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223B1 - 송전선로 작업대차 - Google Patents

송전선로 작업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223B1
KR101696223B1 KR1020150123054A KR20150123054A KR101696223B1 KR 101696223 B1 KR101696223 B1 KR 101696223B1 KR 1020150123054 A KR1020150123054 A KR 1020150123054A KR 20150123054 A KR20150123054 A KR 20150123054A KR 101696223 B1 KR101696223 B1 KR 101696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roller
line
obstacl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희
배형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5012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송전선 또는 가공선로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 또는 작업할 수 있으며, 이동과정 중 항공장애표시구 등의 장애물을 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개선한 송전선로 작업대차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송전선로 작업대차는 작업자의 탑승을 위한 안착공간이 구비된 베이스부; 송전선로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는 롤러이동부;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롤러이동부에 지지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에 제공된 장애물의 통과시 상기 롤러이동부를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으로부터 분리하는 연결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에 제공된 장애물의 통과시 상기 장애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보조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전선로 작업대차 {WORKING CAR FOR POWER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송전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작업하는 송전선로 작업대차로서, 송전선로에 마련된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 송전선로 작업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로는 항공기 등의 운항시 걸림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항공장애표시구 등이 설치되고 있다.
한편, 송전선로는 항공장애표시구 등의 불량 등의 발생이나, 송전선로의 점검, 보수 등이 필요할 경우, 송전선로를 상단 전력선 또는 지상으로 내려 교체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송전선로를 상단 전력선 또는 지상으로 내려 작업하는 방법은 교체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안전한 작업을 위해 안전작업거리 확보차 인접하는 2회선 동시 휴전이 필요하여, 계통 운영상 제한이 많다.
이에 따라 일부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간단한 소도구만을 이용하여 송전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작업하는 비표준 공법으로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비표준 공법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시간에 많은 차이가 있고, 작업중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송전선로 또는 송전선로와 인접하게 설치된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하는 작업장치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이 작업장치를 타고 이동하면서 송전선로의 교체, 점검이나 항공장애표시구를 교체하는 작업등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작업장치는 하나의 항공장애표시구를 넘어 다음 작업 위치까지 이동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고, 송전선로 또는 가공지선에는 항공장애표시구 외에도 각종 스페이서, 댐퍼 등이 설치되어 있어, 이들을 통과하는 작업이 제한되고 있다.
최근에는 장애물을 회피하며 송전선로 또는 가공지선을 이동하는 작업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구조 및 작용이 복잡하여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특히 단도체인 송전선로에는 적용되기 어려워 안정적으로 송전선로의 장애물을 회피하여 이동 또는 작업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 특허출원 제10-2006-0065019호 (2006.07.11) 국내 특허출원 제10-2013-0007080호 (2013.01.2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송전선 또는 가공선로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 또는 작업할 수 있으며, 이동과정 중 항공장애표시구 등의 장애물을 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개선한 송전선로 작업대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송전선로 작업대차는 작업자의 탑승을 위한 안착공간이 구비된 베이스부; 송전선로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는 롤러이동부;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롤러이동부에 지지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에 제공된 장애물의 통과시 상기 롤러이동부를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으로부터 분리하는 연결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에 제공된 장애물의 통과시 상기 장애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보조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롤러이동부는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 상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갖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전기모터 또는 내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이동부는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에 탈착가능토록 구동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서 상기 롤러이동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쪽에 회전연결부재를 매개로 탈착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에 걸림되며 이동하는 보조 롤러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이동부 및 상기 보조 롤러이동부에 각각 제공되는 브레이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전선로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항공장애표시구 등의 장애물을 회피하며 이동할 수 있고, 송전선로 또는 가공지선에 항공장애표시구 등의 장애물을 설치하거나, 수리,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시간 단축 및 공사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작업대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작업대차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작업대차의 롤러이동부를 확대한 정면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작업대차를 이용한 장애물 회피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작업대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작업대차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작업대차의 롤러이동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송전선로 작업대차(100)는 작업자의 탑승을 위한 안착공간이 구비된 베이스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의 후면에는 작업자의 등과 목을 받치도록 하여 이동하거나 작업중 작업자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 등받이(112)와 목받침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이 작업자의 측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부(110)에서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의 측방향에 작업자의 다리 등이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10)는 작업자의 다리 등이 위치되는 부분에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 다리거취부(116)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는 내구성이 뛰어나면서 경량인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례로 티타늄 계열 또는 동등 이상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송전선로 작업대차(100)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는 롤러이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이동부(120)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안착된 상태에서 구동력에 의해 자율주행하며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롤러이동부(120)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롤러(122)를 포함하고, 이 구동롤러(122)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126)을 갖는 본체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구동유닛(126)은 내연기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형, 경량이면서 큰 토오크를 발생할 수 있고, 사용시 제약이 없는 가솔린 계열의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유닛(126)은 이러한 내연기관의 작동을 매개로 회전력(토오크)을 발생하고, 이 회전력이 구동롤러(122)로 전달됨에 따라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롤러이동부(120)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거나, 이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브레이크유닛(1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유닛(128)은, 본체부(124)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유닛(128)은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접촉되며 마찰에 의해 이동을 제한하는 브레이크 라이닝부(128a)를 포함하며, 이 브레이크 라이닝부(128a)에 의해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대해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브레이크 라이닝부(128a)를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밀착 접촉시키는 브레이킹 작동레버(128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롤러이동부(120)는 구동유닛(126), 예컨대 내연기관의 작동을 제어하며 중립 또는 구동속도 등을 설정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변속기 및 이 변속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변속레버(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구동유닛(126)은 내연기관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구동롤러(122)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126)의 구조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구동유닛(126)은 내연기관 외에도 전기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롤러(122)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 상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보빈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는 구동지지대(130)를 매개로 롤러이동부(120)에 지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롤러이동부(120)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얹혀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고, 베이스부(110)는 이 구동지지대(130)에 의해 롤러이동부(120)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지지대(130)는 신축가능토록 제공되며, 이에 따라 구동지지대(130)의 팽창시 롤러이동부(120)가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며 이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지지대(130)는 베이스부(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구동지지부재(130a)와, 제1구동지지부재(130a)의 내부에 신축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구동지지부재(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지지부재(130b)는 일단부는 제1구동지지부재(130a)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고, 제1구동지지부재(130a)의 외측에 위치한 단부에는 롤러이동부(120)가 장착되며 연결되는 브래킷(132)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구동지지부재(130b)는 제1구동지지부재(130a)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세트 스크류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세트 스크류를 풀어 제2구동지지부재(130b)를 제1구동지지부재(130a)에 대해 이동하고, 다시 세트 스크류를 체결하는 과정을 통해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동지지대(130)는 제1구동지지부재(130a)는 유압 등이 충진된 실린더일 수 있고, 제2구동지지부재(130b)는 실린더에 제공되는 압력에 따라 신축되는 작동로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롤러이동부(120)는 구동지지대(130)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고, 롤러이동부(120)와 연결된 구동지지대(130)를 베이스부(110)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는 롤러이동부(120)와 연결된 구동지지대(130) 외에도 연결지지부(140)에 의해 롤러이동부(12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지지부(140)는 베이스부(110)의 양측 및 롤러이동부(120)를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와이어(140a, 14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140a, 140b)는 베이스부(110)와 롤러이동부(120)를 연결된 상태에서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위치에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어(140a, 140b)는 2개로 제공될 수 있고, 일단부는 롤러이동부(12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는 베이스부(110)의 각 모서리와 인접하여 벌어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지지부(140)는 와이어(140a, 140b)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유닛(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유닛(142)은 연결지지부(140)의 와이어(140a, 140b) 길이를 조절하여, 베이스부(110)가 안정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탑승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지지부(140), 즉 와이어(140a, 140b)는 롤러이동부(120)를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으로부터 이탈하기 위해 롤러이동부(120)와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140a, 140b)는 롤러이동부(120)와 볼트 체결구조에 의해 분리 가능토록 연결될 수 있고, 고리 연결구조 등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롤러이동부(12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양한 공지의 예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베이스부(110)의 양측에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지지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보조 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지지부(150)는 베이스부(110)의 양측에 회전연결부재를 매개로 탈착 또는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연장부재(152)와, 이 연장부재(152)의 단부에 제공되어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걸림되며 이동하는 보조 이동롤러(156)를 갖는 보조 롤러이동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재(152)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 방향으로 신축가능토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재(152)는 베이스부(110)의 양쪽 일측에 힌지 등의 회전연결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장부재(152a)와, 제1연장부재(152a)의 내측에 신축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연장부재(152b)와, 제2연장부재(152b)의 내측에 신축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연장부재(152c)를 포함할 수 있고, 제3연장부재(152c)의 단부에는 보조 롤러이동부(154)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재(152)는 제1연장부재(152a)와, 제2연장부재(152b) 및 제3연장부재(152c)가 수축됨에 따라 길이가 짧아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고,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연결될 때는 최대로 펼쳐질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재(152)는 제1연장부재(152a)와, 제2연장부재(152b) 및 제3연장부재(152c)가 최대로 펼쳐진 상태에서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걸릴 수 있도록 팽창되는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제1연장부재(152a)와, 제2연장부재(152b) 및 제3연장부재(152c)는, 각각의 단부에 최대 펼침 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재(152)는 힌지 등의 회전연결부재에 의해 베이스부(110)의 일측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연장부재(152)의 결합구조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지지부(150)는 베이스부(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10) 하부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지지부(150)는 베이스부(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후 베이스부(110)의 일측에 제공된 수납함(118)에 수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조 롤러이동부(154)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걸림되는 보조 이동롤러(156) 및 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157)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롤러이동부(154)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거나, 이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브레이크유닛(158)을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유닛(158)은 보조 롤러이동부(154)의 브래킷(157)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브레이크유닛(158)은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접촉되며 마찰에 의해 이동을 제한하는 브레이크 라이닝부(158a)를 포함할 수 있고, 브레이크 라이닝부(158a)와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된 보조 브레이크레버(158b)가 베이스부(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된 보조 지지부(150)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항공장애표시구(20) 등의 장애물을 만나게 될 경우, 장애물을 사이에 두고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의 양측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송전선로 작업대차(100)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항공장애표시구(20) 등의 장애물을 만나게 될 경우, 장애물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보조 지지부(150)를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지지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롤러이동부(120)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한 쌍의 보조 지지부(150)에 의해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장애물을 통과하여 이동한 후 다시 롤러이동부(120)를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지지되도록 연결한 후, 보조 지지부(150)를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송전선로 작업대차(100)는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송전선로(10)인 단도체의 직선슬리브 편심측정 작업등이 요구될 때, 보조 지지부(150)를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베이스부(11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10)의 일측에는 항공장애표시구(20) 또는 작업공구나, 기타 시설물들의 이송을 위한 캐리어(118)가 구비될 수 있고, 전기적인 접지를 위해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부(119)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접지선은 보조 지지부(150)를 통해 송전선로(10) 또는 가공지선에 접지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송전선로 작업대차(10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작업대차를 이용한 장애물 회피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와 같이, 작업자는 송전선로 작업대차(100)를 타고 항공장애표시구(20) 등의 장애물이 위치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베이스부(110)에 안착된 상태일 수 있고, 롤러이동부(120)는 송전선로(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연결지지부(140)인 와이어(140a, 140b)의 길이조절유닛(142)을 이용하여 베이스부(110)가 평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길이 조절한다.
롤러이동부(120)는 구동롤러(122)가 송전선로(10)에 걸쳐져 베이스부(110)를 송전선로(10)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한 상태이며, 본체부(124)의 구동유닛(126), 예컨대 내연기관의 작동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롤러(122)를 회전시키며 송전선로(10)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송전선로 작업대차(100)를 타고 항공장애표시구(20) 등의 장애물과 인접하게 되면, 구동유닛(126)의 작동을 정지하고 브레이크유닛(128)을 작동하여 송전선로 작업대차(100)를 멈춘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베이스부(110)에 제공된 한 쌍의 보조 지지부(150)를 항공장애표시구(20) 등의 장애물을 사이에 두고 송전선로(10)의 양쪽에 걸리도록 연결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과 같이, 작업자는 롤러이동부(120)를 연결하는 연결지지부(140)의 연결을 해제하고, 구동지지대(130)를 들어올려 롤러이동부(120)가 송전선로(10)로부터 떨어지도록 한 후, 구동지지대(130)를 회전하여 송전선로(10)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베이스부(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보조 지지부(150)에 의해 송전선로(10)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항공장애표시구(20) 등의 장애물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항공장애표시구(20) 등의 장애물을 통과하게 되면, 도 9와 같이 다시 구동지지대(130)를 원위치로 회전하여 송전선로(10)에 위치한 후, 구동지지대(130)를 내려 롤러이동부(120)를 송전선로(10)에 안착하고, 연결지지부(140)를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보조 지지부(150)를 송전선로(20)로부터 이탈하여 베이스부(110)에 밀착하거나 수납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송전선로 20: 항공장애표시구
100: 송전선로 작업대차 110: 베이스부
120: 롤러이동부 122: 구동롤러
124: 본체부 126: 구동유닛
128: 브레이크유닛 130: 구동지지대
140: 연결지지부 140a, 140b: 와이어
142: 길이조절유닛 150: 보조 지지부
152: 연장부재 154: 보조 롤러이동부
156: 보조 이동롤러 158: 브레이크유닛

Claims (8)

  1. 작업자의 탑승을 위한 안착공간이 구비된 베이스부;
    송전선로 또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는 롤러이동부;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롤러이동부에 지지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에 제공된 장애물의 통과시 상기 롤러이동부를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으로부터 분리하는 연결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에 제공된 장애물의 통과시 상기 장애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보조 지지부;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작업대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이동부는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 상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갖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작업대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전기모터 또는 내연기관을 포함하는 송전선로 작업대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이동부는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에 탈착가능토록 구동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송전선로 작업대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서 상기 롤러이동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작업대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송전선로 작업대차.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쪽에 회전연결부재를 매개로 탈착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송전선로 또는 상기 가공지선에 걸림되며 이동하는 보조 이동롤러를 갖는 보조 롤러이동부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작업대차.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롤러이동부 및 상기 보조 롤러이동부에 각각 제공되는 브레이크유닛을 더 포함하는 송전선로 작업대차.
KR1020150123054A 2015-08-31 2015-08-31 송전선로 작업대차 KR101696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054A KR101696223B1 (ko) 2015-08-31 2015-08-31 송전선로 작업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054A KR101696223B1 (ko) 2015-08-31 2015-08-31 송전선로 작업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223B1 true KR101696223B1 (ko) 2017-01-16

Family

ID=5799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054A KR101696223B1 (ko) 2015-08-31 2015-08-31 송전선로 작업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2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116B1 (ko) * 2020-12-24 2021-03-24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송전선로의 누전감시 시스템
KR20220166124A (ko) * 2021-06-09 2022-12-16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선로 전력선 점검 장치
KR20220167554A (ko) * 2021-06-14 2022-12-21 한국전력공사 스페이서 카트 장치
KR20240039357A (ko) 2022-09-19 2024-03-26 한국전력공사 전력선용 전동롤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223A (ja) * 1993-08-23 1995-03-10 East Japan Railway Co 架空線走行装置
KR20060065019A (ko) 2004-12-09 200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
KR100786799B1 (ko) * 2006-07-11 2007-12-18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동력형 단도체 스페이서카
KR20130007080A (ko) 2011-06-29 2013-01-18 한국세라믹기술원 비축전용량이 개선된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1277118B1 (ko) * 2013-01-22 2013-06-20 (주) 주암전기통신 송전선로 장애물 극복장치
KR101469492B1 (ko) * 2013-10-25 2014-1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와이어 이동형 로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223A (ja) * 1993-08-23 1995-03-10 East Japan Railway Co 架空線走行装置
KR20060065019A (ko) 2004-12-09 200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
KR100786799B1 (ko) * 2006-07-11 2007-12-18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동력형 단도체 스페이서카
KR20130007080A (ko) 2011-06-29 2013-01-18 한국세라믹기술원 비축전용량이 개선된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1277118B1 (ko) * 2013-01-22 2013-06-20 (주) 주암전기통신 송전선로 장애물 극복장치
KR101469492B1 (ko) * 2013-10-25 2014-1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와이어 이동형 로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116B1 (ko) * 2020-12-24 2021-03-24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송전선로의 누전감시 시스템
KR20220166124A (ko) * 2021-06-09 2022-12-16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선로 전력선 점검 장치
KR102639222B1 (ko) 2021-06-09 2024-02-22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선로 전력선 점검 장치
KR20220167554A (ko) * 2021-06-14 2022-12-21 한국전력공사 스페이서 카트 장치
KR102570689B1 (ko) 2021-06-14 2023-08-28 한국전력공사 스페이서 카트 장치
KR20240039357A (ko) 2022-09-19 2024-03-26 한국전력공사 전력선용 전동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223B1 (ko) 송전선로 작업대차
JP5931893B2 (ja) エンジン搭載システム
CN204535978U (zh) 一种座椅疲劳性能综合试验台
US10173875B2 (en) Platform truck for catenary wire installation and method of use
JP5468767B2 (ja) 軌陸作業車
US9724973B2 (en) Machine for fitting/removing a tyre
CN110712762A (zh) 用于与飞机相邻地支撑物体的设备
JP2016056622A (ja) ケーブル検査装置
CN106736344B (zh) 汽车变速箱流水线用托盘装置
CN205442367U (zh) 驾驶室装配线输送用吊具
KR20120070304A (ko)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KR101347181B1 (ko)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인입인출 포설 장치
KR100849405B1 (ko) 헬리콥터 이동장치
CN205367619U (zh) 一种汽车维修用的吊具
KR20190123717A (ko) 샤프트 및/또는 이 샤프트 상에 장착된 기계 부품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러한 장치의 이용
JP6572987B1 (ja) 車両固定装置
KR20220028320A (ko) 선박용 고소작업차
KR200484750Y1 (ko)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KR100391422B1 (ko) 차량용 견인 후크의 강도 및 내구성 시험장치
KR101939583B1 (ko) 타이어의 장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트롤리
CN110550228A (zh) 纯电动手推式六自由度飞机换轮机器人
ITMO20080124A1 (it) Macchina equilibratrice per l'equilibratura di ruote di veicoli
KR101643565B1 (ko) 타이어 운반장치
CN104002754B (zh) 一种翻转防护栏以及车辆
JP2015214827A (ja) レール削正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