 마루 지지 시스템
KR102201855B1 (ko) 수목용 보호덮개 조립체
JP2563598Y2 (ja) バルコニー手摺柱根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