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609B1 - 케이지너트 - Google Patents
케이지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5609B1 KR101695609B1 KR1020160088078A KR20160088078A KR101695609B1 KR 101695609 B1 KR101695609 B1 KR 101695609B1 KR 1020160088078 A KR1020160088078 A KR 1020160088078A KR 20160088078 A KR20160088078 A KR 20160088078A KR 101695609 B1 KR101695609 B1 KR 1016956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ge
- nut
- insulating panel
- base insulating
- ten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7 phase diagram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4—Nut ca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F16B37/061—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지너트를 구성하는 케이지의 양측으로 절곡되는 한조의 절곡편 하단부에 각각 돌출용접부를 구성하되 상기 한조의 절곡편 중 하나의 절곡편 하단부에는 이격되는 두 개의 돌출용접부를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절곡편 하단부에는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는 위치에 돌출용접부를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돌출용접부를 3점 위치에 설정하여 케이지너트가 고정되는 위치에 용접 고정할 때 평형도를 맞추기 위한 평면보정작업이 원할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지너트를 구성하는 요소 중 너트부의 너트돌출관으로 끼워지는 부재를 하나의 리테이너부재로 구성하되 그 리테이너부재의 절연성 확보 및 리테이너부재 상하단부측으로 각각 텐션부를 구성하여 비사용시 발생되는 소음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등에 따른 완충효과와 케이지너트간 충격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케이지너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지너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케이지너트를 구성하는 케이지의 양측으로 절곡되는 한조의 절곡편 하단부에 각각 돌출용접부를 구성하되 상기 한조의 절곡편 중 하나의 절곡편 하단부에는 이격되는 두 개의 돌출용접부를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절곡편 하단부에는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는 위치에 돌출용접부를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돌출용접부를 3점 위치에 설정하여 케이지너트가 고정되는 위치에 용접 고정할 때 평형도를 맞추기 위한 평면보정작업이 원할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지너트를 구성하는 요소 중 너트부의 너트돌출관으로 끼워지는 부재를 하나의 리테이너부재로 구성하되 그 리테이너부재의 절연성 확보 및 리테이너부재 상하단부측으로 각각 텐션부를 구성하여 비사용시 발생되는 소음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등에 따른 완충효과와 케이지너트간 충격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케이지너트에 관한 것이다.
케이지너트는, 칼라 너트(collar nut)가 적절한 수단을 매개로 부동 방식
(floating manner)으로 지탱되는 U형 단면의 케이지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케이지너트는 여러 구성품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완성품으로 제작되는 자동차 각각의 구성품들이 원활하게 결합 되도록 조립 공차를 감안하여 제작된다.
이후 각 구성품들은 케이지에 결합되며, 케이지에는 각각의 구성품들이 신속하게 체결되도록 체결공에 일정 범위 이내에서 유동되는 케이지너트가 부착된다. 그러한 케이지너트들의 목적은 모터 또는 모터 차량의 시트들과 같은 장착될 부품들과 차체의 고정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장착 공차(tolerance)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서, 너트 본체는 케이지에서 충분한 유격(play)을 가진다.
이러한 케이지너트는 적어도 4개의 개별부품들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예컨데 일측이 개구되며 중앙으로 원형태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모재패널을 이루는 케이지와, 그 케이지의 개구된측으로 끼워지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의 너트돌출관에 끼워지기 위한 절연고정체와, 상기 절연고정체 상단으로 위치되며 상기 너트돌출관에 끼워진 후, 너트돌출관의 상단 외주연의 압착에 의해 걸림돌부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케이지너트가 결합 구성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 구조의 케이지너트는 그 부품이 많고 제작이 까다로워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고, 케이지너트를 차량에 고정시킬 때 그 고정부위의 평활성이 불량할 경우에는 수평성을 유지하며 케이지너트를 용접 고정할 수 없어 평면보정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국내에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 제 10-2013-0036230 호에 의한 '전기 절연 케이지너트'의 경우 '너트 몸체는 원통결구와 확장된 고정요소를 포함하고, 원통결구는 암나사를 가지며 케이지의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고, 개구의 내경은 원통결구의 외경보다 실질적으로 크지만 고정요소의 외부치수들보다는 작고, 케이지 내에 고정되는 너트몸체, 그리고 케이지와 상기 원통결구 사이에 배열되는 절연장치를 포함하고, 절연장치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너트는 단 3개의 부품들로 구성되는 전기 절연 케이지너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 특허의 경우, 케이지너트의 부품수를 종전의 4개의 부품에서 3개의 부품으로 줄임으로서, 전술한 문제점 중 일부를 해소한 것은 사실이나, 차체에 케이지너트를 고정시킬 때 평활성 확보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지너트의 운반 과정에서의 외부 충격이나 충돌시 발생 되는 자체 소음을 줄일 수 없는 단점은 해결되지 못한다.
소음이 문제가 되는 것은, 케이지너트의 운반시에서 발생되는 소음 뿐만 아니라, 차체에 용접 고정된 후에 케이지에 삽입되며 너트몸체의 원통결구(본 발명에서는 너트돌출관이라 칭함)에 취부되는 절연장치가 케이지 내부에서의 유동시 어느 정도의 유격이 발생되어야 하는데, 선행 특허의 경우 그 유동성을 억제하고 있는바 이러할 경우에는 케이지 내부에서의 너트부 즉 너트몸체의 유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만약 너트몸체의 유격성을 확보할 경우에는 너트몸체와 케이지간 유동시 너트몸체의 좌우 유동에 따른 소음이 필수적으로 발생되어, 차체 내부에 무수한 갯수로 고정되는 케이지너트에서 다발성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바, 상기 선행 특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선행 특허는 너트몸체의 좌우 유동이 상당히 제한적인 것으로 개시되어 있어 너트 몸체의 유격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는 존재하게 된다.
또한 이와 달리, 국내에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 제 10-2014-0021607 호인, '셀트-센터링 케이지너트'의 경우 '개구를 가진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에 수용되고 내부 나사를 가진 중공-원통형 어깨부와 확장된 플랜지를 가진 너트 본체를 포함하는 케이지너트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와 상기 케이지 사이에 스페이서 요소가 배치되고, 상기 요소는 상기 내부 나사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너트'를 제공한다.
상기한 선행 특허는 전술한 선행 특허인 [특허문헌 1]과는 달리 너트 본체의 유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스페이서 요소를 채택하고 있는 것이고, 스페이서 요소의 유동시 비사용시에도 덜그럭 거리는 소음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은 절연체와 스프링 요소, 스페이서 요소, 너트부, 케이지의 구성을 요구하고 있어 부품수를 최소화하는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고, 상기 스프링 요소의 경우에 좌우간의 유격시 완충되는 역할을 갖게 되지만 상하로의 요동 현상 발생시에는 그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어, 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은 억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케이지너트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의 수를 줄여 제품의 생산가격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케이지너트의 케이지 내에서의 너트부 유동시 및 상하로의 유동시 발생 되는 충격력이 완충 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충격력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도록 하고, 케이지너트를 설정 위치에 용접 고정할 때 케이지너트와 고정되는 부위간의 평활도가 좋지 않아 수평성을 유지할 수 없을 때 용접 고정 위치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케이지의 양측 하단으로 구성되는 3점 돌출용접부를 구성하여 케이지너트의 수평성을 확보하며 설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으로 원형상 통공되며 일측이 개구되는 가이드공(120)을 갖는 상판(101) 양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절곡편(130,130')을 이루는 케이지(100)와, 상기 케이지(100)의 개구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너트부(200)로 이루어지는 케이지너트에 있어서,
중앙으로 원형상 통공되며 일측이 개구되는 가이드공(120)을 갖는 상판(101) 양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절곡편(130,130')을 이루는 케이지(100)와, 상기 케이지(100)의 개구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너트부(200)로 이루어지는 케이지너트에 있어서,
삭제
상기 너트부(200)의 너트돌출관(210)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하 및 좌우로의 유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리테이너(300)가 고정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지너트를 구성하는 요소 중 너트부의 너트돌출관으로 끼워지는 부재를 하나의 리테이너부재로 구성하되 그 리테이너부재의 절연성 확보 및 리테이너부재 상하단부측으로 각각 텐션부를 구성하여 비사용시 발생되는 소음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등에 따른 완충효과와 케이지너트간 충격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케이지너트를 구성하는 부품수의 감소로 인한 생산 가격의 현저한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너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의한 케이지너트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케이지만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리테이너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너트의 결합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케이지 내부에서 너트부의 유동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의한 케이지너트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케이지만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리테이너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너트의 결합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케이지 내부에서 너트부의 유동성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케이지너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케이지(100)와 상기 케이지(100) 내부에 삽입되는 너트부(200)와, 상기 너트부(200)의 너트돌출관(210)에 의해 고정되는 리테이너(3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지(10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면의 일방이 개구되어 너트부(200)의 너트돌출관(210)이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되는 안내구(110)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구(110)와 연결되며 상판(101) 중앙에 원형상으로 통공 처리되는 가이드공(12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공(120)의 일측은 개구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지(100)의 양측으로는 각각 측방향에서 하방향측으로 연장 절곡되는 절곡편(130,130')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편(130,130')은 케이지너트가 고정되기 위한 구성으로, 예컨데 차체의 설정 위치에 그 절곡편(130,130')의 단부가 고정되어 케이지너트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차체의 설정 위치와 케이지너트간을 고정하기 위한 요소로 본 발명에서는 절곡편(130,130')을 설명하게 되는데, 상기 절곡편(130,130')의 하단부측으로는 각각 돌출용접부(131,132,133)를 구성한다.
상기 돌출용접부(131,132,133)는 전술한 것처럼 케이지너트를 차량의 설정 위치와 용접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돌출용접부(131,132,133)은 3점 위치에 설정되도록 하는데, 상기 케이지(100)의 절곡편(130,130')은 양측으로 각각 절곡되어지는 바 어느 하나의 절곡편(130) 하단부에는 이격 되는 두 위치의 하방으로 돌출용접부(131,132)를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절곡편(130') 하단부의 일측 하방으로 돌출용접부(133)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절곡편(130) 하단부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두 위치에 돌출용접부(131,132)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절곡편(130') 하단부에는 어느 하나의 위치에 돌출용접부(133)가 구성되는 것은, 케이지너트가 차량의 설정 위치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질 때, 그 수평을 맞추며 보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데, 케이지너트가 고정되어져야 할 위치의 평면이 평활도를 갖지 못하는 경우에 두 지점으로 돌출되는 돌출용접부(131,132)와 한 지점으로 돌출되는 돌출용접부(133)를 이용하여 해당 고정 위치에서 위치를 변경시키며 평활성에 대한 보정 위치를 찾은 후,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케이지너트의 고정 상태는 매우 우수한 평활성을 유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절곡편(130,130') 중 두 지점의 돌출용접부(131,132)가 형성되는 절곡편(130)과 대향되어지는 상기 절곡편(13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용접부(133)는 전술한 것과 같이, 절곡편(130') 하방에서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는 위치에 돌출용접부(133)를 형성하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용접부(133)가 절곡편(130')의 하방측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그 목적인 평활성 보정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예컨데 돌출용접부(133)가 절곡편(130')의 하방측 양쪽에 모두 구비될 경우에도 평활한 면이 아닌 설정 위치에 케이지너트를 고정시킬 경우 케이지너트가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되어, 케이지너트의 너트부(200)와 케이지(100) 내부에서의 요동성에 의해 심감한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고, 사용 수명 또한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는 문제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돌출용접부(131,132,133)를 케이지(100)의 상면에서 측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하되 어느 한측으로 연장 절곡되는 절곡편(130)의 하방에는 이격 돌출되는 두 개의 돌출용접부(131,132)를 이루고, 이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케이지(100)의 상면에서 연장 절곡되는 절곡편(130')의 하방으로는 상기 두 개의 돌출용접부(131,132)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상으로 돌출용접부(133)를 형성하여, 케이지너트가 고정되는 위치의 조건이 평활하지 않을 경우 상기 돌출용접부(131,132,133)가 접하는 위치 선정의 선택에 의해 케이지너트가 수평하게 용접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너트부(200)는 공지의 너트부(200)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직사각형태의 플랜지(220)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20)의 중앙으로부터 수직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너트돌출관(210)을 형성하되, 상기 너트돌출관(210)의 중앙은 통공 형태를 이루게 되며, 그 내주면은 암나사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리테이너(300)는 전술한 너트부(200)의 너트돌출관(210)에 끼운 후 너트돌출관(210) 상단 외주연의 등간격 소정 위치를 가압하여 걸림돌부(211)를 형성하므로서, 리테이너(300)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리테이너(300)는 본 발명에서, 절연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케이지너트 사용시 또는 비사용시나 운반시 요동 현상 및 충격등에 의해 발생 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구성이다.
즉 도 2 및 도 4 에서 보듯이 리테이너(300)는 중앙이 통공(311)을 이루는 원통체(310)와, 상기 원통체(310)의 하단으로부터 연하여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며 사각형태를 갖는 베이스절연패널(320)과, 상기 원통체(310)의 상단으로부터 연하여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사각형태의 상부절연패널(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절연패널(320)은 너트부(200)의 길이와 폭(D1)에 대응되는 직사각형태를 이루고, 상기 상부절연패널(330)은 상기 베이스절연패널(320)의 폭(D1)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D2)을 갖게 된다,
상기 베이스절연패널(320)은 전술한 너트부(200)의 상면에 위치되는 것이고, 상기 상부절연패널(330)은 케이지(100)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안내구(110)를 따라 가이드공(120)에 리테이너(300)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300)의 통공(311)측으로 너트부(200)의 너트돌출관(210)에 삽입된 후 걸림돌부(211)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리테이너(300)의 원통체(310)의 상하에 각각 절개구(312)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구(312) 사이에 띠 형태의 완충성을 갖는 밴드(313)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절개구(312)는 원통체(310) 외주면에서 각각 좌우로 대향 되는 한 조의 절개구(312)를 상하로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절개구(312)에 의해 형성되는 밴드(313)는 유격성을 갖게 되며 이러한 유격성은 완충적 역할이 가능함을 의미하게 된다.
즉, 상기 밴드(313)는 절개구(312)에 의해 탄력적인 성질을 부여받게 되어, 상기 밴드(313)가 구성되는 원통체(310)의 내주면이, 너트부(200)의 너트돌출관(210)과 접하는 상태에 있게 되는데, 케이지(100) 내부에서 너트부(200)의 유동적 움직임에 따라 너트돌출관(210)이 원통체(310) 내주면과 접촉 및 탈락을 반복하더라도 밴드(313)의 탄성에 의해 너트돌출관(210)과 리테이너(300)의 원통체(310)간 충격은 완충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소음이 최소화되거나 또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리테이너(300)의 상부절연패널(330)의 하면은 케이지(100)의 상면측과 접하게 되고, 베이스절연패널(320)의 상면은 케이지(100)의 하면에 접하게 되는데, 케이지너트의 사용에 따라 상부절연패널(330)의 하면 및 베이스절연패널(320)의 상면과 케이지(100) 상하면간 접촉에 의한 소음 발생을 유발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리테이너(300)의 상부절연패널(330) 네 모서리 부위에 제1텐션부(331)를 구성하고, 베이스절연패널(320)의 측단부에 각각 제2텐션부(321)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1텐션부(331)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부절연패널(330)의 각 네 모서리 부위에 홈(335)을 형성하고, 상기 홈(335)의 일측방은 개방되고 삼면은 상부절연패널(330)의 두께와 동일한 제1,2,3벽면(332,333,334)을 형성하고, 상기 제1벽면(332)과 제3벽면(334) 하단을 연결하게 되는 제1텐션리브(336)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제1텐션리브(336)는 너트부(200)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텐션리브(336)의 텐션력 제공을 위해, 상기 제2벽면(333)의 하단측으로 이어지는 제1텐션리브(336)와의 연결 상태를 제거하기 위하여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리테이너(300)의 구성에 의해, 케이지너트는 그 사용과정에서 상하로의 유동에 의한 충격등이 발생 될 경우 상기 제1텐션리브(336)에 의해 완충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충격력을 완충시키고 이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텐션리브(336)에 의해 상하로의 충격력에 따른 소음 발생을 억제함은 물론, 동시에 전술한 원통체(310)의 밴드(313)에 의한 좌우 충격에 따른 소음 발생을 억제하게 되므로, 케이지너트의 케이지(100) 내부에서 너트부(200)가 사방향 및 상하로의 유동성에 의한 소음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절연패널(330)과 같이 전술한 바처럼 베이스절연패널(320)에도
제2텐션부(321)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
제2텐션부(321)는
베이스절연패널(320)의 측면측에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2텐션부(321)도
베이스절연패널(320)
측면측에
홈(326)을 형성하고, 상기 홈(326)의
일측방은
개방되고 삼면은 베이스절연패널(320) 두께와 동일한 제1,2,3벽면(323,324,325)을 형성하고, 상기
제1벽면(323)과
제3벽면
(325) 상단을 연결하게 되는
제2텐션리브(322)가
형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텐션리브(322)의 텐션력 제공을 위해, 상기 제2벽면(324)의 하단측으로 이어지는 제2텐션리브(322)와의 연결 상태를 제거하기 위하여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2텐션리브(322)와 상술한 제1텐션리브(336)에 의해 케이지(100)의 상면 상하에 각각 접하게 되며 리테이너(300)가 완충적 역할을 하게 되므로 케이지너트의 사용과정 또는 비사용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에 의한 소음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케이지 110; 안내구
120; 가이드공 130, 130'; 절곡편
131, 132, 133; 돌출용접부 200; 너트부
210; 너트돌출관 211; 걸림돌부
220; 플랜지 300; 리테이너
310; 원통체 311; 통공
312; 절개구 313; 밴드
320; 베이스절연패널 321; 제2텐션부
322; 제2텐션리브 323; 제1벽면
324; 제2벽면 325; 제3벽면
330; 상부절연패널 331; 제1텐션부
332; 제1벽면 333; 제2벽면
334; 제3벽면 335; 홈 336; 제1텐션리브
120; 가이드공 130, 130'; 절곡편
131, 132, 133; 돌출용접부 200; 너트부
210; 너트돌출관 211; 걸림돌부
220; 플랜지 300; 리테이너
310; 원통체 311; 통공
312; 절개구 313; 밴드
320; 베이스절연패널 321; 제2텐션부
322; 제2텐션리브 323; 제1벽면
324; 제2벽면 325; 제3벽면
330; 상부절연패널 331; 제1텐션부
332; 제1벽면 333; 제2벽면
334; 제3벽면 335; 홈 336; 제1텐션리브
Claims (14)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중앙으로 원형상 통공되며 일측이 개구되는 가이드공(120)을 갖는 상판(101) 양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절곡편(130,130')을 이루는 케이지(100)와; 상기 케이지(100)의 개구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너트부(200)의 너트돌출관(210)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하 및 좌우로의 유동시 충격을 흡수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중앙이 통공(311)을 이루는 원통체(310)와; 상기 원통체(310)의 하단으로부터 연하여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며 사각형태를 갖는 베이스절연패널(320)과; 상기 원통체(310)의 상단으로부터 연하여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사각형태의 상부절연패널(330)으로 구성되는 리테이너(300)가 고정되고, 상기 리테이너(300)의 상부절연패널(330) 네 모서리 부위에 제1텐션부(331)를 구비되는 케이지너트에 있어서,
상기 제1텐션부(331)는 상기 상부절연패널(330)의 각 네 모서리 부위에 홈(335)을 형성하고, 상기 홈(335)의 일측방은 개방되고 삼면은 상부절연패널(330)의 두께와 동일한 제1,2,3벽면(332,333,334)을 형성하고, 상기 제1벽면(332)과 제3벽면(334) 하단을 연결하게 되는 제1텐션리브(336)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케이지너트.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텐션리브(336)는 너트부(200)의 상면과 접하도록 하고, 상기 제2벽면(333)의 하단측으로 이어지는 제1텐션리브(336)와의 연결 상태를 제거하기 위하여 절개되는 것을 포함하는, 케이지너트.
- 삭제
- 중앙으로 원형상 통공되며 일측이 개구되는 가이드공(120)을 갖는 상판(101) 양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절곡편(130,130')을 이루는 케이지(100)와; 상기 케이지(100)의 개구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너트부(200)의 너트돌출관(210)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하 및 좌우로의 유동시 충격을 흡수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중앙이 통공(311)을 이루는 원통체(310)와, 상기 원통체(310)의 하단으로부터 연하여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며 사각형태를 갖는 베이스절연패널(320)과, 상기 원통체(310)의 상단으로부터 연하여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사각형태의 상부절연패널(330)으로 구성되는 리테이너(300)와, 상기 리테이너(300)의 상기 베이스절연패널(320) 양측단에 각각 제2텐션부(321)를 구비하는 케이지너트에 있어서,
상기 제2텐션부(321)는 상기 베이스절연패널(320)의 측단에 홈(326)을 형성하고, 상기 홈(326)의 일측방은 개방되고 삼면은 베이스절연패널(320)의 두께와 동일한 제1,2,3벽면(323,324,325)을 형성하고, 상기 제1벽면(323)과 제3벽면(325) 상단을 연결하게 되는 제2텐션리브(322)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케이지너트.
- 중앙으로 원형상 통공되며 일측이 개구되는 가이드공(120)을 갖는 상판(101) 양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절곡편(130,130')을 이루는 케이지(100)와; 상기 케이지(100)의 개구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너트부(200)의 너트돌출관(210)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하 및 좌우로의 유동시 충격을 흡수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중앙이 통공(311)을 이루는 원통체(310)와, 상기 원통체(310)의 하단으로부터 연하여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며 사각형태를 갖는 베이스절연패널(320)과, 상기 원통체(310)의 상단으로부터 연하여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사각형태의 상부절연패널(330)으로 구성되는 리테이너(300)와, 상기 리테이너(300)의 상기 베이스절연패널(320) 양측단 부위에 이격 되는 두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제2텐션부(321)를 갖는 케이지너트에 있어서,
상기 제2텐션부(321)는 상기 베이스절연패널(320)의 측단에 홈(326)을 형성하고, 상기 홈(326)의 일측방은 개방되고 삼면은 베이스절연패널(320)의 두께와 동일한 제1,2,3벽면(323,324,325)을 형성하고, 상기 제1벽면(323)과 제3벽면(325) 상단을 연결하게 되는 제2텐션리브(322)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케이지너트.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8078A KR101695609B1 (ko) | 2016-07-12 | 2016-07-12 | 케이지너트 |
PCT/KR2016/012790 WO2018012680A1 (ko) | 2016-07-12 | 2016-11-08 | 케이지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8078A KR101695609B1 (ko) | 2016-07-12 | 2016-07-12 | 케이지너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5609B1 true KR101695609B1 (ko) | 2017-01-16 |
Family
ID=5799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8078A KR101695609B1 (ko) | 2016-07-12 | 2016-07-12 | 케이지너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5609B1 (ko) |
WO (1) | WO201801268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54914A1 (de) * | 2017-01-31 | 2018-08-01 | Nedschroef Schrozberg GmbH | Käfigmutter mit elastischen und kunststoff verbindungsbuchs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35848A (ja) * | 2002-08-16 | 2005-11-24 | テクストロン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分割溶接型ケージナットアセンブリ |
KR20090021028A (ko) * | 2007-08-24 | 2009-02-27 |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 케이지 너트 |
KR20130036230A (ko) | 2010-05-12 | 2013-04-11 | 루이아 글로벌 패스너 아게 | 전기 절연 케이지 너트 |
KR20130130796A (ko) * | 2010-12-23 | 2013-12-02 | 루이아 글로벌 패스너 아게 | 리테이닝 기구를 가지는 케이지 너트와 그 제조방법 |
KR20140021607A (ko) | 2011-06-11 | 2014-02-20 | 루이아 글로벌 패스너 아게 | 셀프-센터링 케이지 너트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69715B2 (ja) * | 2011-11-29 | 2015-02-12 | 株式会社栃木屋 | フローティングナット |
-
2016
- 2016-07-12 KR KR1020160088078A patent/KR10169560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08 WO PCT/KR2016/012790 patent/WO201801268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35848A (ja) * | 2002-08-16 | 2005-11-24 | テクストロン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分割溶接型ケージナットアセンブリ |
KR20090021028A (ko) * | 2007-08-24 | 2009-02-27 |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 케이지 너트 |
KR20130036230A (ko) | 2010-05-12 | 2013-04-11 | 루이아 글로벌 패스너 아게 | 전기 절연 케이지 너트 |
KR20130130796A (ko) * | 2010-12-23 | 2013-12-02 | 루이아 글로벌 패스너 아게 | 리테이닝 기구를 가지는 케이지 너트와 그 제조방법 |
KR20140021607A (ko) | 2011-06-11 | 2014-02-20 | 루이아 글로벌 패스너 아게 | 셀프-센터링 케이지 너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54914A1 (de) * | 2017-01-31 | 2018-08-01 | Nedschroef Schrozberg GmbH | Käfigmutter mit elastischen und kunststoff verbindungsbuch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12680A1 (ko) | 2018-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11631B2 (en) | Assembling structure of clip and mounting member | |
US8550497B2 (en) | Steering device | |
WO2010143531A1 (ja) | クリップと取付部材との組付構造 | |
JP2598449Y2 (ja) | ボールジョイント | |
JP2018199358A (ja) | グロメット | |
JP2009248816A (ja) | 側突用樹脂衝撃吸収体 | |
EP4043761B1 (en) | Electronic expansion valve, stopping structure thereof, and refrigeration device | |
KR101695609B1 (ko) | 케이지너트 | |
JP2005282732A (ja) | エンジンマウント | |
US11566764B2 (en) | Holding device of a lighting module of a lighting unit,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unit of a vehicle | |
JP2011047497A (ja) | グロメットを用いた構造物の取付構造 | |
US10165714B2 (en) | Noise current absorber | |
US9610978B2 (en) | Method of assembling sub-frame and front side end in vehicle | |
US11396318B2 (en) | Steering device | |
JP2008190705A (ja) | クランプ | |
CN202991735U (zh) | 用于汽车内饰件的连接装置及汽车 | |
JP5071804B2 (ja) |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前端部組付け構造 | |
JP7408343B2 (ja) | シフトレバー用ベアリング | |
KR20180105280A (ko) | 자동차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 |
JP2018179147A (ja) | ストッパ | |
JP5713860B2 (ja) | 固定機構及び自動車用ミラーアセンブリー | |
JP2006070938A (ja) | Uナットの仮固定構造 | |
JP2008248947A (ja) | 筒型防振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ストッパゴム | |
CN107683064B (zh) | 卡扣结构及卡扣组件 | |
JP4591414B2 (ja) | 車両用灯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