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971B1 -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 Google Patents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971B1
KR100903971B1 KR1020070091341A KR20070091341A KR100903971B1 KR 100903971 B1 KR100903971 B1 KR 100903971B1 KR 1020070091341 A KR1020070091341 A KR 1020070091341A KR 20070091341 A KR20070091341 A KR 20070091341A KR 100903971 B1 KR100903971 B1 KR 100903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oor
elevator
clutch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26402A (en
Inventor
박종대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971B1/en
Publication of KR20090026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4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9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도어의 클러치와 승장도어 롤러의 수직적인 만남을 이용하여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카도어 잠금장치의 부품 및 설치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높여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with a car door lock,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equipped with a car door lock device which can secure the safety of a passenger by greatl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while reducing the parts and installation cost of the door lock devic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패널에는 클러치 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 베이스의 선단 및 후단에는 각각 무빙캠과 고정캠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무빙캠의 일정 지점에는 무빙캠 롤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무빙캠 롤러에는 선택적으로 회전캠이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 및 무빙캠 사이에 해당하는 클러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액츄에이터캠과; 정면이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액츄에이터캠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그 전단부에는 하측을 향해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키퍼와; 상기 키퍼와 대응되는 도어 구동장치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며, 그 형상은 갈고리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후크 및; 상기 키퍼의 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점 결합되도록 상기 후크와 인접한 도어 구동장치에 설치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To this end, in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equipped with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lutch base is provided on a car door panel of an elevator, a moving cam and a fixed cam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lutch base, Wherein a moving cam roller is provided at a certain point of the moving cam so that the rotating cam is selectively interlocked with the moving cam roller, An actuator cam coupled to the actuator; A keeper having a front face formed in a shape of "┓" so as to be rotatable on an upper end of the actuator cam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thereof; A hook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oor driv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keeper and configured to have a hook shape; And a switch unit installed in the door driving device adjacent to the hook so as to be selectively contact-connected to the contact point of the keeper.

카도어, 승장도어, 클러치, 액츄에이터캠, 고정캠, 무빙캠, 회전캠, 롤러 A door, a lift door, a clutch, an actuator cam, a fixed cam, a moving cam, a rotating cam, a roller

Description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utch structure for an elevator equipped with a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클러치에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가 승장도어와 동시에 개폐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equipped with a door lock device,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oor lock device provided with a clutch of an elevator so that a car door of the elevator car can be open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provided with a door lock device for safely protecting a vehicle.

일반적으로, 주거용이나 업무용 등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략 그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이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elevator apparatus installed in various kinds of high-rise buildings such as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s and used when a passenger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udes a passenger- An elevator car for moving a passenger while moving in a downward direction, a mechanical part for moving the elevator car to a corresponding floor of the passenger with a motor part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power and a hoisting machine,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car so as to smoothly and stably operate the elevator car while controlling the mechanical unit.

여기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카도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의 각층 승강장의 승강구에는 상기 카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탑승객을 해당 층에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도어가 설치된다.       Here, the elevator car provided in the elevator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ar door which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a lift door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is provided with an elevation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cooperation with the car door, Respectively.

이때, 상기 카도어 및 승강도어는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 하고 경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한 개의 동력을 매개로 일체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클러치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임의의 층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카도어와 승장도어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card door and the elevating door are configured to operate integrally with one power source in order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and increase the economy. To this end, the elevator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lutch device, The card door and the elevator door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 중에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지정된 정지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정지된 경우, 승강도어가 수동으로 개방되게 되면 승객이 승강로로 추락할 위험이 있으므로 승장도어에는 록킹 장치가 필수적으로 부착되게 되며, 또한 엘리베이터 카의 탑승객이 임의로 카도어를 개방하여 탈출을 시도할 시에는 승강기와 벽 사이의 공간으로 추락할 위험성이 있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카도어 잠금장치가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vator device is stopped while the elevator device is out of the designated stop position, there is a risk that the passenger may fall to the hoistway if the elevator door is manually opened. In addition, when a passenger of the elevator car arbitrarily opens the car door to attempt to escape, there is a danger of fall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elevator and the wall.

여기에서, 종래의 카도어 잠금장치는 건물의 각 정지층에 캠을 설치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카에는 전자석을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과 승강장 바닥의 어긋남을 검출하여 카도어의 잠금 여부를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카도어에 설치된 클러치가 승장도어에 취부된 롤러를 잡고 일체로 개폐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 및 승장장 바닥의 레벨이 기준치 이내에 있을 때만 상기 클러치와 롤러가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방식 등이 사용되었 다.      Here, in the conventional door lock device, a cam is installed on each stop layer of a building, and an electromagnet is installed on the elevator car to detect a deviation between the floor surface of the elevator car and the bottom of the landing pad, Or when the level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car and the bottom floor of the elevator car is within the reference value by using a principle in which a clutch installed on the car door is held and rolled integrally with the roller mounted on the elevator door, And a method in which the rollers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그 부품의 비용이 상승됨과 아울러 고장의 염려가 있으며 각각의 승강층에 캠을 설치하고 조정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에 조립되는 캠이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돌출하면서 승장측의 롤러와 마찰을 일으키면서 잠금동작을 멈추게 함과 아울러 롤러가 없는 경우에는 돌출을 계속하면서 카도어를 잠그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롤러의 전후방향 길이를 정확히 조정하지 않을 경우에 오동작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 바닥면의 레벨이 맞는 구간에서도 카문을 잠그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the parts is increased, and there is a fear of failure, and a cam must be installed and adjusted in each of the lift-up layers. In the latter case, The locking operation is stopped while causing the roller to collide with the rollers on the side of the lift, and when the rollers are not provided, the car door is locked while continuing to protrude. This method does not precisely adjust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rolle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lfunction is caused and the cam door is locked even in a section where the level of the elevator ca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anding floor match.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도어의 클러치와 승장도어 롤러의 수직적인 만남을 이용하여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카도어 잠금장치의 부품 및 설치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높여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door control apparatus and a elevator door control metho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equipped with a car door lock device which can secure the safety of a passenger by greatl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while reducing the cost of parts and installation of the car door lock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패널에는 클러치 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 베이스의 선단 및 후단에는 각각 무빙캠과 고정캠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무빙캠의 일정 지점에는 무빙캠 롤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무빙캠 롤러에는 선택적으로 회전캠이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 및 무빙캠 사이에 해당하는 클러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액츄에이터캠과; 정면이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액츄에이터캠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그 전단부에는 하측을 향해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키퍼와; 상기 키퍼와 대응되는 도어 구동장치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며, 그 형상은 갈고리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후크 및; 상기 키퍼의 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점 결합되도록 상기 후크와 인접한 도어 구동장치에 설치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having a door lock device, wherein a clutch base is installed on a car door panel of the elevator, Wherein the movable cam is provided with a fixed cam and the movable cam is selectively locked to the movable cam while the movable cam is provided at a certain point of the movable cam, An actuator cam rotatably coupled to the clutch base; A keeper having a front face formed in a shape of "┓" so as to be rotatable on an upper end of the actuator cam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thereof; A hook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oor driv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keeper and configured to have a hook shape; And a switch unit installed in a door driving apparatus adjacent to the hook so as to be selectively contact-coupled to a contact point of the keeper.

바람직하게, 상기 액츄에이터캠은 상기 무빙캠 및 액츄에이터캠 사이에 승장도어의 롤러가 위치함을 인식하여 회전 동작하면서 상기 키퍼를 동작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actuator cam recognizes that the roller of the elevator door is positioned between the moving cam and the actuator cam, and operates the keeper while rotating.

그리고, 상기 도어 구동장치에는 상기 클러치 베이스에 취부된 링크의 상하운동을 가이드 하는 픽업캠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무빙캠의 일측에는 무빙캠 롤러를 매개로 무빙캠의 상하 회전운동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회전캠이 설치되며, 상기 링크와 회전캠은 픽업 플레이트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연동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oor driv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ick-up cam for guiding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link attached to the clutch base, and is provided with, on one side of the moving cam, a rotation And the link and the rotation cam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ickup plate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더 바람직하게, 상기 픽업캠의 상면에는 상기 카도어 측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카도어가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pick-up cam is formed with a shoulder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arbitrarily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of the car door is cut off.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장치가 그 본래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강도어를 동시에 제어할 수가 있으므로, 종래의 카도어 잠금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lutch device of the elevator performs its original function and the elevator car door and the elevator door can be simultaneously controlled,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car door locking device can be solved, It is possible to securely protect the apparatus.

또한, 이를 통해 고가의 전자석 방식 카도어 잠금장치를 대체할 수가 있으므로, 카도어 잠금장치의 설치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의 크기나 규격 등의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매우 다양하게 적용 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high-priced electromagnetism type door lock device, thereb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door lock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Further, since the elevator is not limited by the size or specification of the elevator There will be useful effects that can be applied in a wide variety of ways.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 1의 일부분 확대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overall structure of an elevator car door to which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with a car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front view of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having a car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는,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각각 양측으로 개폐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카도어(100)에 구비되는 클러치(300)를 특정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에 따라 달성된다.       First,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with a car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utch (not shown) provided in a pair of car doors 100 to be opened and closed on both sides for raising and lowering passengers aboard the elevator car, 300) is configured to have a specific structure.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카도어(100)를 구성하는 일측 패널의 상측에는 소정 형상을 갖는 클러치 베이스(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 베이스(10) 전면의 선단 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무빙캠(40)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무빙캠(40)의 일정 지점에는 무빙캠 롤러(42)가 설치되며, 상기 무빙캠 롤러(42)의 상측 및 하측으로는 각각 제 1회전부재(44)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각각의 제 1회전부재(44)는 소정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제 1회전부재(44)와 일정 각도를 갖는 대각선 방향의 클러치 베이스(10)에 형성된 제 2회전부재(12)와 연결된다.      To this end, in a state in which a clutch base 1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panel constituting the pair of the doors 100,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lutch base 10 is fixed And a moving cam roller 42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ving cam 40.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ving cam roller 42 are provided with first The first rotary member 44 is formed on the diagonal direction clutch base 10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rotary member 44 via a predetermined connect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member 12.

그리고, 상기 클러치 베이스(10)에는 그 몸체의 상측 모서리 일측에 상기 무빙캠 롤러(42)가 단속되도록 요입홈(52)이 형성된 회전캠(50)이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캠(50)은 상기 클러치 베이스(10)의 상측에 형성되는 픽업캠(60) 및 상기 픽업캠(60)과 회전캠(50)을 상호 연결하는 픽업 플레이트(70)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A rotation cam 50 is formed on the clutch base 10 at one side of an upper corner of the body so that the moving cam roller 42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cam 50, A pickup cam 6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utch base 10 and a pickup plate 70 connecting the pickup cam 60 and the rotation cam 50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픽업 플레이트(70)의 상단부 측에는 롤러(62)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60)는 상기 픽업캠(60)의 곡면을 따라 우측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픽업 플레이트(70)의 상측 일정 지점 및 클러치 베이스(10)에는 스프링(72)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72)의 탄성력에 의한 픽업 플레이트(70)의 작용에 의해 상기 롤러(62)와 연결된 링크(64)가 반시계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roller 6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downwar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pick-up cam 60 while the roller 62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pick-up plate 70, And the link 72 connected to the roller 62 by the action of the pick-up plate 70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2 64 are allowed to flow counterclockwise.

또, 상기 픽업캠(60)의 상면에는 걸턱(66)이 형성되어, 상기 카도어(100) 측의 전원 차단시에 상기 롤러(61)가 임의적으로 유동되면서 카도어(10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jaw 6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ck-up cam 60 so that the roller 61 is arbitrarily moved to open the door 100 when the power source of the door 100 is shut off .

한편, 상기 클러치 베이스(10)의 전면 후단 측에는 고정캠(2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캠(20)과 상기 무빙캠(40) 사이에는 액츄에이터캠(30)이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캠(30)의 상단부 측에는 그 정면이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단부에는 하측을 향해 걸림돌기(34)가 돌출 형성된 키퍼(32)가 형성된다.      A fixed cam 2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lutch base 10 and an actuator cam 30 is installed between the fixed cam 20 and the moving cam 40, A keeper 32 is form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actuator cam 30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face thereof is substantially "┓" -shaped and a locking protrusion 34 protrudes downward from the front end thereof.

또한, 상기 키퍼(32)의 전단부 측에는 절연체(36)가 연장 형성된 후 은과 같 은 전도체로 이루어진 접점이 구비된다.       A contact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silver is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keeper 32 after the insulator 36 is extended.

그리고, 상기 키퍼(32)와 대응되도록 도어 구동장치(200)의 일정 지점에는 대략 갈고리 형상을 갖는 후크(82)가 구성되며, 상기 후크(82)가 설치되는 도어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키퍼(32)와 선택적으로 접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스위치부(80)가 구성된다.      A hook 82 having a substantially hook shape is formed at a certain point of the door driving device 2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keeper 32. In the door driving device 200 in which the hook 82 is installed, And a switch unit 80 which is selectively contact-coupled with the switch 32 is constructed.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1 내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A and 3B.

본 발명에 따른 카도어 잠금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클러치 구조가 엘리베이터 장치의 카도어 측에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 위치에 정지할 시에는 상기 카도어(1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캠(20) 및 무빙캠(40) 사이에 승장도어의 롤러(400)가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액츄에이터캠(30)의 키퍼(32) 및 도어 구동장치(200)의 후크(82)는 상호 잠김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위치부(80)의 접점이 통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clutch structure provided with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on the car door side of the elevator apparatus, when the elevator car stops at the normal position, The keeper 32 of the actuator cam 30 and the hook 82 of the door driving device 200 are 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oller 400 of the elevator door is positioned between the door 20 and the moving cam 40 The contact point of the switch unit 80 is maintained.

그 후, 상기 카도어(100) 및 승장도어의 개방을 위해 상기 카도어(100) 측의 도어 구동장치(200)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고정캠(20)이 우측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고, 이에 상기 액츄에이터캠(30)은 승장도어의 롤러(400) 측면을 인식하면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캠(30)의 상단부 측에 링크 구조로 연결된 키퍼(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후크(82)와의 잠김상태가 해제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80)의 접점이 떨어지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door driving device 200 on the door 100 side is operated to open the door 100 and the elevator door, the fixed cam 20 moves to the right by a certain distance The actuator cam 30 moves in the left direction while recognizing the side surface of the roller 400 of the elevation door and at the same time the keeper 32 connect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actuator cam 30 in a link structure is rotated clockwise So that the locked state with the hook 82 is released and the contact of the switch unit 80 is dropped.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픽업캠(6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롤러(62)는 상기 픽업캠(60) 상단의 곡면을 따라 우측 하방으로 이동을 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클러치 베이스(10) 및 픽업 플레이트(70)에 양단부가 결합된 스프링(72)의 작용에 의해 상기 롤러(62)와 연결된 링크(6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roller 62 positioned above the pick-up cam 60 moves downwar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pick-up cam 60, and the clutch base 10 and the pick- The link 64 connected to the roller 62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action of the spring 72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70.

이때, 상기 스프링(72) 및 링크(64)에 연결된 픽업 플레이트(70)에는 하측을 향하도록 외력이 인가되게 되는데, 이를 통해 그 하단부 측에 구성된 회전캠(5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외력을 인가하게 된다.      At this tim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ickup plate 70 connected to the spring 72 and the link 64 downwardly so that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rotate the rotation cam 50 formed at the lower end side thereof in the clockwise direction .

또한, 상기 회전캠(5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회전캠(50)의 요입홈(52)에 맞닿아 있는 무빙캠 롤러(42)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무빙캠(40)도 좌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므로서, 상기 액츄에이터캠(30) 및 무빙캠(40) 상호 간의 거리는 승장도어의 롤러(400) 직경과 일치하게 되면서 상기 도어 구동장치(200)에 의해 카도어(100)의 개방동작이 완료되게 된다.      The moving cam roller 4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cave groove 52 of the rotary cam 50 is moved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cam 50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actuator cam 30 and the moving cam 40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roller 400 of the lift door so that the door 40 is moved to the door driving device 200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100 is completed.

이때, 승장도어의 롤러(400)는 상기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에 구속되어 일체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른 승장도어 롤러(400)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도어(100) 및 승장도어가 일체로 개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roller 400 of the elevator door is restrained and moved integrally with the elevator clutch device, so that the elevator car door 100 and the elevator door can be integrally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door roller 400 .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의 카도어(100) 및 승강도어가 동시에 개폐되도록 이루어짐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지정된 위치에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카도어(100)의 개방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승객이 인위적으로 카도어를 개방시켜 임의적으로 탈출하는 것이 방지되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elevator car 100 is opened and closed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car can not be opened if the elevator car is not in the designated position. Therefore, The passenger is prevented from arbitrarily escaping by opening the car door artificially, thereby securing the safety of the passenger.

즉,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의 지정된 위치에 정지되지 않은 경우(고정캠(20) 및 무빙캠(40) 사이에 승장도어 롤러(400)가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캠(2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캠(30)이 상기 승장도어 롤러(400)의 측면을 인식하지 못하게 되면서, 상기 액츄에이터캠(30)은 아무런 동작을 행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캠(30)의 키퍼(32) 또한 후크(82)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elevator car is not stopped at the designated position of the landing (in the case where the elevating door roller 400 is not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cam 20 and the movable cam 40), the fixed cam 20 is moved rightward The actuator cam 30 does not recognize the side surface of the elevator door roller 400 when the actuator cam 30 moves so that the actuator cam 30 does not perform any operation and thus the keeper of the actuator cam 30 32 are also kept locked by the hooks 82. [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100)가 일부 유동된다 하도라도 상기 키퍼(32) 및 후크(82)는 상호 잠긴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카도어(100)는 더 이상 개방되지 않고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Further, even when the door 100 of the elevator car partially flows, the keeper 32 and the hooks 82 remain lock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oor 100 is not opened any more, Can be maintained.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 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car door to which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with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 1의 일부분 확대도,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 showing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with a car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S. 3A and 3B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equipped with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클러치 베이스, 12: 제 2회전부재,        10: clutch base, 12: second rotating member,

20: 고정캠, 30: 액츄에이터캠,        20: fixed cam, 30: actuator cam,

32: 키퍼, 34: 걸림돌기,        32: Keeper, 34:

36: 절연체, 40: 무빙캠,        36: insulator, 40: moving cam,

42: 무빙캠 롤러, 44: 제 1회전부재,        42: a moving cam roller, 44: a first rotating member,

50: 회전캠, 52: 요입홈,        50: rotation cam, 52: concave groove,

60: 픽업캠, 62: 롤러,        60: pick-up cam, 62: roller,

64: 링크, 66: 걸턱,        64: link, 66: jaw,

70: 픽업플레이트, 72: 스프링,        70: pickup plate, 72: spring,

80: 스위치부, 82: 후크,        80: switch portion, 82: hook,

100: 카도어, 200: 도어 구동장치,        100: Card door, 200: Door driving device,

300: 클러치, 400: 승장도어 롤러.       300: clutch, 400: elevator door roller.

Claims (4)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패널에는 클러치 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 베이스의 선단 및 후단에는 각각 무빙캠과 고정캠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무빙캠의 일정 지점에는 무빙캠 롤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무빙캠 롤러에는 선택적으로 회전캠이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에 있어서,       The moving base is provided with a clutch base on the car door panel of the elevator, a moving cam and a fixed cam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lutch base, respectively, and a moving cam roller is provided at a certain point of the moving cam, A clutch structure of an elevator in which a rotating cam is selectively interrupted, 상기 고정캠 및 무빙캠 사이에 해당하는 클러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액츄에이터캠과;      An actuator cam rotatably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clutch base between the fixed cam and the moving cam; 정면이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액츄에이터캠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그 전단부에는 하측을 향해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키퍼와;      A keeper having a front face formed in a shape of "┓" so as to be rotatable on an upper end of the actuator cam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thereof; 상기 키퍼와 대응되는 도어 구동장치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며, 그 형상은 갈고리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후크 및;      A hook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oor driv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keeper and configured to have a hook shape; 상기 키퍼의 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점 결합되도록 상기 후크와 인접한 도어 구동장치에 설치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And a switch unit installed in a door driving device adjacent to the hook so as to be selectively contact-connected to a contact point of the keep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액츄에이터캠은 상기 무빙캠 및 액츄에이터캠 사이에 승장도어의 롤러가 위치함을 인식하여 회전 동작하면서 상기 키퍼를 동작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Wherein the actuator cam recognizes that the roller of the elevator door is located between the moving cam and the actuator cam and operates the keeper while rotating.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도어 구동장치에는 상기 클러치 베이스에 취부된 링크의 상하운동을 가이드 하는 픽업캠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무빙캠의 일측에는 무빙캠 롤러를 매개로 무빙캠의 상하 회전운동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회전캠이 설치되며, 상기 링크와 회전캠은 픽업 플레이트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연동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The door driv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ick-up cam for guiding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link attached to the clutch base, and a rotary cam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ving cam to allow the moving cam to rotate up and down via a moving cam roller And the link and the rotation cam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ickup plate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픽업캠의 상면에는 상기 카도어 측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카도어가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pick-up cam is provided with a shoulder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arbitrarily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of the car door is cut off.
KR1020070091341A 2007-09-10 2007-09-10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KR1009039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41A KR100903971B1 (en) 2007-09-10 2007-09-10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41A KR100903971B1 (en) 2007-09-10 2007-09-10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402A KR20090026402A (en) 2009-03-13
KR100903971B1 true KR100903971B1 (en) 2009-06-25

Family

ID=4069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341A KR100903971B1 (en) 2007-09-10 2007-09-10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97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338B1 (en) 2016-02-24 2016-10-12 권순범 Elevator door safety locking assembly
KR200482807Y1 (en) 2015-10-30 2017-03-07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KR102086246B1 (en) * 2018-09-06 2020-03-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Clutch System for Door of Elevator
KR102103335B1 (en) 2018-10-29 2020-04-22 권순범 Elevator door unlocing system with increased unlocking function
KR20210099463A (en) 2020-02-04 2021-08-12 주식회사 이노에스템 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
KR20210099460A (en) 2020-02-04 2021-08-12 권순범 Elevator door unlocking keep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80Y1 (en) * 2012-09-25 2014-01-1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CN105035921B (en) * 2015-08-24 2017-03-29 苏州和阳金属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oor knife of the integrated car door lock of elevator
CN109720971B (en) * 2017-10-27 2020-07-14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Elevator car door machine device with car door lock
CN110255343A (en) * 2019-06-26 2019-09-20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Elevator hall door lock device and shield
KR102351011B1 (en) * 2019-11-18 2022-01-13 김미희 Car door locking device of an elev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450A (en) 1999-10-08 2001-05-07 장병우 Elevator car door safety locking apparatus
KR20030005729A (en) * 2001-07-10 2003-01-2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Locking apparatus for a car door of elevator
KR20060040320A (en) * 2004-11-05 2006-05-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A car door locking confirmation system for elev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450A (en) 1999-10-08 2001-05-07 장병우 Elevator car door safety locking apparatus
KR20030005729A (en) * 2001-07-10 2003-01-2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Locking apparatus for a car door of elevator
KR20060040320A (en) * 2004-11-05 2006-05-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A car door locking confirmation system for eleva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807Y1 (en) 2015-10-30 2017-03-07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KR101665338B1 (en) 2016-02-24 2016-10-12 권순범 Elevator door safety locking assembly
KR102086246B1 (en) * 2018-09-06 2020-03-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Clutch System for Door of Elevator
KR102103335B1 (en) 2018-10-29 2020-04-22 권순범 Elevator door unlocing system with increased unlocking function
KR20210099463A (en) 2020-02-04 2021-08-12 주식회사 이노에스템 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
KR20210099460A (en) 2020-02-04 2021-08-12 권순범 Elevator door unlocking keep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402A (en) 200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971B1 (en)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US20210380373A1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US7398862B2 (en) Car door lock
EP3331802B1 (en) Car door interlock with sill lock
KR101742927B1 (en) Elevator car door lock device
CN107074502B (en) Elevator car door device
JP5743023B2 (en) Elevator safety equipment
KR101274421B1 (en) Elevator car door lock
KR200482807Y1 (en)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CN101117870A (en) Elevator gate lock
CN200940381Y (en) Lift car door lock
JP4245371B2 (en) Elevator door equipment
KR200470880Y1 (en)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KR102086246B1 (en) Clutch System for Door of Elevator
KR20030005729A (en) Locking apparatus for a car door of elevator
CA2590356C (en) Car door lock
KR20060040320A (en) A car door locking confirmation system for elevator
KR100522988B1 (en) A combined crash preventing device for elevator doors function s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