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116B1 - 케이블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116B1
KR101693116B1 KR1020150096177A KR20150096177A KR101693116B1 KR 101693116 B1 KR101693116 B1 KR 101693116B1 KR 1020150096177 A KR1020150096177 A KR 1020150096177A KR 20150096177 A KR20150096177 A KR 20150096177A KR 101693116 B1 KR101693116 B1 KR 101693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iron core
induction
main body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엽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3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the wires being disposed by mach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63Tying, wrapping, binding, lacing, strapping or sheathing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를 이송하는 부품공급부와, 부품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본체부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부품유도부와, 부품유도부에 의해 안착된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조립부와, 케이블부를 이송하는 케이블공급부와, 케이블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케이블부를 조립부에 안착된 본체부에 장착하는 케이블유도부와, 케이블부가 장착된 본체부를 조립부에서 후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케이블유도부는 케이블공급부에서 정렬된 케이블부를 파지하여 본체부에 결합시키므로, 자동화 공정에 의해 케이블부를 본체부에 조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조립장치{ASSEMBLY DEVICE OF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 케이블을 자동으로 조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승용차의 경우 모노코크 프레임이 사용되고, 차체의 골격을 이루는 상기 모노코크 프레임에는 회전 부품인 도어와 후드 및 트렁크 리드 등이 부착된다. 이중, 도어측과 차체 측에는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해 도어래치 조립체와 도어 스트라이커로 구성되는 도어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즉, 차체의 측부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도어가 회동되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도어의 내부에는 차체의 측면 충돌시 상대 차량의 침입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도어 보강빔 조립체가 지지 브라켓을 사용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도어 보강빔 조립체의 선단부에는 차체측에 부착되어 있는 도어 스트라이커와 결합되어 도어를 잠금 및 개방시키는 도어래치 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다.
도어래치 조립체는 도어의 선단측에 고정 장착되고, 케이블을 매개로 전해지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도어래치 조립체를 동작시키는 도어 액츄에이터가 도어래치 조립체의 몸체 하단부에 고정 장착되며, 도어 액츄에이터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케이블은 케이블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고정 장착된다.
종래에는 케이블을 작업자가 일일이 케이블을 조립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0901호(2004.01.07 공개, 발명의 명칭 : 도어 잠금장치를 위한 도어래치 조립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블을 자동으로 조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는: 본체부를 이송하는 부품공급부; 상기 부품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본체부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부품유도부; 상기 부품유도부에 의해 안착된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조립부; 케이블부를 이송하는 케이블공급부; 상기 케이블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케이블부를 상기 조립부에 안착된 상기 본체부에 장착하는 케이블유도부; 및 상기 케이블부가 장착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조립부에서 후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유도부는 상기 케이블공급부에서 정렬된 상기 케이블부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부는: 철심부; 상기 철심부의 일부를 감싸는 철심커버부; 상기 철심커버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철심체결부; 및 상기 철심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유도부는: 유도관절부; 상기 유도관절부에 장착되는 유도연결부; 및 상기 유도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부를 파지하는 유도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홀딩부는: 상기 철심체결부에 인접한 상기 철심부를 파지하는 제1유도홀딩부; 상기 철심체결부에 인접한 상기 철심커버부를 파지하는 제2유도홀딩부; 및 상기 철심커버부의 중앙부를 파지하는 제3유도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홀딩부는: 상기 유도연결부에 결합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유도실린더부; 및 상기 유도실린더부에 결합되어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철심체결부를 가압하는 유도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는 자동화 공정에 의해 케이블부를 본체부에 조립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는 케이블유도부가 케이블공급부에서 정렬된 케이블부를 파지하여 본체부에 자동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는 유도홀딩부가 케이블부를 파지하고, 케이블부를 가압하여 케이블부와 본체부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부품공급부에 본체부가 투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부품공급부가 본체부를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부품공급부가 본체부를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부품공급부가 본체부와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부품공급부가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부품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부품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조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케이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케이블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케이블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은 도 12에서 받침부의 이동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케이블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케이블부가 정렬되는 과정을 순차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케이블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유도홀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케이블유도부가 케이블부를 본체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순차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1)는 부품공급부(10)와, 부품유도부(20)와, 조립부(30)와, 케이블공급부(40)와, 케이블유도부(50)와, 배출부(60)를 포함한다.
부품공급부(10)는 본체부(100)를 이송한다. 일 예로, 본체부(100)로는 도어래치가 될 수 있다. 본체부(100)에는 케이블부(200)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케이블부(200)의 타단부는 탑승자가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사이드핸들과 연결될 수 있다. 부품공급부(10)는 케이블부(200)가 장착되지 않은 본체부(100)만을 이송할 수 있다.
부품유도부(20)는 부품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본체부(100)를 파지하여 이동시키고, 조립부(30)는 부품유도부(20)에 의해 안착된 본체부(100)를 이동시킨다. 일 예로, 부품유도부(20)는 부품공급부(10)를 통해 순차로 이동되는 본체부(100)를 조립부(30)에 거치시킬 수 있다. 조립부(30)는 본체부(100)를 회전시키면서 케이블부(200)와 본체부(100)간의 조립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블공급부(40)는 케이블부(200)를 이송하고, 케이블유도부(50)는 케이블공급부(40)를 통해 공급된 케이블부(200)를 파지하여 조립부(30)에 안착된 본체부(100)에 장착한다.
배출부(60)는 조립부(30)에 인접 배치되고, 케이블부(200)가 장착된 본체부(100)를 후공정으로 이동시킨다. 일 예로, 배출부(60)는 케이블부(200)와의 조립이 완료된 본체부(100)를 조립부(30)에서 후공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부(60)로는 본체부(100)를 파지하여 목적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로봇이송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부품공급부에 본체부가 투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부품공급부가 본체부를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서 부품공급부가 본체부를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부품공급부가 본체부와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부품공급부가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공급부(10)는 부품베이스부(11)와, 부품거치부(12)와, 부품이송부(13)를 포함한다.
부품베이스부(1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부품베이스부(11)는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부품베이스부(11)와 근접되도록 조립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부품거치부(12)는 부품베이스부(11)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배치되며, 본체부(100)가 안착된다. 일 예로, 부품거치부(12)는 본체부(100)가 안착되어 유동이 제한되도록 본체부(100)를 감싸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부품이송부(13)는 부품베이스부(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이동되면서, 본체부(100)를 순차로 이동시킨다. 일 예로, 부품이송부(13)는 부품베이스부(11)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부품베이스부(11)와 마주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이송부(13)는 이송베이스부(131)와, 이송왕복부(132)와, 이송파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베이스부(131)는 부품베이스부(11)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이송베이스부(131)와 부품베이스부(11)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송왕복부(132)는 이송베이스부(131)에 장착되어 왕복 이동된다. 일 예로, 이송왕복부(132)는 이송베이스부(131)의 레일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송왕복부(132)는 동력원에 의해 이송베이스부(13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동력원으로는 모터 또는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동력원으로 모터가 사용되는 경우, 모터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모터와 연계된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축에 관통된 몸체가 전진할 수 있다. 반대로 모터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모터와 연계된 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축에 관통된 몸체가 후진할 수 있다. 한편, 이송베이스부(131)에 장착된 실린더가 이송왕복부(132)에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가 가변되어 이송왕복부(132)가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이송파지부(133)는 이송왕복부(132)에 장착되고, 본체부(100)를 파지한다. 일 예로, 이송파지부(133)는 이송왕복부(13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이송파지부(133)는 부품거치부(12)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이송베이스부(131)에는 근접실린더가 장착되어 이송왕복부(132)를 수평 이동시켜 줌으로써, 이송파지부(133)가 부품거치부(12)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베이스부(131)에는 승강실린더가 장착되어 이송왕복부(132)를 상하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이송파지부(133)가 본체부(100)를 들어 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따라서, 이송왕복부(132)가 부품베이스부(11)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송파지부(133)가 부품거치부(12)에 안착된 본체부(100)를 파지할 수 있다. 이송파지부(133)가 본체부(100)를 파지하면, 이송왕복부(132)가 상승하여 본체부(100)를 부품거치부(12)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부품거치부(12)에서 본체부(100)가 이격되면, 이송왕복부(132)가 전진하여 본체부(100)를 선위치에 해당되는 부품거치부(12)의 상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이송왕복부(132)가 하강하여 본체부(100)가 부품거치부(12)에 안착될 수 있다. 본체부(100)가 전진하여 부품거치부(12)에 안착되면, 이송파지부(133)가 본체부(100)에서 이격되고, 이송왕복부(132)가 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부품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공급부(10)는 부품고정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품고정부(14)는 부품베이스부(11)의 상방에 배치되고, 높이가 조절되어 부품거치부(12)에 안착된 본체부(100)를 고정시킨다. 일 예로, 부품고정부(14)는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전방 이동 완료된 본체부(100)를 가압함으로써, 이동된 본체부(100)가 부품거치부(12)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부품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유도부(20)는 유도베이스부(21)와, 유도이송부(22)와, 유도파지부(23)를 포함한다.
유도베이스부(21)는 부품공급부(10)와 조립부(30)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유도베이스부(2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며, 부품베이스부(11)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도이송부(22)는 유도베이스부(21)에 장착되고, 유도베이스부(2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일 예로, 유도이송부(22)는 유도베이스부(21)의 레일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유도이송부(22)는 동력원에 의해 유도베이스부(2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동력원으로는 모터 또는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동력원으로 모터가 사용되는 경우, 모터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모터와 연계된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축에 관통된 몸체가 전진할 수 있다. 반대로 모터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모터와 연계된 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축에 관통된 몸체가 후진할 수 있다. 한편, 유도베이스부(21)에 장착된 실린더가 유도이송부(22)에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가 가변되어 유도이송부(22)가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유도파지부(23)는 유도이송부(22)에 장착되고, 부품공급부(10)의 가장자리에 도달한 본체부(100)를 파지하고, 조립부(30)에 본체부(100)를 안착시킨다. 일 예로, 본체부(100)가 가장 가장자리에 있는 부품거치부(12)에 안착되면, 유도파지부(23)가 가장 가장자리, 즉 조립부(30)에 가장 근접한 부품거치부(12)에 안착된 본체부(100)를 파지한다.
유도파지부(23)가 하강하여 본체부(100)를 파지한 후 본체부(100)를 들어 올리면, 유도이송부(22)가 이송되어 유도파지부(23)의 하방에 조립부(3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조립부(30)의 상방에 위치되는 유도파지부(23)는 하강하여 조립부(30)에 본체부(100)를 안착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조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30)는 조립회전축부(31)와, 조립테이블부(32)와, 조립거치부(33)와, 조립고정부(34)를 포함한다.
조립회전축부(3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 조립테이블부(32)는 조립회전축부(31)에 장착되어 회전된다. 일 예로, 조립테이블부(32)는 원판 형상을 하고, 조립테이블부(32)의 중심 저면에 조립회전축부(31)가 장착될 수 있다. 조립회전축부(31)가 회전됨에 따라 이와 연결된 조립테이블부(32)가 회전될 수 있다. 그 외, 조립회전축부(31)에 장착된 모터가 조립테이블부(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조립거치부(33)는 조립테이블부(32)에 장착되고, 본체부(100)가 안착된다. 일 예로, 조립거치부(33)는 조립테이블부(32)의 상측면에 장착되고 4개가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조립거치부(33)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서로간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안착된 본체부(100)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조립테이블부(32)가 회전됨에 따라 조립거치부(33)는 4군데의 위치로 반복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첫 번째 위치에서는 부품유도부(20)를 통해 본체부(100)가 공급되고, 두 번째 위치에서는 본체부(100)가 이동될 수 있다. 세 번째 위치에서는 케이블유도부(50)를 통해 본체부(100)에 케이블부(200)가 장착되고, 네 번째 위치에서는 케이블부(200)가 장착된 본체부(100)가 배출부(6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조립고정부(34)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본체부(100)를 고정시킨다. 일 예로, 조립고정부(34)는 조립거치부(33)에 안착된 본체부(100)의 이동 경로에서 벗어난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거치부(33)가 세 번째 위치에 도달될 때, 조립고정부(34)가 전진하여 본체부(100)를 고정시켜 줌으로써, 케이블유도부(50)를 통한 조립 작업시 본체부(10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조립고정부(34)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조립거치부(33)를 압박하여 본체부(100)와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 외, 조립고정부(34)는 본체부(100)의 외측면을 직접 압박하여 본체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케이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공급부(40)는 안착된 케이블부(200)를 목적지로 이동시킨 후 정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부(200)는 철심부(201)와, 철심커버부(202)와, 철심체결부(203)와, 절곡부(204)를 포함한다.
철심부(201)는 일단부가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결합공(101)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도어의 외부에 형성되는 사이드핸들과 연결될 수 있다. 철심커버부(202)는 철심부(201)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철심커버부(202)에 의해 철심부(201)의 절연이 가능하다. 철심부(201)는 철심커버부(202)를 관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철심체결부(203)는 철심커버부(202)의 단부에 형성되고,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본체거치부(102)에 결합된다. 절곡부(204)는 철심부(20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결합공(101)에 삽입된다. 절곡부(204)는 2단으로 꺾인 형상을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케이블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공급부(40)는 케이블이동부(41)와 케이블정렬부(42)를 포함한다.
케이블이동부(41)는 케이블부(200)를 이송하고, 케이블정렬부(42)는 케이블이동부(41)를 통해 이동되는 케이블부(200)를 정렬한다. 일 예로, 작업자가 케이블이동부(41)에 케이블부(200)를 거치하면, 케이블이동부(41)가 케이블부(200)를 케이블정렬부(42)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케이블정렬부(42)는 케이블부(200)의 철심부(201)를 이동시켜 추후 자동 조립을 위한 철심부(20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케이블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은 도 12에서 받침부의 이동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케이블이동부(41)는 베이스부(411)와, 시발부(412)와, 종착부(413)와, 경유부(414)와, 받침부(415)를 포함한다.
베이스부(41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 일 예로, 베이스부(411)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411)는 내부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시발부(412)는 베이스부(411)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고, 종착부(413)는 베이스부(411)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된다. 종착부(413)는 케이블정렬부(42)에 근접 배치되고, 시발부(412)는 종착부(413)보다 케이블정렬부(42)에서 원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발부(412)에서 이동되는 받침부(415)가 종착부(413)에 도달된 후, 받침부(415)에 장착된 케이블부(200)의 정렬 작업이 실시될 수 있다.
경유부(414)는 시발부(412)와 종착부(413) 사이에 배치되고, 받침부(415)는 시발부(412)와, 경유부(414)와, 종착부(413)를 순차로 반복 이동한다.
일 예로, 받침부(415)는 시발부(412)와, 종착부(413)와, 경유부(414)에 안착되는 받침판부(4151)와, 받침판부(4151)에 형성되고, 케이블부(200)가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거치부(4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받침거치부(4152)는 철심커버부(202)와, 철심체결부(203)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발부(412)는 시발실린더부(4121)와, 시발판부(4122)와, 시발작동부(4123)와, 시발경사부(4124)를 포함한다.
시발실린더부(4121)는 베이스부(411)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된다. 일 예로, 시발실린더부(4121)는 베이스부(411)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시발판부(4122)는 시발실린더부(4121)에 장착되어 높이가 조절된다. 일 예로, 시발판부(4122)는 시발실린더부(412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시발작동부(4123)는 시발판부(4122)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안착된 받침부(415)를 경유부(414)로 이동시킨다. 일 예로, 시발작동부(4123)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벨트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벨트에 안착된 받침부(415)를 목적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시발경사부(4124)는 시발작동부(4123)에 결합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시발작동부(4123)를 경사지게 배치시킨다. 일 예로, 시발경사부(4124)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시발판부(4122)를 관통하여 시발작동부(4123)에 결합되고, 자체 길이가 가변되어 시발작동부(4123)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다. 작업자는 세워진 시발작동부(4123)에 안착된 받침부(415)에 케이블부(200)를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착부(413)는 종착실린더부(4131)와, 종착작동부(4132)를 포함한다.
종착실린더부(4131)는 베이스부(411)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된다. 일 예로, 종착실린더부(4131)는 베이스부(411)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종착작동부(4132)는 종착실린더부(4131)에 장착되어 높이가 조절된다. 종착작동부(4132)는 안착된 받침부(415)를 경유부(414)로 이동시킨다. 일 예로, 종착작동부(4132)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벨트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벨트에 안착된 받침부(415)를 목적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착부(413)는 종착고정부(4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착고정부(4133)는 베이스부(411)에 장착되고, 종착작동부(4132)에 밀착되어 종착작동부(4132)에 안착된 받침부(415)의 유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유부(414)는 상경유부(4141)와 하경유부(4142)를 포함한다.
상경유부(4141)는 베이스부(411)에 장착되고, 상승한 시발작동부(4123)에서 이동되는 받침부(415)를 상승한 종착작동부(4132)로 안내한다.
하경유부(4142)는 베이스부(411)에 장착되고, 상경유부(4141)의 하방에 배치된다. 하경유부(4141)는 하강한 종착작동부(4132)에서 이동되는 받침부(415)를 하강한 시발작동부(4123)로 안내한다.
일 예로, 상경유부(4141)와 하경유부(4142)는 베이스부(411)에 고정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벨트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벨트에 안착된 받침부(415)를 목적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경유부(4141)와 하경유부(4142)는 구동벨트가 연결되어 하나의 모터로 구동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케이블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케이블부가 정렬되는 과정을 순차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정렬부(42)는 정렬베이스부(421)와, 정렬이동부(422)와, 정렬스토퍼부(423)와, 정렬교정부(424)를 포함한다.
정렬베이스부(42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케이블이동부(41)에 근접 배치된다. 일 예로, 정렬베이스부(421)는 종착부(413)에 인접될 수 있다.
정렬이동부(422)는 정렬베이스부(421)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예로, 정렬이동부(422)는 종착부(413)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종착부(413)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정렬이동부(422)는 모터의 구동 또는 실린더의 길이 변화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정렬스토퍼부(423)는 정렬이동부(422)에 장착되고, 정렬이동부(422)와 연동되어 이동된다. 정렬스토퍼부(423)는 케이블부(20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일 예로, 철심부(201)가 과도하게 돌출된 상태에서 받침부(415)가 종착작동부(4132)에 도달되면, 철심부(201)가 정렬스토퍼부(423)에 충돌하여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받침부(415)에는 2개의 케이블부(200)가 장착되고, 정렬스토퍼부(423)는 각각의 케이블부(415)에서 철심부(201)의 돌출 길이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정렬교정부(424)는 정렬이동부(422)에 장착되고, 상하로 이동되어 케이블부(200)의 위치를 교정한다. 일 예로, 정렬교정부(424)가 실린더의 길이 변화로 하방 이동되면서 절곡부(204)를 가압한다. 이로 인해, 다양한 각도로 회전된 철심부(201)의 절곡부(204)가 저점에 균일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케이블부(42)는 정렬홀딩부(425)를 더 포함한다. 정렬홀딩부(425)는 정렬이동부(422)에 장착되고, 케이블부(200)를 파지한다. 일 예로, 정렬홀딩부(425)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서로간의 간격이 줄어들어 철심부(201)를 파지할 수 있다. 정렬홀딩부(425)가 철심부(201)를 파지한 상태에서 정렬이동부(422)가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철심커버부(202)에서 노출되는 철심부(201)의 길이가 균일해질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케이블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유도홀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에서 케이블유도부가 케이블부를 본체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순차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10과, 도 13과,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케이블유도부(50)는 케이블공급부(40)에서 정렬된 케이블부(200)를 파지하여 본체부(100)에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유도부(50)는 유도관절부(51)와, 유도연결부(52)와, 유도홀딩부(53)를 포함한다.
유도관절부(5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다양한 각도로 위치 변동이 가능하다. 일 예로, 유도관절부(51)는 다수의 링크 결합에 의해 위치 변동이 가능한 로봇팔이 될 수 있다.
유도연결부(52)는 유도관절부(51)에 장착되고, 유도홀딩부(53)는 유도연결부(52)에 결합된다. 유동홀딩부(53)는 유도관절부(51)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며, 케이블부(200)를 파지한다. 일 예로, 유동홀딩부(53)가 케이블공급부(40)에서 이동 완료된 케이블부(200)를 파지하면, 유도관절부(51)의 구동에 의해 케이블부(200)는 조립부(30)에 안착된 본체부(100)에 조립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홀딩부(53)는 제1유도홀딩부(531)와, 제2유도홀딩부(532)와, 제3유도홀딩부(533)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제1유도홀딩부(531)와, 제2유도홀딩부(532)와, 제3유도홀딩부(533)는 각각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서로간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케이블부(200)를 파지할 수 있다.
제1유도홀딩부(531)는 철심부(201)를 파지하고, 제2유도홀딩부(532)는 철심커버부(202)를 파지한다. 이때, 제1유도홀딩부(531)와 제2유도홀딩부(532) 사이에는 철심체결부(203)가 위치된다. 일 예로, 제1유도홀딩부(531)는 철심체결부(203)에 인접한 철심부(201)를 파지하고, 제2유도홀딩부(532)는 철심체결부(203)에 인접한 철심커버부(202)를 파지할 수 있다. 제3유도홀딩부(533)는 철심커버부(202)의 중앙부를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홀딩부(53)는 유도실린더부(534)와 유도가압부(5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실린더부(534)는 유도연결부(52)에 결합되고 길이가 가변된다. 유도가압부(535)는 유도실린더부(534)에 결합되어 높이가 조절된다. 유도가압부(535)는 철심체결부(203)를 가압하여 본체거치부(102)에 철심체결부(203)를 가결합시킨다. 일 예로, 유도실린더부(534)는 제2유도홀딩부(532)와 제3유도홀딩부(533) 사이에 배치되고, 유도가압부(535)는 유도실린더부(534)에서 연장되어 단부가 제1유도홀딩부(531)와 제2유도홀딩부(5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본체부(100)를 부품공급부(10)에 투입하면, 부품공급부(10)는 본체부(100)를 순차 이동시키고, 부품유도부(20)는 이동된 본체부(100)를 조립부(30)로 안내한다.
즉, 작업자가 본체부(100)를 부품거치부(12)에 안착시키면(도 2 참조), 이송베이스부(131)가 부품베이스부(11)를 향하여 이동되어, 이송파지부(133)가 본체부(100)를 파지한다(도 3 참조).
이송파지부(133)가 본체부(100)를 파지하면, 이송베이스부(131)가 상승하여 본체부(100)가 부품거치부(12)에서 이격되고, 이송왕복부(132)가 수평 이동하여 본체부(100)가 최초 부품거치부(12)에서 이격된 부품거치부(12)의 상방에 배치된다(도 4 참조).
이송왕복부(132)가 수평 이동된 후, 이송왕복부(132)가 하강하여 부품거치부(12)에 본체부(100)를 안착시키고, 이송파지부(133)가 벌어져 본체부(100)와 이격되면, 이송베이스부(131)가 부품베이스부(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5 참조).
이송베이스부(131)가 부품베이스부(11)에서 멀어진 후, 이송왕복부(132)가 원위치로 수평 이동하여 작업자가 추가로 공급한 본체부(100)를 파지하기 위해 대기한다(도 6 참조).
부품공급부(10)에 의해 본체부(100)가 가장자리에 있는 부품거치부(12)에 도달되면, 부품유도부(20)가 본체부(100)를 파지하여 조립부(30)의 조립거치부(33)로 이동시킨다.
작업자가 케이블부(200)를 케이블공급부(40)에 투입하면, 케이블공급부(40)는 케이블부(200)를 이동시키고, 케이블유도부(50)는 이동된 케이블부(200)를 조립부(30)에 안착된 본체부(100)에 장착한다.
즉, 받침부(415)가 시발작동부(4123)에 이동되어 시발판부(4122)가 상승하고, 시발경사부(4124)에 의해 시발작동부(4123)가 경사를 가지면, 작업자가 편리하게 받침부(415)에 케이블부(200)를 장착한다. 받침부(415)에 케이블부(200)가 장착되면, 시발작동부(4123)와, 상경유부(4141)와, 종착작동부(4132)가 순차 작동되어 받침부(415)가 종착작동부(4132)로 이동된다. 종착작동부(4132)에서 받침부(415)에 장착된 케이블부(200)가 케이블유도부(50)에 의해 이동되면, 종착작동부(4132)가 하강하고, 종착작동부(4132)와, 하경유부(4142)와, 하강된 시발작동부(4123)가 순차 작동되어 받침부(415)가 시발작동부(4123)로 이동된다(도 14 참조).
한편, 케이블부(200)가 장착된 받침부(415)가 종착작동부(4123)에 도달되면, 철심부(201)의 단부에 해당되는 절곡부(204)가 정렬스토퍼부(423)에 충돌하여 철심부(201)의 돌출길이가 균일하게 조절된다. 정렬스토퍼부(423)에 절곡부(204)가 도달되면, 정렬교정부(424)가 하강하여 절곡부(204)를 가압함으로써, 절곡부(204)가 저점을 유지할 수 있다. 절곡부(204)가 저점을 유지하면, 정렬홀딩부(425)가 철심부(201)를 파지하여 이동됨으로써, 철심부(201)의 돌출길이를 조립이 용이하도록 조절한다(도 16 참조).
케이블부(200)의 정렬이 완료되면, 케이블유도부(50)가 케이블부(200)를 파지하여 조립부(30)에서 순차 이동되는 본체부(100)에 조립한다. 이때, 절곡부(204)의 일부가 수직으로 결합공(101)을 관통한 후, 유도관절부(41)의 위치 변경에 의해 절곡부(204)가 케이블부(200)가 90도 회전되어 절곡부(204)의 나머지가 결합공(101)에 삽입된다. 이때, 케이블부(200)의 철심체결부(203)가 본체부(100)의 본체거치부(102)의 상측에 단순 거치되므로, 유도실린더부(44)의 구동으로 유도가압부(45)가 철심체결부(203)를 가압하여 철심체결부(203)를 본체거치부(102)에 가결합한다. 그런 다음 유도관절부(41)가 이동되어 제1유도홀딩부(531) 또는 제2유도홀딩부(531)가 직접 철심체결부(203)를 가압하여 철심체결부(203)를 본체거치부(102)에 체결한다(도 19 참조).
조립부(30)에서 이동되는 본체부(100)에 케이블부(200)가 자동 조립되면, 배출부(60)가 조립 완료된 본체부(100)를 후공정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1)는 자동화 공정에 의해 케이블부(200)를 본체부(100)에 조립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1)는 케이블유도부(50)가 케이블공급부(40)에서 정렬된 케이블부(200)를 파지하여 본체부(100)에 케이블부(200)를 자동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장치(1)는 유도홀딩부(53)가 케이블부(200)를 파지하고, 본체부(100)에 안착된 케이블부(200)를 가압하여 케이블부(200)와 본체부(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부품공급부 11 : 부품베이스부
12 : 부품거치부 13 : 부품이송부
14 : 부품고정부 20 : 부품유도부
21 : 유도베이스부 22 : 유도이송부
23 : 유도파지부 30 : 조립부
31 : 조립회전축부 32 : 조립테이블부
33 : 조립거치부 34 : 조립고정부
40 : 케이블공급부 41 : 케이블이동부
42 : 케이블정렬부 50 : 케이블유도부
51 : 유도관절부 52 : 유도연결부
53 : 유도홀딩부 54 : 유도실린더부
55 : 유도가압부 60 : 배출부
100 : 본체부 101 : 결합공
200 : 케이블부 201 : 철심부
202 : 철심커버부 203 : 철심체결부
204 : 절곡부

Claims (5)

  1. 본체부를 이송하는 부품공급부;
    상기 부품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본체부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부품유도부;
    상기 부품유도부에 의해 안착된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조립부;
    케이블부를 이송하는 케이블공급부;
    상기 케이블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케이블부를 상기 조립부에 안착된 상기 본체부에 장착하는 케이블유도부; 및
    상기 케이블부가 장착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조립부에서 후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유도부는 상기 케이블공급부에서 정렬된 상기 케이블부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부에 결합시키며,
    상기 케이블부는
    철심부;
    상기 철심부의 일부를 감싸는 철심커버부;
    상기 철심커버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철심체결부; 및
    상기 철심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유도부는
    유도관절부;
    상기 유도관절부에 장착되는 유도연결부; 및
    상기 유도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부를 파지하는 유도홀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공급부는
    상기 케이블부를 이송하는 케이블이동부; 및
    상기 케이블이동부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케이블부를 정렬하는 케이블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이동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는 시발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고, 상기 케이블정렬부에 근접 배치되는 종착부;
    상기 시발부와 상기 종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경유부; 및
    상기 시발부와, 상기 경유부와, 상기 종착부를 순차로 반복 이동하고, 상기 케이블부가 장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종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종착실린더부; 및
    상기 종착실린더부에 장착되어 높이가 조절되고, 안착된 상기 받침부를 상기 경유부로 이동시키는 종착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조립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홀딩부는
    상기 철심체결부에 인접한 상기 철심부를 파지하는 제1유도홀딩부;
    상기 철심체결부에 인접한 상기 철심커버부를 파지하는 제2유도홀딩부; 및
    상기 철심커버부의 중앙부를 파지하는 제3유도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조립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홀딩부는
    상기 유도연결부에 결합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유도실린더부; 및
    상기 유도실린더부에 결합되어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철심체결부를 가압하는 유도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조립장치.
KR1020150096177A 2015-07-06 2015-07-06 케이블 조립장치 KR101693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177A KR101693116B1 (ko) 2015-07-06 2015-07-06 케이블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177A KR101693116B1 (ko) 2015-07-06 2015-07-06 케이블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116B1 true KR101693116B1 (ko) 2017-01-04

Family

ID=5783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177A KR101693116B1 (ko) 2015-07-06 2015-07-06 케이블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1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1907A (ja) * 1992-09-29 1994-04-22 Hitachi Ltd 多芯ケーブルコネクタ自動組立装置
KR20040000901A (ko) * 2002-06-26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잠금방지를 위한 도어래치 조립체
KR101553810B1 (ko) * 2014-05-30 2015-09-17 주식회사화신 자동 이송장치
KR101573172B1 (ko) * 2015-04-23 2015-11-30 주식회사 세정로봇 자동차용 도어래치어셈블리의 케이블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1907A (ja) * 1992-09-29 1994-04-22 Hitachi Ltd 多芯ケーブルコネクタ自動組立装置
KR20040000901A (ko) * 2002-06-26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잠금방지를 위한 도어래치 조립체
KR101553810B1 (ko) * 2014-05-30 2015-09-17 주식회사화신 자동 이송장치
KR101573172B1 (ko) * 2015-04-23 2015-11-30 주식회사 세정로봇 자동차용 도어래치어셈블리의 케이블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72895A (zh) 一种流道式分层上板机
KR100841055B1 (ko) 복합 파이프 밴딩기
CN111016050B (zh) 电芯自动入料模注塑生产线
CN106862888B (zh) 静铁芯送料装置
CN107749375B (zh) 断路器操作机构组装设备
EP2174390B1 (en) Wire positioning device for a wire termination machine
KR100846646B1 (ko) 금속판 적층체를 용해로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US20070193325A1 (en) Hemming machine and inspecting method thereof
JP5563718B2 (ja) ピストン供給装置及びピストン供給方法
JPH07121495B2 (ja) 物品ハンドリング装置
KR101573172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어셈블리의 케이블 결합장치
CN109590719A (zh) 照明灯具生产用扭簧自动装配机
CN213949865U (zh) 夹具及风叶装车设备
CN105397810B (zh) 一种同轴光器件自动分理管脚机械手
CN115295472A (zh) 自动封装机构的上料机结构
CN115741090A (zh) 一种反弹器总装配自动机
KR101693116B1 (ko) 케이블 조립장치
CN105788852A (zh) 一种电感线圈十轴自动绕线机
KR101653928B1 (ko) 케이블 조립장치
KR101693115B1 (ko) 케이블 조립장치
CN221262146U (zh) 一种套管送线机构
KR102058508B1 (ko) 파이프 서포트 행거 조립장치
CN108889855B (zh) 马达定子铆合装置
CN207302996U (zh) 断路器操作机构组装设备
CN108581423B (zh) 马达轴组件组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