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960B1 - 목재건물바닥재 - Google Patents

목재건물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960B1
KR100215960B1 KR1019930017585A KR930017585A KR100215960B1 KR 100215960 B1 KR100215960 B1 KR 100215960B1 KR 1019930017585 A KR1019930017585 A KR 1019930017585A KR 930017585 A KR930017585 A KR 930017585A KR 100215960 B1 KR100215960 B1 KR 100215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wood
flooring material
height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889A (ko
Inventor
이종은
Original Assignee
이종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은 filed Critical 이종은
Priority to KR1019930017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960B1/ko
Publication of KR95000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1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12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건물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원목의 결(나이테)과 기공이 직각으로 유지되게 절단하여 일정 높이를 갖는 바닥재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수단을 부착하여 강도가 높고 통풍효과가 높으며 보존시간도 연장할 수 있으며 시공도 간단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목재건물 바닥재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바닥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 4 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이 실내 전체에 설치된 측면표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목 11 : 바닥재 표면
12 : 결(나이테) 13 : 기공
20, 200 : 바닥재 22, 23 : 너트
30 : 지지수단 31 : 지지부
32 : 볼트 40 : 시멘트바닥
41 : 공간 50 : 평판소재
본 발명은 원목 또는 인조목을 횡으로 절삭하여 바닥재의 표면이 원목의 절단면으로 형성된 실내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재의 높낮이를 바닥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목재건물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바닥재로서는 시멘트, 타일 또는 마루판자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은 목재를 주재료로 한 것이므로 마루판자에 대해서 기술한다.
종래에는 실내의 바닥재로서 원목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판재로 형성한 것이므로 판재의 결(나이테)이 종방향 즉 나무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판재 전체에 소량의 결이 형성되므로 판재의 내구성이 약하고 건조상태에 따라 쉽게 이완되어 결합부가 벌어지거나 또는 쉽게 파손되는 결함이 있었으므로 특히 이와같이 원목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므로 품질이 좋은 나무만이 사용가능하였으므로 고가의 생산비가 소요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나무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판재를 얻게 되면 나무의기공이 횡으로 구성되므로 공기의 흡배출이 용이하지 않아 판재가 습기에 의해 쉽게 썩는 결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마루판재는 시공시 반드시 기초골재를 횡 또는 종으로 1차 시공한 다음 마루판재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공사인력의 소모가 크고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숙련공이 시공하지 않으면 않되었으므로 인력수굽은 물론 공사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제반 결함들을 시공하고자 한 것인바, 본 발명의 목적은 원목의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나무의 결(나이테)과 기공을 수직(하중을 받는 방향)으로 형성되게 하므로 바닥재의 강도를 높이고 바닥재의 높낮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바닥재 하부의 습기를 용이하게 상부로 이동시켜 바닥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목재건물바닥재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목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횡방향으로 원목을 절단하여 나무의 결(나이테)과 기공이 수직으로(하중을 받는 방향) 형성되도록 하는 마루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몸체 일측에는 전화선 및 전선등이 설치되는 통로가 구비되고, 저면 중심에는 일정 깊이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바닥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수단이 부착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바닥재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면접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상면중심에 상향되도록 착설되며 상단부가 바닥재의 구멍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볼트에 끼워지며 바닥재의 저면에 밀착되어 바닥재를 지지하는 녀트로 구성된다.
즉, 원목의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나무의 결(나이테)과 기공을 수직으로(하중을 받는 방향) 형성되게 하므로 바닥재의 강도를 높이고 바닥재 하부의 습기를 용이하게 상부로 이동시켜 바닥재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원목을 사용한 자투리 단재는 물론 원목이 곧지 않고 하품의 목재도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를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원목(10)을 6각형이 되도록 절단한 것을 일부 길이(m)만큼 절단한 사시도인 바 횡단면표면(11)에는 결(나이테)(12)과 기공(13)이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절단한 하나의 바닥재(20)는 그 길이(m)가 자르지 않는 점선부분(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임의대로 결정할 수 있다. 절단된 바닥재(20)의 저면에는 일정 깊이로 구멍(21)을 뚫고, 상기 구멍(21)에는 지지수단의 볼트(32)가 삽입된다.상기 지지수단(30)은 바닥면인 시멘트바닥(40)에 면접착되는 지지부(3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31)의 상면 중심에는 볼트(32)의 하단면이 착설된다. 상기 볼트(32)의 상단부는 상향되므로 볼트(32)의 상단부가 바닥재(20)의 구멍에 삽설된다. 상기 볼트(32)에는 두 개의 너트(22,23)가 끼워지고, 상기 너트(22,23)는 볼트(3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바닥재(2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너트(22,23)에는 바닥재(20)의 저면이 밀착되며, 임의의 한 바닥재(20)의 높이가 다른 바닥재와 다를 경우에는 너트(22,23)를 회전시키면서 볼트(32)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바닥재(2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볼트(32)에는 두 개의 너트(22,23)가 끼워져 있으므로 바닥재(20)의 높이를 조절한 후 두 개의 너트(22,23)를 서로 밀착시키게되면 너트(22,23)는 이동을 하지 않게 되어 바닥재(20)의 높이는 고정된다.
제 2 도는 시멘트바닥(40)에 설치되는 구조도로서 시멘트바닥(40)의 수평면이 일정하지 않을 때 지지수단(30)의 너트(22,23)를 회전시켜 너트(22,23)가 볼트(32)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바닥재(20)의 표면(11)이 일정하게 수평을 유지할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바닥재(20)와 시멘트바닥(4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41)에는 전선 및 전화선(도시 안됨)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가 순환되므로 바닥재(20)가 습기에 의해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도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바닥재(200)를 평판소재(50)에 다수 부착한 상태의 단면표시인바 이 경우에는 바닥재(200)의 하부 일부를 절삭하여 통로(41')를 형성하는 것이 공기순환을 위해 바람직하다.
제 4 도 내지 제 6 도는 제 3 도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바닥재(20)의 형상의 각각다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바닥재의 형상은 이와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점선부분은 바닥재 하부의 절삭부를 나타낸 것으로 이와같이 몇 개의 바닥재를 평판소재에 부착하여 하나의 큰 타일을 구성하므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외관도 미려한 이점도 있다.
제 7 도는 본 발명 바닥재로 설치한 전체 실내바닥의 측면을 표시한 것으로 시멘트바닥과 목재바닥는 일정공간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공간부에 각종 배관, 전선, 전화선 둥의 케이블(60)이 설치 안치된다. 70은 시멘트몰탈로서 지지수단(30)을 고정하는데 필요한 작업공정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원목을 절단하여 제조되는 바닥재와 시멘트바닥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켜 공기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바닥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바닥재의 설치공사시 실내 시멘트바닥의 표면이 불규칙하더라도 바닥재 하부의 높이조절용 지지수단으로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하면 설치작업이 완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1차 기초골재작업이 필요없으며 바닥재 하부에는공간(41)이 형성되므로 배관전선 둥의 설치물을 통과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바닥재의 강도가 우수하고 바닥재 저부와 공기유통이 원활하며 폐원목으로 바닥재를 얻을 수 있어 저가로 공급할 수 있으며 목재 특유의 냉·온방 효과가 크다.

Claims (2)

  1. 원목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횡방향으로 원목을 절단하여 나무의 결(나이테)과 기공이 수직으로(하중을 받는 방향) 형성되도록 하는 마루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바닥재의 저면 중심에는 일정 깊이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재의 저면 및 구멍에는 바닥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수단이 부착되는 목재건물 바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바닥재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면점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중심에 상향되도록 착설되며 상단부가 바닥재의 구멍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끼워지며 바닥재의 저면에 밀착되어 바닥재를 지지하면서 볼트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바닥재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울 특징으로 하는 목재건물 바닥재.
KR1019930017585A 1993-09-03 1993-09-03 목재건물바닥재 KR100215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585A KR100215960B1 (ko) 1993-09-03 1993-09-03 목재건물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585A KR100215960B1 (ko) 1993-09-03 1993-09-03 목재건물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889A KR950008889A (ko) 1995-04-19
KR100215960B1 true KR100215960B1 (ko) 1999-08-16

Family

ID=1936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7585A KR100215960B1 (ko) 1993-09-03 1993-09-03 목재건물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9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191B1 (ko) * 2016-04-08 2017-01-17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191B1 (ko) * 2016-04-08 2017-01-17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889A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1715B2 (en)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component
US9499992B2 (en) Precision height adjustable flooring substrate support sytem
US7621089B2 (en)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component and method of use
AU2001270298A1 (en)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component
US4441292A (en) Floor
US7143551B2 (en) Vented insulated building
CN1073657C (zh) 建筑的建造方法
US3473281A (en) Flooring systems
GB2070100A (en) Adjustable Flooring
KR100215960B1 (ko) 목재건물바닥재
US20110203200A1 (en) Deck system
US3605353A (en) Building panel and building construction
DE102020120983A1 (de) Raumteil-Modul, insbesondere Gewerbe-Modul daraus hergestelltes Gebäude, sowie jeweils ein Herstellverfahren hierfür
KR20200112393A (ko)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EP0111763A1 (de) Fliese, Fliesenbaustein
US1786751A (en) Roof construction
EP3587690A1 (en) An adjusting screw, an assembly and a method for levelling an out-of-level flooring
DE20017574U1 (de) Gebäudewandungsteile, insbesondere Wände, Böden, Decken o.dgl. sowie Elemente davon mit Dickstofffüllung
US10689838B2 (en) Ledger
JP3103148B2 (ja) 硬質壁材の取り替え方法
DE3709380C2 (ko)
US3413771A (en) Floor leveling device
CN218643761U (zh) 一种架空地板
US11905714B1 (en) Mosaic tile assembly for installation on a floor or wall surface
US6652386B1 (en) Substructure of a bowling 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