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815B1 - Inter lock Dual locking devic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Inter lock Dual locking device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815B1
KR101694815B1 KR1020150038728A KR20150038728A KR101694815B1 KR 101694815 B1 KR101694815 B1 KR 101694815B1 KR 1020150038728 A KR1020150038728 A KR 1020150038728A KR 20150038728 A KR20150038728 A KR 20150038728A KR 101694815 B1 KR101694815 B1 KR 101694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elevator
lever
fixed
hang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2636A (en
Inventor
김동복
Original Assignee
(주)모든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든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모든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50038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815B1/en
Publication of KR2016011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6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8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양측도어를 단속하여 구속하는 엘리베이터 인터록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측도어 상부에 마련된 행거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키퍼부; 상기 키퍼부는 행거플레이트 일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일단에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도어 상부에 마련된 행거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후크부; 상기 후크부는 좌측도어 일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부에 단속홀이 형성된 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도어가 맞닿는 지점 상부에 위치하여, 내벽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키퍼의 레버 및 후크부의 후크와 상호 단속하여 구속되는 스위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절곡되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부에 단속홀이 형성된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측 승강장도어가 상호 맞물려 단속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외부의 임의적인 강제 열림을 방지함은 물론, 승객이 승각로 측으로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장치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interlock double locking device,
An elevator interlock locking apparatus for interlocking and restraining both doors of an elevator, comprising: a keeper unit installed on a hanger plate provided on the upper right door; Wherein the keeper part further comprises a brack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ger plate, a pivoting memb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bracket, a lev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pivoting member, and an elastic part for apply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lever, A hook portion provided on the hanger plate provided on the upper left door; The hook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fix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left door, a hook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being bent perpendicularly to the fixing portion and formed with an intermittent hole at an end thereof, And a switch portion fixed to the inner wall and being interlocked with the lever of the keeper and the hook of the hook portion, wherein the switch portion is fixed to the inner wall, And a hook having an interrupt hole at an end thereof.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 lift doors are interlocked and interlocked, thereby preventing arbitrary forced opening of the outside as well as preventing an accident that the passenger falls down to the side of the barge, The safety of the apparatus is further improv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Inter lock Dual locking device for elevat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interlock double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장 도어에 취부 되는 인터록 장치로, 기존의 한 쪽에만 문 열림 방지장치의 단속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양쪽 승장도어가 상호 연결되며 상호 구속하여 단속되는 구조로 설계 변경하고, 또한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스위치도 록킹으로 구속함으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승강도어의 임의적 열림 및 강제 열림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interlock double locker, and is an interlock device mounted on a elevator lift door of a central opening / closing typ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door opening prevention device only on one 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interlock double lock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rbitrary opening and forced opening of an elevating door in any case by restricting a switch fixed to the center by restricting the design of the elevator interlock, .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昇降機: 승강기)란 빌딩, 아파트, 백화점, 선박 등에서 위와 아래,즉, 수직상하 방향으로 사람 또는 동물, 물건을 이동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An elevator generally refers to a device for moving a person, an animal, or an object up and down, that is, vertically up and down, in a building, apartment, department store, ship or the like.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모터부와 권상기 및 로프, 풀리 등이 구비되어 이를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상기 기계부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층으로 운행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The elevator device includes an elevator car that moves a passenger while moving along a hoistway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a building with a passenger on the inside, a motor unit, a hoisting machine, a rope, a pulley,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chanical unit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of the passenger so that the elevator car is driven to the corresponding floor.

특히, 엘리베이터의 도어부분의 구조는 건물측에 설치되는 승강장도어와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설치되는 카도어로 나뉘어진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는 대칭인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양측에서 서로 같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된다.Particularly, the structure of the door portion of the elevator is divided into a landing door installed on the building side and a car door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The lift doors of the elevator are constituted by symmetrical left and right pairs and are configured to be opened or closed with each other on both sides.

상기 승강장도어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안전을 위해 인터록 장치가 구비된다.The landing door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 device for the safety of the elevator apparatus.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1,

인터록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100a,100b)가 상호 맞닿는 지점의 상측 벽체에 스위치접점을 갖는 인터록 스위치(10)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인터록 스위치(10)의 하단에는 좌측도어(100a) 측을 향해 단속부재(1)가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좌측승장도어(100a)가 설치되는 헹거 플레이트(110)에는 록킹부재(2)가 설치되되, 상기 록킹부재(2)는 상기 인터록 스위치(10)의 스위치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스위치접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접점의 하측으로는 상기 승장도어(100)의 폐쇄 시에 일정 각도만큼 승.하강 되면서 상기 단속부재(1)에 단속되는 걸림부재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interlock switch 10 having the switch contact is provided on the upper wall at the point where the elevator lift doors 100a and 100b abut against each other and the interlock switch 10 is interrupt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 switch 10 toward the left door 100a side. The locking member 2 is provided on the hanger plate 110 on which the left folding door 100a is installed while the locking member 2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switch 10 of the interlock switch 10, A pair of switch contacts selectively protruding from the switch contacts are selective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witch contact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lift door 100 is closed, Respectivel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터록 장치는 승장도어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 흔들림이 발생하여, 승객에게 불안감 및 공포감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terlock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an unstable feeling and a fear of a passenger are generated due to the shaking due to the fact that the landing door is not completely fixed.

공개특허 10-2011-0026556 "엘리베이터 랜딩도어의 인터록 장치.The interlock device of an elevator landing door is disclosed in U.S. Patent No. 10-2011-0026556.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측도어 상부에 구비된 행거플레이트에 후크부를 고정설치하고, 우측도어 상부에 구비된 행거플레이트에 키퍼부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양측도어가 맞닿는 지점, 즉, 중앙 상부에 스위치부를 구비하여, 양측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후크부와 스위치부, 키퍼부의 구조적인 닫힘 단속으로 상호 구속됨으로써, 외부의 임의적인 강제 열림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ger plate comprising: a hanger plat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left door; a hook portion fixedly mounted on the hanger plate; a keeper portion fixedly mounted on a hanger plat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ight door; And an elevator interlock double lock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rbitrary forced opening of the exterior by being interlocked with structural closing of the hook portion, the switch portion and the keeper portion when the both doors are closed,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엘리베이터의 양측도어를 단속하여 구속하는 엘리베이터 인터록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측도어 상부에 마련된 행거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키퍼부; 상기 키퍼부는 행거플레이트 일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일단에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도어 상부에 마련된 행거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후크부; 상기 후크부는 좌측도어 일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부에 단속홀이 형성된 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도어가 맞닿는 지점 상부에 위치하여, 내벽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키퍼의 레버 및 후크부의 후크와 상호 단속하여 구속되는 스위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절곡되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부에 단속홀이 형성된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vator interlock locking apparatus for interlocking and restraining both doors of an elevator, comprising: a keeper unit installed on a hanger plate provided on the upper right door; Wherein the keeper part further comprises a brack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ger plate, a pivoting memb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bracket, a lev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pivoting member, and an elastic part for apply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lever, A hook portion provided on the hanger plate provided on the upper left door; The hook portion includes a fixing portion fix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left door, a hook formed by being vertically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fixing portion and formed with an intermittent hole at an end thereof, And a switch portion fixed to the inner wall and being interlocked with the lever of the keeper and the hook of the hook portion, wherein the switch portion is fixed to the inner wall, And a hook having an interrupt hole at an end there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행거플레이트 상부 내벽에 상호 이격되어 대칭하게 제1센서와 제2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센서를 작용시키기 위해 행거플레이트 일측면에 스토퍼가 설치되어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are disposed symmetrically on the inner wall of the hanger plate, and a stopp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anger plate for interacting with the senso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측 승강장도어가 상호 맞물려 단속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외부의 임의적인 강제 열림을 방지함은 물론, 승객이 승각로 측으로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장치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 lift doors are interlocked and interlocked, thereby preventing arbitrary forced opening of the outside as well as preventing an accident that a passenger falls down to the side of the barge, The safety of the apparatus is further improved.

도 1은 종래에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의 중요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의 작용과정 1을 나타낸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의 작용과정 2를 나타낸 작용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wo-way interlock double locking device. Fig.
2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elevator interlock double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n important part of an elevator interlock double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1 of an elevator interlock double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unctional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2 of an elevator interlock doubl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양측도어(1)(2)를 단속하여 구속하는 엘리베이터 인터록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측도어(2) 상부에 마련된 행거플레이트(3')에 설치되는 키퍼부(10);상기 키퍼부(10)는 행거플레이트(3') 일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11)과, 상기 브라켓(11) 일단에 설치되는 회동부재(12)와, 상기 회동부재(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13)와, 상기 레버(13)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도어(1) 상부에 마련된 행거플레이트(3)에 설치되는 후크부(20); 상기 후크부(20)는 행거플레이트(3) 일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에 수직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부에 단속홀(22a)이 형성된 후크(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도어(1)(2)가 맞닿는 지점 상부에 위치하여, 내벽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키퍼부(10)의 레버(13) 및 후크부(20)의 후크(22)와 상호 단속하여 구속되는 스위치부(30)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부(30)는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에 수직절곡되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부에 단속홀(32a)이 형성된 후크(32)로 구성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interlocking locking device for interlocking and restraining both doors (1) (2) of an elevator,
The keeper unit 10 is installed on a hanger plate 3 'provided on the upper right door 2. The keeper unit 10 includes a bracket 1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anger plate 3' A lever 13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pivoting member 12 and an elastic portion 14 that appli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lever 13 , A hook portion (20) provided on the hanger plate (3)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eft door (1); The hook portion 20 includes a fixing portion 21 fix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hanger plate 3 and a fixing portion 22 formed to be vertically bent in the fixing portion 21 and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n intermittent hole 22a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the hook 13 and the hook portion 20 of the keeper portion 10 are fixed to the inner wall and are located above the points where the respective doors 1 and 2 abut against each other, And a switch unit 30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hook 22 of the switch unit 30. The switch unit 30 includes a fixed unit 31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xed unit 31, And a hook 32 formed with an intermittent hole 32a at an end there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그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2 to 3,

본 발명은 한 쌍의 승강장 도어, 즉, 좌측도어(1)와 우측도어(2)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도어(1)(2)에 상부로 행거플레이트(3)(3')가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행거플레이트(3)(3')에 키퍼부(10), 후크부(20), 스위치부(30)가 각각 설치되되, 상호 선택적으로 맞물려 단속되어 구속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landing doors, namely, a left door 1 and a right door 2, and hanger plates 3 and 3 'are provided on upp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doors 1 and 2 And a keeper portion 10, a hook portion 20 and a switch portion 30 are provided on the respective hanger plates 3 and 3 ', respectively.

상기 키퍼부(10)는 우측도어(2) 상부에 설치된 행거플레이트(3') 일측면 고정설치되어, 우측도어(2)와 상호 연동작용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키퍼부(10)의 구성요소는 행거플레이트(3') 일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11)과, 상기 브라켓(11) 일단에 회동부재(12)가 설치되되, 상기 회동부재(12)에 연결되는 레버(13)가 일정한 각도로 회동될 수 있게 2개의 회동부재(12)게 배치되며, 상기 레버(13) 상부에는, 회동부재(12)를 기준으로 레버(13)가 회동 후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해 탄성체(14)가 설치되며, 상기 레버(13) 일단부는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The keeper part 1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anger plate 3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ight door 2 and is configured to move in a mutually interlocking manner with the right door 2, Is provided with a bracket 11 fixed to one side of the hanger plate 3 'and a lever 13 connected to the pivoting member 12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elastic member 14 is provided on the lever 13 in order to impart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lever 13 after the lever 13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pivoting member 12 And one end of the lever 13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상기 후크부(20)는 좌측도어(1) 상부에 설치된 행거플레이트(3) 일측면에 고정설치되어, 좌측도어(1)와 상호 연동작용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후크부(20)의 구성요소는 행거플레이트(3) 일측면에 고정되기 위해 형성된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 측면으로 수직 절곡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수평하게 길게 형성된 후크(22)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후크(22) 일단부에는 레버(13)의 쐐기부(15)가 끼워져 단속되는 단속홀(22a)이 형성되고, 상기 단속홀(22a) 일측 길이방향으로는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더 포함한다.The hook portion 2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anger plate 3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ft door 1 so as to move in a mutually interlocking manner with the left door 1, A fixing part 21 formed to be fixed to one side of the hanger plate 3 and a hook 22 which is integrally formed by being bent perpendicularly to the side of the fixing part 21 and horizontally extended horizontally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an intermittent hole 22a through which the wedge portion 15 of the lever 13 is inserted and interrupte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ook 22 so that the intermittent hole 22a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obliquely.

상기 스위치부(30)는 각각의 도어(1)(2)가 맞단는 접점 상부 위치하며,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 측면으로 수직 절곡되어 일체형을 형성되되,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수평하게 길게 형성된 후크(32)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후크(32) 일단부에는 레버(13)가 끼워져 단속되는 단속홀(32a)이 형성되고, 상기 단속홀(32a) 일측 길이방향으로 는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레버(13)의 쐐기부(15)가 경사면을 따라 안내된 다음 단속홀(32a)에 구속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switch unit 30 includes a fixed unit 21 fixed to an inner wall of the door unit 1 and a contact point between the doors 1 and 2, And a hook 32 formed horizontally horizontally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figure. The hook 32 has an intermittent hole 32a formed at one end thereof with a lever 13 interposed therebetween, The wedge portion 15 of the lever 13 is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and then is constrained to the intermittent hole 32a.

한편, 각각의 행거플레이트(3)(3') 상부 내벽에는 상호 이격되어, 대칭하게 제1센서(4a)와 제2센서(4b)가 설치되고, 각각의 센서(4a)(4b)를 작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행거플레이트(3)(3') 일측면에 스토퍼(6)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nsor 4a and the second sensor 4b are disposed symmetrically on the inner walls of the upper portions of the upper portions of the hanger plates 3 and 3 ', and the respective sensors 4a and 4b are operated A stopper 6 is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hanger plates 3 and 3 '.

상기 각각의 센서(4a)(4b)의 작동에 따라, 레버(13) 저면을 가압하여, 상기 레버(13)를 회동부재(12)를 기준으로 상향시킴으로써, 양측도어(1)(2)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해 잠금해제로드(7)가 행거플레이트(3') 일측면에 고정설치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lever 13 is pressed against the tiltable member 12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sensors 4a and 4b to raise the lever 13 against the tiltable member 12, To release the restraint, the unlocking rod 7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anger plate 3 '.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4 to 5,

먼저, 본 발명의 구조에 따라 구성된 키퍼부(10), 후크부(20), 스위치부(30)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각 층의 벽체, 행거플레이트(3)(3') 및 각각의 도어(1)(2) 상측으로 상호 대응하게 설치한 상태에서,First, the keeper section 10, the hook section 20, and the switch section 30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the wall of each layer where the elevator is installed, the hanger plates 3 and 3 ' 1) (2) above,

엘리베이터가 작동하여, 승강장에 엘리베이터 카가 도착한 후, 승객의 승·하차가 완료되어 각각의 도어(1)(2)가 폐쇄될 시에, 연동로브(8)의 구동에 따라, 좌측도어(1)와 우측도어(2) 및 키퍼부(10)와 후크부(20)가 설치된 각각의 플레이트(3)(3')가 연동하여 스위치부(30)가 설치된 중앙부분으로 상호 대응하여 이동하게 된다.When the elevator is operated and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platform, when the passenger is lifted and lowered and the doors 1 and 2 are closed, the left door 1 is driven by the interlocking lobe 8, And the right door 2 and the plates 3 and 3 'provided with the keeper portion 10 and the hook portion 20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move correspondingly to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switch portion 30 is installed.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In the above process,

키퍼의 레버(13) 쐐기부(15) 하단이 스위치부(30)의 후크(32) 일단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된 다음, 상기 스위치의 단속홀(32a)에 레버(13)의 쐐기부(15)가 삽입 단속되는 과정과 동시에, 후크부(20)의 후크(22) 상면이 스위치부(30)의 후크(32) 저면에 밀착하여 안내되되, 스위치부(30)의 단속홀(32a)과 후크부(20)의 단속홀(22a)이 수직으로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레버(13)의 쐐기부(15)가 스위치부(30)의 단속홀(32a)과 후크부(20)의 단속홀(22a)을 관통하여, 상호 맞물린 상태로 구속되는 것이다.The lower end of the wedge portion 15 of the lever 13 of the keeper is guided along the inclined face of the hook 32 of the switch portion 30 and then the wedge portion 15 of the lever 13 is inserted into the intermittent hole 32a of the switch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22 of the hook portion 20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k 32 of the switch portion 30 so as to be guided by the intermittent hole 32a of the switch portion 30, The intermittent holes 22a of the hook portion 20 are positioned vertically on the same line and the wedge portion 15 of the lever 13 is engaged with the intermittent hole 32a of the switch portion 30 and the interlocking hole 22a of the hook portion 20 Through the intermittent hole 22a, and are constrained in an interlocked state.

상기와 같이, 벽체에 스위치부(30) 고정하여 구비함은 스위치부(30)의 후크(32)와 후크부(20)의 후크(22)와 키퍼부(10)의 레버(13)가 상호 맞물려 각각의 도어(1)(2)를 잠금 시에, 상기와 같이 벽체에 고정된 스위치부(30) 기준으로 각각의 후크(22)(32)와 키퍼의 레버(13)가 상호 맞물려 단속함으로써, 보다 유기적으로 각각의 도어(1)(2)가 고정되기 때문에, 각각의 도어(1)(2)의 흔들림이 전혀 발생하지 않을 뿐더러, 연동로프나 벨트 단선, 소정의 고정부품이 파손시에도 임의적으로 도어가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The hook 32 of the switch unit 30 and the hook 22 of the hook unit 20 and the lever 13 of the keeper unit 10 are fixed to each other By interlocking and interlocking the respective hooks 22 and 32 and the lever 13 of the keeper on the basis of the switch portion 30 fixed to the wal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spective doors 1 and 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door 1 and the door 2 are more organically fixed and thus the door 1 and the door 2 are not shaken at all and even when the interlocking rope, So as to arbitrarily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by an external force.

즉, 본 발명은 양쪽 승강장 도어가 상호 연결되며 상호 구속하여 단속되는 구조로 설계 변경하고, 또한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스위치도 록킹으로 구속함으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승강장 도어의 임의적 열림 및 강제 열림을 방지할 수 있는 큰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 is changed to a structure in which both landing doors are mutually connected and interdependent and interrupted, and the switch fixed at the center is also locked by locking, thereby preventing any arbitrary opening and forcible opening of the landing door It can provide a great advantag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좌측도어, 우측도어
3,3': 행거플레이트
4,5: 제1센서, 제2센서
6: 스토퍼
7: 잠금해제로드
10: 키퍼부
11: 브라켓
12: 회동부재
13: 레버
14: 탄성부
20: 후크부
21,31: 고정부
21a,31a: 단속홀
22,32: 후크
30: 스위치부
1,2: Left door, right door
3,3 ': Hanger plate
4,5: first sensor, second sensor
6: Stopper
7: Unlock Load
10: Keeper part
11: Bracket
12:
13: Lever
14:
20:
21, 31:
21a, 31a:
22, 32: Hook
30: Switch section

Claims (7)

엘리베이터의 양측도어(1)(2)를 단속하여 구속하는 엘리베이터 인터록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측도어(2) 상부에 마련된 행거플레이트(3')에 설치되는 키퍼부(10);
상기 키퍼부(10)는
행거플레이트(3') 일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11)과, 상기 브라켓(11) 일단에 설치되는 회동부재(12)와, 상기 회동부재(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13)와, 상기 레버(13)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도어(1) 상부에 마련된 행거플레이트(3)에 설치되는 후크부(20);
상기 후크부(20)는
행거플레이트(3) 일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에 수직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부에 단속홀(22a)이 형성된 후크(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도어(1)(2)가 맞닿는 지점 상부에 위치하여, 내벽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키퍼부(10)의 레버(13) 및 후크부(20)의 후크(22)와 상호 단속하여 구속되는 스위치부(30)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부(30)는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에 수직절곡되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부에 단속홀(32a)이 형성된 후크(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
An elevator interlocking locking device for interlocking and restraining both doors (1) (2) of an elevator,
A keeper unit 10 installed on a hanger plate 3 'provided on the upper right door 2;
The keeper section 10
A bracket 1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nger plate 3 ', a tilting member 12 provided at one end of the bracket 11, a lever 13 rotatably installed on the tilting member 12, , And an elastic portion (14) for apply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lever (13)
A hook portion 20 provided on the hanger plate 3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ft door 1;
The hook portion (20)
A fixing part 21 fix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hanger plate 3 and a hook 22 formed to be horizontally bent and vertically bent to the fixing part 21 and having an intermittent hole 22a at an end thereof and,
And is fixed to the inner wall and is interlocked with the lever 13 of the keeper part 10 and the hook 22 of the hook part 20 And a restricting switch unit 30,
The switch unit 30 includes a fixed unit 31 fixed to the inner wall and a hook 32 vertically bent and horizontally extended to the fixed unit 31 and having an intermittent hole 32a at an end thereof Wherein the elevator interlock double locking device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플레이트(3)(3') 상부 내벽에 상호 이격되어 대칭하게 제1센서(4a)와 제2센서(4b)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센서(4a)(4b)를 작용시키기 위해 행거플레이트(3)(3') 일측면에 스토퍼(6)가 설치되어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ensor 4a and a second sensor 4b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on the inner walls of the upper portions of the hanger plates 3 and 3 '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6)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lates (3) and (3 ') to interac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38728A 2015-03-20 2015-03-20 Inter lock Dual locking device for elevator KR1016948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728A KR101694815B1 (en) 2015-03-20 2015-03-20 Inter lock Dual locking device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728A KR101694815B1 (en) 2015-03-20 2015-03-20 Inter lock Dual locking device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636A KR20160112636A (en) 2016-09-28
KR101694815B1 true KR101694815B1 (en) 2017-01-11

Family

ID=5710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728A KR101694815B1 (en) 2015-03-20 2015-03-20 Inter lock Dual locking device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8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0232B (en) * 2017-10-10 2020-06-02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Elevator layer door lock device and elevator layer door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197B1 (en) * 2010-02-23 2010-11-01 지상열 Elevator door switchgear
KR200462913Y1 (en) * 2010-07-21 2012-10-1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Interlock apparatus for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401B1 (en) * 2005-09-22 2007-08-14 주식회사 제이에스렌탈 Lift gate locking apparatus
KR100812471B1 (en) * 2005-12-20 2008-03-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latform door unlocking device of elevator
KR20110026556A (en) 2009-09-08 2011-03-16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Interlocking apparatus for landing door of elev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197B1 (en) * 2010-02-23 2010-11-01 지상열 Elevator door switchgear
KR200462913Y1 (en) * 2010-07-21 2012-10-1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Interlock apparatus fo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636A (en)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9567B1 (en) Platform door lock device
KR101274421B1 (en) Elevator car door lock
KR100903971B1 (en)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JP7206087B2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ler
EP3484806B1 (en) Elevator arrangement to open the roof of an elevator car
KR101220495B1 (en) Apparatus for rocking of elevator hatch door
JP6704068B2 (en) Elevator equipment
JP4782004B2 (en)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device
KR20110026556A (en) Interlocking apparatus for landing door of elevator
KR101694815B1 (en) Inter lock Dual locking device for elevator
JP5600778B1 (en) Elevator safety device
JP6780012B2 (en) Car and elevator
WO2017208595A1 (en) Elevator device
KR102086246B1 (en) Clutch System for Door of Elevator
KR200462913Y1 (en) Interlock apparatus for elevator
JPH0812228A (en) Elevator device
WO2012025992A1 (en) Elevator device
KR101065024B1 (en) The device for preventing returing of the elevator door
KR100812471B1 (en) Platform door unlocking device of elevator
JP2019018951A (en) Unlocking device for elevator landing door
JP4379204B2 (en) Elevator equipment
JP5138240B2 (en) Elevator equipment
KR101220502B1 (en) Apparatus for rocking of elevator hatch door
KR102302696B1 (en) Interlock release device for lift door elevator
KR200472877Y1 (en) Door open-close apparatuus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