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885B1 -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885B1
KR101694885B1 KR1020140177570A KR20140177570A KR101694885B1 KR 101694885 B1 KR101694885 B1 KR 101694885B1 KR 1020140177570 A KR1020140177570 A KR 1020140177570A KR 20140177570 A KR20140177570 A KR 20140177570A KR 101694885 B1 KR101694885 B1 KR 101694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neous operation
accelerator pedal
state
drive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521A (ko
Inventor
신동욱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7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8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63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erroneous selection or response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60W2510/101Transmission neutral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05Throttle position
    • B60W2710/0611Throttle change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이 게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S100)은, 정차중인 자동차가 급출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방법(S100)으로서, a) 기어 쉬프트 레버가 중립상태(N단) 또는 주차상태(P단)에 있을 때, 가속 페달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RPM) 값이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는 오조작 감지단계(S110); 및 b) 엔진회전수 감지단계를 통해 가속 페달 오조작을 감지한 상태에서, 기어 쉬프트 레버가 주행상태(D단) 또는 후진상태(R단)로 변경될 경우, 전자식 스로틀의 개도각을 최소량을 제어하는 스로틀제어단계(S12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S100)에 따르면, 오조작 감지단계 및 스로틀제어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오로지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통해 운전자의 오조작을 판단하고, 자동차의 급출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Method for Protecting Fast Star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오조작을 감지하여 전자식 스로틀의 개도각을 제어함으로써 자동차 급출발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자동 트랜스밋션이 장착된 자동차에서 그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변속레버의 변환시 운전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급가속이 이루어져 많은 재산상의 피해는 물론 인명피해를 주게 되는 일이 종종 발생되고 있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동 트랜스밋션이 장착된 자동차의 이상 급가속 현상에 의한 사고 예방 시스템으로 종래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은 변속레버 락 방식인데, 이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아야만 변속레버가 드라이브(D) 레인지 상태에서 다른 레인지로 변환되도록 고안된 시스템이다.
한편, 자동차가 급발진하게 되는 또 다른 원인으로 운전자가 엑셀 페달을 브레이크 페달로 잘못 오인하고 밟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종래 모든 자동차에는 이러한 상황에서의 급발진을 방지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이와 같은 운전자 오작동시의 상황에 대해서는 속수무책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9335호 (2014년 09월 15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오조작에 의해 자동차가 급출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은: 정차중인 자동차가 급출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방법으로서, a) 기어 쉬프트 레버가 중립상태(N단) 또는 주차상태(P단)에 있을 때, 가속 페달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RPM) 값이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는 오조작 감지단계; 및 b) 엔진회전수 감지단계를 통해 가속 페달 오조작을 감지한 상태에서, 기어 쉬프트 레버가 주행상태(D단) 또는 후진상태(R단)로 변경될 경우, 전자식 스로틀의 개도각을 최소량으로 제어하는 스로틀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조작 감지단계는: 브레이크 센서의 이상유무 조건, 가속 페달 센서의 이상유무 조건, 자동차의 속도 조건 및 가속 페달을 밟은 정도의 조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조건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방법은: c) 상기 스로틀제어단계 이후 경고음 또는 경고메세지를 출력하는 경고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방법은: d) 상기 스로틀제어단계 이후,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운전자의 오조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오조작정보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조작정보는: 급출발 일시, 급출발 횟수, 급출발 당시의 자동차 속도, 급출발 당시의 엔진 회전수(RPM), 급출발 당시의 가속 페달을 밟은 정도 및 급출발 당시의 기어레버 위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e) 상기 오조작 감지단계를 통해 운전자의 오조작이 감지되면,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저장된 오조작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에게 경고음 또는 경고메세지를 출력하는 오조작진행 방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조작진행 방지단계는, 기 설정된 드라이빙 사이클(Driving cycle) 동안 운전자의 오조작에 의한 급출발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경고음 또는 경고메세지를 더 이상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d) 스로틀제어단계 이후 가속 페달에서 운전자의 발이 떼어지면, 정상 상태로 엔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오조작 감지단계 및 스로틀제어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오로지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통해 운전자의 오조작을 판단하고, 자동차의 급출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스로틀제어단계 이후 경고음 또는 경고메세지를 출력하는 경고출력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운전자의 오조작이 계속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오조작정보 저장단계 및 오조작진행 방지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가속 페달 오조작 상태에서 기어 쉬프트 레버가 주행상태(D단) 또는 후진상태(R단)으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자의 오조작이 계속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S100)은, 오조작 감지단계(S110) 및 스로틀제어단계(S12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조작 감지단계(S110)는, 기어 쉬프트 레버가 중립상태(N단) 또는 주차상태(P단)에 있을 때, 가속 페달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RPM) 값이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이때, 오조작 감지단계(S110)는: 브레이크 센서의 이상유무 조건, 가속 페달 센서의 이상유무 조건, 자동차의 속도 조건 및 가속 페달을 밟은 정도 조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조건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브레이크 센서의 이상유무 조건은 브레이크 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하는 조건이고, 가속 페달 센서의 이상유무 조건은 가속 페달 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 해야 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또한, 자동차의 속도 조건은 기설정된 속도값 이하에서 자동차가 운행되거나 자동차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어야 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가속 페달을 밟은 정도 조건은 가속 페달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도로서 기설정된 정도 이상으로 가속 페달이 밟힐 경우의 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기어 쉬프트 레버가 중립상태(N단)인 자동차에 탑승하여 시동을 건 뒤, 가속 페달을 브레이크 페달로 오인하여 가속 페달을 밟아 엔진의 회전수 값을 급격히 상승시킨 상태에서, 기어 쉬프트 레버를 주행상태(D단)로 변경시키면, 자동차는 급출발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S100)에 의하면, 이러한 경우, 전자식 스로틀의 개도각을 최소량으로 제어하여, 자동차가 급출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S100)에 따르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오로지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통해 운전자의 오조작을 판단하고, 자동차의 급출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S100)은, 스로틀제어단계(S120) 이후 경고음 또는 경고메세지를 출력하는 경고출력단계(S1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스로틀제어단계 이후 경고음 또는 경고메세지를 출력하는 경고출력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운전자의 오조작이 계속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S100)은, 스로틀제어단계(S120) 이후,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운전자의 오조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오조작정보 저장단계(S1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조작정보는, 급출발 일시, 급출발 횟수, 급출발 당시의 자동차 속도, 급출발 당시의 엔진 회전수(RPM), 급출발 당시의 가속 페달을 밟은 정도 및 급출발 당시의 기어레버 위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저장된 오조작정보는 자동차 정비 과정에서 판독되거나, 제조사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또한,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저장된 오조작정보는 자동차 정비에 활용되거나, 자동차 안전 설계에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S100)은, 오조작 감지단계(S110)를 통해 운전자의 오조작이 감지되면,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저장된 오조작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에게 경고음 또는 경고메세지를 출력하는 오조작진행 방지단계(S11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경고음 또는 경고메세지는, 운전자의 잘못된 운전습관을 올바르게 교정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기 설정된 드라이빙 사이클(Driving cycle) 동안 운전자의 오조작에 의한 급출발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경고음 또는 경고메세지를 더 이상 출력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조작진행 방지단계(S115)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S100)은, 가속 페달 오조작 상태에서 기어 쉬프트 레버가 주행상태(D단) 또는 후진상태(R단)으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자의 오조작이 계속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S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로틀제어단계(S120) 이후 가속 페달에서 운전자의 발이 떼어지면, 정상 상태로 엔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S100: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
S110: 오조작 감지단계
S120: 스로틀제어단계
S130: 경고출력단계
S140: 오조작정보 저장단계
S150: 오조작진행 방지단계

Claims (8)

  1. 정차중인 자동차가 급출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방법(S100)으로서,
    a) 기어 쉬프트 레버가 중립상태(N단) 또는 주차상태(P단)에 있을 때, 가속 페달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RPM) 값이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는 오조작 감지단계(S110);
    a') 상기 오조작 감지단계(S110)를 통해 운전자의 오조작이 감지되면,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저장된 오조작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에게 경고음 또는 경고메세지를 출력하는 오조작진행 방지단계(S115);
    b) 엔진회전수 감지단계를 통해 가속 페달 오조작을 감지한 상태에서, 기어 쉬프트 레버가 주행상태(D단) 또는 후진상태(R단)로 변경될 경우, 전자식 스로틀의 개도각을 최소량으로 제어하는 스로틀제어단계(S120); 및
    d) 상기 스로틀제어단계(S120) 이후,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운전자의 오조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오조작정보 저장단계(S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작 감지단계(S110)는:
    브레이크 센서의 이상유무 조건, 가속 페달 센서의 이상유무 조건, 자동차의 속도 조건 및 가속 페달을 밟은 정도 조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조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c) 상기 스로틀제어단계(S120) 이후 경고음 또는 경고메세지를 출력하는 경고출력단계(S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작정보는:
    급출발 일시, 급출발 횟수, 급출발 당시의 자동차 속도, 급출발 당시의 엔진 회전수(RPM), 급출발 당시의 가속 페달을 밟은 정도 및 급출발 당시의 기어레버 위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작진행 방지단계(S115)는, 기 설정된 드라이빙 사이클(Driving cycle) 동안 운전자의 오조작에 의한 급출발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경고음 또는 경고메세지를 더 이상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S100)은, e) 오조작정보 저장단계(S140) 이후 가속 페달에서 운전자의 발이 떼어지면, 정상 상태로 엔진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20140177570A 2014-12-10 2014-12-10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 KR101694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70A KR101694885B1 (ko) 2014-12-10 2014-12-10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70A KR101694885B1 (ko) 2014-12-10 2014-12-10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521A KR20160070521A (ko) 2016-06-20
KR101694885B1 true KR101694885B1 (ko) 2017-01-10

Family

ID=5635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570A KR101694885B1 (ko) 2014-12-10 2014-12-10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893B1 (ko) 2022-09-28 2023-05-31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페달 오조작에 따른 급가속 방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281A (ko) * 1995-12-30 1997-07-22 전성원 자동 변속기 자동차의 급 출발 방지방법
KR19980017168A (ko) * 1996-08-30 1998-06-05 박병재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쇼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12792B1 (ko) * 1996-12-24 1999-08-02 양재신 자동변속차량의 연료 차단 장치
KR19980056409A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 변속 차량의 급출발 방지 장치
KR20140109335A (ko) 2013-03-04 2014-09-15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521A (ko)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5243B2 (ja) アクセルペダル誤操作対応装置およびアクセルペダル誤操作対応装置用のプログラム
US20070142169A1 (en) Erroneous sudden acceleration neutralization system and method
JP2010095162A (ja) 急発進防止装置
KR101684106B1 (ko) 변속단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655163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출발 방지 장치 및 방법
US20140149007A1 (en)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washing mode for vehicle equipped with shift-by-wire shifting device
KR101187125B1 (ko) 차량의 비정상 급가속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자동변속기 제어방법
KR101694885B1 (ko) 자동차 급출발 방지 제어방법
JP2012197748A (ja) 車両制御装置
JP2008240595A (ja) アクセルペダルの誤操作防止装置
JP5510001B2 (ja) アイドルストップ制御装置
KR101694016B1 (ko) 차량의 급가속 안전 제어 시스템
KR20150059327A (ko) 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US200901640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 motor vehicle engine from stopping in an automatic brake operation
JP2007230271A (ja) 過回転防止装置
KR20080005542A (ko) 자동 변속기의 정지 회로 제어 방법 및 장치
JP5691596B2 (ja) 電源切換装置
JP5846394B2 (ja) 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JP2000154868A (ja) 電子制御式自動変速機
KR101297970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1032101A (ja) 車両の急発進防止装置
JP3904065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及び変速制御装置
KR100527496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리버스 클러치 고장시 후진 방지 제어방법
JP2010019097A (ja) 車載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2452979B1 (ko) 전자식 변속레버 시스템에서 변속레버 조작 오류로 인한 위험 방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