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107B1 -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107B1
KR101694107B1 KR1020160096403A KR20160096403A KR101694107B1 KR 101694107 B1 KR101694107 B1 KR 101694107B1 KR 1020160096403 A KR1020160096403 A KR 1020160096403A KR 20160096403 A KR20160096403 A KR 20160096403A KR 101694107 B1 KR101694107 B1 KR 101694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main
interlocking
shaft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국
Original Assignee
문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국 filed Critical 문병국
Priority to KR102016009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에 실은 화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눈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씌워주는 천막지 등으로 되는 덮개들을 혼자서 신속하고도 간편·용이하게 씌우거나 벗길 수 있도록 하는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는, 주동축(11)·제1,2주동베벨기어(12)(12')·주동클러치(13)를 구비하는 주동수단(10)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작동하는 좌우 종동수단(20)(20')과, 연동수단(30)과, 상기 주동축에 의해 회동하는 주동권취기(40)와, 상기 좌우 종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동하는 좌우 권취기(50)(50')와, 상기 연동수단에 의해 주동축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작동하는 제1~3권취부(60)~(60")와, 상기 제1~3권취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화물을 씌우거나 벗겨지는 제1~3덮개(70)~(70")와, 상기 덮개를 벗길 때 좌우 종동수단에 의해 회동하는 좌우 지지부재(80)(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Cover devices of the cargo loading area}
본 발명은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럭의 적재함에 실은 화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눈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씌워주는 천막지 등으로 되는 덮개를 자동으로 매우 신속하고도 간편·용이하게 씌워주거나 벗길 수 있도록 하는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화물을 싣고 운반하는 트럭의 적재함은 화물을 용이하게 싣고 내릴 수 있도록 대부분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을 할 때 적재한 화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로프를 사용하여 화물을 적재함에 결박하였으며, 또한, 주행 중 갑자기 눈비가 내릴 때에는 화물을 보호하기 위해 운전자가 혼자서 가득 실은 화물 위에 올라가서 천막지 등으로 된 덮개를 씌우고 로프로 결박하여 날리지 않도록 하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하였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힘이 들게 되었음은 물론 부주의로 낙상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들을 천막을 씌움과 동시에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을 결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화물들을 덮는 천막과 화물들을 고정하는 로프를 일체로 형성한 화물차의 적재함 포장용 커버(등록실용신안 제20-0443020호)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커버 역시 운전자가 혼자서 수작업으로 씌워주거나 벗겨주어야 하는 것이므로 작업시간을 줄이는 것 외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언재 어디서나 운전자 혼자서 조작하여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한 화물을 힘들이지 않고 매우 신속하고도 간편·용이하게 씌워주거나 벗겨줄 수 있도록 하는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물적재함의 하면 중간을 전후로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주동축)에 격리되게 부설되는 제1,2주동베벨기어와 상기 제2주동베벨기어의 후측에 위치하게 주동축에 부설되는 주동클러치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주동수단과, 좌우 전동축의 각 내단에 상기 제2주동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내측 전동베벨기어와 상기 좌우 전동축의 각 외단에 설치되는 외측 전동베벨기어와 상기 좌우 전동축에 각각 부설되어 주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좌우 종동클러치와 각 전단에 상기 외측 전동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좌우 종동베벨기어와 각 후단은 화물적재함의 하면 후측 좌우에 위치하게 축 설치되는 좌우 종동축을 각각 구비하여 형성되는 좌우 종동수단과, 연동축의 내단에 상기 제1주동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연동베벨기어와 상기 연동축의 중간과 외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3연동베벨기어와 상기 제1,2연동베벨기어들 사이와 제2,3연동베벨기어들 사이에 각각 부설되는 제1,2연동클러치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연동부재와, 제1수직축의 하단에 상기 제2베벨연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하측베벨기어와 상기 제1수직축 상단에 설치되는 제1상측베벨기어와 상기 제1수직축에 부설되는 제1클러치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1연동부와, 제2수직축의 하단에 제3베벨연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2하측베벨기어와 상기 제2수직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2상측베벨기어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2연동부와, 제1피동축의 일단에 제2연동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피동베벨기어와 상기 제1피동축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피동베벨기어와 상기 제1피동축에 부설되는 피동클러치와 상기 제2피동축의 일단에 제2피동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3피동베벨기어와 상기 제2피동축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4피동베벨기어와 제3수직축의 하단에 상기 제4피동베벨기어와 말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3하측베벨기어와 상기 제3수직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3상측베벨기어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3연동부와, 상기 주동축의 후단부에 축 고정되는 주동피니언과 상기 주동피니언의 후면에 부설되는 주동스풀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주동권취기와, 상기 주동권취기의 좌우에 격리설치되며 각각 주동피니언에 의해 회전하게 설치되는 좌우 연동피니언과 상기 연동피니언의 후면에 각각 부설되는 좌우 스풀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좌우 권취기와, 에어스포일러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권취드럼과 상기 제1권취드럼이 축 고정되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의 일단에 축 고정되어 제1상측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제1피동베벨기어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1권취부와, 상기 제1권취드럼의 직 하방에 설치되는 제2권취드럼과 상기 제2권취드럼이 축 고정되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의 일단에 축 고정되어 제2상측베벨기어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제2피동베벨기어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2권취부와, 상기 제2권취드럼의 직 하방에 설치되는 제3권취드럼과 상기 제3권취드럼이 축 고정되는 제3회동축과 상기 제3회동축의 일단에 축 고정되어 제3상측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제3피동베벨기어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3권취부와,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상부를 덮어주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좌우에 연장되어 화물의 좌·우부를 덮어주는 좌·우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후단에 연장되어 화물의 후부를 덮어주며 하단부 중간과 주동스풀을 견인로프로 연결하는 후면부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1~3덮개와, 상기 좌우 종동축의 후단에 각각 하단이 축 고정되어 적재함의 후면 하측에 정·역회동하게 설치되는 지지관체와 상기 지지관체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삽입결합되어 출몰하게 설치되는 지지봉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좌우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물을 씌워주거나 벗기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다른 화물적재함 커버장치는,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한 화물을 씌워주는 천막지 등으로 되는 덮개를 언제 어디서나 운전자가 혼자서 조작하여 힘들이지 않고 매우 신속하고도 간편·용이하게 씌워주거나 벗겨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가 적용된 트럭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화물적재함 덮개장치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3은 도 1에서 제1~3권취부가 설치된 부분을 발췌확대하여 보인 측면도
도 4는 도 1에서 제1덮개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화물을 적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6a~c는 도 5에서 적재한 화물에 덮개를 씌우는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7은 도 5에서 적재한 화물에 덮개를 씌운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8a,b는 도 7에서 화물에 씌운 덮개를 벗기는 상태를 보인 배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가 적용된 트럭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화물적재함 덮개장치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제1~3권취부가 설치된 부분을 발췌확대하여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제1덮개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서 화물을 적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고, 도 6a~c는 도 5에서 적재한 화물에 덮개를 씌우는 상태를 보인 배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적재한 화물에 덮개를 씌운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8a,b는 도 7에서 화물에 씌운 덮개를 벗기는 상태를 보인 배면도이다.
도 1~8a,b의 본 발명에 따른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는, 주동수단(10)·좌우 종동수단(20)(20')·연동수단(30)·주동권취기(40)·좌우 권취기(50)(50')·제1~3권취부(60)~(60")·제1~3덮개(70)~(70")·좌우 지지부재(80)(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동수단(10)은, 운전석(1)의 중간 하면에서 화물적재함(2)의 하면을 전후로 가로질러 그 후측 하부에 이르게 설치되는 주동축(11)과, 상기 주동축의 소정위치에 부설되는 제1,2주동베벨기어(12)(12') 및 상기 제2주동베벨기어 후측에 위치하게 주동축에 부설되는 주동클러치(13)를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주동축(11)은 차량의 엔진이나 별도로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정·역회전하게 되며, 주동클러치(13)는 상기 주동축의 정·역회전력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동축의 후단에 설치되는 주동권취기(40)에 전달 또는 차단하게 된다.
좌우 종동수단(20)(20')은, 각각 좌우 전동축(21)(21')과, 상기 좌우 전동축의 각 내단에 제2주동베벨기어(12')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내측 전동베벨기어(22)와, 상기 좌우 전동축의 각 외단에 설치되는 외측 전동베벨기어(22')와, 상기 좌우 전동축에 각각 부설되어 좌우 전동축들이 주동축(11)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전달받아 회전하게 하는 좌우 종동클러치(23)(23')와, 각 전단에는 상기 외측 전동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좌우 종동베벨기어(24)(24')와, 각 후단은 화물적재함(2)의 하면 후측 좌우에 위치하게 축 설치되는 좌우 종동축(25)(25')을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좌우 종동클러치(23)(23')들 중 상기 좌측 종동클러치에 의해 좌측 전동축(21)이 주동축(11)의 정·역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우측 전동축은 회전하지 않게 되면, 상기 회전하는 좌측 전동축의 외단에 설치된 외측 전동베벨기어(22')와 맞물려 있는 좌측 종동베벨기어(24)에 의해 좌측 종동축(25)이 회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종동축의 후단에 설치되는 좌측 지지부재(80)에 전달되어 정·역회동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우측 종동클러치(23')에 의해 우측 전동축(21')이 주동축(11)의 정·역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될 때에는, 그 회전력이 우측 종동축(25')을 거쳐 우측 지지부재(80')에 전달되어 정·역회동시켜 주게 된다.
연동수단(30)은, 연동부재(31)와, 상기 연동부재에 의해 주동축(11)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각각 제1~3덮개(70)~(70")를 감거나 풀어주는 제1~3권취부(60)~(60")를 작동시켜 주는 제1~3연동부(32)~(34)를 구비하여 된다.
연동부재(31)는, 연동축(311)과, 상기 연동축의 내단에 제1주동베벨기어(12)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연동베벨기어(312)와, 상기 연동축의 중간과 외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3연동베벨기어(313)(314) 및 상기 제1,2연동베벨기어들 사이와 제2,3연동베벨기어들 사이에 부설되는 제1,2연동클러치(315)(316)를 구비하여 된다.
제1연동클러치(315)는, 주동축(11)의 회전력이 주동권취기(40)을 회전시킬 때에는 상기 주동축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1연동베벨기어(312)의 회전력이 제2연동베벨기어(313)에 전달되게 하여 제1,3연동부(32)(34)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반면에 상기 주동축의 회전력이 좌우 지지부재(80)(80')를 선택적으로 정·역회동시키게 전달될 때에는 상기 제1연동베벨기어의 회전력이 제2연동베벨기어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제1~3연동부가 작동하지 않게 한다.
제2연동클러치(316)는, 제1연동베벨기어(312)의 회전력이 제2연동베벨기어(313)에 의해 제1,3연동부(32)(34)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될 때에는 상기 제2연동베벨기어의 회전력이 제3연동베벨기어(314)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제2연동부(32')가 작동하지 않게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제1~3연동부(32)~(32")들 중 어느 하나가 작동할 때 다른 두개는 작동하지 않게 함으로써 제1~3권취부(60)~(60")들이 동시에 작동하여 제1~3덮개(70)~(70")가 함께 풀어지거나 감기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연동부(32)는, 제1수직축(321)과, 상기 제1수직축의 하단에 제2베벨연동기어(313)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하측베벨기어(322)와, 상기 제1수직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상측베벨기어(323)와, 상기 제1수직축에 부설되는 제1클러치(324)를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제1연동부(32)는, 제1연동클러치(315)에 의해 연동축(311)과 함께 제2연동베벨기어(313)가 회전하고 제2연동클러치(316)에 의해 제3연동베벨기어(314)는 회전하지 않을 때 상기 연동축의 회전력이 제1클러치(324)에 의해 제1하측베벨기어가 제2연동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함으로써 그 회전력이 제1상측베벨기어(323)를 거쳐 제1권취부(60)에 전달되어 제1덮개(70)를 감거나 풀어주게 한다.
이렇게 제1연동부(32)가 작동할 때에는, 연동축(311)의 회전력은 제2,3연동부(33)(34)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제2연동부(33)는, 제2수직축(331)과, 상기 제1수직축의 하단에 제3베벨연동기어(314)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2하측베벨기어(332)와, 상기 제2수직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2상측베벨기어(333)를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제2연동부(33)는, 제1,2연동클러치(315)(316)에 의해 연동축(311)과 함께 제2,3연동베벨기어(313)(314)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제3연동베벨기어의 회전력이 제2하측베벨기어(332)와 제2수직축(331)을 거쳐 제2권취부(60')에 전달되어 제1덮개(70)를 감거나 풀어주게 한다.
이렇게 제2연동부(33)가 작동할 때에는, 연동축(311)의 회전력은 제1,3연동부(33)(34)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제3연동부(34)는, 제1피동축(34a)과, 상기 제1피동축의 일단에 제2연동베벨기어(313)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피동베벨기어(341)와, 상기 제1피동축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피동베벨기어(342)와, 상기 제1피동축에 부설되는 피동클러치(343)와, 제2피동축(34b)과, 상기 제2피동축의 일단에 제2피동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3피동베벨기어(344)와, 상기 제2피동축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4피동베벨기어(345)와, 제3수직축(346)과, 상기 제3수직축의 하단에 제4피동베벨기어와 말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3하측베벨기어(347)와, 상기 제3수직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3상측베벨기어(348)를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제3연동부(34)는, 제1연동클러치(315)에 의해 연동축(311)과 함께 제2연동베벨기어(313)가 회전하고 제2연동클러치(316)에 의해 제3연동베벨기어(314)는 회전하지 않을 때 상기 연동축의 회전력이 피동클러치(343)에 의해 제1피동베벨기어(341)가 상기 제2연동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하며, 이에 따라 그 회전력은 제1피동축(34a)과 제2피동베벨기어(342)에 의해 제3피동베벨기어(344)·제2피동축(34b)·제4피동베벨기어(345)·제3하측베벨기어(347)·제3수직축(346)·제3상측베벨기어(348)를 거쳐 제3권취부(60")에 전달되어 제3덮개(70")를 감거나 풀어주게 한다.
이렇게 제3연동부(34)가 작동할 때에는, 연동축(311)의 회전력은 제2연동클러치(316)와 제1클러치(324)에 의해 제1,2연동부(32)(33)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주동권취기(40)는, 주동축(11)의 후단부에 축 고정되는 주동피니언(41)과, 상기 주동피니언의 후면에 부설되는 주동스풀(42)을 구비하여 된다.
좌우 권취기(50)(50')는, 주동권취기(40)의 좌우에 격리설치되며, 각각 주동피니언(41)과 맞물려 회전하는 좌우 연동피니언(51)(51')과, 상기 연동피니언의 후면에 부설되는 좌우 스풀(52)(52') 및 상기 주동피니언과 우측 연동피니언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과 맞물리게 축 설치되는 피니언(53)을 구비하여 된다.
주동스풀(42)과 좌우 스풀(52)(52')은, 내부에 코일스프링과 후크가 부설되어 한번 누르면 눌려진 상태로 고정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나오게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되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푸쉬버튼 등과 같은 구조(도시하지 않음)로 각각 주동피니언(41)과 좌우 연동피니언(51)(51')들의 후면에 설치되어 각기 전방으로 밀리게 누르면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후크에 의해 주동피니언과 좌우 연동피니언에 각각 결속되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한번 누르면 후크에 의한 걸림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서 각각 결속이 해제되므로 주동피니언이나 좌우 연동피니언이 회전하여도 주동스풀과 좌우 스풀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주동스풀(42)을 회전시킬 때에는 좌우 스풀(52)(52')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좌우 스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때는 다른 하나의 스풀과 주동스풀이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견인로프(4)들 중 해당하는 견인로프를 감거나 풀어주는 작동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3권취부(60)~(60")는 운전석(1)의 지붕에 부설되는 에어스포일러(3)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3권취드럼(61)~(61")과, 상기 제1~3권취드럼의 제1~3회동축(62)~(62") 및 상기 제1~3회동축들의 일단에 각각 축 고정되어 제1~3연동부(32)~(32")들의 제1~3상측베벨기어(323)(333)(348)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제1~3피동베벨기어(63)~(63")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에어스포일러의 개방된 후면에는 별도의 도어를 설치하여 여닫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권취드럼(61)은 에어스포일러(3)의 내부 상측에 제1회동축(62)에 의해 회동하게 축 설치되어 전단을 결속한 제1덮개(70)를 감거나 풀어주게 되고, 제2권취드럼(61')은 상기 에어스포일러의 내부 중간에 제2회동축(62')에 의해 회동하게 축 설치되어 전단을 결속한 제2덮개(70')를 감거나 풀어주게 되며, 제3권취드럼(61")은 상기 에어스포일러의 내부 하측에 제3회동축(62")에 의해 회동하게 축 설치되어 전단을 결속한 제3덮개(70")를 감거나 풀어주게 된다.
제1덮개(70)는 천막지로 형성되며, 적재함(2)에 적재된 화물의 상부를 덮어주는 상면부(71)와, 상기 상면부의 좌우에 연장되어 화물의 좌·우부를 덮어주는 좌·우면부(72)(72')와, 상기 상면부의 후단에 연장되어 화물의 후부를 덮어주는 후면부(73)로 된다.
좌·우면부(72)(72')와 후면부(73)는 상·하폭을 적재함(2)에 적재할 수 있는 최대높이로 화물이 적재되었을 때의 높이에 대응하게 형성하여도 되는데, 이렇게 하면 화물이 최대높이 이하로 적재되었을 때에는 그 정도에 따라 각 하단부분이 상기 적재함의 좌·우면과 후면에 소정간격으로 부설된 결속고리(5)들을 지나쳐서 하방으로 늘어지게 되기 때문에 결속고정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게 되는 것은 물론 결속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좌·우면부(72)(72')와 후면부(73)의 상·하폭은 최소높이로 화물을 적재하였을 때의 높이에 대응하게 형성하고, 이들의 각 하단부분 내면에는 제1결속수단(74)을 길이방향으로 1열이나 2열로 격리되게 부설하며, 화물을 최소와 최대높이 또는 최대높이보다 낮게 적재하였을 때의 차이에 대응하는 상·하폭으로 되며 각 상단부분 외면에는 상기 제1결속수단과 결속하는 제2결속수단(74')을 길이방향으로 부설한 보조좌·우면부(721)(722)와 보조후면부(723)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좌·우면부와 후면부의 각 하단부분에 간단히 결속연결하여 사용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결속수단(74)(74')으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퍼나 매직테이프 또는 훅 단추 등을 사용한다
또한, 제1덮개(70)의 후면부(73) 하단 중간에는 소정길이로 되는 견인로프(4)의 전단을 결속고정하고 그 후단은 주동권취스풀(42)에 걸어주며, 제1권취드럼(61)이 회동하여 상기 제1덮개를 감을 때에는 주동권취스풀도 동시에 회동하여 감겨 있는 견인로프를 풀어주고, 상기 제1권취드럼이 제1덮개를 풀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재함(2)에 적재된 화물을 덮어줄 때에는 주동권취스풀은 견인로프를 감아주면서 풀어지는 제1덮개를 후방으로 당겨 이동시켜 줌에 따라 화물을 덮어주게 된다.
이때, 적재함(2)의 후면에서 주동권취스풀(42)의 직 상방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견인로프(4)가 적재된 화물의 상부 중간을 가로질러 후단에서 후부를 수직 하강하여 상기 주동권취스풀에 원활하게 감기게 하는 안내링을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덮개(70')는 망으로 제1덮개(7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후면부의 하단 중간에는 소정길이로 되는 견인로프(4)의 전단을 결속고정하고 그 후단은 주동권취스풀(42)에 걸어주어 제2권취드럼(61')이 회동하여 상기 제2덮개를 감을 때에는 주동권취스풀도 동시에 회동하여 견인로프를 풀어주고, 상기 제2권취드럼이 제2덮개를 풀어줄 때에는 주동권취스풀는 견인로프를 감아주면서 풀어지는 제2덮개를 후방으로 당겨 이동시켜 줌에 따라 화물을 덮어주게 된다.
제3덮개(70")는 비닐로 제1,2덮개(70)(7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후면부의 하단 중간에는 소정길이로 되는 견인로프(4)의 전단을 결속고정하고 그 후단은 주동권취스풀(42)에 걸어주어 제3권취드럼(61")이 회동하여 상기 제3덮개를 감을 때에는 주동권취스풀도 동시에 회동하여 견인로프를 풀어주고, 상기 제3권취드럼이 제3덮개를 풀어줄 때에는 주동권취스풀은 견인로프를 감아주면서 풀어지는 제3덮개를 후방으로 당겨 이동시켜 줌에 따라 화물을 덮어주게 된다.
이러한 제1~3덮개(70)~(70")는 화물을 적재한 다음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풀어서 화물을 덮어주고 주행하면 되는 것이며, 일 예로 망으로 된 상기 제2덮개를 덮어 준 상태에서 주행 전이나 주행하다가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에는 그 정도에 따라 비닐로 된 제3덮개나 제1덮개 중 어느 하나를 풀어서 제2덮개 위에 덮어주어도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1~3덮개(70)~(70")의 설치위치가 상중하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그 위치를 서로 바꿔서 설치하여도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좌우 지지부재(80)(80')는, 각 하단을 좌우 종동축(25)(25')의 후단에 각각 축 고정되어 적재함(2)의 후면 하측에서 정·역회동하게 설치되는 소정길이의 지지관체(81)와, 상기 지지관체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삽입결합되어 출몰하게 설치되는 소정길이의 지지봉(82)을 구비하여 된다.
지지관체(81)와 지지봉(82)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2단 우산대와 같은 구조(도시하지 않음)로 결합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봉을 지지관체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내장된 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삽입되어 후크에 걸어져 고정되어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인출할 때에는 상기 지지관체의 외면에 부설된 버튼을 눌러 후크에 의한 걸림상태를 해제시켜 주면 압축된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지지봉이 후단부분을 제외하고 외부로 인출되어 길이가 길게 된다.
이러한 좌우 지지부재(80)(8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덮어진 제1덮개(70)를 벗기기 위해 제1권취드럼(61)을 회전시켜 감아주기 전에 화물의 좌·우부를 덮어주고 있는 상기 제1덮개의 좌·우면부(72)(72')를 먼저 상면부(71)의 위에 올려서 겹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권취드럼이 제1덮개를 순조롭게 감아 줄 수 있도록 하는 작동을 한다.
즉, 제1권취드럼(61)으로부터 풀어져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면부(71)는 적재함(2)에 적재된 화물의 상부를 좌·우면부(72)(72')는 화물의 좌·우부를 후면부(73)는 화물의 후부를 각각 덮어주고 있는 제1덮개(70)를 벗길 때에는, 먼저 상기 적재함의 좌·우면과 후면에 소정간격으로 부설된 결속고리(5)들에 결속한 상기 좌·우면부와 후면부의 하단을 풀어준 다음 주동축(11)의 회전력이 좌우 종동축(25)(25')들 중 어느 하나, 일 예로 좌측 종동축(25)에만 전달되어 수평상태로 있는 좌측 지지부재(80)를 상향 역 회동시켜 좌측으로 경사지게 세워주고 정지하면 지지관체(81)에서 지지봉(82)을 인출시켜 주어 그 상단이 수직상태로 있는 상기 제1덮개의 좌면부의 후측을 밀어 올려주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면부(72) 후측 하단의 구멍에 일단을 결속한 로프(6)의 타단을 상기 좌면부·상면부(71)·우면부(72')의 후측부분 차례로 좌에서 우로 가로지르게 넘겨서 적재함(2)의 우면 하측에 부설되는 안내롤러를 거쳐 우측 스풀(52')에 걸어준 다음 주동축(11)의 회전력이 주동피니언(41)만 회전시키게 한다.
이때, 주동스풀(42)과 좌측 스풀(52)은 각각 주동피니언(41)과 좌측 연동피니언(51)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격리되어 있고 우측 스풀(52')은 우측 연동피니언(51')에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주동피니언의 회전력은 피니언(53)을 거쳐 상기 우측 연동피니언에 결속되어 있는 우측 스풀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준다
이렇게 되면, 우측 스풀(52')에 타단을 걸어준 로프(6)가 상기 우측 스풀에 감기게 되면서 좌측 지지부재(80)에 의해 올려져 있는 제1덮개(70)의 좌면부(72)를 상방으로 당겨서 상면부(71)의 위로 올려주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좌면부(72)의 하단이 상면부(71)의 우단 위치에 이르게 되면 주동축(11)이 정지하여 우측 스풀(52')의 회전이 멈추게 되며, 이때 화물의 좌부를 덮어주고 있던 상기 좌면부는 상면부 위로 올려져서 겹쳐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좌면부(72)가 상면부(71) 위로 올려져서 겹쳐지면, 좌면부(72)에 결속되어 있는 로프(6)의 일단과 우측 스풀(52')에 감겨있는 부분을 풀어서 일단은 우면부(72') 후측 하단의 구멍에 결속하고, 주동축(11)의 회전력이 우측 종동축(25')에만 전달되어 수평상태로 있는 우측 지지부재(80')를 상향 역 회동시켜 우측으로 경사지게 세워주고 정지하면 지지관체(81)에서 지지봉(82)을 인출시켜 그 상단이 수직상태로 있는 상기 제1덮개의 우면부의 후측을 밀어서 올려주게 한다.
이후, 로프(6)의 타단을 우면부(72')·상면부(71)·좌면부(72)의 후측부분을 차례로 우에서 좌로 가로지르게 넘겨서 적재함(2)의 우면 하측에 부설되는 안내롤러를 거쳐 좌측 스풀(52)에 걸어준다.
그리고, 주동스풀(42)과 우측 스풀(52')은 각각 주동피니언(41)과 우측 연동피니언(51')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격리시키고, 좌측 스풀(52)은 좌측 연동피니언(51)에 결속하여 상기 주동피니언의 회전력이 좌측 연동피니언에 결속되어 있는 좌측 스풀만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한다
이렇게 하면, 좌측 스풀(52)에 타단을 걸어준 로프(6)가 상기 좌측 스풀에 감기게 되면서 우측 지지부재(80')에 의해 올려져 있는 제1덮개(70)의 우면부(72')를 상방으로 당겨서 상면부(71)의 위로 올려주게 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우면부(72')의 하단이 상면부(71)의 좌단 위치에 이르게 되면 주동축(11)이 정지하여 좌측 스풀(52)의 회전이 멈추게 되며, 이때 화물의 우부를 덮어주고 있던 상기 우면부는 상면부 위에 겹쳐져 있는 좌면부(72)의 위로 올려져서 겹쳐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우면부(72')가 상면부(71) 위로 올려져서 좌면부(72) 위에 겹쳐지면 우면부(72)에 결속되어 있는 로프(6)의 일단을 풀어 좌측 스풀(52)에 감아서 결속시켜 주고, 주동축(11)의 회전력이 제1권취드럼(61)과 주동권취스풀(42)만 회전시키게 전달하여 상기 제1권취드럼은 상면부의 위에 좌·우면부가 겹쳐져 있는 제1덮개(70)를 감아주고 상기 주동권취스풀은 감겨있는 견인로프(4)를 풀어주므로 상기 제1덮개는 순조롭게 제1권취드럼에 감아져서 화물로부터 벗겨진다.
이렇게 제1덮개(70)가 벗겨져서 제1권취드럼(61)에 모두 감기면 주동축(11)의 회전이 정지되며, 이때 화물의 상면과 후면 중간에는 전단을 상기 제1덮개의 후면부(73) 하단 중간에 결속하고 후단을 주동권취스풀(42)에 결속한 견인로프(4)가 중간을 가로질러 걸쳐져 있게 된다.
따라서, 제1덮개(70)를 완전히 벗긴 다음에는 견인로프(4)의 화물 상면과 후면 중간에 걸쳐져 있는 부분을 일 예로 적재함(2)의 좌측으로 당겨 이동시켜서 상기 적재함의 좌면 전단 상하에 부설되는 안내롤러들을 거쳐 상기 적재함의 좌측 하단 전후를 가로지르게 부착되는 새시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그 후단에서 주동권취스풀(42)에 이르게 한다.
물론, 이렇게 하면 견인로프(4)의 화물 상면과 후면 중간을 가로지르게 걸쳐지는 부분의 길이보다 적재함(2)의 좌면 전단 상하에 부설되는 안내롤러들을 거쳐 상기 적재함의 좌측 하단 전후를 가로지르게 부착되는 새시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그 후단에서 주동권취스풀(42)에 이르게 되는 길이가 더 길게 되는데, 이들의 길이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견인로프가 화물 상면과 후면 중간을 가로지르게 걸쳐져 있을 때에는 그 후단부가 주동권취스풀에 더 감겨 있기 때문에 적재함의 좌측으로 당겨 이동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제1덮개(70)와 견인로프(4)를 벗겨준 다음에 화물을 내리면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제2,3덮개(70')(70")도 상기 제1덮개와 동일한 방법으로 씌우거나 벗겨주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는, 제1~3덮개(70)~(70")로 화물을 씌워주거나 벗기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운전자가 혼자서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매우 간편·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주동수단 11 : 주동축
12,12' : 제1,2주동베벨기어 13 : 주동클러치
20,20': 좌우 종동수단 21,21' : 좌우 전동축
22 : 내측 전동베벨기어 22' 외측 전동베벨기어
22,23' : 좌우 종동클러치 24,24' :좌우 종동베벨기어
25,25' : 좌우 종동축 31 : 연동부재
32~34 : 제1~3연동부 40 : 주동권취기
42 : 주동스풀 50,50' : 좌우 권취기
52,52' : 좌우 스풀 60~60" : 제1~3권취부
61~61" : 제1~3권취드럼 70~70" : 제1~3덮개
80,80' : 좌우 지지부재 74,74' : 제1,2결속수단
721,722 : 보조좌·우면부 723 : 보조후면부

Claims (6)

  1. 화물적재함의 하면 중간을 전후로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주동축(11)과, 상기 주동축(11)에 격리되게 부설되는 제1,2주동베벨기어(12)(12')와, 상기 제2주동베벨기어(12')의 후측에 위치하게 주동축(11)에 부설되는 주동클러치(1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주동수단(10)과;
    좌우 전동축(21)(21')과, 상기 좌우 전동축(21)(21')의 각 내단에 제2주동베벨기어(12')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내측 전동베벨기어(22)와, 상기 좌우 전동축(21)(21')의 각 외단에 설치되는 외측 전동베벨기어(22')와, 상기 좌우 전동축(21)(21')에 각각 부설되어 주동축(1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좌우 종동클러치(23)(23')와, 각 전단에 상기 외측 전동베벨기어(22')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좌우 종동베벨기어(24)(24')와, 각 후단은 화물적재함의 하면 후측 좌우에 위치하게 축 설치되는 좌우 종동축(25)(25')을 각각 구비하여 형성되는 좌우 종동수단(20)(20')과;
    연동축(311)과, 상기 연동축(311)의 내단에 제1주동베벨기어(12)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연동베벨기어(312)와, 상기 연동축(311)에 설치되는 제2연동베벨기어(313)와, 상기 제1,2연동베벨기어(312)(313)들 사이에 부설되는 제1연동클러치(315)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연동부재(31)와;
    제1수직축(321)과, 상기 제1수직축(321)의 하단에 제2베벨연동기어(313)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하측베벨기어(322)와, 상기 제1수직축(321)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상측베벨기어(323)와, 상기 제1수직축(321)에 부설되는 제1클러치(324)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1연동부(32)와;
    상기 주동축(11)의 후단부에 축 고정되는 주동피니언(41)과, 상기 주동피니언(41)의 후면에 부설되는 주동스풀(42)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주동권취기(40)와;
    상기 주동권취기(40)의 좌우에 격리설치되며, 각각 상기 주동피니언(41)에 의해 회전하게 설치되는 좌우 연동피니언(51)(51')과, 상기 연동피니언(51)(51')의 후면에 각각 부설되는 좌우 스풀(52)(52')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좌우 권취기(50)(50')와;
    에어스포일러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권취드럼(61)과, 상기 제1권취드럼(61)의 제1회동축(62)과, 상기 제1회동축(62)의 일단에 축 고정되어 제1상측베벨기어(323)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제1피동베벨기어(6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1권취부(60)와;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상부를 덮어주는 상면부(71)와, 상기 상면부(71)의 좌우에 연장되어 화물의 좌·우부를 덮어주는 좌·우면부(72)(72')와, 상기 상면부(71)의 후단에 연장되어 화물의 후부를 덮어주며 하단부 중간과 주동스풀(42)을 견인로프로 연결하는 후면부(7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1덮개(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
  2. 화물적재함의 하면 중간을 전후로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주동축(11)과, 상기 주동축(11)에 격리되게 부설되는 제1,2주동베벨기어(12)(12')와, 상기 제2주동베벨기어(12')의 후측에 위치하게 주동축(11)에 부설되는 주동클러치(1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주동수단(10)과;
    좌우 전동축(21)(21')과, 상기 좌우 전동축(21)(21')의 각 내단에 제2주동베벨기어(12')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내측 전동베벨기어(22)와, 상기 좌우 전동축(21)(21')의 각 외단에 설치되는 외측 전동베벨기어(22')와, 상기 좌우 전동축(21)(21')에 각각 부설되어 주동축(1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좌우 종동클러치(23)(23')와, 각 전단에 상기 외측 전동베벨기어(22')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좌우 종동베벨기어(24)(24')와, 각 후단은 화물적재함의 하면 후측 좌우에 위치하게 축 설치되는 좌우 종동축(25)(25')을 각각 구비하여 형성되는 좌우 종동수단(20)(20')과;
    연동축(311)과, 상기 연동축(311)의 내단에 제1주동베벨기어(12)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연동베벨기어(312)와, 상기 연동축(311)의 중간과 외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3연동베벨기어(313)(314)와, 상기 제1,2연동베벨기어(312)(313)들 사이와 제2,3연동베벨기어(313)(314)들 사이에 각각 부설되는 제1,2연동클러치(315)(316)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연동부재(31)와;
    제1수직축(321)과, 상기 제1수직축(321)의 하단에 제2베벨연동기어(313)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하측베벨기어(322)와, 상기 제1수직축(321)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상측베벨기어(323)와, 상기 제1수직축(321)에 부설되는 제1클러치(324)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1연동부(32)와;
    제2수직축(331)과, 상기 제2수직축(331)의 하단에 제3베벨연동기어(314)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2하측베벨기어(332)와, 상기 제2수직축(331)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2상측베벨기어(33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2연동부(33)와;
    상기 주동축(11)의 후단부에 축 고정되는 주동피니언(41)과, 상기 주동피니언(41)의 후면에 부설되는 주동스풀(42)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주동권취기(40)와;
    상기 주동권취기(40)의 좌우에 격리설치되며, 각각 상기 주동피니언(41)에 의해 회전하게 설치되는 좌우 연동피니언(51)(51')과, 상기 연동피니언(51)(51')의 후면에 각각 부설되는 좌우 스풀(52)(52')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좌우 권취기(50)(50')와;
    에어스포일러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권취드럼(61)과, 상기 제1권취드럼(61)축 고정되는 제1회동축(62)과, 상기 제1회동축(62)의 일단에 축 고정되어 제1상측베벨기어(323)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제1피동베벨기어(6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1권취부(60)와;
    상기 제1권취드럼(61)의 직 하방에 설치되는 제2권취드럼(61')과, 상기 제2권취드럼(61')이 축 고정되는 제2회동축(62')과, 상기 제2회동축(62')의 일단에 축 고정되어 제2상측베벨기어(333)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제2피동베벨기어(6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2권취부(60'); 및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상부를 덮어주는 상면부(71)와, 상기 상면부(71)의 좌우에 연장되어 화물의 좌·우부를 덮어주는 좌·우면부(72)(72')와, 상기 상면부(71)의 후단에 연장되어 화물의 후부를 덮어주며 하단부 중간과 주동스풀(42)을 견인로프로 연결하는 후면부(7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1,2덮개(70)(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
  3. 화물적재함의 하면 중간을 전후로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주동축(11)과, 상기 주동축(11)에 격리되게 부설되는 제1,2주동베벨기어(12)(12')와, 상기 제2주동베벨기어(12')의 후측에 위치하게 주동축(11)에 부설되는 주동클러치(1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주동수단(10)과;
    좌우 전동축(21)(21')과, 상기 좌우 전동축(21)(21')의 각 내단에 제2주동베벨기어(12')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내측 전동베벨기어(22)와, 상기 좌우 전동축(21)(21')의 각 외단에 설치되는 외측 전동베벨기어(22')와, 상기 좌우 전동축(21)(21')에 각각 부설되어 주동축(1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좌우 종동클러치(23)(23')와, 각 전단에 상기 외측 전동베벨기어(22')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좌우 종동베벨기어(24)(24')와, 각 후단은 화물적재함의 하면 후측 좌우에 위치하게 축 설치되는 좌우 종동축(25)(25')을 각각 구비하여 형성되는 좌우 종동수단(20)(20')과;
    연동축(311)과, 상기 연동축(311)의 내단에 제1주동베벨기어(12)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연동베벨기어(312)와, 상기 연동축(311)의 중간과 외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3연동베벨기어(313)(314)와, 상기 제1,2연동베벨기어(312)(313)들 사이와 제2,3연동베벨기어(313)(314)들 사이에 각각 부설되는 제1,2연동클러치(315)(316)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연동부재(31)와;
    제1수직축(321)과, 상기 제1수직축(321)의 하단에 제2베벨연동기어(313)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하측베벨기어(322)와, 상기 제1수직축(321)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상측베벨기어(323)와, 상기 제1수직축(321)에 부설되는 제1클러치(324)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1연동부(32)와;
    제2수직축(331)과, 상기 제2수직축(331)의 하단에 제3베벨연동기어(314)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2하측베벨기어(332)와, 상기 제2수직축(331)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2상측베벨기어(33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2연동부(33)와;
    제1피동축(34a)과, 상기 제1피동축(34a)의 일단에 제2연동베벨기어(313)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피동베벨기어(341)와, 상기 제1피동축(34a)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피동베벨기어(342)와, 상기 제1피동축(34a)에 부설되는 피동클러치(343)와, 제2피동축(34b)과, 상기 제2피동축(34b)의 일단에 제2피동베벨기어(342)와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3피동베벨기어(344)와, 상기 제2피동축(34b)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4피동베벨기어(345)와, 제3수직축(346)과, 상기 제3수직축(346)의 하단에 제4피동베벨기어(345)와 말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3하측베벨기어(347)와, 상기 제3수직축(346)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3상측베벨기어(348)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3연동부(34)와;
    상기 주동축(11)의 후단부에 축 고정되는 주동피니언(41)과, 상기 주동피니언(41)의 후면에 부설되는 주동스풀(42)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주동권취기(40)와;
    상기 주동권취기(40)의 좌우에 격리설치되며, 각각 상기 주동피니언(41)에 의해 회전하게 설치되는 좌우 연동피니언(51)(51')과, 상기 연동피니언(51)(51')의 후면에 각각 부설되는 좌우 스풀(52)(52')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좌우 권취기(50)(50')와;
    에어스포일러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권취드럼(61)과, 상기 제1권취드럼(61)축 고정되는 제1회동축(62)과, 상기 제1회동축(62)의 일단에 축 고정되어 제1상측베벨기어(323)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제1피동베벨기어(6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1권취부(60)와;
    상기 제1권취드럼(61)의 직 하방에 설치되는 제2권취드럼(61')과, 상기 제2권취드럼(61')이 축 고정되는 제2회동축(62')과, 상기 제2회동축(62')의 일단에 축 고정되어 제2상측베벨기어(333)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제2피동베벨기어(6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2권취부(60')와;
    상기 제2권취드럼(61')의 직 하방에 설치되는 제3권취드럼(61")과, 상기 제3권취드럼(61")이 축 고정되는 제3회동축(62")과, 상기 제3회동축(62")의 일단에 축 고정되어 제3상측베벨기어(348)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제3피동베벨기어(6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3권취부(60"); 및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상부를 덮어주는 상면부(71)와, 상기 상면부(71)의 좌우에 연장되어 화물의 좌·우부를 덮어주는 좌·우면부(72)(72')와, 상기 상면부(71)의 후단에 연장되어 화물의 후부를 덮어주며 하단부 중간과 주동스풀(42)을 견인로프로 연결하는 후면부(7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1~3덮개(70)(70')(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종동축(25)(25')의 후단에 각각 하단이 축 고정되어 적재함의 후면 하측에 정·역회동하게 설치되는 지지관체(81)와, 상기 지지관체(81)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삽입결합되어 출몰하게 설치되는 지지봉(82)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좌우 지지부재(80)(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70)는 천막지로 되고, 상기 제2덮개(70')는 망으로 되며, 상기제3덮개(70")는 비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면부(72)(72')와 후면부(73)의 각 하단부분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1열이나 2열로 격리되게 부설되는 제1결속수단(74)과, 각 상단부분의 외면에 상기 제1결속수단(74)과 결속하는 제2결속수단(74')이 길이방향으로 부설된 보조좌·우면부(721)(722)와 보조후면부(7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
KR1020160096403A 2016-07-28 2016-07-28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 KR101694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403A KR101694107B1 (ko) 2016-07-28 2016-07-28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403A KR101694107B1 (ko) 2016-07-28 2016-07-28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107B1 true KR101694107B1 (ko) 2017-01-06

Family

ID=5783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403A KR101694107B1 (ko) 2016-07-28 2016-07-28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6213A (zh) * 2020-05-27 2020-07-31 云南省粮油工业有限公司 粮面精平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793Y1 (ko) * 2002-07-31 2002-10-31 송영진 화물차량용 적재함커버장치
KR101075649B1 (ko) * 2010-11-11 2011-10-21 엄경숙 화물차 화물칸 커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793Y1 (ko) * 2002-07-31 2002-10-31 송영진 화물차량용 적재함커버장치
KR101075649B1 (ko) * 2010-11-11 2011-10-21 엄경숙 화물차 화물칸 커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6213A (zh) * 2020-05-27 2020-07-31 云南省粮油工业有限公司 粮面精平机
CN111466213B (zh) * 2020-05-27 2024-05-24 云南省粮油工业有限公司 粮面精平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9818A (en) Covering device for a vehicle container
US5482347A (en) Roll-up tarp apparatus and method
CA2743810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a tarp to trucking cargo
US6250709B1 (en) Vehicle mounted covering system
US6685251B2 (en) Retractable cover system for open top end containers
US10308382B2 (en) Method for applying an underlayment layer to trucking cargo
CA2078526A1 (en) Cover for an open top receptacle
US5573365A (en) Tarp loader and related method
KR101694107B1 (ko) 화물적재함의 덮개장치
CN201506289U (zh) 汽车货厢活动篷罩装置
GB2084241A (en) Flexible cover for vehicle loads
KR100907667B1 (ko) 암롤 트럭의 적재함 덮개장치
KR102226279B1 (ko)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EP1694523B1 (en) Sheeting system for open-topped containers
JP4171893B2 (ja) 少なくとも1個のリッドと2個の被覆装置を備えた開放可能な車両ルーフ
KR200193650Y1 (ko) 화물차 적재함 포장장치
US6824189B1 (en) System for wrapping loads with a tarp
CN112061017A (zh) 一种车辆用的篷布自动调节装置和车辆
EP0073621A1 (en) Vehicle container bodies having sheeting devices
GB2410478A (en) Stowable tarpaulin for trucks
CN212313401U (zh) 一种车辆用的篷布自动调节装置和车辆
KR101086063B1 (ko) 카고 차량용 화물커버
JP6985100B2 (ja) 牽引装置
CA2202802C (en) Tarp roll safety system for trailers
JP2002326533A (ja) トラックの荷台シート掛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