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107B1 - 척추 치료환자 치료포인트 이동장치가 탑제된 의료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척추 치료환자 치료포인트 이동장치가 탑제된 의료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107B1
KR101693107B1 KR1020150055098A KR20150055098A KR101693107B1 KR 101693107 B1 KR101693107 B1 KR 101693107B1 KR 1020150055098 A KR1020150055098 A KR 1020150055098A KR 20150055098 A KR20150055098 A KR 20150055098A KR 101693107 B1 KR101693107 B1 KR 101693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ody frame
half body
lower half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4467A (ko
Inventor
이도영
Original Assignee
이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영 filed Critical 이도영
Priority to KR102015005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10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로울러장치를 탑재하여 척추환자를 그 로울러장치 위에 누워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척추환자를 당기거나 밀어 이동하면 로울러위에 누워 있는 척추환자가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로울러장치가 탑제된 의료용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기계장치가 있는 몸체(10) 상단에 척추환자(100)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상반신프레임(20)과 척추환자(100)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하반신프레임(30)을 설치하되,
상기 상반신프레임(20)과 상기 하반신프레임(20)에 각각 척추환자(100)를 떠 받치는 로울러를 설치하여 상기 로울러(40) 위에 누워있는 척추환자를 상반신 방향이나 하반신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로울러(40)에 의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척추 치료환자 치료포인트 이동장치가 탑제된 의료용 운동기구 {Moving apparatus of patient Exercise machine}
본 발명은 척추 치료환자 치료포인트 이동장치가 탑제된 의료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는 선천적이나 후천적 그리고 기타 사고로 인해 상반신에 이상이 있을 경우 상반신 중 이상이 있는 부분의 척추를 견인하거나 비틀기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주로 의료용 운동기구의 하체받침대와 상체받침대 사이에 이상이 있는 척추부분을 위치시켜 운동기구의 도움으로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런데 하체받침대나 상체받침대 사이에 척추를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환자 스스로 이동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관리자(예를들어 물리치료사)가 강재로 끌어당겨 이동시키고 있어 척추환자에게 고통이 따른다.
그러나 본원은 운동기구에 로울러장치를 탑재하여 척추환자를 그 로울러장치 위에 누워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척추환자를 당기거나 밀어 이동하면 로울러 위에 누워 있는 척추환자가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가 출원한 출원번호 10-2010-0024510호, 출원일자 2010년03월19일자, 발명의 명칭, 허리 운동기구를 출원한 바 있다.
따라서 그 내용을 아래와 같이 인용해보면, 허리 운동기구는 자기 스스로 운동을 할 수 없는 노약자나 재활치료가 요구되는 환자, 척추교정이 필요한 환자에게 이용되는 허리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인 과제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계의 도움으로 하반신을 위치시킨 하체받침부를 공전(公轉)시켜 허리 및 골반 또는 척추운동과 아울러 그 공전의 반경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또 별도 또는 동시에 하반신 운동부를 좌우로 소정 각도(비틀림)만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킴과 아울러 그 회전되는 각도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사용자의 신장크기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양분된 하반신 운동부를 신장 및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과제이다.
이와 같은 기술을 제공한 허리 운동기구는, 상체받침대(4)와, 하체받침대(5)에 누워있는 관리자(예를들어 물리치료사)가 운동을 하고자 하는 척추를 하체반침대(5)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관리자(물리치료사 등)가 강제로 다리를 잡고서 끌어 당기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므로 척추환자에게 고통이 따르고, 관리자도 끌어 당겨야함으로 그에 따른 노동이 따르며 특히, 척추환자의 척추에 무리(無理)가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동기구에 로울러장치를 탑재하여 척추환자를 그 로울러장치 위에 누워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척추환자를 당기거나 밀어 이동하면 로울러 위에 누워있는 척추환자가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로울러장치(회전밸트장치 포함)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계장치가 있는 몸체(10) 상단에 척추환자(100)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상반신프레임(20)과 척추환자(100)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하반신프레임(30)을 설치하되,
상기 상반신프레임(20)과 상기 하반신프레임(20)에 각각 척추환자(100)를 떠 받치는 로울러(회전밸트 포함)를 설치하여 상기 로울러(40)위에 누워있는 척추환자를 상반신 방향이나 하반신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로울러(40)에 의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의 폭방향으로 길이방향이 가로로 로울러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되 상기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로울러가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상반신프레임(20)에 설치된 로울러(40)는 구동모터(50)의 동력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50)에 의해 회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의 길이방향 양단에 로울러 위에 누워있는 척추환자(100)가 낙상하지 않도록 상기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 이격시킨 복수의 낙하방지용 제2로울러(60)가 로울러지지대(70)에 수직으로 세워진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는 선천적이나 후천적 그리고 기타 사고로 인해 상반신에 이상이 있을 경우 상반신 중 이상이 있는 부분의 척추를 견인하거나 비틀기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주로 의료용 운동기구의 하체받침대나 상체받침대 사이에 이상이 있는 척추부분을 위치시켜 운동기구의 도움으로 운동을 하게된다.
그런데 하체받침대나 상체받침대 사이에 척추를 위치시키기 위해 관리자(예를들어 물리치료사)가 강제로 끌어당겨 이동시키고 있어 척추환자에게 고통이 따른다.
이에 반해 본원은 운동기구에 로울러장치를 탑재하여 척추환자를 그 로울러장치위에 누워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척추환자를 당기거나 밀어 이동하면 로울러 위에 누워있는 척추환자가 부드럽게 이동하게되므로 척추환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척추치료 환자 이동이 용이하도록 로울러장치가 탑제된 의료용 운동기구의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상태에서 상반신프레임과 하반신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반신프레임과 하반신프레임에 회전밸트가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 4도는 제 3도의 상태에서 제 3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 5도는 본원의 실시예로서 가)는 제 1도의 상태에서 하반신프레임이 하단으로 하강한 상태이고, 나)는 상측으로 상승한 상태이다.
제 6도는 본원의 척추를 교정하는 운동기구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참고도이다.
제 7,8도는 본 발명의 유도형근접센서와 금속판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
몸체 상단에 있는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에 각각 로울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미도시한 기계장치에 의해 하반신프레임(30) 앞쪽이 사방(상측, 하측, 좌측, 우측 360°포함)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장치에 대한 구성과 실시예는 본원이 출원하여 공개된 공개번호 10-2011-0105413호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수록되어 있고 그 기계장치에 의해 동작한다.
따라서 그 기계장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기계장치는 하반신프레임(30) 앞쪽이 사방으로 움직이면서 이상이 있는 척추부분을 운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이 있는 척추나 골반이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 사이에 위치되어야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건 본 발명의 과제와 구성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척추환자를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 사이에 부드럽게 미끌어지듯이 위치시키는 기술이 이건 기술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이건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기계장치가 있는 몸체(10) 상단에 척추환자(100)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상반신프레임(20)과 척추환자(100)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하반신프레임(30)을 설치하되,
상기 상반신프레임(20)과 상기 하반신프레임(20)에 각각 척추환자(100)를 떠 받치는 로울러(회전밸트 포함)를 설치하여 상기 로울러(40) 위에 누어있는 척추환자를 상반신방향이나 하반신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로울러(40)에 의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의 폭방향으로 길이방향이 가로로 로울러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되 상기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로울러가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성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에 로울러(4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로울러(40)위에 누워있는 척추환자(100)의 신체 일부를 잡고서 밀거나 당기면 하반신 방향이나 상방신 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하는 것이다.
다음은 구동모터(50)에 의해 로울러(40)를 회동하고자 한다.
상반신프레임(20)에 설치된 로울러(40)는 구동모터(50)의 동력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50)에 의해 회동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50)에 의해 로울러(40)가 회동함으로 로울러(40) 위에 누워있는 척추환자가 구동모터(50)의 동력에 의해 하반신 방향이나 상반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척추환자가 운동기구로부터 낙상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의 길이방향 양단에 로울러 위에 누워있는 척추환자(100)가 낙상하지 않도록 상기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 이격시킨 복수의 낙하방지용 제2로울러(60)가 로울러지지대(70)에 수직으로 세워진 구성이다.
이와 같이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 양단에 제2로울러(60)를 설치하였기에, 척추환자를 척추환자의 하반신 방향이나 상반신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나 기계장치에 의해 하반신프레임(30)이 사방으로 향하더라도 척추환자가 낙상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고주파 발진형근접센서, 마그네틱센서와 같은 유도형근접센서(300)를 설치하고,
척추환자의 의복이나 인체에 부착하되 치료를 해야하는 척추부분에 금속판재(301)를 부착하여 상기 유도형근접센서(300)에 의해 감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유도형근접센서(300)를 장착하고,
치료를 해야하는 치료대상부분에 금속판재(301)를 부착함으로서 구동모터(50)를 통해 로울러(40) 위에 누어있는 척추환자(100)를 상하로 이동하면
그 이동과정에 금속판재(301)가 유도형근접센서(300)에 접근하게 되고 그로 인해 유도향근접센서는 금속판재를 감지하여 신호처리에 따라 미도시한 컨트롤장치에 구성한 발광부를 발광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관리자는 그 발광부(소리음 포함)신호를 통해 치료위치를 파악한다.
따라서 신호음이 발생하면 그 위치에서 로울러(40)를 정지시키고 그 후 하반신프레임(30)을 동작시켜 원하는 치료운동을 하면 된다.
10 ; 몸체 20 ; 상반신프레임
30 ; 하반신프레임 40 ; 로울러
50 ; 구동모터 60 ; 제2로울러
70 ; 로울러지지대 100 ; 척추환자

Claims (3)

  1. 기계장치가 있는 몸체(10) 상단에 척추환자(100)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상반신프레임(20)과 척추환자(100)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하반신프레임(30)을 설치하되,
    상기 상반신프레임(20)과 상기 하반신프레임(30)에 각각 척추환자(100)를 떠 받치는 로울러(40)를 설치하고
    로울러(40)는 구동모터(50)의 동력에 의해 회동시켜 척추환자(100)를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설치된
    유도형근접센서(300)로 이동하고,
    상기 상반신프레임(20)과 하반신프레임(30)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 이격시킨 복수의 낙하방지용 제2로울러(60)가 로울러지지대(70)에 수직으로 세우며,
    척추환자의 의복이나 인체에 부착해 치료를 해야하는 척추부분에 금속판재(301)를 부착하여 상기 유도형근접센서(300)에 의해 감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치료환자 치료포인트 이동장치가 탑재된 의료용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KR1020150055098A 2015-04-20 2015-04-20 척추 치료환자 치료포인트 이동장치가 탑제된 의료용 운동기구 KR101693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098A KR101693107B1 (ko) 2015-04-20 2015-04-20 척추 치료환자 치료포인트 이동장치가 탑제된 의료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098A KR101693107B1 (ko) 2015-04-20 2015-04-20 척추 치료환자 치료포인트 이동장치가 탑제된 의료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467A KR20160124467A (ko) 2016-10-28
KR101693107B1 true KR101693107B1 (ko) 2017-01-17

Family

ID=5724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098A KR101693107B1 (ko) 2015-04-20 2015-04-20 척추 치료환자 치료포인트 이동장치가 탑제된 의료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1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171B2 (ja) 1990-10-12 2000-04-17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5144115A (ja) * 2003-11-18 2005-06-09 Tsunetake Son ローリングベッド
KR100897618B1 (ko) * 2009-01-06 2009-05-14 주식회사 한메드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
KR101437770B1 (ko) * 2013-03-18 2014-11-03 이도영 척추 견인 치료장치가 탑재된 의료용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0423A (en) * 1986-01-22 1990-08-21 The B. F. Goodrich Company Coating of EMI shielding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171B2 (ja) 1990-10-12 2000-04-17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5144115A (ja) * 2003-11-18 2005-06-09 Tsunetake Son ローリングベッド
KR100897618B1 (ko) * 2009-01-06 2009-05-14 주식회사 한메드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
KR101437770B1 (ko) * 2013-03-18 2014-11-03 이도영 척추 견인 치료장치가 탑재된 의료용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467A (ko)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2721B1 (en) Neck training apparatus
US7927257B2 (en) Assisted stair training machine and methods of using
KR101546881B1 (ko) 팔 거치대형 상지재활 훈련장치
US9393172B2 (en) Spinal traction machine and methods
RU2391084C1 (ru) Механургический стол для массажа и мануальной терапии
DE8530304U1 (de) Durch elektromechanischen Antrieb kippbares Bett
KR20140022993A (ko) 재활치료용 상지 및 하지 운동기구
KR20120051626A (ko) 3차원 운동기구
US9358174B1 (en) Spinal decompression apparatus
KR101693107B1 (ko) 척추 치료환자 치료포인트 이동장치가 탑제된 의료용 운동기구
WO2015019351A2 (en) Novik mehanurgichesky table or portable traction apparatus for manual therapy and massage
KR101825286B1 (ko) 척추치료 환자 이동이 용이하도록 로울러장치가 탑제된 의료용 운동기구
KR102084013B1 (ko) 전동식 척추 스트레칭기구
KR101577047B1 (ko) 다용도의 기능성 침대
US11135117B2 (en) Hoop for self-applied chiropractic care
RU25394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ссажа и вытяж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KR20170100301A (ko) 와상환자를 위한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
KR200477537Y1 (ko)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
WO2013088182A1 (en) Apparatus for spine recovery
CN107115169A (zh) 颈椎腰椎正骨牵引康复仪器
JP3229852B2 (ja) 腰痛の治療若しくは予防のための装置
RU86868U1 (ru) Стол для массажа и мануальной терапии
CN106726067B (zh) 多功能悬垂式脊椎牵引康复治疗机
RU2512959C1 (ru) Механотерапев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массажа и гравитационного вытяж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US11305152B2 (en) Apparatus for human gait manip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